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065B1 - 약액 유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유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065B1
KR101440065B1 KR1020120131825A KR20120131825A KR101440065B1 KR 101440065 B1 KR101440065 B1 KR 101440065B1 KR 1020120131825 A KR1020120131825 A KR 1020120131825A KR 20120131825 A KR20120131825 A KR 20120131825A KR 101440065 B1 KR101440065 B1 KR 101440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groove
chemical liquid
chemical solution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4456A (ko
Inventor
김춘규
이병주
Original Assignee
김춘규
이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규, 이병주 filed Critical 김춘규
Priority to KR1020120131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06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 유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액의 유량을 정량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조작이 용이하고, 특히 약액의 압력 또는 자중에 의한 영향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여 더욱 정밀한 유량 조절이 가능한 약액 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약액 유입 통로와 약액 유출 통로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약액 유입 통로로부터 유입된 약액을 상기 약액 유출 통로로 안내하고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 라인이 형성된 약액 연통부; 상기 약액 연통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유량 조절 라인을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부재; 및 상기 유량 조절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약액 유입 통로는 약액의 유입 압력을 감쇄시키는 구조를 갖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약액 유량 조절 장치{FLOW RATE REGULATOR FOR INTRAVENOUS FLUID}
본 발명은 약액이 주입되는 유량을 정량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약액 유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링거액(정맥주사 및 비구경 투여 액체) 등과 같은 약액의 압력 또는 자중에 의한 영향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고 유량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조절 가능한 약액 유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장치는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링거액을 정량적으로 환자에게 주입하기 위해서 링거액을 공급 라인에 약액 유량 조절기가 설치된다.
링거액이 인체 혈관 속으로 투입되는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는 유량조절장치들에 대한 발명들이 국내외적으로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면, 제리엘아슬라니안(국제공개번호 WO 86/00682, WO 88/09893)이 발명한 유량조절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갖고 있으나, 링거액이 유량조절장치 내부의 유로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유량 조절장치 재질의 제약이 존재하고, 링거액의 종류가 바뀔 경우 다시 사용하지 못하며, 한 손으로 조작하기가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량 조절 장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단(Gordan, 미국특허번호 4332369)은 링거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나사의 원리(회전 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나사의 원리)를 이용해서 링거액이 통과하는 튜브를 눌러 주는 방식의 유량조절장치를 발명하였으나, 그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상용화되기에는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현재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유량 조절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거액이 통과하는 튜브(15)를 원판(14)이 눌러주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지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량 조절 장치는 도 3과 같이 엄지손가락에 의해 조작되는 원판(14)이 하우징(13)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면서 하우징의 최상단 위치(16)에서 최하단 위치(17)까지 이동하기 때문에, 검지와 중지로 하우징을 잡은 상태에서 하우징을 따라 굴러가는 원판을 엄지로 조작하는 것은 상당히 부자연스러운 동작이 된다.
또한, 상기 유량 조절 장치는 미세한 유량 조절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 하우징 바닥에 파져 있는 홈(12)의 단면적이 더 완만히 변하도록 홈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 하우징의 길이가 더 길어지게 되어서 엄지로 원판을 조작하는 동작이 더욱 부자연스럽게 되어서 결과적으로는 한 손으로 유량조절장치를 조작하기가 힘들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원판(14)을 구름운동시켜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에서는 약액량을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한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58539호를 살펴보면, 주입하려는 처방된 유량에 대한 기준점에서 측정한 유량의 비율로 조작부의 조작점을 맞춤으로써 처방된유량으로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액 유량 조절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등록특허공보의 수액 유량 조절기의 경우에는 수액 저장통에 잔존하는 수액의 양에 따라 조절기에 가해지는 수액 입력단 압력이 변경되며, 이러한 압력 변경에 의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액의 유량이 정확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약액이 유입되는 부분에서 압력을 경감시켜 유량 조절 라인에서 약액의 유량이 정확하고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량 조절 라인의 구조를 개량하여 약액의 정확한 유량 조절이 가능한 약액 유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약액 유입 통로와 약액 유출 통로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약액 유입 통로로부터 유입된 약액을 상기 약액 유출 통로로 안내하고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 라인이 형성된 약액 연통부; 상기 약액 연통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유량 조절 라인을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부재; 