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726A - 폐지와 폐섬유를 이용한 천장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폐지와 폐섬유를 이용한 천장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726A
KR20020084726A KR1020010023685A KR20010023685A KR20020084726A KR 20020084726 A KR20020084726 A KR 20020084726A KR 1020010023685 A KR1020010023685 A KR 1020010023685A KR 20010023685 A KR20010023685 A KR 20010023685A KR 20020084726 A KR20020084726 A KR 20020084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mpression
ceiling
sheet
cei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497B1 (ko
Inventor
김명열
Original Assignee
김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열 filed Critical 김명열
Priority to KR10-2001-0023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497B1/ko
Publication of KR2002008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천장에 고정, 설치하는 천정판을 폐지나 폐섬유를 재활용하여 제조하고, 천장판의 표면에 방염재와 방수재를 도포하여, 천장판의 불연성과 부식성 등을 보다 향상시키고, 천장판을 경량화하여, 천정판의 설치 및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고 간편할 수 있으며,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장판에 다양한 색상을 첨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미려하고 자연스러운 색상으로 실내 장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폐지 및 폐섬유를 이용한 천장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판에 있어서,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폐지와 폐섬유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 분쇄하고, 가열 용기에 각각 약 40 ~ 50 %의 폐지 및 폐섬유와, 약 4 ~ 6 %의 합성수지를 투입하고, 적정량의 물을 주입하도록 하는 분쇄 공정과;
폐지 및 폐섬유와 합성수지, 물이 투입된 가열 용기를 적정한 온도와 시간에 따라, 가열하도록 하는 가열 공정과;
가열된 혼합물을, 대략 섭씨 100 ~ 150 도의 성형 열판에 주입하여, 압축기에서 성형 열판을 압축시키도록 하고, 압축 후에 적정 시간동안 냉각, 또는 건조되도록 하는 압축 및 건조 공정과;
경화된 2개의 압축판을, 천연 라텍스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 공정과;
상호 접착된 압축판을, 상기 성형 열판에 투입하여 2차 압축시키고, 적정 시간 동안 냉각, 건조시키도록 하는 2차 압축 공정과;
상기 압축판의 표면에 로울러 등을 이용하여, 방염제와 파라핀 등의 방수제를 도포하도록 하는 도포 및 마감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지와 폐섬유를 이용한 천장판의 제조 방법 {Ceiling plate use of waste paper and waste fibres}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실내 천장 부위에 설치되도록 하는 천정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특히 폐지나 폐섬유등의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천장판을 성형, 제작함으로써, 천장판을 경량화할 수 있기 때문에, 천정판의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고 간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수입에 의존하는 자원을 절감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폐지와 폐섬유를 이용한 천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판은 건축물의 실내를 내장하는 마감재로서, 일정한 규격의 크기로 성형, 제작되어, 실내 천장 부위에 볼트 등의 각종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되었다.
이러한 천장판은 주로, Fiber glass (유리섬유) 혼합 소재의 천장판과, 알루미늄 소재의 천장판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Fiber glass 혼합 소재의 천장판이나 알루미늄 소재의 천장판은, 비교적 무게가 가볍고, 내화성과 부식성이 우수하여, 실내의 천장을 마감하는 건축 내장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Fiber glass 소재의 천장판은, Fiber glass (유리섬유)나 석면 등의 원료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기 때문에, 건축 시공 후에 실내에서 생활하는 일반인들의 건강과 위생에 위협될 수 있는 심각한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알루미늄 소재의 천장판은, 주원료인 알루미늄의 가격이 고가이고,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천장판의 제작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더욱이, 천장판의 모양이나 색상을 다변화시켜 제조하여, 수요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최근 심각한 환경 오염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폐자원을 재활용하거나, 자연 친화적인 소재의 활용에 대한 시도와 연구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실내 천장부위에 설치되도록 하는 천정판을 폐지나 폐섬유를 재활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천장판의 내화성과 부식성을 향상시키고, 천장판을 경량화하여, 천정판의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고 간편할 수 있으며, 수입에 의존하는 자원을 절감하고,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장판에 다양한 색상을 첨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실내 장식을 연출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압축 공정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천장판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천정판 20 : 접착제
30 : 방염제 40 : 방수제
본 발명은 건축물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판에 있어서,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폐지와 폐섬유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 분쇄하고, 가열 용기에 각각 약 40 ~ 50 %의 폐지 및 폐섬유와, 약 4 ~ 6 %의 합성수지를 투입하고, 적정량의 물을 주입하도록 하는 분쇄 공정과;
폐지 및 폐섬유와 합성수지, 물이 투입된 가열 용기를 적정한 온도와 시간에 따라, 가열하도록 하는 가열 공정과;
가열된 혼합물을, 대략 섭씨 100 ~ 150 도의 성형 열판에 주입하여, 압축기에서 성형 열판을 압축시키도록 하고, 압축 후에 적정 시간동안 냉각, 또는 건조되도록 하는 압축 및 건조 공정과;
경화된 2개의 압축판을, 천연 라텍스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 공정과;
상호 접착된 압축판을, 상기 성형 열판에 투입하여 2차 압축시키고, 적정 시간 동안 냉각, 건조시키도록 하는 2차 압축 공정과;
상기 압축판의 표면에 로울러 등을 이용하여, 방염제와 파라핀 등의 방수제를 도포하도록 하는 도포 및 마감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압축 공정을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천장판을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쇄 공정 (C)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폐지와 폐섬유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 분쇄하고, 가열 용기에 각각 약 40 ~ 50 %의 폐지 및 폐섬유와, 약 4 ~ 6 %의 합성수지를 투입하고, 적정량의 물을 주입한다.
