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499A - 임상유형을 이용한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임상유형을 이용한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499A
KR20020088499A KR1020010027031A KR20010027031A KR20020088499A KR 20020088499 A KR20020088499 A KR 20020088499A KR 1020010027031 A KR1020010027031 A KR 1020010027031A KR 20010027031 A KR20010027031 A KR 20010027031A KR 20020088499 A KR20020088499 A KR 20020088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nical
clinical data
type
data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8478B1 (ko
Inventor
방창현
윤경숙
유재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딘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딘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딘텔
Priority to KR10-2001-0027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47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상유형을 이용한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임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되어 개별 환자의 임상데이터와 임상유형을 조회하는 단말기와;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한 후 입력한 상기 임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한 후, 환자의 질병 상태에 따라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설정하는 상기 임상유형이 저장되는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의 임상유형을 인출한 후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대응되는 상기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상기 인출된 임상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과 상기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을 이용한 임상데이터 전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 대한 임상유형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의료의 세부 전문 분야간, 의료 직종간 및 의사와 환자간에 환자의 임상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교환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임상유형을 이용한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및 방법{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linical Data through Clinical Paradigm}
생명공학의 발전에 따라 현대의학은 고도로 전문화되어 가고 있다. 예를 들면 과거에는 내과라는 단일 분야만이 존재하였으나 오늘날 내과는 그 진료 대상에 따라 세분화되어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등 다양한 세부 전문분야가 생기게 되었고 이들 각 세부 전문분야내에서도 다시 더욱 세분화된 개별 전문분야별로 나뉘게 되었다. 그런데 환자의 질병이란 어느 특정 의료 전문분야에만 국한되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여러 의료 전문분야에 걸쳐 발생되는 빈도가 높은 것이 현실이다. 즉, 위와 같은 의료분야의 전문화 현상으로 환자는 특정 분야에 고도로 전문화된 의료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게 되었지만 전문화의 특성상 다양한 의료 전문분야간에 환자의 임상데이터 전달이 어려우며 따라서 다양한 의료 전문분야에서 환자의 질병을 다각도로 분석, 종합하여 효율적으로 진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의료 전문 분야간 또는 의료 직종간에 환자의 임상데이터를 원활하게 전달할 필요성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의료 관련 기술은 대부분 의료 물자 및 비용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환자 진료와 관련해서는 임상데이터의 일부만이 전산화되는 것이 고작이었다. 비교적 최근에 이르러서야 환자의 임상데이터를 전산화한 시스템(전자차트시스템, Electric Medical Record)이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자차트 시스템 역시 그 기능이 단순하여 동일한 사용자가 의료 정보를 주로 기록, 보관 및 조회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을 뿐 타 의료 전문 분야나 의료 직종간의 임상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은 전혀 갖추고 있지 못하다. 즉, 지금까지 의료의 각 전문 분야 사이 또는 의료 직종간의 효율적인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이나 방법의 개발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별 환자의 증상의 기록, 징후의 기록, 검사소견의 기록, 투약내용의 기록 및 기타 일반기록을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도록 코드화하고, 증상항목, 징후항목, 검사소견항목, 투약내용항목 및 일반기록항목과 같은 임상데이터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상데이터항목을 선택하여 설정되는 임상유형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의료의 세부 전문 분야간, 의료 직종간 및 의사와 환자간에 환자에 대한 임상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의 한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상데이터 전달방법의 한 실시예에 의한 흐름도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임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되어 개별 환자의 임상데이터와 임상유형을 조회하는 단말기와;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한 후 입력한 상기 임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한 후, 환자의 질병 상태에 따라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설정하는 상기 임상유형이 저장되는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의 임상유형을 인출한 후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대응되는 상기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상기 인출된 임상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임상데이터 전달방법은,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임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로그인 후 임상데이터 기본화면이 표시된 후 상기 환자에 대한 임상유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상기 환자의 질병 상태에 따라 임상유형을 신규로 설정하고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저장된 임상유형을 인출한 후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에 대응하는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상기 인출된 임상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환자에 대한 임상유형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존재하는 임상유형을 인출한 후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에 대응하는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상기 인출된 임상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는 상기 제 2 단계 또는 제 3 단계에서 인출된 임상유형과 임상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를 진료한 후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신규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은 상기 서버(1),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2),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3) 및 상기 단말기(5)로 구성된다. 도 1에서 서버(1)와 단말기(5)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그 밖의 단말장치간의 통신 경로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서버(1)는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2) 및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서버(1)은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의 임상유형을 인출한 후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대응되는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상기 인출된 임상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임상데이터 사용자로는 의사, 간호사, 약사 및 환자 자신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임상데이터, 임상데이터항목 및 임상유형의 개념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환자 "갑"에게 구토 증세가 있고, 청진 결과 호흡이 곤란하며, 혈액 검사에 의하면 혈당 수치 200이고, 지난 번 진료에서 A 약제를 1일 3정씩 투약 처방을 받았고, B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체질이 있다고 가정하자.
