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882A -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882A
KR20020082882A KR1020027012114A KR20027012114A KR20020082882A KR 20020082882 A KR20020082882 A KR 20020082882A KR 1020027012114 A KR1020027012114 A KR 1020027012114A KR 20027012114 A KR20027012114 A KR 20027012114A KR 20020082882 A KR20020082882 A KR 20020082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data
packet
wired network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미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8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기기(1)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기기(5)로부터 기기 제어 커맨드를 전송했을 때, 그 커맨드를 수신한 제1 기기(1)는, 수신한 기기 제어 커맨드의 판정을 행하고, 그 판정에서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기기(예를 들면 기기(2∼4) 중 어느 1대)를 제어하는 커맨드라고 판단했을 때, 해당하는 커맨드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기기로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 블루투스 등의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생성된 커맨드를, IEEE1394 방식 등의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로 양호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TTER, RECORD MEDIUM, AND PROGRAM}
종래,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방식으로서 규격화된 유선의 시리얼 데이터 버스에 의해, 복수대의 기기를 접속시킨 유선 네트워크를 구성시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에 접속 가능한 오디오 기기나 비디오 기기(이하 이들 기기를 AV 기기라 함)가 개발되고, 이들의 AV 기기로 네트워크를 구성시킴으로써,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를 기기 사이에서 전송시킬 수 있다.
이 네트워크에서는, 소정의 커맨드(AV/C Command Transaction Set: 이하 AV/C 커맨드라 함)를 이용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AV 기기를, 다른 기기로부터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IEEE1394 방식의 상세 및 AV/C 커맨드의 상세에 대해서는, 1394 Trade Association에서 공개하고 있는 AV/C Digital Interface Command Set General Specification에 기재되어 있다.
한편, 최근 블루투스(Bluetooth: 상표)라 불리우는 규격의 무선 전송 시스템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를 구축하는 것이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이 무선 네트워크는, 복수대의 기기 사이에서, 전화 통신용 음성 데이터, 팩시밀리용 화상 데이터, 컴퓨터용 데이터 등의 전송을, 2.4㎓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전송하는 것으로, 기기 사이의 무선 전송 거리는, 수 m에서 최대 100m 정도까지의 비교적 근거리의 네트워크를 상정하고 있다. 전송을 행하는 데이터의 종별마다, 그 데이터 전송을 어떻게 행하는지를 규정한 프로파일이 정해져 있다.
블루투스의 통신 방식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설명하겠지만, 규격을 정한 표준화 단체인 Bluetooth SIG가 공개하고 있다. 이 블루투스라 불리우는 무선 전송 시스템의 경우에도, Audio/Video Control Transport Protocol(이하 AVCTP라 함)이라 불리우는 프로토콜로 규정된 커맨드의 전송으로, 네트워크 내의 다른 AV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IEEE1394 방식 등의 유선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네트워크와, 블루투스 등의 무선 전송을 행하는 네트워크와는, 각각 개별로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IEEE1394 방식에 대응한 기기와, 블루투스에 대응한 기기 사이에서, 커맨드를 전송하는 것 등은 종래에는 불가능하였다. 즉, 각각의 네트워크마다 규정된 커맨드의 구성이 달라,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측에서 수신한 커맨드를, 그대로 유선의 버스 라인으로 송출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와 유선 네트워크와는, 기본적으로 개별로 구축되는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각각의 네트워크마다 데이터의 송출원과 도착지를 설정시키는 관리 처리가 필요하여, 단순하게 커맨드 구성의 변환을 행하는 것만으로, 2개의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여기서는 유선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되는 네트워크로서 IEEE1394 방식을 예로 들고, 무선 네트워크로서 블루투스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다른 마찬가지의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와 유선 네트워크의 쌍방의 네트워크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 장치와 이들 데이터 전송에 적용되는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수상기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IEEE1394 방식으로 규정되는 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플러그, 플러그 컨트롤 레지스터, 전송 채널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AV/C 커맨드의 커맨드와 응답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AV/C 커맨드의 커맨드와 응답의 관계의 예를 더 상세히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AV/C 커맨드의 데이터 구조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0은 AV/C 커맨드의 구체예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10의 (A)는 커맨드 타입(C 타입) 및 응답의 예, 도 10의 (B)는 서브 유닛 타입의 예, 도 10의 (C)는 오퍼레이션 코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AV/C 커맨드의 커맨드와 응답의 구체예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11의 (A)는 커맨드의 예, 도 11의 (B)는 응답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3은 무선 전송의 계층 구조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4는 전송 주파수의 설정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5는 주파수 호핑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싱글 슬롯 패킷의 배치예를 시간축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17은 싱글 슬롯 패킷과 멀티 슬롯 패킷이 혼재한 예를 시간축으로 도시한설명도.
도 18은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의 전송 상태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18의 (A)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을, 도 18의 (B)는 슬레이브로부터의 송신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네트워크 구성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19의 (A)는 마스크와슬레이브가 1대씩인 예, 도 19의 (B)는 슬레이브가 복수대인 예, 도 19의 (C)는 복수의 마스터를 갖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SCO 링크의 통신예를 도시한 타이밍도로서, 도 20의 (A)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을, 도 20의 (B)는 슬레이브로부터의 송신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비동기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예를 도시한 타이밍도로서, 도 21의 (A)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을, 도 21의 (B)는 슬레이브 1로부터의 송신을, 도 21 의 (C)는 슬레이브 2로부터의 송신을, 도 21의 (D)는 슬레이브 3으로부터의 송신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등시성 통신 방식의 통신예를 도시한 타이밍도로서, 도 22의 (A)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을, 도 22의 (B)는 슬레이브로부터의 송신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동보 통신 방식의 통신예를 도시한 타이밍도로서, 도 23의 (A)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을, 도 23의 (B)는 슬레이브 1에서의 수신을, 도 23의 (C)는 슬레이브 2에서의 수신을, 도 23의 (D)는 슬레이브 3에서의 수신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SCO 링크와 ALC 링크를 병용하는 경우의 통신예를 도시한 타이밍도로서, 도 24의 (A)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을, 도 24의 (B)는 슬레이브 1로부터의송신을, 도 24의 (C)는 슬레이브 2로부터의 송신을, 도 24의 (D)는 슬레이브 3으로부터의 송신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클럭 데이터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6은 어드레스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7은 주파수 호핑 패턴의 생성 처리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8은 패킷 포맷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9는 액세스 코드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0은 패킷 헤더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1은 페이로드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2는 싱글 슬롯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3은 멀티 슬롯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4는 FHS 패킷의 페이로드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5는 기기의 상태 천이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6은 조회의 통신예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36의 (A)는 IQ 패킷의 송신을, 도 36의 (B)는 FHS 패킷의 송신을 도시한 도면.
도 37은 조회의 처리예를 도시한 타이밍도로서, 도 37의 (A)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을, 도 37의 (B)는 슬레이브에서의 송신 및 수신을 도시한 도면.
도 38은 호출의 통신예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38의 (A)는 마스터가 ID 패킷을 슬레이브에 송신하는 예를, 도 38의 (B)는 마스터가 FHS 패킷을 슬레이브에 송신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9는 호출의 처리예를 도시한 타이밍도로서, 도 39의 (A)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을, 도 39의 (B)는 슬레이브로부터의 송신을 도시한 도면.
도 40은 AVCTP에서의 계층 구조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1은 AVCTP의 데이터 전송 시의 패킷 구성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41의 (A)는 패킷 전체의 예를, 도 41의 (B)는 페이로드의 예를, 도 41의 (C)는 AVCTP 메시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2는 AVCTP에서의 커넥션의 확립과 커맨드, 응답의 전송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3은 AVCTP에서의 릴리스 커넥션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4는 AVCTP에서의 데이터 구조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5는 패스-스루 커맨드의 포맷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6은 패스-스루 커맨드의 오퍼레이션 ID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의 전송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정보 수집 처리예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의 수신처 판정 처리예를 설명하는 순서도.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생성된 커맨드를,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에 양호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은,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기기로부터 기기 제어 커맨드를 전송할 때, 제1 기기는, 수신한 기기 제어 커맨드의 판정을 행하고, 그 판정에서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기기를 제어하는 커맨드라고 판단했을 때, 해당하는 커맨드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기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측의 기기로부터 송출된 기기 제어 커맨드를, 유선 네트워크 내의 특정한 기기로 전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유선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네트워크 내의 기기가, 무선에 의한 커맨드로 원격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제1 기기에서의, 수신된 커맨드로부터 소정의 기기의 판단 처리는, 커맨드로 지시되는 내용에 합치하는 기기를,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로부터 탐색하는 처리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커맨드로 지시되는 내용의 판단만으로, 간단하게 유선 네트워크 내에서의 커맨드의 도착지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제3 발명은, 제2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제1 기기는,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의 기능을 사전에 조사하고, 그 조사한 기능에 관한 데이터를 보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커맨드로 지시되는 내용에 대응한 기기의 판단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제4 발명은, 제1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제1 기기에서의, 수신된 커맨드로부터 소정의 기기의 판단 처리는, 유선 네트워크 내에서 스트림 데이터의 송출원으로 되어 있는 기기를, 소정의 기기라고 판단하는 처리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선 네트워크 내의 버스 라인으로 스트림 데이터를 송출시키고 있는 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5 발명은, 제1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제1 기기에서의, 수신된 커맨드로부터 소정의 기기의 판단 처리는, 사전에 제1 기기에 등록된 기기를, 소정의 기기라고 판단하는 처리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등록된 기기로 확실하게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도록 된다.
제6 발명은, 제1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제1 기기 내에서, 무선 신호로서 수신한 커맨드를, 유선 네트워크용으로 데이터 구성을 변환하여 유선 네트워크로 송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에서 커맨드 구성이 다른 경우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제7 발명은, 제1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제2 기기로부터의 기기 제어 커맨드는, AVCTP 프로토콜의 커맨드이며, 또한 소정의 기기를 제어하는 커맨드는, IEEE1394 방식의 AV/C 커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로서 AVCTP 프로토콜을 사용한 블루투스 등에 의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 네트워크로서 AV/C 커맨드를 사용한 IEEE1394 방식 등에 의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어, 양 네트워크 사이에서의 커맨드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제8 발명은,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버스 라인이 접속되며, 유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기와 쌍방향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1 통신 수단과,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기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여 쌍방향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 수단과, 제2 통신 수단에 의해 소정의 기기 제어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 그 수신된 기기 제어 커맨드의 커맨드의 도착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도착지가 유선 네트워크로 접속된 기기일 때, 제1 통신 수단으로부터 기기 제어 커맨드를 송출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측의 기기로부터 송출된 기기 제어 커맨드를, 유선 네트워크 내의 특정한 기기로 전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유선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네트워크 내의 기기가, 무선에 의한 커맨드로 원격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제9 발명은, 제8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제어 수단에서의, 기기 제어 커맨드의 도착지 판단 처리는, 컨맨드로 지시되는 내용에 합치하는 기기를,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로부터 탐색하는 처리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커맨드로 지시되는 내용의 판단을 행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유선 네트워크 내에서의 커맨드의 도착지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제10 발명은, 제9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제어 수단은,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의 기능을 사전에 조사하고, 그 조사한 기능에 관한 데이터를 보존하고, 이 보존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커맨드로 지시되는 내용과 합치하는 기기를 탐색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커맨드로 지시되는 내용에 대응한 기기의 판단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제11 발명은, 제8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제어 수단에서의, 기기 제어 커맨드의 도착지 판단 처리는, 유선 네트워크 내에서 스트림 데이터의 송출원으로 되어 있는 기기를, 도착지라고 판단하는 처리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선 네트워크 내의 버스 라인으로 스트림 데이터를 송출시키고 있는 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12 발명은, 제8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제어 수단에서의, 기기 제어 커맨드의 도착지 판단 처리는, 사전에 등록된 기기를 도착지라고 판단하는 처리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전에 등록된 기기에 확실하게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제13 발명은, 제8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제2 통신 수단이 수신한 커맨드를, 제1 통신 수단으로 송출시키는 커맨드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에서 커맨드 구성이 서로다른 경우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제14 발명은, 제8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제2 통신 수단에 의한 소정의 기기 제어 커맨드는 AVCTP 프로토콜의 커맨드이며, 또한 제1 통신 수단에 의한 기기 제어 커맨드는 IEEE1394 방식의 AV/C 커맨드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로서 AVCTP 프로토콜을 사용한 블루투스 등에 의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 네트워크로서 AV/C 커맨드를 사용한 IEEE1394 방식 등에 의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어, 양 네트워크 사이에서의 커맨드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제15 발명은,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기기로부터 기기 제어 커맨드를 전송했을 때, 제1 기기는, 수신한 기기 제어 커맨드의 판정을 행하고, 그 판정에서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기기를 제어하는 커맨드라고 판단했을 때, 해당하는 커맨드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기기로 전송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한 것이다.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전송 장치 등에 실장시켜 실행시킴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측의 기기로부터 송출된 기기 제어 커맨드를, 유선 네트워크 내의 특정한 기기로 전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유선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네트워크 내의 기기가, 무선에 의한 커맨드로 원격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제16 발명은,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기기로부터 기기 제어 커맨드를 전송했을 때, 제1 기기는, 수신한 기기 제어 커맨드의 판정을 행하고, 그 판정에서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기기를 제어하는 커맨드라고 판단했을 때, 해당하는 커맨드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기기로 전송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 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을 전송 장치 등에 실장시켜 실행시킴으로써, 무선 네트워크측의 기기로부터 송출된 기기 제어 커맨드를, 유선 네트워크 내의 특정한 기기로 전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유선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네트워크 내의 기기가, 무선에 의한 커맨드로 원격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유선 네트워크로 복수대의 AV 기기가 접속하고 있으며, 그 유선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1대의 기기는, 블루투스라 불리우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기기를 겸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예의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유선 네트워크로서, 모니터 수상기(1)와, 비디오 카세트 기록 재생 장치(2)와, 하드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3)와, 튜너(4) 등의 AV 기기를,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시키고 있으며, 각각의 기기 사이에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나 제어 커맨드 등의 전송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예의 모니터 수상기(1)는, 블루투스라 불리우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기기로서도 기능하도록, 무선 신호의 송수신부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는, 무선 네트워크로서 모니터 수상기(1)와 휴대 전화 단말기(5)와 데이터 단말기(6)의 3대의 기기로 구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도, 제어 커맨드나 각종 데이터의 전송이 무선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예의 휴대 전화 단말기(5)는, AV 기기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로서도 기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휴대 전화 단말기(5)에 배치된 소정의 키의 조작으로, AV 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원격 제어 신호로서의 커맨드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 수상기(1)에 무선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이 휴대 전화 단말기(5)에 배치된 소정의 키의 조작으로, AV 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커맨드가 송신되었을 때, 이 커맨드를 수신한 모니터 수상기(1)에서는, 필요에 따라 버스 라인을 통하여 다른 AV 기기로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모니터 수상기(1)를 통한 커맨드의 중계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모니터 수상기(1)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예의 모니터 수상기(1)는,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비디오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 처리 및 수상 처리하여, 이 수상기가 구비하는 표시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처리를 행하기 위해, 수신 처리를 행하는 영상 데이터 수신 블록(31)과, 이 수신 블록(31)에서 수신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영상 표시부(32)를 구비한다.
