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054A - 파레트 상판골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파레트 상판골조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054A
KR20020084054A KR1020020064094A KR20020064094A KR20020084054A KR 20020084054 A KR20020084054 A KR 20020084054A KR 1020020064094 A KR1020020064094 A KR 1020020064094A KR 20020064094 A KR20020064094 A KR 20020064094A KR 20020084054 A KR20020084054 A KR 20020084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ut
cutting
upper frame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영
Original Assignee
코리아에스피엔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에스피엔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에스피엔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4054A/ko
Publication of KR2002008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05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레트 상판골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철재 파레트의 상판골조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과 절단수단을 개선하므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단부(10)를 프레임(11)에 고정상태로 설치하되,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는 한쌍의 지지대(12) 내부에 배출부(24)를 갖는 하부금형(13)을 고정하고, 상기 지지대(12)의 상부에는 실린더(15)를 설치하여 하부 로드(16)의 선단에 지지판(17)을 고정하고, 이의 하부에는 가이드(19)를 스프링(20)에 탄력설치하며, 상기 가이드(19)의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상부금형(14)을 역시 중앙이 개방되게 설치하고, 상부금형(14)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판골조(28)를 절단할 수 있는 커터(18)를 지지판(17)의 하부에 설치하며, 상기 지지대(12)에는 상부센서(22)와 하부센서(23)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지지판(17)에 취부된 감지구(21)에 의해 상기 지지판(17)이 승강되는 커터(18)의 승강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고, 포밍기(27)와 절단부(10) 사이의 포밍기(27)측에 로울러(26)에 의해 회전거리를 설정할 수 있는 엔코드(25)를 장착하여 상판골조(28)의 절단거리를 제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레트 상판골조 제조장치{A palette for under frames making system}
본 발명은 파레트 상판골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철재 파레트의 상판골조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과 절단수단을 개선하므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철재 파레트의 경우는 각종 물품을 포장하거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종류가 안출되어 있고, 이러한 파레트는 주로 목재나 합성수지 또는 철재 등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 바, 이러한 목재나 합성수지로 된 파레트 이외에 철재로 되어 있는 파레트의 경우는 그 재질의 특성상 각각을 조립할 경우 용접으로 하는 경우보다는 볼팅 또는 리벳팅 등의 조립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작업성이나 내구성 등을 감안할 때 훨씬 합리적이다.
이러한 철재 파레트의 중간골조나 하부골조 및 기등의 경우는 주로 물품을 안치하는 용도보다는 지지하는 용도로서 사용되고, 실제 물품은 상판골조위에 안치된다.
즉, 상기와 같은 물품을 안치하는 파레트의 상판골조는 그 특성상 요철형의 페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롤(ROLL)상의 철판을 이용하여 포밍기에 의한 절곡과 동시에 적정의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종래에도 이러한 파레트의 상판골조를 절단하는 장치가 등록실용신안공보(제20-0215546호)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기재된 기술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포밍기로부터 소재가 절단부측으로 진입을 하게 되면 절단칼과 받침대 사이를 통과하여 가이드판위로 이동하고, 정지실린더의 정지판에 닿게 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이동실린더를 작동시키므로서 이동판과 가이드판 및 가이드판이 설치된 감지 및 배출장치 전체가 소재의 이동속도와 같은 속도로 이동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은 이동과 동시에 절단실린더가 작동하여 절단날이 하강하면서 받침대의 