및 상기 유량 조절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약액 유입 통로는 약액의 유입 압력을 감쇄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약액 유입 통로는 상기 유량 조절 라인 인근에서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약액 유입 통로에는 약액의 압력을 감쇄하기 위한 압력 감쇄 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압력 감쇄 부재는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오목한 압력 감쇄 홈이 형성되고 몸체의 외연에는 복수의 약액 유통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약액 유출 통로에 상기 압력 감쇄 부재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약액 유입 통로와 약액 유출 통로가 구비되는 하부 케이스와, 중심부가 천공되어 천공된 중심부로 상기 유량 조절 부재 및 조절 노브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약액 연통부의 유량 조절 라인은: 상기 약액 유입 통로와 연통되어 약액이 유입되는 약액 유입 홈; 상기 약액 유입 홈의 방사상 내측 또는 외측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불연속 환형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유량 조절 홈; 및 상기 유량 조절 홈의 방사상 내측 또는 외측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약액이 유출되는 약액 유출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약액 유입 홈 및 약액 유출 홈은 환형의 홈 형태를 가지며, 각각 연통공을 통해 상기 약액 유입 통로 및 약액 유출 통로와 연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유량 조절 홈은 일측으로 갈수록 바닥면의 깊이가 점차 얕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유량 조절 홈은 상기 약액 유입 홈에 인접 배치되는 제1 유량 조절 홈과, 상기 약액 유출 홈에 인접 배치되는 제2 유량 조절 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유량 조절 홈과 제2 유량 조절홈은 공동홈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공동홈에서 일측 단부로 갈수록 바닥면의 깊이가 점차 얕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유량 조절 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약액 유입 홈과 상기 제1 유량 조절 홈을 연통시키는 제1 연통홈과, 상기 제2 유량 조절 홈과 상기 약액 유출 홈을 연통시키는 제2 연통홈이 구비되며, 상기 유량 조절 부재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연통홈 및 제2 연통홈의 위치가 조절되어 유량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양 측벽에 라운드형 요철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조절 노브의 둘레를 따라 유량을 표시하는 눈금 표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유량 조절 부재의 외연 가장자리에는 둘 이상의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 노브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 요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 노브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공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 노브를 상기 결합공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유량 조절 부재를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기밀하게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조절 노브를 개폐가능하게 커버하기 위한 커버 부재가 더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에 따르면, 약액 유입 통로로 유입된 약액의 압력이 경감되어 약액 조절 라인으로 안내됨으로써 약액의 유량을 정확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 노브를 회전 조적하는 간단한 작동구조를 가짐으로써 작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약액 유입 경로에 압력 감쇄 부재를 설치하여 약액 디스펜서에 잔존하는 약액의 양 변화에 의한 유입단 압력 변화가 발생하여도 유출되는 유량의 변화가 극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량 조절 라인의 유량 조절 홈이 복수개 배치되어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함으로써, 부품 공차나 가공 불량 등이 발생하여도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고 미세한 유량 조절이 가능하며, 환자에 대한 약액 투입량 처방이 정확하게 지켜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의 하우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의 조작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의 외관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상부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조절 노브의 구성을 위에서 내려다 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유량 조절 부재의 배면 구성을 보인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하부 케이스의 약액 연통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유량 조절 홈의 깊이 변화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서 압력 감쇄 부재를 예시한 사시도, 및
도 14는 본 발명에서의 약액 흐름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약액이 유입되는 약액 유입 통로(111) 및 약액이 유출되는 약액 유출 통로(112)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10)의 상면에 결합되며 중심부가 천공된 상부 케이스(120)로 구성된다. 상, 하부 케이스(110, 120)는 요철 구성 등에 의한 억지 끼움 결합, 후크 구성 등에 의한 걸림 결합, 볼트 체결에 의한 볼트 결합 등 공지의 결합 수단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100)의 양 측벽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때 그립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라운드형 요철부(130)가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상부 케이스(120)의 일측에는 힌지축(122)이 형성되고, 여기에 커버 부재(500)가 힌지 결합된다. 커버 부재(500)는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주요 구성품들을 개폐하여 보호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케이스(120)의 천공부에 결합되는 조절 노브(400)가 커버 부재(500)에 의해 커버된다. 커버 부재(500)의 타측에는 커버 부재(500)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510)가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유량 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10)의 바닥면 상에는 유량 조절 라인(210)이 형성된 약액 연통부(200)가 구비된다. 이 약액 연통부(200) 상에 유량 조절 부재(300)가 결합되며, 유량 조절 부재(300) 상에는 조절 노브(400)가 결합된다.
