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837A -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837A
KR20230102837A KR1020210193268A KR20210193268A KR20230102837A KR 20230102837 A KR20230102837 A KR 20230102837A KR 1020210193268 A KR1020210193268 A KR 1020210193268A KR 20210193268 A KR20210193268 A KR 20210193268A KR 20230102837 A KR20230102837 A KR 20230102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supply
unit
housing
chemical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242B1 (ko
Inventor
김기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앤수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앤수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앤수메드
Priority to KR102021019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242B1/ko
Publication of KR20230102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having means for monitoring, controlling or visual inspection, e.g. for patency check, avoiding extrava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약액이 공급되어 주입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공급량과 사용자의 추가량을 조절 공급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약액이 유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이 조절하는 부분과 추가되는 부분으로 분기하여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복수로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되는 약액의 공급 위치를 상호 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공급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추가적으로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주입부의 전면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주입부의 걸림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주입량조절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주입부와 연결되어 역류를 방지하고, 최초 주입 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역류방지를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공급속도를 향상시키는 역류방지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역류방지부가 구비되고, 일측으로 상기 조절부가 연결되어 조절된 약액과 역류가 방지되면서 상기 주입부에서 주입되는 약액을 합류하여 공급하는 합류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Chemical Liquid Supply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약액을 공급하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구성과 추가적으로 약액이 주입되는 구성을 일체로 구비하여 제작 원가를 줄이면서 상호 역류를 차단하면서 조작에 의해 초기 약액주입량을 증대시켜 공급효율을 향상시키고, 약액의 공급량과 주입량을 각각 간단한 조작으로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약액을 정량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공급 효율이 향상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위장으로 음식을 섭취하여 소화하는 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포도당 등과 같은 필요한 양분을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하게 된다. 또한, 질병의 치료를 위한 항암제나 항생제, 진통제 등과 같은 각종 약액 역시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되게 된다. 이때,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되는 양분이나 약액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정확한 양을 일정하게 주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인퓨젼펌프(infusion pump)와 같은 미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이는 가격이 고가이고, 충전식 전기장치로 되어있어 오작동 가능성이 있으며, 자체의 부피와 무게로 인해 이동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인퓨전 펌프를 대신하여 물리적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약액 공급량을 조절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등록특허공보 제10-0468222호에는 저비용의 소모품으로 인퓨전펌프를 대신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약액이 흐르는 유로의 길이나 폭 또는 깊이를 점차적으로 변화시켜 약액량을 조절하는 방식이어서 유로의 변화에 따른 정확한 약액량의 변화를 알기 어렵다. 설사, 실험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눈금 등을 표시하더라도 정확도는 떨어지게 된다.
아울러, 진통제와 같이 환자가 급격하게 고통을 느낄 때 환자가 직접 조작하는 추가적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통상의 추가 약액 공급기가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체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래 기술의 추가 약액 공급기는 약액이 일시적으로 저장하다가 환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약액이 주입되는 튜브 형태로 구비된 것으로, 추가되는 약액이 튜브의 용량에 제한되어 있어 추가량을 늘리거나 줄이기 위해서는 튜브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추가 약액 공급기는 누름 작동에 의해 추가되는 약액의 추가량을 저장량을 약액이 공급되는 속도와 시간으로 조절하여야 함에 따라 조절이 어렵고, 시간을 지체하게 되면 추가량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액 공급량을 조절하는 장치와 추가 약액을 주입하는 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조작 시에 각각의 장치를 필요에 따라 찾아가면서 조절을 실시하여야 함에 따라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약액 공급량을 조절하는 장치와 추가 약액을 주입하는 장치가 설치되면 최초에 연결 시 추가되는 약액이 저장하고, 약액 속도를 조절하는 조작을 실시하여 내부 공기를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도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약액을 공급하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구성과 추가적으로 약액이 주입되는 구성을 일체로 구비하여 제작 원가를 줄이면서 상호 역류를 차단하면서 조작에 의해 초기 약액주입량을 증대시켜 공급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각각의 다른 약액량을 선택적으로 상호 조합하여 복수 단계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추가적인 약액 주입량도 조절할 수 있어 공급량과 추가 주입량의 조절 효율이 향상되며, 약액을 