그리고,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위한 IEEE1394 버스 처리부(10)와, 무선 네트워크용의 무선 전송을 행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처리부(20)를 구비한다.
IEEE1394 버스 처리부(10)의 구성으로서는,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을 구성하는 신호선이 1개 또는 복수개 접속되는 포트부(11)와, 버스 라인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와 수상기(1)의 내부에서 처리하는 데이터와의 변환 처리를 행하는 인터페이스 블록(12)을 구비한다. 버스 라인을 통해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인터페이스 블록(12)을 통해 영상 데이터 수신 블록(31)에 공급하고, 표시부(32)에서 표시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버스 라인을 통해 제어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에는, 인터페이스 블록(12)에 접속된 패널 컨트롤러(13)에 공급하고, 이 패널 컨트롤러(13)가, 패널 서브 유닛(14) 및 모니터 서브 유닛(15)에 수신한 커맨드에 기초한 지시를 보내어, 수신 블록(31) 및 표시부(32)에서의 영상 표시에 관련된 각종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 IEEE1394 버스 처리부(10) 내의 패널 컨트롤러(13)는, 버스 라인 상의 전송의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에 대해서도 컨트롤러(13)가 보존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유선 네트워크 상의 기기가 갖는 서브 유닛 구성을 컨트롤러(13)가 수집하여, 컨트롤러(13) 내의 메모리에 보존시킨다. 또한, 유선 네트워크 내의 각 기기가, 패스-스루(pass-through) 커맨드라 불리우는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도, 컨트롤러(13)가 수집하여, 컨트롤러(13) 내의 메모리에 보존시킨다.
무선 네트워크 처리부(20)의 구성으로서는, 안테나(21)가 접속된 근거리 무선 통신부(22)에서,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단말기에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생성시키는 송신 처리와,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무선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가 행해진다. 이 무선 통신부(22)에서 수신한 신호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에서, 수상기(1)의 내부에서 처리하는 데이터로 변환 처리가 행해져서, 패널 서브 유닛(24)에 공급된다. 또한, 패널 서브 유닛(24)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에서, 무선 송신시키는 데이터 구성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22)에 공급하여, 무선 송신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패널 서브 유닛(24)는, IEEE1394 버스 처리부(10) 측에 설치한 모니터 서브 유닛(15)에 대하여 지시을 행하여, 무선 신호로 수신한 커맨드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부(32)에서의 영상의 표시 등의 수상기의 동작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무선 네트워크 처리부(20) 내에는, IEEE1394 버스/무선 네트워크 변환부(25)가 설치되어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 처리부(20)에서 무선 신호로서 수신한 커맨드가, 이 수상기와 버스 라인을 통해 접속된 유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기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커맨드일 때, 이 변환부(25)에서 커맨드를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구성의 커맨드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커맨드를, IEEE1394 버스 처리부(10) 측의 패널 컨트롤러(13)로 전송한다. 여기서의 변환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용의 포맷의 커맨드 데이터의 헤더 부분을 제거하고, 버스 라인 상에서의 수신처의 데이터 등을 부가하여, IEEE1394 방식 버스 라인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구성으로 한다.
변환된 커맨드의 버스 라인 상의 수신처에 대해서는, 변환부(25)가 사전에 설정된 처리로 판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의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IEEE1394 버스 처리부(10) 내의 인터페이스 블록(12)으로부터, 버스 라인으로 등시성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 중인 스트림 데이터의 송출원의 기기(소스 기기)의 정보를 변환부(25)가 받아, 그 소스 기기를 커맨드의 수신처로 할 수 있다.
또한, 패널 컨트롤러(13)가 수집하여 기억한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부(25)가 변환된 커맨드의 버스 라인 상의 수신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커맨드로 지시된 내용을 실행할 수 있는 서브 유닛을 구비한 기기를, 패널 컨트롤러(1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부(25)가 판단하고, 그 판단한 기기를 커맨드의 수신처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조작 등에 기초하여 패널 컨트롤러(13)에 사전에 등록된 기기를, 변환부(25)가 변환된 커맨드의 버스 라인 상의 수신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커맨드의 종류마다 수신처를 등록하도록 하여, 수신된 커맨드마다 적절한 수신처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3은, 휴대 전화 단말기(5)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예의 휴대 전화 단말기(5)는, 안테나(51)를 구비하여, 안테나(51)가 듀플렉서(52)를 통해 수신 회로(53) 및 송신 회로(58)에 접속하고 있으며, 안테나(51)로 수취한 신호의 수신 회로(53)에서의 수신 처리를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신 회로(58)에서 송신 처리된 신호를 안테나(51)로부터 무선 송신시킬 수 있다. 수신 회로(53) 및 송신 회로(58)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이하 DSP라 칭함)(54)에 접속하고 있다. DSP(54)에서는, 수신 신호의 복조나, 그 복조된 신호로부터 음성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추출하는 수신 처리나, 음성 데이터 등의 송신하는 데이터를 송신용의 데이터 구성으로 하는 처리나, 송신용으로 변조하는 처리 등의 송신 처리 등이 행해진다.
DSP(54)에는, 통화용의 스피커(55)가 접속되어 있으며, 음성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그 수신하여 얻은 음성 데이터를 DSP(54) 내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그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스피커(55)로부터 출력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통화용의 마이크로폰(57)이 DSP(54)에 접속하고 있으며, 이 마이크로폰(57)이 출력하는 음성 신호를, DSP(54) 내에서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신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통화용의 스피커(55)와는 별도로, 호출음 등을 울릴 수 있는 스피커(56)를 구비한다.
이 휴대 전화 단말기(5) 내에서의 통신 처리는, 제어부(59)의 제어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고 있다. 이 제어부(59)에는, 휴대 전화 단말기로서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가 기억된 ROM(59a)과, 입력된 데이터나, 다운로드한 데이터의 기억에 사용되는 RAM(59b)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RAM(59b)에는, 근거리 통신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에리어가 준비되어, 예를 들면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을 위해 등록된 데이터 등을 기억하도록 하고 있다. 이 근거리 통신을 위해 등록된 데이터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예의 휴대 전화 단말기(5)는, 메모리 카드(59c)를 장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제어부(59)의 제어로, 장착된 메모리 카드(59c)에, 무선 전화 회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얻은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전화 회선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 카드(59c)에 기억시키거나, 근거리 통신의 설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59c)에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종 문자, 숫자, 도형 등을 표시시키는 표시부(61)를 구비하여, 제어부(59)의 제어로 동작 상황에 따른 표시가 행해진다. 본 예의 경우에는, 표시부(61)로서 컬러 표시가 가능한 표시 패널이 사용된다. 다이얼 키나 각종 기능 키 등으로 구성되는 조작부(60)의 조작 정보에 대해서도, 제어부(59)에 공급되어, 제어부(59)가 조작에 따른 동작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조작부(60)로서 준비된 키로서는, 본 예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AV 기기의 동작 지시를 행하는 키가 있다. 또한, 다이얼 키 등의 단말기(5)가 구비하는 키를, 모드의 설정 등으로 AV 기기의 동작 지시용의 키로서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본 예의 휴대 전화 단말기(5)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62)를 구비하여, 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62)를 사용하여, 근거리 무선 전송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62)에는, 상술한 무선 전화 통신용의 안테나(51)와는 다른 안테나(63)가 접속되어 있으며, 최대 100m 정도까지의 근거리에서, 동일한 규격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 기기와 직접적으로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62)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대해서도, 제어부(59)가 제어하도록 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DSP(54) 측과 근거리 무선 통신부(62)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이 행해진다.
도 4는 모니터 수상기(1), 휴대 전화기(5)가 구비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2, 62)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안테나(91)가 접속된 송수신 처리부(92)에서는, 고주파 신호 처리를 행하여, 무선 송신 처리 및 무선 수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송수신 처리부(92)에서 송신하는 신호 및 수신하는 신호는 2.4㎓대에 1㎒ 간격으로 설정한 채널로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단, 각 채널의 신호는, 후술하는 슬롯 간격으로 전송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이라 불리우는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1슬롯마다 주파수 호핑을 행하도록 하면, 1슬롯은 625μ초이기 때문에, 1초 사이에 1600회 주파수가 전환되게 되어, 다른 무선 통신과의 간섭이 방지된다. 무선 전송 신호의 변조 방식으로서는, GFSK(Gaussian Filterd FSK)라 불리우는 변조 방식이 적용된다.이 변조 방식은, 주파수 전달 특성이 가우스 분포의 저역 통과 필터로 대역 제한한 주파수 편이 변조 방식이다.
송수신 처리부(92)에서 수신하여 얻은 신호 및 송수신 처리부(92)에서 송신하기 위한 신호는, 데이터 처리부(93)에서 기저대역 처리가 행해진다. 블루투스의 규격으로서는, 기본적으로 송신과 수신을 교대로 행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93)에서는 상호 송신 슬롯의 처리와 수신 슬롯의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데이터 처리부(93)에는, 인터페이스부(94)를 통해 기능 처리 블록(80)이 접속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기능 처리 블록(80)에 공급하거나, 또는 기능 처리 블록(80)으로부터의 송출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93)에서 송신 슬롯으로 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송수신 처리부(92)와 데이터 처리부(93)와 인터페이스부(94)에서의 전송을 위한 처리는, 컨트롤러(95)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이 컨트롤러(95)는, 예를 들면 각 기기에 내장된 중앙 제어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유닛과는 별도로, 근거리 무선 통신용으로 준비된 전용의 컨트롤러를 사용하여도 된다.
송수신 처리부(92), 데이터 처리부(93), 인터페이스부(94)가 블루투스로 통신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90)가 된다. 단, 도 2에 도시한 모니터 수상기(1)의 구성에서는, 인터페이스부는 무선 통신부와는 다른 회로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90)에 접속된 기능 처리 블록(80)이, 기기로서 실제로 기능을 실행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예를 들면, 모니터 수상기(1)의 경우에는, 영상을 표시시키거나, 무선 네트워크와, IEEE394 방식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의 처리를 행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또한, 휴대 전화 단말기(5)의 경우에는, 무선 전화 회선으로 통신을 행하는 처리를 실행하거나, 키 조작에 의한 명령이나 전화 회선을 통해 수신한 명령에 기초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본 예의 경우의 커맨드 등)를 생성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또, 근거리 무선 통신부(90)는, 모니터 수상기(1)나 휴대 전화 단말기(5) 등의 기기에 내장시키는 경우 외에, 장치 본체와는 별개의 부재의 장치로 구성하여, 외부 부착으로 접속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에, 본 예의 네트워크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지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모니터 수상기(1)를 통해 유선으로 접속된 네트워크인,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으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지는 방식을,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IEEE1394로 접속된 기기의 데이터 전송의 사이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IEEE1394에서는, 데이터는 패킷으로 분할되고, 125μS의 길이의 사이클을 기준으로 하여 시분할로 전송된다. 이 사이클은, 사이클 마스터 기능을 갖는 노드(IEEE1394 방식에서는 버스에 접속된 기기는 노드라고도 함)로부터 공급되는 사이클 스타트 신호에 의해 발생된다.
등시성 패킷은, 모든 사이클의 선두로부터 전송에 필요한 대역(시간 단위이지만 대역이라 불림)을 확보한다. 이 때문에, 등시성 전송에서는, 데이터의 일정 시간 내의 전송이 보증된다. 단, 수신측으로부터의 확인(acknowledgement: ACK)의 신호의 전송은 행해지지 않고, 전송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보호하는 장치가 없어, 데이터를 잃게 된다. 각 사이클의 등시성 전송에 사용되고 있지 않은 시간에, 중재(arbitration)의 결과, 버스를 확보한 노드가, 비동기 패킷을 송출하는 비동기 전송에서는, 확인(ACK) 및 재시도를 이용함으로써, 확실한 전송은 보증되지만, 전송의 타이밍은 일정하게는 되지 않는다.
등시성 전송에서는, 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의 스트림 데이터의 전송이 행해진다. 비동기 전송에서는, 예를 들면 제어 커맨드 등의 전송이 행해진다.
소정의 노드가 등시성 전송을 행하기 위해서는, 그 노드가 등시성 기능에 대응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등시성 기능에 대응한 노드 중 적어도 하나는, 사이클 마스터 기능을 갖고 있어야만 한다. 또한, IEEE1394 시리얼 버스에 접속된 노드의 중 적어도 하나는, 등시성 리소스 매니저의 기능을 갖고 있어야만 한다.