하부 케이스(110)에 형성되는 약액 유입 통로(111)와 약액 유출 통로(112)는 각각 하부 케이스(110)의 서로 대향하는 일측(예를 들면, 약액 디스펜서에 연결되는 측)과 타측(환자 투여 측)에서 하부 케이스 내부로 인입하여 형성되는 관체이다.
약액 연통부(200)는 하부 케이스(110) 내부에서 원형으로 돌출된 벽체를 가지며, 이 벽체 내부에 유량 조절 라인(21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유량 조절 라인(210)은 복수의 환형 라인 및 불연속 환형 라인으로 구성되며 유량 조절 라인(2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1, 12, 및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하부 케이스(110)의 약액 유입 통로(111) 내부에는 압력 감쇄 부재(600)가 삽입 설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약액 유출 통로(112) 측에도 압력 감쇄 부재(6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0)는 중앙에 천공부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하부 케이스(110)의 약액 연통부(200)를 제외한 부분을 커버한다. 도 8은 상부 케이스(120)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120)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유선형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위와 아래를 식별하기 용이하게 함은 물론, 넓은 하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한다.
상부 케이스(120)의 상측에는 힌지축(122)이 형성되며, 여기에 커버 부재(500)가 힌지 결합된다. 상부 케이스(120)의 중앙에 형성된 천공부는 조절 노브(40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천공부 둘레에는 유량을 표시하는 눈금 표시부(140)가 인쇄되거나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절 노브(400)를 회전 조작할 때 눈금 표시부(140)를 통해 현재 유량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9는 조절 노브(40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조절 노브(400)는 원형의 베이스 플레이트(401)의 지름 방향으로 조절 손잡이(420)가 상향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조절 손잡이(420)는 사용자가 두 손가락(엄지와 검지)을 이용하여 파지하고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의 양측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조절 노브(400)의 상면에는 회전 방향에 따라 유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형 및 문구 등이 인쇄되거나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된다. 또한, 조절 노브(40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결합 요홈(410)이 형성된다.
도 10은 유량 조절 부재(300)의 배면 구성을 보인 배면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유량 조절 부재(300)는 배면 측이 약액 연통부(200)를 수용하도록 함몰 형성된다. 유량 조절 부재(30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약액 연통부(200)를 기밀하게 커버하는 동시에 조절 노브(400)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유량 조절 부재(300)는 조절 노브(4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의 유량 조절 부재(300)와 플라스틱 재질의 조절 노브(400)가 이중 사출 설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 조절 부재(300)와 조절 노브(400)가 별개의 구성품으로 제공되고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 조절 부재(300)의 외연 가장자리에는 소정 간격으로 결합 돌출부(3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결합 돌출부(330)가 조절 노브(400)의 결합 요홈(4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조절 노브(400)의 회전 조작에 상응하여 유량 조절 부재(300)가 회전 동작한다.
유량 조절 부재(300)의 배면 상에는 제1 연통홈(310) 및 이 제1 연통홈(310)에 이격되어 제2 연통홈(320)이 형성된다. 제1 연통홈(310) 및 제2 연통홈(320)은 각각 내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를 가지며, 후술하는 유량 조절 라인(210)의 약액 유통 경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연통홈(310) 및 제2 연통홈(320)은 각각 연질막에 의해 폐쇄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 연질막이 약액을 연통시킬 때 탄력적으로 유동되면서 약액을 펌핑하는 작용을 하고 이에 따라 약액의 연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1은 하부 케이스(110) 상에 형성된 유량 조절 라인(210)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유량 조절 라인(21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약액 연통부(200)의 유량 조절 라인(210)은 약액 유입 홈(212)과, 유량 조절 홈(213)과, 약액 유출 홈(2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유량 조절 홈(213)은 제1 유량 조절 홈(213a)과 제2 유량 조절 홈(213b)으로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 유입 홈(212) 및 약액 유출 홈(214)은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하는 환형의 홈 형태를 갖는다. 유량 조절 홈(213)은 개루프(open-loop)를 형성하는 불연속 환형의 홈 형태를 갖는다.
