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500A - 데이터 전송방법,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방법,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500A
KR20020027500A KR1020027000895A KR20027000895A KR20020027500A KR 20020027500 A KR20020027500 A KR 20020027500A KR 1020027000895 A KR1020027000895 A KR 1020027000895A KR 20027000895 A KR20027000895 A KR 20027000895A KR 20020027500 A KR20020027500 A KR 20020027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data
network
packet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와무라하루미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27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G08C19/28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using pulse cod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블루투스 등의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다른 기기의 원격 제어 등이 간단하고 또한, 양호하게 행하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무선 전송 네트워크로 쌍방향으로 데이터 전송 가능한 한쪽의 기기와 다른쪽 기기 사이에서 소정 형식의 커맨드를 전송하는 경우에 한쪽의 기기가 다른쪽 기기에 대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를 지시하는 제1 커맨드를 보냈을 때, 한쪽의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제2 커맨드의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제1 커맨드로 지시한 기능 블록으로 결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1 커맨드로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에 관해서의 설정이 다른쪽 기기에 있을 때, 한쪽의 기기로부터의 소정의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 한쪽의 기기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방법,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장치{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DEVICE}
근년, 블루투스(Bluetooth : 상표)라고 칭하여지는 규격의 무선 전송 시스템이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이 무선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복수대의 기기 사이에서, 전화통신용 음성데이터, 팩시밀리용 화상데이터, 컴퓨터용 데이터 등의 전송을 2.4GHz의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전송하는 것이다.
기기 사이의 무선 전송 거리로서는 수 m부터 최대로 100m 정도의 비교적 근거리의 네트워크를 상정한 근거리 무선 전송방식이다. 이 근거리 무선 전송방식으로서는, 전송을 행하는 데이터의 종별마다 그 데이터 전송을 어떻게 행하는지를 규정한 프로파일이 정해져 있다. 통신방식의 상세함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의 란에서도 설명하지만, 규격을 정한 표준화 단체인 블루투스 SIG가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미 제안되어 있는 블루투스의 규격에 의거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오디오 기기나 비디오 기기의 원격 제어를 상정한 경우, 기기에 따라서는 복수의 제어 경로가 존재하여 제어상태가 혼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대의 오디오 기기 내에 복수의 디스크 재생부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단지 리모트 콘트롤장치로부터 재생 조작을 지시하는 커맨드를 보낸것 만으로는, 어느 디스크 재생부가 재생을 시작하면 좋은지를 수신측에서는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어떠한 동작을 지시하는 커맨드를 보내는 경우, 그 커맨드가 기기 내의 어떤 기능 블록에 대한 커맨드인 것인지를 반드시 지시해야할 필요가 있어서 커맨드 구성이 복잡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여기서는 블루투스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다른 마찬가지의 무선 전송 네트워크를 구성시키는 경우에도 같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전송 시스템에 적용하는데 알맞은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 데이터 전송방법을 적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 기기나 비디오 기기 및 이들의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사이에서 무선 전송을 행하는 경우의 처리에 적합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무선 전송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오디오 기록 재생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리모트 콘트롤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무선 전송 계층 구조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전송 주파수의 설정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주파수 호핑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싱글 슬롯 패킷의 배치예를 시간축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싱글 슬롯 패킷과 멀티 슬롯 패킷이 혼재한 예를 시간축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10은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의 전송상태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1은 네트워크 구성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2는 SCO 링크의 통신예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 13은 비동기 통신방식에서의 통신예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 14는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의 통신예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 15는 동보통신(broadcast transfer) 방식의 통신예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 16은 SCO 링크와 ALC 링크를 병용하는 경우의 통신예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 17은 클록 데이터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8은 어드레스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19는 주파수 호핑 패턴의 생성처리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20은 패킷 포맷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1은 액세스 코드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2는 패킷 헤더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3은 페이로드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4는 싱글 슬롯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5는 멀티 슬롯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6은 FHS 패킷의 페이로드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7은 기기의 상태 천이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8은 문의 통신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9는 