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9Y1 -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 - Google Patents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69Y1
KR200200869Y1 KR2019980013625U KR19980013625U KR200200869Y1 KR 200200869 Y1 KR200200869 Y1 KR 200200869Y1 KR 2019980013625 U KR2019980013625 U KR 2019980013625U KR 19980013625 U KR19980013625 U KR 19980013625U KR 200200869 Y1 KR200200869 Y1 KR 200200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girder
bogie
boom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452U (ko
Inventor
우종식
박영현
신장용
정봉기
박경원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80013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6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4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 파나막스 크레인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거더와 붐의 자중에 의한 처짐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또한 솟음(Camber)을 제작 설치하므로 정도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구조의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현수형 안벽 크레인을 구성하는 육측 다리에는 상부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육측다리를 육측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거더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육측 다리와 해측 다리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포탈 빔에는 거더에 연결된 지지점을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며 경사지도록 포탈 빔의 상면에 중간 지지대를 설치하며, 상기 거더는 상면끝에 크레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계실을 설치하고 상기 기계실에는 드럼을 모터와 연결설치함과 아울러 일측에 스프레더 동력선의 엉킴을 방지하도록 동력선용 얼레를 설치하며, 고공대차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크레인을 조종하는 고공대차 운전실은 운전자의 시계를 넓게 하기위해 고공대차의 한쪽에 편심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
본 고안은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스트-파나막스 크레인의 강성을 증가시켜 하중에 의한 처짐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또한 턴버클을 사용하여 솟음(Camber)을 제작 설치하므로 정도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구조의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항만의 도크에 설치되어 화물(Container)을 배에 싣거나 하역작업을 행하는 곳에서 사용하는데, 특히 다양한 크레인중에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Rope Hoisting Trolley)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계 최초의 전용 컨테이너 트레인은 파세코(Paceco)에 의해 제작되었는데,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를 사용하였고 주 인양(Main Hoisting) 장비들은 받침대 프레임(Gantry Frame)위에 형성된 기계실에 있었다.
종래의 크레인들은 고전적인 리볼버(Revolver) 크레인용으로 설계된 목재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상대적으로 약한 안벽에 설치되었고, 그로인해서 크레인의 무게가 제한될 수밖에 없었고 이를 위해서 격자 트러스(Lattice Truss)로 제작된 붐(Boom)을 사용하였고 받침대 프레임위에 기계실이 설치되는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를 장착한 크레인은 안벽강도보다 작은 휠 하중(Wheel Load)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즉, 상기 파세코 크레인은 크레인이 제작되기 전부터 사용되어 온 수많은 항만의 취약한 안벽강도 제한조건을 만족시키도록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를 장착할 수 밖에 없었고, 유럽을 제외한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상기 파세코 크레인은 차세대 컨테이너 크레인의 모델이 되었고, 크레인의 크기가 대형화 되는데도 불구하고 파세코 크레인의 설계개념은 사실상 변하지 않고 지금까지 사용되어 오는 실정이다.
대형 크레인을 위해서 안벽강도가 큰 새로운 항만들이 개발됨에 따라 가볍고 복잡한 격자 트러스 붐(Lattice Truss Boom) 대신에 상대적으로 무겁고 단순한 플레이트 거더 붐(Plate Girder Boom)이 사용되었고, 또한 포스트 파나막스(Post-Panamax)급 컨테이너 선박이 나타나면서 크레인의 해측도달거리(Outreach)와 고공대차 운동길이(Trolley Travel Lenth)가 증대되었으며 이를 위해서 로프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현수형 고공대차(Catenary Trolley)가 도입되었다.
한편, 유럽의 크레인 제조사들은 모노거더 붐(Monogirder Boom)에 기계식 고공대차를 사용하는 크레인을 개발하였는데, 기계식 고공대차는 고공대차 구동을 위한 장비와 주 인양을 위한 장비들을 고공대차 프레임위에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공대차의 무게가 무거웠고, 독일의 Vuiker Kocks사는 1968년 세계 최초로 모너거더 붐(Monogirder Boom)에 기계식 고공대차를 사용한 컨테이너 크레인을 개발하게 되었다. 상기 독일에서 제작한 컨테이너 크레인은 지금까지 기계식 고공대차의 기본 설계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컨테이너 크레인의 종류를 살펴보면, 범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크레인은 거더 붐(Girder Boom)의 형상과 고공대차 인양방식에 따라서 분류되는데, 거더 붐의 형상은 두 개의 박스형 빔(Beam)으로 형성되는 것, 하나의 박스형 빔으로 형성되는 것 및 트러스로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고공대차 인양방식에 따른 경우는 로프 인양식, 자가 구동식(혹은 기계식)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인 기계식 고공대차는 스프레더 케이블(Spreder Cable), 주인양 파워(Main Hoisting Power) 및 트롤리 파워용 케이블(Trolley Power Cable)이 추가로 설치된다. 따라서, 다양한 케이블의 설치로 케이블이 상대적으로 복잡해지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각각의 케이블 지지대를 강하게 설계하여 동력선 고공대차(Fastoon trolley)를 추가로 설치하게 되었다. 상기 동력선 고공대차의 추가로 이동하중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일반적인 크레인은 붐 업 모드(Boom up mode)를 성취하기 위해서 붐과 거더는 회전이 자유롭도록 힌지 핀(Hinge Pin)으로 연결되는데, 그러므로 이 근방에서 고공대차 레일(Trolley rail)이 끊기게되고 고공대차(Trolley)가 이 근방을 통과할 때 큰 수직방향의 충격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충격력은 고공대차의 주행속력, 중량, 조인트(Joint)의 형상 및 강성에 의존하게 된다. 운전자는 충격력의 감소를 위해서 이 근방을 통과할 때 고공대차의 속력을 감소시키게 되고 그로인해 생산성이 감소되는 결과를 낳게된다.
