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848A - 화상통신용 서버 및 화상통신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통신용 서버 및 화상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848A
KR20020085848A KR1020020025241A KR20020025241A KR20020085848A KR 20020085848 A KR20020085848 A KR 20020085848A KR 1020020025241 A KR1020020025241 A KR 1020020025241A KR 20020025241 A KR20020025241 A KR 20020025241A KR 20020085848 A KR20020085848 A KR 20020085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rver
message
internet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자와타케오
Original Assignee
키즈나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즈나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키즈나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8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8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04L67/5683Storage of data provided by user terminals, i.e. reverse c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48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4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 H04N1/0025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with an apparatus for taking photographic images, e.g.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digital transmiss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SMS or ISDN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04L67/5651Reducing the amount or size of exchanged application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휴대전화에 화상을 용이하게 배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서버와, 상기 서버의 정보를 인터넷 휴대전화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로 변환하는 게이트웨이와, 디지털카메라로부터 화상을 받아서 화상메모리에 화상데이터를 기억시키는 화상입력 인터페이스와, 이 화상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입력하여 텍스트메모리에 기억시키는 텍스트 입력부를 구비한다. 메모리에 기억된 화상과 텍스트는, 서로 관련되어서 기억되어 있다. 어느 일방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것을 참조함으로서 타방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화상통신용 서버 및 화상통신방법{IMAGE COMMUNICATION SERVER AND IMAGE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을 포함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퍼스컴이나 휴대전화에 대해서 간단히 화상을 배신할 수 있는 화상통신용 서버 및 화상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에 있어서의 메시지 변환수단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전자메일이 널리 알려져 있다.
최근, 휴대전화에 인터넷 접속기능을 부가한 것이 나타나고, 대단한 기세로 보급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러한 종류의 휴대전화를 「인터넷 휴대전화」 또는 간단히 「휴대전화」로 칭하는 것으로 한다.
인터넷 휴대전화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을 더한다. 인터넷 휴대전화는, 지금까지의 휴대전화와 다르며, 음성통화는 물론, 은행구좌의 잔고조회ㆍ입금을 비롯하여, 레스토랑안내, 홈페이지 검색 등, 생활에 아주 가깝고 편리한 온라인ㆍ서비스가 이용가능하고. 또한 인터넷을 경유하여 전자메일의 송수신은 물론, 인터넷 휴대전화에 대응하는 홈페이지도 휴대전화 단체에서 볼수 있다.
주 특징은 다음과 같다.
ㆍ휴대전화에 의한 「음성통화」에다가, 인터넷 휴대전화키를 누르기 때문에 인터넷에 공개되어 있는 많은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인터넷 휴대전화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모바일뱅킹이나 티켓예약뿐만 아니라, 뉴스속보나 레스토랑 검색 등, 생활에 가까우며 편리한 것을 중심으로 계속적으로 탄생하고 있다.
ㆍ인터넷 휴대전화의 데이터 통신방식은 패킷통신(9600bps)방식이므로, 통신시간에 의한 과금이 아니고, 송수신한 데이터의 양으로 과금된다. 이 때문에, 통신시간을 염려하지 않고, 시간이 걸려서 정보를 볼 수 있다.
ㆍ인터넷 휴대전화메일은, 인터넷 휴대전화끼리는 물론, 인터넷에도 대응하고 있으므로, 외출목적지에서도 인터넷의 메일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패킷통신이므로 짧은 메일이면 ¥1 ~ ¥3정도로 메일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인터넷 휴대전화의 화면은 퍼스컴의 작은 화면에 상당한다. 따라서, 유저는, 인터넷이나 각종 정보서비스에 접속되어 있으면 언제나,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인출하여 볼 수 있다.
인터넷 휴대전화로 제공되는 주된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ㆍ인터넷 휴대전화 메시지 서비스
인터넷 휴대전화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메시지수신의 신청을 하면, 원하는 정보가 자동적으로 휴대전화에 알려진다. 가령, 뉴스속보나 기상예보 등의 정보서비스 등을, 통신시간을 염려하지 않고 받을 수 있다.
ㆍ인터넷 휴대전화 메일서비스
인터넷 휴대전화끼리의 메일의 주고받음은 물론, 인터넷 메일의 주고받음이가능하다. 인터넷 휴대전화에서는, 계약되어 있는 휴대전화번호가 그대로 전자메일 어드레스로 된다.
ㆍ인터넷 휴대전화 인터넷 브라우저
인터넷 휴대전화는 인터넷 휴대전화용으로 만들어진 인터넷 홈페이지도 볼 수 있다. 인터넷 휴대전화용에 상용서비스를 행하는 사이트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만든 인터넷 휴대전화 대응의 홈페이지도 인터넷 휴대전화로 볼 수 있다.
퍼스컴으로 인터넷 메일을 송수신하거나, 홈페이지를 보기 위해서는, 소정의 설정을 행해야만 한지만, 이 작업이 곤란한 인터넷 휴대전화는 처음부터 전화메일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홈페이지를 보기 위한 브라우저도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불편한 설정은 필요없다. 인터넷 휴대전화에서 특징적인 것은, 기존의 인터넷 휴대전화 서비스 이외에도, 인터넷 상에 있는 인터넷 휴대전화 대응의 홈페이지를 자유롭게 볼 수 있다.
메시지 서비스는, 각 사이트의 메시지 서비스에서 원하는 정보를 등록하여 두면, 자동적으로 행하는 서비스이다. 메시지에는 사전에 등록이 필요한 메시지 요청과 메시지프리가 있다. 어느것이라도 전자메일의 수신과 동일하도록 자동적으로 행한다.
인터넷 휴대전화의 편리한 것은 퍼스컴이나 PDA(Personal Data Assistance : 휴대정보단말) 등의 컴퓨터 기기를 가지지 않고, 여러가지의 인터넷 정보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터넷에는 통상의 퍼스컴에 추가로 인터넷 휴대전화도접속된다. 그러나, 퍼스컴과 휴대전화에서는 그 하드웨어의 성능에는 큰 차이가 있고, 서버로부터 봐서 양자를 모두 동일하도록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예컨대, 통상의 퍼스컴의 표시화소는 800×480 이상이지만, 휴대전화의 표시화소는 이보다 아주 작다. 또한, 표시가능한 색채에도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컨텐츠를 퍼스컴용과 휴대전화용으로 나누어서 만들고, 각각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행해진다.
