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404B1 -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404B1
KR102297404B1 KR1020190113754A KR20190113754A KR102297404B1 KR 102297404 B1 KR102297404 B1 KR 102297404B1 KR 1020190113754 A KR1020190113754 A KR 1020190113754A KR 20190113754 A KR20190113754 A KR 20190113754A KR 102297404 B1 KR102297404 B1 KR 10229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control
chemical
supply
chemical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2237A (ko
Inventor
김기운
Original Assignee
김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운 filed Critical 김기운
Priority to KR102019011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404B1/ko
Priority to KR1020210027263A priority patent/KR1023540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5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6Minimizing backflow along the delivery catheter tr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공급받은 약액의 조절된 공급량으로 공급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가 약액이 주입되도록 구비된 조절몸체부;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을 조절공급부에서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하여 약액공급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된 약액을 상호 조합에 의해 속도를 조절하는 약액조절부;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이 기설정된 주입량으로 저장하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주입부;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어 저장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하는 주입조절부; 및 상기 조절몸체부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주입부의 주입 작동 부분과 상기 주입조절부가 이동하면서 약액이 주입되도록 작동하는 누름작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Chemical Liquid Supply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약액을 공급하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구성과 추가적으로 약액이 주입되는 구성을 일체로 구비하여 제작 원가를 줄이면서 상호 역류를 차단하고, 약액의 공급량과 주입량을 각각 간단한 조작으로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약액을 정량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공급 효율이 향상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위장으로 음식을 섭취하여 소화하는 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포도당 등과 같은 필요한 양분을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하게 된다. 또한, 질병의 치료를 위한 항암제나 항생제, 진통제 등과 같은 각종 약액 역시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되게 된다. 이때,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되는 양분이나 약액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정확한 양을 일정하게 주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인퓨젼펌프(infusion pump)와 같은 미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이는 가격이 고가이고, 충전식 전기장치로 되어있어 오작동 가능성이 있으며, 자체의 부피와 무게로 인해 이동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인퓨전 펌프를 대신하여 물리적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약액 공급량을 조절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등록특허공보 제10-0468222호에는 저비용의 소모품으로 인퓨전펌프를 대신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약액이 흐르는 유로의 길이나 폭 또는 깊이를 점차적으로 변화시켜 약액량을 조절하는 방식이어서 유로의 변화에 따른 정확한 약액량의 변화를 알기 어렵다. 설사, 실험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눈금 등을 표시하더라도 정확도는 떨어지게 된다.
아울러, 진통제와 같이 환자가 급격하게 고통을 느낄 때 환자가 직접 조작하는 추가적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통상의 추가 약액 공급기가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체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래 기술의 추가 약액 공급기는 약액이 일시적으로 저장하다가 환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약액이 주입되는 튜브 형태로 구비된 것으로, 추가되는 약액이 튜브의 용량에 제한되어 있어 추가량을 늘리거나 줄이기 위해서는 튜브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추가 약액 공급기는 누름 작동에 의해 추가되는 약액의 추가량을 저장량을 약액이 공급되는 속도와 시간으로 조절하여야 함에 따라 조절이 어렵고, 시간을 지체하게 되면 추가량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액 공급량을 조절하는 장치와 추가 약액을 주입하는 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조작 시에 각각의 장치를 필요에 따라 찾아가면서 조절을 실시하여야 함에 따라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약액을 공급하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구성과 추가적으로 약액이 주입되는 구성을 일체로 구비하여 제작 원가를 줄이면서 상호 역류를 차단하고,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각각의 다른 약액량을 선택적으로 상호 조합하여 복수 단계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추가적인 약액 주입량도 조절할 수 있어 공급량과 추가 주입량의 조절 효율이 향상되며, 약액을 정량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공급 효율이 향상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는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공급받은 약액의 조절된 공급량으로 공급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가 약액이 주입되도록 구비된 조절몸체부;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을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조절공급부; 상기 조절공급부의 한쪽 측면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공급부에 결합되어 회전 조작되도록 설치되어 바깥 둘레에 복수의 통공을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된 약액이 상호 조합에 의해 속도를 조절하는 약액조절부; 상기 조절공급부의 한쪽 측면에 상기 약액조절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조절공급부의 서로 다른 속도의 약액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약액조절부에 속도가 조절된 약액을 토출하는 약액공급부;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이 기설정된 주입량으로 저장하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주입부;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어 저장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하는 주입조절부; 및 상기 조절몸체부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주입부의 주입 작동 부분과 상기 주입조절부가 이동하면서 약액이 주입되도록 작동하는 누름작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절몸체부는,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 한쪽 측면으로 상기 조절공급부, 상기 약액조절부, 및 상기 약액공급부가 설치된 조절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의 다른쪽 측면으로 상기 주입부, 상기 주입조절부, 및 상기 누름작동부가 설치된 주입공간이 형성된 조절몸체; 상기 조절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공간 내부에 상기 주입조절부가 상기 누름작동부의 작동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레일형태로 돌출된 슬라이딩레일; 상기 조절몸체의 타측에서 내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공급부와 상기 주입부로 각각 공급하기 위해서 약액이 분기되도록 구비된 공급분기체; 상기 공급분기체에서 분기되어 상기 조절공급부로 약액이 공급되도록 연결하는 조절공급관; 상기 공급분기체에서 분기되어 상기 주입부로 약액이 공급되도록 연결하는 주입공급관; 상기 약액공급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속도가 조절된 약액을 배출하는 조절배출관; 상기 주입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주입되는 약액을 배출하는 주입배출관; 및 상기 조절배출관과 상기 주입배출관이 연결되어 약액이 합쳐져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으로 배출하는 배출합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배출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에서 주입되는 약액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주입되는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합기체로 배출하는 배출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출제어부는, 상기 주입배출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약액의 주입량에 따라 체적이 변화되는 벌룬 형태로 약액을 일차적으로 보관하는 튜브공간을 형성하여 기설정된 주입 속도를 유지하면서 약액을 주입하는 제어튜브; 상기 제어튜브의 상기 주입부 방향에서 내부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와 상기 주입배출관에 연결되어 주입되는 약액을 상기 튜브공간에 공급하도록 구비된 제어공급관; 상기 제어튜브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합기체 방향의 상기 주입배출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공간에 공급되어 기설정된 압력이 되면 상기 주입배출관으로 상기 튜브공간 내에 약액이 공급되도록 설치된 제어배출관; 및 상기 주입배출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튜브의 상기 주입부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튜브공간 내에 보관된 약액이 상기 주입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절공급부는,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에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을 제1 유로, 제2 유로, 및 제3 유로 분기하여 각 유로별로 서로 다른 유속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유속조절체; 상기 유속조절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약액공급부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을 연결하는 제1 약액공급관; 상기 유속조절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약액공급부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을 연결하는 제2 약액공급관; 상기 유속조절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유로와 상기 약액공급부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을 연결하는 제3 약액공급관; 및 상기 유속조절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약액조절부와 결합되는 위치에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전면 중앙에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회전되는 노브 형태의 회전조절체가 설치된 조절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액조절부는, 상기 조절공급부의 한쪽 측면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조절공급부가 삽입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조작홈이 복수로 형성된 조작플레이트;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외면에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관통홀 