또한, 이러한 크레인은 최초로 고안된 지역에 따라서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로, 미국형 크레인(American Crane)은 두 개의 박스형 거더 붐으로 형성되고 고공대차는 로프에 의해서 구동되며, 구동시 사용되는 구동모터는 기계실에 있고 상기 구동모터와 고공대차가 로프로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고공대차가 운동하게 되는 방식을 취한다.
둘째로, 유럽형 크레인(European Crane)은 한 개의 박스형 거더 붐으로 형성되고 고공대차는 고공대차위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며, 자가 구동방식을 사용하는 크레인을 말한다.
셋째로, 아시아형 크레인(Asian Crane)은 크레인의 전체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트러스로 형성된 붐을 가지고 고공대차는 로프에 의해서 구동된다.
실제 사용되는 크레인은 위의 3가지 방식의 크레인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크레인의 종류들마다 가지고 있는 특징중 장점만을 적절히 조합한 크레인을 사용하게 되는 예가 많다. 예를들면, 무게 및 통행의 원활을 위해서 복상자용 크레인(Twin Box Crane)보다 단일상자 크레인(Monobox Crane)이 유리한 반면에, 자가 구동식 고공대차는 자체에 구동모터를 설치하기 때문에 고공대차 무게가 로프 인양식에 비해서 배이상 증가하게되고, 고공대차의 무게가 증가하므로 크레인의 설계수명을 감소시키고, 또한 크레인의 강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 시스템의 크레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종래의 크레인의 붐이 인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c는 크레인을 사용하여 컨테이너 화물의 인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d는 화물을 인양할 때 발생하는 화물의 동요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서 알 수 있듯이, 거더 붐(Girder Boom)을 두 개의 박스형 빔으로 형성되는 크레인을 도시한 것이다.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 크레인(4)은 하부로 지지대 역할을 하는 해측 다리(6)와 육측 다리(8)를 설치하고, 상기 해측 다리(6)와 육측 다리(8)는 중간에 수평으로 연결하는 포탈 빔(10)을 설치한다. 상기 포탈 빔(10)에는 상측에 대각선으로 설치되어 해측 다리(6)와 육측 다리(8)를 연결하는 중간 지지대(14)를 설치하는데, 상기 중간 지지대(14)는 사선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해측 다리(6)의 최상부에는 A 프레임(16)이 설치된다.
상기 포탈(Portal) 구조의 강성은 크레인의 생산성 및 운전자의 기호에 대단히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즉, 컨테이너 화물을 인양할 때 컨테이너 화물의 진동에 의해서 거더(18) 및 붐(20)의 축방향으로 큰 관성력이 발생되고 그로인해 크레인은 거더 휠(Girder Wheel)을 축으로하여 과도한 진동을 하게되는데, 이를 "크레인의 진동"이라 한다. 상기 크레인의 진동은 크레인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주된 요인중 하나이고, 진동이 발생하게되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고조시키는 요인이기도 하다. 동일한 관성력에 대해서 진동의 진폭은 전적으로 포탈 구조의 강성에 의존하는게 일반적이다.
상기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 크레인(4)은 육측 다리(8)의 최상부에 거더(18)를 설치하고 상기 거더(18)와 접하는 육측 다리(8)의 최상부에 인접하여 기계실(24)을 설치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해측 다리(6)와 육측 다리(8)의 최상부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거더(18)에 고정되고, 상기 거더(18)는 해측 다리(6)의 전방면에 힌지 핀으로 연결되고 주인양로프에 의해서 인양이 가능한 붐(20)을 연결하여 설치한다. 상기 거더(18)와 붐(20)이 접하는 곳에 힌지 핀이 설치되어 붐(20)의 인양이 가능하다.
상기 육측 다리(8)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계실(24)에는 붐인양로프(26)가 설치되어 A 프레임(16)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A 프레임(16)에 연결된 붐인양로프(26)는 내측 앞밧줄(34)과 외측 앞밧줄(36)로 나뉘어 붐(20)에 연결설치된다. 상기 붐인양로프(26)는 내측 앞밧줄(34)과 외측 앞밧줄(36)이 사용된다.
상기 붐(20)에는 고공대차(40)를 형성하여 샷시 트레일러(44)를 이동시키고 상기 고공대차(40)를 형성한 후미로 고공대차 운전석(46)을 설치한다.
상기 고공대차(40)는 스프레더(48)에 설치된 스프레더 동력선 저장용기(Basket)를 이용하여 스프레더 동력선(Cable)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데, 간혹 스프레더 동력선이 스프레더 동력선 저장용기에 담기지 않고 넘치는 일이 있고, 또한 스프레더 동력선 저장용기의 내부에서 스프레더 동력선이 무질서하게 엉키게되어 스프레더 동력선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일이 있다.