문의 처리예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 30은 호출의 통신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1은 호출의 처리예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 32는 AV/C 프로토콜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3은 AV/C 프로토콜에 있어서의 패킷 구성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4는 AV/C 프로토콜에서의 커넥션의 확립과 커맨드, 응답의 전송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5는 AV/C 프로토콜에서의 릴리스 커넥션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6은 AV/C 프로토콜에서의 데이터 구조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7은 커맨드의 구체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8은 커맨드 및 응답의 구체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9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기기 사이에서의 전송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0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커맨드의 구성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1은 콘트롤 커맨드의 전송상태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2는 도 41의 예에서의 커맨드 및 응답의 데이터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의한 스테이터스 커맨드 전송상태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4는 도 43의 예에서의 커맨드 및 응답의 데이터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5는 패스 스루 커맨드의 포맷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6은 패스 스루 커맨드의 조작 id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인용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송수신 처리부
3 : 데이터 처리부 4 : 인터페이스부
5 : 데이터 처리부 8 : 통신 주파수 선택부
10 : 무선 처리부 20 : 기능 처리 블록
51 : 앰프장치 52, 53 : 스피코
100 : 오디오 기기 100a : 디스크 서브유닛(ID= 0)
100b : 디스크 서브유닛(ID= 1) 100c : 튜너 서브유닛
100d : 패널 서브유닛 100e : 스트림용 플러그
101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102 : ATRAC 인코더
103 : 기록 재생부 104 : 광픽업
105 : 디스크 106 : ATRAC 디코더
107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110 : 중앙제어유닛(CPU)
111 : RAM 112 : 버튼
151 : 광픽업 152 : 디스크
153 : 재생부 154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161 내지 165 : 전환스위치 171 : 안테나
172 : 튜너부 200 : 리모트 콘트롤장치
201 : 조작키 202 : 중앙제어유닛(CPU)
203 : 표시 패널 204 : 제어 코드 생성부
205 : 수신 코드 판별부 206 : 재생처리부
207 : 출력단자 208 : 헤드폰
본 발명은 각종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다른 기기의 원격 제어 등이 양호하게 행하여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은 소정의 전송 네트워크로 쌍방향으로 데이터 전송 가능한 한쪽의기기와 다른쪽 기기 사이에서 소정 형식의 커맨드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 네트워크로, 상기 한쪽의 기기가 상기 다른쪽 기기에 대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시하는 제1 커맨드를 보냈을 때, 상기 한쪽의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제2 커맨드의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상기 제1 커맨드로 지시한 기능 블록으로 결정하도록 한 데이터 전송방법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커맨드의 전송으로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정함으로써 그 후에 제2 커맨드를 전송하는 때는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정할 필요가 없으며, 그만큼 커맨드 구성을 간단히 행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하게 한쪽의 기기로부터 다른쪽 기기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맨드는 소정의 플래그를 세움으로서 지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의 지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제3 발명은 제1 발명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 네트워크는 무선 전송 네트워크이며, 상기 커맨드는 그 무선 전송 네트워크 내에서 확보한 제1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무선 전송에 의해 간단히 제어 대상을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제4 발명은 제3 발명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맨드로 스트림 데이터의 송출을 지시하였을 때, 그 스트림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무선 전송 네트워크 내에서 확보한 제2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커맨드와는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스트림 데이터의 전송을 양호하게 행할 수있다.
제5 발명은 제1 발명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 네트워크는, 기기 사이를 소정의 버스라인으로 접속시킨 네트워크이고, 상기 커맨드는 상기 버스라인상의 이소크로너스 통신으로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버스라인을 사용한 데이터 전송으로 간단히 제어 대상을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제6 발명은 제5 발명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맨드로 스트림 데이터의 송출을 지시하였을 때, 그 스트림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버스라인상의 이소크로너스 통신으로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소크로너스 통신으로 스트림 데이터의 전송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제7 발명은 소정의 전송 네트워크로 쌍방향으로 데이터 전송 가능한 한쪽의 기기와 다른쪽 기기 사이에서 소정 형식의 커맨드 및 그 응답을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 네트워크로 상기 한쪽의 기기가 상기 다른쪽 기기에 대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확인하는 제1 커맨드를 보냈을 때, 그 제1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다른쪽 기기에서 대응하는 기능 블록을 반송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으로 한 것 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피제어기기측에서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다른 기기로부터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미리 특정시켜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확인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제8 발명은 제7 발명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맨드는, 소정의 플래그를 세움으로서 지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커맨드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게 된다.
