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167B1 -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167B1
KR100500167B1 KR10-2002-0004127A KR20020004127A KR100500167B1 KR 100500167 B1 KR100500167 B1 KR 100500167B1 KR 20020004127 A KR20020004127 A KR 20020004127A KR 100500167 B1 KR100500167 B1 KR 100500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
inlet
outlet
main bod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808A (ko
Inventor
이계한
원용수
이경묵
Original Assignee
연우인더스트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우인더스트리(주) filed Critical 연우인더스트리(주)
Priority to KR10-2002-000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1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겔의 수액을 조절하는 수액 공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상세하게는 수액이 유입되는 유입구(3)가 일측에 형성되고, 조절된 수액이 유출되는 유출구(4)가 타측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안내홈(5)이 형성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동되고, 외주연에 유입홈(8)과 유출홈(9)이 상하로 각각 길게 형성되어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10)에 의해 서로 유통되도록 하며, 상부에는 상기 안내홈(5)에 삽입되는 안내돌기(12)가 형성된 조절부재((7)와;
상기 본체(2)와 조절부재(7) 사이에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해 주고, 상기 본체(2)의 내부에 고정된 패킹(15)과;
상기 조절부재(7)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2)에 조절부재(7)가 회동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16)로 구성함으로써 수액의 공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액 공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Control device of supply for injection}
본 발명은 링겔의 수액을 조절하는 수액 공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상세하게는 수액 조절부재의 외주연에 수액 조절홈 2개를 길게 형성한 후 이를 내측에서 관통되도록 하여 수액조절홈의 길이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연결부재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수액이 유출구를 통해 유출될때 수액량이 조절되도록 하여 수액의 공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액 공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겔 액병이나 색에 수납된 수액이나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할 때 환자의 상태나 투여되는 수액이나 약액의 종류에 따라 투여되는 속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수액공급조절장치는 수액공급호스의 외측에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호스를 압착시킴으로써 수액의 투여량을 조절하도록 한 것이 대부분인데, 호스의 외측을 압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미세하게 수액의 투여속도를 조절할 수 없었다.
즉, 종래의 수액공급조절장치로는 공개실용신안 제1999-32991호가 있었으나, 이는 조절기 몸체에 조절로울러를 설치하여 레일식으로 수액호스를 압압하는 구조이었기 때문에 투여되는 수액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가 없었고, 장시간 수액이나 약액을 투여하게 되면 호스의 복원력에 의해 투여량이 저절로 변화가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리고 또 다른 수액공급조절장치로는 공개실용신안 제94-11932호가 있으나, 이는 점적통의 하부에 수액 공급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수액량을 조절하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수액 통로에 수직방향으로 조절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 조절손잡이를 조금만 회동시켜도 투여되는 수액량의 변화가 많아 미세하게 수액의 투여량을 조절 할 수 없었고, 점적통에 수액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통상적인 수액 공급셋트에 사용할 수 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환자의 상태나 투여되는 수액이나 약액의 종류에 따라 투여되는 속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주사 수액 공급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수액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조절된 수액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타측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안내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동되고, 외주연에 유입홈과 유출홈이 상하로 각각 길게 형성되어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에 의해 서로 유통되도록 하며, 상부에는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된 조절부재와;
상기 본체와 조절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해 주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된 패킹과;