형상의 제1 약액유입홀, 제2 약액유입홀 및 제3 약액유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조작플레이트 내부면이 8각형상으로 구비하되 각 면에는 상기 약액공급부로 약액이 공급되는 홈 형태의 약액배출홈이 형성된 공급량조절체; 및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량조절체의 안쪽에 돌출되어 상기 공급량조절체 사이에 상기 약액공급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을 포함하되, 상기 조작플레이트는 상기 조절공급부의 회전 작동량에 따라 상기 공급량조절체와 함께 회전되어 약액의 공급량을 1단계 내지 8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액공급부는, 상기 조절공급부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약액조절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한쪽 측면으로 상기 약액조절부를 통과하여 공급량이 조절된 약액이 배출되도록 이동하는 약액이동홀이 형성된 공급몸체; 상기 공급몸체의 안쪽으로 상기 약액조절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바깥 둘레에 상기 약액조절부에서 조절된 약액이 공급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약액조절부의 회전이 지지되는 위치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홀을 가지는 회전축; 상기 공급몸체의 바깥 둘레에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조절공급부의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되는 부분으로 약액이 각각 속도별로 연결되어 상기 약액조절부로 공급하는 제1 약액유입구, 제2 약액유입구, 제3 약액유입구; 및 상기 공급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약액이동홀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몸체부로 조절된 약액이 공급되는 관 형태로 구비된 약액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주입부는,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조절몸체부의 약액 공급부분과 약액 주입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공급된 약액이 저장하다가 주입되는 실린더공간을 가지는 실린더몸체; 상기 실린더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공간의 내부에서 공급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제한하면서 타측으로 이동하면 가압에 의해 주입하도록 구비되고, 바깥 둘레에는 밀폐를 위해 상기 실린더공간에 접촉되는 피스톤패킹이 구비된 피스톤몸체; 상기 피스톤몸체의 일측면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몸체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에는 상기 피스톤몸체의 주입량 조절을 위해 약액의 공급량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을 정지시키는 위치를 조절하는 상기 주입조절부가 삽입 고정되는 로드지지홈이 형성되며, 일측끝이 상기 누름작동부에 삽입되어 누름 작동 시 일측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피스톤몸체를 주입위치로 이동시키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실린더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공간의 폐쇄된 타측에 위치하여 내부에 상기 조절몸체부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과 연결되어 약액이 공급되는 공급유로와 상기 조절몸체부의 약액이 주입되는 부분과 연결되어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유로가 형성된 유통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기 누름작동부에 삽입된 위치가 탄성 지지되어 누름 작동 시 끼임을 방지하면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피스톤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조절부는,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주입부에 약액이 공급되면 공급량에 따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고, 양측면으로 상기 누름작동부에 가이드되도록 삽입되는 주입조절가이드홈을 가지는 주입조절몸체; 상기 주입조절몸체의 일측에 상기 주입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조절몸체와 상기 주입부가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주입조절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주입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된 주입고정체; 상기 주입조절몸체의 타측에 한쪽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약액의 공급에 따라 상기 주입부의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주입고정체로 고정된 상기 주입부와 함께 이동되다가 걸림에 의해 상기 주입부를 정지하여 주입량을 조절하는 주입조절지지돌기; 상기 주입조절몸체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방향으로 기어 치형이 구비되어 회전력을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양측으로 상기 조절몸체부와 상기 누름작동부가 삽입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는 홈 형태의 레일지지홈을 가지는 랙기어체; 상기 랙기어체의 상기 주입조절몸체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랙기어체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랙기어체가 정지 위치에 조절되면 약액의 공급으로 상기 주입부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주입조절몸체의 상기 주입조절지지돌기가 걸림되어 주입량을 조절하는 걸림조절체; 상기 랙기어체의 한쪽 방향의 치차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체를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피니언기어체; 및 상기 피니언기어체의 상기 조절몸체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몸체부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주입조절몸체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입부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작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누름작동부는, 상기 조절몸체부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몸체부에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주입조절부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누름 시 타측으로 상기 주입조절부를 가압하는 누름공간을 가지는 누름몸체; 상기 누름몸체의 한쪽 측면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주입조절부가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면서 상기 누름몸체 타측 가압 시 가이드하도록 조절지지공간을 가지는 조절지지체; 및 상기 조절지지체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조절부가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시 가이드되도록 삽입되는 돌기 형태로 유동이 방지되는 조절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절지지체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랙기어체가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는 랙기어지지공간을 가지는 랙기어지지체; 및 상기 랙기어지지체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랙기어체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지지홈에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시 지지하면서 상기 누름몸체 타측 가압 시 가이드하도록 삽입되는 레일 형태로 유동이 방지되는 랙기어슬라이딩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는 약액을 공급하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구성과 추가적으로 약액이 주입되는 구성을 일체로 구비하여 제작 원가를 줄이면서 상호 역류를 차단하고,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각각의 다른 약액량을 선택적으로 상호 조합하여 복수 단계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추가적인 약액 주입량도 조절할 수 있어 공급량과 추가 주입량의 조절 효율이 향상되며, 약액을 정량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공급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와 약액공급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와 약액공급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와 약액공급부를 일부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와 약액공급부에서 제1 약액유입홀이 연통 및 폐쇄되어 약액의 속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와 약액공급부에서 제2 약액유입홀이 연통 및 폐쇄되어 약액의 속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와 약액공급부에서 제3 약액유입홀이 연통 및 폐쇄되어 약액의 속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의 공급조절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전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의 공급조절체의 회전 작동에 의해 약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전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주입부, 주입조절부, 및 누름작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주입부, 주입조절부, 및 누름작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약액 주입 장치에 조절부의 회전 작동에 따라 랙기어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약액의 주입량에 따라 걸림조절체가 위치하도록 조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약액 주입 장치에 주입부로 약액을 공급하여 피스톤몸체를 상승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약액 주입 장치에 주입부가 약액의 공급에 의해 조절지지돌기가 걸림조절체에 걸림되면서 주입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피스톤몸체가 정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약액 주입 장치에서 누름작동부를 작동시켜 주입부 내부에 일시 저장된 약액을 외부로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와 약액공급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와 약액공급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와 약액공급부를 일부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와 약액공급부에서 제1 약액유입홀이 연통 및 폐쇄되어 약액의 속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와 약액공급부에서 제2 약액유입홀이 연통 및 폐쇄되어 약액의 속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와 약액공급부에서 제3 약액유입홀이 연통 및 폐쇄되어 약액의 속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의 공급조절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전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약액조절부의 공급조절체의 회전 작동에 의해 약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전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주입부, 주입조절부, 및 누름작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인 주입부, 주입조절부, 및 누름작동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100)는 환자에게 공급되는 약액의 공급량과 환자가 누름 조작에 의해 일시적으로 추가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량을 하나의 장치로 일체로 구비하여 공급된 약액을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되는 약액의 공급 위치를 회전에 의해 조합한 다양한 속도로 공급량을 조절하고, 환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일시적으로 주입되는 주입량을 회전 조작에 의해 조절함에 따라 약액 공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이런,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100)는 조절몸체부(110), 조절공급부(120), 약액조절부(130), 약액공급부(140), 주입부(150), 주입조절부(160), 및 누름작동부(170)를 포함한다.