정량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공급 효율이 향상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누름 작동으로 주입하는 주입부로 공급되는 약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구성을 해제하여 최초 환자에게 주입되는 약액이 관로에 내부 공기를 없애면서 완충되도록 약액의 공급속도를 높이고, 완충되면 역류를 다시 방지하여 주입부에 약액을 공급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는 약액이 공급되어 주입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공급량과 사용자의 추가량을 조절 공급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약액이 유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이 조절하는 부분과 추가되는 부분으로 분기하여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복수로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되는 약액의 공급 위치를 상호 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공급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추가적으로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주입부의 전면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주입부의 걸림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주입량조절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주입부와 연결되어 역류를 방지하고, 최초 주입 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역류방지를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공급속도를 향상시키는 역류방지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역류방지부가 구비되고, 일측으로 상기 조절부가 연결되어 조절된 약액과 역류가 방지되면서 상기 주입부에서 주입되는 약액을 합류하여 공급하는 합류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약액이 공급되어 주입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공급부, 상기 조절부, 상기 주입부, 상기 주입량조절부, 상기 역류방지부, 및 상기 합류공급부가 안치되는 하우징공간을 가지는 하우징몸체; 상기 하우징몸체의 전면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조절부를 조작하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비된 홈 형태로 형성된 조절공간; 상기 하우징몸체의 전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주입량조절부를 조작하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비된 홈 형태로 형성된 주입조절공간;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주입부를 조작하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비된 홈 형태로 형성된 누름지지공간; 상기 하우징몸체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이 유입되는 위치와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약액을 유입하는 약액유입관; 상기 하우징몸체의 하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합류공급부에서 공급된 약액와 주입된 약액이 합류되어 환자에게 공급되도록 연결하는 약액공급관; 및 상기 하우징몸체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역류방지부의 역류 방지를 해제하는 구성이 삽입되는 홈 형태로 구비된 핀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과 연결되어 양측으로 상기 주입부와 연결되어 서로 다른 속도의 약액이 공급되는 공간 형태의 복수의 공급공간을 가지고, 중앙으로 상기 주입부에 약액을 공급하도록 공간 형태의 주입공간을 가지는 공급분기체; 상기 공급분기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주입공간 내에 각각 위치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공급량을 조절하면서 공급하는 모세관; 상기 공급분기체의 전후면으로 상기 모세관의 삽입된 상하 위치에 관통되어 상기 모세관을 접착하는 접착제가 삽입되는 접착공; 및 상기 공급분기체의 전후면으로 상하에 위치한 상기 접착공 사이에 외부와 관통되어 상기 모세관이 외부로 노출되는 공간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접착공 내에서 접착제로 접착된 상태에서 누설되는 약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공급부에서 분배되어 각각 다른 유속으로 공급되는 복수 위치에 각각 조절연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합류공급부에 조절된 약액이 공급되는 조절공급관으로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서로 다른 유속의 연결부분을 개폐하면서 상호 조합된 속도로 조절하여 상기 합류공급부로 공급하는 조절몸체; 상기 조절몸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되면 상기 조절몸체가 회전되면서 속도를 조절하도록 조작되는 조절노브;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노브의 상부로 접촉되어 탄성 가압함에 따라 상기 조절노브가 사용자의 조작된 후 조작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비된 노브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주입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공급부의 분배된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와 주입연결관으로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하부 타측에 상기 역류방지부와 주입공급관으로 연결되어 공급된 약액이 주입 작동 시에 상기 역류방지부로 주입되도록 유통되는 주입유통몸체; 상기 주입유통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공급관으로 공급된 약액이 유입되면 피스톤탄성체로 탄성 지지된 주입피스톤을 상부로 밀어올리면서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으로 주입피스톤을 가압하도록 하강하면 상기 주입유통몸체를 통해서 상기 주입공급관으로 연결된 상기 역류방지부로 주입하는 주입실린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피스톤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약액을 추가적으로 주입되도록 누름 작동되고, 작동 후 상기 피스톤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되는 누름작동체; 및 상기 누름작동체의 하부에 전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작동체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주입량조절부에 걸림되도록 구비되어 걸림되는 높이가 상기 주입량조절부로 조절되면 상기 누름작동체의 돌출 높이의 조절에 의해 상기 주입피스톤의 위치가 조절되어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누름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량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주입부의 누름 작동되는 부분과 걸림되는 하부로 배치되어 있으며, 후면으로 방사상의 복수로 위치로 걸림되는 높이차가 발생되도록 걸림되는 길이가 각각 다른 홈 형태로 주입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주입부가 걸림되는 주입걸림홈을 가지는 회전조절몸체;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조절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전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조절몸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돌출된 