공간부 사이로 유입되므로 소재가 절단칼의 폭만큼 절단이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소재가 절단됨과 동시에 정지실린더가 작동하여 정지판이 상부로 이동하고, 또한 이동실린더가 작동하여 이동판과 가이드판 및 감지 및 배출부가 처음의 위치로 복귀하며, 또한 배출실린더가 작동하여 그 앞의 절단된 소재를 밀어내는 과정을 반복하므로서 상판골조 소재를 절단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기존의 소재(상판골조) 절단장치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기존의 파레트 상판골조의 절단장치는 결국 포밍기에서 포밍된 소재가 절단부로 진입하게 되면 가이드판위로 이동하여 정지판에 닿음과 동시에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이동실린더를 작동하게 되므로 결국 이동판과 가이드판 및 가이드판에 설치된 감지 및 배출장치 전체가 소재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여 원하는 규격만큼 이동하게 되면 소재를 절단하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기존의 소재 절단장치는 절단실린더와 프레임 및 절단칼 등 절단부 전체가 가이드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상태에서 절단하고, 다시 원위치로 이동할 시 가이드수단이 정지했다가 복귀하는 과정에서 심한 충격이 발생하게 되어 장비의 사용수명이 일층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복귀시에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절단칼과 받침대로 이루어진 금형에 심한 마모가 발생하게 되어 수명이 극히 단기적일 뿐만 아니라 절단부가 매끈하지 못하여 제품의 완성시 모서리에 의해 안전사고를 당하는 등의 폐단이 따랐고, 한편으로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절단실린더, 프레임, 절단칼, 받침대 등의 이동에 의해 정확한 규격으로 소재(상판골조)를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절단실린더의 로드에 취부된 절단칼이 하부로 이동하여 소재를 절단할 시 상기 소재를 지지하는 수단이 부가되지 못한 상태에서 절단칼이 소재를 펀칭타입으로 절단하기 때문에 절단되는 부위의 소재에 반대응력이 작용하여 뒤집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파레트를 조립한 상태에서 별도의 가공작업을 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상의 철재 파레트를 구성하는 상판골조의 절단장치를 개선하여 불량의 발생을 줄이고, 절단부 전체를 이동하지 않고 별도의 엔코드나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길이를 설정한 다음 포밍기의 포밍로울러에 의해 장비를 정지한 상태에서 절단을 하므로서 장비의 충격발생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할 뿐만 아니라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포밍로울러가 정지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절단하므로서 정확한 규격의 절단과 동시에 절단된 표면에 매끈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을 할 수 있으므로 불량의 발생률을 일층 줄이고, 한편으로는 상부금형이 하부금형으로 이동할 시 충격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정확하게 절단하기 위해 로드와 간접 연결되는 가이드를 설치하여 스프링을 탄설하므로서 상부금형이 하부금형의 상부에 안치된 상판골조를 누르는 상태에서 절단하게 되어 안전성이 크게 개선될 뿐만 아니라 상부금형의 지지력에 의해 상판골조는 정확한 규격으로 절단이 가능하게 하여 별도 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파레트의 상판골조에 대한 생산성을 크게 개선하면서 양산성을 증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대비되는 종래 절단장치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절단장치의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절단장치를 배출되는 부위에서 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절단부 11 : 프레임
12 : 지지대 13 : 하부금형
14 : 상부금형 15 : 실린더
16 : 로드 17 : 지지판
18 : 커터 19 : 가이드
20 : 스프링 21 : 감지구
22 : 상부센서 23 : 하부센서
24 : 배출부 25 : 엔코드
26 : 로울러 27 : 포밍기
28 : 상판골조
도 1 은 본 발명에 대비되는 종래 절단장치의 측면도를 보인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절단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절단장치를 배출되는 부위에서 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포밍기(27)에서 상판골조(28)의 형상이 완료된 상태에서 공급되면 프레임(11)상의 절단부(10)의 작동으로 상판골조(28)를 절단할 수 있게 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0)를 프레임(11)에 고정상태로 설치하되,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는 한쌍의 지지대(12)를 설치하여 내부에는 상판골조(28)의 형상과 동일한 하부금형(13)을 중앙이 개방되게 직교방향으로 배출부(24)를 형성하여 고정한다.