IEEE1394 시리얼 버스에 접속된 노드는, 데이터 입출력부가 구비하는 레지스터의 소정 어드레스에, IEC1883으로 규정되는 PCR(Plug Control Register)을 갖고, 플러그를 가상적으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논리적으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에 유사한 신호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플러그라는 개념을 실체화한 것이다. PCR은, 출력 플러그를 나타내는 oPCR(outPut Plug Control Register), 입력 플러그를 나타내는 iPCR(input Plug Control Register)을 갖는다. 또한, PCR은 각 기기고유의 출력 플러그 또는 입력 플러그의 정보를 나타내는 레지스터 oMPR(output Master Plug Register)과 iMPR(input Master Plug Register)을 갖는다. 각 기기는, oMPR 및 iMPR을 각각 복수개 갖는 것은 없지만, 개개의 플러그에 대응한 oPCR 및 iPCR을, 기기의 능력에 의해 복수개 갖는 것이 가능하다. 등시성 데이터의 흐름은, 이들 플러그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된다.
도 6은 플러그, 플러그 컨트롤 레지스터, 및 등시성 채널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IEEE1394 방식의 버스에 접속된 기기를, AV 디바이스 a, b, c로 나타내고 있다. AV 디바이스 c의 oMPR에 의해 전송 속도와 oPCR의 수가 규정된 oPCR〔0〕∼oPCR〔2〕중, oPCR〔1〕에 의해 채널이 지정된 등시성 데이터는, IEEE1394 시리얼 버스의 채널 #1로 송출된다. AV 디바이스 a의 iMPR에 의해 전송 속도와 iPCR의 수가 규정된 iPCR〔0〕과 iPCR〔1〕 중, 입력 채널 #1이 전송 속도와 iPCR〔0〕에 의해, AV 디바이스 a는 IEEE1394 시리얼 버스의 채널 #1로 송출된 등시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마찬가지로, AV 디바이스 b는 oPCR〔0〕으로 지정된 채널 #2로, 등시성 데이터를 송출하고, AV 디바이스 a는 iPRC〔1〕로 지정된 채널 #2로부터 그 등시성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와 같이 하여, IEEE1394 시리얼 버스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는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지지만, 본 예의 시스템에서는, 이 IEEE1394 시리얼 버스를 통해 접속된 기기의 컨트롤을 위한 커맨드로서 규정된 AV/C 커맨드 세트를 이용하여, 각 기기의 컨트롤이나 상태의 판단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V/C 커맨드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맨드와 그커맨드에 대한 응답이 버스 라인 상에서 전송된다. 여기서는 제어하는 측이 컨트롤러이고, 제어되는 측이 타깃이다. 커맨드의 송신 또는 응답은, IEEE1394의 비동기 통신의 라이트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노드 사이에서 행해진다. 데이터를 수취한 타깃은, 수신 확인을 위해 확인(ACK)을 컨트롤러에 회신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커맨드와 응답의 관계를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EEE1394 버스를 통해 노드 A와 노드 B가 접속되어 있다. 노드 A가 컨트롤러이고, 노드 B가 타깃이다. 노드 A, 노드 B 모두, 커맨드 레지스터(71, 73) 및 응답 레지스터(72, 74)가 각각, 512바이트씩 준비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가 타깃의 커맨드 레지스터(73)에 커맨드 메시지를 기입함으로써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반대로, 타깃이 컨트롤러의 응답 레지스터(72)에 응답 메시지를 기입함으로써 응답을 전달하고 있다. 이상 2개의 메시지에 대하여, 제어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FCP로 전송되는 커맨드 세트의 종류는, 후술하는 도 9의 데이터 필드 내의 CTS에 기록된다.
도 9는 AV/C 커맨드의 비동기 전송 모드로 전송되는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AV/C 커맨드 세트는, AV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 세트이고, CTS(커맨드 세트의 ID)="0000"이다. AV/C 커맨드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이, 노드 사이에서 교환된다. 버스 및 AV 기기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서, 커맨드에 대한 응답은, 100㎳ 이내에서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동기 패킷의 데이터는, 수평 방향 32비트(=4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상단은 패킷의 헤더 부분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면 중 하단은 데이터 블록을 도시하고 있다. 목적지(destination) ID는 수신처를 도시하고 있다.
CTS는 커맨드 세트의 ID를 나타내고 있으며, AV/C 커맨드 세트에서는 CTS="0000"이다. C타입/응답의 필드는, 패킷이 커맨드인 경우에는 커맨드의 기능 분류를 나타내고, 패킷이 응답인 경우에는 커맨드의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커맨드는 크게 나누어, (1) 기능을 외부로부터 제어하는 커맨드(CONTROL), (2) 외부로부터 상태를 조회하는 커맨드(STATUS), (3) 제어 커맨드의 서포트의 유무를 외부로부터 조회하는 커맨드(GENERAL IN OUIRY(오피 코드의 서포트의 유무) 및 SPECIFIC INQUIRY(오피 코드 및 오퍼랜드의 서포트의 유무)), (4) 상태의 변화를 외부에 알리도록 요구하는 커맨드(NOTIFY)의 4종류가 정의되어 있다.
응답은 커맨드의 종류에 따라서 회신된다. 컨트롤(CONTROL) 커맨드에 대한 응답에는,「실장되어 있지 않음」(NOT IMPLEMENTED),「승인함」(ACCEPTED),「거절」(REJECTED), 및「잠정」(INTERIM)이 있다. 스테이터스(STATUS) 커맨드에 대한 응답에는,「실장되어 있지 않음」(NOT IMPLEMENTED),「거절」(REJECTED),「이행 중」(IN TRANSITION), 및「안정」(STABLE)이 있다. 커맨드의 서포트의 유무를 외부로부터 조회하는 커맨드(GENERAL INQUIRY 및 SPECIFIC INOUIRY)에 대한 응답에는,「실장되어 있음」(IMPLEMENTED), 및「실장되어 있지 않음」(NOT IMPLEMENTED)이 있다. 상태의 변화를 외부에 알리도록 요구하는 커맨드(NOTIFY)에 대한 응답에는, 「실장되어 있지 않음」(NOT IMPLEMENTED),「거절」(REJECTED),「잠정」(INTERIM) 및「변화함」(CHANGED)이 있다.
서브 유닛 타입은, 기기 내의 기능을 특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으며, 예를들면, 테이프 레코더/플레이어, 튜너 등이 할당된다. 이 서브 유닛 타입에는, 기기에 대응한 기능 외에, 다른 기기에 정보를 공개하는 서브 유닛인 BBS(블루틴 보 서브 유닛)에 대해서도 할당이 있다. 동일한 종류의 서브 유닛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판별을 행하기 위해, 판별 번호로서 서브 유닛 ID로 어드레싱을 행한다. 오퍼레이션의 코드인 오피 코드는 커맨드를 표시하고 있으며, 오퍼랜드는 커맨드의 파라미터를 표시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서 부가되는 필드도 준비되어 있다. 오퍼랜드의 후에는, 0 데이터 등이 필요에 따라서 부가된다. 데이터 CRC(Cyclic Reduncy Check)는 데이터 전송 시의 에러 체크에 사용된다.
도 10은, AV/C 커맨드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의 (A)는, 커맨드 타입/응답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 상단이 커맨드를 표시하고 있으며, 도면 중 하단이 응답을 표시하고 있다. "0000"에는 컨트롤(CONTROL), "0001"에는 스테이터스(STATUS), "0010"에는 특정 조회(SPECIFIC INQUIRY), "0011"에는 통지 (NOTIFY), "0100"에는 일반 조회(GENERAL INQUIRY)가 할당되어 있다. "0101 내지 0111" 은 장래의 사양을 위해 예약 확보되어 있다. 또, "1000"에는 실장 없음(NOT INPLEMENTED), "1001"에는 승인함(ACCEPTED), "1010"에는 거절(REJECTED), "1011"에는 이행중(IN TRANSITION), "1100"에는 실장 있음(IMPLEMENTED/STABLE), "1101"에는 상태 변화(CHANGED), "1111"에는 잠정 응답(INTERIM)이 할당되어 있다. "1110"은 장래의 사양를 위해 예약 확보되어 있다.
도 10의 (B)는 서브 유닛 타입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00000"에는 비디오 모니터, "00011"에는 디스크 레코더/플레이어, "00100"에는 테이프 레코더/플레이어, "00101"에는 튜너, "00111"에는 비디오 카메라, "11100"에는 제조 메이커 특유의 서브 유닛 타입, "11110"에는 특정한 서브 유닛 타입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11111"에는 유닛이 할당되어 있지만, 이것은 기기 그 자체로 전송되는 경우에 이용되며, 예를 들면 전원의 온 오프 등에 사용된다.
도 1O의 (C)는 오피 코드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각 서브 유닛 타이프마다 오피 코드의 테이블이 존재하고, 여기서는, 서브 유닛 타입이 테이프 레코더/플레이어의 경우의 오피 코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오피 코드마다 오퍼랜드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는, "00h"에는 제조 메이커 특유의 값, "50h"에는 검색 모드, "51h"에는 타임 코드, "52h"에는 ATN, "60h"에는 오픈 메모리, "61h"에는 메모리 판독, "62h"에는 메모리 기입, "C1h"에는 로드, "C2h"에는 녹음, "C3h"에는 재생, "C4h"에는 되감기가 할당되어 있다.
도 11은 AV/C 커맨드와 응답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타깃(컨슈머)으로서의 재생 기기에 재생 지시를 행하는 경우, 컨트롤러는, 도 11의 A와 같은 커맨드를 타깃으로 보낸다. 이 커맨드는, AV/C 커맨드 세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CTS="0000"으로 되어 있다. ctype(커맨드 타입)에는, 기기를 외부로부터 제어하는 커맨드(CONTROL)를 이용하기 때문에, c타입="0000"으로 되어 있다(도 10의 (A) 참조). 서브 유닛 타입은 테이프 레코더 플레이어이기 때문에, 서브 유닛 타입="00100"으로 되어 있다(도 10의 (B) 참조). id는 ID0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id=000으로 되어 있다. 오피 코드는 재생을 의미하는 "C3h"로 되어 있다(도 10의 (C) 참조). 오퍼랜드는 순방향(FORWARD)을 의미하는 "75h"로 되어 있다.
이러한 커맨드를 수신하여 재생이 개시되면, 타깃은 도 11의 (B)와 같은 응답을 컨트롤러로 회신한다. 여기서는,「승인」(accepted)이 응답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응답="1001"로 되어 있다(도 10의 (A) 참조). 응답을 제외하고, 그 밖에는 도 11의 (A)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모니터 수상기(1)의 무선 네트워크 처리부(20)가 구축하는 무선 네트워크로서, 다른 기기(본 예의 경우에는 휴대 전화 단말기(5) 등)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경우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규격으로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 블루투스 규격의 무선 전송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블루투스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블루투스의 시스템 전체의 프로토콜은, 블루투스의 프로토콜의 주요 부분이 되는 코어 프로토콜과, 어플리케이션인 서비스를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와, 코어 프로토콜과 어플리케이션 사이에서 통신 프로토콜을 정합시키기 위한 적합 프로토콜군의 3개로 나누어진다.
블루투스 코어의 프로토콜은, 5개의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하위층으로부터 순서대로 물리층, 기저대역층, 실제 데이터 처리층, 논리 링크 관리층으로 구성된다.
적합 프로토콜군은, 기존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코어 프로토콜을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에 적합시키는 것이 행해진다. 이 적합 프로토콜군에는, 예를 들면 TCP/IP 프로토콜, 시리얼 포트를 에뮬레이션하는 RFCOMM 프로토콜, 사용자가 조작하는 기기(HID: Human Interface Device)의 드라이버 등이 있다. 후술하는 AV/C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이 적합 프로토콜군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에 적합한 프로토콜이 준비된다. AV/C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프로토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물리층으로서는, 2.4㎓의 주파수대를 이용한 주파수 호핑형의 스펙트럼 확산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송신 전력으로서는, 최대 100mW 정도로 제한되어, 약 100m 정도까지의 단거리에서의 무선 전송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이 물리층에는 링크층에서의 제어에 의해, 최소 -30㏈m까지 송신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저대역층은, 물리층에 대하여, 실제의 송수신 데이터 패킷을 인터페이스하는 프로토콜로서 정의되어 있다.
이 층에서는, 상위층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제공한다. 이 때, 주파수 호핑의 관리나 시간축 슬롯의 관리 등도 행해진다. 또한, 패킷의 재송이나 오류 정정과 검출의 처리도, 이 기저대역층이 관리한다.
링크 관리층은, 통신 링크 상에서 송수신 패킷을 인터페이스하는 프로토콜의 하나이며, 기저대역층에 대하여 통신 링크의 설정이나, 그 링크에 관한 다양한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을 지정한다. 이들은, 제어 패킷으로서 링크 관리층으로 정의되며, 필요에 따라서 대향 단말기의 링크 관리층과 통신을 행한다. 또한, 이 층은 상위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필요에 따라서 직접 제어를 받는다.
음성층에서는, 링크 관리층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 링크를 설정한후에, 음성 데이터의 교환이 행해진다. 여기서의 음성 데이터란, 주로 전화로 통화를 행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로서, 무선 전화 등으로 통신을 행할 때에, 데이터 전송의 지연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 비교적 하위층에 전용의 처리층을 설치하고 있다.
논리 링크 관리층은, 링크 관리층 및 기저대역층에 인터페이스하는 프로토콜로서, 논리 채널을 관리한다. 또, 음성층이 취급하는 음성 데이터 이외의 전송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위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논리 링크층에 제공되지만, 거기서 교환되는 실제의 데이터는, 기저대역층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사이즈나 타이밍을 의식하지 않고 교환된다. 그 때문에, 논리 링크 관리층은, 상위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논리 채널로서 관리하고, 데이터 분할이나 데이터의 재구성의 처리를 행한다.
도 13은 2대의 기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행해질 때에, 각층에서의 처리를 도시한 것으로, 물리층에서는 물리적인 무선 통신 회선의 링크가 설정되고, 기저대역층에서는 그 설정된 링크로, 패킷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링크 관리층에서는, 통신 링크 관리 채널에 의해 제어 패킷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논리 링크 관리층에서는, 논리 채널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의 패킷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이 사용자 데이터가, 실제로 전송하고자 하는 스트림 데이터나 커맨드 등에 상당한다.