도 1b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 크레인(4)은 기계실(24)에 드럼(28)을 설치하고 상기 드럼(28)에는 붐인양 로프를 연결하는데, 상기 붐인양 로프(26)는 A 프레임(16)의 상부를 지나 붐(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드럼(28)의 회전에 따라 붐인양 로프(26)가 감기면서 붐(20)이 인양된다. 상기와 같이 붐(20)을 인양하는 경우는 태풍 등의 이유로 장시간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거나 배가 입항 또는 출항할 때 사용된다.
도 1c에서 알 수 있듯이,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 크레인을 사용하여 컨테이너(42)를 인양하는 경우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다양한 크기의 컨테이너가 존재하는 관계로 컨테이너(42)를 집는 장치인 스프레더(48)는 컨테이너에 따라서 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고, 상기 팔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동력이 필요하고 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스프레더 동력선(Cable)(5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스프레더 동력선(50)은 기계실에서 시작되어 거더 및 붐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대를 따라서 거더 및 붐을 평행하게 지나 고공대차에 도달하게 되고, 상기 고공대차에 도달한 스프레더 동력선(50)은 고공대차의 하부로 내려와 샷시 트레일러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레더(48)까지 연결된다. 상기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공대차(40)와 샷시 트레일러(44)를 연결하는 선중에 외부의 두 선이 주인양 로프(54)이고 안쪽의 두 선이 스프레더 동력선(50)이다. 엄밀히 말하면 두 개가 아니고 하나이지만 도면의 표기를 위해 각각에 번호를 첨부하였다.
상기 스프레더 동력선(50)은 스프레더(48)에 설치된 스프레더 동력선 저장용기(52)에 일정량이 담기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컨테이너(42)가 상부로 움직이면 스프레더 동력선(50)은 스프레더 동력선 저장용기(52)에 담기게되고 컨테이너(42)가 하부로 움직이면 스프레더 동력선(50)은 스프레더 동력선 저장용기(52)에서 나와 연직선으로 놓이게 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주인양로프(54)는 헤드블록(58)의 양측으로 연결되고 헤드블록(58)은 하면에 스프레더(48)를 설치하며, 상기 헤드블록(58)은 중앙부에 스프레더 동력선 저장용기(52)를 설치하여 스프레더 동력선(50)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스프레더(48)는 하부에 컨테이너(44)를 고정하게 되고 주인양로프(54)의 작동에 의해 화물을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1d에서 알 수 있듯이, 화물의 동요조절장치(anti-trim-list-skew-snag device)(62)는 장애방지(antisnag), 종진동 조절(antitrim), 횡진동 조절(antilist), 뒤틀림 진동조절(antiskew)의 장치가 독립되어 4개의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장치로 이루어져 동요를 방지 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화물의 동요조절장치(62)는 거더(18)의 끝단에 설치되거나 붐의 오른쪽 끝단에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횡진동(list), 종진동(trim), 뒤틀림 진동(skew)은 운전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트롤리의 기계적 작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발생하기도 하고, 또한 크레인의 작동시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발생시키기도 한다.
상기 화물의 동요조절장치(62)는 거더(18)의 끝단에 설치되는데, 거더(18)의 상측부에는 상부 도르래(64)를 도르래 지지대(68)와 연결설치하고 상기 도르래 지지대(68)에는 유압 실린더(56)를 연결설치한다. 또한, 상기 거더(18)의 하측부에는 하부 도르래(66)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 도르래(64)와 하부 도르래(66)의 외측으로 주인양 로프(54)를 연결설치한다.
동요가 일어날 경우는 주인양 로프(54)에 작용하는 장력이 변화게 되는데, 이 변화를 감지하고 주인양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유압 실린더(56)가 작동하여 상부 도르래(64)가 점선처럼 회전운동을 하여 동요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2a는 종래 크레인의 동력선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사각형 단면으로 구성된 복상자형 거더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c는 사다리꼴 단면으로 구성된 복상자형 거더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 크레인(4)에는 동력선(Fastoon)(70)이 거더(18) 및 붐(20)의 하부에 설치된 동력선 지지대를 따라서 주렁 주렁 걸려있는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동력선(70)은 고공대차(40)가 움직임에 따라 동력선도 따라서 움직이는 구조를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동력선(70)은 고공대차(40)의 움직임에 따라서 함께 움직이게 되는 경우 동력선의 상호충돌 및 동력선과 구조물의 충돌에 의해서 동력선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도 2b와 도 2c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크레인에는 고공대차가 설치되고 상기 고공대차가 주행하는 길을 고공대차로(runway)(72)라 하는데, 상기 고공대차로(72)는 거더와 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레일(rail)을 의미한다. 상기 고공대차로(72)는 크레인의 솟음을 적용하기 위해 도 2b와 도 2c와 같이 복상자형(twin or double box) 단면을 가지는 형상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복상자형 단면은 거더 또는 붐을 이루는 구조라 말할 수 있다.