가열 공정 (C)
상기 분쇄 공정(C)에서 적절한 크기로 분쇄된 폐지 및 폐섬유와 합성수지, 물이 투입된 가열 용기를 적정한 온도와 시간에 따라, 가열하도록 한다.
압축 및 건조 공정 (D)
상기 가열 공정(C)에서 가열된 혼합물을, 대략 섭씨 100 ~ 150 도의 성형 열판에 주입하여, 압축기에서 성형 열판을 압축시키도록 하고, 압축 후에 적정 시간동안 냉각, 또는 건조되도록 한다.
접착 공정 (S)
상기 압축 및 건조 공정(D)에서 제작되어 경화된 2개의 압축판을, 천연 라텍스 등의 접착제(2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한다.
2차 압축 공정 (P)
상기 접착 공정(S)에서 상호 접착된 압축판(1, 1')을, 상기 성형 열판에 투입하여 압축기 등으로 2차 압축시키고, 적정 시간 동안 냉각, 건조시키도록 한다.
도포 및 마감 공정 (F)
상기 2차 압축 공정(P)이 종료하게 되면, 상기 압축판(1, 1')의 표면에 로울러 등을 이용하여, 방염제(30)와 파라핀 등의 방수제(40)를 도포하여, 천장판(10)을 완성한다.
미설명 부호 1과 1'는 압축판이고, 2는 압축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폐지 및 폐섬유를 이용한 천장판과 타 소재의 천장판을 아래의 표에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무게 내화성 방수성(부식성) 색상(심미감)
폐지,폐섬유소재 천정판 경량 우수 우수 우수
알루미늄소재 천정판 다소 경량 우수 보통 보통
유리섬유소재 천정판 중량 보통 보통 보통
이와 같이 공정을 통해 제조된 천장판은, 표면에 도포된 상기 방염제(30)와 방수제(40)에 의해, 내화성과 불연성, 그리고 내수성과 부식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폐지와 폐섬유가 주원료이기 때문에, 천장판(10)이 경량화되어, 천장판(10)의 시공과 설치, 그리고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고 간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조 공정 과정에서, 다양한 색상액을 첨가하여, 미려한 색상의 천장판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천정판 시공 후에, 실내의 천장이 자연적이고 미려한 색상의 천장판으로 장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 천장에 고정, 설치하는 천정판을 폐지나 폐섬유를 재활용하여 제조하고, 천장판의 표면에 방염재와 방수재를 도포하여, 천장판의 불연성과 부식성 등을 보다 향상시키고, 천장판을 경량화하여, 천정판의 설치 및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고 간편할 수 있으며,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장판에 다양한 색상을 첨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미려하고 자연스러운 색상으로 실내 장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건축물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판에 있어서,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폐지와 폐섬유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 분쇄하고, 가열 용기에 각각 약 40 ~ 50 %의 폐지 및 폐섬유와, 약 4 ~ 6 %의 합성수지를 투입하고, 적정량의 물을 주입하도록 하는 분쇄 공정(C)과;
    폐지 및 폐섬유와 합성수지, 물이 투입된 가열 용기를 적정한 온도와 시간에 따라, 가열하도록 하는 가열 공정(H)과;
    가열된 혼합물을, 대략 섭씨 100 ~ 150 도의 성형 열판에 주입하여, 압축기에서 성형 열판을 압축시키도록 하고, 압축 후에 적정 시간동안 냉각, 또는 건조되도록 하는 압축 및 건조 공정(D)과;
    경화된 2개의 압축판을, 천연 라텍스 등의 접착제(2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 공정(S)과;
    상호 접착된 압축판(1, 1')을, 상기 성형 열판에 투입하여 2차 압축시키고, 적정 시간 동안 냉각, 건조시키도록 하는 2차 압축 공정(P)과;
    상기 압축판(1, 1')의 표면에 로울러 등을 이용하여, 방염제(30)와 파라핀 등의 방수제(40)를 도포하도록 하는 도포 및 마감 공정(F)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 및 폐섬유를 이용한 천정판.