다음에, 이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행할 때의 물리적인 통신 주파수의 설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이 방식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402㎒부터 2480㎒까지 1㎒ 간격으로 79개의 통신주파수가 존재한다. 송신되는 패킷의 각각은 이 79개의 통신 주파수 내의 1의 통신 스펙트럼을 점유한다. 그리고, 이 사용되는 통신 스펙트럼이, 625μ초마다 랜덤하게 변화(호핑)한다.
도 15는, 이 통신 주파수가 호핑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임의의 특정한 타이밍 t0으로부터 625μ초마다 랜덤하게 송신 주파수가 변화하고 있다. 이 625μ초마다 통신 주파수가 변화함으로써, 1초간에 약 1600회 랜덤하게 호핑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도 14에 도시한 대역 내에서 확산되어 전송되게 되어, 스펙트럼 확산이 행해지게 된다.
또, 블루투스의 경우에는, 패킷의 1 단위는 625μ초 사이이지만, 이 1 단위패킷을 복수개 연속하여 사용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대의 기기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전송을 행할 때, 양방향의 통신이 동일한 패킷 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한쪽 방향의 통신만이 복수 패킷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되는 패킷이 전부 625μ초의 패킷인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625μ초마다 주파수 호핑이 행해진다.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3 패킷 연속하여 사용되는 경우나, 5 패킷 연속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슬롯이 연속하고 있는 동안에는 송신 주파수가 고정된다.
2대의 기기 사이에서의 통신 상태를 도 18에 도시하면, 무선 전송을 행하는 한쪽의 기기를 마스터로 하고, 다른 쪽의 기기를 슬레이브로 하였을 때, 마스터로부터 슬레이브로, 1 슬롯(625μ초)의 기간에 슬롯 구성의 데이터를 전송하고(도 18의 (A)), 다음의 1 슬롯의 기간에, 슬레이브로부터 마스터로, 슬롯 구성의 데이터를 전송한다(도 18의 (B)). 이하 그 교대 전송을, 전송이 계속되는 한 반복한다. 단, 무선 전송하는 주파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1 슬롯마다 주파수 f(k), f(k+1), f(k+ 2), …로 변화시킨다.
도 19는 복수의 기기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블루투스로서 규격화된 통신 방식에서는, 이러한 1대1의 무선 전송뿐만 아니라, 다수의 기기로 네트워크를 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2대의 기기 사이에서 무선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기기가 마스터로 되고, 다른 쪽의 기기가 슬레이브로 되며, 마스터 MA11의 제어로, 마스터 MA11와 슬레이브 SL11 사이에서 쌍방향의 무선 전송이 실행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대의 마스터 MA21에 의해 제어되는 3대의 슬레이브 SL21, SL22, SL23을 준비하여, 이 4대의 기기 사이에서 무선 전송을 행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시켜도 된다.
또한 도 1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대의 마스터 MA31, MA32, MA33와, 각 마스터에 개별로 제어되는 슬레이브 SL31, SL32, SL33, SL34, SL35, SL36를 준비하여, 3개의 네트워크를 구성시킨 다음, 그 3개의 네트워크를 접속시켜, 네트워크 구성을 확대시킬 수도 있다. 어느 것의 경우에서도, 슬레이브간에 직접 통신을 행할 수는 없으며, 반드시 마스터를 경유한 통신이 행해진다.
또, 하나의 마스터와, 그 마스터와 직접 통신을 행하는 슬레이브로 구성되는하나의 네트워크를, 피코네트(piconet)라 칭한다. 복수의 마스터를 갖는 네트워크군(즉, 복수의 피코네트로 구성되는 네트워크군)을, 캐스터네트(casternet)이라 칭한다.
다음에, 블루투스로 기기 간에 통신을 행할 때의 링크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한다. 블루투스에서는, SCO(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링크와,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링크의 2종류의 통신 링크가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SCO 링크는, 마스터와 특정 슬레이브의 사이에서 1대1로 통신을 행하는 접속 타입이며, 소위 회선 교환형의 링크이다. 이 링크는, 주로 음성 등의 리얼타임 특성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이 SCO 링크는, 피코네트 내의 통신 링크에서 일정 간격으로 사전에 통신 슬롯을 확보해 놓고, 도중에 다른 데이터의 전송이 있더라도, SCO 링크의 데이터 통신이 우선된다. 즉,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 SCO 통신 슬롯이 일정 간격으로 서로 전송된다. 도 20의 (A)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을 도시하고, 도 20의 (B)는 슬레이브로부터의 송신을 도시한다.
이 SCO 링크는, 하나의 마스터에 대하여 동시에 최대 3개의 SCO 링크를 서포트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슬레이브로 3개의 SCO 링크를 서포트하는 경우와, 다른 3개의 슬레이브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SCO 링크를 서포트하는 경우가 있다. 또, SCO 링크는 재송신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아, SCO 링크에 의해 전송되는 패킷에 오류 정정 부호는 부가되어 있지 않다.
ACL 링크는, 소위 패킷 교환형의 접속 타입이며, 마스터와 복수의 슬레이브와의 사이에서, 1대 다수의 통신이 가능하다. 피코네트 내의 어떤 슬레이브와도 통신할 수 있는 대신에, 데이터량이나 슬레이브의 수에 따라 개개의 슬레이브의 실효 통신 속도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SCO 링크와 ACL 링크는, 혼재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ACL 링크에서는, 하나의 마스터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슬레이브의 수는, 최대 7개까지 된다. 단, 하나의 피코네트 내에서 설정할 수 있는 ACL 링크는 각 슬레이브에 대하여 하나만이며, 하나의 슬레이브가 한번에 복수의 ACL 링크를 설정하는 것은 할 수 없다. 하나의 슬레이브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상위의 어플리케이션을 프로토콜 다중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지정이 없는 한, 마스터와 슬레이브와의 통신에는, 싱글 슬롯의 ACL 패킷이 이용된다. 슬레이브가 멀티 슬롯의 ACL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마스터로부터의 허가가 필요하게 된다. 마스터는, 슬레이브로부터의 멀티 슬롯의 ACL 패킷의 송신 요구를 거부할 수 있지만, 슬레이브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 요구를 반드시 받아들여야만 한다.
마스터는, 슬레이브에 대하여 멀티 슬롯의 상한값만을 통지하고, 멀티 슬롯의 ACL 패킷을 송신할지의 여부는 슬레이브의 판단에 맡겨진다. 한편, 마스터로부터 송신되는 ACL 패킷이 싱글 슬롯인지 멀티 슬롯인지는, 모두 마스터의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슬레이브는 모든 멀티 슬롯 패킷의 수신을 항상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
ACL 패킷에서는, 싱글 슬롯, 멀티 슬롯의 정의와는 별도로, 대별하여 다음의 3가지 패킷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첫번째가 비동기 통신 방식(Asynchronous transfer)이며, 두번째가 등시성 통신 방식(Isochronous transfer)이며, 세번째는 동보 통신 방식(Broadcast transfer)이다.
비동기 통신 방식은, 통상의 패킷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방식이다.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피코네트 내에 존재하는 슬레이브의 트래픽량이나 통신 회선 품질의 열화에 의한 패킷 재송 등에 따라서 변화한다.
도 21은, 동일 피코네트 내의 3개의 슬레이브(슬레이브 1, 2, 3)가 비동기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21의 (A)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을 도시하고, 도 21의 (B), 도 21의 (C), 도 21의 (D)는, 각각 슬레이브 1, 2, 3으로부터의 송신을 도시하고 있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로부터 각슬레이브 1, 2, 3에 대하여 순서대로 ACL 패킷이 송신되고, 도 21의 (B), 도 21의 (C), 도 2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ACL 패킷을 수신한 슬레이브로부터, 마스터로 수신 확인의 패킷이 반송된다.
또,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 등의 스트림 데이터를 ACL 패킷의 비동기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스트림 데이터를 비동기 통신 방식으로 전송시키는 경우에는, 각 ACL 패킷에는 타임 스탬프를 부가시켜, 수신측에서 스트림 데이터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등시성 통신 방식은, 사전에 결정된 시간 슬롯의 기간 내에, 반드시 마스터로부터 슬레이브 앞으로 패킷이 송신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최저한의 지연을 확보할 수 있다. 등시성 통신 방식의 경우에는, 슬롯 간격은, 최대 폴링 시간으로서, 등시성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개시시키기 전에,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에 합의할 필요가 있다.
마스터는 슬레이브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최대 폴링 간격을 지정할 수가 있으며, 또한 슬레이브로부터의 등시성 통신 방식의 설정 요구를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슬레이브로부터는 마스터에 대하여, 최대 폴링 간격의 지정을 할 수 없으며, 등시성 통신의 설정 요구도 할 수 없다.
도 22는 등시성 통신 방식으로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에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22의 (A)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을 도시하고, 도 22의 (B)는 슬레이브로부터의 송신을 도시하고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폴링 간격 이내에, 마스터로부터 ACL 패킷을 슬레이브로 송신하고, 그 ACL 패킷을 수신한 슬레이브가, 수신한 직후에 수신 확인의 패킷을 마스터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동보 통신 방식은, 패킷 헤더 내의 슬레이브 식별자를 제로(0)로 함으로써 설정된다. 이에 따라, 마스터로부터 모든 슬레이브에 대하여 동보 통신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동일한 패킷을 수신한 슬레이브에서는, 그것에 대한 수신 확인의 패킷을 송신하지 않는다. 슬레이브가 수신 확인을 행하지 않는 대신에, 마스터는 동보 통신 패킷을 복수회 계속하여 송신한다. 이 복수회 송신하는 횟수는, 동보 통신을 행하기 전에 마스터는 모든 슬레이브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도 23은 동보 통신 방식으로 피코네트 내의 모든 슬레이브에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23의 (A)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 타이밍을 도시하고, 도 23의(B), 도 23의 (C), 도 23의 (D)는, 각각 슬레이브 1, 2, 3에서의 수신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에서, 슬레이브에서의 패킷의 수신 시에, ×표시를 부여한 개소가, 그 때의 슬레이브에서의 패킷을 수신할 수 없었을 때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NBC회 반복하여 송신됨으로써, 확실하게 모든 슬레이브에 동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4는 SCO 링크와 ACL 링크를 병용하여 사용하는 통신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의 (A)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 타이밍을 도시하고, 도 24의 (B), 도 24의 (C), 도 24의 (D)는, 각각 슬레이브 1, 2, 3에서의 수신 상태 및 송신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SCO 링크에서의 SCO 패킷이, 마스터와 슬레이브 1 사이에서 일정 주기로 송신되고 있는 상황으로, 마스터로부터 3대의 슬레이브 1, 2, 3에 수시로 ACL 패킷이 송신되고 있다. 또한, 동보 통신용의 패킷에 대해서도, 소정회 반복하여 송신되고 있다. 이 동보 통신용의 패킷이 반복하여 송신되고 있는 동안에, SCO 패킷이 송신되는 타이밍으로 되면, SCO 패킷이 송신된다.
여기서, 등시성 통신 방식과 동보 통신 방식에서 필요한 설정 파라미터를 정리하여, 다음의 표 1에 나타낸다.
등시성 통신과 동보 통신의 설정 파라미터
ACL 통신 링크 통신 방식 설정의 파라미터
등시성 통신 방식 최대 폴링 간격
동보 통신 방식 반복 패킷 송신 횟수(NBC)
다음에, 마스터 및 슬레이브가 내부에 클럭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통신 방식에서는, 각 기기가 내부에 갖는 클럭을 사용하여, 주파수 호핑 패턴 등이 설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 마스터 및 슬레이브가 갖는 클럭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0∼27까지의 28비트의 카운터의 카운트값으로 설정된다. 이 카운터의 단위 1은 312.5μ초이고, 이 312.5μ초가 호출과 조회의 처리의 최소 시간 단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312.5μ초마다 값이 하나씩 카운트업하는 28비트의 카운터는, 1 주기가 약 23시간으로 되어, 주파수 호핑 패턴의 랜덤성을 높이고 있다.
0비트째의 클럭값으로 설정되는 312.5μ초의 주기는, 마스터가 호출과 조회를 행할 때의 송신 패킷의 시간 주기이다. 1비트째의 클럭값으로 설정되는 625μ초의 주기는, 통신 주파수가 변화하는 슬롯의 시간 주기이다. 2비트째의 클럭값으로 설정되는 1.25m초의 주기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의 송수신 시간 주기이다. 또한, 12비트째의 클럭값으로 설정되는 1.28초의 주기는, 조회와 호출에서, 수신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시간 주기의 클럭 타이밍으로 되어 있다.
각 슬레이브는, 마스터의 클럭을 참조하여, 마스터의 클럭과 일치하도록, 일정한 오프셋값을 자신의 클럭에 가산하고, 그 가산된 클럭을 통신에 사용한다.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주파수 호핑 패턴을 산출할 때에는, 이 클럭 외에, 각 단말기에 부여된 48비트의 어드레스에 대해서도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48비트의 어드레스는, IEEE802 사양에 준거하여 어드레스 방식으로 정의되며, 각각의 블루투스의 단말기마다 개별로 할당된 절대적인 어드레스이다. 도 26은, 이 48비트의 어드레스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하위 24비트가 LAP(Lower Address Part), 다음의 8비트가 UAP(Upper Address Part), 남은 16비트가 NAP(Non-significant Address Part)인 3개의 요소로 구성된다.
피코네트 내 동기에서의 주파수 호핑 패턴의 생성에는, 마스터의 어드레스 내의 LAP 전체의 24비트와, UAP의 하위 4비트의 합계 28비트가 사용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피코네트에 대하여, 마스터의 어드레스에 기초한 주파수 호핑 패턴이 제공되게 된다. 통신 상태로 이행할 때에는, 슬레이브에는 마스터의 어드레스가 통지되므로, 각 슬레이브에서도 마스터와 동일한 주파수 호핑 패턴을 독자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27은 통신 주파수를 산출하는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스터의 어드레스의 하위 28비트와, 28비트의 클럭의 하위 27비트를, 통신 주파수 선택부(8)에 공급하여, 채널 주파수 호핑 패턴인 통신 주파수가 일의적으로 결정되는 구성으로하고 있다. 단, 호출 주파수 호핑 패턴과 조회 주파수 호핑 패턴은, 채널 주파수호핑 패턴과는 다른 패턴이다.