도 3a는 종래 크레인의 솟음이 없는 보가 이동하중을 받을 때 변형을 나타내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b는 종래 크레인의 솟음을 적용한 보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나타내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c는 종래 크레인의 고공 대차로의 솟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 크레인에 적용되는 솟음(camber)을 잘 나타내주고 있는데, 상기 솟음을 정의하기 위해 외팔보를 대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왼쪽단(A)은 완전고정되어 있고 오른쪽단(B)은 어떤지지도 받지않는 외팔보에 이동하중이 작용할 경우, 상기 외팔보는 일반적으로 이동하중과 자중에 의해서 하부로 처짐이 발생되게 된다. 즉, 하중을 받기전 상태가 일점쇄선으로 연결된 선분 AB이고, 하중이 작용한 후의 상태는 굽은 실선으로 연결된 곡선 AB'가 된다면, 상기 외팔보에 하중이 작용할 경우는 B단으로 갈수록 더욱 큰 하향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입된 것이 솟음(camber)이라 말할 수 있고, 크레인을 조종하는 운전자의 안락성을 기준으로 생각할 경우 이동하중이 작용해도 이동하중의 위치는 수평면(AB)위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설명과 같이, 이동하중의 작용에 의해서 외팔보의 처짐을 미리 고려하여 외팔보의 설치시 상향으로 굽도록 설치하게 되면 이동하중이 작용해도 외팔보는 수평선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3c에서 알 수 있듯이, 거더의 측면을 보았을 때의 형상을 나타내는데, 종래의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 크레인은 거더나 붐에 솟음을 적용한 것이 아니라 거더와 붐은 수평으로 제작하고, 상기 거더와 붐에 설치되는 레일 지지대(60)(도 2b 및 2c에 표시됨)에 솟음을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도 2와 도 4에 형성된 ""표시는 고공대차로(72)의 레일을 의미한다.
도 4a는 종래 크레인의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단일 상자형 거더 크레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종래 크레인의 사각형 단면을 갖는 단일상자형 거더 크레인중에 레일이 하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c는 종래 크레인의 사각형 단면을 갖는 단일상자형 거더 크레인중에 레일이 상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 크레인은 거더 붐(Girder Boom)의 형상에 의해서 크게 분류가 되는데, 도 4에서는 거더 붐의 개수를 하나의 단일상자(monobox crane)를 사용하여 적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사다리꼴, 사각형의 단면을 하는 거더 붐의 양측면에 레일 지지대(60)를 설치하고 상기 레일 지지대(60)의 상면에 고공대차로(72)을 설치한다.
도 5는 종래 크레인의 붐 인양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 크레인(4)은 거더(18)의 상면에 기계실(24)을 설치하고 상기 기계실(24)에 드럼(28)과 연결되는 붐인양로프(26)를 설치한다. 상기 붐인양로프(26)는 드럼(28)에 연결되어 A 프레임(16)의 도르래를 관통하여 붐(20)과 연결되고, 상기 드럼(28)의 회전에 따라 붐인양로프(26)가 감기면서 붐(20)이 인양된다.
일반적으로 붐인양방식은, 붐인양로프(26)가 수평축과 이루는 각를 로프 경사각이라 하고, 로프의 장력(T)의 분력을 각각 Tv(수직분력), Th(수평분력)이라 한다면 분력은 다음과 같다.
수직분력 : Tv= Tsin
수평분력 : Th= Tcos
한편,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7가지 관점에서 평가된다.
첫째, "생산성"으로서, 시간당 컨테이너 화물의 처리수에 대한 문제이다.
둘째, "신뢰성"으로서, 주어진 설계수명동안 크레인 구조는 안정한가에 대한 문제이다.
셋째, "보수의 용이"로서, 주어진 설계수명동안 각종 기계류 및 전기류의 고장은 적어야 하고 고장시 신속하고 편하게 보수할 수 있어야 하는 문제이다.
넷째, "운전자의 기호"로서, 쾌적한 환경에서 최소의 조작으로 운전이 가능한가에 대한 문제이다.
다섯째, "제작자의 기호"로서, 제작이 용이해야 하고 부입되는 제작공수 역시 작아야 하는 문제이다.
여섯째, "중량 및 휠 부하(Wheel load)"로서, 과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강한 안벽위에 크레인이 놓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안벽강도는 크레인의 중량을 제약하는 조건으로 작용하는 것에 대한 문제이다.
일곱째, "가격"으로서, 상술한 조건들이 다른 크레인들에 비해서 좋다고 해도 크레인의 단가가 비싼 경우 크레인의 경쟁력은 저하하게 된다는 것에 관한 문제이다.
전술한 일반적인 로프 인양식의 고공대차를 사용하는 크레인의 경우는, 로프의 배열이 복잡하게 연결될뿐 만 아니라 길이가 증가되어 로프의 처짐이 발생되고 운전자가 트롤리 이동스위치를 조작한 즉시 고공대차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로프의 장력이 일정수준에 도달한 후에야 대상 운동이 이루어지는 조종지연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특히 특정위치를 지날 때 생기는 수직방향의 충격력으로 인해 크레인 작업의 연속성이 끊기게 되어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프 인양식의 고공대차를 사용하는 트레인은 붐 호이스팅 장치의 메스트 상단보에서 붐으로 연결되는 로프의 경사각이 작기 때문에 동력중 일부가 아무런 일을 하지 않고 열에너지로 소실되어 버려 에너지 효율이 작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구조를 변경하여 강성을 증가시키고 크레인의 고속화 및 대형화에 적합하며, 크레인의 상부구조보다 하부구조를 무겁게 형성하여 무게중심을 하부구조로 이동시키므로 안정성이 향상되고 운전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현수형 안벽 크레인을 구성하는 육측 다리에는 상부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육측다리를 육측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거더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육측 다리와 해측 다리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포탈 빔에는 거더에 연결된 지지점을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며 경사지도록 포탈 빔의 상면에 중간 지지대를 설치하며, 상기 거더는 상면끝에 크레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계실을 설치하고 상기 기계실에는 드럼을 모터와 연결설치함과 아울러 일측에 스프레더 동력선의 엉킴을 방지하도록 동력선용 얼레를 설치하며, 고공대차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크레인을 조종하는 고공대차 운전실은 운전자의 시계를 넓게 하기위해 고공대차의 한쪽에 편심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을 제공한다.