상기 조절부재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에 조절부재가 회동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액공급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액공급조절장치(1)는 본체(2)의 일측에 링겔병이나 색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액이나 약액이 유입되는 유입구(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유입구(3)로 유입된 수액의 공급속도가 조절된 수액이 환자의 체내로 공급되는 유출구(4)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2)의 상부에는 안내홈(5)을 원형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안내홈(5)의 일측에 정지돌기(6)를 돌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내측에는 조절부재(7)를 회동되게 삽입 설치하며, 상기 조절부재(7)의 외주연에는 유입홈(8)과 유출홈(9)을 상하로 각각 형성하고, 내부에는 관통구(10)을 형성하되, 상기 유입홈(8)과 유출홈(9)은 조절부재(7)의 외주연을 따라 길게 형성(거의 맞닿을 정도로)되도록 하고, 상기 유입홈(8)과 유출홈(9)의 일단은 상기 관통구(10)에 연결되도록 하여 서로 수액이 유통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유입홈(8)과 유출홈(9)의 상하에는 각각 돌기(11)를 형성하여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즉, 조절부재(7)의 외측 상하에는 유입홈(8)과 유출홈(9)을 조절부재(7)의 외부면을 따라 길게 형성한 후 유입홈(8)의 일단은 조절부재(7)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구(10)의 일단과 연결하고, 유입홈(8)의 일정 부위(길게 형성된 유입홈의 어느 한 부분)는 유입구(3)와 연접되도록 하며, 유출홈(9)의 일단 또한 조절부재(7)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구(10)의 타단과 연결하고, 유출홈(9)의 일정 부위(길게 형성된 유입홈의 어느 한 부분)는 유출구(4)와 연접되도록 하여 고정부재(7)를 회동시킴에 따라 관통구(10)가 상기 유입구(3) 및 유출구(4)로부터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7)의 상부 테두리에는 안내돌기(12)를 형성하여 상기 안내홈(5)에 삽입되어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돌기(12)의 하부 일단에는 걸림돌기(13)를 돌출시켜 조절부재(7)가 일정 각도로 회동하면 상기 정지돌기(6)에 걸림돌기(13)가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조절부재(7)의 상단 중앙에는 조절손잡이(14)를 형성하여 조절부재(7)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2)의 내측에는 패킹(15)을 삽입 고정하여 상기 유입홈(8)과 유출홈(9)의 수액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패킹(15)에는 상기 유입구(3) 및 유출구(4)와 동일한 수액 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패킹(15)이 본체(2)에 고정되어 조절부재(7)가 회동하더라도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재(7)의 하부에는 조절부재(7)가 본체(2)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16)를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부재(16)의 상단 내부에 걸림턱(17)을 형성하고, 조절부재(7)의 하부에도 걸림턱(17')을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18은 마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링겔병의 수액이 유입구(3)를 통해 본체로 유입되면 조절부재(7)의 관통구(10)를 통해 유출구(4)로 유출되어 인체로 공급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절부재(7)의 조절손잡이(14)를 회동시키면 유입구(3) 및 유출구(4)로 부터 관통구(10)가 멀리 이격되어 수액 통로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수액에 저항이 증가하여 수액의 투여량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즉, 유입구(3)를 통해 유입된 수액은 유입홈(8)를 따라 관통구(10)로 유입되고, 관통구(10)의 수액은 다시 유출홈(9)을 따라 유출구(4)로 유출되게 되는데, 조절부재(7)를 회동하면 유입구(3) 및 유출구(4)가 관통구(10)로 부터 멀어지게 되므로 유입홈(8) 및 유출홈(9)을 따라 통과되는 수액의 통로가 길어지게 된다.다시말해, 고정부재(7)의 외측에 길게 형성된 유입홈(8) 및 유출홈(9)의 어느 한 부분은 항상 유입구(3) 및 유출구(4)와 접촉을 하고 있는 상태가 되는데, 고정부재(7)를 회동시킴에 따라 관통구(10)는 유입구(3) 및 유출구(4)와 일치되거나 멀리 이격하게 되는데 관통구(10)와 유입구(3) 및 유출구(4)가 일치할 경우에는 많은 양의 수액이 통과하게 되고, 관통구(10)로부터 유입구(3) 및 유출구(4)가 멀어질 경우에는 유입구(3)로 유입된 수액이 유입홈(8)을 따라 관통구(10)로 유입된 후 다시 유출홈(9)을 통과한 후 유출구(4)로 유출되어 공급되는 것이다.즉, 유입구(3)를 통해 유입된 수액은 유입홈(8)를 따라 관통구(10)로 유입되고, 관통구(10)의 수액은 다시 유출홈(9)을 따라 유출구(4)로 유출되게 되는데, 조절부재(7)를 회동하면 유입구(3) 및 유출구(4)가 관통구(10)로 부터 멀어지게 되므로 유입홈(8) 및 유출홈(9)을 따라 통과되는 수액의 통로가 길어지게 된다.다시말해, 고정부재(7)의 외측에 길게 형성된 유입홈(8) 및 유출홈(9)의 어느 한 부분은 항상 유입구(3) 및 유출구(4)와 접촉을 하고 있는 상태가 되는데, 고정부재(7)를 회동시킴에 따라 관통구(10)는 유입구(3) 및 유출구(4)와 일치되거나 멀리 이격하게 되는데 관통구(10)와 유입구(3) 및 유출구(4)가 일치할 경우에는 많은 양의 수액이 통과하게 되고, 관통구(10)로부터 유입구(3) 및 유출구(4)가 멀어질 경우에는 유입구(3)로 유입된 수액이 유입홈(8)을 따라 관통구(10)로 유입된 후 다시 유출홈(9)을 통과한 후 유출구(4)로 유출되어 공급되는 것이다.