그러나, 동일 컨텐츠를 퍼스컴용과 휴대전화용으로 나누어서 만드는 것은 수고가 들고, 관리상도 문제가 있다. 컨텐츠를 공통으로 하기 때문에, 서버와 퍼스컴ㆍ휴대전화 간에, 수신측의 표시능력에 맞추어서 적당하게 포맷이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모든 컨텐츠에 대응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아도, 비교적 간단한 컨텐츠이면 간단한 방법으로 퍼스컴과 휴대전화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서버, 클라이언트, 인터넷 휴대전화 간에 화상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화상통신용 서버 및 화상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통신용 서버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화상을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는 화상통신용 서버로서, 화상입력부와, 이 화상입력부에서 받은 화상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화상을 통신상대인 인터넷 휴대전화용 인터페이스와 통상의 컴퓨터용 인터페이스를 서로 변환함과 아울러 상기 인터넷 휴대전화의 표시능력에 맞추어서 상기 화상을 가공하는 게이트웨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화상통신방법은, 화상을 취득하는 제 1스텝과, 취득한 화상을 서버로 업로드하는 제 2스텝과,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요구를 받는 제 3스텝과, 송신요구원이 통상의 컴퓨터인지 아니면 인터넷 휴대전화인지를 판정하는 제 4스텝과, 송신요구원이 통상의 컴퓨터일 때, 요구된 화상을 송신하는 제 5스텝과, 송신요구원이 인터넷 휴대전화일 때, 송신요구원의 표시능력에 맞추어서 화상을 변환하는 제 6스텝과, 변환된 화상을 송신하는 제 7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한 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2는,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한 시스템의 동작 플로오챠트이다.
도 3은,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한 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4는, 발명의 실시형태2에 관한 시스템의 동작 플로오챠트이다.
도 5는, 본 시스템에 관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무선 게이트웨이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시스템의 전체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의 처리의 플로오챠트이다.
도 9는, 본 시스템의 서버의 처리의 플로오챠트이다.
도 10은, 본 시스템의 다른 클라이언트의 처리의 플로오챠트이다.
도 11은, 본 시스템의 보안처리의 플로오챠트이다.
도 12는, 메시지 보드 시스템의 표시화면의 예이다.
도 13은, 인터넷 휴대전화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예이다.
도 14는, 메시지 보드 시스템의 다른 표시화면의 예이다.
도 15는, 메시지 보드 시스템의 다른 표시화면의 예이다.
도 16은, 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시스템의 전체의 처리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메시지 보드 시스템의 표시화면의 예이다.
발명의 실시형태1
도 1은, 본 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인터넷/인트라넷(4)을 통해서, 클라이언트(2)는 서버(1)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1)는, 본 시스템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JAVA의 애플릿)가 외부기억장치에 미리 격납되어 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면, 클라이언트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되고, 이 시스템이 사용가능하게 된다. 한편, 인터넷 휴대전화(6)(또는 포켓 송수신장치)는, 통신운반체의 설비인 프로토콜 변환서버(5)를 통해서 무선 게이트웨이(3)에 접속하고, 또한 서버(1)에 접속할 수 있다.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화상입력 인터페이스(100)는 디지털 카메라(C)나 스캐너 등의 화상취득수단으로부터 화상을 받아서, 화상메모리(102a)에 화상데이터를 기억시킨다. 한편, 이 화상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텍스트 입력부(101)로부터 입력하고, 텍스트 메모리 (102b)에 기억시킨다. 텍스트 입력부(101)는 전형적으로는 키보드나 터치패널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텍스트 입력부(101)에서 직접 입력하는 대신에, 복사나 버리기 등의 방법에 의해 이미 작성끝남으로 입력하여도 좋다. 또한, 클라이언트(2)로부터 화상 및/또는 텍스트를 서버(1)로 송수신하고 메모리(102a, 102b)에 기억시켜도 좋다. 메모리(102a, 102b)에 기억된 화상과 텍스트는, 서로 관련지어져서 기억되어 있다. 어느 일방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것을 참조함으로서 타압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화상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상대측의 표시능력에 따라서 최적의 형식의 데이터를 준비한다. 이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의 시스템(특히, 서버(1), 화상입력 인터페이스(100), 텍스트 입력부 (101), 메모리(102a, 102b))는, 범용적인 포토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서버 (1)를 공통의 게시판으로서 이용하고, 임의의 유저가 서버(1)에 화상을 업로드함으로써, 해당 화상을 임의의 유저가 자신의 퍼스컴 또는 휴대전화로 볼 수 있다. 또한, 화상을 업로드할 때에 상대측의 표시능력을 염려함이 없이, 공통의 화상(컨텐츠)를 서버(1)에 간단히 등록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싸고 빠른 정보발신 미디어로서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이 시스템은, 나날이 변화하는 관광지의 화상을 등록함으로써 관광안내 시스템에 응용가능하고, 나날이 변화하는 상품의 화상과 가격을 등록함으로서 상품안내 시스템에 응용가능하고, 인물의 얼굴사진과 자기PR을 등록함으로써 인재안내시스템에 응용가능하다.
각 휴대전화(PHS를 포함)로부터 인터넷 상의 컨텐츠를 접속하는 방식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현재, 이하의 4종류의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모든 서비스가 인터넷 상에서는 HTTP로 접속된다라는 점에서 공통되지만, HTTP 상에 보내는 정보의 기술방식에이하와 같은 차이점이 있다.
(1)[i-Mode방식] i모드 대응의 HTML로 기술한다.
(2)[J-SkyWeb방식] J-스카이웹 대응의 HTML로 기술한다.
(3)[WAP/HDML방식] HDML로 기술한다.
(4)[P메일DX방식] P메일DX텍스트로 기술한다.
[i-Mode방식]과 [J-SkyWeb방식]은 통상의 Web페이지와 동일하도록 HTML로 기술할 수 있지만, HTML 상에서 사용가능한 태그의 종류에 제약이 있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양방식용으로 기술된 Web페이지는 통상의 퍼스컴 상의 브라우저에서도 관람할 수 있다. 한편, [WAP/HDML방식]과 [P메일DX방식]에서는 텍스트 상에 태그를 넣는다라는 점에서는 HTML에 비슷하지만, 휴대전화 서비스전용으로 설계된 특유한 기술법을 사용하게 된다.
모든 4방식이 전송 프로토콜로서 HTTP를 사용한다(즉 Java Servlet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라는 점에서는 공통되어 있고, 또한 기능적으로도 큰 차이는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같은 텍스트 베이스의 메시징 시스템을 실현가능하다.
도 2의 플로오챠트에 기초하여, 이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S100 : 디지털 카메라(C) 등을 이용하여 화상을 취득한다.
S101 : 취득한 화상(예컨대, 관광지의 모습을 찍은 화상, 인물의 화상, 상품의 화상)을, 화상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서 서버(1)로 업로드한다. 구체적으로는, 취득한 화상데이터를 화상메모리(102a)에 격납한다.
S101 : 취득한 화상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텍스트 입력부(101) 등을 이용하여 입력한다. 또는 미리 준비된 텍스트를 서버(1)로 업로드한다. 예컨대, 관광지의 화상이면 「벗꽃이 만개하였습니다」 등의 해설을 입력하고, 인물의 화상이면 해당 인물의 설명이나 PR을 입력하고, 상품의 화상이면 가격과 그 유효기간을 입력한다. 텍스트는 텍스트 메모리(102b)에 기억된다.