도 1a는 종래의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 시스템의 크레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종래의 크레인의 붐이 인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c는 크레인을 사용하여 컨테이너 화물의 인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d는 화물을 인양할 때 발생하는 화물의 동요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종래 크레인의 동력선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사각형 단면으로 구성된 복상자형 거더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c는 사다리꼴 단면으로 구성된 복상자형 거더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종래 크레인의 솟음이 없는 보가 이동하중을 받을 때 변형을 나타내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b는 종래 크레인의 솟음을 적용한 보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나타내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c는 종래 크레인의 고공 대차로의 솟음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종래 크레인의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단일 상자형 거더 크레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종래 크레인의 사각형 단면을 갖는 단일상자형 거더 크레인중에 레일이 하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c는 종래 크레인의 사각형 단면을 갖는 단일상자형 거더 크레인중에 레일이 상부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 크레인의 붐 인양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본 고안의 현수형 크레인의 개념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현수형 크레인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현수형 크레인의 솟음을 적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현수형 크레인에 인장현을 사용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현수형 크레인의 A 프레임에 보조구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기계실에 설치한 얼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2쌍의 앞 밧줄을 사용한 붐에서 실제 솟음과 제작 솟음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현수형 안벽 크레인 110: 육측 다리(Landside leg)
120: 해측 다리(Waterside leg) 130: 포탈 빔(Portal beam)
140: 상부 육측다리 150: 지지점
160: 거더 170: 중간 지지대
180: 붐 190: 기계실
200: 고공대차 210: 고공대차 운전실
220: A 프레임 230: 스프레더
240: 인장현 250: 보조구
260: 고공대차로 270: 너트
280: 드럼 290: 도르래 지지대
300: 도르래 310: 동력선
320: 동력선용 얼레
이하, 본 고안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과 작용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의 로프 인양식 고공대차 개념은 파세코 크레인보다 인용용량, 크기 및 속력이 2배나 되는 포스트 파나막스 크레인의 요구조건에 부합하기 위해서 변형되고 확장되어 왔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압 진동 방지시스템(Hydraulic Sway Damping System)이 도입되었고 로프 및 도르래(Sheave)의 배열이 복잡해지고 있다.
도 6a는 본 고안의 현수형 크레인의 개념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현수형 크레인의 측면도이다.
현수형 안벽 크레인(100)은 육측 다리(110)와 해측 다리(120)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포탈 빔(130)의 상부에 서로 마주보는 구조의 중간 지지대(170)를 설치하고, 상기 육측 다리(110)는 상부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육측다리(140)를 육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거더(160)와 연결한다. 상기 상부 육측다리(140)는 하부의 육측다리(110)에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육측으로 경시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포탈 빔(1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중간 지지대(170)는 거더(160)에 고정되는 지지점(150)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벌려지는 형상이다.
상기 거더(160)의 상면 끝에는 기계실(190)을 설치하는데, 기계실(190)이 거더(160)의 상부 끝에 설치되는 이유는 거더(160)의 상부 끝의 외팔보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크레인의 안정성 차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현수형 안벽 크레인(100)은 육측 다리(110)와 해측 다리(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160)와 붐(180)을 힌지 핀으로 연결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성하고, 상기 거더(160)와 붐(180)의 연결부위는 크레인의 운전시 큰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연속성을 감안하여 설계된다.
특히, 현대의 컨테이너 크레인은 해측도달거리(Outreach)의 증가, 고속화 및 보다좋은 하중조정(Load Control)이 요구되고 있는데, 전형적인 포스트 파나막스(Post-Panamax)급 크레인의 일반적인 특성은 하기의 표 1과 같다.
< 표 1 > 전형적인 포스트 파나막스급 크레인의 특징
정격인양하중(Rated Load) 50 Long Ton
레일간격(Rail Guage) 30.5m
최대해측도달거리(Maximum outreach) 56m
최대육측도달거리(Maximum backreach) 15m
인양고도(Lift above rail) 34m
진동방지시스템(Antisway system) Electronic
본 현수형 안벽 크레인(100)은 포탈 구조의 강성을 적절한 수준까지 증가시켜서 진동의 진폭을 감소시킬수 있도록 상부 육측다리(140)를 경사지도록 설치하였고, 상기 상부 육측다리(140)가 육측으로 경사져 설치되므로 상향 및 하향의 변위를 제공하고 인장 및 압축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게되는 구조이다.
