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131A -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131A
KR20020085131A KR1020010024427A KR20010024427A KR20020085131A KR 20020085131 A KR20020085131 A KR 20020085131A KR 1020010024427 A KR1020010024427 A KR 1020010024427A KR 20010024427 A KR20010024427 A KR 20010024427A KR 20020085131 A KR20020085131 A KR 20020085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injection amount
liquid injection
hose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빈
Original Assignee
이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빈 filed Critical 이상빈
Priority to KR102001002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5131A/ko
Publication of KR20020085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1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등의 혈관에 링거액이 주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챔버나 라인상에 링거액의 주입량 조절이 가능한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여 수액 또는 약물의 주입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링거액이 내장된 링거팩(100)과, 상기 링거팩(100)이 하단부에 밀봉 연통되는 호스(200)와, 상기 호스(200) 상에 설치되어 링거액이 흐르는 양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챔버(300)와, 상기 호스(200) 선단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혈관에 주사되는 주사기(400)로 이루어진 링거액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300) 중앙부에 서로 맞물려 고정되어 있는 상·하부관(10,11)과; 상기, 상·하부관(10,11)에 삽입되어 링거액의 주입되는 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유량조절밸브(500)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챔버(300)는 상·하부에 각각 링거액 주입홀(13,13a)이 형성된 상부관(10)과 하부관(11)으로 형성하되 상·하부관(10,11) 각각에 사각 또는 원형의 홈(12,12a)이 일치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12,12a)의 일측은 폐쇄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하부관(10,11) 내측에 삽입홈(14)이 형성된다,
상기의 유량조절밸브(500)는 내부에 체결홈(22)을 형성하여 이 체결홈(22)에 암나사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20,20a)와, 상기 암나사부(23)에 체결되게 숫나사부(31)가 형성되어 슬라이더(20,20a)의 체결홈(22)에 삽입되는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30) 일측 외주면에 일체화된 삽입돌기(32)와, 상기 회전축(30) 끝단부에 볼트(50)로 고정한 조절핸들(40)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Device for regulating a volume of ringers solution}
본 발명은 환자 등의 혈관에 링거액이 주입되는 양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챔버나 라인상에 링거액의 주입량 조절이 가능한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여 수액 또는 약물의 주입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위장으로 음식을 섭취하여 소화하는 기능이 저하되어 필요한 양분 즉 포도당, 주사액 등을 환자에게 보충하기 위하여 링거팩에 내장된 링거액을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의 링거액 주입장치는 링거액이 내장된 링거팩, 링거팩의 하단부에 밀봉 연통하는 호스와, 상기 호스 상에 설치되어 링거액이 흐르는 양을 육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링거액흐름양확인구와, 상기 호스 선단부에 설치되어 환자의혈관에 주사되는 주사기 및 상기 링거액흐름양확인구와 주사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호스의 단면적을 조정하여 링거액이 주사기로 흐르는 양을 조정하는 조정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링거액 주입장치는 간호사가 환자의 혈관에 주사기를 삽입하고 조정기를 조정하여 호스에 흐르는 링거액의 양을 조정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의 조정기는 통상적으로 상·하로 회전시켜 호스의 단면적을 조정하면서 링거액이 주사기로 흐르는 양을 조정하게 되는데 상기 조정기의 과다사용 및 호스가 연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링거액의 흐르는 양을 미세하게 조정하기에는 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링거액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인젝터(injector)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의 인젝터는 가격이 비싸고 별도로 링거액 주입장치와 설치하여 관리해야 하므로 보관 및 관리가 불편하고 기기의 오작동 및 고장율이 잦아 자칫 고장으로 링거액이 환자에게 투여되지 않거나 과다한 투여로 환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챔버나 라인 상에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므로 투입하고자 하는 수액의 양을 임의로 조절이가능하여 투입량이 적거나 과다 투입으로 인하여 환자에게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의 안전성을 높이게 