주입조절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상기 주입부의 일측에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이 관통되고 상부를 지지하는 브라켓 형태로 구비되어 안쪽으로 상기 합류공급부가 지지되는 역류방지브라켓; 상기 역류방지브라켓의 관통된 위치에 걸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합류공급부에 삽입 위치하여 약액이 공급되도록 중앙으로 관통되어 상기 주입부의 약액이 주입되는 부분과 연결되어 주입되는 약액이 통과되는 가압공간을 가지고, 하부로 주름 형태로 상기 가압공간을 축소하는 주름지지체가 구비된 역류방지몸체; 상기 역류방지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공간의 내부를 폐쇄하는 바 형태로 구비되어 하부에 약액이 통과하여 역류방지가 해제되는 홈형태의 해제작동홈을 형성하여 상기 주입부에서 약액이 주입되면 하강하면서 상기 해제작동홈으로 약액이 상기 합류공급부로 주입되는 역류방지체; 상기 역류방지체의 상부에 단면적이 확대되도록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역류방지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역류방지체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역류작동돌기; 및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서 삽입되는 핀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삽입 시 상기 역류작동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역류방지체가 하강하면서 상기 해제작동홈이 상기 합류공급부 내로 노출되어 약액의 역류 방지를 해제하여 공급하고, 삽입 해제하면 역류 방지 기능을 회복하는 역류해제핀;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합류공급부는, 상기 역류방지부의 하부에 삽입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주입부에서 주입되는 약액이 역류가 방지되면서 공급되고, 상기 조절부에서 조절된 약액이 합류되어 공급되는 합류공간을 가지는 합류공급몸체; 상기 합류공급몸체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어 조절된 약액이 유입되는 조절유입공간을 가지도록 돌출된 조절유입체; 및 상기 합류공급몸체의 하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하우징부의 환자로 공급되는 부분이 연결되어 상기 합류공간 내에서 선택적으로 합류되는 약액이 공급되는 합류공급공간을 가지는 합류공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는 약액을 공급하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구성과 추가적으로 약액이 주입되는 구성을 일체로 구비하여 제작 원가를 줄이면서 상호 역류를 차단하면서 조작에 의해 초기 약액주입량을 증대시켜 공급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각각의 다른 약액량을 선택적으로 상호 조합하여 복수 단계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추가적인 약액 주입량도 조절할 수 있어 공급량과 추가 주입량의 조절 효율이 향상되며, 약액을 정량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공급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누름 작동으로 주입하는 주입부로 공급되는 약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구성을 해제하여 최초 환자에게 주입되는 약액이 관로에 내부 공기를 없애면서 완충되도록 약액의 공급속도를 높이고, 완충되면 역류를 다시 방지하여 주입부에 약액을 공급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도록 일부 구성을 삭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주요 구성인 주입량조절부의 조절부분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누름걸림돌기가 제1 걸림홈에 걸림되어 주입량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주입량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주입량이 최대로 저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주입량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주입량이 중간 상태로 저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주입량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주입량이 최소로 저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역류해제핀이 설치되어 최초 연결 시 역류를 해제하여 약액의 공급속도를 향상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역류해제핀을 제거하여 역류가 방지되어 주입부로 약액이 저장되면서 조절부에서 조절된 약액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주입부를 누름 작동하면 조절부의 약액과 주입부에 저장된 약액이 합류되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도록 일부 구성을 삭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100)는 약액을 공급하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구성과 추가적으로 약액이 주입되는 구성을 일체로 구비하여 제작 원가를 줄이면서 상호 역류를 차단하면서 조작에 의해 초기 약액주입량을 증대시켜 공급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각각의 다른 약액량을 선택적으로 상호 조합하여 복수 단계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추가적인 약액 주입량도 조절할 수 있어 공급량과 추가 주입량의 조절 효율이 향상되며, 약액을 정량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공급 효율이 향상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이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누름 작동으로 주입하는 주입부로 공급되는 약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구성을 해제하여 최초 환자에게 주입되는 약액이 관로에 내부 공기를 없애면서 완충되도록 약액의 공급속도를 높이고, 완충되면 역류를 다시 방지하여 주입부에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이다.
이런,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100)는 하우징부(110), 공급부(120), 조절부(130), 주입부(140), 주입량조절부(150), 역류방지부(160), 및 합류공급부(17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약액이 공급되어 주입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공급량과 사용자의 추가량을 조절 공급한다.
이런, 하우징부(110)는 하우징몸체(111), 조절공간(113), 주입조절공간(114), 누름지지공간(115), 약액유입관(116), 약액공급관(117), 및 핀삽입홈(118)을 구비한다.
하우징몸체(111)는 약액이 공급되어 주입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 공급부(120), 조절부(130), 주입부(140), 주입량조절부(150), 역류방지부(160), 및 합류공급부(170)가 안치되는 하우징공간(11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조절공간(113)은 하우징몸체(111)의 전면 중앙에 위치하여 조절부(130)를 조작하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비된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런, 조절공간(113)은 회전에 의해 조절하는 조절부(1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공간 형태로 구비된다.