제9 발명은 소정의 전송 네트워크로 쌍방향으로 데이터 전송 가능한 제1 기기와 제2 기기 사이에서 소정 형식의 커맨드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2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수단과, 상기 제2 기기 내의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시하는 제1 커맨드와, 제1 커맨드로 지시한 기능 블록에 대하여 소정 기능의 실행을 지시하는 제2 커맨드를 생성시키는 제1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기기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1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수단과, 상기 제2 통신수단이 상기 제1 커맨드를 수신하였을 때, 그 커맨드로 지시된 기능 블록을 기억하고, 상기 제2 커맨드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기억한 기능 블록에 대하여 그 제2 커맨드로 지시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제2 제어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기기로부터의 제1 커맨드의 전송으로,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정함으로써 그 후에 제2 커맨드를 전송할 때는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정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커맨드 구성을 간단히 행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하게 제1 기기로부터 제2 기기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10 발명은 제9 발명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수단은 커맨드 내의 소정의 비트를 세움으로서 제1 커맨드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의 지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제11 발명은 소정의 전송 네트워크로 쌍방향으로 데이터 전송 가능한 제1 기기와 제2 기기 사이에서 소정 형식의 커맨드 및 응답을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2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수단과, 상기 제2 기기 내에서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확인하는 제1 커맨드를 생성시키는 제1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기기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1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수단과, 상기 제2 통신수단이 상기 제1 커맨드를 수신하였을 때,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응답으로서 상기 제2 통신수단으로부터 송출시키는 제2 제어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2 기기측에서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제1 기기로부터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미리 특정시켜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확인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제12 발명은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와 쌍방향으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소정의 기기 내의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시하는 제1 커맨드와, 제1 커맨드로 지시한 기능 블록에 대하여 소정 기능의 실행을 지시하는 제2 커맨드를 생성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전송장치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커맨드의 전송으로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정함으로써 그 후에 제2 커맨드를 전송하는 때는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정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커맨드 구성을 간단히 행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하게 다른 기기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13 발명은 제12 발명의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커맨드 내의 소정의 비트를 세움으로서 제1 커맨드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의 지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제14 발명은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와 쌍방향으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소정의 기기 내에서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기능 블록을 확인하는 제1 커맨드를 생성시키고, 상기 통신수단으로부터 송출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전송장치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피제어 기기측에서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미리 특정시켜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확인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제15 발명은 제14 발명의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커맨드 내의 소정의 비트를 세움으로서 제1 커맨드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커맨드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게 된다.
제16 발명은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와 쌍방향으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이 제1 커맨드를 수신하였을 때, 그 커맨드로 지시된 기능 블록을 기억하고, 제2 커맨드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기억한 기능 블록에 대하여 그 제2 커맨드로 지시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전송장치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커맨드의 전송으로,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이 지정되었을 때, 그 후에 제2 커맨드를 수신한 때는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이 특정되어, 간단한 구성의 커맨드로 양호하게 다른 기기로부터 제어되게 된다.
제17 발명은 제16 발명의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커맨드 내의 소정의 비트를 판별함으로써 제1 커맨드라고 판별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이 간단히 지정되게 된다.
