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983A -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983A
KR20020088983A KR1020010028093A KR20010028093A KR20020088983A KR 20020088983 A KR20020088983 A KR 20020088983A KR 1020010028093 A KR1020010028093 A KR 1020010028093A KR 20010028093 A KR20010028093 A KR 20010028093A KR 20020088983 A KR20020088983 A KR 20020088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storage space
entrance
accessor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헌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2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8983A/ko
Publication of KR2002008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9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27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100)의 악세사리 보관구조는, 본체(110)를 이동하기 위한 손잡이(112)와; 상기 손잡이의 양끝단(112a,112b)이 체결되는 장착부(114a,114b)와; 상기 장착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보조흡입구(141)나 보조브러시(142) 등의 악세사리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116)과;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118,119)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116)의 내부에 분리벽(117)으로 수납공간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수납공간의 입구에 각각 뚜껑(118,119)을 체결하여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흡입구(141)나 보조브러시(142) 등과 같은 악세사리를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잘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악세사리를 분실할 우려가 없는 보관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뚜껑의 개폐가 용이하여 손쉽게 악세사리를 수납할 수 있다는 이점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Accessories custody structure of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좁은 틈새나 창틀과 같이 흡입노즐을 이용하여 청소하기 힘든 곳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칼형의 보조흡입구나 보조브러시 등과 같은 다수개의 악세사리를 보관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수단이 내장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할 때, 흡입호스에서 연장되어 있는 연장관의 끝단에 체결되어 있는 흡입노즐을 통하여 유입된 먼지나 이물질 등이 포함된 공기는 흡입호스를 거쳐 본체에 체결되어 있는 먼지통으로 유입된다. 즉, 진공청소기의 흡입수단의 흡입력에 의하여 카펫이나 바닥 등에 묻어 있는 먼지나 이물질이 연장관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노즐을 통하여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흡입노즐은 카펫이나 바닥면과 같은 넓은 면을 청소하기에 적당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창틀이나 구석진 틈새 등의 장소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흡입구나 보조브러시 등의 악세사리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연장관의 끝단에서 흡입노즐을 분리한 후에, 상기 보조흡입구나 보조브러시 등의 악세사리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플렉시블한 흡입호스에 연결되어 있는 조작부에서 연장관을 제거하고 적당한 악세사리를 조작부에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보조흡입구나 보조브러시 등의 악세사리 등은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에만 연장관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미사용시에는 적당한 장소에 잘 보관하여야 분실의 우려가 없게 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진공청소기(1)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10)와, 상기 진공청소기의 본체(10)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호스(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공청소기는 사용자가 조작부(22)를 쥐고 이동함에 따라 본체(1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1)를 포함하고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를 세워서 보관하게 된다. 즉, 상기 바퀴(11)가 구성되어 있는 진공청소기의 후방부가 하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10)에 체결되어 있는 흡입호스(21)의 끝단에는 연장관(23)과 연결된 조작부(22)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단계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진공청소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흡입호스(21) 및 연장관(23)은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본체(10)에 고정시켜 정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호스(21) 및 연장관(23)을 진공청소기의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연장관(23)에 고정부(3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0)에는 보조흡입구나 보조브러시 등의 악세사리를 보관할 수 있는 홀더(32,34)가 성형되어 있다. 이 때, 연장관(23)을 진공청소기(1)의 본체(10)에 밀착시켜 정리할 수 있도록 고정부(30)에 하향되게 성형된 삽입돌기(31)를 본체의 고정홈(15)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30)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칼형의 보조흡입구(16)나 보조브러시(18) 등의 악세사리를 보관용 홀더(32,34)에 끼워 보관하게 된다. 상기 칼형의 보조흡입구(16)나 보조브러시(18) 등은 연장관(23)이나 조작부(22)의 끝단에 장착되어 사용되므로 그 연결부위의 형태가 동일하다. 즉, 고정부(30)에 성형되는 다수개의 보관용 홀더(32,34)는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1)에 구성되는 보관용 홀더(32,34)에 의한 악세사리 보관구조에 의하면, 보조흡입구(16)나 보조브러시(18) 등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므로 진공청소기의 외관이 지저분해 보이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청소기의 보조흡입구 및 보조브러시 등과 같은 악세사리를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청소기를 운반할 수 있도록 본체에 구성되는 손잡이가 체결되어 회동하는 장착부의 내부에 악세사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을 것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악세사리 보관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악세사리 보관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악세사리 수납공간의 입구에 뚜껑이 닫혀진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악세사리 수납공간의 입구에 뚜껑이 닫혀진 상태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본체112 ..... 손잡이