주입조절공간(114)은 하우징몸체(111)의 전면 상부에 위치하여 주입량조절부(150)를 조작하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비된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런, 주입조절공간(114)은 주입량을 단계별로 조절하는 반원 형태로 주입량조절부(150)의 조절부분이 돌출되어 사용자가 밀어서 조작하는 공간 형태로 구비된다.
누름지지공간(115)은 하우징몸체(111)의 상부에 위치하여 주입부(140)를 조작하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비된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런, 누름지지공간(115)은 사용자가 상부에서 누름에 의해 약액이 추가적으로 주입하도록 상부에 돌출되는 주입부(140)가 위치하는 공간 형태로 구비된다.
약액유입관(116)은 하우징몸체(111)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이 유입되는 이런, 약액유입관(116)은 약액을 공급하는 위치에서 공급부(120) 방향으로 약액이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약액공급관(117)은 하우징몸체(111)의 하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합류공급부(170)에서 공급된 약액와 주입된 약액이 합류되어 환자에게 공급되도록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약액공급관(117)은 합류공급부(170)에서 조절부(130)에서 조절된 약액이 바이패스 형태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주입부(140)의 누름 조작에 의한 추가 약액이나 역류방지부(160)의 조작에 의해 최초 역류 방지 해제로 인해 공급되는 약액이 합류되어 환자에게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핀삽입홈(118)은 하우징몸체(111)의 측면에 위치하여 역류방지부(160)의 역류 방지를 해제하는 구성이 삽입되는 홈 형태로 구비된다.
공급부(12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약액이 유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이 조절하는 부분과 추가되는 부분으로 분기하여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공급부(120)는 공급분기체(121), 모세관(125), 접착공(126), 및 배출구(127)를 포함한다.
공급분기체(121)는 하우징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유입관(116)과 연결되어 양측으로 주입부(140)와 연결되어 서로 다른 속도의 약액이 공급되는 공간 형태의 제1 공급공간(122)과 제2 공급공간(123)을 각각 구비하고, 중앙으로 주입부(140)에 약액을 공급하도록 공간 형태의 주입공간(124)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1 공급공간(122)과 제2 공급공간(123)은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되는 공급공간을 두개로 구비한 것으로,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즉, 공급공간은 두개 이상의 복수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모세관(125)은 공급분기체(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공급공간(122), 제2 공급공간(123), 및 주입공간(124) 내에 각각 위치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공급량을 조절하면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접착공(126)은 공급분기체(121)의 전후면으로 모세관의 삽입된 상하 위치에 관통되어 모세관(125)을 접착하는 접착제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배출구(127)는 공급분기체(121)의 전후면으로 상하에 위치한 접착공 사이에 외부와 관통되어 모세관(125)이 외부로 노출되는 공간형태로 구비되어 접착공(126) 내에서 접착제로 접착된 상태에서 누설되는 약액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배출구(127)는 접착공(126)에 접착제를 삽입하여 모세관(125)을 공급분기체(121)에 접착 시 접착부분의 누출에 의해 약물이 과도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누출되는 부분에서 약액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조절부(13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공급부에 연결되어 복수로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되는 약액의 공급 위치를 상호 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공급하도록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조절부(130)는 조절몸체(131), 조절노브(135), 및 노브지지체(136)를 포함한다.
조절몸체(131)는 하우징몸체(111)의 내부에 제1 공급공간(122)에 설치된 모세관(125)에 제1 조절연결관(132)으로 연결하고, 제1 공급공간(122)과 서로 다른 유속으로 공급되는 제2 공급공간(123)의 모세관(125)에 제2 조절연결관(133)으로 연결하며, 합류공급부(170)에 조절된 약액이 공급되는 조절공급관(134)으로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서로 다른 유속의 연결부분을 개폐하면서 상호 조합된 속도로 조절하여 합류공급부(170)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조절노브(135)는 조절몸체(13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되면 조절몸체(131)가 회전되면서 속도를 조절하도록 조작되도록 구비된다.
노브지지체(136)는 하우징몸체(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절노브(135)의 상부로 접촉되어 탄성 가압함에 따라 조절노브(135)가 사용자의 조작된 후 조작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주입부(14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공급부(12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추가적으로 약액을 주입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주입부(140)는 주입유통몸체(141), 주입실린더(144), 누름작동체(147), 및 누름걸림돌기(148)를 포함한다.
주입유통몸체(141)는 하우징몸체(111)의 내부에 주입공간에 위치한 모세관과 주입연결관(142)으로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하부 타측에 역류방지부(160)와 주입공급관(143)으로 연결되어 공급된 약액이 주입 작동 시에 역류방지부(160)로 주입되도록 유통된다.