제18 발명은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와 쌍방향으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과, 자기(自機) 내에서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확인하는 커맨드를 상기 통신수단이 수신한 것을 판별하였을 때, 설정된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응답을 상기 커맨드의 송출원으로 상기 통신수단으로부터 송신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전송장치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 기기에서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다른 기기로부터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미리 특정시켜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확인을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제19 발명은 제18 발명의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커맨드 내의 소정의 비트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기능 블록을 확인하는 커맨드라고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소정의 비트를 판별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기능 블록의 확인인 것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블루투스 규격으로서 규격화된 근거리 무선 전송방식으로 복수대의 기기 사이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조성한 시스템에 적용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는, 주로 비디오 기기나 오디오 기기 등의 전자기기로 시스템을 꾸미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예의 전자기기를 구비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안테나(1)가 접속된 송수신처리부(2)에서는 고주파 신호 처리를 행하여 무선 송신처리 및 무선 수신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송수신처리부(2)에서 송신하는 신호 및 수신하는 신호는 2.4GHz 대에 1MHz 간격으로 설정한 채널로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단지 각 채널의 신호는 후술하는 슬롯 간격으로 전송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주파수 호핑이라고 칭하여지는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1슬롯마다 주파수 호핑을 행하는 것으로 하면, 1슬롯은 625μ초이기 때문에, 1초사이에 1600회 주파수가 전환되게 되어 다른 무선통신과의 간섭이 방지된다. 무선 전송신호의 변조방식으로서는, GFSK(Gaussian filterd FSK)라고 칭하여지는 변조방식이 적용된다. 이 변조방식은 주파수 전달특성이 가우스 분포의 저역 통과필터로 대역 제한한 주파수 편이 변조방식이다.
송수신처리부(2)로 수신하여 얻은 신호 및 송수신처리부(2)에서 송신하기 위한 신호는, 데이터 처리부(3)에서 베이스 밴드 처리가 행하여진다. 블루투스의 규격에서는, 기본적으로 송신과 수신을 교대로 행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적용하고 있고, 데이터 처리부(3)에서는 교대로 송신 슬롯의 처리와 수신 슬롯의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데이터 처리부(3)에는 인터페이스부(4)를 통하여 기능 처리 블록(10)이 접속되어, 수신한 데이터를 기능 처리 블록(20)에 공급하거나 또는 기능 처리 블록(20)로부터의 송출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3)에서 송신 슬롯으로 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송수신처리부(2)와 데이터 처리부(3)와 인터페이스부(4)에서의 전송을 위한 처리는 콘트롤러(5)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이 콘트롤러(5)는 예를 들면 각 기기에 내장된 중앙제어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중앙제어유닛과는 별도로, 근거리 무선통신용으로 준비된 전용의 콘트롤러를 사용하여도 좋다.
송수신처리부(2), 데이터 처리부(3), 인터페이스부(4), 콘트롤러(5)가 블루투스로 통신을 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0)이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통신부(10)에 접속된 기능 처리 블록(20)이, 기기로서 실제로 기능을 실행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나 비디오 기록 재생장치의 경우에는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이나 재생을 처리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오디오 기록 재생장치의 경우에는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이나 재생을 처리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컴퓨터장치의 경우에는 준비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송 처리장치를 각종 기기에 내장시키거나 또는 외부 장착으로 접속시킴으로써 여러가지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부(10)는, 전자기기 본체에 내장시키는 경우 이외에, 장치 본체와는 별체의 장치로 구성하여 외부 장착으로 접속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도 2는 기능 처리 블록(20)으로서 오디오 기기(100)의 블록으로 한 경우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의 오디오 기기(100)는 미니디스크(MD)라고 칭하여지는 수지 패키지에 수납된 광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하여, 음성신호 등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하여 재생하는 기능 블록과, 콤팩트 디스크(CD)라고 칭하여지는 광디스크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하여, 음성신호 등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재생하는 기능 블록과, 라디오방송 등을 수신하는 튜너로서 기능하는 블록을 구비한다.
오디오 기기(100)의 디스크 기록 재생부의 기록계의 구성으로서는, 외부로부터 입력한 아날로그인 2채널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1)에서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 한다. 변환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ATRAC 인코더(102)에 공급하여,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방식으로 압축된 음성 데이터로 인코드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직접 디지털 음성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그 입력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1)를 통하지 않고서 직접 ATRAC 인코더(102)에 공급한다.
인코더(102)에서 인코드된 데이터는 기록 재생부(103)에 공급하여 기록용의 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광픽업(104)을 구동하여, 디스크(광자기 디스크)(105)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또한, 기록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자기 헤드에 의해 자계 변조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오디오 기기(100)는 튜너부(172)를 구비하고 안테나(171)를 통하여 수신한 라디오방송 등의 2채널의 오디오신호를 전환스위치(161, 162)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1)의 입력단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튜너부(172)에서 수신한 오디오신호의 디스크(105)로의 기록도 행할수 있다.
