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7196A - 윤활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윤활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7196A
KR20020087196A KR1020010026198A KR20010026198A KR20020087196A KR 20020087196 A KR20020087196 A KR 20020087196A KR 1020010026198 A KR1020010026198 A KR 1020010026198A KR 20010026198 A KR20010026198 A KR 20010026198A KR 20020087196 A KR20020087196 A KR 20020087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friction modifier
calcium
weight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춘
양시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7196A/ko
Publication of KR20020087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19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10Metal oxides, hydroxides, carbonates or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유를 비롯하여 마찰조정제, 점도지수 향상제, 산화방지제, 청정분산제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용 윤활유에 조성에 있어서, 마찰조정제를 아연계 대신 칼슘과 마그네슘 지방산염의 조합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윤활유는 동마찰계수는 유지한 채 정마찰계수만을 현저히 낮추어 마찰내구를 종래보다 10배 이상 향상시켰음은 물론, 마찰재 표면과의 반응성을 개선하고 전단안정성 등의 물리적 안전성과 열화 및 산화안정성 등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이물질의 생성을 적게 함으로써 침투되는 윤활유의 양을 제어하여 마찰재의 마모특성을 50배 이상 개선시켰고, 그 결과 셔더(shudder) 방지 성능이 10배 이상 향상되어 변속성능 및 사용수명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윤활유 조성물{Lubricants Composition}
본 발명은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유를 비롯하여 마찰조정제, 점도지수 향상제, 산화방지제, 청정분산제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용 윤활유에 조성에 있어서, 마찰조정제를 아연계 대신 칼슘과 마그네슘 지방산염의 조합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용 윤활유 조성은 기유와 첨가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기유는 정제기유 및 고정제기유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첨가제로는 마찰조정제, 점도지수 향상제, 산화방지제, 청정분산제 및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서 마찰조정제로는 전달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절대마찰계수를 유지하면서 마찰내구(동마찰/정마찰의 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아연계 마찰조정제를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아연계 화합물의 마찰조정제는 마찰내구특성에 한계가 있고 마찰재의 마모방지에는 효과가 없어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은 물론, 물리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지 못하여 산화 및 열화의 가능성도 있어왔다. 따라서, 이러한 아연계 마찰조정제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의 별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종래의 윤활유 조성 중 아연계 화합물만을 사용하던 마찰조정제를 칼슘 및 마그네슘 지방산염의 조합으로 치환하던가 또는 이들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아연계 마찰조정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던 마찰내구특성, 물리화학적 안정성과 마찰재의 마모특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변속성능은 물론 사용수명을 월등히 연장시킬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기유를 비롯하여 마찰조정제, 점도지수 향상제, 산화방지제, 청정분산제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윤활유 조성에 있어서, 상기 마찰조정제는 칼슘 및 마그네슘 지방산염의 조합으로서, 기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40℃에서 마찰속도에 따른 절대마찰계수의 변화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1b는 60℃에서 마찰속도에 따른 절대마찰계수의 변화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1c는 80℃에서 마찰속도에 따른 절대마찰계수의 변화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1d는 100℃에서 마찰속도에 따른 절대마찰계수의 변화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1e는 120℃에서 마찰속도에 따른 절대마찰계수의 변화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2a는 40℃에서 시간에 따른 마찰내구속도의 특성변화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2b는 80℃에서 시간에 따른 마찰내구속도의 특성변화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2c는 120℃에서 시간에 따른 마찰내구속도의 특성변화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3a는 사이클수 대비 동마찰계수의 변화로서 마찰특성을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3b는 사이클수 대비 종마찰계수의 변화로서 마찰특성을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3c는 사이클수 대비 정마찰계수의 변화로서 마찰특성을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3d는 사이클수 대비 마찰계수비의 변화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3e는 마찰 실험결과 마모 정도를 나타낸 막대그래프이다.
도 4a는 사이클수 대비 마찰계수의 변화로서 내열특성을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4b는 4구 내마모 실험결과 마모 정도를 나타낸 막대그래프이다.