주입실린더(144)는 주입유통몸체(14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공급관(143)으로 공급된 약액이 유입되면 피스톤탄성체(146)로 탄성 지지된 주입피스톤(145)을 상부로 밀어올리면서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으로 주입피스톤(145)을 가압하도록 하강하면 주입유통몸체(141)를 통해서 주입공급관(143)으로 연결된 역류방지부(160)로 주입하도록 구비된다.
누름작동체(147)는 하우징몸체(111)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피스톤(145)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약액을 추가적으로 주입되도록 누름 작동되고, 작동 후 피스톤탄성체(146)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누름걸림돌기(148)는 누름작동체(147)의 하부에 전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누름작동체(147)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주입량조절부(150)에 걸림되도록 구비되어 걸림되는 높이가 주입량조절부(150)로 조절되면 누름작동체(147)의 돌출 높이의 조절에 의해 주입피스톤(145)의 위치가 조절되어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도 5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주요 구성인 주입량조절부의 조절부분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누름걸림돌기가 제1 걸림홈에 걸림되어 주입량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주입량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주입량이 최대로 저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주입량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주입량이 중간 상태로 저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주입량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주입량이 최소로 저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주입량조절부(15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주입부(140)의 전면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해 주입부(140)의 걸림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주입량조절부(150)는 회전조절몸체(151), 회전축(155), 및 주입조절노브(156)를 포함한다.
회전조절몸체(151)는 하우징몸체(111)의 내부에 누름걸림돌기(148)와 걸림되는 하부로 배치되어 있으며, 후면으로 방사상의 복수로 위치로 걸림되는 높이차가 발생되도록 걸림되는 길이에 따라 제일 긴 길이인 제1 걸림홈(152), 중간 길이인 제2 걸림홈(153), 및 제일 짧은 길이인 제3 걸림홈(154)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누름걸림돌기(148)가 걸림되도록 구비된다.
회전축(155)은 회전조절몸체(15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몸체(111)의 내부에 지지되어 회전조절몸체(151)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주입조절노브(156)는 회전조절몸체(151)의 전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축(155)을 중심으로 회전조절몸체(151)를 회전시키도록 누름지지공간(115)에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돌출된다.
즉, 주입조절노브(156)의 조작에 의해 누름걸림돌기(148)가 걸림되는 위치를 제1 걸림홈(152), 제2 걸림홈(153), 및 제3 걸림홈(154) 중에서 하나로 선택하여 누름작동체(147)의 높이에 따라 주입피스톤(145)의 위치를 결정하여 주입실린더(144) 내의 약액이 저장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주입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걸림돌기(148)가 제1 걸림홈(152)에 위치하면 주입피스톤(145)의 최대 높이에 위치하여 주입실린더(144) 내에 약액의 저장용량이 최대화되어 약액 주입량을 늘릴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걸림돌기(148)가 제2 걸림홈(153)에 위치하면 주입피스톤(145)의 중간 높이에 위치하여 주입실린더(144) 내에 약액의 저장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걸림돌기(148)가 제3 걸림홈(154)에 위치하면 주입피스톤(145)의 최소 높이에 위치하여 주입실린더(144) 내에 약액의 저장용량이 최소화되어 약액 주입량을 줄일 수 있다.
역류방지부(160)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주입부(140)와 연결되어 역류를 방지하고, 최초 주입 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역류 방지를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공급속도를 향상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런, 역류방지부(160)는 역류방지브라켓(161), 역류방지몸체(162), 역류방지체(165), 역류작동돌기(167), 및 역류해제핀(168)을 포함한다.
역류방지브라켓(161)은 하우징몸체(111)의 내부로 주입유통몸체(141)의 일측에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이 관통되고 상부를 지지하는 브라켓 형태로 구비되어 안쪽으로 합류공급부(170)가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역류방지몸체(162)는 역류방지브라켓(161)의 관통된 위치에 걸림 배치되어 있으며, 합류공급부(170)에 삽입 위치하여 약액이 공급되도록 중앙으로 관통되어 주입공급관(143)과 연결되어 주입되는 약액이 통과되는 가압공간(163)을 가지고, 하부로 주름 형태로 가압공간(163)을 축소하는 주름지지체(164)가 구비된다.
역류방지체(165)는 역류방지몸체(16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압공간(163)의 내부를 폐쇄하는 바 형태로 구비되어 하부에 약액이 통과하여 역류방지가 해제되는 홈형태의 해제작동홈(166)을 형성하여 주입공급관(143)으로 약액이 주입되면 하강하면서 해제작동홈(166)으로 약액이 합류공급부(170)로 주입되도록 구비된다.
