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859Y1 - 수액 조절기 - Google Patents

수액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859Y1
KR200467859Y1 KR2020100006039U KR20100006039U KR200467859Y1 KR 200467859 Y1 KR200467859 Y1 KR 200467859Y1 KR 2020100006039 U KR2020100006039 U KR 2020100006039U KR 20100006039 U KR20100006039 U KR 20100006039U KR 200467859 Y1 KR200467859 Y1 KR 200467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airtight member
airtight
storage space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585U (ko
Inventor
조영춘
Original Assignee
조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춘 filed Critical 조영춘
Priority to KR2020100006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859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5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5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8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액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이 개방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관 및 제2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관과 연결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2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제1유로를 향해 길게 연장된 제2유로가 상기 수납공간의 일면에 형성된 제1몸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와 각각 소통하는 제1구멍 및 제2구멍이 형성된 기밀 부재;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기밀 부재와 밀착되고, 상기 기밀 부재와 밀착되는 면에 깊이 또는 너비가 점차 증가 또는 감소하는 형태의 제3유로가 형성되며,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테두리를 갖는 조절 부재; 및 상기 제1몸체와 결합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기밀 부재와 상기 조절 부재를 고정하는 제2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액 조절기{An Injection Volume Regul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저장용기에 저장된 수액 또는 약액이 환자의 신체로 주입되는 속도를 조절하는 수액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액의 주입속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액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수액 조절기는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환자에게 수액이나 약액을 지속적으로 주입할 때, 환자에게 주입되는 수액이나 약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많이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수액 조절기의 한 예(공개특허공보 제2003-14475호)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수액 조절기(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와 조절 부재(220)와 기밀 부재(230)로 이루어진다. 몸체(2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며, 수액이 내부를 관통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입구(202)와 출구(204)를 갖는다. 원통 형태의 조절 부재(220)는 몸체(210)의 수납공간에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둘레를 따라 다른 깊이를 갖는 유로(222)를 갖는다. 여기서, 유로(222)는 몸체(210)의 입구(202)와 출구(204)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 구실을 한다. 그리고 기밀 부재(230)는 조절 부재(220)의 유로(222)에 설치되어, 조절 부재(220)의 회전 시 수액 또는 약액이 정해진 유로(222) 바깥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실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액 조절기(200)는 조절 부재(220)를 회전시켜, 입구(202)로부터 출구(204)까지의 통로면적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환자의 상태에 맞게 수액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 수액 조절기(200)는 조절 부재(220)의 원활한 회전운동을 보장하기 위해, 조절 부재(220)가 몸체(210)의 수납공간의 체적보다 상당히 작게 제작된다. 아울러, 정해진 유로(222)로만 수액이 이동될 수 있도록, 유로(222)의 바깥쪽에 기밀 부재(230)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조절 부재(220)의 잦은 회전운동 시 기밀 부재(230)에 외력이 작용하므로, 고무와 같은 압축성 재질로 제작되는 기밀 부재(230)가 유로(222)의 안쪽으로 불거져 나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기설정된 유로(222)의 깊이 변화 또는 너비 변화를 불규칙하게 변화시키므로, 수액 조절기(200)를 통한 정확한 수액 조절을 어렵게 한다.