조절몸체부(110)는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공급받은 약액의 조절된 공급량으로 공급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가 약액이 주입되도록 구비된다.
조절몸체부(110)는 조절몸체(111), 슬라이딩레일(112), 공급분기체(113), 조절공급관(114), 주입공급관(115), 조절배출관(116), 주입배출관(117), 배출합기체(118), 및 배출제어부(119)를 포함한다.
조절몸체(111)는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 한쪽 측면으로 조절공급부(120), 약액조절부(130), 및 약액공급부(140)가 설치된 조절공간(111a)이 형성되고, 내부의 다른쪽 측면으로 주입부(150), 주입조절부(160), 및 누름작동부(170)가 설치된 주입공간(111b)이 형성된다.
즉, 조절몸체(111)는 약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공급부(120), 약액조절부(130), 및 약액공급부(140)가 설치된 조절공간(111a)과 환자의 조작으로 추가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부(150), 주입조절부(160), 및 누름작동부(170)가 설치된 주입공간(111b)이 각각 구비되어 공급량과 주입량을 각각 조절하는 구성이 일체로 설치된다.
슬라이딩레일(112)은 조절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공간(111b) 내부에 주입조절부(160)가 누름작동부(170)의 작동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레일형태로 돌출된다.
공급분기체(113)는 조절몸체(111)의 타측에서 내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조절공급부(120)와 주입부(150)로 각각 공급하기 위해서 약액이 분기되도록 구비된다.
조절공급관(114)은 공급분기체(113)에서 분기되어 조절공급부(120)로 약액이 공급되도록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주입공급관(115)은 공급분기체(113)에서 분기되어 주입부(150)로 약액이 공급되도록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조절배출관(116)은 약액공급부(140)의 타측에 연결되어 속도가 조절된 약액을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주입배출관(117)은 주입부(150)의 타측에 연결되어 주입되는 약액을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배출합기체(118)는 조절배출관(116)과 주입배출관(117)이 연결되어 약액이 합쳐져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으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배출제어부(119)는 주입배출관(116)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부(150)에서 주입되는 약액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주입되는 속도를 제어하여 배출합기체(118)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배출제어부(119)는 제어튜브(119a), 제어공급관(119c), 제어배출관(119d), 및 역류방지체(119e)를 포함한다.
제어튜브(119a)는 주입배출관(116)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약액의 주입량에 따라 체적이 변화되는 벌룬 형태로 약액을 일차적으로 보관하는 튜브공간(119b)을 형성하여 기설정된 주입 속도를 유지하면서 약액을 주입하도록 구비된다.
제어공급관(119c)은 제어튜브(119a)의 주입부 방향에서 내부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부(150)와 주입배출관(116)에 연결되어 주입되는 약액을 튜브공간(119b)에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제어배출관(119d)은 제어튜브(119a)의 내부에서 배출합기체(118) 방향의 주입배출관(116)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튜브공간(119b)에 공급되어 기설정된 압력이 되면 주입배출관(116)으로 튜브공간 내에 약액이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역류방지체(119e)는 주입배출관(116)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튜브(119a)의 주입부(150)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튜브공간 내에 보관된 약액이 상기 주입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약액이 공급분기체(113)로 공급하면 조절공급관(114)과 주입공급관(115)으로 분기되어 공급되고, 조절공급관(114)은 조절공급부(120)로 약액을 공급시키고, 주입공급관(115)은 주입부(150)로 약액을 공급시킨다.
이렇게, 조절공급관(114)으로 공급된 약액은 조절공급부(120)에서 약액조절부(130)와 약액공급부(140)에서 약액의 속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조절배출관(116)으로 배출된다. 주입공급관(115)으로 공급된 약액은 주입조절부(160)로 주입량이 조절된 주입부(150)에 공급되어 누름작동부(170)가 작동하면 주입배출관(117)으로 배출된다.
조절배출관(116)과 주입배출관(117)에서 배출된 약액은 배출합기체(118)에서 합해져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로 공급되어 환자에게 투여된다.
여기서, 역류방지밸브(119)는 주입배출관(117)에서 주입되는 약액은 누름작동부(170)의 작동 시에만 공급되는 것으로, 누름작동부(170)의 작동력에 의한 약액 압력이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보다 낮으면 역류가 발생됨에 따라 이를 방지하면서 주입압력이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보다 높아지면 주입되도록 구비된다.