되는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링거액이 내장된 링거팩과, 상기 링거팩의 하단부에 밀봉하여 연결된 호스와, 상기 호스 상에 링거액이 호스를 통해 흐르는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챔버와, 상기 챔버상에 설치되어 주입되는 링거액의 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한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호스 선단부에 환자의 혈관에 삽입되는 주사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챔버는 상·하부에 각각 링거액 주입홀이 형성된 상부관과 하부관으로 형성하되 상·하부관 각각에 사각 또는 원형의 홈이 일치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의 일측은 폐쇄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하부관 내측에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관의 홈에 링거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의 유량조절밸브는 내부에 체결홈을 형성하여 이 체결홈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와,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게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체결홈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일측 외주면에 일체화된 삽입돌기와, 상기 회전축 끝단부에 볼트로 고정한 조절핸들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가 적용되는 링거액 주입장치를 나타낸 전체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링거팩 (200) : 호스
(300) : 챔버 (400) : 주사기
(500) : 유량조절밸브 (10) : 상부관
(11) : 하부관 (12) : 홈
(13,13a) : 링거액 주입홀 (14) : 삽입홈
(20) : 슬라이더 (21,21a) : 관통홀
(22) : 체결홈 (23) : 암나사부
(30) : 회전축 (31) : 숫나사부
(32,32a) : 삽입돌기 (40,40a) : 조절핸들
(50) : 볼트 (60) : 회전봉
(70) : 회전량 확인수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가 적용되는 링거액 주입장치를 나타낸 전체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링거액이 내장된 링거팩(100)과, 상기 링거팩(100)의 하단부에 밀봉 연통하는 호스(200)와, 상기 호스(200) 상에 설치되어 링거액이 흐르는 양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챔버(300)와, 상기 호스(200) 선단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혈관에 주사되는 주사기(400)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링거액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300) 상에 링거액의 주입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500)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진 것이다.
상기, 챔버(300)는 중앙부에 상부관(10)과 하부관(11)이 서로 맞물려 고정된 구조로, 상기 상부관(10)은 중앙에 링거액 주입홀(13)이 형성되고 하부에 홈(12,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관(11)은 중앙에 상부관(10)과 동일선상으로 링거액 주입홀(13a)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관(10)의 홈(12,12a)과 동일한 형상의 홈(12,1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관(10,11) 각각의 일측에 동일선상으로 삽입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관(10,11)의 홈(12,12a)에 유량조절밸브(500)를 삽입함에 있어, 상기 유량조절밸브(500)는 상·하부관(10,11)의 홈(12,12a)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20,20a)와; 상기 슬라이더(20,20a)내에 일측이 삽입되게 되어 슬라이더(20,20a)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30) 끝단부에는 상기의 회전축(30)을 회전하게 되는 조절핸들(40)이 볼트(50)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20,20a)는 링거액이 주입되게 되는 관통홀(21)이 형성되고 내측부에 회전축(30)이 삽입되게 체결홈(22)을 형성하되 이 체결홈(22) 외주벽에 암나사부(23)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축(30) 일측 외주면에는 암나사부(23)에 체결되게 숫나사부(31)를 형성하고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의 삽입홈(1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가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유량조절밸브(500)의 슬라이더(20,20a)를 상·하부관(10,11)의 홈(12,12a)내에 삽입되게 하고 삽입돌기(32)를 삽입홈(14)에 삽입하여 유량조절밸브(500)를 챔버(300)상에 결합한 상태에서 조절핸들(40)을 돌려 회전축(30)을 회전시키고 이때 회전축(30)의 회전으로 슬라이더(20,20a)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링거액 주입홀(13,13a)과 관통홀(21)의 관통범위가 작아지거나 넓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 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부관(10,11)에 형성된 홈(12)의 형상을 사각형이나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이 각각의 홈(12,12a)에 일치되게 슬라이더(20,20a)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하부관(10,11)의 홈(12a) 양측에 안착부(15)를 형성하고 상기 홈에(12a) 삽입되는 원통형의 슬라이더(20a) 양측부에 돌기(16)를 형성하여 이 돌기(16)가 안착부(15)에 안착되게 된다.