다음에,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패킷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패킷은, 크게 나눠, 액세스 코드, 패킷 헤더, 페이로드의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페이로드는, 그 때에 전송하는 데이터량에 따라서 가변 길이로 설정된다.
도 29는 액세스 코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액세스 코드는, 68비트 또는 72비트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송신 패킷의 수신처를 나타내는 것으로, 송수신되는 모든 패킷에 부가되는 코드이다. 패킷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 액세스 코드만인 경우도 있다.
프리앰블은, 싱크 워드의 LSB에 따라서, 1과 0의 패턴을 반복하는 고정 4비트 길이로 구성된다. 트레일러는, 싱크 워드의 MSB에 따라서 1과 0을 반복하는 4비트로 구성된다. 어느 것이나, 액세스 코드 전체의 신호 직류 성분을 제거하도록 기능한다. 48비트의 싱크 워드는, 48비트의 어드레스의 내의 24비트의 LAP를 기초로 하여 생성되는 64비트의 데이터이다. 이 싱크 워드가 피코네트 식별을 위해 사용된다. 단, 마스터의 어드레스나 클럭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서의 통신 등에서, 조회와 호출에서 사용되는 패킷에서, 상이한 싱크 워드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액세스 코드 종별을 정리하여, 다음의 표 2에 나타낸다.
타입 액세스 코드 생성의 LAP 피코네트의 상태 대응 주파수 호핑 패턴
채널 액세스 코드(CAC) 페코네트 내의 마스터의LAP 통신 상태 채널 주파수 호핑 패턴
호출 액세스 코드(DAC) 마스터로부터 호출되는 슬레이브의 LAL 호출 상태 호출 주파수 호핑 패턴
조회액세스코드 일반 조회액세스 코드(GIAC) 사전에 예약된 LAP 조회 상태 조회 주파수 호핑 패턴
지정 조회액세스 코드(DIAC) 사전에 예약된 LAP
도 30은 패킷 헤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패킷 헤더는 기저대역층에서의 통신 링크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3비트의 AM ADDR은, 피코네트 내에서 통신 중의 슬레이브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필드에서, 마스터가 각 슬레이브에 할당하는 값이다.
4비트의 TYPE은, 패킷 전체가 어떠한 패킷인지를 지정하는 패킷 타입 종별필드이다.
1비트의 FLOW는, ACL 링크로 통신하는 패킷의 흐름 제어의 관리에 사용하는 필드이다.
1비트의 ARQN은, 수신한 패킷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패킷 송신측에 통지하기 위해 이용하는 1비트의 필드이다. 블루투스 규격에서는, 수신 확인 전용의 응답 패킷이 준비되어 있지 않고, 이 ARQN의 필드를 사용하여 패킷의 송신원에 대하여 패킷의 수신 확인을 보낸다. 이 필드의 값이 1인지 0인지에 따라, 수신한 패킷에 오류가 없었는지, 또는 오류가 있었는지를 상대에 통지한다. 수신 패킷의 오류의 유무는, 수신 패킷의 패킷 헤더에 부가된 헤더 오류 검출 부호와 페이로드에 부가된 오류 검출 부호로 판단된다.
1비트의 SENQ는 재송 패킷이 수신측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 이용하는 필드이다. 동일한 패킷을 재송할 때, 1 패킷 보낼 때마다, 값을 1과 0으로 교대로 반전시킨다.
8비트의 HEC는, 패킷 헤더의 오류 정정 부호가 배치되는 필드이다. 이 오류 정정 부호는, g(D)=D8+D7+D5+D2+D+1의 생성 다항식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그 생성에서, 오류 정정 부호 생성용의 8비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설정되는 초기값은, 이미 설명한 블루투스용의 어드레스의 내의 UAP의 8비트를 설정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어드레스는, 액세스 코드를 생성할 때의 어드레스와 동일하게 된다. 이 오류 정정 부호를 생성시킬 때의 초기값을 정리하여, 이하의 표 3에 나타낸다.
액세스 코드 HEC 생성용의 8비트시프트 레지스터 초기값 설명
채널 액세스 코드(CAC) 피코네트 내의 마스터의UAP 통신 중의 패킷에는 반드시HEC가 부가됨
호출 액세스 코드(DAC) 마스터로부터 호출되는 슬레이브의 UAP ID 패킷은 헤더가 없으므로 무관계
조회 액세스 코드(IAC) 디폴트 초기값(00:16 진수) GIC와 DIAC의 양쪽에 적용되는 IQ 패킷은 패킷 헤더가 없으므로 무관계
통신 중의 피코네트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마스터의 어드레스의 LAP의 24비트에 기초하여 생성한 채널 액세스 코드(CAC)를 사용한다. 피코네트 내에서의 통신의 동기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호핑 패턴과 시간 슬롯의 동기가 필요해지지만, 이 때, 만일 근처에 동일한 LAP를 갖는 다른 마스터가 존재하고, 또한 주파수와 시간 슬롯의 동기가 가끔 일치한 경우에도, 패킷 헤더의 오류 정정 부호인 HEC를 이용하여 그것을 배제할 수 있다.
페이로드에는, 실제로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가 수납된다. 사용자 데이터에는, SCO 링크로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패킷 교환형의 ACL 링크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있다.
도 31은 ACL 링크의 페이로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페이로드 헤더, 페이로드 보디, 오류 검출 부호의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페이로드 전체의 길이는 가변 길이이다. 한편, SCO 링크의 페이로드는, 사전에 통신 슬롯을 주기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므로, 데이터 패킷의 재송은 없고, 페이로드 보디만의 구성이며, 페이로드 헤더와 오류 검출 부호는 부가되어 있지 않다.
페이로드 헤더는, 기저대역층보다 상위층의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는 부분이며, ACL 링크에만 포함되는 데이터이다. 도 32는싱글 슬롯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33은 멀티 슬롯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구성을 도시한다.
페이로드 헤더에 포함되는 2비트의 L_CH의 데이터는, 기저대역층보다 상위층의 데이터가, 어떠한 데이터인지를 지정하는 논리 채널을 식별하는 필드이다. SCO 링크와 ACL 링크는, 기저대역층에서의 링크이며, 그 제어는 패킷 헤더에 설정되는 정보에 의해 행해진다. L_CH는, 기저대역층보다 상위층에서 정의되는 논리 채널을 식별하는 것으로, 3개의 사용자 논리 채널에 대하여, L_CH를 다음의 표 4에서 정의한다.
논리 채널 통신 링크 L_CH 코드(2비트)
통신 링크 관리 채널 ACL 링크SCO 링크 L_CH=11:
비동기형 사용자 논리 채널 ACL 링크 L_CH=10:L_CH=01:
등시성 사용자 논리 채널
동기형 사용자 논리 채널 SCO 링크 적응 외
1비트의 FLOW는, 사용자 논리 채널 상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 제어를 하기 위해 이용하는 1비트의 데이터이다. FLOW는 사용자 논리 채널마다 관리되며, FLOW=0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회신함으로써, 상대에 일시적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중단시킨다. 또한, 수신 버퍼가 비게 되면, FLOW=1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회신함으로써, 상대의 데이터의 송신을 재개시킨다. 이 FLOW 필드의 설정은 링크 관리층이 행하지만, 리얼타임적인 데이터의 흐름 제어를 보증하는 것은 아니다. 리얼타임의 데이터의 흐름 제어는, 전부 기저대역층이 패킷 헤더 내의 FLOW 필드를 이용하여 관리한다. 제어 패킷 내의 데이터는, 링크 관리층에서 전부 처리되기 때문에, 논리 링크 관리층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패킷은 이 FLOW에 의한 흐름 제어의 영향은 받지 않고, 그 값은 반드시 1로 설정된다.
5비트 또는 9비트의 LENGTH는, 페이로드 보디의 데이터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내는 필드이다. 싱글 슬롯 패킷의 경우에는 5비트이며, 멀티 슬롯 패킷의 경우에는 9비트의 필드로 된다.
UNDEFINED는, 멀티 슬롯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에만 존재하고, 현상에서는 미정의의 필드이며, 전부 O으로 설정된다.
페이로드 보디에는, 페이로드 헤더의 LENGTH로 지정된 길이의 데이터가 들어 간다. SCO 링크 통신에서는,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가 페이로드 보디만으로 구성되므로, LENGTH에 의한 데이터 길이의 지정은 없다. 단, DV 패킷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 부분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낸다.
CRC는, 오류 검출 부호를 나타내는 16비트의 필드이고, 페이로드 헤더 및 페이로드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부호이다. 이 오류 검출 부호는, g(D)=D16+D12+D5+1의 생성 다항식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그 생성에서, 16비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설정되는 초기값은, 상기한 어드레스의 내의 UAP의 8비트에 8비트의 제로(0)를 가산한 16비트의 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어드레스는, HEC와 마찬가지로, 액세스 코드를 생성할 때의 어드레스와 동일하게 된다.
다음에, 패킷 종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패킷 헤더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YPE 필드는 패킷 타입을 지정한다. 이 지정되는 패킷 타입에 대하여 설명하면, SCO 링크와 ACL 링크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통 패킷과, SCO 링크 또는 ACL 링크에 고유의 패킷이 있다.
먼저 공통 패킷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통 패킷에는, NULL 패킷, POLL 패킷, FHS 패킷, DM1 패킷, IQ 패킷, ID 패킷이 있다.
NULL 패킷은, 액세스 코드와 패킷 헤더로 구성되는 패킷으로, 페이로드를 갖지 않는다. 패킷의 길이는 고정으로 126비트로 된다. 이 패킷은, 통신 링크의 상태를 송수신하기 위한 패킷으로, 패킷의 수신 확인(ARQN)이나 흐름 제어(FLOW)를 관리한다. 이 NULL 패킷을 수신한 것에 대한 패킷의 확인 응답은 필요없다.
POLL 패킷은, NULL 패킷과 마찬가지로, 액세스 코드와 패킷 헤더로 구성되는 패킷으로, 126비트의 고정 길이이며, 통신 링크의 상태를 관리한다. 단, 이 POLL 패킷의 경우에는, NULL 패킷과는 달라, POLL 패킷을 수신한 것에 대하여, 송신할 데이터가 없더라도, 패킷의 확인을 응답 송신할 필요가 있다.
FHS 패킷은, 피코네트 내 동기를 도모하기 위해 중요한 제어 패킷이고,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사이에서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필수의 파라미터인 클럭과 어드레스를 교환할 때 송신된다. 도 34는 FHS 패킷의 페이로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HS 패킷의 페이로드는 11의 필드로 구성되고, 이 11의 필드의 144비트에 대한 16비트의 오류 검출 부호가 부가되어, 160비트로 구성된다. FHS 패킷을 구성하는 11의 필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34비트의 패러티 비트는, FHS 패킷으로 설정되는 액세스 코드 내의 싱크 워드에 대한 패러티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24비트의 LAP는, FHS 패킷을 송신하는 단말기의 어드레스의 하위 24비트이다. LAP에 계속된 2비트는 미정의의 필드이며, O으로 설정된다.
2비트의 SR은 호출에서, 마스터가 슬레이브에 대하여 ID 패킷 열을 송신할 때의 반복 횟수, 및 슬레이브가 마스터로부터의 ID 패킷 열을 스캔할 때의 스캔 주기를 지정하는 2비트의 필드이다.
2비트의 SP는, 조회에서, 슬레이브가 마스터로부터의 IQ 패킷을 수신하고, FHS 패킷을 마스터에 송신한 후에, 슬레이브가 필수 호출 스캔을 행하는 시간을 지정하는 필드이다.
8비트의 UAP는, FHS 패킷을 송신하는 단말기의 어드레스의 상위 8비트이다.
16비트의 NAP는, FHS 패킷을 송신하는 단말기의 어드레스의 내의, LAP와 UAP 이외의 16비트이다.
24비트의 디바이스의 클래스는 단말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3비트의 AM ADDR은, 마스터가 슬레이브를 식별하기 위한 3비트의 필드이다. 호출의 처리 중, 마스터가 슬레이브에 대하여 송신하는 FHS 패킷에서, 피코네트 내에서 이용하는 슬레이브 식별자를 지정한다. 슬레이브가 마스터로부터의 IQ 패킷의 응답으로서 송신하는 FHS 패킷에서는, AM ADDR은 의미가 없으므로 0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26비트의 CLK27-2는, 단말기가 갖는 클럭의 내의 상위 26비트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이 클럭은, 1.25μ초의 클럭 정밀도를 갖고, FHS 패킷을 송신할 때에는, 반드시 그 때의 클럭의 값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3비트의 페이지 스캔 모드는, FHS 패킷을 송신한 단말기가 서포트하는 디폴트의 호출 스캔의 모드를 지정하는 필드이다.
다음에, DM1 패킷에 대하여 설명한다. DM1 패킷이 SCO 링크로 송수신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제어 패킷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ACL 링크로 송수신되는 경우에는, 제어 패킷으로서 기능하는 것 외에,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SCO 링크 또는 ACL 링크에서 공통 패킷으로서 송신되는 경우에는, 링크 관리층의 제어 패킷으로서 정의된다. 그런데, ACL 링크로 DM1 패킷을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패킷 타입을 지정하는 필드(TYPE)를 본 것만으로는, 사용자 패킷인지 제어 패킷인지를 알 수 없다. 그 때문에, 페이로드 헤더의 논리 채널 종별 필드를 L_CH=11로 설정함으로써, DM1 패킷은 링크 관리층에 대한 제어 패킷인 것이 지정된다. 데이터 패킷의 경우에는, 원래의 사용자 데이터의 프래그먼트화(fragmentation)에 따라서 L_CH=01 또는 L_CH=10을 설정한다.
IQ 패킷은, 조회에서 마스터가 브로드캐스트하는 패킷으로, 조회 액세스 코드만으로 구성된다.