이를 첨부된 도 3에 의해 설명하면, 도 3(a)와 같이 유입구(3)와 관통구(10)가 일직선상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는 유입구(3)로 유입된 수액은 저항없이 관통구(10)와 유출구(4)를 통해 공급되므로 공급양이 많아지고, 도 3(b)와 같이 내측의 조절부재(7)를 회동시키게 되면 유입구(3)로부터 관통구(10)의 입구측이 멀어지게 되므로 유입구(3)를 통해 유입된 수액은 유입홈(8)을 따라 통과하다가 관통구(10)를 통해 유출구(4)로 유출되기 때문에 관통구(10)가 유입구(3)로 부터 멀어 질수록 유입홈(8)의 길이가 길어져 저항이 증가하여 공급되는 수액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이때, 상기 유출구(4)측에도 유출홈(9)이 상기 유입홈(8)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입구(3)로부터 관통구(10)가 멀어지는 것 만큼 유출구(4)도 멀어지게 되므로 통과되는 수액의 저항력도 2배로 증가되어 조절을 미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액의 통로가 길어지게 되면 길어지는 것 만큼 통로를 통과하는 수액에 저항이 발생하므로 수액량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절 손잡이(14)를 회동시킴에 따라 수액의 투여량이 조절되는 본 발명은 일정한 만큼 조절부재(7)가 회동을 하면 더 이상 회동되지 않게 조절부재(7)의 걸림돌기(13)가 본체(2)의 정지돌기(6)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조절부재(7)의 외주연에는 유입홈(8)과 유출홈(9)을 상하로 각각 길게 형성시킴으로써 조절부재(7)를 회동시킴에 따라 수액량이 조절되므로 수액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나 투여되는 수액이나 약액의 종류에 따라 투여되는 속도를 미세하게 조절 할 수 있으며, 호스의 중간에 수액공급조절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어느 수액공급셋트에든지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액 공급 조절장치 2 : 본체 3 : 유입구
4 : 유출구 7 : 조절부재 8 : 유입홈
9 : 유출홈 10 : 관통구 15 : 패킹

Claims (3)

  1. 본체(2)의 일측에는 수액이 유입되는 유입구(3)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조절된 수액이 유출되는 유출구(4)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조절부재(7)가 삽입되어 회동하며, 상기 본체(2)와 조절부재(7) 사이에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해 주고, 상기 본체(2)의 내부에 고정된 패킹(15)으로 구성된 주사 수액 공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7)의 외주연에는 유입홈(8)과 유출홈(9)을 상하로 각각 길게 형성되어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10)에 의해 서로 유통되도록 하며, 상기 유입홈(8)과 유출홈(9)의 상하에는 각각 돌기(11)를 형성하여 수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에는 안내돌기(12)가 형성된 조절부재((7)와;
    상기 조절부재(7)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2)에 조절부재(7)가 회동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수액 공급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2-0004127A 2002-01-24 2002-01-24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KR100500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127A KR100500167B1 (ko) 2002-01-24 2002-01-24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127A KR100500167B1 (ko) 2002-01-24 2002-01-24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808A KR20030063808A (ko) 2003-07-31
KR100500167B1 true KR100500167B1 (ko) 2005-07-12

Family

ID=3221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127A KR100500167B1 (ko) 2002-01-24 2002-01-24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124B1 (ko) * 2011-11-15 2013-11-26 한국기계연구원 수액주입용 로터리타입 선형유량조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2506A (en) * 1984-07-13 1989-02-07 Aslanian Jerry L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2506A (en) * 1984-07-13 1989-02-07 Aslanian Jerry L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124B1 (ko) * 2011-11-15 2013-11-26 한국기계연구원 수액주입용 로터리타입 선형유량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808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3657B2 (ja) 静脈注入用薬液の流量調節デバイス
US5520661A (en) Fluid flow regulator
US8974415B2 (en) Flow stop insert apparatus and methods
US4141379A (en) Check valve
CA1056683A (en) Hydrophobic valve
US3662752A (en) Infusion device
KR101695455B1 (ko) 수액 유량 조절장치
KR100500167B1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US7318819B2 (en) Automatic locking valve for medication injection
US20180344928A1 (en) Flowrate regulating device for infusion set
KR100399643B1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WO2006120890A1 (ja) チューブおよび液体供給具
KR100399644B1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KR100409020B1 (ko) 링거액 주입량 조절기
KR200240495Y1 (ko) 링거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1794925B1 (ko) 다기능 약액 공급량 조절기
KR20200143937A (ko) 유체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셀렉터
KR0172665B1 (ko)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역류 및 공기차단 장치
KR102247794B1 (ko) 스톱콕
KR200253242Y1 (ko) 링거액 주입량 조절기
KR0134933Y1 (ko) 링겔의 수액 공급 조절 장치 및 역류방지 장치
KR200265972Y1 (ko)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0182388B1 (ko) 가압수액셋트
KR20110130095A (ko) 수혈 또는 수액 유량 조절기
TW201641127A (zh) 無針加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