그러므로, 유량조절밸브(500)의 조절핸들(40)을 회전시켜도 슬라이더(20a)가 회전되지 않고 좌·우로만 슬라이딩 되므로 원형의 구조상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된 본 발명은 링거팩(100)에 주입되어 있는 수액이나 약물 등의 링거액이 호스(200)를 통해 챔버(300)로 주입되게 되고 챔버(300)로 주입된 링거액은 상부관(10)의 링거액 주입홀(13)을 거쳐 유량조절밸브(500)의 관통홀(21)로 유입되며 또한, 하부관(11)의 링거액 주입홀(13a)을 통해 챔버(300) 선단부의 호스(200)로 유입되어 환자의 혈관에 주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링거액이 주입되는 과정에서 링거액의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해 챔버(300) 상에 유량조절밸브(5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의 링거액 주입량을 조절하기 위해 유량조절밸브(500)의 조절핸들(40)을 돌리게 되면 조절핸들(40)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30)이 조절핸들(4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30)에 일체화된 삽입돌기(32)가 삽입홈(14)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회전축(30)이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최초 상태에서 회전 작동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회전축(30)의 회전으로 숫나사부(31)와 맞물려 있는 암나사부(23)에 의해 슬라이더(20,20a)가 도 4 에서와 같이 좌·우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하부관(10,11) 각각의 링거액 주입홀(13,13a)과 슬라이더(20,20a)에 형성된 관통홀(21)의 겹쳐지는 범위가 넓어지거나 작아지게 되어 넓을 경우 링거액의 주입량이 늘어나고 작을 경우 주입량이 적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숫나사부(31)와 암나사부(23)의 나사날의 크기에 의해 링거액의 주입량을 세밀하게 할 수 있으며 조절핸들(40)의 크기에 따라서도 미세 용량의 차이를 갖게 된다.
상기의 상·하부관(10,11)의 홈(12,12a)과 슬라이더(20,20a)가 사각이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서로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에서와 같은 구조로 호스(200)상에 링거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500)를 설치하여서도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의 본 발명과 동일한 구조 및 작용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과 그에 따른 도시는 생략한다.
변형예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살펴보면 도 6 에서와 같이 챔버(300) 중앙에 상·하부관(10,11)을 서로 맞물려 고정하되 상기, 상·하부관(10,11)은 중앙으로 링거액이 주입되게 링거액 주입홀(13,13a)을 형성하고 상·하에 각각 원통형의 홈(12)을 형성하며 일측 끝단에는 삽입홈(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관(10,11)의 홈(12)에 링거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있는 유량조절밸브(500)가 삽입되게 되는데 상기, 유량조절밸브(500)는 일측에 회전봉(60)이 형성되고 타측에 회전봉(60)과 일체화된 조절핸들(4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봉(60)은 중앙에 링거액이 주입되게 관통홀(21a)을 형성하고 일측 끝단부에는 삽입홈(14)에 삽입되어 유량조절밸브(500)를 지지할 수 있는 삽입돌기(32a)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핸들(40a)의 외측 표면에는 회전량 확인수치(70)가 표시되게 된다.
상기의 구조에서와 같이 조절핸들(40a)을 돌리게 되면 회전봉(60)이 조절핸들(40a)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되므로 조절핸들(40a)을 돌려 회전봉(60)에 형성된 관통홀(21a)이 링거액 주입홀(13,13a)과 연통되게 하면 링거액이 많이 주입되게 되고 링거액의 주입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조절핸들(40a)을 돌려 관통홀(21a)이 링거액 주입홀(13,13a)과의 연통되는 부위를 적게 하면 된다. 이때, 조절핸들(40a)에 표시되어 있는 회전량 확인수치(70)로 링거액 주입홀(13,13a)로부터 관통홀(21a)이 얼마만큼 관통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링거액이 주입되는 링거액 주입장치에 있어 챔버 상에 주입되는 링거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므로써 링거액의 주입량을 필요한 만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링거액 주입량 조정기의 마모로 인해 발생되는 과다한 투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또한 링거액의 주입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인젝터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기기의 가격이 비싸고 관리가 불편하며 고장율이 잦아 자칫 고장으로 링거액이 투여되지 않거나 과다하게 투여되어 환자에게 유발될 수 있는 안전사고로부터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를 사용하므로 인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9)

  1. 링거액이 내장된 링거팩(100)과, 상기 링거팩(100)이 하단부에 밀봉 연통되는 호스(200)와, 상기 호스(200) 상에 설치되어 링거액이 흐르는 양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챔버(300)와, 상기 호스(200) 선단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혈관에 주사되는 주사기(400)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링거액 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300) 중앙부에 서로 맞물려 고정되어 있는 상·하부관(10,11)과;
