KR20020089176A - 일회용 흡액성 패드 - Google Patents

일회용 흡액성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176A
KR20020089176A KR1020020027729A KR20020027729A KR20020089176A KR 20020089176 A KR20020089176 A KR 20020089176A KR 1020020027729 A KR1020020027729 A KR 1020020027729A KR 20020027729 A KR20020027729 A KR 20020027729A KR 20020089176 A KR20020089176 A KR 20020089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edges
extending
liquid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지도모코
우오사와다카코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1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 가장자리부와 전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배설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일회용 흡액성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투액성 표면 시트(2)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3) 사이에 흡액성 코어(4)가 개재하는 일회용 흡액성 패드(1A)로서, 패드(1A)의 후방부(28)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5) 근방이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서로 중첩되고, 또한 양측 가장자리(5)의 내측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선(10)에 의해 횡방향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동시에 절곡선(10)을 따라 고착되며, 패드(1A)의 후방부(28)에는 후단 가장자리(7)를 꼭대기로 하여 기립하는 배설물 수용 공간(14)과, 절곡선(10)으로부터 양측 가장자리(5)를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13)가 구획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흡액성 패드{DISPOSABLE LIQUID ABSORBABLE PADS}
본 발명은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는 일회용 흡액성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성 제6-21621호는 몸통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를 갖는 팬츠의 가랑이 영역 내측에 U자형으로 절곡된 흡액성 패드를 갖는 일회용 팬츠를 개시하고 있다. 흡액성 패드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고, U자형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와,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단 가장자리부를 갖는다. 흡액성 패드는 그 전후단 가장부 근방이 팬츠의 내측에 고착되어 있다. 이 팬츠는 여기에 배설된 배설물을 흡액성 패드가 흡수, 유지하여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동호 공보에 개시된 패드는 그 평면 형상이 거의 평평하고, 양측 가장자리부와 전후단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배설물을 막는 수단이 없으며, 배설물이 코어에 흡수되기 이전에 표면 시트 위를 확산되면, 패드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전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배설물이 새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양측 가장자리부와 전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배설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일회용 흡액성 패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흡액성 패드의 사시도.
도 2는 패드로 성형하기 이전의 상태로 도시한 부분 파단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팬츠의 내측에 부착한 상태로 도시한 도 1의 패드의 사시도.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흡액성 패드의 사시도.
도 7은 패드로 성형하기 이전의 상태로 도시한 부분 파단 평면도.
도 8은 도 6의 C-C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9는 팬츠의 내측에 부착한 상태로 도시한 도 6의 패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일회용 흡액성 패드
2 : 투액성 표면 시트
3 : 불투액성 이면 시트
4 : 흡액성 코어
5 : 양측 가장자리
6 : 전단 가장자리
7 : 후단 가장자리
8 : 신축성 탄성 부재
10 : 제1절곡선
13 : 플랜지
14 : 배설물 수용 공간
18 : 신축성 탄성 부재
20 : 제2절곡선
23 : 플랜지
24 : 페니스 수용 공간
25 : 장벽
26 : 전방부
27 : 중간부
28 : 후방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고, 종방향으로 전방부 및 후방부와, 이들 전후방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와, 상기 전방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와, 상기 후방부에서 상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단 가장자리를 갖는 세로로 긴 일회용 흡액성 패드이다.