상기 지지대(12)의 상부에는 하향으로 작동되는 실린더(15)를 설치하여 로드(16)의 선단에 지지판(17)을 고정하고, 이의 하부에는 대향으로 한쌍의가이드(19)를 스프링(20)에 탄력설치하며, 상기 가이드(19)의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상부금형(14)을 역시 중앙이 개방되게 설치하고, 중앙이 개방된 상부금형(14)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판골조(28)를 절단할 수 있는 커터(18)를 지지판(17)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실린더(15)의 작동으로 로드(16)가 하향 이동하므로서 절단부(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커터(18)에 의해 상판골조(28)를 절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12)의 일측에는 상부센서(22)와 하부센서(23)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지지판(17)에 취부된 감지구(21)에 의해 상기 지지판(17)이 승강되는 커터(18)의 승강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포밍기(27)와 절단부(10) 사이의 포밍기(27)측에 로울러(26)에 의해 회전거리를 설정할 수 있는 엔코드(25)를 장착하여 상판골조(28)의 절단거리를 제어하여 연속반복적으로 동일 규격으로 절단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포밍기(27)와 절단부(10)의 사이에는 상판골조(28)의 이동거리를 자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서보모터(도시생략)를 설치하여 상기 상판골조(28)가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면 자체적으로 포밍기(27)가 정지되어 커터(18)에 의해 상판골조(28)를 절단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발명은 통상의 철재 파레트를 구성하는 상판골조(28)의 절단장치를 개선하여 불량의 발생을 줄이고, 절단부(10) 전체를 이동하지 않고 별도의 엔코드(25)나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길이를 설정한 다음 포밍기(27)의 포밍로울러에 의해 장비를 정지한 상태에서 절단을 하므로서 장비의 충격발생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할 뿐만 아니라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포밍로울러가 정지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절단하므로서 정확한 규격의 절단과 동시에 절단된 표면에 매끈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부금형(14)과 하부금형(13)이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을 할 수 있으므로 불량의 발생률을 일층 줄이고, 한편으로는 상부금형(14)이 하부금형(13)으로 이동할 시 스프링(20)에 의해 충격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정확하게 절단하기 위해 로드(16)와 간접 연결되는 가이드(19)를 설치하여 스프링(20)을 탄설하므로서 상부금형(14)이 하부금형(13)의 상부에 안치된 상판골조(28)를 누르는 상태에서 절단하게 되어 안전성이 크게 개선될 뿐만 아니라 상부금형(14)의 지지력에 의해 상판골조(28)는 정확한 규격으로 절단이 가능하게 하여 별도 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파레트의 상판골조(28)에 대한 생산성을 크게 개선하면서 양산성을 증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상판골조(28)의 절단방법과 작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상판골조(28)를 제작할 경우는 1차적으로 공지된 포밍기(27)에서 다수의 포밍로울러를 거치면서 원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상판골조(28)가 연속반복적으로 이동하여 절단부(10)측으로 공급되면 상기 절곡된 상판골조(28)는 절단부(10)측의 지지대(12) 내부의 상부금형(14)과 하부금형(13)의 사이로 들어가게 됨과 동시에 포밍기(27)와 배출부(24)의 사이측에 설치된 엔코드(25)의 로울러(26)가 상판골조(28)의 표면에 닿은 상태로 회전하게 되어 로울러(26)의 회전에 따라 설정된 상판골조(28)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판골조(28)의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면 엔코드(25)의 신호가 포밍기(27)를 구동하는 메인모터(도시생략)와 실린더(15)에 전달되어 포밍기(27)의 포밍로울러(26)를 정지하게 되고, 실린더(15)의 로드(16)가 작동을 하게 되므로 결국 로드(16)의 하향작동에 의해 지지판(17) 하부에 취부된 커터(18)가 상부금형(14)과 하부금형(13)의 사이에 직교방향으로 형성된 배출부(24)를 통해 내려가면 상판골조(28)는 절단이 이루어지게 되며, 여기서 발생되는 잔여 로스분은 하부의 배출부(24)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지지판(17)의 하부에 장착된 커터(18)의 양단에는 가이드(19)가 스프링(20)에 탄력설치된 상태에서 하부금형(13)을 관통한 상태로 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상판골조(28)를 절단하고 나면 실린더(15)의 로드(16)는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린더(15)의 로드(16) 작동으로 지지판(17)이 하부로 이동될 시 커터(18)가 한꺼번에 절단을 하는 것이 아니고, 일단지지된 상태에서 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금형(14)이 하부금형(13)상에 올려진 상판골조(28)를 약간 누른 상태에서 완전히 지지하여 커터(18)가 하부로 내려오게 되므로 절단작업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판골조(28)를 지지한 상태에서 절단이 이루어지게 되어 절단부가 뒤집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표면이 매끈하게 절단이 이루어진다.