ID 패킷은, 호출에서 마스터가 특정한 슬레이브를 지정하여 송신하는 패킷으로, 호출 액세스 코드만으로 구성된다. IQ 패킷과 ID 패킷에 대해서는, 패킷 헤더의 타입 필드에서는 정의되지 않는 패킷이다.
다음에, SCO 링크 상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인 SCO 패킷에 대하여 설명한다. SCO 패킷은 HV1 패킷, HV2 패킷, HV3 패킷, DV 패킷의 4종류로 구성된다.
HV1 패킷의 페이로드는 페이로드 보디만으로 구성되며, 거기에는 10바이트의 사용자 데이터가 수납된다. SCO 패킷은 기본적으로 재송되지 않으므로, 이 10바이트에는 오류 검출 부호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리고, 데이터는 1/3레이트의 오류 정정 부호화되고, 최종적으로 240비트의 페이로드 길이를 갖게 된다.
HV2 패킷의 페이로드도, 페이로드 보디만으로 구성되며, 거기에는 20바이트의 데이터가 수납된다. 이 20바이트에는 오류 검출 부호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리고, 데이터는 2/3레이트의 오류 정정 부호화가 되고, 최종적으로 240비트의 페이로드 길이를 갖게 된다.
HV3 패킷의 페이로드도 페이로드 보디만으로 구성되며, 거기에는 30바이트의 데이터가 수납된다. 이 30바이트에는 오류 검출 부호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30바이트에는 오류 검출 부호화는 행해지지 않는다.
DV 패킷은, 고정 길이 10바이트의 음성 부분과, 최대 9바이트까지 가변 길이의 데이터 부분으로 구성된다. 음성 부분의 10바이트에는, 오류 정정 부호는 포함되지 않지만, 데이터 부분에는 1바이트의 페이로드 헤더를 부풀린 최대 10바이트의 부분에 대한 2바이트의 오류 검출 부호가 부가된다.
ACL 링크 상에서 송수신되는 ACL 패킷에는, DM1 패킷, DH1 패킷, DM3 패킷, DH3 패킷, DM5 패킷, DH5 패킷, AUX1 패킷이 있다.
DM1 패킷의 페이로드는, 1바이트의 페이로드 헤더와, 최대 17바이트까지의 가변 길이의 페이로드와, 오류 검출 부호로 구성된다.
DH1 패킷의 구성은, DM1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페이로드는 오류 정정부호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대 27바이트까지의 가변 길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M3 패킷의 페이로드는, 2바이트의 페이로드 헤더와, 최대 121바이트까지의 가변 길이 페이로드 보디와, 오류 정정 부호로 구성된다. 이들 DM3 패킷의 페이로드는 2/3레이트의 오류 정정 부호화된다.
DH3 패킷의 구성은 DM3 패킷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페이로드는 오류 정정 부호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대 183바이트까지의 가변 길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M5 패킷의 페이로드는, 2바이트의 페이로드 헤더, 최대 224바이트까지의 가변 길이 페이로드 보디, 2바이트의 오류 정정 부호로 구성된다.
DH5 패킷의 구성은 DM5 패킷과 동일하다. 다만, 페이로드는 오류 정정 부호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대 339바이트까지의 가변 길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UX 패킷은, 2바이트의 오류 검출 부호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의 DH1 패킷과 동일하다. 즉, AUX1 패킷의 재송은 없다. 페이로드 보디는 2바이트 증가하여, 최대 29바이트까지의 가변 길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에, 블루투스에서의 천이 상태로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방식에서의 천이 상태는, 통신에 관계되는 3단계의 페이즈와, 단말기의 소비 전력에 관계되는 저소비 전력 모드로 구성된다. 통신에 관계되는 3단계의 페이즈로서는, 대기 페이즈, 동기 확립 페이즈, 통신 페이즈로 분리되어 있으며, 또한 저소비 전력 모드로는,파크 모드, 홀드 모드, 스니프 모드의 3종류가 있다. 도 35는 상태 천이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화살표로 나타낸 상태로의 천이가 있다.
대기 페이즈(단계 S11)는 하나의 처리 상태로 구성되며, 어떠한 패킷의 송수신도 행해지고 있지 않은 페이즈이다. 단말기의 전원을 넣은 직후나, 통신 링크를 절단한 경우에는, 단말기는 대기 페이즈에 있다. 이 대기 페이즈에서는 마스터와 슬레이브에 관한 역할의 차이는 없다.
동기 확립 페이즈에는, 조회(단계 S12)와 호출(단계 S13)의 2종류로 구성된다.
조회란, 피코네트 내 동기를 확립하기 위해 행하는 제1 단계의 처리 상태이다. 처음 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단말기는, 대기 후에, 반드시 조회로 천이한다.
호출이란, 피코네트 내 동기를 확립하기 위해 행하는 제2 단계의 처리 상태로서, 기본적으로는 조회로부터 상태 천이하지만, 조회 상태에서 피코네트 내 동기 확립의 제1 단계의 처리가 이미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기로부터 직접 호출로 천이하는 경우도 있다.
조회에서는,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그 역할이 명확하게 다르다. 이 처리 상태에 있는 마스터는, 주위에 슬레이브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연속하여 IQ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그 주위에 조회의 처리 상태에 있는 슬레이브가 존재하는 경우, IQ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마스터에 대하여 슬레이브는 그 속성을 전달하기 위해서 FHS 패킷을 송신한다. 이 FHS 패킷에 의해, 마스터는 슬레이브의 어드레스와 클럭을 알 수 있다.
도 36은, 이 조회 상태에 있는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행하는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마스터가 IQ 패킷을 송신하면, 도 3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주위의 슬레이브가, FHS 패킷을 마스터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조회 상태에 있는 마스터는, 불특정 다수의 슬레이브로부터 FHS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슬레이브가 동시에 특정한 IQ 패킷에 대하여 FHS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문제로 된다. 동시에 복수의 FHS 패킷이 송신될 때, 패킷의 충돌이 발생하여, 마스터가 송신된 FHS 패킷을 판단할 수 없게 된다. 블루투스에서는, 이러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FHS 패킷의 송신 시에, 랜덤 시간 백오프하도록 하고 있다. 즉, 슬레이브는 처음에 수신한 IQ 패킷에 대해서는, 마스터에 FHS 패킷의 송신을 행하지 않고, 그 후에 랜덤 시간 백오프하는 동안에는 IQ 패킷의 수신을 중단시킨다. 그 후, 슬레이브는 IQ 패킷의 수신을 재개하고, 다음에 IQ 패킷을 수신한 직후에 FHS 패킷을 마스터에 송신한다. 슬레이브는 FHS 패킷을 수신하면, 다시 IQ 패킷의 수신을 랜덤 시간 백오프하고 있는 동안에는 중단시킨다. 이후에는, 이 동작을 반복한다.
도 37은, 이 조회에서의 마스터, 슬레이브에서의 처리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의 (A)는 마스터에서의 송수신을 도시하며, 도 37의 (B)는 슬레이브에서의 송수신을 도시하고 있다. 마스터는 FHS 패킷을 오류없이 수신할 수 있던 것을 슬레이브에 통지하지 않기 때문에, 조회의 상태에 있는 슬레이브는, FHS 패킷을 송신했을 뿐인 상태로 된다. 그러나, 동일한 IQ 패킷을 반복하여 어떤 일정 시간브로드캐스트하므로, 마스터는 조회 처리 상태의 각 슬레이브마다 복수의 FHS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결국, 어떤 일정 시간 조회를 계속함으로써, FHS 패킷의 송수신의 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호출의 경우에도, 마스터와 슬레이브에서, 역할이 서로 다르다. 이 처리 상태에서는, 조회에서 송수신한 FHS 패킷의 정보를 기초로, 마스터는 통신하는 슬레이브를 선택하여, 그 슬레이브 앞으로 ID 패킷을 송신한다. 마스터는 ID 패킷의 수신을 확인하면, 그 슬레이브에 대하여 FHS 패킷을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슬레이브는 마스터의 어드레스와 클럭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되는 ID 패킷과 FHS 패킷의 액세스 코드에는 호출 액세스 코드를 이용한다.
도 38은 호출에서의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행하는 처리 동작의 개요를 도시하고 있다. 도 3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에 있는 마스터가 ID 패킷을 슬레이브에 송신함으로써, 슬레이브가 수신 확인을 통지한다. 또한, 도 3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가 FHS 패킷을 슬레이브에 송신함으로써, 슬레이브가 수신 확인을 통지한다.
조회에서의 불특정 다수의 슬레이브에 대한 처리와 달리, 호출에서는 특정한 슬레이브와 마스터의 사이에서 처리를 주고 받는다. 1대1로 패킷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마스터와 슬레이브는 그 송수신을 확인하면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마스터로부터의 ID 패킷을 수신한 슬레이브는, 마스터에 동일한 ID 패킷을송신하여 수신 확인을 통지한다. 다음에, 마스터는 슬레이브에 FHS 패킷을 송신하여, 자신의 어드레스와 클럭을 슬레이브에 통지한다. 슬레이브는, 이 FHS 패킷을 오류없이 수신하면, ID 패킷을 마스터에 송신하여, 그 수신 확인으로 한다. 이 시점에서, 조회에서의 처리에 맞춰, 피코네트 내 동기에 필요한 어드레스와 클럭의 정보가, 마스터, 슬레이브의 사이에서 서로 교환되게 된다.
도 39는, 호출에서의 마스터, 슬레이브 사이에서의 일례의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의 (A)는 마스터에서의 송수신 타이밍을 도시하고, 도 39의 (B)는 슬레이브에서의 송수신 타이밍을 도시하고 있다.
도 35의 상태 천이도에 도시한 통신 접속 페이즈는, 접속(단계 S14)과, 데이터 전송(단계 S15)을 갖는다. 이 통신 접속 페이즈에서는, 동기 확립 페이즈를 지나서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피코네트 내에서 동기를 하고 있으며, 실제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페이즈이다. 접속의 상태에서는,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 때에 송수신되는 것은,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패킷, 시큐러티 관련의 제어 패킷, 저소비 전력 모드에 관련된 제어 패킷 등으로 한정된다.
한편, 데이터 전송의 상태에서는,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이 허용된다. 동기 확립 페이즈를 거쳐, 처음 접속으로 천이한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사이에서 접속 인증과 암호화의 처리를 완료하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으로 이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접속에서의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역할은, 거기서 관리되는 제어 패킷의 내용에 따라 다르다.
데이터 전송에서의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에, 마스터와 슬레이브 및 시간 슬롯의 규칙에 따라서 행해진다. 또한, 데이터 전송에 의한 단말기가 통신을 절단한 경우, 및 단말기 내의 컨트롤러에 대하여 하드웨어적인 리세트가 걸린 경우에는, 단말기는 데이터 전송으로부터 대기로 상태 천이한다.
저소비 전력 모드란, 접속으로부터 천이하는 단말기의 저소비 전력 상태를 제공하는 모드를 말한다. 이 저소비 전력 모드에는, 파크 모드(단계 S16), 홀드 모드(단계 S17), 스니프 모드(단계 S18)의 3종류가 있다.
파크 모드는 슬레이브 특유의 모드이며, 접속으로 확립한 피코네트 내 동기를 유지한 저소비 전력 모드이다.
홀드 모드는 마스터, 슬레이브 중 어느 것이나 이행할 수 있는 저소비 전력 모드이며, 접속으로 확립한 피코네트 내 동기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슬레이브의 경우에는 마스터로부터 주어진 슬레이브 식별자를 보존하고 있는 모드이다.
스니프 모드는 슬레이브 특유의 저소비 전력 모드이며, 홀드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레이브는 접속으로 확립한 피코네트 내 동기를 그대로 유지하고, 마스터로부터 주어진 슬레이브 식별자를 보존하고 있는 모드이다.
또, 블루투스에서는, 피코네트 내에서 마스터와 특정한 슬레이브 사이에서, 마스터/슬레이브 전환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통신 접속 페이즈의 접속 상태에서 실행되는 시큐러티에 관한 처리로서는, 대별하여 인증과 암호화의 2가지 처리가 있다. 인증 처리에서는, 자신과 특정한 상대 사이에서 접속을 허가 판단하는 것이다. 암호화 처리는, 자신이 통신중의 데이터를 제3자에게 도청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블루투스의 시큐러티는 링크 키라고 하는 개념으로 관리되고 있다. 링크 키는, 어떤 특정한 2 단말기 사이 각각에서, 1대1의 시큐러티를 관리하는 파라미터를 말한다. 이 링크 키는 제3자에게 개시되어서는 안된다.
이 링크 키로서는, 처음으로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기 사이에서 사용되는 초기화 키가 사용되고, 과거에 접속을 행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링크 키가 파라미터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설정된 링크 키가 사용된다. 초기화 키는, 상위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PIN 코드와 내부적으로 발생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여기까지는 블루투스 규격에서의 일반적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예에서는, 이 근거리 무선 전송으로, 오디오 기기나 비디오 기기(이들 기기를 총칭하여 AV 기기라 함) 등의 전자 기기를 컨트롤하는 커맨드와, 응답의 전송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 40은, 이 커맨드와 응답의 전송을 행하는 전송 구성을, 계층 구조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커맨드를 송신하는 측의 단말기가, 컨트롤러라 불리운다. 또, 그 커맨드를 수신하여, 응답을 커맨드의 송신원으로 송신하는 단말기가, 타깃이라 불리운다. 이 컨트롤러, 타깃의 관계는, 통신 접속 관리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상술한 마스크, 슬레이브와는 다른 개념이며, 기본적으로는 어느 것이나 마스크, 슬레이브의 단말기로서 기능하고 있어도 된다.
기저대역층의 위에는, 제어용의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L2CAP패킷을 처리하는 층이 있으며, 또한 그 위에, AVCTP(Audio/Video Control Transport Protocol)의 프로토콜이 준비되고, 그 프로토콜 상에서, AV 기기를 컨트롤하는 AV/C 커맨드라 불리우는 프로토콜이 준비되어 있다.
도 41은, 그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L2CAP 패킷의 데이터 구성 예이다. 도 4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패킷의 페이로드의 구간의 선두 부분에는 헤더가 부가되고(L2CAP Header로 나타낸 부분), 데이터 길이(length)와, 채널 ID가 도시된다. 그 이후의 구간이 실제의 정보(인포메이션)로 된다.