상기 전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패드의 후방부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 근방이 상기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하여 서로 중첩되고, 또한, 상기 양측 가장자리의 내측에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절곡선에 의해 횡방향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동시에 그 제1절곡선을 따라 고착되고, 상기 패드의 후방부에는 상기 후단 가장자리를 꼭대기로 하여 기립하는 배설물 수용 공간과, 상기 제1절곡선으로부터 상기 양측 가장자리를 향해 상기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가 구획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로서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탄성 부재가 상기 패드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 근방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패드의 전방부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 근방이 상기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하여 서로 중첩되고, 또한, 상기 양측 가장자리의 내측에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절곡선에 의해 횡방향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동시에, 그 제2절곡선을 따라 고착되며, 상기 패드의 전방부에는 상기 전단 가장자리를 꼭대기로 하여 기립하는 페니스 수용 공간과, 상기 제2절곡선으로부터 상기 양측 가장자리를 향해 상기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가 구획되고, 상기 중간부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 근방이 그 양측 가장자리를 꼭대기로 하여 기립하는 장벽을 구획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탄성 부재가 상기 패드의 전방부와 중간부 중 적어도 그 전방부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 근방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흡액성 패드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흡액성 패드(1A)의 사시도와, 패드(1A)로 성형하기 이전의 상태로 도시한 부분 파단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A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와, 도 1의 B-B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횡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종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또,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의 내면이란 코어(4)에 대향하는 면을 말하고, 이들 시트(2, 3)의 외면이란 코어(4)에 비대향인 면을 말한다.
패드(1A)는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내면 시트(2)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외면 시트(3)와, 이들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4)로 구성되어 있다. 패드(1A)는 종방향으로 전방부(26) 및 후방부(28)와, 이들 전후방부(26, 28)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27)를 갖는다. 패드(1A)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5)와, 전방부(26)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6)와, 후방부(28)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단 가장자리(7)를 갖는다.
패드(1A)에서는, 코어(4)의 양측 가장자리(4a)로부터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의 양측부(2a, 3a)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고착되고, 코어(4)의 양단 가장자리(4b)로부터 종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의 양단부(2b, 3b)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코어(4)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의 적어도 한쪽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패드(1A)의 후방부(28)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5) 근방에는 종방향으로연장되는 복수 줄의 신축성 탄성 부재(8)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8)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2, 3)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후방부(28)는 표면 시트(2)가 내측이 되도록, 양측 가장자리(5) 사이의 치수를 이분하는 세로 중심선(L: 도 2 참조)의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내절곡선(9)에 의해 횡방향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또한, 후방부(28)는 내절곡선(9)과 양측 가장자리(5)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외절곡선(10: 제1절곡선)에 의해 횡방향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후방부(28)에서는, 양측 가장자리(5) 근방이 외절곡선(10)에서 중첩되고, 핫멜트형 접착제(17)를 통해 표면 시트(2)의 외면이 외절곡선(10)을 따라 고착되어 있다.
후방부(28)에는 내절곡선(9) 사이로 연장되는 저벽(11)과, 내절곡선(9)과 외절곡선(10) 사이로 연장되는 양측벽(12)과, 외절곡선(10)으로부터 양측 가장자리(5)를 향해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13)가 구획되어 있다. 후방부(28)에는 저벽(11)과 양측벽(12)으로 둘러싸인 배설물 수용 공간(14)이 구획되어 있다. 배설물 수용 공간(14)은 후단 가장자리(7)를 꼭대기로 하여 경사 후방을 향해 기립하고 있다.
전방부(26)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의 외면에는 박리지(도시하지 않음)로 피복, 보호된 점착제(15)가 도포되어 있다. 저벽(11)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의 외면에는 박리지(도시하지 않음)로 피복, 보호된 점착제(16)가 도포되어 있다.
도 2의 상태에서 도 1의 패드(1A)를 만들기 위해서는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패드(1A)의 후방부(28)를 내절곡선(9)에 의해 절곡시킨 후, 외절곡선(10)에 의해 절곡하여 표면 시트(2)의 외면을 외절곡선(10)을 따라 고착시킨다.