아울러, 종래의 수액 조절기(200)는 몸체(210)의 수납공간과 조절 부재(220) 사이에 기밀 부재(23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기밀 부재(230)가 본 위치를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여지가 많으며, 이로 인해 수액이 누출될 가능성도 높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액의 공급량이 사용자 또는 조작자의 의도에 따라 비교적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는 수액 조절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유로가 형성된 내부의 기밀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수액 조절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액 조절기의 내부 유로가 수액 조절기의 기밀을 수행하는 부재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되어, 수액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면이 개방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관 및 제2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관과 연결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2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제1유로를 향해 길게 연장된 제2유로가 상기 수납공간의 일면에 형성된 제1몸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와 각각 소통하는 제1구멍 및 제2구멍이 형성된 기밀 부재;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기밀 부재와 밀착되고, 상기 기밀 부재와 밀착되는 면에 깊이 또는 너비가 점차 증가 또는 감소하는 형태의 제3유로가 형성되며,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테두리를 갖는 조절 부재; 및 상기 제1몸체와 결합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기밀 부재와 상기 조절 부재를 고정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수액 조절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공간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기밀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와 접하는 상기 기밀 부재의 면에는, 상기 기밀 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밀 부재와 다른 재질의 제1보강 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유로와 접하는 상기 기밀 부재의 면에는, 상기 기밀 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제3유로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밀 부재와 다른 재질의 제2보강 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제1구멍 및 상기 제2구멍이 형성된 일부 구간에만 설치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밀 부재는 상대적으로 압축성이 좋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부재들은 상대적으로 압축성이 낮은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른 수액 조절기는 내부의 기밀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면서, 유로의 깊이 또는 너비 변화를 통한 수액의 공급량 조절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액 조절기는 기밀 부재와 유로들 사이에 비 압축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장시간의 사용에도 기밀 부재가 수액의 유로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수액 조절기의 정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액 조절기의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수액 조절기의 분리 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절 부재의 제3유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와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수액 조절기의 결합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액 조절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수액 조절기의 분리 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수액 조절기의 기밀 부재와 보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수액 조절기의 분리 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절 부재의 제3유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와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수액 조절기의 결합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액 조절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수액 조절기의 분리 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수액 조절기의 기밀 부재와 보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실시형태)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수액 조절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 기밀 부재(20), 조절 부재(30), 제2몸체(40)를 포함한다.
제1몸체(10)는 수액 조절기(100)의 일부 또는 전체적인 형태를 구성하며, 내부에 수납공간(11)을 가지며, 둘레에 수액관(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는 제1연결관(12)과 제2연결관(14)을 갖는다. 여기서, 제1연결관(12)과 제2연결관(14)은 수납공간(11)으로 소통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수납공간(11)의 일면에는 제1연결관(12)과 제2연결관(14)과 각각 소통하는 유로들(16, 18)이 각각 형성된다. 제1유로(16)는 제1연결관(12)과 연결되며 비교적 짧게 형성하고, 제2유로(18)는 제2연결관(14)과 연결되며 비교적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유로(18)는 제1유로(16)까지 곡선형태로 길게 연장되나, 제1유로(16)과 연결되지는 않는다. 즉, 제1유로(16)의 끝과 제2유로(18)의 끝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기밀 부재(20)는 수납공간(11)이 단면형상과 대체로 일치되는 형태를 가지며(참고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 형태이다), 제1유로(16)와 제2유로(18)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는 구실을 한다. 아울러, 기밀 부재(20)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2개의 구멍(22, 24)을 갖는다. 제1구멍(22)은 제1유로(16)와 소통하며, 제2구멍(24)은 제2유로(18)와 소통한다.
조절 부재(30)는 제1몸체(10)에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수납공간(11)에 설치된 기밀 부재(20)를 고정하는 구실을 하고, 아울러 분리되어 있는 제1구멍(22)과 제2구멍(24)을 연결하는 구실을 한다(즉, 제1유로(16)와 제2유로(18)을 연결하는 구실을 한다). 이를 위해 조절 부재(30)의 일 면(즉, 기밀 부재(20)와 접촉하는 면)에는 제3유로(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3유로(32)는 조절 부재(30)의 (가상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불완전한 원 형태로 형성되며(참고로, 불완전한 원 형태라고 기재한 이유는 유로가 완전한 원 형태로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유로의 깊이가 점차 깊어지거나(도 4의 (a)) 또는 유로의 너비가 점차 넓어지는 형태(도 4의 (b))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조절 부재(30)는 제3유로(32)가 기밀 부재(20)의 일면과 안정적으로 접촉하므로, 수납공간(11)에 끼워지는 조절 부재(30)의 몸통부분을 수납공간(11)의 단면크기보다 상당히 작게 만들어도 수액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의 수액 조절기(100)는 조절 부재(30)의 조작 시에도 유로들(16, 18, 32)을 통해 수액이 누출되지 않는다. 한편, 조절 부재(30)의 둘레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테두리(34)가 형성된다. 환형의 테두리(34)에는 사용자가 조절 부재(3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형상의 돌기들이 형성된다.