S103 : 메모리(102a, 102b)에 기억된 화상과 텍스트를 대응시킨다. 즉, 어느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참조할 수 있도록 링크정보가 준비된다. 화상과 테스트가 각각의 스텝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송신될 때, 상기 링크정보는 중요하다.
이상에서 서버에 화상과 텍스트가 준비되고, 이들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음에, 준비된 화상과 텍스트를 퍼스컴 및/또는 휴대전화에 송신(배신)하는 순서에 관해서, 동일하게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S104 : 서버(1)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요구를 받는다.
S105 : 송신요구원이 퍼스컴인지, 아니면 휴대전화인지를 판정한다.
S106 : 송신요구원이 퍼스컴일 때, 송신요구원은 충분한 표시능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요구된 화상 및 텍스트를 그대로 송신한다.
S107 : 송신요구원이 휴대전화일 때, 송신요구원의 표시능력에 맞추어서 데이터(주로 화상)를 변환한다. 아이콘용 화상은, 일반적으로는, 오리니널 화상보다 작다. 그래서, 오리지널 화상데이터의 해상도를 낮추거나, 추가로 화상압축의 압축율을 높임으로써, 그 데이터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아이콘용 화상데이터의크기(화소수)를 어느 정도로 하는가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크기와, 해당 화면의 표시능력의 관계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도는, 예컨대, 오리지널 화상보다 데이터의 사이즈를 작게 한 휴대전화용 화상을 준비한다. 휴대전화용 화상데이터의 크기(화소수)를 어느 정도로 하는가는, 휴대전화의 화면의 표시능력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또는, 휴대전화의 화면의 색채의 표시능력에 기초하여 화상의 색데이터를 압축한다. 예컨대, 휴대전화의 화면이 흑백이면, 색정보는 불필요하다.
S108 : 변환된 화상 및 텍스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컨텐츠를 공통으로 하면서 퍼스컴과 휴대전화에 대해서 간단한 조작으로 화상을 배신할 수 있다. 또한, 이 때에 수신측의 표시능력에 따라서 최적한 화상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므로, 수신측에 부담을 주지않고 양호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서버 및/또는 클라이언트와 인터넷 휴대전화 간에 화상변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말하자면 범용의 포토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을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입력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용자로부터 메일을 받아서 이것에 첨부된 또는 이것에 의해 표시된 화상을 접수 메모리에 격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서버가 이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아서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서버가 이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화상을 생성(예컨대 CAD에 의해)하여 이것을 메모리에 격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인터넷을 검색하여 지정된 화상을 취득하여 메모리에 격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을 업로드하는 것에는, 상기 방법도 포함됨과 아울러, 널리 일반적으로 화상을 취득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2
상기 발명의 실시형태는 디지털 카메라의 화상을 서버(화상메모리)로 업로드하는 것이 있다. 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은, 서버에 접속된 카메라의 화상을 샘플링하여 화상메모리에 기억하는 것이다.
도 3은, 이 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3에 있어서의, 서버(1), 클라이언트(2), 무선 게이트웨이(3), 인터넷/인트라넷(4), 프로토콜 변환서버(5) 및 인터넷 휴대전화(6)(또는 포켓 송수신장치)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화상샘플링부(14)는 카메라(103) 등의 화상취득수단으로부터 적당한 화상을 샘플링하여, 화상메모리(102a)에 화상데이터를 기억시킨다. 한편, 이 화상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텍스트 입력부(101)로부터 입력하고, 텍스트 메모리(102b)에 기억시킨다. 텍스트 입력부(101)는 전형적으로는 키보드나 터치패널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텍스트 입력부(101)에서 직접 입력하는 대신에, 복사나 버리기 등의 방법에 의해 이미 작성끝남으로 텍스트를 입력하여도 좋다. 또한, 클라이언트(2)로부터 화상 및/또는 텍스트를 서버(1)로 송신하고 메모리(102a, 102b)에 기억시켜도 좋다. 메모리(102a, 102b)에 기억된 화상과 텍스트는, 서로 관련지어져서 기억되어 있다. 어느 일방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것을 참조함으로서 타방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가능하다. 또한, 화상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상대측의 표시능력에 따라서 최적한 형식의 데이터를 준비한다. 이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화상샘플링(104)은, 타이머(105)에 의해 미리 정해진 스케줄로 화상을 샘플링하거나, 또는 서버(1)로부터의 지령(인터넷(4)을 통해서 지령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에 의해 화상을 샘플링한다. 예컨대, 카메라(105)가 고정되어서 일정한 장소를 촬영하는 것인 경우, 일정시간 간격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으로 해당 장소의 화상을 취득한다. 예컨대, 클라이언트의 지시에 기초하여 해당 장소의 화상을 취득한다.
텍스트 입력부(101)는, 샘플링된 화상의 해설 등을 받는다. 입력되는 텍스트는, 예컨대, 샘플링된 화상의 설명, 샘플링 시각(타이머(105)로부터 정보를 받는다), 서버(1)에 미리 격납된 텍스트, 서버(1)가 샘플링시각, 카메라의 설치장소 등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인터넷으로 검색한 텍스트 등이다.
도 3의 시스템(특히, 서버(1), 텍스트 입력부(101), 메모리(102a, 102b), 화상샘플링부(140))은, 범용적인 감시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카메라 (103)를 원하는 장소에 설치함으로써, 그 장소의 화상을 수시로 취득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예컨대, 탁아소나 자택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자기아이의 건강한 모습을 언제라도 어디서라도 휴대전화로 확인하기 위한 유아확인시스템, 방범용 카메라의 화상을 휴대전화로 확인하기 위한 감시시스템 등에 응용가능하다. 전자의 경우, 예컨대, 유아를 돌보고 있는 시간내에 정기적으로 화상을 샘플링하거나, 휴대전화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수시로 화상을 샘플한다. 또는, 탁아소측으로부터 보호자에게 연락을 하기 위해서는, 탁아소측의 조작에 의해 화상을 샘플링하고, 그 화상을 메일로 보호자의 휴대전화에 보내도록 하여도 좋다.
이 시스템의 카메라를 관광지에 설치하면, 예컨대, 여행을 가기 전에 목적지의 화상을 입수하거나, 과거에 나온 관광지의 현재의 상황을 자택에서 알 수 있다.
이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은 텔레비젼이나 오디오와 같이 가공된 것은 아니고 생생한 것이고, 지금 현재 그 장소, 그 피사체가 어떠한 상황에 있는지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
도 4의 플로오챠트에 기초하여, 이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S110 : 소정의 타이밍으로 카메라(103)로부터의 화상을 샘플링한다. 샘플링은, 타이머(105)에 의해 미리 정해진 스케줄로 실행된다. 또는, 서버(1)로부터의 지령(인터넷(4)을 통해서 지령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에 의해 샘플링을 실행한다. 예컨대, 이용자가 화상을 보고 싶을 때, 우선 휴대전화로부터 샘플링지령을 서버 (1)로 나온다. 이것을 받아서, 서버(1)는 화상을 샘플링함과 아울러 샘플링된 화상을 이용자에게 송신한다.