위에서 환자 갑을 진료하는 경우 의사는 갑에 대하여 "구토 증세 여부(증상항목)", "호흡 곤란 여부(징후항목)", "혈당 수치(검사소견항목)", "기존 투약내용(투약내용항목)" 및 "알레르기 체질 여부(일반기록항목)" 등의 판단항목(이하 상기 판단항목들을 "임상데이터항목"이라고 정의함)을 이용하여 환자 "갑"의 질병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즉, 의사가 환자에 대하여 확인해야 하는 상기 임상데이터항목들로는 증상항목, 징후항목, 검사소견항목, 투약내용항목, 일반기록항목 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증상(symptom)은 환자가 복통, 설사 등과 같이 환자가 느끼는 질병의 형태를 말하고, 징후(sign)는 의사가 진찰해서 발견할 수 있는 임상소견으로 청진소견, 혈압 등이 여기에 속하며, 검사소견으로는 혈액 또는 소변검사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또한 투약내용은 개별 환자에게 기존에 처방되었던 투약의 내용을 의미하며, 일반기록은 기타 환자에 관련된 서술을 말한다. 이들 임상데이터항목들은 대부분 컴퓨터로 처리가 가능하도록 코드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상데이터항목(추상적인 항목 그 자체이므로 구체적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은)을 이용하여 판단된 환자 "갑"의 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기록 또는 수치), 즉 "구토 증세 있음", "호흡 곤란이 있음", "혈당 수치 200", "A 약제 1일 3정씩 투약" 및 "B 물질에 대해 알레르기 체질 있음" 등이 바로 환자 "갑"에 대한 임상데이터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의사는 이러한 환자 "갑"의 임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진료행위를 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임상데이터로는 위 "갑"의 예와 같이 개별 환자에 대한 "증상의 구체적 기록", "징후의 구체적 기록", "검사소견의 구체적 기록", "투약내용의 구체적 기록" 및 "일반기록의 구체적 기록"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상의 구체적 기록", "징후의 구체적 기록" 등과 같은 대부분 임상데이터들은 컴퓨터로 처리가 가능하도록 코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임상데이터 및 임상데이터항목의 개념을 이용하여 "임상유형"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 여기서, "임상유형"이란 의사 등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임상데이터항목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상데이터항목을 선택하여 설정된다.
상기 임상유형을 예로서 신장내과 전문의가 만성신부전 환자 "을"을 초진으로 진료하는 경우를 들어 본다. 먼저 초진이므로 상기 환자 "을"에 대한 임상데이터나 임상유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전문의는 만성신부전 환자의 진료에 있어서 반드시 체크해야 할 필요가 있는 임상데이터항목, 즉 "부종 여부", "호흡 곤란 여부", "체중량", "소변량" 등으로 구성되는 "수분균형"이라는 명칭의 임상유형을 임의로 설정한다. 물론 환자 "을"의 질병의 성격 또는 종류에 따라 "수분균형" 임상유형 이외에도 다수개의 임상유형을 함께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전문의는 환자 "을"을 진료한 후 상기 임상데이터항목에 대응되는 환자 "을"의 임상데이터(예: 부종 있음, 호흡 곤란 있음, 체중 52kg 등)를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며, 상기 입력된 임상데이터는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게 된다.