조절공급부(120)는 조절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을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조절공급부(120)는 유속조절체(121), 제1 약액공급관(122), 제2 약액공급관(123), 제3 약액공급관(124), 및 조절케이스(125)를 포함한다.
유속조절체(121)는 조절몸체(111)의 내부에 조절공간에 위치하여 주입공급관(115)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을 제1 유로(121a), 제2 유로(121b), 및 제3 유로(121c) 분기하여 각 유로별로 서로 다른 유속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즉, 유속조절체(121)는 유로의 크기와 형태를 각각 조절하여 3부분으로 분기되면서 각각 유속을 서로 달리하도록 구비된다.
제1 약액공급관(122)은 유속조절체(12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유로(121a)와 약액공급부(140)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제2 약액공급관(123)은 유속조절체(12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유로(121b)와 약액공급부(140)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제3 약액공급관(124)은 유속조절체(12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3 유로(121c)와 약액공급부(140)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조절케이스(125)는 유속조절체(12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조절부(130)와 결합되는 위치에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전면 중앙에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회전되는 노브 형태의 회전조절체(126)가 설치된다.
주입공급관(115)을 통해서 공급된 약액은 유속조절체(121)를 통해서 3개의 유로로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지도록 분기하고, 분기된 유로에 각각 연결되어 3개의 약액공급관(122, 123, 124)을 통해서 약액공급부(140)의 서로 다른 속도별로 각 다른 위치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회전조절체(126)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 조작을 실시하면 약액조절부(130)가 회전하면서 3개의 유로(121a, 121b, 121c)에 연결된 서로 다른 유속의 공급을 조합하여 다양한 속도로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약액조절부(130)는 조절공급부(120)의 한쪽 측면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조절공급부(120)에 결합되어 회전 조작되도록 설치되어 바깥 둘레에 복수의 통공을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된 약액이 상호 조합에 의해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약액조절부(130)는 조작플레이트(131), 공급량조절체(133), 및 지지축(138)을 포함한다.
조작플레이트(131)는 조절케이스(125)의 한쪽 측면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조절케이스(125)가 삽입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조작홈(132)이 복수로 형성된다.
이런, 조작플레이트(131)는 회전조작홈(132)에 조절케이스(125)가 삽입되어 회전조절체(126)가 회전 조작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공급량조절체(133)는 조작플레이트(131)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외면에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관통홀 형상의 제1 약액유입홀(134), 제2 약액유입홀(135), 및 제3 약액유입홀(136)을 형성하고, 조작플레이트(131) 내부면이 8각형상으로 구비하되 각 면에는 약액공급부(140)로 약액이 공급되는 홈 형태의 약액배출홈(137)이 형성된다.
여기서, 조작플레이트(131)는 조절케이스(125)의 회전 작동량에 따라 공급량조절체(133)와 함께 회전되어 약액의 공급량을 1단계 내지 8단계로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공급량조절체(133)는 서로 속도가 다른 약액이 공급되는 제1 약액공급관(122), 제2 약액공급관(123), 및 제3 약액공급관(124)을 통해서 공급되는 위치별로 약액공급부(140)를 통해서 공급되는 위치에 제1 약액유입홀(134), 제2 약액유입홀(135) 및 제3 약액유입홀(136)이 회전에 의해 연통되거나 폐쇄하는 위치를 8각 형상에 따라 조합하여 조절한다.
이렇게, 8면의 위치별로 회전에 의해 서로 다른 3 부분의 서로 다른 유속을 가지는 공급 위치를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폐쇄하면서 조합하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지지축(138)은 조작플레이트(131)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량조절체(133)의 안쪽에 돌출되어 공급량조절체(133) 사이에 약액공급부(140)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약액공급부(140)는 조절공급부(120)의 한쪽 측면인 약액조절부(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으며, 조절공급부(120)의 서로 다른 속도의 약액이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약액조절부(130)에 속도가 조절된 약액을 토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약액공급부(140)는 공급몸체(141), 회전축(142), 제1 약액유입구(143), 제2 약액유입구(144), 제3 약액유입구(145), 및 약액토출구(146)를 포함한다.
공급몸체(141)는 조절케이스(125)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조작플레이트(13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141a)이 형성되고, 한쪽 측면으로 조작플레이트(131)의 약액배출홈(137)을 통과하여 공급량이 조절된 약액이 배출되도록 이동하는 약액이동홀(141b)이 형성된다.
회전축(142)은 공급몸체(141)의 안쪽으로 조작플레이트(13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바깥 둘레에 조작플레이트(131)의 제1, 2, 및 3 약액유입홀(134, 135, 136)을 선택적으로 통과하면서 속도가 조절된 약액이 약액배출홈(137)을 통해서 공급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지지축(138)의 회전이 지지되는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홀(142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제1, 2, 및 3 약액유입구(143, 144, 145)는 공급몸체(141)의 바깥 둘레에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유속조절체(121)의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되는 부분으로 약액이 각각 속도별로 연결되어 약액조절부(130)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약액유입구(143)는 제1 유로(121a)와 연결된 제1 약액공급관(122)에 연결되고, 제2 약액유입구(144)는 제2 유로(121b)와 연결된 제2 약액공급관(123)에 연결되며, 제3 약액유입구(145)는 제3 유로(121c)와 연결된 제3 약액공급관(124)에 연결된다.
약액토출구(146)는 공급몸체(14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이동홀(141b)에 연결되어 제1, 2, 및 3 약액유입홀(134, 135, 136)을 선택적으로 통과하면서 속도가 조절된 약액이 약액배출홈(137)과 약액이동홀(141b)을 통해서 조절배출관(116)으로 배출되도록 연결하는 관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1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조절체(126)의 회전 작동에 의해 약액조절부(130)로 유속이 조절되면서 주입되는 약액의 공급량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1단계 내지 8단계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회전조절체(126)가 1단계 작동을 하는 경우,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조절부(130)로 유속이 조절되면서 유입되도록 연결 구성된 제1 내지 제3 약액유입구(143, 144, 145)이 공급량조절체(133)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약액유입홀(134, 135, 136)과 모두 연통되지 않게 됨으로써, 약액의 공급량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조절체(113)가 2단계 작동을 하는 경우,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약액유입구(143, 144, 145)이 공급량조절체(133)의 2구역 내지 4구역에 각각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구역들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약액유입홀(134, 135, 136)과 모두 연통됨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약액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조절체(126)가 3단계 작동을 하는 경우,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약액유입구(143, 144, 145)이 공급량조절체(133)의 3구역 내지 5구역에 각각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구역들에 형성된 제1 및 제2 약액유입홀(134, 135)에만 연통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제1 및 제2 약액유입홀(134, 135)을 통해 유입되는 약액만을 약액배출홈(137), 약액이동홀(141b) 및 약액토출구(146)를 통해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회전조절체(126)가 각 단계별로 회전 작동을 하면서 공급량조절체(133)의 각 구역들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내지 제3 약액유입구(143, 144, 145)이 회전하면서 제1 내지 제3 약액유입구(143, 144, 145)과 서로 연통되게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통을 이루는 부분에서만 약액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각 구역들에 따른 각기 다른 약액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보다 정밀한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주입부(150)는 조절몸체부(11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이 기설정된 주입량으로 저장하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주입부(150)는 실린더몸체(151), 피스톤몸체(153), 피스톤로드(155), 유통관(157), 및 피스톤탄성체(158)를 포함한다.