역류작동돌기(167)는 역류방지체(165)의 상부에 단면적이 확대되도록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역류방지몸체(162)의 상부에 위치하여 역류방지체(165)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역류해제핀(168)은 하우징몸체(111)의 측면에서 삽입되는 핀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삽입 시 역류작동돌기(167)를 가압하여 역류방지체(165)가 하강하면서 해제작동홈(166)이 합류공급부 내로 노출되어 약액의 역류 방지를 해제하여 공급하고, 삽입 해제하면 역류 방지 기능을 회복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역류해제핀(168)은 약액의 투입하는 링거와 같은 도구와 환자에 최초 주사 시에 약액을 관로에 신속하게 주입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역류를 해제하여 주입부로 주입되는 약액을 합류공급부(170)로 직접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역류해제핀(168)은 설치 후 최초의 약액이 담겨지면 제거하여 주입부(140)로 공급되도록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합류공급부(170)는 하우징부(110)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역류방지부(160)가 구비되고, 일측으로 조절부(130)가 연결되어 조절된 약액과 역류가 방지되면서 주입부(140)에서 주입되는 약액을 합류하여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합류공급부(170)는 합류공급몸체(171), 조절유입체(173), 및 합류공급체(175)를 포함한다.
합류공급몸체(171)는 역류방지브라켓(161)의 하부에 삽입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주입공급관(143)에서 주입되는 약액이 역류가 방지되면서 공급되고, 조절공급관(134)에서 조절된 약액이 합류되어 공급되는 합류공간(17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조절유입체(173)는 합류공급몸체(171)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조절공급관(134)과 연결되어 조절된 약액이 유입되는 조절유입공간(174)을 가지도록 돌출 구비된다.
합류공급체(175)는 합류공급몸체(171)의 하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약액공급관(117)에 연결되어 합류공간(172) 내에서 선택적으로 합류되는 약액이 공급되는 합류공급공간(176)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도 10은 도 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역류해제핀이 설치되어 최초 연결 시 역류를 해제하여 약액의 공급속도를 향상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환자에게 최초로 약액을 공급하도록 연결 시 역류해제핀(168)을 삽입하면 역류작동돌기(167)에 접촉되면서 역류방지체(165)가 하강되어 해제작동홈(166)을 합류공급몸체(171)로 노출되면서 약액이 합류공간(172)으로 공급된다.
이렇게, 합류공간(172)으로 역류 방지가 해제된 약액이 공급되면서 조절노브(135)의 작동으로 최대 속도의 약액을 조절공급관(134)을 통해서 합류공간(172)으로 공급하여 합류된 상태로 관로로 공급하여 신속하게 공기를 제거하면서 약액을 채우도록 구비한다.
도 11은 도 10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역류해제핀을 제거하여 역류가 방지되어 주입부로 약액이 저장되면서 조절부에서 조절된 약액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최초 약액의 공급을 마치면 역류해제핀(168)을 제거하여 역류 방지 기능을 회복시켜 약액이 주입유통몸체(141)를 거쳐서 주입실린더(144) 내부에 저장되도록 공급된다.
이때, 조절노브(135)의 작동으로 조절된 약액은 합류공간(172)에 연결된 약액공급관(117)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환자에게 공급된다.
도 12는 도 11의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에 주입부를 누름 작동하면 조절부의 약액과 주입부에 저장된 약액이 합류되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주입실린더(144) 내부에 약액이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작동체(147)를 누름 작동시키면 주입유통몸체(141)에 연결된 주입공급관(143)을 통해서 약액을 공급하고, 공급된 약액으로 역류작동돌기(167)를 하향으로 가압하면 역류방지체(165)가 하강하면서 해제작동홈(166)이 합류공간(172)에 노출되어 역류 방지가 해제되면서 약액이 주입된다.
