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871A -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871A
KR20020088871A KR1020010027911A KR20010027911A KR20020088871A KR 20020088871 A KR20020088871 A KR 20020088871A KR 1020010027911 A KR1020010027911 A KR 1020010027911A KR 20010027911 A KR20010027911 A KR 20010027911A KR 20020088871 A KR20020088871 A KR 20020088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floor
hanger
va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501B1 (ko
Inventor
최영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501B1/ko
Publication of KR20020088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에 관해 제시한다. 본 발명은 그 표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된 공간부를 갖는 화물칸 플로어와, 이 화물칸 플로어의 공간부내에 수용되며 양 단부에 플로어에 고정하기 위한 레그를 갖는 행거와, 이 행거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훅을 구비한다. 플로어의 공간부는 그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를 함께 구비한다. 공간부는 화물칸으로의 출입을 위한 백도어와 슬라이드 도어 쪽에만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행거가 플로어상에 직접 장착된다. 본 발명은 화물이 출입하는 백도어와 슬라이드 도어 쪽의 행거가 플로어의 공간부내에 수용되어 있어 화물의 끌거나 밀 때 화물의 이동에 전혀 방해되지 않음은 물론 로프나 네트 등을 간단히 걸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철구간 등 노면 상태에 따른 이음발생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화물을 크기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Freight fixing device of a van}
본 발명은 승합차(van)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칸의 플로어(floor)에 설치되어 그에 적재된 화물을 단단히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화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V)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실내를 칸막이(B)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하여, 앞부분은 사람이 승차할 수 있는 탑승칸(R1)으로 뒷부분은 화물(W) 등을 싣을 수 있는 화물칸(R2)으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승합차(V)의 화물칸(R2)은 차체의 후면에 구비된 백도어(back door:BD)나 측면에 구비된 슬라이드 도어(slide door: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개폐되는 일정 크기의 콘테이너(container) 형태를 가지는 바, 화물(W)의 안전한 운송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승합차(V)의 화물칸(R2) 플로어(F)에는 적재된 화물(W)을 로프(L) 등으로 단단히 묶어 고정하기 위한 화물 고정장치(1)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화물 고정장치(1)는 화물칸(R2) 플로어(F)의 양쪽 가장자리에 적정 간격으로 설치되며(도면에는 두 부분만 도시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L)나 네트(net:도시하지 않음) 등을 걸어줄 수 있는 훅(hook:2)을 힌지 브래킷(hinge bracket:3)으로 플로어(F)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화물 고정장치(1)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었다.
첫째, 훅(2)이 단순히 힌지 브래킷(3)에 의해 지지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L)를 걸 수 있도록 세워지지 않고 항시 양 측방으로 눕게 되므로 화물(W)의 고정시 한 손으로는 훅(2)을 세워서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훅(2)에 로프(L) 등을 걸어 주어야만 하는 번잡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요철구간의 운행시 훅(2)에 의한 이음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둘째, 화물 고정장치(1)가 플로어(F) 위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W)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끌거나 밀 때, 화물(W)이 고정장치(1)에 걸려 그 이동이 상당히 어려웠다.
셋째, 고정장치(1)들이 임의의 간격으로 플로어(F)에 위치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물(W)이 작은 경우 최적의 상태로 결속시키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화물의 적재시 로프나 네트를 간편하게 걸어 지지시킬 수 있으면서 요철구간 등 노면 상태에 따른 이음발생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물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끌거나 밀 때 화물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음은 물론 화물을 크기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결속시킬 수 있는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승합차의 화물 적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절제 측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화물 고정장치의 문제점들을 나타낸 발췌도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고정장치가 구비된 승합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물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고정장치로 화물을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승합차의) 화물칸 플로어L: 로프
BD: 백도어SD: 슬라이드 도어
11: 행거13: (행거의) 레그
14: (행거의) 훅15: (화물칸 플로어의) 공간부
16: (공간부) 덮개18: (화물칸 플로어의) 조립홈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는, 그 표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된 공간부를 갖는 화물칸 플로어; 이 화물칸 플로어의 공간부내에 수용되며, 양 단부에 플로어에 고정하기 위한 레그(leg)를 갖는 행거(hanger); 이 행거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플로어의 공간부는 그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를 함께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공간부가 화물칸으로의 출입을 위한 백도어와 슬라이드 도어 쪽에만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행거가 플로어상에 직접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화물이 출입하는 백도어와 슬라이드 도어 쪽의 행거가 플로어의 공간부내에 수용되어 있어 화물의 끌거나 밀 때 화물의 이동에 전혀 방해되지 않음은 물론 로프나 네트 등을 간단히 걸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철구간 등 노면 상태에 따른 이음발생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승합차의 신뢰성과 화물적재의 편의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승합차 화물 고정장치의 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는 화물칸(R2) 플로어(F)의 네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의 변을 따라 행거(11)가 길게 배치되어 구성된다. 행거(11)는 강도를 위해 양측에 스커트(skirt:12)를 갖는 대략 ??자형 단면으로 구성되고, 양쪽 단부에 플로어(F)에 볼트(19)로 체결하기 위한 레그(13)를 각각 갖는다. 레그(13)는 행거(11)의 몸체를 대략 L자형으로 2중 벤딩(bending)함으로써 구성되며, 이에 따라 행거(11)는 플로어(F)와 적적히 이격된다.