실린더몸체(151)는 조절몸체(111)의 내부에 타측으로 주입공급관(115)과 주입배출관(117)에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공급된 약액이 저장하다가 주입되는 실린더공간(15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피스톤몸체(153)는 실린더몸체(15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실린더공간(152)의 내부에서 공급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제한하면서 타측으로 이동하면 가압에 의해 주입하도록 구비되고, 바깥 둘레에는 밀폐를 위해 실린더공간(152)에 접촉되는 피스톤패킹(154)이 구비된다.
피스톤로드(155)는 피스톤몸체(153)의 일측면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실린더몸체(151)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에는 피스톤몸체(153)의 주입량 조절을 위해 약액의 공급량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을 정지시키는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160)가 삽입 고정되는 로드지지홈(156)이 형성되며, 일측끝이 누름작동부(170)에 삽입되어 누름 작동 시 일측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피스톤몸체(153)를 주입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유통관(157)은 실린더몸체(15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실린더공간(152)의 폐쇄된 타측에 위치하여 내부에 주입공급관(115)과 연결되어 약액이 공급되는 공급유로(157a)와 주입배출관(117)과 연결되어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유로(157b)가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실린더몸체(151)의 내부에 위치한 피스톤몸체(153)의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실린더공간(152)의 약액 저장량이 달라지고, 약액 저장량의 차이에 따라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주입조절부(160)의 작동으로 피스톤몸체(153)의 일측과 타측의 위치를 조절하면 누름 작동에 의해 공급되는 추가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피스톤탄성체(158)는 피스톤로드(155)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피스톤로드(155)의 누름작동부(170)에 삽입된 위치가 탄성 지지되어 누름 작동 시 끼임을 방지하면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주입조절부(160)는 조절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부(150)에 연결되어 저장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주입조절부(160)는 주입조절몸체(161), 주입고정체(163), 주입조절지지돌기(164), 랙기어체(165), 피니언기어체(168), 및 작동체(169)를 포함한다.
주입조절몸체(161)는 조절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실린더몸체(151)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실린더공간(152)에 약액이 공급되면 공급량에 따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고, 양측면으로 누름작동부(170)에 가이드되도록 삽입되는 주입조절가이드홈(162)을 가진다.
주입고정체(163)는 주입조절몸체(161)의 일측에 피스톤로드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조절몸체(161)와 피스톤로드(155)가 함께 이동되도록 주입조절몸체(161)에서 돌출되어 로드지지홈(156)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조절지지돌기(164)는 조절몸체(161)의 타측에 한쪽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약액의 공급에 따라 피스톤로드(155)가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주입고정체(163)로 고정된 주입몸체와 함께 이동되다가 걸림에 의해 피스톤몸체(153)를 정지하여 주입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랙기어체(165)는 주입조절몸체(161)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방향으로 기어 치형이 구비되어 회전력을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양측으로 슬라이딩레일(112)와 누름작동부(170)가 삽입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는 홈 형태의 레일지지홈(166)을 가진다.
걸림조절체(167)는 랙기어체(165)의 주입조절몸체(161)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랙기어체(165)와 함께 이동되면서 랙기어체(165)가 정지 위치에 조절되면 약액의 공급으로 피스톤로드(155)와 함께 이동되는 주입조절몸체(161)의 주입조절지지돌기(164)가 걸림되어 주입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즉, 랙기어체(165)의 이동에 의해 걸림조절체(167)가 약액의 주입량에 따라 피스톤몸체(153)가 정지된 위치를 조절하여 이동한 후에 실린더공간(152)으로 약액이 주입되면 피스톤몸체(153)가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로드(155)에 주입고정체(163)로 고정된 주입조절몸체(161)가 함께 이동된다.
이렇게, 주입조절몸체(161)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돌출된 주입조절지지돌기(164)가 함께 이동되면서 걸림조절체(167)에 걸림되면 피스톤로드(155)가 정지되면서 피스톤몸체(153)가 함께 정지되면서 확보된 실린더공간(152)에 약액의 공급량이 제한되면서 누름작동부(170)의 작동에 의해 주입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체(168)는 랙기어체(165)의 한쪽 방향의 치차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랙기어체(165)를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작동체(169)는 피니언기어체(168)의 조절몸체(111)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조절몸체(111)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에 의해 걸림조절체(167)와 함께 이동되는 랙기어체(165)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하여 약액 주입에 따라 피스톤몸체(153)가 이동되는 위치를 걸림에 의해 정지시켜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몸체(111)의 바깥으로 노출된 작동체(169)를 사용자가 회전하게 되면 피니언기어체(168)가 함께 회전되면서 치차 결합된 랙기어체(165)가 회전방향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직선운동을 이동된다. 랙기어체(165)가 이동되면 걸림조절체(167)가 실린더공간(152) 내에 피스톤몸체(153)의 위치에 따라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량이 결정되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렇게, 걸림조절체(167)가 설정된 약액의 주입량에 따른 높이에 위치하게 된 후에 약액을 실린더공간(152)에 주입하면 약액에 의해 피스톤몸체(153)가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피스톤몸체(153)의 이동으로 피스톤로드(155)에 고정된 주입조절몸체(161)가 이동하면서 약액이 설정된 주입량이 되면 주입조절지지돌기(164)가 걸림조절체(167)에 걸림되면서 피스톤몸체(153)가 정지되어 주입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누름작동부(170)는 조절몸체부(110)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부(150)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주입부의 주입 작동 부분과 주입조절부(160)가 이동하면서 약액이 주입되도록 작동한다.