또한, 이용자가 한사람일 때는 문제가 없지만, 이용자가 경합하였을 때 어떻게 제어하는가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다음과 같이 취급하는 것이 고려된다.
ㆍ선승으로 한다. 즉, 최초에 접속한 자에게 제어권을 준다.
ㆍ이용시간이 가장 긴 이용자에게 제어권을 준다. 이용자에게 장시간의 이용을 재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의 화면 중에 순위, 예컨대 「당신의 접속시간은 제 2위입니다. 조금 더 제어권을 얻는 것이 가능합니다.」라는 제어권 취득예고표시를 나타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신호 수신부(11)가 이용상황을 감시하고, 이용상황이 긴 이용자의 제어를 채용함과 아울러, 2위 이하의 이용자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통지를 행한다.
ㆍ제비뽑기에 의해 제어권을 준다. 제비뽑기는 예컨대 제어신호 수신부(11)가 행한다.
ㆍ입찰에 의해 제어권을 준다. 예컨대, 이용자의 화면 중에 「제어권을 원하는 쪽은 어느 정도 이내에 입찰금액을 소정의 어드레스로 송신하여 주십시요.」로 표시하여, 입찰을 촉구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이용자가 경합하였을 때, 제어신호 수신부(11)가 그 지시 및 상기 내용의 통지를 이용자 전원에 대해서 행한다. 응찰이 있을 때, 제어신호 수신부(11)는 응찰조건의 가장 좋은 이용자의 제어를 선택한다.
ㆍ미리 등록된 회원에 우선하여 제어권을 준다.
S111 : 샘플링한 화상을 서버(1)로 업로드한다. 구체적으로는, 취득한 화상데이터를 화상메모리(102a)에 격납한다.
S112 : 취득한 화상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텍스트 입력부(101) 등을 이용하여 입력한다. 또는 미리 준비된 텍스트를 서버(1)로 업로드한다. 텍스트는 텍스트 메모리(102b)에 기억된다.
S113 : 메모리(102a, 102b)에 기억된 화상과 텍스트를 대응시킨다. 즉, 어느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참조가능하도록 링크정보가 준비된다. 화상과 텍스트가 각각의 스텝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송신될 때, 상기 링크정보는 중요하다.
이상에서 서버에 화상과 텍스트가 준비되고, 이들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S114 : 서버(1)가 클라이언틀부터 송신요구를 받는다. 이 송신요구는, 샘플링된 화상을 단지 송신하는 요구, 또는 샘플링을 행하고 그 화상을 송신하는 요구 등이다. 전자의 경우, 복수의 이용자가 복수의 화상을 공유하고, 후자의 경우, 이용자 등에 다른 화상이 보내진다. 물론, 이들 양방을 조합시키도 좋다. 우선, 이용자는 전자의 지령에 의해 화상의 상황을 조사하고, 그 후 소정의 장소 및/또는 타이밍을 지정하여 원하는 화상을 입수한다(예컨대, 최초에 있는 장소 전체의 화상을 받고, 다음에 원하는 장소와 타이밍을 지정한다).
S115 : 송신요구원이 퍼스컴인지, 아니면 휴대전화인지를 판정한다.
S116: 송신요구원이 퍼스컴일 때, 송신요구원은 충분한 표시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요구된 화상 및 텍스트를 그대로 송신한다.
S117 : 송신요구원이 휴대전화일 때, 송신요구원의 표시능력에 맞추어서 데이터(주로 화상)를 변환한다. 예컨대, 화상 그자체가 아니라 그 아이콘용 화상을 준비하여 송신한다. 아이콘용 화상은, 일반적으로는, 오리지널 화상보다 작다. 그래서, 오리지널 화상데이터의 해상도를 낮추거나, 또한 화상압축의 압축율을 높임으로써, 그 데이터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이콘용 화상데이터의 크기(화소수)를 어느 정도로 하는가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크기와, 해당 화면의 표시능력의 관계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또는 예컨대, 오리지널 화상보다 데이터의 사이즈를 작게 한 휴대전화용 화상을 준비한다. 휴대전화용 화상데이터의 크기(화소수)를 어느 정도로 하는가는, 휴대전화의 화면의 표시능력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또는 휴대전화의 화면의 색채의 표시능력에 기초하여 화상의 색데이터를 압축한다. 예컨대, 휴대전화의 화면이 흑백이면, 색정보는 불필요한다.
S118 : 변환된 화상 및 텍스트를 송신한다.
<처리의 상세설명>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현하기 위한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시스템은, 화상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기 위하여, 아이콘 구동의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이다(이 메시지는, 상기 발명의 실시형태1, 2에 있어서의 화상과 텍스트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 종래의 시스템과는 크게 다른 점은, 메시지의 어드레싱을 아이콘의 드래그앤드드롭에 의해, 직감적 또는 직접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은, 인터넷/인트라넷 커뮤니티에 있어서의 새로운 통신, 공동작업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시스템의 사용방법은 매우 단순하다. 유저는 서버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후에 설명하는 메시지보드, 화이트보드, 체스보드, 지도, 이미지 등의 보드를 언제라도 이용가능하여, 인터넷에 있어서, 보드에 아이콘을 드래그앤드드롭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메시지를 기입하고, 타인과 메시지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시스템의 특징은, 인스톨하기 쉽고, 사용하기 쉬우며, 또한, 주문형화하기 쉬운 점이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은, 메시지보드, 메모소프트, 화이트보드, 체팅, 전자메일과 같은 다른 어떠한 통신, 협력, 공동작업소프트보다 사용하기 쉬운 점이 있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버는 CGI대응의 Web서버이고, JAVA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클라이언트측은, Java대응의 Web브라우저이고, JAVA의 가상컴퓨터/런타임환경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 시스템은, 대략 다음의 기능을 보유한다.
ㆍ메시지 작성기능
상대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작성하는 기능이다. 예컨대, 메시지를 송신하기위한 아이콘을 클릭하면, 대화박스가 화면 상에 표시되고, 이 대화박스에 메시지를 기입함으로써, 상기 아이콘과 메시지가 링크된다. 또한, 대화박스는, 아이콘을 클릭하였을 때 표시될뿐만 아니라, 아이콘을 드래그앤드드롭하였을 때에 표시되어도 좋다.
ㆍ메시지 어드레싱 기능
메시지를 보내는 보내는 상대를 결정하는 기능이다. 종래의 전자메일 소프트웨어에서는, 문자로 입력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영역을 정의 및 관리함과 아울러, 아이콘이 드래그앤드드롭되었을 때에 이것이 어느 영역에 위치했는가, 즉 어떤 상대에게 향해진 것인가를 판단하다.
ㆍ보안기능
아이콘 및/또는 메시지에 대한 접속을 관리하는 기능이다. 아이콘 및/또는 메시지를 읽고, 이동하거나,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조작의 허가를 준다. 예컨대, 공공공간에 위치한 아이콘의 메시지는 누구라도 읽을 수 있지만, 개인공간에 배치된 아이콘은, 지정된 상대 이외는 읽을 수 없다.