도 5는 팬츠(30)의 내측에 부착한 상태로 도시한 도 1의 패드(1A)의 사시도이다. 패드(1A)에서는, 이면 시트(3)의 외면이 점착제(15, 16)를 통해 팬츠(30)의 내측에 점착되어 있다. 팬츠(30)는 앞 몸통둘레 영역(31) 및 뒤 몸통둘레 영역(33)과, 이들 몸통둘레 영역(31, 33)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32)을 가지며, 몸통둘레 개구(34)와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35)를 갖는다. 팬츠(30)에서는, 패드(1A)가 가랑이 영역(32)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몸통둘레 영역(31, 33)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팬츠(30)에서는, 패드(1A)의 전방부(26)가 앞 몸통둘레 영역(31)에 위치하고, 패드(1A)의 후방부(28)가 뒤 몸통둘레 영역(33)에 위치하는 동시에, 중간부(27)가 가랑이 영역(32)에 위치하고 있다.
팬츠(30)에서는, 그것을 착용하면, 패드(1A)의 후방부(28)가 착용자의 둔부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후방부(28)에 구획된 플랜지(13)가 둔부에 접촉한다. 패드(1A)에서는, 배설물 수용 공간(14)이 후단 가장자리(7)를 꼭대기로 하여 기립하고 있기 때문에, 패드(1A)를 팬츠(30)에 부착시킬 때에 그 후방부(28)를 팬츠(30)의 만곡을 따라 절곡시킬 필요가 없어서 패드(1A)의 팬츠(30)로의 부착이 용이하다.
패드(1A)에서는, 무른 변이나 물 같은 변 등의 배설물이 패드(1A)의 후방부(28)에 구획된 배설물 수용 공간(14)에 수용되기 때문에, 그들 배설물이 패드(1A)의 후방부(28)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5)와 후단 가장자리(7)로부터 새어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패드(1A)에서는, 플랜지(13)가 둔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후방부(28)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5)가 둔부에 접촉함에 따른 불쾌한 자극을 막을 수 있다.
패드(1A)에서는, 후방부(28)의 양측 가장자리(5) 근방에 부착된 탄성 부재(8)에 의해 배설물 수용 공간(14)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단, 이 패드(1A)에서는, 후방부(28)의 양측 가장자리(5) 근방에 탄성 부재(14)가 부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도 6 및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흡액성 패드(1B)의 사시도와, 패드(1B)로 성형하기 이전의 상태로 도시한 부분 파단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C-C 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횡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종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이 패드(1B)가 도 1과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패드(1B)의 전방부(26)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5) 근방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탄성 부재(18)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18)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 시트(2, 3)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전방부(26)는 표면 시트(2)가 내측이 되도록, 세로 중심선(L)의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내절곡선(19)에 의해 횡방향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또한, 전방부는 내절곡선(19)과 양측 가장자리(5)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외절곡선(20: 제2절곡선)에 의해 횡방향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전방부(26)에서는, 양측 가장자리(5) 근방이 외절곡선(20)에서 중첩되고, 핫멜트형접착제(17)를 통해 표면 시트(2)의 외면이 외절곡선(20)을 따라 고착되어 있다.
전방부(26)에는 내절곡선(19) 사이로 연장되는 저벽(21)과, 내절곡선(19)과 외절곡선(20) 사이로 연장되는 양측벽(22)과, 외절곡선(20)으로부터 양측 가장자리(5)를 향해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23)가 구획되어 있다. 전방부(26)에는 저벽(21)과 양측벽(22)으로 둘러싸인 페니스 수용 공간(24)이 구획되어 있다. 페니스 수용 공간(24)은 전단 가장자리(6)를 꼭대기로 하여 경사 전방을 향해 기립되어 있다. 중간부(27)에는 여기에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5) 근방이 양측 가장자리(5)를 꼭대기로 하여 거의 수직으로 기립하는 장벽(25)을 구획하고 있다. 전후방부(26, 28)의 저벽(11, 21)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의 외면에는 박리지(도시하지 않음)로 피복, 보호된 점착제(15, 16)가 도포되어 있다.
도 7의 상태에서 도 6의 패드(1B)를 만들기 위해서는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패드(1B)의 후방부(28)를 내절곡선(9)에 의해 절곡시킨 후, 외절곡선(10)에 의해 절곡시키고, 표면 시트(2)의 외면을 외절곡선(10)을 따라 고착시킨다. 다음에, 표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패드(1B)의 전방부(26)를 내절곡선(19)에 의해 절곡시킨 후, 외절곡선(20)에 의해 절곡시키고, 표면 시트(2)의 외면을 외절곡선(20)을 따라 고착시킨다.