이런, 누름작동부(170)는 누름몸체(171), 조절지지체(173), 조절가이드돌기(175), 랙기어지지체(176), 및 랙기어슬라이딩레일(178)을 포함한다.
누름몸체(171)는 조절몸체(111)의 한쪽 방향인 주입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절몸체(111)에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피스톤로드(155)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누름 시 타측으로 피스톤로드(155)를 가압하는 누름공간(17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조절지지체(173)는 누름몸체(171)의 한쪽 측면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주입조절몸체(161)가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면서 누름몸체(171) 타측 가압 시 가이드하도록 조절지지공간(174)을 가진다.
조절가이드돌기(175)는 조절지지공간(174)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조절몸체(161)가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면서 누름몸체(171) 타측 가압 시 유동이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되도록 구비된다.
랙기어지지체(176)는 조절지지체(173)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랙기어체(165)가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는 랙기어지지공간(177)을 가진다.
랙기어슬라이딩레일(178)은 랙기어지지체(176)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랙기어체(165)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지지홈(166)에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시 지지하면서 누름몸체(171) 타측 가압 시 삽입되어 레일 형태로 유동이 방지되기 위해서 가이드하도록 구비된다.
즉, 랙기어체(165)는 치차결합된 피니언기어체(168)의 회전을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면서 양측에 형성된 레일지지홈(166)에 랙기어슬라이딩레일(178)과 슬라이딩레일(112)이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범위에서 가이드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몸체(111)의 내부에 조절공간(111a)으로 유속을 조절하는 조절공급부(120), 약액조절부(130), 및 약액공급부(140)를 설치하고, 주입공간(111b)으로 주입부(150), 주입조절부(160), 및 누름작동부(170)를 설치하고, 약액을 공급하는 위치에 연결된 공급분기체(113)에서 분기되어 조절공급관(114)으로 조절공급부(120)에 공급하고, 주입공급관(115)으로 주입부(150)에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이렇게 공급된 약액 중에 약액이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조절공급부(120)의 유속조절체(121)를 통해 공급된 약액은 3개의 유로로 분기되어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지는 제1, 2, 및 3 유로(121a, 121b, 121c)를 통과한다.
이렇게 통과된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지는 약액은 제1, 2, 및 3 약액공급관(122, 123, 124)을 통해서 제1, 2, 및 3 약액유입구(143, 144, 145)로 공급되어 공급몸체(141)의 내부에 위치한 공급량조절체(133)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공급량조절체(133)는 일체로 구비된 조작플레이트(131)와 함께 사용자가 회전조절체(126)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통공 형태로 구비된 제1, 2, 및 3 약액유입홀(134, 135, 136)이 8단계로 제1, 2, 및 3 약액유입구(143, 144, 145)와 상호 연통 및 폐쇄하면서 조합된 속도에 따라 약액배출홈(137)으로 배출된다. 약액배출홈(137)으로 배출된 약액이 약액이동홀(141b)을 통해서 약액토출구(146)로 토출된다. 약액토출구(146)로 토출된 약액이 조절배출관(116)으로 배출되어 배출합기체(118)를 통해서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로 조절된 약액이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100)에 주입공간(111b)에 설치되어 있는 주입부, 주입조절부, 및 누름작동부에 주입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면서 사용자의 누름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약액이 공급되는 과정을 도 13 내지 1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도 1의 약액 주입 장치에 조절부의 회전 작동에 따라 랙기어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약액의 주입량에 따라 걸림조절체가 위치하도록 조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약액의 주입량을 설정하고, 설정된 주입량을 고려하여 작동체(169)를 회전하면 피니언기어체(168)가 회전되면서 랙기어체(165)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주입조절몸체(161)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조절체(167)를 실린더공간(152) 내에 설정된 주입량이 제어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도 14는 도 13의 약액 주입 장치에 주입부로 약액을 공급하여 피스톤몸체를 상승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조절체(167)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한 후에 주입공급관(115)을 통해서 실린더공간(152)으로 주입하게 되면 실린더공간(152)에 약액이 차면서 피스톤몸체(153)가 일측으로 이동되고, 피스톤몸체(153)에 고정된 주입조절몸체(161)가 일측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주입조절지지돌기(164)가 걸림조절체(167)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5는 도 14의 약액 주입 장치에 주입부가 약액의 공급에 의해 조절지지돌기가 걸림조절체에 걸림되면서 주입량이 조절된 상태에서 피스톤몸체가 정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이렇게, 걸림조절체(167) 방향으로 주입조절지지돌기(164)가 이동하다가 걸림되면 주입조절몸체(161)가 정지되고, 주입조절몸체(161)와 주입고정체(163)로 고정되어 있는 피스톤로드(155)와 피스톤몸체(153)가 설정된 주입량을 제한하도록 정지하여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걸림조절체(167)의 조절 위치에 따라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작동체(169)의 회전 작동으로 걸림조절체(167) 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약액 주입 장치에서 누름작동부를 작동시켜 주입부 내부에 일시 저장된 약액을 외부로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액의 주입량이 설정된 상태에서 누름몸체(171)를 타측으로 누름 작동하게 되면 피스톤탄성체(158)로 탄성지지된 피스톤로드(155)가 하강되면서 실린더공간(152)에 주입량이 조절된 약액이 주입배출관(117)을 통해서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로 주입되도록 작동된다.
주입배출관(117)으로 주입된 약액은 제어공급관(119c)을 통해서 제어튜브(119a) 내 튜브공간(119b)에 유입되어 제어튜브(119a)가 팽창된다. 제어튜브(119a)의 기설정된 팽창량을 초과하면 압축되면서 제어배출관(119d)으로 배출되어 주입배출관(117)으로 연결된 배출합기체(118)로 유입되어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로 주입된다.