그리고, 행거(11)에는 화물의 적재 고정시 로프나 네트 등을 걸어 줄 수 있도록 훅(14)이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기로 이 훅(14)은 화물의 크기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행거(1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행거(11)는 적정길이로 구성되어 플로어(F)에 일정간격으로 배열 설치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F)의 각 변에 대응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하나의 행거(11)가 복수 개의 훅(14)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화물칸(R2)의 백도어(BD)와 슬라이드 도어(SD)에 대응하는 부분의 화물칸 플로어(F)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15)들이 그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적절히 인입되어 형성되고, 이 공간부(15)내에 행거(11)가 완전히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백도어(BD)와 슬라이드 도어(SD) 쪽 행거(11)는 플로어(F) 상으로 전혀 돌출되지 않는다. 공간부(15)의 개구에는 바람직하기로 그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16)가 함께 구비되는데, 이 덮개(16)는 그 바깥쪽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플로어(F)에 힌지(hinge) 조립되어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17)에 의해 닫힘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elastic bias) 된다.
또한, 백도어(BD)와 슬라이드 도어(SD) 쪽 행거(11)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행거(11)들이 고정되는 부분의 플로어(F)에는 행거(11)의 레그(13)가 돌출되지않도록 그를 수용하는 조립홈(18)들이 각각 형성된다. 나머지 부호 20은 행거(11)를 고정하는 볼트(19)를 체결하기 위해 플로어(F)의 저면에 접합한 웰드 너트(welding nut)이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승합차 화물 고정장치의 작동을 도 9를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화물(W)을 싣지 않은 평상시에는 백도어(BD)와 슬라이드 도어(SD) 쪽 행거(11)들이 플로어(F)의 공간부(15)에 수용된 채 덮개(16)에 의해 닫혀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화물(W)을 싣거나 내릴 때 화물(W)의 이동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되므로 화물(W)의 적재나 하차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훅(14)이 행거(11)에 단단히 조립되어 플로어(F)와 접촉되지 않는 바, 요철구간의 진동시에도 이음발생이 최소화된다.
이 상태에서, 화물(W)을 싣고 난 후 이를 로프(L)나 네트 등을 이용하여 단단히 결속하고자 할 경우에는 플로어(F)의 덮개(16)를 열어 그 공간부(15)에 수용되어 있는 행거(11)를 노출시킨 뒤, 행거(11)에 구비된 훅(14)에 로프(L) 또는 네트를 걸어 화물(W)을 단단히 결속시킨다. 이 때, 본 발명은 훅(14)이 일정한 상태로 위치 고정되어 있으므로 로프(L) 등의 결속작업이 지극히 용이할 뿐 아니라, 훅(14)이 행거(11)를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화물(W)의 크기에 따라 행거(11)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되고 쉽게 화물(W)을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네트를 사용하지 않고 로프(L)에 의해 화물(W)을 결속할 경우에는훅(14)에 걸어주는 대신 로프(L)를 행거(11) 자체에 묶거나 걸어줄 수도 있어 화물(W)의 결속작업이 더욱 편리해진다.