이렇게, 합류공간(172)으로 역류 방지가 해제된 약액이 공급되면서 조절노브(135)의 작동으로 공급속도가 조절된 약액을 조절공급관(134)을 통해서 합류공간(172)으로 공급하여 합류된 상태로 환자로 공급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절장치 110 : 하우징부
111 : 하우징몸체 112 : 하우징공간
113 : 조절공간 114 : 주입조절공간
115 : 누름지지공간 116 : 약액유입관
117 : 약액공급관 118 : 핀삽입홈
120 : 공급부 121 : 공급분기체
122 : 제1 공급공간 123 : 제2 공급공간
124 : 주입공간 125 : 모세관
126 : 접착공 127 : 배출구
130 : 조절부 131 : 조절몸체
132 : 제1 조절연결관 133 : 제2 조절연결관
134 : 조절공급관 135 : 조절노브
136 : 노브지지체 140 : 주입부
141 : 주입유통몸체 142 : 주입연결관
143 : 주입공급관 144 : 주입실린더
145 : 주입피스톤 146 : 피스톤탄성체
147 : 누름작동체 148 : 누름걸림돌기
150 : 주입량조절부 151 : 회전조절몸체
152 : 제1 걸림홈 153 : 제2 걸림홈
154 : 제3 걸림홈 155 : 회전축
156 : 주입조절노브 160 : 역류방지부
161 : 역류방지브라켓 162 : 역류방지몸체
163 : 가압공간 164 : 주름지지체
165 : 역류방지체 166 : 해제작동홈
167 : 역류작동돌기 168 : 역류해제핀
170 : 합류공급부 171 : 합류공급몸체
172 : 합류공간 173 : 조절유입체
174 : 조절유입공간 175 : 합류공급체
176 : 합류공급공간

Claims (8)

  1. 약액이 공급되어 주입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공급량과 사용자의 추가량을 조절 공급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약액이 유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이 조절하는 부분과 추가되는 부분으로 분기하여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복수로 서로 다른 속도로 공급되는 약액의 공급 위치를 상호 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공급하도록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추가적으로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주입부의 전면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주입부의 걸림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주입량조절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주입부와 연결되어 역류를 방지하고, 최초 주입 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역류방지를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공급속도를 향상시키는 역류방지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역류방지부가 구비되고, 일측으로 상기 조절부가 연결되어 조절된 약액과 역류가 방지되면서 상기 주입부에서 주입되는 약액을 합류하여 공급하는 합류공급부;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약액이 공급되어 주입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공급부, 상기 조절부, 상기 주입부, 상기 주입량조절부, 상기 역류방지부, 및 상기 합류공급부가 안치되는 하우징공간을 가지는 하우징몸체;
    상기 하우징몸체의 전면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조절부를 조작하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비된 홈 형태로 형성된 조절공간;
    상기 하우징몸체의 전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주입량조절부를 조작하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비된 홈 형태로 형성된 주입조절공간;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주입부를 조작하는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구비된 홈 형태로 형성된 누름지지공간;
    상기 하우징몸체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약액이 유입되는 위치와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약액을 유입하는 약액유입관;
    상기 하우징몸체의 하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합류공급부에서 공급된 약액와 주입된 약액이 합류되어 환자에게 공급되도록 연결하는 약액공급관; 및
    상기 하우징몸체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역류방지부의 역류 방지를 해제하는 구성이 삽입되는 홈 형태로 구비된 핀삽입홈;을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의 약액이 공급되는 부분과 연결되어 양측으로 상기 주입부와 연결되어 서로 다른 속도의 약액이 공급되는 공간 형태의 복수의 공급공간을 가지고, 중앙으로 상기 주입부에 약액을 공급하도록 공간 형태의 주입공간을 가지는 공급분기체;
    상기 공급분기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공급공간과 상기 주입공간 내에 각각 위치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공급량을 조절하면서 공급하는 모세관;
    상기 공급분기체의 전후면으로 상기 모세관의 삽입된 상하 위치에 관통되어 상기 모세관을 접착하는 접착제가 삽입되는 접착공; 및
    상기 공급분기체의 전후면으로 상하에 위치한 상기 접착공 사이에 외부와 관통되어 상기 모세관이 외부로 노출되는 공간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접착공 내에서 접착제로 접착된 상태에서 누설되는 약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공급부에서 분배되어 각각 다른 유속으로 공급되는 복수 위치에 각각 조절연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합류공급부에 조절된 약액이 공급되는 조절공급관으로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서로 다른 유속의 연결부분을 개폐하면서 상호 조합된 속도로 조절하여 상기 합류공급부로 공급하는 조절몸체;
    상기 조절몸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되면 상기 조절몸체가 회전되면서 속도를 조절하도록 조작되는 조절노브;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노브의 상부로 접촉되어 탄성 가압함에 따라 상기 조절노브가 사용자의 조작된 후 조작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비된 노브지지체;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공급부의 분배된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와 주입연결관으로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하부 타측에 상기 역류방지부와 주입공급관으로 연결되어 공급된 약액이 주입 작동 시에 상기 역류방지부로 주입되도록 유통되는 주입유통몸체;
    상기 주입유통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공급관으로 공급된 약액이 유입되면 피스톤탄성체로 탄성 지지된 주입피스톤을 상부로 밀어올리면서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으로 주입피스톤을 가압하도록 하강하면 상기 주입유통몸체를 통해서 상기 주입공급관으로 연결된 상기 역류방지부로 주입하는 주입실린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피스톤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약액을 추가적으로 주입되도록 누름 작동되고, 작동 후 상기 피스톤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되는 누름작동체; 및