디스크 기록 재생부의 재생계의 구성으로서는, 디스크(광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105)에 기록된 데이터를 광픽업(104)에서 판독하고 기록 재생부(103)에서 재생처리를 행하여 ATRAC 방식으로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얻는다. 이 재생 음성 데이터를 ATRAC 디코더(106)에 공급하여 소정 방식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디코드하고 그 디코드된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07)로 공급하여, 2채널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킨다. 또한, 외부에 직접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경우에는 ATRAC 디코더(106)에서 디코드된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07)를 통하지 않고서 직접 출력시킨다.
도 2의 예에서는, 아날로그 변환된 출력 음성신호를, 앰프장치(51)에 공급하여 증폭 등의 음성 출력 처리를 행하여, 접속된 스피커(52, 53)로부터 2채널의 음성(오디오)을 출력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까지 설명한 기록 재생부와는 별도의 디스크 재생부의 구성으로서는, 디스크(광디스크)(152)에 기록된 데이터를 광픽업(151)으로 판독하고 재생부(153)에서 재생처리를 행하여 2채널 등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얻는다. 이 재생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54)에 공급하여 2채널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킨다. 또한, 외부에 직접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경우에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54)를 통하지 않고서 직접 출력시킨다.
도 2의 예로서는 아날로그 음성신호의 출력계로서, MD를 사용한 디스크 기록 재생부로부터의 재생 출력과, CD를 사용한 디스크 재생부로부터의 재생 출력을, 전환스위치(163, 164)에서 선택적으로 앰프장치(51)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음성신호의 출력계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전환스위치(165)로 전환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오디오 기기(100)는, 상술한 블루투스 방식으로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처리 블록(10)를 구비하고, 접속된 안테나(1)를 통하여 상대측의 무선처리 블록과 쌍방향의 무선통신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 무선처리 블록(10)에서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ATRAC 인코더(102)를 경유하여 기록 재생부(102)에 공급하여 디스크(105)에 기록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디스크(105)로부터 재생한 음성 데이터를 기록 재생부(102)로부터 ATRAC 디코더(106)를 경유하여 무선처리 블록(10)에 공급하여 상대측의 기기에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디스크(152)로부터 재생한 음성 데이터를 재생부(153)로부터 무선처리 블록(10)에 공급하여 상대측의 기기에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튜너(172)에서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무선처리 블록(10)에 공급하여 상대측의 기기에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오디오 기기(100)에서의 기록처리, 재생처리, 라디오 수신처리 및 무선처리 블록(10)에서의 송신, 수신의 처리에 관해서는, 중앙제어유닛(CPU)(110)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CPU(110)에는 워크 RAM인 메모리(11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조작 패널(112)로부터의 조작 정보가, CPU(110)에 공급되고 그 조작 정보에 대응한 동작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어 커맨드나 응답 등의 제어 데이터를 무선처리 블록(10)에서 수신한 때는 그 데이터는 CPU(110)에 공급하고 CPU(110)가 대응한 동작 제어나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장치(100)로부터 제어 커맨드나 응답 등의 제어 데이터를 무선 송신시키는 때에도, CPU(110) 내에서 그 송신시키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시켜, 무선처리 블록(10)에서 무선 송신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3은 이 오디오 기기(100) 등을 원격 제어 하는 리모트 콘트롤장치(200)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예의 리모트 콘트롤장치(200)는, 오디오 기기(100)에 대하여 블루투스 규격의 무선신호의 전송을 행하여 오디오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리모트 콘트롤장치(200)는, 각종 동작의 지시를 행하는 조작키(201)가 준비되어 있고, 그 조작키(201)의 조작이 있었음을 제어수단인 중양제어유닛(CPU) (202)이 판단한다. 또한, 조작상태나 피제어기기의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203)을 구비하고, CPU(202)의 제어로 문자, 숫자나 도형 등으로 해당하는 표시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CPU(202)에는 제어 코드 생성부(204)가 접속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조작키(201)가 조작되었을 때, 그 조작된 동작에 대응한 제어 코드를 제어 코드 생성부(204)에서 생성시키고 그 생성된 제어 코드를 무선처리 블록(10)에 공급하여 무선송신한다. 또한, 무선처리 블록(10)에서 수신한 제어 코드를 수신 코드 판별부(205)에 공급하여, 이 판별부(205)에서 판별한 수신 코드를 CPU(202)에 공급한다.