상기 상부 육측다리(140)의 경사로 인해 육측 다리와 해측 다리사이의 거더 간격(Girder Span)이 증가하여 거더(160)의 굽힘 강성 및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점(150)을 중심으로 고정되는 쐐기형의 중간 지지대(Leg stay)(170)를 설치하여 거더 간격을 감소시킬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중간 지지대(170)는 포탈 구조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거더(160)의 단위 간격은 동급의 크레인에 비해서 약 1/2로 감소하기 때문에 굽힘강성은 8배, 굽힘강도는 2배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이는 거더의 무게를 강도측면에서 설계할 때에 2배정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강성도 측면에서 설계할 때는 약 8배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현수형 안벽 크레인(100)에서는 육중한 앞 밧줄(Forestay), 뒷 밧줄(Backstay) 및 상부 대각 버팀대(Upper diagonal brace)를 사용하지 않고 인장현(240)으로 대치하므로, 자중에 의한 처짐효과가 상대적으로 작고 솟음(Camber) 제작후 설치하므로 정돈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거더 끝(Girder end)의 외팔보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기계실을 받침대 끝에 설치할 수 있고 그로인해 크레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현수형 안벽 크레인(100)에서는 상부구조를 가볍게 하고 하부구조를 무겁게 하였기 때문에 무게중심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그로인해 크레인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기계식 고공대차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주인양 장치를 기계실에 설치하는 경우는 장애방지(antisnag), 종진동조절(antitrim), 횡진동조절(antilist), 뒤틀림 진동조절(antiskew motion)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거더 끝에 그대로 설치되기 때문에 로프의 연결의 복장성은 그대로 남게되고, 고공대차에는 오직 고공대차 운동 장치만이 있기 때문에 고공대차 중량은 상대적으로 작은 장점도 있다.
그러나, 본 크레인에서는 주인양 장치 및 장애방지, 종진동조절, 횡진동조절, 뒤틀림 진동조절 장치는 모두다 고공대차(200)의 위에 설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붐 인양 장치는 종래의 크레인과 같은 방식의 붐 인양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즉 인양 장치는 기계실(190)에 설치하고 A 프레임(mast top beam; 또는 메스트)(220)에 설치된 도르래를 관통하여 붐까지 연결된 로프에 의해서 인양되며, 기존 크레인의 문제점으로 대두되던 A 프레임(220)에서 붐(180)으로 연결되는 로프의 경사각이 작아 동력중 일부가 열에너지로 소실되어 에너지 효율이 낮아지는 점을 감안하여 A 프레임(220)에 보조구를 설치하므로 작은 동력으로 동일한 속력에 의해 붐 인양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현수형 안벽 크레인(100)에서는 케이블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릴(Cable Reel)을 이용하여 스프레더(Spreder)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케이블의 길이를 감소시켜 중량감소를 얻을 수 있도록 설치되며, 기계실(190)에 케이블 릴을 설치하므로 케이블 지지대가 필요없고 케이블은 거더(160)와 붐(180)의 상부에 축을 따라서 평행하게 놓이게 된다.
또한, 현수형 안벽 크레인은 붐 및 거더의 처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가능한 강성이 큰 인장현(Stay Cable)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인장현의 강성을 증가시킬 경우 붐이나 거더의 처짐에 의한 효과는 감소되는 반면에, 자중에 의한 처짐 및 연동장치(Linkage)가 증대되어 총 처짐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안고있어 적절한 최적단면 선정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크레인에서는 비선형 이론을 적용하여 케이블의 변형을 엄격히 해석하였고 그러한 이론을 기준으로 케이블이 선정되었다. 상기 비선형 이론은 도 11에서 잘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현수형 크레인의 솟음을 적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거더와 붐의 길이방향으로 평형하게 고공대차로(260)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제작후 인장현의 장력을 조절하게 되면 거더와 붐, 고공대차로(260)에 솟음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포스트 파나막스 크레인에서 솟음(Camber)의 조절은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영구적으로 고공대차로(runway)에 곡률을 설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스테이에 프리텐션(Pretension)이 걸리도록 앞 밧줄의 길이를 규정보다 짧게 하므로서 인위적인 솟음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솟음의 조절을 나타내는 최종 솟음량은 두 솟음량의 합으로 나타내는데, 그럴 경우 계산된 실제 솟음은 이동하중의 고차 다항함수로 표시되지만 이러한 솟음을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제작 솟음은 특정위치에서만 계산된 솟음량과 일치시키고 나머지 부분은 이점을 직전으로 연결하여 솟음량을 주게된다. 상기 솟음량을 구하는 경우의 특정위치는 최대육측 도달거리(maximum backreach), 육측 다리 직상, 육측 다리와 해측 다리 사이의 중앙, 해측 다리 직상, 붐 힌지 핀, 앞 밧줄 연결부(forestay joint)부 및 최대해측 도달거리(maximum outreach)가 되는데, 이들 점에서 솟음의 불연속부가 형성되므로 고공대차가 이 근방을 지날때는 수직방향의 충격력이 발생하게 되고 운전자는 충격력을 감소시키기위해서 습관적으로 특정위치를 지날 때 저속운전을 하게된다. 현수형 안벽 크레인은 제작후 교정이 가능하고 불연속부를 제거하도록 활주로에 영구적인 솟음을 설치하는 것을 피했고 대신에 멀티 케이블 시스템(multi-cable system)을 도입하여 케이블의 장력만을 조절하여 솟음을 설치하였으며, 제작후에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케이블에 턴 버클(turn bucle)을 설치하여 솟음의 정도관리 및 수정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제작 솟음은 실제 설계 솟음에 가까워지고 도 11과 같이 곡률이 무한대가 되는 부분이 없어지며, 그로인해서 멀티 케이블 시스템은 화물의 인양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충격력을 적절히 흡수하여 운전자가 느끼지 못하도록 하였다.