이제 환자 "을"이 상기 전문의에게 다시 진료를 받는 경우를 살펴본다. 상기 전문의가 상기 단말기(5)를 이용하여 인터넷망(4)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임상데이터 기본화면에서 환자 "을"과 관련하여 이미 설정되어 있는 "수분균형" 임상유형을 선택하게 되면, "수분균형" 임상유형에 대응되는 임상데이터들이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2)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단말기(5)를 통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회될 수 있다. 상기 전문의는 상기 조회된 임상데이터에 근거하여 환자 "을"을 진료한 후 "수분균형" 임상유형에 포함되는 상기 환자에 대한 새로운 임상데이터를 다시 입력하게 된다.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상기 임상유형은 환자의 질병을 파악하기 위한 유용한 일종의 틀(paradigm)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틀의 각 구성요소로는 상기 임상데이터항목이 사용된다. 따라서 의사는 이미 설정된 임상유형을 이용하여 개별 환자에 대한 임상데이터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환자를 진료할 수 있게 된다. 바로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타 의료 분야의 전문의나 일반의간, 약사나 간호사 등과 같은 타 의료 직종간 및 의사와 환자간에 환자에 대한 임상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방에 거주하는 환자가 서울의 종합병원에서 해당 의료 분야의 전문의로부터 진료를 받는경우 상기 전문의는 자신의 고도로 전문화된 지식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에게 적합한 임상데이터항목들을 골라서 임상유형을 신규로 설정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해당 분야에 숙련된 전문의에 의한 진료라고 하더라도 매번 새로운 형태의 진료를 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처방에 대한 환자의 상태 변화를 일정기간 관찰한 후 다시 새로운 형태의 치료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당기간 동일한 형태의 진료가 반복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할 때 상기 환자가 동일한 형태의 진료를 받기 위해 굳이 서울을 다시 방문하지 않고도 자신의 주거지 근처 병원을 이용하더라도 동일한 진료를 받을 수 있다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그와 같은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즉,상기 환자가 거주하는 지방 병원의 의사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임상데이터 조회화면에 접속한 후 상기 전문의가 이미 설정해 놓은 임상유형에 따라(임상유형하의 각 임상데이터항목에 따라) 진료를 하고 상기 임상유형에서 필요로 하는 신규 임상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상기 환자에 대한 임상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전문의도 주기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환자의 임상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만약 환자에게 중대한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진료를 위해 환자에게 연락하여 서울 종합병원에서 추가 진료를 받게 할 수도 있다.
위에서는 서울의 종합병원과 지방 병원의 원격지간 임상데이터 정보전달을 예시로 들었지만, 다른 의료 전문분야간(예: 동일 병원내의 내과와 외과 전문의간) 또는 다른 의료 직종간(예: 의사, 간호사, 약사 등) 또는 의사와 환자간(예: 환자가 가정에서 스스로 진료하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임상데이터의 전달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임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상데이터가 결합하여 새로운 임상데이터가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해당 의학분야에서 이미 알려져 사용되는 의학 계산식에 해당 환자의 혈압과 혈당치를 대입하여 환자에게 투여할 주사액의 용량을 결정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그러나 대부분 의사들은 개별 환자마다 일일이 의학 계산식을 이용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수학식의 계산없이 경험에 따라 주사량을 결정하는 일이 많다. 본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은 이와 같은경우 환자의 임상데이터(혈압과 혈당에 대한 임상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계산하여 새로운 임상데이터(위 사례에서는 "주사량")를 알아내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검사소견, 진찰소견의 경우 각 항목을 전문지식이 부족한 임상데이터 사용자도 파악할 수 있도록, 각종 동영상 자료 또는 설명 자료를 결부시켜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상데이터 전달방법의 한 실시예에 의한 흐름도이다.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인터넷망(4)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단말기(5)를 이용하여 환자의 임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한다(단계 10).
상기 로그인 후 임상데이터 기본화면이 표시된 후(단계 20), 상기 환자에 대한 임상유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환자의 질병 상태에 따라 임상유형을 신규로 설정하고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단계 30, 40),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저장된 임상유형을 인출한다(단계 50).
상기 단계(30)에서 상기 환자에 대한 임상유형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존재하는 임상유형을 인출한다(단계 50).
이후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에 대응하는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상기 인출된 임상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60)가 있다.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는 상기 단계 (60)에서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상기 인출된 임상데이터를 기초로 환자를 진료한 후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에 대한 신규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아니라 상기 단계(50)에서 상기 존재하는 임상유형을 인출한 후,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임상유형을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변경된 임상유형을 인출한 후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에 대응하는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상기 인출된 임상데이터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임상유형을 변경한다는 것은 임상유형의 구성요소인 임상데이터항목을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임상유형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의료의 세부 전문 분야간, 의료 직종간 및 의사와 환자간에 환자에 대한 임상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관리할 수 있고, 의료 전문가가 환자의 임상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판단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며, 특히 원격지에 있는 의사 등 임상데이터 사용자도 환자에 대한 그 분야의 전문가가 설정한 임상유형에 기초하여 환자의 임상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어서 의료의 질을 높일 수 있으며, 환자에게 있어서도 번거롭게 매번 원격지에 위치하고 있는 해당 의료 전문가를 찾을 필요없이 손쉽게 진료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임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되어 개별 환자의 임상데이터와 임상유형을 조회하는 단말기와;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한 후 입력한 임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한 후, 환자의 질병 상태에 따라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설정하는 상기 임상유형이 저장되는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의 임상유형을 인출한 후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대응되는 상기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상기 인출된 임상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2. 제 1 항 있어서,
    상기 임상데이터는 개별 환자에 대한 증상의 구체적 기록, 징후의 구체적 기록, 검사소견의 구체적 기록, 투약내용의 구체적 기록 및 구체적 일반기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컴퓨터로 처리가능하도록 코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기 위하여 임상데이터 중 적어도 다른 하나가 연산되는 계산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유형은 임상데이터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상데이터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데이터항목은 증상항목, 징후항목, 검사소견항목, 투약내용항목 및 일반기록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7. 제 1 항에 따른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을 이용한 임상데이터 전달방법에 있어서,
    (a)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임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하는 단계와;
    (b) 상기 로그인 후 임상데이터 기본화면이 표시된 후 상기 환자에 대한 임상유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가 상기 환자의 질병 상태에 따라 임상유형을 신규로 설정하고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저장된 임상유형을 인출한 후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에 대응하는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상기 인출된 임상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환자에 대한 임상유형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존재하는 임상유형을 인출한 후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에 대응하는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상기 인출된 임상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임상데이터 사용자는 상기 (b)단계 또는 (c)단계에서 인출된 임상유형과 임상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를 진료한 후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신규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데이터 전달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존재하는 임상유형을 인출한 후,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임상유형을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임상유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변경된 임상유형을 인출한 후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에 대응하는 임상데이터를 상기 임상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인출된 임상유형과 상기 인출된 임상데이터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데이터 전달방법.