    상기, 상·하부관(10,11)에 삽입되어 링거액의 주입되는 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유량조절밸브(500)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300)의 상·하부관(10,11)은 각각 중앙으로 동일선상에 링거액 주입홀(13,13a)이 형성되고 내측부에 사각형의 홈(12) 또는 양측에 안착부(15)가 형성된 원통형의 홈(12a)이 형성되며 상·하부관(10,11) 각각의 일측에 동일선상으로 삽입홈(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500)는 상·하부관(10,11)의 홈(12)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고 사각형의 홈(12) 및 원통형의 홈(12a)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사각 및 원통형의 슬라이더(20,20a)와; 슬라이더(20,20a)내에 일측이 삽입되게 되어 슬라이더(20,20a)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축(30)과; 회전축(30) 끝단부에는 상기의 회전축(30)을 회전시키는 조절핸들(40)이 볼트(50)로 고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20a)는 링거액이 주입되게 관통홀(21)이 형성되고 내측부에 회전축(30)이 삽입되게 체결홈(22)을 형성하되 이 체결홈(22) 외측벽에 암나사부(23)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a)는 양측부에 원통형 홈(12a)의 안착부(15)에 안착되어 슬라이더(20a)가 회전되지 않게 돌기(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은 일측 외주면에 암나사부(23)에 체결되게 숫나사부(31)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 삽입돌기(32)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500)는 일측에 회전봉(60)이 형성되고 타측에 회전봉(60)과 일체화된 조절핸들(40a)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60)은 중앙에 링거액이 주입되게 관통홀(21a)이 형성되고 일측 끝단부에 삽입돌기(3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핸들(40a)의 외측 표면에는 회전량 확인수치(70)가 표시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20010024427A 2001-05-04 2001-05-04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KR20020085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427A KR20020085131A (ko) 2001-05-04 2001-05-04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427A KR20020085131A (ko) 2001-05-04 2001-05-04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167U Division KR200240495Y1 (ko) 2001-05-07 2001-05-07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131A true KR20020085131A (ko) 2002-11-16

Family

ID=2770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427A KR20020085131A (ko) 2001-05-04 2001-05-04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51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1858A1 (zh) * 2014-12-22 2016-06-30 胡绍勤 一种输液流速调节器
WO2019027091A1 (ko) * 2017-08-03 2019-02-07 주식회사 솔메이트 정맥 주사용 유량 조절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9343U (ko) * 1981-02-26 1982-08-31
JPS59207160A (ja) * 1983-04-23 1984-11-24 インタ−メデイカツ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滴量制御装置
US4559036A (en) * 1983-12-14 1985-12-17 Wunsch Richard E Apparatus for controlling administration of multiple intravenous solutions and medications
JPH0354653A (ja) * 1989-07-21 1991-03-08 Tokyo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プロセッサの固定データ書込方法
US5730730A (en) * 1995-09-29 1998-03-24 Darling, Jr.; Phillip H. Liquid flow rate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9343U (ko) * 1981-02-26 1982-08-31
JPS59207160A (ja) * 1983-04-23 1984-11-24 インタ−メデイカツ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滴量制御装置
US4559036A (en) * 1983-12-14 1985-12-17 Wunsch Richard E Apparatus for controlling administration of multiple intravenous solutions and medications
JPH0354653A (ja) * 1989-07-21 1991-03-08 Tokyo Electric Co Ltd マイクロプロセッサの固定データ書込方法
US5730730A (en) * 1995-09-29 1998-03-24 Darling, Jr.; Phillip H. Liquid flow rate control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1858A1 (zh) * 2014-12-22 2016-06-30 胡绍勤 一种输液流速调节器
WO2019027091A1 (ko) * 2017-08-03 2019-02-07 주식회사 솔메이트 정맥 주사용 유량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3657B2 (ja) 静脈注入用薬液の流量調節デバイス
US3662752A (en) Infusion device
KR960012362B1 (ko) 액체 주입기
EP3320931B1 (en) Selector
KR200240495Y1 (ko)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0909342B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US7318819B2 (en) Automatic locking valve for medication injection
KR20020085131A (ko)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1952322B1 (ko) 수액세트용 유량조절장치
KR20190023899A (ko) 멀티 웨이 밸브유닛
KR102297404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0409020B1 (ko) 링거액 주입량 조절기
CN101325983B (zh) 包括阀和流量控制器的流量控制组件
KR100399643B1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KR200467859Y1 (ko) 수액 조절기
KR200265972Y1 (ko)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1706147B1 (ko)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KR200253242Y1 (ko) 링거액 주입량 조절기
KR0172665B1 (ko)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역류 및 공기차단 장치
KR102354003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JP6499457B2 (ja) 医療用活栓
KR100399644B1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KR102307988B1 (ko) 약액 유량 조절 장치
KR200491771Y1 (ko) 매니폴드를 구비한 조영제 혼합 주입시스템
KR100500167B1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