도 5a는 40℃에서 시간에 따른 동점도의 변화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5b는 100℃에서 시간에 따른 동점도의 변화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도 5c는 시간에 따른 전산가의 변화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윤활유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마찰조정제로서 칼슘 및 마그네슘 지방산염의 조합을 기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윤활유조성물은 기유를 비롯하여 마찰조정제, 점도지수 향상제, 산화방지제, 청정분산제 및 첨가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이들 중에서 마찰조정제로 칼슘 및 마그네슘 지방산염의 조합을 사용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즉, 종래의 아연계 마찰조정제 대신 이들을 사용함으로써 칼슘 및 마그네슘 지방산염의 마찰표면에 반응하는반응력과 알킬기의 작용으로 인하여 동마찰계수는 유지하여 전달능력의 손실은 없게 하면서 정마찰계수만을 낮출 수 있고, 따라서 동마찰계수 및 정마찰계수의 비를 월등히 높일 수 있어 마찰내구특성을 월등히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칼슘 및 마그네슘 지방산염의 조합의 함량은 기유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만일 이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마찰계수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며, 또한 20 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여전히 동마찰과 정마찰계수비가 역전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조정제로 종래의 아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밖에도, 첨가제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포제, 착색제 등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 등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 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윤활유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밀도, 동점도, 점도지수, 유동점, 저온점도, 중화가, 아닐린점, 동판부식 정도, 기포성, 초음파 전단안정성 점도저하율, 내하중성 및 실(Seal)재 적합성 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여기서, 밀도는 15℃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동점도는 각각 40℃ 및 100℃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점도지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유동점은 ASTM D 97 방법으로, 저온 점도는 -40℃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중화가는 전염기가 및 전산가를 각각 JIS K 2501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또한 아닐린점은 통상의 방법으로 온도를 측정하였고, 동판부식정도는 100℃에서 3시간동안 침적하여 측정하였으며, 기포성은 ASTM D 892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전단안정성은 초음파 진단시험기로 측정하였고, 또한 내하중성은 4-볼(Ball) EP-시험기로 측정하였다.
실험예 1: 온도 및 마찰속도에 대한 절대마찰계수의 비교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윤활유를 이용하여 다음 표 2에 정리된 조건에서 각각 마찰속도에 따른 절대마찰계수의 변화를 단판클러치 마찰특성 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요약하여 나타내었으며, 또한 이들 결과를 도 1a 내지 도 1e에 별도의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온도 및 시간에 대한 마찰내구 특성 비교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윤활유를 이용하여 다음 표 3에 정리된 조건에서 각각 시간에 따른 마찰내구 속도의 특성변화를 단판클러치 마찰특성 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요약하여 나타내었으며, 또한 이들 결과를 도 2a 내지 도 2c에 별도의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마찰계수 및 마모도 비교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윤활유를 이용하여 다음 표 4에 정리된 조건에서 각각 사이클수에 따른 마찰특성의 변화를 다판클러치(SAE No.2) 마찰특성 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4에 요약하여 나타내었으며, 또한 이들 결과를 도 3a 내지 도 3d에 별도의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내었다.그리고, 이때 마모도는 다음 표 5와 도 3e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험예 4: 내열특성 및 마모도 비교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윤활유를 이용하여 다음 표 6에 정리된 조건에서 각각 사이클수에 따른 내열특성의 변화를 다판클러치(SAENo.2) 마찰특성 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6에 요약하여 나타내었으며, 또한 이들 결과를 도 4a에 별도의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때 마모도는 다음 표 7과 도 4b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험예 5: 동점도 변화비교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윤활유를 이용하여 다음 표 8에 정리된 조건에서 각각 40℃ 및 100℃에서의 동점도 및 전산가를 ASTM D 445 및 JIS K 2501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8에 요약하여 나타내었으며, 또한 이들 결과를 도 5a 내지 도 5c에 별도의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윤활유의 조성중 마찰조정제를 아연계 대신 칼슘과 마그네슘 지방산염의 조합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윤활유는 동마찰계수는 유지한 채 정마찰계수만을 현저히 낮추어 마찰내구를 종래보다 10배이상 향상시켰음은 물론, 마찰재 표면과의 반응성을 개선하고 전단안정성 등의 물리적 안전성과 열화 및 산화안정성 등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이물질의 생성을 적게 하므로써 침투되는 윤활유의 양을 제어하여 마찰재의 마모특성을 50배 이상 개선시켰고, 그 결과셔더(shudder) 방지 성능이 10배 이상 향상되어 변속성능 및 사용수명이 현저히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마찰조정제로서 칼슘 및 마그네슘 지방산염의 조합을 기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조정제는 추가적으로 아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조성물.