ㆍ공보기능
특별히 상대를 지정하지 않고, 유저의 전원에 대해서 메시지를 보내는 기능이다.
ㆍ관련기능
관련홈페이지로의 링크를 설정하거나, 긴급, 매진, 세일, 신상품 등의 속성을 설정 및 표시하는 기능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머신(1)과 클라이언트(2)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서버기계(1)는, 수신한 메시지를 필요에 따라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11), 클라이언트머신과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12),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메시지 보드의 화면을 작성하는 메시지보드 화면작성부(13), 화면작성부(13)의 출력을 받아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14)를 구비한다. 클라이언트머신(2)은, 서버머신과 통신하기 우한 송수신부(21), 송신메시지를 작성하는 메시지 작성부(22), 메시지 작성부(22)로부터 송신메시지를 수신함과 아울러, 송수신부 (21)로부터 수신메시지를 받아서, 메시지보드 상에 이들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보드 화면작성부(23), 화면작성부(23)의 출력을 받아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24)를 구비한다.
도 6은, 이 시스템에 이용되는, 퍼스컴용 인터페이스와 인터넷 휴대전화용 인터페이스를 서로 변환하기 위한 무선 게이트웨이(3)의 기능블럭도이다. 무선 게이트웨이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인터넷 휴대전화용 인터페이스 변환장치이다. 이 장치는, 서버머신(1)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송수신부(31)와, 통신운반체의 프로토콜 변환서버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송수신부(32)와, 퍼스컴용 인터페이스와 인터넷 휴대전화용 인터페이스를 서로 변환하는 변환부(32)를 구비한다. 변환부(32)는, 퍼스컴용 표시화면 인터페이스를 인터넷 휴대전화용 인터페이스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를 행하는 것이다. 퍼스컴의 표시능력에 비해서 인터넷 휴대전화의 표시능력은 아주 열악하므로, 필요한 정보를 인터넷 휴대전화의 표시능력에 맞추어서 가공한다. 예컨대, 그래픽에 의한 「주먹밥의 아이콘」 「샌드위치의 아이콘」표시를 캐릭터「주먹밥」「샌드위치」로 바꾼다. 이 때문에, 무선 게이트웨이(3)는, 그래픽과 캐릭터의 대응관계의 정보를 격납하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또는, 서버(1)로부터 해당 대응관계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른 예를 들면, 지도 상에 표시된 현재위치를, 캐릭터에 의한 위도경도정보 및/또는 주소표시정보로 변환한다. 이 경우에는, 지도 상의 이치와 위도경도정보 및/또는 주소표시정보의 대응관계를 격납하는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준비된다.
도 7은, 서버(1)와 클라이언트(2), 인터넷 휴대전화(6a, 6b) 간의 메시지의 주고받음의 개요를 나타낸다. 클라이언트(2)가 메시지를 작성하면, 이 메시지(M1)는 서버(1)에 보내짐과 아울러, 자기자신의 화면에도 표시된다. 서버(1)는, 받은 메시지(M1)의 상대목적지를 식별하고, 이것을 대응하는 상대인 인터넷 휴대전화 (6a)에 보낸다(M2 내지 M4). 인터넷 휴대전화(6a)가 답신메시지를 작성하면, 클라이언트(2)에 대해서 답신메시지가 보내진다(M5 내지 M8). 한편, 메시지가 공보인 경우, 인터넷 휴대전화(6)로부터 보내진 메시지(M11)는, 다른 모든 클라이언트(2, 6b)에게도 보내진다(M12 내지 M17). 이와 같이, 서버(1)를 통해서 모든 클라이언트(2, 6a, 6b) 간에 메시지통신이 가능하다.
도 8은, 메시지를 송신하는 클라이언트(2)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우선, 유저가 메시지 아이콘을 클릭하면(S1), 메시지 작성 다이알로그가 표시된다. 여기서, 유저는 임의의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S2), 유저는 메시지보드의 임의의 위치에 아이콘을 드래그앤드드롭한다(S3). 이 조작에 의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따.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화면에 메시지를 표시함(S4)과 아울러, 메시지를 송신한다(S5).
인터넷 휴대전화(6)의 표시화면에는, 도 13(a)(b)와 같은 표시가 이루어진다. 도 13(a)는 서버(1)로 접속하였을 때의 화면을 나타낸다. 메뉴(1)는, 신규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는 것이다. 메뉴(2, 3)는, 자신앞으로 또는 공보의 메시지(1, 2)를 읽기 위한 것이다. 도 13(b)는, 메뉴(1)를 선택하여 메시지(1)를 표시하였을 때의 도면을 나타낸다.
인터넷 휴대전화(6)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도 8의 플로오챠트에 대응시켜서 설명한다. 우선, 유저가 메뉴(1)「신규메시지)를 선택하면(S1), 메시지작성 대화가 표시된다. 여기서, 유저는 임의의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S2). 유저는 작성한 메시지의 송신처를 지정한다(S3). 이 때, 기존의 메시지와 무관계로 송신함과 아울러, 기존의 메시지로 관련시켜서(예컨대. 어느 메시지의 답신으로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터넷 휴대전화(6)는, 자신의 양면에 메시지를 표시함(S4)과 아울러, 메시지를 송신한다(S5).
도 9는, 서버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메시지를 송신하면(S10), 서버는메시지를 전개하고(S11), 자신의 메모리에 격납한다. 또한, 메시지를 소정의 상대에게 전송한다(S12).
도 10은, 메시지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S20), 메시지를 전개하고(S21), 자신의 메시지 보드 상에 메시지를 표시한다. 인터넷 휴대전화(6)는, 도 13의 화면을 예로 들면, 새로운 메시지(4)를 작성하고, 그 메시지의 표시를 행한다.
도 7 내지 도 10의 처리에 의해, 각 클라이언트에서의 메시지의 기입은, 신속히 다른 클라이언트의 화면 상에 반영된다. 이와 같은 임의의 클라이언트 간의 메시지를 송수신을, 동기를 받으면서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버에 모든 정보가 모이므로, 관리도 용이하다.
도 11은, 서버의 보안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전개를 끝낸 메시지(아이콘)에 접속요구가 있었을 때(S31), 요구원의 유저에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S32), 있으면 허가하고(S33), 없으면 거부한다(S43). 마찬가지의 처리가, 메시지의 이동(즉 송신처 어드레스의 변경), 메시지의 편집, 메시지의 삭제의 요구에 대해서도 행해진다(S34 ~ S42). 예컨대, 이 시스템이 누구라도 접속가능한 게시판일 때, 접속, 이동은 누구라도 허가된다. 그러나, 삭제는, 메시지 송신자 또는 관리자만이 허가된다.