특히 이러한 동작들이 상판골조(28)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절단작업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판골조(28)의 절단을 완료한 다음 지지판(17)과 커터(18)는 가이드(19)에 탄력설치된 스프링(20)의 복원력과 실린더(15)의 작동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다음의 절단 대기상태에 이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단작업을 연속반복적으로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프레임(11) 상부에 고정타입으로 설치된 지지대(12)에는 상부센서(22)와 하부센서(23)가 각각 취부되어 있고, 승강하는 지지판(17)에는 감지구(21)가 취부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지지판(17)과 커터(18)가 승강할 시에는 감지구(21)가 상부센서(22) 또는 하부센서(23)에 신호를 전달하므로서 이동거리와 절단에 대한 작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포밍기(27)와 절단부(10)의 사이에는 상판골조(28)의 이동거리를 자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엔코드(25) 대신에 서보모터를 설치하여 상기 서보모터의 회로에 상판골조(28)의 이동거리를 설정하여 입력하게 되면 상기 상판골조(28)가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면 자체적으로 포밍기(27)가 정지되어 커터(18)에 의해 상판골조(28)를 절단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는 상판골조(28)의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수단을 달리한 것인 바. 이러한 서보모터는 자체에 거리제어나 회전수의 가감 또는 힘의 가감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회로나 데이터의 입력방식 등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키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경우와 같이 상판골조(28)를 절단할 시 포밍기(27)가 계속 작동하는 과정에서 절단부(10) 전체가 이동하면서 절단하는 것이 아니고, 일단 설정된 거리만큼 상판골조(28)가 이동하게 되면 이동의 거리를 엔코드(25)의 로울러(26)에 입력된 신호에 의해포밍기(27)의 포밍로울러를 정지한 상태에서 고정타입의 절단부(10)가 작동하여 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상판골조(28)를 지지한 상태에서 절단을 하게 되므로 절단작업 도중 충격에 의한 소음발생의 방지는 물론 장비의 사용수명을 연장하는 등의 효과가 부가되고, 절단된 부위의 표면이 매끈하여 후가공이 필요없게 되므로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철재 파레트를 구성하는 상판골조(28)의 절단장치를 개선하여 불량의 발생을 줄이고, 절단부(10) 전체를 정지한 상태에서 별도의 엔코드(25)나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길이를 설정한 다음 포밍기(27)의 포밍로울러에 의해 장비 전체를 정지하여 절단을 하므로서 장비의 충격발생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일층 연장할 뿐만 아니라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포밍로울러가 정지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절단하므로서 정확한 규격의 절단과 동시에 절단된 표면에 매끈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부금형(14)과 하부금형(13)이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을 할 수 있으므로 불량의 발생률을 일층 줄이고, 한편으로는 상부금형(14)이 하부금형(13)으로 이동할 시 스프링(20)에 의해 충격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정확하게 절단하기 위해 로드(16)와 간접 연결되는 가이드(19)를 설치하여 스프링(20)을 탄설하므로서 상부금형(14)이 하부금형(13)의 상부에 안치된 상판골조(28)를 누르는 상태에서 절단하게 되어 안전성과 정확성이 크게 개선될 뿐만 아니라 상부금형(14)의 지지력에 의해 상판골조(28)는 정확한 규격으로 절단이 가능하게 하여 별도 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파레트의 상판골조(28)에대한 생산성을 크게 개선하면서 양산성을 증대하는 등의 효과가 부가되어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2)

  1. 포밍기(27)에서 상판골조(28)가 공급되면 프레임(11)상의 절단부(10)측 커터(18)의 작동으로 상판골조(28)를 절단할 수 있게 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0)를 프레임(11)에 고정상태로 설치하되,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는 한쌍의 지지대(12)를 설치하여 내부에는 상판골조(28)의 형상과 동일한 하부금형(13)을 중앙이 개방되게 직교방향으로 배출부(24)를 형성하여 고정하고, 상기 지지대(12)의 상부에는 수직으로 실린더(15)를 설치하여 하부 로드(16)의 선단에 지지판(17)을 고정하고, 이의 하부에는 대향으로 한쌍의 가이드(19)를 스프링(20)에 탄력설치하며, 상기 가이드(19)의 안내를 받을 수 있는 상부금형(14)을 역시 중앙이 개방되게 설치하고, 중앙이 개방된 상부금형(14)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판골조(28)를 절단할 수 있는 커터(18)를 지지판(17)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실린더(15)의 작동으로 로드(16)가 하향 이동하므로서 절단부(10) 전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커터(18)에 의해 상판골조(28)를 절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지지대(12)의 일측에는 상부센서(22)와 하부센서(23)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지지판(17)에 취부된 감지구(21)에 의해 상기 지지판(17)이 승강되는 커터(18)의 승강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고, 포밍기(27)와 절단부(10) 사이의 포밍기(27)측에 로울러(26)에 의해 회전거리를 설정할 수 있는 엔코드(25)를 장착하여 상판골조(28)의 절단거리를 제어하여 연속반복적으로 절단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상판골조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기(27)와 절단부(10)의 사이에는 상판골조(28)의 이동거리를 자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서보모터를 설치하여 상기 상판골조(28)가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면 자체적으로 포밍기(27)가 정지되어 커터(18)에 의해 상판골조(28)를 절단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상판골조 제조장치.