112a,112b ..... 양끝단114a,114b ..... 장착부
116 ..... 수납공간117 ..... 분리벽
118,119,128 ..... 뚜껑141 ..... 보조흡입구
142 ..... 보조브러시
상기 목적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는,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양끝단이 체결되어 회동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내부에 성형된 다수개의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를개폐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에 의하면, 진공청소기를 운반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에 손잡이가 체결되는 장착부의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칼형의 보조흡입구나 보조브러시 등의 악세사리를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악세사리를 분실할 우려없이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악세사리 보관구조가 형성된 진공청소기(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본체(110)를 사용자가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손잡이(112)가 구성되는데, 상기 손잡이(112)의 양 끝단(112a,112b)이 체결되는 장착부(114a,114b)의 내측에 연통되도록 수납공간(1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진공청소기(100)를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수납공간(116)에 보관하고 있는 보조흡입구나 보조브러시 등의 악세사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118)을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악세사리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116)을 가지는 진공청소기(100)는, 본체(110)에 내장된 흡입수단인 모터(도시 생략)의 흡입력에 의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부(111)를 통하여 배출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진공청소기(100)에 전원을 인가하고 조작부(122)의 조작버튼으로 원하는 흡입단계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흡입단계에 해당하는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모터(도시 생략)가 구동하게 된다. 이 때, 흡입노즐(124)로 유입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공기가 연장관(123)을 거쳐 흡입호스(121)를 통하여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먼지통(130)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에, 배기부(111)를 통하여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청소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흡입노즐(124)은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펫이나 바닥면과 같이 면적이 넓은 부위를 청소하기에는 적당하지만, 창틀이나 구석진 틈새 등의 장소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칼형의 보조흡입구(141)나 보조브러시(142)와 같은 악세사리를 이용하여 청소하게 된다. 상기 악세사리는 조작부(122)에 체결되어 있는 연장관(123)을 제거한 후에, 조작부(122)의 끝단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높은 곳의 틈새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장관(123)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흡입노즐(124)을 제거하고 보조흡입구(141)나 보조브러시(142)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활용되는 보조흡입구(141)나 보조브러시(142) 등의 악세사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분실하지 않도록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공간(116)에 넣고 뚜껑(118)을 닫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공간(116)의 입구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12)가 체결되는 장착부(114a)의 일측에만 형성하여 악세사리를 보관할 수도 있지만,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부(114a,114b)의 양측에 각각 수납공간(116)의 입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수납공간(116)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참조하고자 한다.
본체(1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손잡이(112)는 양끝단(112a,112b)이 장착부(114a,114b)에 체결되고, 상기 장착부(114a,114b)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14a,114b)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수납공간(116)이 형성되어 악세사리를 보관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납공간(116)의 입구는 장착부(114a,114b)에 각각 별도로 구성되므로 다수개의 악세사리를 각각의 입구로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116)의 내부에 분리벽(117)을 형성함으로써, 보조흡입구(141)와 보조브러시(142)를 별도의 공간에 보관할 수 있도록 2개의 수납공간(116)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공간에 보관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악세사리를 손쉽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분리벽(117)으로 구분된 수납공간(116)은 각각 입구가 구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16)의 입구에는 각각 뚜껑(118,119)이 체결된다. 상기 뚜껑(118,119)에는 잠금부(118a,119a)와 연결부(118b,119b)가 구성된다.
도 4에는 수납공간(116)의 입구가 상기 뚜껑(118)에 의하여 닫혀진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뚜껑(118)의 일측에 성형되어 있는 연결부(118b)는 수납공간(116)의 입구 외벽에 성형된 걸림봉(116b)에 힌지의 형태로 체결되어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118b)의 타측에 구성되어 있는 잠금부(118a)는 수납공간(116)의 입구 외벽에 성형된 걸림돌기(116a)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후크형태로 형성된다.