한편, 화물(W)을 내릴 경우에는 전술한 적재의 역순으로 진행되며, 로프(L) 등을 제거하고 나면 덮개(16)는 토션스프링(17)의 복원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닫혀 공간부(15)내의 행거(11)의 노출을 차단한다. 그리고, 플로어(F)상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행거(11)들은 미사용시에는 플로어(F)로부터 분리하였다가 화물(W)의 적재시에만 선택적으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승합차 화물칸의 백도어나 슬라이드 도어 쪽에 위치된 행거들이 플로어의 공간부내에 수용되어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바,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중량의 화물을 끌거나 밀어도 화물의 이동에 전혀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훅이 일정방향으로 세팅되어 있어 로프나 네트 등을 간단히 걸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철구간 등 노면 상태에 따른 이음발생도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훅이 행거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므로 화물을 그 크기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합차의 신뢰성과 화물적재의 편의성 등을 향상시키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그 표면으로부터 인입 형성된 공간부를 갖는 화물칸 플로어;
    상기 화물칸 플로어의 공간부내에 수용되며, 양 단부에 플로어에 고정하기 위한 레그를 갖는 행거;
    상기 행거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의 공간부는 그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가 화물칸으로의 출입을 위한 백도어와 슬라이드 도어 쪽에만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상기 행거가 플로어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
KR10-2001-0027911A 2001-05-22 2001-05-22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 KR100418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911A KR100418501B1 (ko) 2001-05-22 2001-05-22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911A KR100418501B1 (ko) 2001-05-22 2001-05-22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871A true KR20020088871A (ko) 2002-11-29
KR100418501B1 KR100418501B1 (ko) 2004-02-11

Family

ID=2770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911A KR100418501B1 (ko) 2001-05-22 2001-05-22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5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511B1 (ko) * 2005-12-15 2007-01-25 한일이화주식회사 버튼식 화물칸 네트 고정장치
RU2762439C1 (ru) * 2021-04-13 2021-12-21 Андр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Шишкин Мультиклассовый вагон для грузов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944U (ko) * 1980-11-07 1982-05-20
JPS63188243U (ko) * 1987-05-25 1988-12-02
JPH0285646U (ko) * 1988-12-22 1990-07-05
JPH0383128A (ja) * 1989-08-28 1991-04-09 Nec Corp レポートファイルページ情報テーブル管理方式
KR0129847Y1 (ko) * 1994-12-30 1999-02-18 전성원 밴차량의 소화물 고정장치
KR970034414U (ko) * 1995-12-29 1997-07-26 자동차용 코트 행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511B1 (ko) * 2005-12-15 2007-01-25 한일이화주식회사 버튼식 화물칸 네트 고정장치
RU2762439C1 (ru) * 2021-04-13 2021-12-21 Андр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Шишкин Мультиклассовый вагон для грузо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8501B1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640B2 (en) Collapsibl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cargo compartments
JP2006513089A (ja) 可動荷物支持アームを有する車両荷物管理装置
US20060045698A1 (en) Carrying device for a load space of a motor vehicle
US20030189353A1 (en) Truck Mounted Toolbox Bracket Assembly
KR100706392B1 (ko) 해치백 스타일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구조
US20060145502A1 (en) Tailgate cargo box
US7059666B2 (en) Multi-access truck bed
KR100418501B1 (ko)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
US6802552B2 (en) Vehicle end gate assembly
KR101164771B1 (ko) 트럭의 적재화물 결속장치
US7044528B2 (en) Wheeled cargo container
JP2002347509A (ja) 貨物自動車の荷台構造
RU2028222C1 (ru) Багажни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805247B2 (ja) トラックの側あおり板の支持装置
KR100383923B1 (ko)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
JPS6027104Y2 (ja) ダンプカ−の煽戸
KR0119123Y1 (ko)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KR200181744Y1 (ko) 트렁크 룸 내의 화물 고정 장치
JPH027079Y2 (ko)
JPH065603Y2 (ja) シャシダイナモメータ用車両固定装置
JP4970644B2 (ja) 車両の荷台構造
JP2001180388A (ja) 車両用インナルーフラック装置
JPS60151145A (ja) 自動車用トノカバ−
JPH04191138A (ja) トランクルームのフロアパネル構造
NL194394B (nl) Inrichting voor het geblokkeerd opnemen van een vrachtwagen o.d. ten behoeve van het laden of loss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