또한, 본 예의 리모트 콘트롤장치(200)는 오디오 기기(100) 등으로부터 무선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그 수신한 오디오를 리모트 콘트롤장치(200)에 설치된 헤드폰(208)으로부터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무선처리 블록(10)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 그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처리부(206)에 공급하여, 복조, 아날로그 변환, 증폭 등의 오디오 재생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된 오디오신호를 헤드폰 단자(207)에 접속된 헤드폰(208)에 공급하여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오디오 기기(100)와 리모트 콘트롤장치(200) 사이에서 블루투스 규격의 무선신호의 전송으로 리모트 콘트롤장치(200)로부터 오디오 기기(100)의 원격 제어가 행하여질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콘트롤장치(200)가 구비하는 표시 패널(203)에서, 오디오 기기(100)에서의 동작 상황을 표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오디오 기기(100)에서 디스크로부터 재생한 오디오를, 리모트 콘트롤장치(200)에 접속된 헤드폰(208)로부터 출력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 각 기기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사용하여 블루투스 방식으로 다른 기기와 무선통신을 행하는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블루투스로 무선통신을 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블루투스의 시스템 전체의 프로토콜은, 블루투스의 프로토콜의 주요 부분이 되는 코어 프로토콜과, 어플리케이션인 서비스를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와, 코어 프로토콜과 어플리케이션과의 사이에서 통신 프로토콜을 정합시키기 위한 적합 프로토콜군의 3개로 나누어진다.
블루투스 코어의 프로토콜은, 5개의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하위 층으로부터차례로 물리층, 베이스 밴드층, 실데이터 처리층, 논리링크 관리층으로 구성된다. 적합 프로토콜군은, 기존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소프트가 이용할 수 있도록, 코어 프로토콜을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에 적합시키는 것이 행하여진다. 이 적합 프로토콜군에는, 예를 들면 TCP/IP 프로토콜, 시리얼 포트(Serial port)를 이뮬레이션 (emulation)하는 RFCOMM 프로토콜, 유저가 조작하는 기기(HID: Human Interface Device)의 드라이버 등이 있다. 후술하는 AV/C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는, 이 적합 프로토콜군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을 적합하는 프로토콜이 준비된다. AV/C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프로토콜 구성에 관해는 후술한다.
물리층으로서는, 2.4GHz의 주파수대를 이용한 주파수 호핑형의 스펙트럼 확산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송신 전력으로서는, 최대라도 100mW 정도로 제한되고, 약 l00m 정도까지의 단거리에서의 무선 전송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이 물리층에는 링크층으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최소 -30dBm까지 송신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베이스 벤드층은, 물리층에 대하여 실제의 송수신 데이터 패킷을 인터페이스하는 프로토콜로서 정의되어 있다. 이 층에서는, 상위 층으로부터 주고받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제공한다. 이 때, 주파수 호핑의 관리나 시간축 슬롯의 관리 등도 행하여진다. 또한, 패킷의 재송(再送)이나 오류 정정과 검출의 처리도, 이 베이스 밴드층이 관리한다.
링크 관리층은, 통신 링크상에서 송수신 패킷을 인터페이스하는 프로토콜의 하나로서, 베이스 밴드층에 대하여 통신 링크의 설정이나 그 링크에 관한 여러가지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을 지정한다. 그것들은, 제어 패킷으로서 링크관리층에 정의되고, 필요에 따라서 대향 단말의 링크 관리층과 통신을 행한다. 또한, 이 층은 상위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필요에 따라서 직접 제어를 받는다.
음성층에서는, 링크 관리층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 링크를 설정한 후에, 음성 데이타 교환이 행하여진다. 여기서의 음성 데이터란, 주로 전화로 통화를 행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로서, 무선전화 등으로 통신을 행할 때에 데이터 전송의 지연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서, 비교적 하위 층에 전용의 처리층을 마련하고 있다.