인포메이션의 구간은, 도 4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AVCTP 헤더와, AVCTP의 메시지가 배치된다. AVCTP의 메시지의 데이터는, 도 4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AV/C의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0000"의 데이터(4비트)와, 커맨드 타입 및 응답 타입을 나타내는 커맨드 타입/응답의 데이터(4비트)와, 서브 유닛 타입을 나타내는 데이터(5비트)와, 서브 유닛 ID를 나타내는 데이터(3비트)와, 기능을 지시하는 오피 코드의 데이터(8비트)와, 그 기능에 부수하는 데이터인 오퍼랜드(8 비트)가, 오퍼랜드〔O〕, 오퍼랜드〔1〕, …, 오퍼랜드〔n〕(n은 임의의 정수)로 배치되어 있다. 도 34에 도시한 AVCTP의 데이터 구성은, 유선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네트워크 상에서 기기 제어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규격인 AV/C 커맨드 세트로서 규정된 데이터 구성을 적용한 것이다.
도 42는, 컨트롤러와 타깃 사이에서 커맨드와 응답이 무선 전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컨트롤러측의 단말기에서, 어떠한 사용자 등이 있고, 타깃의 기기에 대하여 커맨드를 송신할 필요가 발생했을 때, 컨트롤러는 타깃에 대하여 커넥션을 확립시키고(단계 S31), 그 확립한 커넥션으로, AV/C 커맨드를 컨트롤러로부터 타깃으로 송신한다(단계 S32). 이 커맨드를 수신한 타깃에서는,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컨트롤러에 송신한다(단계 S33). 그리고, 필요에 따라 커맨드에 대한 처리가 타깃에서 실행된다. 또한, 타깃의 상태를 확인하는 커맨드일 때에는, 그 요구된 데이터를 응답으로 컨트롤러에 회신한다.
그리고,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측에서의 사용자 조작 등으로, 혹은 타깃측에서의 사용자 조작 등으로, 커넥션을 제거하는 처리가 실행될 때, 커맨드나 응답을 전송하기 위해 설정한 커넥션을 제거하는 릴리스 커넥션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34).
다음에, 본 예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AV/C 커맨드 세트(즉 AVCTP의 데이터)의 구성에 대하여, 도 44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4는 AV/C 커맨드로서 전송되는 구간의 데이터 구조를 8비트 단위로 도시하고 있다. AV/C 커맨드는 AV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 세트이며, CTS(커맨드 세트의 ID)="0000"이다. AV/C 커맨드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이 교환된다. 커맨드에 대한 응답은, 예를 들면 규정된 기간 내에 행하도록 되어 있다. 단지, 잠정적인 응답을 규정된 기간 내에 보내어, 어느 정도의 기간 후에 정식의 응답을 보내는 경우도 있다.
CTS는 커맨드 세트의 ID를 나타내고 있으며, AV/C 커맨드 세트에서는 CTS="0000"이다. C타입/응답의 필드는, 패킷이 커맨드의 경우에는 커맨드의 기능 분류를 나타내며, 패킷이 응답의 경우에는 커맨드의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커맨드와 응답의 종류에 대해서는, 이미 AV/C 커맨드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서브 유닛 타입은, 기기 내의 기능을 특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동일한 종류의 서브 유닛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판별을 행하기 위해, 판별 번호로서 서브 유닛 ID로 어드레싱을 행한다. 오퍼레이션의 코드인 오피 코드는 커맨드를 표시하고 있으며, 오퍼랜드는 커맨드의 파라미터를 표시하고 있다. 필요에 따라서 부가되는 필드도 준비되어 있다. 오퍼랜드의 후에는 0 데이터 등이 필요에 따라서 부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AVCTP의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블루투스 규격으로 무선 전송함으로써, 기기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AVCTP의 프로토콜의 데이터로 컨트롤되는 기기가, 패널 서브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AVCTP의 프로토콜로 제어되는 기기는,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에 접속되는 기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브 유닛이라 불리는 기능부를 구비하고 있지만, 그 서브 유닛의 하나로서, 패널 서브 유닛이라 불리우는 것이 있다. 이 패널 서브 유닛은, 예를 들면 원격 제어 장치 등의 제어 기기측에서, 피제어 기기로 실행할 수 있는 동작에 관한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용의 패널을 표시시켜, 그 패널의 표시에 대응한 키 조작이 있었을 때, 그 키로 지정된 패널 상의 표시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패널 서브 유닛을 사용한 제어의 예로서, 패스-스루 커맨드를 사용하여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도 있다.
도 45는 패널 서브 유닛에 전송되는 패스-스루(PASSTHROUGH) 커맨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오피 코드의 구간은, 패스-스루 커맨드인 것을 나타내는 코드(7C16)가 부가된다. 오퍼랜드〔0〕의 구간에는, 기능 타입의 데이터를 배치한다. 오퍼랜드〔1〕의 구간에는, 선두 비트에 스테이트 플래그를 배치하고, 남은 7비트에 오퍼레이션 ID를 배치한다. 이 스테이트 플래그는, 버튼을 누름/놓음이라고 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사용자 조작을 나타낸다. 버튼을 눌렀을 때는 플래그를 0으로 하고, 버튼을 놓았을 때는 플래그를 1로 한다. 또, (16)을 부가하여 나타내는 숫자는, 4비트의 데이터로 나타내는 16진수값(1개의 자릿수가 0, 1, …, 9, A, B, …, F의 16값으로 나타내는 수치)이다.
오퍼랜드〔1〕의 구간에 배치되는 오퍼레이션 ID로서는, 예를 들면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코드값마다 각종 오퍼레이션이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GUI 화면 상의 업, 다운 등의 방향이나 선택을 지시하는 코드나, 메뉴 화면의 선택을 지시하는 코드나, 재생, 정지, 녹음, 앞으로 감기, 되감기 등의 오디오 기기나 비디오 기기의 동작을 직접 지시하는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
다음에, 본 예의 모니터 수상기(1)에서, 무선 네트워크 처리부(20)에서 패스-스루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 중의, 휴대 전화 단말기(5)로부터 모니터 수상기(1)로 무선 전송되는 패스-스루 커맨드로서, 모니터 수상기(1)와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비디오 카세트 기록 재생 장치(2)의 동작(예를 들면, 재생)을 지시하는 커맨드라고 하자. 이 때에는, 예를 들면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기(5)의 재생 조작 지시용의 소정의 키를 조작했을 때, 그 재생을 지시하는 오퍼레이션 ID가 포함된 AVCTP의 프로토콜의 커맨드가, 휴대 전화 단말기(5)로부터 무선 송신된다(단계 S1). 이 때 무선 송신된 신호는, 모니터 수상기(1)의 무선 네트워크 처리부(20)에서 수신된다. 이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 모니터 수상기(1)의 무선 네트워크 처리부(20)는,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무선 송신하고(단계 S2), 휴대 전화 단말기(5)에서 응답이 수신된다.
그리고, 단계 S1에서 커맨드를 수신한 모니터 수상기(1)의 무선 네트워크 처리부(20)에서는, 수신한 커맨드의 수신처를 판정하는 처리를 행하고, 그 판정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비디오 카세트 기록 재생 장치(2)가 수신처라고 판정했을 때, 무선 네트워크 처리부(20) 내의 IEEE1394 버스/무선 네트워크 변환부(25)에서, IEEE1394 버스용의 AV/C 커맨드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때의 변환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루투스 규격으로 정해진 헤더 부분의 데이터를 제거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AV/C 커맨드로 규정된 헤더 부분을 부가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 AV/C 커맨드의 데이터에, IEEE1394 버스 상의 수신처의 데이터를 부가한다.
그리고, 변환된 AV/C 커맨드의 포맷으로 된 커맨드를, 모니터 수상기(1) 내의 IEEE1394 버스 처리부(10)로 보내고, 모니터 수상기(1)에 접속된 버스 라인으로부터 송출시킨다(단계 S3). 이 버스 라인으로 송출된 커맨드를 비디오 카세트 기록 재생 장치(2)가 수신했을 때, 비디오 카세트 기록 재생 장치(2)에서는 재생 동작이 개시되고, 이 커맨드에 대한 응답이 버스 라인을 통해 모니터 수상기(1)로 반송된다(단계 S4).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 단말기(5)로부터 무선 전송된 커맨드가, 모니터 수상기(1)에서 중계되어, 버스 라인을 통해 비디오 카세트 기록 재생 장치(2)로 전송됨으로써, 비디오 카세트 기록 재생 장치(2)는 무선 신호로서 전송되는 커맨드를 직접 수신할 수 없더라도, 휴대 전화 단말기(5)가 비디오 카세트 기록 재생 장치(2)의 원격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무선 신호로서 전송되는 커맨드를, 버스 라인으로 송출시키기 위해, 모니터 수상기(1)에서 필요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모니터 수상기(1) 내의 IEEE1394 버스 처리부(10)에서는,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기기의 정보를 수집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48은 이 기기 정보 수집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 기기 정보 수집 처리는, 예를 들면 IEEE1394 버스 처리부(10) 내의 패널 컨트롤러(13)의 제어로 행해져서, 패널 컨트롤러(13) 내의 메모리 등에 보존되는 것이다.
이하, 기기 정보 수집 처리 수순에 대하여 설명하면, 패널 컨트롤러(13)는,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유선 네트워크에 버스 리세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이 버스 리세트는, 버스 라인에 접속된 기기 구성에 변화가 있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버스 리세트가 발생하면, 버스 리세트 식별용의 신호가 버스 라인 상에서 전송된다. 버스 리세트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하고, 버스 리세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했을 때, 버스에 접속된 각 기기가 구비하는 서브 유닛을 조사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12). 이 서브 유닛의 조사는, 예를 들면 모니터 수상기(1)로부터 유선 네트워크 내의 각 기기에 대하여, 서브 유닛 구성을 조회하는 커맨드를 순서대로 보내어, 그 응답으로 서브 유닛 구성을 판단한다.
이 서브 유닛 구성의 판단에 후속해서, 버스로 접속된 각각의 기기가 패스-스루 커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13). 이 처리가 종료한 후에, 네트워크 내의 각 기기의 노드 ID와, 패스-스루 커맨드 대응 기기가 갖는 서브 유닛의 대응표인 테이블을 작성하고, 그 작성된 테이블의 데이터를 패널 컨트롤러(13)가 갖는 메모리 등에 기억시켜 둔다(단계 S14). 이 기억된 테이블의 데이터는, 다음에 버스 리세트가 발생할 때까지 보존되고, 버스 리세트 시에 단계 S11로부터 단계 S14의 처리로 갱신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보존된 버스 상의 기기의 커맨드의 대응을 나타내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무선 신호로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에는, 그 커맨드를 버스 라인으로 송출시키는 처리가 실행된다. 도 49는 모니터 수상기(1)에서의 처리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무선 네트워크 처리부(20)의 패널 서브 유닛(24)은, AVCTP의 프로토콜의 커맨드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21), 커맨드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 단계에서 패스-스루 커맨드가 수신되었다고 판단했을 때, 그 커맨드가, 모니터 수상기(1)에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2). 여기서의 판단은, 예를 들면 커맨드의 내용을 판단하여,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커맨드일 때, 모니터 수상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커맨드라고 판단한다. 이 판단에서, 모니터 수상기(1)에 대한 커맨드라고 판단했을 때, 무선 네트워크 처리부(20)의 패널 서브 유닛(24)이, 직접 모니터 수상기(1) 내의 각 처리부를 제어하여, 영상 표시부(32)에서의 표시 상태 등의 수상기로서 필요한 동작 제어를 행한다(단계 S23).
또한, 단계 S22에서, 모니터 수상기(1)에 대한 커맨드가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 무선 네트워크 처리부(20) 내의 IEEE1394 버스/무선 네트워크 변환부(25)에서, IEEE1394 버스용의 AV/C 커맨드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24). 이 때, 수신한 커맨드로 지시되는 동작이 실행되는 기기가, 버스 라인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패널 컨트롤러(13)에 기억된 테이블의 데이터로부터 판단하고(단계 S25), 해당하는 기기가 버스 라인에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한 커맨드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패널 컨트롤러(13)에 기억된 테이블의 데이터로부터, 대응한 기기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대응한 기기가 하나인지 복수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26). 이 판단에서, 대응한 기기가 하나라고 판단했을 때, 해당하는 기기의 노드 ID를 커맨드에 부가하는 처리를 변환부(25)에서 행하고, 그 변환 처리가 행해진 커맨드를, IEEE1394 버스 처리부(10)의 포트부(11)로부터 접속된 버스 라인으로 송출시킨다(단계 S27).
또한, 단계 S26의 판단에서, 해당하는 기기가 복수개 존재한다고 판단했을 때, 그 복수의 기기 내의 1대의 기기를 특정시키는 기기 특정 처리를 행하고(단계 S28), 그 특정된 기기의 노드 ID를 커맨드에 부가하는 처리를 변환부(25)에서 행하며, 그 변환 처리가 행해진 커맨드를, IEEE1394 버스 처리부(10)의 포트부(11)로부터 접속된 버스 라인으로 송출시킨다(단계 S29).
단계 S28에서의 기기 특정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커맨드에 대응한 기기 내에서, 현재 버스 라인 상에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 등의 스트림 데이터를 등시성 채널로 송출 중인 기기가 있는 경우에는, 그 기기를 커맨드의 도착지에 설정시킨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에서는, 비디오 카세트 기록 재생 장치(2)와 하드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3)와 튜너(4)의 3대가 스트림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그 중의 비디오 카세트 기록 재생 장치(2)가 재생 동작을 행하여 재생된 비디오 데이터를 버스 상으로 송출시키고 있었다고 하면, 이 비디오 카세트 기록 재생 장치(2)를 커맨드의 도착지에 설정시킨다.