도 12는, 이 시스템의 메시지 보드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화면에는, 메시지 보드(30)와, 여기에 표시된 메시지의 예(31, 32)가 표시되어 있다. 화면의 하측에 있는 아이콘(33, 34, 35)은, 각각 메시지 작성 아이콘(33), 관련 홈페이지로의링크를 작성하는 GO아이콘(34), 메시지를 삭제하는 쓰레기통 상자아이콘(35)이다. 아이콘(31a, 31b)은 퍼스컴 클라이언트에 의한 메시지를 나타내고, 아이콘(31a) 내지 (32c)는 인터넷 휴대전화에 의한 메시지를 나타낸다. 아이콘의 종류를 바꿈으로써, 메시지 보드(30) 상에서, 퍼스컴 클라이언트에 의한 메시지와 인터넷 휴대전화에 의한 메시지를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버(1)는, 메시지가 무선 게이트웨이(3)로부터의 것인지 여부를 조사함으로써, 아이콘의 종류를 선택한다.
이 도에 기초하여, 이 시스템의 조작방법을 기술한다.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 아이콘(33)을 클릭하고,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아이콘(33)을 드래그앤드드롭하여, 메시지보드(30)의 임의의 위치에 둔다. 하면 메시지가 전개되어 31, 32와 같이 읽는 상태로 된다. 이 화면의 상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흐름에 의해, 모든 클라이언트에서 동일하다. 따라서, 유저는, 자신의 클라이언트 머신 상의 화면 상에서 모든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종래의 전자메일의 동시 공보와는 다르고, 상대를 지정하는 것없이, 참가하고 있는 모든 유저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아이콘을 이용하여 조작하는 것이므로 직감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매우 사용하기 쉽다.
인터넷 휴대전화의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인터넷 휴대전화(6)가, 프로토콜 변환서버(5), 무선 게이트웨이(4)를 통해서 서버(1)에 접속하면, 도 13(a)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메시지 보드 상에 배치되어 있는 메시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보안 상의 허가되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의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이 메시지 보드에서는, 보안의 문제는 그다지 심각한 문제로는 되지 않는다.누구라도 메시지를 작성하고, 첨부, 삭제가능한 점에 특징이 있다. 물론, 보안을 강화하여, 특정자(예컨대 관리자)만 메시지의 이동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용이하게 가능하다(도 11참조).
메시지 보드에 있어서, 메시지의 관계를 나타내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메시지에 대한 응답 사이에 선을 늘여서, 관련하는 복수의 메시지를 하나의 군으로서 표시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시지의 기둥에 부호A1, A2, …를 붙여도 좋다. 이 부호를 참조함으로써, 원하는 메시지를 직접 열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참조방법은, 특히 인터넷 휴대전화에 있어서 유용하다. 인터넷 휴대전화의 표시부에서는, 계층구조로 메시지가 표시되지만, 읽고 싶은 메시지가 깊은 계층에 있으면 그 메시지에 찾아가기까지 수고가 든다. 이것에 대해서, 도 14와 같이 참조부호가 붙여져 있으면, 그 부호를 검색키로서 직접 해당 메시지를 선택하여 읽을 수 있다.
또는, 도 15와 같이, 메시지의 아이콘에 그 발신자의 URL이나 전화번호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표시에 의해, 메시지의 발신자를 특정할 수 있다.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이 전화번호에 전화를 붙이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시스템/방법에 있어서, 이용자가 준비한 화상을 아이콘에 포함한다. 이하, 이 점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6은, 앞에 설명한 도 1 및 도 3에 상당한다. 도 16에 있어서, 새로이 화상서버(5) 및 이것에 접속된 화상메모리(5a), 아이콘용 화상메모리(5b), 휴대전화용 화상메모리(5c)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서버(5)는 클라이언트(2)로부터 메시지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화상데이터를 받아서 이것을 화상메모리(5a)에 격납한다. 화상서버(5)는, 또한, 받은 화상데이터를 아이콘용 화상 및 휴대전화용 화상으로 변환하여 이들을 각각 아이콘용 화상메모리(5b) 및 휴대전화용 메모리(5c)에 격납한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서버(1)와는 별도로 화상서버(5)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1)가 화상서버(5)의 기능을 다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처리순서에 관해서 도 17의 플로오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클라이언트(2)로부터 서버(1)로, 메시지 및 화상데이터가 보내진다(S50). 서버(1)에 있어서, 메시지와 화상데이터가 분리된다(S51). 분리된 메시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클라이언트에 배신된다(도 7참조).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클라이언트에 대해서 메시지뿐만 아니라 상기 화상데이터 및/또는 아이콘용 화상ㆍ휴대전화용 화상의 네트워크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예컨대 URL)가 보내진다. 즉, 화상의 포인터가 생성되고(S52), 메시지 및 화상의 포인터가 클라이언트 (2a)나 인터넷 휴대전화(6)에 송신된다(S53). 화상데이터는 화상서버(5)에 격납되는 것이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포인터는 화상서버(5)의 URL이다. 화상데이터는 송신자의 이름이나 어드레스 또는 타이틀 등에 의해 특정되는 것이므로, 예컨대, 상기 URL은 송신자의 이름, 어드레스, 타이틀 등을 포함한다. 화상의 포인터는, 오리지널 화상의 격납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아이콘용 화상의 격납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휴대전화용 화상의 격납장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이들 전체가 항상 송신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휴대전화에 대해서는 휴대전화용 화상의 격납장소만이 송신되어도 좋다.
서버(1)로부터 화상데이터가 화상서버(5)로 송신된다(S54). 화상서버(5)는 받은 화상데이터를 화상메모리(5a)에 격납됨과 아울러, 받은 화상데이터로부터 아이콘용 화상데이터 및 휴대전화용 화상데이터를 생성하고(S55, S56), 각각 아이콘용 화상메모리(5b), 휴대전화용 화상메모리(5c)에 격납한다. 아이콘용 화상데이터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메시지의 아이콘(40)에 짜넣어진다. 아이콘용 화상은, 일반적으로는, 오리지널 화상보다 작다. 그래서, 오리지널 화상데이터의 해상도를 낮추거나, 또한 화상압축의 압축율을 높임으로써, 그 데이터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콘용 화상데이터의 크기(화소수)를 어느 정도로 하는가는, 화면 상에 표시된 아이콘의 크기와, 해당 화면의 표시능력의 관계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휴대전화용 화상데이터도, 일반적으로는, 오리지널 화상보다 작다. 그래서, 아이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사이즈를 작게 한다. 휴대전화용 화상데이터의 크기(화소수)를 어느 정도로 하는가는, 휴대전화의 화면의 표시능력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또한, 휴대전화의 화면의 색채의 표시능력에 기초하여 화상의 색데이터를 압축한다. 예컨대, 휴대전화의 화면이 흑백이면, 색정보는 불필요하다.
클라이언트(2a)에 메시지 및 화상의 포인터가 송신되면, 클라이언트(2a)는 화상서버(5)에 대해서 아이콘용 화상을 요구한다(S57). 클라이언트(2a)는, S53에서 받은 화상의 포인터를 이용하여 화상서버(5)에 접속한다. 화상서버(5)로부터 클라이언트(2a)에게 아이콘용 화상이 송신된다(S58). 클라이언트(2a)는 받은 아이콘용 화상을 아이콘(40)에 짜넣는다.