이때, 제어튜브(119a)의 실린더공간(152) 측에 제어튜브(119a) 팽창 시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체(119e)가 설치되어 주입량 제어 시에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피스톤로드(115)의 작동으로 주입량이 급격히 증대되어 주입속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벌룬 형태의 제어튜브(119a)를 통과함으로써, 주입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절장치 110 : 조절몸체부
111 : 조절몸체 111a : 조절공간
111b : 주입공간 112 : 슬라이딩레일
113 : 공급분기체 114 : 조절공급관
115 : 주입공급관 116 : 조절배출관
117 : 주입배출관 118 : 배출합기체
119 : 배출제어부 119a : 제어튜브
119b : 튜브공간 119c : 제어공급관
119d : 제어배출관 119e : 역류방지체
120 : 조절공급부
121 : 유속조절체 121a : 제1 유로
121b : 제2 유로 121c : 제3 유로
122 : 제1 약액공급관 123 : 제2 약액공급관
124 : 제3 약액공급관 125 : 조절케이스
126 : 회전조절체 130 : 약액조절부
131 : 조작플레이트 132 : 회전조작홈
133 : 공급량조절체 134 : 제1 약액유입홀
135 : 제2 약액유입홀 136 : 제3 약액유입홀
137 : 약액배출홈 138 : 지지축
140 : 약액공급부 141 : 공급몸체
141a : 삽입홈 141b : 약액이동홀
142 : 회전축 142a : 회전홀
143 : 제1 약액유입구 144 : 제2 약액유입구
145 : 제3 약액유입구 146 : 약액토출구
150 : 주입부 151 : 실린더몸체
152 : 실린더공간 153 : 피스톤몸체
154 : 피스톤패킹 155 : 피스톤로드
156 : 로드지지홈 157 : 유통관
157a : 공급유로 157b : 주입유로
158 : 피스톤탄성체 160 : 주입조절부
161 : 주입조절몸체 162 : 주입조절가이드홈
163 : 주입고정체 164 : 주입조절지지돌기
165 : 랙기어체 166 : 레일지지홈
167 : 걸림조절체 168 : 피니언기어체
169 : 작동체 170 : 누름작동부
171 : 누름몸체 172 : 누름공간
173 : 조절지지체 174 : 조절지지공간
175 : 조절가이드돌기 176 : 랙기어지지체
177 : 랙기어지지공간 178 : 랙기어슬라이딩레일

Claims (13)

  1.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공급받은 약액의 조절된 공급량으로 공급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가 약액이 주입되도록 구비된 조절몸체부;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을 조절공급부에서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하여 약액공급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된 약액을 상호 조합에 의해 속도를 조절하는 약액조절부;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이 기설정된 주입량으로 저장하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주입부;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어 저장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절하는 주입조절부; 및
    상기 조절몸체부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주입부의 주입 작동 부분과 상기 주입조절부가 이동하면서 약액이 주입되도록 작동하는 누름작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조절부는,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주입부에 약액이 공급되면 공급량에 따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고, 양측면으로 상기 누름작동부에 가이드되도록 삽입되는 주입조절가이드홈을 가지는 주입조절몸체;
    상기 주입조절몸체의 일측에 상기 주입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조절몸체와 상기 주입부가 함께 이동되도록 상기 주입조절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주입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된 주입고정체;
    상기 주입조절몸체의 타측에 한쪽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약액의 공급에 따라 상기 주입부의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주입고정체로 고정된 상기 주입부와 함께 이동되다가 걸림에 의해 상기 주입부를 정지하여 주입량을 조절하는 주입조절지지돌기;
    상기 주입조절몸체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방향으로 기어 치형이 구비되어 회전력을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양측으로 상기 조절몸체부와 상기 누름작동부가 삽입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는 홈 형태의 레일지지홈을 가지는 랙기어체;
    상기 랙기어체의 상기 주입조절몸체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랙기어체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랙기어체가 정지 위치에 조절되면 약액의 공급으로 상기 주입부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주입조절몸체의 상기 주입조절지지돌기가 걸림되어 주입량을 조절하는 걸림조절체;
    상기 랙기어체의 한쪽 방향의 치차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체를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피니언기어체; 및
    상기 피니언기어체의 상기 조절몸체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몸체부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주입조절몸체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입부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작동체;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몸체부는,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 한쪽 측면으로 상기 조절공급부, 상기 약액조절부, 및 상기 약액공급부가 설치된 조절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의 다른쪽 측면으로 상기 주입부, 상기 주입조절부, 및 상기 누름작동부가 설치된 주입공간이 형성된 조절몸체;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공급부와 상기 주입부로 각각 공급하기 위해서 약액이 분기되어 조절공급관으로 상기 조절공급부에 공급되고, 주입공급관으로 상기 주입부로 공급되도록 구비된 공급분기체; 및
    상기 약액공급부와 조절배출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주입부와 주입배출관으로 연결되어 약액이 합쳐져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으로 배출하는 배출합기체;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공간 내부에 상기 주입조절부가 상기 누름작동부의 작동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레일형태로 돌출된 슬라이딩레일;을 더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배출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에서 주입되는 약액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주입되는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합기체로 배출하는 배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제어부는,
    상기 주입배출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약액의 주입량에 따라 체적이 변화되는 벌룬 형태로 약액을 일차적으로 보관하는 튜브공간을 형성하여 기설정된 주입 속도를 유지하면서 약액을 주입하는 제어튜브;
    상기 제어튜브의 상기 주입부 방향에서 내부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부와 상기 주입배출관에 연결되어 주입되는 약액을 상기 튜브공간에 공급하도록 구비된 제어공급관;
    상기 제어튜브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합기체 방향의 상기 주입배출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공간에 공급되어 기설정된 압력이 되면 상기 주입배출관으로 상기 튜브공간 내에 약액이 공급되도록 설치된 제어배출관; 및
    상기 주입배출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튜브의 상기 주입부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튜브공간 내에 보관된 약액이 상기 주입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체;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공급부는,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에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와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약액을 제1 유로, 제2 유로, 및 제3 유로 분기하여 각 유로별로 서로 다른 유속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유속조절체;
    상기 유속조절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약액공급부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을 연결하는 제1 약액공급관;
    상기 유속조절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약액공급부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을 연결하는 제2 약액공급관;
    상기 유속조절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유로와 상기 약액공급부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을 연결하는 제3 약액공급관; 및
    상기 유속조절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약액조절부와 결합되는 위치에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전면 중앙에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회전되는 노브 형태의 회전조절체가 설치된 조절케이스;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조절부는,
    상기 조절공급부의 한쪽 측면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조절공급부가 삽입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조작홈이 복수로 형성된 조작플레이트;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외면에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되,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관통홀 형상의 제1 약액유입홀, 제2 약액유입홀 및 제3 약액유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조작플레이트 내부면이 8각형상으로 구비하되 각 면에는 상기 약액공급부로 약액이 공급되는 홈 형태의 약액배출홈이 형성된 공급량조절체; 및
    상기 조작플레이트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량조절체의 안쪽에 돌출되어 상기 공급량조절체 사이에 상기 약액공급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을 포함하되,