도 9는 팬츠(30)의 내측에 부착된 상태로 도시한 도 6의 패드(1B)의 사시도이다. 패드(1B)에서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이면 시트(3)의 외면이 점착제(15, 16)를 통해 팬츠(30)의 내측에 점착되어 있다. 착용자는 패드(1B)를 부착시킨 팬츠(30)를 착용하는 동시에, 전방부(26)에 구획된 페니스 수용 공간(24)에페니스(36)를 삽입한다.
패드(1B)에서는, 배설물 수용 공간(14)이 후단 가장자리(7)를 꼭대기로 하여 기립하고, 페니스 수용 공간(24)이 전단 가장자리(6)를 꼭대기로 하여 기립하고 있기 때문에, 패드(1B)를 팬츠(30)에 부착시킬 때 그 전방부(26)와 후방부(28)를 팬츠(30)의 만곡을 따라 절곡시킬 필요가 없어서 패드(1B)의 팬츠(30)로의 부착이 용이하다.
패드(1B)에서는, 페니스 수용 공간(24)에 있어서 뇨를 흡수,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뇨가 패드(1B)의 전방부(26)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5)와 전단 가장자리(6)로부터 새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패드(1B)에서는, 중간부(27)의 양측 가장자리(5) 근방이 배설물에 대한 장벽(25)을 형성하기 때문에, 배설물이 중간부(27)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5)로부터 새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패드(1B)에서는, 플랜지(23)가 착용자의 복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전방부(26)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5)가 복부에 접촉함에 따른 불쾌한 자극을 막을 수 있다.
패드(1B)에서는, 전방부(26)의 양측 가장자리(5) 근방에 부착된 탄성 부재(18)에 의해 페니스 수용 공간(24)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단, 이 패드(1B)에서는, 전방부의 양측 가장자리(5) 근방에 탄성 부재(18)가 부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패드(1B)에서는, 전후방부(26, 28)와 중간부(27)의 양측 가장자리(5) 근방에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2)에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 또는, 미세한 다수의 개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3)에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불투액성플라스틱 필름, 소수성 섬유 부직포를 중첩시킨 2층의 부직포, 소수성 섬유 부직포에 플라스틱 필름을 고착한 복합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3)에는 높은 내수성을 갖는 멜트블로운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를, 높은 강도를 가지며 또한 유연성이 풍부한 스펀 본드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로 끼운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로서는, 스펀 레이스, 니들 펀치, 멜트 블로운, 서멀 본드, 스펀 본드, 케미컬 본드, 에어 스루(エア-スル-) 등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각 섬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심초형 복합 섬유 또는 병렬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코어(4)는 플랩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 또는 플랩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의 혼합물로서, 소정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코어(4)는 그것의 형 붕괴나 폴리머 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전체가 티슈페이퍼로 피복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합성 폴리머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표리면 시트(2, 3)의 고착이나 코어(4)의 접합, 탄성 부재(8, 18)의 부착에는 핫멜트형 접착제 또는 히트 시일이나 초음파 접합 등의 열에 의한 용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도시예의 패드(1A, 1B)는 팬츠(30) 이외에 오픈형 기저귀 커버의 내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기저귀 커버에서는, 그 내측에 패드(1A, 1B)를 점착시킨 후, 기저귀 커버의 앞 몸통둘레 영역과 뒤 몸통둘레 영역을 연결함으로써,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흡액성 패드에 따르면, 배설물이 패드의 후방부에 구획된 배설물 수용 공간에 수용되기 때문에, 배설물이 패드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와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새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패드에서는, 그 후방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둔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패드의 양측 가장자리가 둔부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서 불쾌한 자극이 없다.