제2몸체(40)는 제1몸체(10)에 결합하여, 수납공간(11)에 끼워진 기밀 부재(20)와 조절 부재(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실을 한다. 제1몸체(30)의 중앙에는 조절 부재(30)의 일 부분이 앞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멍(42)이 형성되어 있으며(도 5 참조), 양 측면에는 조절 부재(30)의 테두리(34)가 돌출될 수 있도록 길게 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재들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수액 조절기(100)는 도 5에 도시된 외형을 갖는다. 수액 조절기(100)의 결합 형태에서, 제1몸체(10)의 제1연결관(12)과 제2연결관(14)은 수액공급용 관들과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조절 부재(30)의 테두리(34)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제2몸체(40)의 홈(4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조절 부재(30)의 앞면은 사용자가 수액 조절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2몸체(40)의 구멍(42)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참고로, 제2몸체(40)의 정면에는 구멍(42)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조절 부재(30)의 앞면에는 제2몸체(40)에 표시된 눈금을 가리킬 수 있는 표식(예를 들어, 화살표 등)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깥으로 노출된 조절 부재(30)의 테두리(34)를 매개로 조절 부재(3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조절 부재(30)의 회전량을 제2몸체(40)의 눈금에 대한 조절 부재(30)의 표식의 상대적인 위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조절 부재(30)가 회전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 부재(20)의 제1구멍(16) 및 제2구멍(18)에 대한 제3유로(32)의 위치가 달라진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3유로(32)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유로의 깊이 또는 유로의 너비(이들 모두는 제3유로(32)를 통한 수액의 유속 또는 유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가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므로, 구멍들(16, 18)을 통한 수액의 유속 또는 유량이 변화된다. 결국, 조절 부재(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유로(16)로부터 제1구멍(16), 제3유로(32), 제2구멍(18)을 차례로 지나 제2유로(18)까지 이동하는 수액의 유속 또는 유량이 제3유로(32)의 깊이 변화 또는 너비 변화에 비례하여 증가하거나 감소하므로, 사용자가 조절 부재(30)의 회전량을 변화시켜 수액의 공급량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수액 조절기(100)는 기밀 부재(20)를 통해 수액의 누출을 확실히 방지하면서도, 조절 부재(30)의 자유로운 회전운동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실시형태)
제2실시형태에 따른 수액 조절기(100)는 제1몸체(10)와 기밀 부재(20)의 형태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차이점을 갖는다. 참고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액 조절기(100)를 통한 수액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 부재(30)를 회전시키면, 조절 부재(30)와 기밀 부재(2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 기밀 부재(20)가 조절 부재(30)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밀 부재(20)의 의도되지 않은 회전은 제1구멍(22)과 제2구멍(24)에 대한 제1유로(16)와 제2유로(18)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시키므로, 수액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한다. 본 실시형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몸체(10)는 수납공간(11)에 하나 이상의 돌기(19)를 구비한다. 돌기(19)는 수납공간(11)에서 기밀 부재(20)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며, 기밀 부재(20)의 홈(26)에 끼워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밀 부재(20)는 수납공간(11)과 접촉하는 면에 돌기(19)와 동일한 수의 홈(26)을 갖는다. 홈(26)은 돌기(19)와 일치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위와 같이 제1몸체(10)와 기밀 부재(20)에 각각 형성된 돌기(19)와 홈(26)은 제1몸체(10)와 기밀 부재(20)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고, 기밀 부재(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실을 한다. 즉, 돌기(19)와 홈(26)을 통한 제1몸체(10)와 기밀 부재(20) 간의 결합력 증진은, 조절 부재(30)의 회전에 의한 기밀 부재(20)의 의도되지 않은 위치변경(회전)을 방지한다.
(제3실시형태)
제3실시형태에 따른 수액 조절기(100)는 기밀 부재(20)의 형태와 보강 부재(60, 62)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전술된 실시형태와 차이점을 갖는다. 참고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액 조절기(100)는 절개부(28)가 형성된 기밀 부재(20)와 보강 부재(60, 62)를 구비한다.