    상기 조작플레이트는 상기 조절공급부의 회전 작동량에 따라 상기 공급량조절체와 함께 회전되어 약액의 공급량을 1단계 내지 8단계로 조절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공급부는,
    상기 조절공급부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약액조절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한쪽 측면으로 상기 약액조절부를 통과하여 공급량이 조절된 약액이 배출되도록 이동하는 약액이동홀이 형성된 공급몸체;
    상기 공급몸체의 안쪽으로 상기 약액조절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바깥 둘레에 상기 약액조절부에서 조절된 약액이 공급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약액조절부의 회전이 지지되는 위치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홀을 가지는 회전축;
    상기 공급몸체의 바깥 둘레에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외주면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조절공급부의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되는 부분으로 약액이 각각 속도별로 연결되어 상기 약액조절부로 공급하는 제1 약액유입구, 제2 약액유입구, 제3 약액유입구; 및
    상기 공급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약액이동홀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몸체부로 조절된 약액이 공급되는 관 형태로 구비된 약액토출구;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조절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조절몸체부의 약액 공급부분과 약액 주입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공급된 약액이 저장하다가 주입되는 실린더공간을 가지는 실린더몸체;
    상기 실린더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공간의 내부에서 공급되는 약액의 주입량을 제한하면서 타측으로 이동하면 가압에 의해 주입하도록 구비되고, 바깥 둘레에는 밀폐를 위해 상기 실린더공간에 접촉되는 피스톤패킹이 구비된 피스톤몸체;
    상기 피스톤몸체의 일측면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몸체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에는 상기 피스톤몸체의 주입량 조절을 위해 약액의 공급량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을 정지시키는 위치를 조절하는 상기 주입조절부가 삽입 고정되는 로드지지홈이 형성되며, 일측끝이 상기 누름작동부에 삽입되어 누름 작동 시 일측으로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피스톤몸체를 주입위치로 이동시키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실린더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공간의 폐쇄된 타측에 위치하여 내부에 상기 조절몸체부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과 연결되어 약액이 공급되는 공급유로와 상기 조절몸체부의 약액이 주입되는 부분과 연결되어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유로가 형성된 유통관;을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기 누름작동부에 삽입된 위치가 탄성 지지되어 누름 작동 시 끼임을 방지하면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피스톤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작동부는,
    상기 조절몸체부의 한쪽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몸체부에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주입조절부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되어 누름 시 타측으로 상기 주입조절부를 가압하는 누름공간을 가지는 누름몸체;
    상기 누름몸체의 한쪽 측면에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주입조절부가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면서 상기 누름몸체 타측 가압 시 가이드하도록 조절지지공간을 가지는 조절지지체; 및
    상기 조절지지체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조절부가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시 가이드되도록 삽입되는 돌기 형태로 유동이 방지되는 조절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지지체의 한쪽 측면으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한쪽 측면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랙기어체가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을 지지하는 랙기어지지공간을 가지는 랙기어지지체; 및
    상기 랙기어지지체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랙기어체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지지홈에 삽입되어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 시 지지하면서 상기 누름몸체 타측 가압 시 가이드하도록 삽입되는 레일 형태로 유동이 방지되는 랙기어슬라이딩레일;을 더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0190113754A 2019-09-16 2019-09-16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29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754A KR102297404B1 (ko) 2019-09-16 2019-09-16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0210027263A KR102354003B1 (ko) 2019-09-16 2021-03-02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754A KR102297404B1 (ko) 2019-09-16 2019-09-16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263A Division KR102354003B1 (ko) 2019-09-16 2021-03-02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237A KR20210032237A (ko) 2021-03-24
KR102297404B1 true KR102297404B1 (ko) 2021-09-01

Family

ID=7525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754A KR102297404B1 (ko) 2019-09-16 2019-09-16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4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837A (ko) *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수앤수메드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739A (ja) * 2000-08-23 2002-02-26 Daiken Iki Kk 薬液のワンショット注入器および薬液注入装置
JP2012511392A (ja) 2008-12-09 2012-05-24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高圧注射用薬物送達器材のための多行程送達ポンピング機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685B1 (ko) * 2015-10-15 2017-09-12 김기운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022768B1 (ko) * 2017-07-24 2019-11-05 김기운 약액이 추가 주입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001674B1 (ko) * 2019-04-12 2019-07-18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가변형 볼루스 주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739A (ja) * 2000-08-23 2002-02-26 Daiken Iki Kk 薬液のワンショット注入器および薬液注入装置
JP2012511392A (ja) 2008-12-09 2012-05-24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高圧注射用薬物送達器材のための多行程送達ポンピング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837A (ko) *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수앤수메드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616242B1 (ko) * 2021-12-30 2023-12-20 주식회사 수앤수메드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237A (ko)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3657B2 (ja) 静脈注入用薬液の流量調節デバイス
EP3202441B1 (en) Multi-type medicinal fluid flow rate control apparatus and medicinal fluid injector comprising same
KR100790433B1 (ko) 유체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장치
US9913971B2 (en) Connector
JP6507429B2 (ja) セレクタ
CN1988927A (zh) 液体药物的注射量调节设备
KR102022768B1 (ko) 약액이 추가 주입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RU200614152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хода
KR102297404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1772685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354003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20100027806A (ko) 유로 조정방식의 약액 공급량 조절기
KR100909342B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KR20030040780A (ko)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KR101440065B1 (ko) 약액 유량 조절 장치
KR102367599B1 (ko) 약액 주입 장치
KR200487885Y1 (ko) 재조작 방지구조의 수액 안전커넥터 및 그것이 적용된 수액세트
KR102297401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1581743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307988B1 (ko) 약액 유량 조절 장치
KR101706147B1 (ko)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KR200240495Y1 (ko)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JPH10295812A (ja) 薬液供給具
KR20030014825A (ko)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KR200266086Y1 (ko)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