도 5에는 수납공간(116)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128)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로, 뚜껑(128)의 몸체(128c)가 수납공간(116)의 입구에 삽입되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하게 되는 구조이다. 뚜껑(128)의 연결부(128b)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116)의 입구 외벽에 성형된 걸림봉(116b)에 체결되어 회동하게 된다. 상기 뚜껑(128)으로 수납공간(116)의 입구를 닫을 때에는 몸체(128c)를 눌러서 수납공간의 입구에 몸체(128c)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수납공간(116)에 보관하고 있는 악세사리를 꺼내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몸체(128c)의 가장자리에 성형되어 있는 당김편(128a)을 잡고 당기면 수납공간(116)의 입구가 열리게 된다. 몸체(128c)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당김편(128a)이 수납공간의 입구에 맞닿게 되면, 몸체(128c)가 수납공간(116)의 입구를 닫은 후에 더 이상 수납공간(116)의 내부로 뚜껑(128)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뚜껑(128)의 상기 몸체(128c)는 당김편(128a)과 연결부(128b)보다 오목하게 성형되어야 몸체(128c)가 수납공간(116)을 입구를 닫기에 용이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는,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손잡이의 장착부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는, 본체의 상측에 손잡이가 회동되도록 체결되는 장착부의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보조흡입구나 보조브러시 등의 악세사리를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수납할 수 있어 진공청소기의 보관시 정리가 간편하다. 또한, 수납공간의 입구에 뚜껑을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악세사리의 수납이 용이함과 동시에, 악세사리의 분실 우려가 없다. 그리고, 수납공간의 중간에 분리벽을 구성하여 다수개의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각각의 수납공간에 악세사리를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진공청소기의 이동시 악세사리가 서로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진공청소기를 이동하기 위하여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일정한 각도로 회동하도록 손잡이의 양끝단이 각각 체결되는 장착부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내부에 보조흡입구와 보조브러시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2개의 수납공간으로 분리되도록 내부에 분리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일측이 수납공간의 입구 외벽에 힌지체결되어 회동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수납공간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한 후크형태로 구성되는 잠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수납공간의 입구 외벽에 힌지체결되는 연결부와,
    수납공간의 입구 내부로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오목하게 성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어 수납공간의 입구에서 몸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당김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수납구조.
KR1020010028093A 2001-05-22 2001-05-22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 KR20020088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093A KR20020088983A (ko) 2001-05-22 2001-05-22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093A KR20020088983A (ko) 2001-05-22 2001-05-22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983A true KR20020088983A (ko) 2002-11-29

Family

ID=2770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093A KR20020088983A (ko) 2001-05-22 2001-05-22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89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72B1 (ko) * 2005-05-17 200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72B1 (ko) * 2005-05-17 200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54940A (ja) 電気掃除機
ES2283881T3 (es) Aspirador con un cajos para el filtro.
US6510582B1 (en) Vacuum cleaner tool caddy for storing accessory tools
KR20020088983A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보관구조
JP2002272657A (ja) 電気掃除機
JP3744580B2 (ja) 電気掃除機
KR200444097Y1 (ko) 변기 청소구 조립체
JP3584711B2 (ja) 押し入れの集塵構造
JPS6340210Y2 (ko)
KR200340435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체
JPH105155A (ja) 縦形電気掃除機
JPH0436780Y2 (ko)
KR200155806Y1 (ko) 자동판매기
KR200344840Y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고정구조
KR20040096025A (ko) 진공청소기의 액세서리 홀더
JP2977795B1 (ja) 真空掃除機用補助ブラシホルダ
KR200394468Y1 (ko) 위생 수저통
CN117098484A (zh) 吸尘器系统
JPH05184502A (ja) 電気掃除機
KR100583976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JPH0123395Y2 (ko)
JP3058535B2 (ja) 電気掃除機
KR100873910B1 (ko) 진공청소기
JPH05184508A (ja) 電気掃除機
KR20050043062A (ko) 진공청소기의 손잡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