KR10-2001-0023685A 2001-05-02 2001-05-02 폐지와 폐섬유를 이용한 천장판의 제조 방법 KR100427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685A KR100427497B1 (ko) 2001-05-02 2001-05-02 폐지와 폐섬유를 이용한 천장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685A KR100427497B1 (ko) 2001-05-02 2001-05-02 폐지와 폐섬유를 이용한 천장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726A true KR20020084726A (ko) 2002-11-11
KR100427497B1 KR100427497B1 (ko) 2004-04-27

Family

ID=2770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685A KR100427497B1 (ko) 2001-05-02 2001-05-02 폐지와 폐섬유를 이용한 천장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4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814B1 (ko) * 2001-07-02 2004-06-10 김도희 폐지를 주원료로 하는 팔레트 및 건축자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0591140B1 (ko) * 2005-03-08 2006-06-20 신세계건설(주) 폐지와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건축용 이중 바닥재 제조방법
KR101103819B1 (ko) * 2009-10-16 2012-01-06 나라앤텍 주식회사 마감패널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034B1 (ko) * 2006-09-25 2007-08-28 주식회사 대한실업 폐합성수지 성형물에 입체 장식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입체장식을 갖는 폐합성수지 제품
KR102271496B1 (ko) * 2020-03-18 2021-07-01 길동상사 주식회사 친환경 데코레이션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500B2 (ja) * 1992-07-09 1995-02-01 音重 曽根 畳床用のインシュレーションボードおよびその製法
JPH06262727A (ja) * 1993-03-12 1994-09-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合板代替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07251B1 (ko) * 1997-04-10 1999-07-15 안상용 폐섬유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2400A (ko) * 1999-12-02 2000-03-06 이제수 폐자재를 이용한 합성합판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합성합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814B1 (ko) * 2001-07-02 2004-06-10 김도희 폐지를 주원료로 하는 팔레트 및 건축자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0591140B1 (ko) * 2005-03-08 2006-06-20 신세계건설(주) 폐지와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건축용 이중 바닥재 제조방법
KR101103819B1 (ko) * 2009-10-16 2012-01-06 나라앤텍 주식회사 마감패널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7497B1 (ko) 2004-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16788B (zh) 纸基蜂窝复合墙板
CN101736873A (zh) 一种防火板及其制造工艺
CN106379008A (zh) 一种轻质保温防水板及生产工艺
KR100427497B1 (ko) 폐지와 폐섬유를 이용한 천장판의 제조 방법
CN102808491A (zh) 保温装饰板及其制作方法
CN204609693U (zh) 一种室内建筑用装饰防火门
CN202416764U (zh) 岩棉保温装饰一体板
CN214111750U (zh) 一种轻质高强度防火保温装饰一体板
CN201050136Y (zh) 纸基蜂窝复合墙板
CN210713626U (zh) 一种复合式保温装饰一体板
CN208430699U (zh) 一种隔热防水的高强度蜂窝复合板
CN110815984A (zh) Lvl结构木皮uv饰面新型装饰板及其制作方法
CN202850417U (zh) 冰火板
CN205776840U (zh) 一种eps岩棉复合防火保温装饰一体板
CN110948635A (zh) 一种新型生态纤维板及其湿法制备工艺
CN111070370A (zh) 一种生态环保装饰板材及其湿法制板工艺
CN109184122A (zh) 一种建筑保温装饰一体板施工工艺
CN110748074A (zh) Lvl结构三聚氰胺纸饰面新型板材及其制作方法
CN110587808A (zh) 一种保温装饰一体板生产工艺
CN208618706U (zh) 一种岩棉保温装饰一体化板
CN205502463U (zh) 一种新材外墙装饰板
CN208618704U (zh) 一种热固聚苯乙烯泡沫装饰一体化板
CN213952776U (zh) 保温装饰复合板
CN213233992U (zh) 一种高强度隔热人造石板材
CN212271467U (zh) 一种耐腐蚀的建筑装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