KR1020020064094A 2002-10-14 2002-10-14 파레트 상판골조 제조장치 KR20020084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094A KR20020084054A (ko) 2002-10-14 2002-10-14 파레트 상판골조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094A KR20020084054A (ko) 2002-10-14 2002-10-14 파레트 상판골조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054A true KR20020084054A (ko) 2002-11-04

Family

ID=2772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094A KR20020084054A (ko) 2002-10-14 2002-10-14 파레트 상판골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40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936A (ko) * 2021-02-03 2022-08-10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틸하우스 패널용 커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3426A (ja) * 1991-04-11 1992-11-05 Amada Co Ltd パンチング加工方法及びパンチプレス
JPH0760698A (ja) * 1993-08-30 1995-03-07 Kyodo Printing Co Ltd フィルム裁断装置
JPH11226664A (ja) * 1998-02-16 1999-08-24 Amada Co Ltd パンチプレスの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3426A (ja) * 1991-04-11 1992-11-05 Amada Co Ltd パンチング加工方法及びパンチプレス
JPH0760698A (ja) * 1993-08-30 1995-03-07 Kyodo Printing Co Ltd フィルム裁断装置
JPH11226664A (ja) * 1998-02-16 1999-08-24 Amada Co Ltd パンチプレスの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936A (ko) * 2021-02-03 2022-08-10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틸하우스 패널용 커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6723B1 (en) Automatic machine for punching and cutting wheel rims
KR910008242B1 (ko) 띠톱기계에 있어서의 절삭배분력 검출방법 및 장치
KR102147049B1 (ko) 프레스 성형기용 금형 교체장치
CN200974256Y (zh) 一刀两用的切条、切断机
US3875839A (en) Bandsaw
CN111452149A (zh) 一种电脑裁板锯的控制系统及工作方法
KR100816400B1 (ko) 프레스가공 판넬의 끼임 방지 돌기 성형장치
CN108818644B (zh) 一种切胶机
CN202317825U (zh) 一种型材加工设备的快速自动出料装置
CN110524593B (zh) 一种槽楔倒角切断一次性成型装置
CA1049378A (en) Press roll system for sawing machine
CN205668406U (zh) 一种高效紧凑式自动压型装置
KR20020084054A (ko) 파레트 상판골조 제조장치
CN201172082Y (zh) 自动定距冲孔装置
CN209095746U (zh) 一种保护切刀的模切机
CN105537471A (zh) 一种用于纺纱钢丝圈的高精密数控成型机床
KR100559205B1 (ko) 타이어 반제품 시트의 절단 공급장치
CN113371516B (zh) 全自动堆叠装置及模切机
CN202208558U (zh) 裁剪机送料控制装置
CN211591493U (zh) 包装盒生产用自动打钉机
CN110153269B (zh) 一种自动冲断落料收集装置
CN212884858U (zh) 一种砂型3d打印机用破壳站改进结构
EP2230063B1 (de) Begehbarer Sicherheitsboden
CN211709482U (zh) 一种模切机用的除废料机构
CN219152199U (zh) 可避免卡料的门框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