배설물 수용 공간 이외에, 패드의 전방부에 페니스 수용 공간이 구획된 패드에서는, 페니스 수용 공간에서 뇨를 흡수,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뇨가 패드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와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새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패드에서는, 중간부의 양측 가장자리 근방이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뇨가 중간부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새어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패드에서는, 그 전방부에 형성된 플랜지가 착용자의 복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전방부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가 복부에 접촉되는 일이 없어서 불쾌한 자극이 없다.

Claims (4)

  1.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고, 종방향으로 전방부 및 후방부와, 이들 전후방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와, 상기 전방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와, 상기 후방부에서 상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단 가장자리를 갖는 세로로 긴 일회용 흡액성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후방부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 근방이 상기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하여 서로 중첩되고, 또한, 상기 양측 가장자리의 내측에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절곡선에 의해 횡방향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동시에 그 제1절곡선을 따라 고착되며,
    상기 패드의 후방부에는 상기 후단 가장자리를 꼭대기로 하여 기립하는 배설물 수용 공간과, 상기 제1절곡선으로부터 상기 양측 가장자리를 향해 상기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가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액성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탄성 부재가 상기 패드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 근방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액성 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전방부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 근방이 상기 표면 시트를 내측으로 하여 서로 중첩되고, 또한, 상기 양측 가장자리의 내측에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절곡선에 의해 횡방향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동시에 그 제2절곡선을 따라 고착되며,
    상기 패드의 전방부에는 상기 전단 가장자리를 꼭대기로 하여 기립하는 페니스 수용 공간과, 상기 제2절곡선으로부터 상기 양측 가장자리를 향해 상기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가 구획되고, 상기 중간부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 근방이 그 양측 가장자리를 꼭대기로 하여 기립하는 장벽을 구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액성 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탄성 부재가 상기 패드의 전방부와 중간부 중 적어도 그 전방부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 근방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액성 패드.
KR1020020027729A 2001-05-21 2002-05-20 일회용 흡액성 패드 KR200200891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1447 2001-05-21
JP2001151447A JP3920593B2 (ja) 2001-05-21 2001-05-21 使い捨て吸液性パッ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176A true KR20020089176A (ko) 2002-11-29

Family

ID=18996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729A KR20020089176A (ko) 2001-05-21 2002-05-20 일회용 흡액성 패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78138B2 (ko)
EP (1) EP1260204B1 (ko)
JP (1) JP3920593B2 (ko)
KR (1) KR20020089176A (ko)
CN (1) CN1214775C (ko)
AT (1) ATE410984T1 (ko)
DE (1) DE60229321D1 (ko)
TW (1) TW5767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2584B2 (en) * 2002-07-30 2007-02-06 First Quality Products, Inc. Sanitary elasticized male guard
JP4190276B2 (ja) * 2002-12-17 2008-1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050038403A1 (en) * 2003-08-12 2005-02-17 Singleton Deidre M. Disposable potty garment
US20050148960A1 (en) * 2003-12-18 2005-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ad with three-dimensional end containment
US7658730B2 (en) * 2004-04-30 2010-02-09 Avancen, Llc Adult male disposable incontinence system for disposable underwear
JP4599096B2 (ja) * 2004-05-31 2010-12-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4699857B2 (ja) * 2005-10-07 2011-06-15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576314B2 (ja) * 2005-10-07 2010-11-04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3919019B2 (ja) * 2005-10-14 2007-05-23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1951178B1 (en) * 2005-11-22 2014-03-05 SCA Hygiene Products AB Male incontinence product