한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약액 유입 홈(212)이 동심원 상에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고, 약액 유출 홈(214)이 최외각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서 이 두 홈(212, 214)의 위치는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약액 유입 통로(111)를 환자 투여 측에 연결하고 약액 유출 통로(112)를 약액 디스펜서 측에 연결하여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왜냐하면, 약액 유입 홈(212)과 약액 유출 홈(214)은 상호 치환되어도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약액 유입 홈(212)은 약액 유입 통로(111)와 연통공(211)을 통해 연통된다. 연통공(211)은 약액 유입 통로(111)가 절곡되어 형성된 통공이다. 연통공(211)에 의해 약액 유입 통로(111)를 통해 유입된 약액이 직교 방향으로 2번 경로를 변경하여 압력이 감쇄된 상태에서 약액 유입 홈(212)으로 유입된다. 약액 유입 홈(212)의 방사상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유량 조절 홈(213a)이 위치한다. 약액 연통부(200) 상에서 약액 유입 홈(212)과 제1 유량 조절 홈(213a)은 구획된 상태에 있으며, 우측에 도시한 유량 조절 부재(300)의 제1 연통홈(310)에 의해 두 홈(212, 213a)이 연통된다.
제1 유량 조절 홈(213a)의 방사상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2 유량 조절 홈(213b)이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량 조절 홈(213a)과 제2 유량 조절 홈(213b)는 공동홈(216)에 의해 일단이 연통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 조절 홈(213)은 공통적으로 공동홈(216)에서 가장 깊은 깊이(Depth)를 가지며 타단으로 갈수록 깊이가 얕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유량 조절 홈(213)의 불연속 타단 부분에는 평탄부(220)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유량 조절 부재(300)가 회전되어 제1 연통홈(310)이 평탄부(220)에 위치하는 경우, 약액 유입 홈(212)과 제1 유량 조절 홈(213a)의 연결이 차단되어 약액의 공급이 중지된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유량 조절 홈(213b)의 방사상 외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약액 유출 홈(214)이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약액 연통부(200) 상에서 제2 유량 조절 홈(213b)과 약액 유출 홈(214)은 구획된 상태에 있으며, 우측에 도시한 유량 조절 부재(300)의 제2 연통홈(320)에 의해 두 홈(213b, 214)이 연통된다.
약액 유출 홈(214)은 약액 유출 통로(112)와 연통공(215)을 통해 연통된다. 이 연통공(215) 역시 약액 유출 통로(112)가 절곡되어 형성된 통공이다. 즉, 약액 유출 홈(214)과 약액 유출 통로(112) 역시 연통공(215)에 의해 2단 절곡된 형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유량이 조절된 약액이 약액 유출 통로(112)로 배출될 때 배출되는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유량 조절 라인(210)은 제1 유량 조절 홈(213a)이 약액 유입 측의 유량을 조절하며, 제2 유량 조절 홈(214b)이 약액 유출 측의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유량 조절 홈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유량 조절 홈은 두 개를 초과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기술적 의의로는, 제품의 공차나 홈의 유실 등이 발생될 경우에도 두 개의 유량 조절 홈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유량 조절에 대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단일의 유량 조절 홈을 사용하는 경우 제품의 공차나 홈의 유실에 의해 유량 조절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유량 조절 홈을 사용함으로써, 그러한 규격 불량에 대처할 수 있음은 물론 향상된 정확도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3은 약액 유입 통로(111)에 삽입되는 압력 감쇄 부재(600)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압력 감쇄 부재(600)는 원통형의 몸체(610)로 이루어진다. 몸체(610)의 중앙에는 유입되는 약액의 압력을 감쇄하기 위해 오목하게 압력 감쇄 홈(630)이 형성된다. 몸체(610)의 외연에는 약액이 유통되기 위한 약액 유통 홈(620)이 형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약액 유량 조절 장치 내에서 약액의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각 구성들의 작용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를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10)의 중심부에는 결합공(1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 노브(400)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공(150)에 결합되는 쐐기 형태의 결합 돌부(450)가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110)의 약액 연통부(200) 상에 유량 조절부재(300)를 위치시킨 후, 조절 노브(400)의 결합 돌부(450)를 하부 케이스(110)의 결합공(15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실리콘 재질의 유량 조절 부재(300)를 약액 연통부(200)에 대하여 기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약액 유입 통로(111)의 내측에 압력 감쇄 부재(600)가 삽입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감쇄 부재(600)는 약액 유입 통로의 내측에 노즐 형태로 돌출된 부위에 결합된다. 도 14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약액 유입 통로(111)로 유입된 약액은 압력 감쇄 부재(600)의 압력 감쇄 홈(630)에 의해 압력이 감쇄된 상태에서, 압력 감쇄 부재(600)의 약액 유통 홈(620)을 통해 연통공(211)으로 유입된다.