도 8은 본 고안의 현수형 크레인에 인장현을 사용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솟음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붐(180)의 상면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하는 인장현(240)의 끝은 너트(270)로 고정설치한다. 상기 인장현(240)에 의해서 붐(180)의 상면 일측을 끌어 당김으로서 거더와 붐에 솟음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인장현(240)을 조절하게 되면 원하는 장력을 얻을 수 있는 한편, 상기 인장현(240)의 인장력에 의해서 인장현에 연결된 붐(180)과 고공대차로는 곡선을 이루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현수형 크레인의 A 프레임에 보조구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기계실(190)에 설치된 드럼(280)과 연결된 로프의 경사각을 크게하기 위하여 A 프레임(220)의 상부에는 도르래 지지대(290)의 끝에 도르래(300)를 연결한 보조구(250)를 설치한다. 상기 보조구(250)는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임의로 로프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보조구(250)의 설치로 인하여 붐의 인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1: 보조구를 설치하기전 로프 경사각,2: 보조구를 설치한 후의 경사각)
현수형 안벽 크레인(100)은 붐인양시 수평분력이 붐의 운동방향과 직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아무일도 하지않고, 붐의 인양에 필요한 힘은 오직 수직분력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인장력에 대해 가능한 수평분력은 작게하고 수직분력은 크게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A 프레임(220)의 높이와 붐에 설치된 도르래의 위치는 주위 상황에 대하여 많은 제약을 받기 때문에 A 프레임(220)의 높이와 붐에 설치된 도르래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고 로프 경사각()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구(250)의 설치로 인해 적은 동력을 사용하여 붐(180)을 인양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기계실에 설치한 얼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현수형 안벽 크레인의 거더 상부에는 기계실이 설치되는데, 상기 기계실(190)에는 동력선(310)을 감는 동력선용 얼레(320)를 설치한다. 상기 동력선용 얼레(320)에 연결된 동력선(310)은 거더와 붐에 수평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동력선(310)은 거더와 붐의 상부 플랜지에 놓이게 되어 동력선의 상호충돌 및 동력선과 구조물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동력선(310)이라 함은 컨테이너를 인양할 때 사용되는 동력선과 고공대차를 인양할 때 사용되는 동력선을 의미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2쌍의 앞 밧줄을 사용한 붐에서 실제 솟음과 제작 솟음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실선은 실제 솟음을 보여주고 점선은 제작 솟음을 나타내는데, 고공대차가 A, B, C점을 통과할 때 큰 수직방향의 충격력이 발생된다. 상기 충격력은 부적절한 솟음 설정 및 인양하중의 진동에 의해서 발생되는데,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솟음의 설정 및 진동을 감소시키는 대책이 필요하다.
현수형 안벽 크레인은 거더의 상부에 기계실을 설치하는데, 상기 기계실에는 붐 인양 장치, 동력선용 얼레, 전기실만이 설치되므로 로프 인양식 크레인에 비해서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볍고 크기 또한 작게 형성된다. 또한, 입방체 형상을 도입하여 모서리 부분에 대한 풍하중을 감소시키고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절하게 모서리부를 라운딩시켰다.
크레인에서 고공대차의 구조와 중량은 생산성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데, 하나는 하중조정 특성이고 다른 하나는 운전특성이라 말할 수 있다. 상기 하중조정 특성은 적절한 제어장치에의해서 성취될 수 있지만 현상태로서는 미비한 상태라 말할 수 있고, 따라서 전적으로 운전자의 숙련도와 고공대차 구조 및 중량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하중조정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는 선박의 동요, 인양로프에 매달린 컨테이너의 종진동(trim), 횡진동(list), 뒤틀림 진동(skew) 등이라 말할 수 있다.
특히,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진동은 인양로프의 길이, 컨테이너와 고공대차의 중량비, 인양로프의 로프 경사각(reeving angle), 고공대차 휠과 고공대차 레일 사이의 마찰계수 및 크레인의 강성과 관련을 가지고, 상기 요소중 인양로프의 길이와 크레인의 강성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는 고공대차의 구조 및 중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에 대한 고공대차의 중량비가 작을 경우에 진동은 대단히 증폭되고 로프 경사각이 감소됨에 따라서 진동이 증폭되므로,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고공대차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좋지만 이는 크레인의 크기와 중량제한 조건(안벽강도 요구조건)에 의해서 제약될 수 밖에 없음은 당연하다 말할 수 있다.
또한, 현재는 물류비를 절약하기 위해 하역기기의 설계걔념에 대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인데, 구체적으로 생산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도록 고속화, 무인화 및 선박의 대형화로 인하여 크레인의 대형화가 진행되고 또한, 요구되는 특성 및 기술이 변하고 있어 전자 부하 조정(Electronic load control)이 기계식을 대신하고 있으며, 제작방법들이 개선되고 있는 실정이다. 단순한 구조는 동일강도 및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무게가 무겁다는 단점이 있지만 통행과 수리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항만의 도크는 안벽강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크레인의 전체중량의 증가를 극복할 수 있게되었고 단순한 구조의 크레인들이 보다 좋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수형 안벽 트레인은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해서 고공대차 운전실(Opertor's Cabin)을 고공대차의 한쪽에 편심되어 설치되고 그로인해 운전실이 적절한 구조로 지지되지 않을 경우에 고공대차가 주행하는 동안에 심하게 진동하게 되므로 운전실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엄격한 해석에 의한 고공대차의 제작설계가 필요하다.