기밀 부재는 압축성이 좋은 재질로 제작되므로, 수액 조절기 내부를 이동하는 수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이러한 기밀 부재의 특성은 배경기술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유로를 차단하는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본 실시형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밀 부재(20)에서 구멍들(22, 24)이 형성된 부분에 절개부(28)를 형성하고, 이 부분에 비 압축성 재질의 보강 부재(60, 62)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멍들(22, 24)이 형성된 부분에 비 압축성 재질의 부강 부재(60, 62)를 설치하면, 기밀 부재(20)가 제3유로(32) 또는 제1유로(16) 및 제2유로(18)로 돌출되어 이들 유로를 차단하거나 또는 이들 유로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조절 부재(30)를 통한 수액의 공급량 조절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수액 조절기
10 제1몸체 11 수납공간
12 제1연결관 14 제2연결관
16 제1유로 18 제2유로
19 돌기 20 기밀 부재
22 제1구멍 24 제2구멍
26 홈 28 절개부
30 조절 부재 32 제3유로
34 테두리 40 제2몸체
60 제1보강 부재 62 제2보강 부재

Claims (5)

  1. 일면이 개방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관 및 제2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관과 연결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2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제1유로를 향해 길게 연장된 제2유로가 상기 수납공간의 일면에 형성된 제1몸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와 각각 소통하는 제1구멍과 제2구멍이 형성된 기밀 부재;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기밀 부재와 밀착되고, 상기 기밀 부재와 밀착되는 면에 깊이 또는 너비가 점차 증가 또는 감소하는 형태의 제3유로가 형성되며,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테두리를 갖는 조절 부재; 및
    상기 제1몸체와 결합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기밀 부재와 상기 조절 부재를 고정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와 접하는 상기 기밀 부재의 면에는, 상기 기밀 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밀 부재와 다른 재질의 제1보강 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조절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기밀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조절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유로와 접하는 상기 기밀 부재의 면에는, 상기 기밀 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제3유로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밀 부재와 다른 재질의 제2보강 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조절기.
  5. 청구항 1, 2 및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 부재 및 제2보강 부재는 상기 제1구멍 및 상기 제2구멍이 형성된 일부 구간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조절기.
KR2020100006039U 2010-06-09 2010-06-09 수액 조절기 KR200467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039U KR200467859Y1 (ko) 2010-06-09 2010-06-09 수액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039U KR200467859Y1 (ko) 2010-06-09 2010-06-09 수액 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85U KR20110011585U (ko) 2011-12-15
KR200467859Y1 true KR200467859Y1 (ko) 2013-07-09

Family

ID=5139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039U KR200467859Y1 (ko) 2010-06-09 2010-06-09 수액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85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369B1 (ko) * 2018-06-22 2019-12-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저유량 영역 조절 성능 개선을 위한 유로 단면 형상을 갖는 수액유량조절기
KR102262087B1 (ko) * 2018-11-26 2021-06-08 주식회사한빛엠디 수액유량조절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1155A1 (en) 1989-07-25 1991-02-07 Sorex Medical, Inc. Infusion rate regulator device
KR20050033377A (ko) * 2003-10-06 2005-04-12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약액 공급량 조절기
KR100909342B1 (ko) * 2009-01-22 2009-07-23 박효남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KR20100129026A (ko) * 2009-05-29 2010-12-08 박효남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1155A1 (en) 1989-07-25 1991-02-07 Sorex Medical, Inc. Infusion rate regulator device
KR20050033377A (ko) * 2003-10-06 2005-04-12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약액 공급량 조절기
KR100909342B1 (ko) * 2009-01-22 2009-07-23 박효남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KR20100129026A (ko) * 2009-05-29 2010-12-08 박효남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85U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33879B2 (en) Catheter assembly
JP5562130B2 (ja) 雄コネクター及びこれを備えた輸液ラインの接続装置
JP7446325B2 (ja) 人工膀胱器具用のバルブ
CA2583747C (en) Fluid control device with valve and methods of use
JP6730939B2 (ja) 受動的再始動yサイト
CN104640597A (zh) 连接器
US9844626B2 (en) IV flow rate regulator and method of its fabrication
JP2002355318A (ja) 弁体付コネクター
JP7446324B2 (ja) 人工膀胱器具用のバルブ
JP4871078B2 (ja) 液体混注具
KR200467859Y1 (ko) 수액 조절기
WO2020155282A1 (zh) 一种营养泵、输液器、控制阀及液体控制方法
WO2007125408A1 (en) Improved sealed device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of medical liquid directed towards a patient
KR101695453B1 (ko) 셀렉터
KR20170004227A (ko) 수액 유량 조절장치
US9833603B2 (en) Port septum with integral valve
BR102016005101A2 (pt) dispositivo para transferir um fluido
US20120136301A1 (en) Power Injection Valve
EP1854502B8 (en) Pressure actuated two-way valve for infusion catheters
KR200240495Y1 (ko)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KR20140064456A (ko) 약액 유량 조절 장치
JP7283728B2 (ja) 開閉弁
KR101706147B1 (ko)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KR20020085131A (ko)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WO2007147915A1 (es) Regulador de caudal para dispensar líquido gota a go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