    상기 누름작동체의 하부에 전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작동체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주입량조절부에 걸림되도록 구비되어 걸림되는 높이가 상기 주입량조절부로 조절되면 상기 누름작동체의 돌출 높이의 조절에 의해 상기 주입피스톤의 위치가 조절되어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누름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량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주입부의 누름 작동되는 부분과 걸림되는 하부로 배치되어 있으며, 후면으로 방사상의 복수로 위치로 걸림되는 높이차가 발생되도록 걸림되는 길이가 각각 다른 홈 형태로 주입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주입부가 걸림되는 주입걸림홈을 가지는 회전조절몸체;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조절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조절몸체의 전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조절몸체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돌출된 주입조절노브;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로 상기 주입부의 일측에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이 관통되고 상부를 지지하는 브라켓 형태로 구비되어 안쪽으로 상기 합류공급부가 지지되는 역류방지브라켓;
    상기 역류방지브라켓의 관통된 위치에 걸림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합류공급부에 삽입 위치하여 약액이 공급되도록 중앙으로 관통되어 상기 주입부의 약액이 주입되는 부분과 연결되어 주입되는 약액이 통과되는 가압공간을 가지고, 하부로 주름 형태로 상기 가압공간을 축소하는 주름지지체가 구비된 역류방지몸체;
    상기 역류방지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공간의 내부를 폐쇄하는 바 형태로 구비되어 하부에 약액이 통과하여 역류방지가 해제되는 홈형태의 해제작동홈을 형성하여 상기 주입부에서 약액이 주입되면 하강하면서 상기 해제작동홈으로 약액이 상기 합류공급부로 주입되는 역류방지체;
    상기 역류방지체의 상부에 단면적이 확대되도록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역류방지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역류방지체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역류작동돌기; 및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서 삽입되는 핀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삽입 시 상기 역류작동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역류방지체가 하강하면서 상기 해제작동홈이 상기 합류공급부 내로 노출되어 약액의 역류 방지를 해제하여 공급하고, 삽입 해제하면 역류 방지 기능을 회복하는 역류해제핀;을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류공급부는,
    상기 역류방지부의 하부에 삽입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주입부에서 주입되는 약액이 역류가 방지되면서 공급되고, 상기 조절부에서 조절된 약액이 합류되어 공급되는 합류공간을 가지는 합류공급몸체;
    상기 합류공급몸체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어 조절된 약액이 유입되는 조절유입공간을 가지도록 돌출된 조절유입체; 및
    상기 합류공급몸체의 하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하우징부의 환자로 공급되는 부분이 연결되어 상기 합류공간 내에서 선택적으로 합류되는 약액이 공급되는 합류공급공간을 가지는 합류공급체;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0210193268A 2021-12-30 2021-12-30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61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268A KR102616242B1 (ko) 2021-12-30 2021-12-30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268A KR102616242B1 (ko) 2021-12-30 2021-12-30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837A true KR20230102837A (ko) 2023-07-07
KR102616242B1 KR102616242B1 (ko) 2023-12-20

Family

ID=8715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268A KR102616242B1 (ko) 2021-12-30 2021-12-30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2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632B1 (ko) * 2018-12-05 2020-09-16 이우석 볼러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102297404B1 (ko) * 2019-09-16 2021-09-01 김기운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632B1 (ko) * 2018-12-05 2020-09-16 이우석 볼러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기
KR102297404B1 (ko) * 2019-09-16 2021-09-01 김기운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242B1 (ko)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4120B2 (ja) 対流増加式薬物配給装置および使用方法
CA2482573C (en) Two-compartment reduced volume infusion pump
JP6676627B2 (ja) 一体型の流体路チャネルを備えたプレート
US7326188B1 (en) Anesthesia manifold and induction valve
JP4603266B2 (ja) 複数段階流体供給デバイス
US8361011B2 (en) Manifold hub for patient fluid administration
JP3833657B2 (ja) 静脈注入用薬液の流量調節デバイス
CN105517596B (zh) 用于药物输注的调节器及包括该调节器的药物输注装置
US20080004574A1 (en) Selectable rate intravenous infusion set
US20080097317A1 (en) Infusion pump
KR102022768B1 (ko) 약액이 추가 주입되는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JP2005103273A5 (ko)
TW201936219A (zh) 藥液供給調節裝置及具備其的注射液注入裝置
WO2007127853A3 (en) Implantable therapeutic substance delivery system with catheter access port control and method of use
US20180193560A1 (en) Selector
KR102022766B1 (ko) 약액 주입 장치
KR20230102837A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0622017B1 (ko) 혈액역류방지장치
JP2023014174A (ja) 薬液投与装置と薬液投与装置に用いられる薬液注入コントローラ
JP6507430B2 (ja) 薬剤注入装置
KR102297404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20190023899A (ko) 멀티 웨이 밸브유닛
KR102196122B1 (ko) 환자 제어식 약물 투여 장치
KR102157228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354003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