전술한 구성과 작용에 의한 본 고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포스트 파나막스급 크레인은, 하부구조를 변경하여 무게 중심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하여 강성을 증가시켰고 스테이(Stay)의 수를 증가시켜 제작시 영구적으로 설치되는 솟음(Camber)을 사용중에 언제라도 수정가능하도록 턴 버클을 설치하였으며, 특히 솟음의 조유가 기존 크레인에 비해서 좋아지고 솟음의 부적절한 설치로 인한 고공대차의 2차 진동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테이너 화물의 진동시 발생하는 관성력에 대해서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통행 및 보수관리가 용이하며, 단일상자 붐 거더(Monobox Box Boom Girder)를 사용하므로 크레인의 제작공수를 줄일수 있고 기계식 고공대차 시스템을 사용하므로 로프 경사각(Rope Reeving)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현수형 멀티 스테이(Multi-Stay)를 사용하므로 크레인의 전체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현수형 안벽 크레인은 복잡한 동력선의 설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동력선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한 동력선 지지대를 구비하므로 고중량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계실에 동력선을 감는 얼레를 설치하였고, 그로인해 동력선의 상호 충돌 및 크레인 몸체와의 충돌로 인한 소손을 방지하고 동력선의 길이를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현수형 안벽 크레인(100)을 구성하는 육측 다리(110)에는 상부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육측다리(140)를 육측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거더(160)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육측 다리(110)와 해측 다리(120)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포탈 빔(130)에는 거더(160)에 연결된 지지점(150)을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며 경사지도록 포탈 빔(130)의 상면에 중간 지지대(170)를 설치하며, 상기 거더(160)는 상면끝에 크레인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계실(190)을 설치하고 상기 기계실(190)에는 드럼(280)을 모터와 연결설치함과 아울러 일측에 스프레더 동력선(310)의 엉킴을 방지하도록 동력선용 얼레(320)를 설치하며, 고공대차(20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크레인을 조종하는 고공대차 운전실(210)은 운전자의 시계를 넓게 하기위해 고공대차(200)의 한쪽에 편심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형 안벽 크레인(100)은 기계실(190)의 드럼(280)에 고정되고 A 프레임(220)의 도르래를 관통하여 붐(180)까지 연결되는 인장현(240)의 로프 경사각(2)이 크게 이루어지도록 도르래 지지대(290)의 일측에 도르래(300)를 형성한 보조구(25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켄테이너 크레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형 안벽 크레인(100)은 붐(180)의 일측상면을 관통하고 너트(270)로 고정되는 인장현(240)을 설치하고 상기 인장현(240)의 끝을 고정하므로 솟음(camber)이 조절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
KR2019980013625U 1998-07-24 1998-07-24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 KR200200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625U KR200200869Y1 (ko) 1998-07-24 1998-07-24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625U KR200200869Y1 (ko) 1998-07-24 1998-07-24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452U KR20000003452U (ko) 2000-02-15
KR200200869Y1 true KR200200869Y1 (ko) 2000-11-01

Family

ID=1953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625U KR200200869Y1 (ko) 1998-07-24 1998-07-24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452U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18832A (zh) 起重机和用于定位物体的方法
JP6701362B2 (ja) Stsマルチトロリーポータルガントリーコンテナクレーン
CN101549835A (zh) 桁架桅杆式起重机和桁架桅杆吊臂
WO2014043995A1 (zh) 一种拆分式起重机
KR100649728B1 (ko) 트롤리의 안티 스웨이 장치
EP2194017B1 (en) An offshore crane
FI109990B (fi) Järjestely nosturin koneistojen sijoittamiseksi
US20220178092A1 (en) Wind-resistant suspension bridge
US5765981A (en) Wire rope tensioning and reeving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US20040094497A1 (en) Arrangement for placing auxiliary ropes of crane hoist gears
US7073673B2 (en) Wire rope reeving support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gantry cranes
KR200200869Y1 (ko) 슈퍼 포스트 파나막스급 현수형 안벽 컨테이너 크레인
CN110042760B (zh) 一种可带载移动缆载吊机
US6669038B1 (en) Self-propelled crane
US2006005458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preader in crane
CN110040638B (zh) 一种安装悬索桥劲性梁的缆载吊机装置及安装方法
JP2010531794A (ja) 複数吊りポイントクレーンの玉掛けワイヤロープの空間干渉防止配置
US7963579B2 (en) Self-leveling bottom block assembly
CN112875511A (zh) 一种新型吊具防摇装置
JP5643043B2 (ja) 岸壁クレーン
CN210558850U (zh) 固定式x型吊具上架
CN209778102U (zh) 一种安装悬索桥劲性梁的缆载吊机装置
US2005021809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preader in crane
CN110606441A (zh) 一种全地面起重机吊臂及使用方法
EP3606859A1 (en) Sts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