또한, 단계 S28에서의 기기 특정 처리로서, 예를 들면 사전에 제어되는 기기를 선택하는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 사전에 선택된 기기를 커맨드의 도착지로 설정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에서는, 재생 동작을 행하는 기기로서, 비디오 카세트 기록 재생 장치(2)와 하드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3)의 2대가 존재하지만, 그 중의 1대를 사용자 조작으로 사전에 선택해 둠으로써, 재생 동작에 관한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 선택된 기기가 도착지로 설정된다.
또한, 단계 S28에서의 기기 특정 처리로서, 그 밖의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버스 라인 상에 접속되어 있던 기기의 내에서, 기기가 전원 오프 등으로 중지 상태로 되어, 버스 라인과 접속되는 포트부가 서스펜드 상태로 되어 있는 기기에 관해서는, 후보 기기로부터 제외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블루투스 규격의 무선 네트워크로 무선 전송된 커맨드를 수신한 기기에서, 그 기기에 접속된 유선 버스 라인용으로 커맨드를 변환하여, 설정된 수신처의 기기에 대하여 버스 라인으로 커맨드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IEEE1394 방식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되어, AV/C 커맨드에 대응한 기기이면,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통신을 할 수 없는 기기이더라도, 블루투스 규격의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술한 패스-스루 커맨드에서는, 그 커맨드의 최종적인 수신처를 지정하는 데이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커맨드의 제어 내용으로부터 커맨드의 도착지가 판단되어, 해당하는 기기로 확실하게 전송되므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기기가 특정한 1대의 기기(상술한 예에서는 모니터 수상기(1))이더라도, 양호하게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네트워크 내의 각 기기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선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되는 네트워크로서 IEEE1394 방식을 적용하고, 무선 네트워크로서 블루투스를 적용하였지만, 다른 마찬가지의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제어 커맨드 등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유선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된 기기로서,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취급하는 AV 기기로 하였지만, 그 밖의 기기를 버스 라인에 접속하여, 커맨드 등의 전송으로 제어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버스 라인에 퍼스널 컴퓨터 장치와 같은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접속하여, 그 데이터 처리 장치에, 상술한 커맨드의 중계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의 소프트웨어를 실장하고, 그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의한 연산 처리로, 데이터 처리 장치가 무선으로 수신한 커맨드를, 버스 라인 상의다른 기기로 전송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러한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 매체에 기록시켜, 사용자 등에 배부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측의 기기로부터 송출된 기기 제어 커맨드를, 유선 네트워크 내의 특정한 기기로 전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유선의 버스 라인으로 접속되어 구성되는 네트워크 내의 기기가, 무선에 의한 커맨드로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수신한 커맨드로부터, 유선 네트워크 내에서의 커맨드의 도착지의 기기의 판단 처리는, 커맨드로 지시되는 내용에 합치하는 기기를,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로부터 탐색하는 처리임으로써, 커맨드로 지시되는 내용의 판단만으로, 간단히 유선 네트워크 내에서의 커맨드의 도착지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커맨드의 도착지를 판단할 때,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의 기능을 사전에 조사하고, 그 조사한 기능에 관한 데이터를 보존하도록 함으로써, 커맨드로 지시되는 내용에 대응한 기기의 판단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커맨드로부터, 유선 네트워크 내에서의 커맨드의 도착지의 기기의 판단 처리는, 유선 네트워크 내에서 스트림 데이터의 송출원으로 되어 있는 기기를, 도착지의 기기라고 판단하는 처리로 함으로써, 유선 네트워크 내의 버스 라인으로 스트림 데이터를 송출시키고 있는 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신한 커맨드로부터, 유선 네트워크 내에서의 커맨드의 도착지의 기기의 판단 처리는, 사전에 기기 내에 등록된 기기를 판단하는 처리로 함으로써, 그등록된 기기에 확실하게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 신호로서 수신한 커맨드를, 유선 네트워크용으로 데이터 구성을 변환하여 유선 네트워크로 송출시킴으로써,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로 커맨드 구성이 상이한 경우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기기 제어 커맨드는 AVCTP 프로토콜의 커맨드이며, 유선 네트워크에서의 기기 제어 커맨드는 IEEE1394 방식의 AV/C 커맨드로 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로서 AVCTP 프로토콜을 사용한 블루투스 등에 의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고, 유선 네트워크로서 AV/C 커맨드를 사용한 IEEE1394 방식 등에 의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고, 양 네트워크 사이에서의 커맨드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6)

  1.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기기로부터 기기 제어 커맨드를 전송했을 때,
    상기 제1 기기는, 수신한 기기 제어 커맨드의 판정을 행하고, 그 판정에서 상기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기기를 제어하는 커맨드라고 판단했을 때, 해당하는 커맨드를 상기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소정의 기기로 전송하도록 한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서의, 수신한 커맨드로부터 상기 소정의 기기의 판단 처리는, 상기 커맨드로 지시되는 내용에 합치하는 기기를, 상기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로부터 탐색하는 처리인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의 기능을 사전에 조사하여, 그 조사한 기능에 관한 데이터를 보존하도록 한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서의, 수신한 커맨드로부터 상기 소정의 기기의 판단 처리는, 상기 유선 네트워크 내에서 스트림 데이터의 송출원으로 되어 있는 기기를, 상기 소정의 기기라고 판단하는 처리인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서의, 수신한 커맨드로부터 상기 소정의 기기의 판단 처리는, 사전에 제1 기기에 등록된 기기를, 상기 소정의 기기라고 판단하는 처리인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 내에서, 무선 신호로서 수신한 커맨드를, 유선 네트워크용으로 데이터 구성을 변환하여 유선 네트워크로 송출시키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로부터의 기기 제어 커맨드는, AVCTP 프로토콜의 커맨드이며, 또한 상기 소정의 기기를 제어하는 커맨드는, IEEE1394 방식의 AV/C 커맨드인 데이터 전송 방법.
  8.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버스 라인이 접속되며, 상기 유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기와 쌍방향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1 통신 수단과,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기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여 쌍방향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 수단과,
    상기 제2 통신 수단에 의해 소정의 기기 제어 커맨드를 수신했을 때, 그 수신한 기기 제어 커맨드의 커맨드의 도착지를 판단하여, 판단한 도착지가 상기 유선 네트워크로 접속된 기기일 때, 상기 제1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기기 제어 커맨드를 송출시키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서의, 상기 기기 제어 커맨드의 도착지 판단 처리는, 상기커맨드로 지시되는 내용에 합치하는 기기를, 상기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로부터 탐색하는 처리인 데이터 전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의 기능을 사전에 조사하여, 그 조사한 기능에 관한 데이터를 보존하고, 이 보존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커맨드로 지시되는 내용과 합치하는 기기를 탐색하도록 한 데이터 전송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서의, 상기 기기 제어 커맨드의 도착지 판단 처리는, 상기 유선 네트워크 내에서 스트림 데이터의 송출원으로 되어 있는 기기를, 도착지라고판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서의, 상기 기기 제어 커맨드의 도착지 판단 처리는, 사전에 등록된 기기를 도착지라고 판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수단이 수신한 커맨드를, 상기 제1 통신 수단으로 송출시키는 커맨드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수단에 의한 소정의 기기 제어 커맨드는 AVCTP 프로토콜의 커맨드이며, 또한 상기 제1 통신 수단에 의한 기기 제어 커맨드는 IEEE1394 방식의 AV/C 커맨드인 데이터 전송 장치.
  15.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기기로부터 기기 제어 커맨드를 전송했을 때,
    상기 제1 기기는, 수신한 기기 제어 커맨드의 판정을 행하고, 그 판정에서 상기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기기를 제어하는 커맨드라고 판단했을 때, 해당하는 커맨드를 상기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소정의 기기로 전송하는 처리를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6.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기기로부터 기기 제어 커맨드를 전송했을 때,
    상기 제1 기기는, 수신한 기기 제어 커맨드의 판정을 행하고, 그 판정에서 상기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소정의 기기를 제어하는 커맨드라고 판단했을 때, 해당하는 커맨드를 상기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소정의 기기로 전송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27012114A 2001-01-16 2002-01-16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KR200200828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07933 2001-01-16
JP2001007933 2001-01-16
JPJP-P-2001-00206775 2001-07-06
JP2001206775 2001-07-06
PCT/JP2002/000246 WO2002056548A1 (fr) 2001-01-16 2002-01-16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emetteur de donnees, support d'enregistrement et program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882A true KR20020082882A (ko) 2002-10-31

Family

ID=2660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114A KR20020082882A (ko) 2001-01-16 2002-01-16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188028A1 (ko)
EP (1) EP1261174A1 (ko)
JP (1) JPWO2002056548A1 (ko)
KR (1) KR20020082882A (ko)
WO (1) WO20020565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173B1 (ko) * 2004-06-04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시스템에서 제어데이터의 전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28134A4 (en) * 2000-10-25 2009-06-17 Panasonic Corp CONTROLLED DEVICE IN A NET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ITS CONTROL PROCESS
US6973071B1 (en) * 2001-03-06 2005-12-06 Rfmd Wp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92281B1 (ko) 2005-12-16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id 충돌 탐지 및 충돌 해결방법
EP1826679B1 (en) * 2005-12-30 2013-06-26 Psion Inc. Bluetooth communication through a single virtual port
US7570917B2 (en) * 2005-12-30 2009-08-04 Psion Teklogix Inc. Bluetooth communication through a single virtual port
CA2531896C (en) * 2005-12-30 2010-03-23 Psion Teklogix Inc. Bluetooth communication through a single virtual port
JP4326557B2 (ja) * 2006-11-08 2009-09-09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端末、携帯電話、リーダライタ、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995687B2 (en) * 2007-03-05 2011-08-09 Broadcom Corporation Fast and reliable channel classification algorithms in bluetooth networks to detect and avoid 2.4 GHz interferers
CN101388678B (zh) * 2007-09-10 2013-02-0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无线麦克风信标系统中保护设备的初始化方法及保护设备
US9235681B2 (en) * 2011-10-04 2016-01-12 Smith & Nephew,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system device exchange
JP6172581B2 (ja) * 2012-03-26 2017-08-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リモコン制御システム
JP6349319B2 (ja) * 2012-10-26 2018-06-27 アブソリュート ソフトウェア コーポレイション 異なるタイプの通信に最適化された複数のサーバを用いるデバイス監視
CN105094900A (zh) * 2015-07-13 2015-11-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下载控制程序的方法及装置
US10306072B2 (en) * 2016-04-12 2019-05-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further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517069B (zh) * 2017-08-22 2020-06-02 深圳市华信天线技术有限公司 跳频同步的方法、装置、接收机以及发射机
KR101967299B1 (ko) * 2017-12-19 2019-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용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용 수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9736B1 (en) * 1997-04-24 2001-04-17 Edwin E. Klingman Universal serial bus (USB) RAM architecture for use with microcomputers via an interface optimized for integrated services device network (ISDN)
US6615293B1 (en) * 1998-07-01 2003-09-02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xact image transfer and a root panel list within the panel subunit graphical user interface mechanism
US6556221B1 (en) * 1998-07-01 2003-04-29 Sony Corporation Extended elements and mechanisms for displaying a rich graphical user interface in panel subunit
US6381507B1 (en) * 1998-07-01 2002-04-30 Sony Corporation Command pass-through functionality in panel subunit
US7131135B1 (en) * 1998-08-26 2006-10-31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input video processing apparatus
JP3576019B2 (ja) * 1998-12-28 2004-10-13 株式会社東芝 通信ノード
JP3808660B2 (ja) * 1999-03-31 2006-08-16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JP2000295674A (ja) * 1999-04-07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制御装置、被遠隔制御装置および遠隔制御システム
CN1214588C (zh) * 1999-05-25 2005-08-10 索尼公司 传送方法、传送装置及传送系统
US7257426B1 (en) * 1999-05-26 2007-08-1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
JP3583667B2 (ja) * 1999-09-30 2004-11-04 株式会社東芝 無線端末装置並びにデータ転送方法及び制御情報通知方法
JP3715494B2 (ja) * 1999-12-27 2005-11-09 株式会社東芝 情報転送方法並びに無線端末及び無線ゲートウェイ装置
JP4396011B2 (ja) * 2000-08-22 2010-01-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制御システム
EP1328134A4 (en) * 2000-10-25 2009-06-17 Panasonic Corp CONTROLLED DEVICE IN A NET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ITS CONTROL PROC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173B1 (ko) * 2004-06-04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셋탑박스를 이용한 영상시스템에서 제어데이터의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88028A1 (en) 2003-10-02
EP1261174A1 (en) 2002-11-27
JPWO2002056548A1 (ja) 2004-05-20
WO2002056548A1 (fr) 200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7500A (ko) 데이터 전송방법,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장치
EP118741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KR20020082882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US71305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nd pairing Bluetooth devices
US75221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conference interaction with bluetooth-enabled cellular telephone
JP5042629B2 (ja) 統合型セルラ/pcs−pots通信システム
US8611317B2 (en) Simultaneously maintaining bluetooth and 802.11 connections to increase data throughput
JP3872786B2 (ja) コネクションレスのブロードキャストが可能な無線通信方法
CN113366439B (zh) 一种连接蓝牙设备方法及设备
KR101240551B1 (ko) 블루투스 기반의 채팅 시스템 및 방법
US8300576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40077539A (ko) 주파수 호핑 시퀀스의 로테이션을 갖는 무선 사설망
JP2004523981A (ja) 通信アダプタおよび方法
JP2002291067A (ja) 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データ伝送装置
WO2001071981A2 (en) Multimedia extension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JP2011521492A (ja) ワイヤレスパーソナ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方法
KR20050112408A (ko)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법과, 백본네트워크와 연결된 조정자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들간의통신 방법
JP2004527189A (ja) 複数の副端末(スレーブ)を有するブルートゥースデータ伝送システム
WO2001091504A1 (fr) Procede, systeme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donnees
US8929264B2 (en)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KR100704693B1 (ko)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의 터널링 기능을 이용한 무선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104776A (ko) 무경쟁 구간의 무선 랜 통신 방법
JP2006019881A (ja) 無線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Mahmud Protocols for Wired and Wireless Networks in Vehicle Systems
KR20050037853A (ko) 무선 랜을 통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