압력 감쇄 부재(600)와 연통공(211)에 의해 유입되는 약액의 압력이 감쇄된 상태에서, 약액 유입 홈(212)으로 약액이 유입된다. 이때, 유량 조절 부재(300)의 위치에 따라 약액 유입 홈(212)과 제1 유량 조절 홈(213a)간의 연통 지점이 정해진다. 약액 유입 홈(212)과 제1 유량 조절 홈(213a)간의 연통 지점이 공동홈(216)에 인접한 부위에 있다면, 제1 유량 조절 홈(213a)과 제2 유량 조절 홈(213b)을 통해 형성되는 약액의 유통 경로가 매우 짧아지며,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약액을 유통시킬 수 있다. 반면, 약액 유입 홈(212)과 제1 유량 조절 홈(213a)간의 연통 지점이 평탄부(220)에 인접한 부위에 있다면, 유통 경로가 길어져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약액을 유통시키게 된다.
이때, 유량 조절 홈(213)이 두 개의 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홈이 기능을 상실한다 하여도 나머지 다른 홈이 정상적으로 유통 경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유량 조절 홈(213)이 상보적으로 약액의 유통 경로를 조절하여 보다 정확한 유량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량 조절 홈(213)은 두 개를 초과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 예시하지 않았지만, 약액 유출 통로(112)에도 약액 유입 통로(111)에서와 마찬가지로 압력 감쇄 부재(6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약액 유출 통로(112)에 압력 감쇄 부재를 설치할 경우, 약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약액의 유출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조절 장치는 링거액(정맥주사 및 비구경 투여 액체)을 포함한 약액이 환자 혈관으로 주입되는 유량을 정확하고 안정적이며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조작이 매우 용이하며, 특히 유량 조절 라인(210)의 정밀한 구성을 통해 더욱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약액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하부 케이스
111 : 약액 유입 통로 112 : 약액 유출 통로
120 : 상부 케이스 122 : 힌지축
130 : 요철부 140 : 눈금 표시부
150 : 결합공 200 : 약액 연통부
210 : 유량 조절 라인 211 : 연통공
212 : 약액 유입 홈 213 : 유량 조절 홈
213a : 제1 유량 조절 홈 213b : 제2 유량 조절 홈
214 : 약액 유출 홈 215 : 연통공
216 : 공동홈 220 : 평탄부
300 : 유량 조절 부재 310 : 제1 연통홈
320 : 제2 연통홈 330 : 결합 돌출부
400 : 조절 노브 401 : 베이스 플레이트
10 : 결합 요홈 420 : 조절 손잡이
450 : 결합 돌부 500 : 커버 부재
510 : 손잡이 600 : 압력 감쇄 부재
610 : 몸체 620 : 약액 유통 홈
630 : 압력 감쇄 홈

Claims (16)

  1. 약액 유입 통로와 약액 유출 통로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약액 유입 통로로부터 유입된 약액을 상기 약액 유출 통로로 안내하고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절 라인이 형성된 약액 연통부;
    상기 약액 연통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유량 조절 라인을 부분적으로 개방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부재; 및
    상기 유량 조절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약액 연통부의 유량 조절 라인은:
    상기 약액 유입 통로와 연통되어 약액이 유입되는 약액 유입 홈;
    상기 약액 유입 홈의 방사상 내측 또는 외측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불연속 환형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유량 조절 홈; 및
    상기 유량 조절 홈의 방사상 내측 또는 외측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약액이 유출되는 약액 유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유량 조절 홈은 상기 약액 유입 홈에 인접 배치되는 제1 유량 조절 홈과, 상기 약액 유출 홈에 인접 배치되는 제2 유량 조절 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유량 조절 홈과 제2 유량 조절홈은 공동홈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공동홈에서 일측 단부로 갈수록 바닥면의 깊이가 점차 얕아지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유입 통로는 상기 유량 조절 라인 인근에서 절곡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유입 통로에는 약액의 압력을 감쇄하기 위한 압력 감쇄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쇄 부재는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오목한 압력 감쇄 홈이 형성되고 몸체의 외연에는 복수의 약액 유통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유출 통로에 상기 압력 감쇄 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약액 유입 통로와 약액 유출 통로가 구비되는 하부 케이스와, 중심부가 천공되어 천공된 중심부로 상기 유량 조절 부재 및 조절 노브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유입 홈 및 약액 유출 홈은 환형의 홈 형태를 가지며, 각각 연통공을 통해 상기 약액 유입 통로 및 약액 유출 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 홈은 일측으로 갈수록 바닥면의 깊이가 점차 얕아지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 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약액 유입 홈과 상기 제1 유량 조절 홈을 연통시키는 제1 연통홈과, 상기 제2 유량 조절 홈과 상기 약액 유출 홈을 연통시키는 제2 연통홈이 구비되며,