KR1020010026198A 2001-05-14 2001-05-14 윤활유 조성물 KR20020087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198A KR20020087196A (ko) 2001-05-14 2001-05-14 윤활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198A KR20020087196A (ko) 2001-05-14 2001-05-14 윤활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196A true KR20020087196A (ko) 2002-11-22

Family

ID=2770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198A KR20020087196A (ko) 2001-05-14 2001-05-14 윤활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71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385B1 (ko) * 2002-02-22 200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윤활유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1805A2 (en) * 1995-09-12 1997-03-12 The Lubrizol Corporation Lubrication fluids for reduced air entrainment and improved gear protection
KR19980040739A (ko) * 1996-11-29 1998-08-17 박병재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JPH11116982A (ja) * 1997-10-09 1999-04-27 Mitsubishi Oil Co Ltd 潤滑油組成物
US5942472A (en) * 1997-06-12 1999-08-24 Exxon Chemical Patents Inc. Power transmission fluids of improved viscometric and anti-shudder properties
JP2000063869A (ja) * 1998-08-17 2000-02-29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用潤滑油組成物
US6103673A (en) * 1998-09-14 2000-08-15 The Lubrizol Corpo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friction modifiers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1805A2 (en) * 1995-09-12 1997-03-12 The Lubrizol Corporation Lubrication fluids for reduced air entrainment and improved gear protection
KR19980040739A (ko) * 1996-11-29 1998-08-17 박병재 자동변속기유 조성물
US5942472A (en) * 1997-06-12 1999-08-24 Exxon Chemical Patents Inc. Power transmission fluids of improved viscometric and anti-shudder properties
JPH11116982A (ja) * 1997-10-09 1999-04-27 Mitsubishi Oil Co Ltd 潤滑油組成物
JP2000063869A (ja) * 1998-08-17 2000-02-29 Honda Motor Co Ltd 自動変速機用潤滑油組成物
US6103673A (en) * 1998-09-14 2000-08-15 The Lubrizol Corpo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friction modifiers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385B1 (ko) * 2002-02-22 200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윤활유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3129A (en) Elastomer compatible seal swell additive for automatic transmission fluids, power transmission fluids and hydraulic steering applications
KR970707264A (ko) 윤활제 첨가제 제형물(lubricant additive formulation)
EP0668900B1 (en) Greases
EP1777285A1 (en) Additive composition
JPH04202398A (ja) 潤滑油組成物
JPH0246635B2 (ja) Shitsushikikuratsuchomatahashitsushikibureekyojunkatsuyusoseibutsu
US2830956A (en) Hydraulic power transmission fluids
JP3375405B2 (ja) 駆動油圧系潤滑油組成物
JPS5925890A (ja) 共通潤滑油組成物
US3935116A (en) Functional fluid compositions
KR20020087196A (ko) 윤활유 조성물
US4007123A (en) Fire resistant functional fluid compositions
JP2003526002A (ja) 燐化合物と硫黄化合物とをベースにした多機能潤滑剤
US5763371A (en) Ethylene compressor lubricant containing phospate ester of a monoglyceride or diglyceride
JP3956399B2 (ja) 高性能潤滑油
JPH03149296A (ja) 潤滑油組成物
KR100427385B1 (ko) 윤활유 조성물
JP4107702B2 (ja) シール材適合性に優れた潤滑油組成物
KR100241282B1 (ko) 기어 윤활유 조성물
JP2910165B2 (ja)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JPH11349976A (ja) 自動変速機油組成物
JPH0379699A (ja) 潤滑性能改善シリコーン系流体組成物及びシリコーン系流体の潤滑性能を改善する方法
JPH0218497A (ja) 耐高荷重グリース組成物
JPH06220475A (ja) ギヤ油組成物
JPS62250098A (ja) ホスフアゼン含有潤滑グリ−ス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