이용자가 오리지널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도 18의 「Download」 번튼을 클릭한다. 하면, 클라이언트(2a)는 화상서버(5)로 화상의 요구를 송신하고(S59), 화상서버(5)는 클라이언트(2a)에게 오리지널 화상을 송신한다(S60). 클라이언트(2a)는 받은 화상을 표시하거나, 로컬의 하드디스크에 격납한다.
인터넷 휴대전화(6)에 메시지 및 화상포인터가 표시되면, 인터넷 휴대전화 (6)는 화상서버(5)에 대해서 휴대전화용 화상을 요구한다(S61). 화상서버(5)는 인터넷 휴대전화(6)로 휴대전화용 화상을 송신한다(S62). 휴대전화(6)는 받는 화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4에 있어서의 클라이언트(2)의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메시지의 아이콘(40)이 표시되어 있지만, 이 아이콘(40)은 화상(40a)을 포함함과 아울러, 발신자를 식별하기 위한 표시(40b), 메시지버튼(40c), 다운로드버튼(40d)을 포함한다. 메시지버튼(40c)을 클릭하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운로드버튼(40d)을 클릭하면, 오리지널 화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음에, 메시지의 송신순서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메시지 작성아이콘 (33)을 클릭한다. 하면, 메시지 입력용 대화박스가 표시되므로, 거기에 메시지를 입력한다. 화상을 송신하고 싶을 때에는, 화상버튼을 클릭하여 화상입력용 대화박스를 표시시킨다. 이 대화박스에서 화상화일을 선택한다. 대화박스를 닫으면 아이콘이 표시되므로, 이 아이콘을 소정의 위치에 드래그앤드드롭한다. 또한, 발신자인 클라이언트(2)에 있어서, 아이콘에 포함되는 화상을 자신이 작성하여도 좋고, 또는, 서버(1)로부터 화상포인터를 받아서 화상서버(5)로부터 입수하여도 좋다.
이 시스템/방법에 의하면, 메시지와 아울러 화상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달되야하는 화상이 아이콘에 포함되므로, 수신자는 그 내용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메일과는 다른 복수인의 사이에서 용이하게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이 조작도 아이콘의 드래그앤드드롭조작에 의해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고, 이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단은 반듯이 물리적 수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각 수단의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하나의 수단의 기능이, 두개이상의 물리적 수단에 의해 실현되어도, 또는, 두개이상의 수단의 기능이, 한개의 물리적수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화상통신용 서버 및 화상통신방법은, 서버, 클라이언트, 인터넷 휴대전화 간에 화상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Claims (17)

  1.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화상을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는 화상통신용 서버로서, 화상입력부와, 이 화상입력부에서 받은 화상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화상을 통신상대인 인터넷 휴대전화용 인터페이스와 통상의 컴퓨터용 인터페이스를 서로 변환함과 아울러 상기 인터넷 휴대전화의 표시능력에 맞추어서 상기 화상을 가공하는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추가로,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입력부는 상기 촬상수단으로부터의 화상을 샘플링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샘플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서버.
  3. 제 2항에 있어서, 미리 샘플링 스케줄이 설정된 타이머를 구비하고, 상기 샘플링부는 상기 타이머에 기초하여 샘플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서버.
  4. 제 2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인터넷 휴대전화로부터 화상요구가 송신되고, 이것을 받아서 상기 샘플링부는 화상을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화상이 해당 이용자에게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서버.
  5. 제 1항에 있어서, 추가로, 텍스트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에 있어서 화상과 입력된 텍스트를 대응시키는 링크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화상 및 상기 텍스트와 아울러 상기 링크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서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화상을 격납하는 화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서버는, 화상을 격납하는 화상메모리와, 아이콘용으로 변환된 화상을 격납하는 아이콘용 화상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서버는, 상기 화상을 받아서 상기 화상을 상기 화상메모리에 격납함과 아울러 상기 화상을 아이콘용 화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아이콘용 화상메모리에 격납하고, 해당 화상의 포인터를 생성하고, 상기 아이콘용 화상과 아울러 상기 포인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서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서버는, 송신된 상기 포인터에 기초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화상송신요구를 받고, 이것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메모리로부터 대응하는 화상을 판독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서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오리지널 화상의 격납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아이콘용 화상의 격납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및 휴대전화용 화상의 격납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서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입력부로서의 카메라 및 상기 메모리로서의 화상메모리와, 통신회선에 접속된 복수의 모뎀과, 이 복수의 모뎀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이용자로부터 화상의 송신요구를 받았을 때, 상기 화상메모리의 화상데이터를 해당 이용자에게 향하여 송신하는 화상송신제어부를 구비하는 화상송신부; 및
    상기 이용자와 상기 화상송신부 간의 통신의 확립을 감시하고, 통신의 시간 및/또는 통신의 데이터량을 계측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정보제공료를 산출하고, 상기 이용자에 대해서 통신료에 추가하여 과금하는 과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서버.
  10. 제 9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와,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는, 복수의 이용자에 의한 제어가 경합되었을 때에, 이용시간이 가장 긴 이용자의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서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는, 상기 이용자에 대해서 제어권 취득예고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서버.
  12. 제 9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와,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받아서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는, 복수의 이용자에 의한 제어가 경합되었을 때에, 상기 복수의 이용자에 대해서 입찰을 재촉하고, 이것에 대한 응찰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용 서버.
  13. 화상을 취득하는 제 1스텝;
    취득한 화상을 서버로 업로드하는 제 2스텝;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요구를 받는 제 3스텝;
    송신요구원이 통상의 컴퓨터인지 아니면 인터넷 휴대전화인지를 판정하는 제 4스텝;
    송신요구원이 통상의 컴퓨터일 때, 요구된 화상을 송신하는 제 5스텝;
    송신요구원이 인터넷 휴대전화일 때, 송신요구원의 표시능력에 맞추어서 화상을 변환하는 제 6스텝; 및
    변환된 화상을 송신하는 제 7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취득한 화상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서버로 업로드하는 스텝; 및
    업로드된 화상과 텍스트를 대응시켜서 링크정보를 준비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제 5스텝 또는 제 7스텝 중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상기 화상과 아울러 상기 링크정보 및/또는 상기 텍스트가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6스텝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해상도를 낮춘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6스텝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색정보를 감축한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5스텝 또는 상기 제 7스텝 중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아이콘용 화상을 생성하는 스텝;
    상기 화상의 포인터를 생성하는 스텝;
    상기 아이콘용 화상과 아울러 상기 포인터를 송신하는 스텝; 및
    송신된 상기 포인터에 기초하는 화상송신요구를 받고, 이것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화상을 판독하여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방법.