    상기 유량 조절 부재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연통홈 및 제2 연통홈의 위치가 조절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 측벽에 라운드형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조절 노브의 둘레를 따라 유량을 표시하는 눈금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절 부재의 외연 가장자리에는 둘 이상의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 노브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 노브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공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결합 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 노브를 상기 결합공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유량 조절 부재를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기밀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1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조절 노브를 개폐가능하게 커버하기 위한 커버 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유량 조절 장치.
KR1020120131825A 2012-11-20 2012-11-20 약액 유량 조절 장치 KR10144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825A KR101440065B1 (ko) 2012-11-20 2012-11-20 약액 유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825A KR101440065B1 (ko) 2012-11-20 2012-11-20 약액 유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456A KR20140064456A (ko) 2014-05-28
KR101440065B1 true KR101440065B1 (ko) 2014-09-17

Family

ID=5089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825A KR101440065B1 (ko) 2012-11-20 2012-11-20 약액 유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340A (ko) * 2019-06-18 2020-12-29 김상기 약액 유량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743B1 (ko) * 2014-12-31 2016-01-11 김기운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1952322B1 (ko) * 2018-05-15 2019-02-26 이시영 수액세트용 유량조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9712A2 (en) * 1988-11-15 1990-05-23 Baxter International Inc. Fluid flow control
KR100468222B1 (ko) * 2004-07-16 2005-01-26 메인텍 주식회사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20050057507A (ko) * 2002-09-19 2005-06-16 아이-플로우 코포레이션 유체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9712A2 (en) * 1988-11-15 1990-05-23 Baxter International Inc. Fluid flow control
KR20050057507A (ko) * 2002-09-19 2005-06-16 아이-플로우 코포레이션 유체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장치
KR100468222B1 (ko) * 2004-07-16 2005-01-26 메인텍 주식회사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340A (ko) * 2019-06-18 2020-12-29 김상기 약액 유량 조절 장치
KR102307988B1 (ko) 2019-06-18 2021-10-05 김상기 약액 유량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456A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754B1 (ko) 수액유량조절기
KR100790433B1 (ko) 유체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장치
EP3202441B1 (en) Multi-type medicinal fluid flow rate control apparatus and medicinal fluid injector comprising same
KR101695453B1 (ko) 셀렉터
JP3833657B2 (ja) 静脈注入用薬液の流量調節デバイス
KR101392954B1 (ko) 자동호흡장치
KR940002805B1 (ko) 정맥주사 유량조절밸브
KR101440065B1 (ko) 약액 유량 조절 장치
JP2002516580A (ja) 外在型スリット弁及びスリット開閉を制御するための可変制御器
CA2472724A1 (en) Pressure compensating iv flow control regulator
RU200614152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хода
CN205434574U (zh) 一种输液流速调节器
JP2009149375A (ja) 液体製品を小出しするための小出し装置
EP2355878B1 (en) Intravenous set with an automatic stopping mechanism in the drip chamber
KR20100027806A (ko) 유로 조정방식의 약액 공급량 조절기
KR100909342B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KR100982612B1 (ko)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1952322B1 (ko) 수액세트용 유량조절장치
CN205339738U (zh) 一种输液流速调节器
KR102297404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WO2006120890A1 (ja) チューブおよび液体供給具
KR20200143937A (ko) 유체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셀렉터
KR102307988B1 (ko) 약액 유량 조절 장치
KR102354003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1794925B1 (ko) 다기능 약액 공급량 조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