  9. 제 7 항 내지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데이터는 개별 환자에 대한 증상의 구체적 기록, 징후의 구체적 기록, 검사소견의 구체적 기록, 투약내용의 구체적 기록 및 구체적 일반기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데이터 전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컴퓨터로 처리가능하도록 코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데이터 전달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기 위하여 상기 임상데이터 중 적어도 다른 하나가 연산되는 계산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데이터 전달방법.
  12. 제 7 항 내지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유형은 임상데이터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상데이터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데이터 전달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데이터항목은 증상항목, 징후항목, 검사소견항목, 투약내용항목 및 일반기록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데이터 전달방법.
KR10-2001-0027031A 2001-05-17 2001-05-17 임상유형을 이용한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및 방법 KR100458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031A KR100458478B1 (ko) 2001-05-17 2001-05-17 임상유형을 이용한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031A KR100458478B1 (ko) 2001-05-17 2001-05-17 임상유형을 이용한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499A true KR20020088499A (ko) 2002-11-29
KR100458478B1 KR100458478B1 (ko) 2004-12-03

Family

ID=2770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031A KR100458478B1 (ko) 2001-05-17 2001-05-17 임상유형을 이용한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4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462B1 (ko) 2020-12-04 2022-08-26 성시현 인공지능 기반의 의료 데이터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802A (ko) * 2000-01-20 2001-08-03 엄상화 인터넷을 통한 의료지원시스템 및 의료지원방법
KR20010093986A (ko) * 2000-04-03 2001-10-31 김진태 네트워크를 통한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KR100384270B1 (ko) * 2000-04-14 2003-05-16 최원정 임상시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000054206A (ko) * 2000-05-26 2000-09-05 김완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임상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그 기록 매체
KR20000063577A (ko) * 2000-07-24 2000-11-06 김관엽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원격 진맥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8478B1 (ko) 200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Donald et al. Canopy computing: using the Web in clinical practice
Celler et al.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US74284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ersonal/individual health records
US74409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ersonal/individual health records
US75330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ersonal/individual health records
US200401112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hysician note creation and management
US20090094063A1 (en) Display and method for medical procedure selection
WO2000060522A2 (en) An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medical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EP1756745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decision support
KR20070117166A (ko)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US20120173285A1 (en) Proactive Clinical Evidence at Point of Care and Genomic Data Integration through Cloud EMR Media
US201000638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wing Patient Access to a Patient Electronic Health Records
KR101284882B1 (ko) 의료정보 연동을 통한 혈당 관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32962A (ja) 患者誤認防止のための病院医療情報システム。
KR20090001565A (ko)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의 이력에 관한 차트 및 의료정보공유 서버 및 공유 방법
KR20000037445A (ko)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약 조제 방법
KR100684007B1 (ko) 인터넷 망을 통한 원격 진료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JP2005235024A (ja) 在宅医療支援システム
CN109698025A (zh) 医疗信息管理系统及方法
KR20050055894A (ko)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58478B1 (ko) 임상유형을 이용한 임상데이터 전달시스템 및 방법
CN109741801A (zh) 信息交互的数据管理系统及方法
KR100538583B1 (ko) 온라인 상에서의 간호사용 의료정보 관리 방법
Kamaluddin et al. The Role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in Enhancing Rational Antibiotics Prescription: A Systematic Review
Alfayez et al. Documenting Stage 1 and 2 Meaningful Use criteria: A comparison of clinical pharmacists with other healthcare provi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