KR1020020025241A 2001-05-09 2002-05-08 화상통신용 서버 및 화상통신방법 KR200200858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39383A JP2002342217A (ja) 2001-05-09 2001-05-09 画像通信用サーバ及び画像通信方法
JPJP-P-2001-00139383 2001-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848A true KR20020085848A (ko) 2002-11-16

Family

ID=1898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241A KR20020085848A (ko) 2001-05-09 2002-05-08 화상통신용 서버 및 화상통신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20167522A1 (ko)
EP (1) EP1257109A3 (ko)
JP (1) JP2002342217A (ko)
KR (1) KR20020085848A (ko)
CA (1) CA23857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095B1 (ko) * 2006-09-15 2007-12-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중화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3348B1 (en) 1998-11-06 2002-09-17 Ameritech Corporation Extranet architecture
JP2004072613A (ja) * 2002-08-08 2004-03-04 Fujitsu Ltd 画像転送方法、画像転送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R2852769B1 (fr) * 2003-03-20 2005-09-16 Eastman Kodak Co Procede de partage de donnees multimedia
JP2004336343A (ja) * 2003-05-07 2004-11-25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
KR100585537B1 (ko) * 2003-12-09 200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전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938506B2 (en) * 2003-12-29 2015-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ddressing messages
JP4241484B2 (ja) * 2004-04-14 2009-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着信応答メッセージ送信方法およびサーバ装置
GB2413735A (en) * 2004-04-30 2005-11-02 Canon Europa Nv Mobile phone image display system
JP2007536634A (ja) * 2004-05-04 2007-12-13 フィッシャー−ローズマウント・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のためのサービス指向型アーキテクチャ
US8090361B2 (en) * 2006-05-26 2012-01-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computer systems using wireless devices
WO2008034149A2 (en) * 2006-09-15 2008-03-20 Van Der Merwe Willem J Data hosting and dissemin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s
US8090694B2 (en) * 2006-11-02 2012-01-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dex of locally recorded content
JP2008005518A (ja) * 2007-07-23 2008-01-10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システム
JP5041905B2 (ja) * 2007-08-06 2012-10-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生成方法、画像表示方法、画像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20090083115A1 (en) 2007-09-24 2009-03-26 Pearson Gregory A Interactive networking systems
US9275247B2 (en) 2007-09-24 2016-03-01 Gregory A. Pearson, Inc. Interactive networking systems with user classes
JP4770995B2 (ja) * 2010-04-05 2011-09-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US8918453B2 (en) * 2012-01-03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data representation for user equipments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20130218704A1 (en) * 2012-02-22 2013-08-22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camera systems
JP5382176B2 (ja) * 2012-07-26 2014-01-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US9077647B2 (en) 2012-10-05 2015-07-07 Elwha Llc Correlating user reactions with augmentations displayed through augmented views
US10180715B2 (en) 2012-10-05 2019-01-15 Elwha Llc Correlating user reaction with at least an aspect associated with an augmentation of an augmented view
US10713846B2 (en) 2012-10-05 2020-07-14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augmentation data
US9141188B2 (en) 2012-10-05 2015-09-22 Elwha Llc Presenting an augmented view in response to acquisition of data inferring user activity
US10269179B2 (en) 2012-10-05 2019-04-23 Elwha Llc Displaying second augmentations that are based on registered first augmentations
US9215428B2 (en) * 2013-01-07 2015-12-15 Dorel Juvenile Group, Inc. Child-monitoring system
US9639964B2 (en) 2013-03-15 2017-05-02 Elwha Llc Dynamically preserving scene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ystems
US10109075B2 (en) 2013-03-15 2018-10-23 Elwha Llc Temporal element restoration in augmented reality systems
US10025486B2 (en) 2013-03-15 2018-07-17 Elwha Llc Cross-reality select, drag, and drop for augmented reality systems
US20140267411A1 (en) * 2013-03-15 2014-09-18 Elwha Llc Indicating observation or visibility patterns in augmented reality systems
US9936114B2 (en) 2013-10-25 2018-04-03 Elwha Llc Mobile device for requesting the capture of an image
WO2015166564A1 (ja) * 2014-04-30 2015-11-05 富士通株式会社 配信装置、配信システムおよび配信方法
US9485637B2 (en) * 2015-02-12 2016-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mediated data entry in a shared message board through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170153791A1 (en) * 2015-12-01 2017-06-01 Linkedln Corporation Conditional animation of an icon
JP6622654B2 (ja) * 2016-06-07 2019-12-18 株式会社エクサ 画像管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3674B2 (ja) * 1996-10-25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制御システム並びにカメラ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US6564263B1 (en) * 1998-12-04 2003-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media content description framework
US6345279B1 (en) * 1999-04-23 2002-0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ng multimedia content for client devices
US20010047517A1 (en) * 2000-02-10 2001-11-29 Charilaos Christopoulos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transcoding of multimedia data
JP2001312446A (ja) * 2000-04-28 2001-11-0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媒体
US20020093678A1 (en) * 2000-10-17 2002-07-18 Skidgel John M. Managing and searching digital images
US6453361B1 (en) * 2000-10-27 2002-09-17 Ipac Acquisition Subsidiary I, Llc Meta-application architecture for integrating photo-service websites
US20020138279A1 (en) * 2001-03-21 2002-09-26 Binnur Al-Kazily On-line digital imaging ser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095B1 (ko) * 2006-09-15 2007-12-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중화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57109A3 (en) 2004-01-02
EP1257109A2 (en) 2002-11-13
CA2385707A1 (en) 2002-11-09
JP2002342217A (ja) 2002-11-29
US20020167522A1 (en) 200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5848A (ko) 화상통신용 서버 및 화상통신방법
US8725175B2 (en) Network manager system for location-awar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EP1199856A2 (en) Electronic bulletin board
JPH11120205A (ja) 文脈に基づいてドキュメント関連情報を検索し、転送する方法及び装置
EP1128634A2 (en) Client server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JP2002269010A (ja) 電子メール処理システム及びメールサーバ
KR20040053166A (ko) 통신 장치를 통한 선택적 매체 캡처
JP2002202936A (ja) 情報収集サーバ及び情報収集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000030847A (ko) 인터넷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을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WO2008088711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100381500B1 (ko) 전자 명함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JPH11328059A (ja) サーバ装置、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通信方法
EP1205858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KR20020009729A (ko) 친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30036A (ko) 메시지 수신처를 화상상에서 지정하는 메시지 전달방법 및장치
KR100851341B1 (ko)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된 각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을 이용한데이터 전송방법과 기록매체
KR100420551B1 (ko)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 간의 데이터베이스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JP3968544B2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3459907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
JP2002297492A (ja) 簡易情報の元情報提供サーバシステム及び方法、コンテンツサーバシステム
JP2005057708A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送受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及び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
KR100673220B1 (ko) 사진관리 기능을 갖는 모바일 홈페이지 서비스 시스템 및이의 운용 방법
JPH1185648A (ja) 受信情報処理方法、情報通信処理装置、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端末およびサーバ装置
JP2004227323A (ja) 電子メール通信システム
JP4727496B2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