JP4871095B2 (ja) * 2006-04-06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4827704B2 (ja) * 2006-11-30 2011-11-30 大王製紙株式会社 低出生体重児用吸収性物品
JP5407374B2 (ja) * 2009-02-02 2014-02-0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男性用尿パッド及び男性用尿パッド包装体
JP5414099B2 (ja) * 2009-03-31 2014-0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70651B2 (ja) * 2010-12-13 2013-08-21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CN102138844B (zh) * 2011-04-26 2015-05-27 曹乃承 新型纸尿裤
CN102151199B (zh) * 2011-05-02 2015-05-27 曹乃承 新型纸尿裤
JP2013135756A (ja) * 2011-12-28 2013-07-11 Chikazawa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CN102579201B (zh) * 2012-03-27 2015-08-05 曹乃承 纸尿裤
JP6153753B2 (ja) * 2013-03-28 2017-06-2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06396B2 (ja) * 2014-03-28 2018-04-0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06395B2 (ja) * 2014-03-28 2018-04-04 花王株式会社 男性用失禁パッド
JP5859086B1 (ja) * 2014-09-30 2016-02-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901854B2 (ja) * 2016-12-27 2021-07-14 花王株式会社 男性用吸収性物品
USD859648S1 (en) 2018-02-22 2019-09-10 ACT Holding, LLC Diaper accessory
JP7253912B2 (ja) * 2018-12-20 2023-04-0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3367896B (zh) * 2021-05-24 2022-08-05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带有刚性立体结构的男性轻度失禁巾
CN114099150A (zh) * 2021-11-19 2022-03-01 爹地宝贝股份有限公司 男性轻度失禁尿片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7336A (en) 1976-09-27 1978-01-10 Kimberly-Clark Corporation Perineal shield and discharge containment device
US4182334A (en) * 1976-09-27 1980-01-08 Kimberly-Clark Corporation Perineal shield and discharge containment device
US5380310A (en) 1982-06-02 1995-01-10 Kaysersberg, S.A. Disposable sanitary article for incontinent persons
US4560380A (en) * 1982-09-29 1985-12-24 Flare Products, Inc. Disposable therapy diaper
US4505706A (en) 1983-01-14 1985-03-19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osable adult diaper
US4731070A (en) * 1984-04-19 1988-03-15 Personal Products Company Adult incontinent absorbent article
GR1002237B (en) * 1991-09-27 1996-04-19 Mcneil Ppc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pre-formed gaskets.
CA2072665C (en) 1992-02-26 2002-06-18 David Arthur Kuen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JPH0621621A (ja) 1992-05-08 1994-01-28 C Uyemura & Co Ltd 回路パターンの形成方法
SE513202C2 (sv) * 1997-02-28 2000-07-31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9321D1 (de) 2008-11-27
TW576731B (en) 2004-02-21
EP1260204A2 (en) 2002-11-27
CN1214775C (zh) 2005-08-17
JP2002345882A (ja) 2002-12-03
US6878138B2 (en) 2005-04-12
EP1260204A3 (en) 2003-10-01
JP3920593B2 (ja) 2007-05-30
CN1386482A (zh) 2002-12-25
US20020173763A1 (en) 2002-11-21
ATE410984T1 (de) 2008-10-15
EP1260204B1 (en)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9176A (ko) 일회용 흡액성 패드
US10092460B2 (en) Absorbent article
KR100791870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821816B1 (ko) 일회용 기저귀
JP2006271649A (ja) 吸収性物品
KR20030051356A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20070000497A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H11276519A (ja) 体液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KR20090091318A (ko) 흡수성 물품
JP2000271170A (ja) 表面構造体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20020067652A (ko) 일회용 기저귀
KR20010070412A (ko) 일회용 기저귀
KR100639631B1 (ko) 체액 처리 물품
JP3892352B2 (ja) 体液吸収性物品
KR20030011656A (ko)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JPH06218008A (ja) 衛生用ナプキン
JP2012050744A (ja) 吸収性物品
JP5523958B2 (ja) 吸収性物品
KR20050092706A (ko) 일회용 기저귀
JP2014188253A (ja) 吸収性物品
JP4152759B2 (ja) 体液吸収性物品
JP2017217257A (ja) 吸収性物品
KR100644171B1 (ko) 체액 처리 물품
JP3887293B2 (ja) 体液吸収性物品
JP3927881B2 (ja) 体液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