논리링크 관리층은, 링크 관리층 및 베이스 벤드층에 인터페이스되는 프로토콜로서 논리 채널을 관리한다. 또한, 음성층이 취급하는 음성 데이터 이외의 전송 데이터에 관해는, 상위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논리링크층에 제공되지만, 거기서 주고받는 실제의 데이터는, 베이스 벤드층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사이즈나 타이밍을 의식하지 않고 주고받는다. 그 때문에, 논리링크 관리층은, 상위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논리 채널로서 관리하여, 데이터 분할이나 데이터의 재구성의 처리를 행한다.
도 5는 2대의 기기 사이에서 무선통신이 행하여질 때에 각 층에서의 처리를 도시한 것으로서, 물리층에서는 물리적인 무선통신 회선의 링크가 설정되고, 베이스 밴드층에서는 그 설정된 링크로 패킷의 송수신이 행하여진다. 링크 관리층에서는 통신 링크 관리 채널로 제어 패킷의 송수신이 행하여진다. 논리링크 관리층에서는 논리 채널로 유저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이 행하여진다. 이 유저 데이터가 실제로 전송하고 싶은 스트림 데이터나 커맨드 등에 상당한다.
다음에 이 방식으로 무선통신을 행할 때의 물리적인 통신 주파수의 설정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이 방식으로 사용되는 주파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402MHz부터 2480MHz까지 1MHz 간격으로 79의 통신 주파수가 존재한다. 송신되는 패킷의 각각은, 이 79개의 통신 주파수 내의 하나의 통신 스펙트럼을 점유한다. 그리고 이 사용되는 통신 스펙트럼이, 625μ초마다 랜덤하게 변화(호핑)한다.
도 7은 이 통신 주파수가 호핑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어떤 특정한 타이밍(t0) 부터 625μ초마다 랜덤하게 송신 주파수가 변화되고 있다. 이 625μ초마다 통신 주파수가 변화함으로써, 1초간에 약 1600회 랜덤하게 호핑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대역 내에서 확산되어 전송되게 되어, 스펙트럼 확산이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블루투스의 경우에는 패킷의 1단위는 625μ초간이지만, 이 1단위의 패킷을 복수 연속하여 사용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대의 기기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전송을 행할 때, 양방향의 통신이 같은 패킷수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한쪽 방향의 통신만이 복수 패킷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되는 패킷이 모두 625μ초의 패킷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625μ초마다 주파수 호핑이 행하여진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3패킷 연속하여 사용되는 경우나, 5패킷 연속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슬롯이 연속하고 있는 사이는 송신 주파수가 고정된다.
2대의 기기 사이에서의 통신 상태를 도 10에 도시하면, 무선 전송을 행하는 한쪽의 기기를 마스터로 하고 다른쪽 기기를 슬레이브로 하였을 때, 마스터로부터 슬레이브에, 1슬롯(625μ초)의 기간에 슬롯 구성의 데이터를 전송하고(도 10A), 다음 1슬롯의 기간에, 슬레이브로부터 마스터에, 슬롯 구성의 데이터를 전송한다(도 10B). 이하 그 상호 전송을 전송이 계속되는한 반복한다. 단지 무선 전송하는 주파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1슬롯마다 주파수 f(k), f(k+1), f(k+2)…로 변화시킨다.
도 11은 복수의 기기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블루투스로서 규격화된 통신방식에서는, 이러한 1대1의 무선 전송뿐만 아니라, 다수의 기기로 네트워크를 꾸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2대의 기기 사이에서 무선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11의 좌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기기가 마스터가 되고 다른쪽 기기가 슬레이브가 되어, 마스터(MA11)의 제어로, 마스터(MA11)와 슬레이브(SL11) 사이에서 쌍방향의 무선 전송이 실행된다. 이에 대하여 도 11의 중앙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대의 마스터(MA21)에 의해 제어되는 3대의 슬레이브(SL21, SL22, SL23)를 준비하고 이 4대의 기기 사이에서 무선 전송을 행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시켜도 좋다.
또한, 도 11의 우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대의 마스터(MA31, MA32, MA33)와 각 마스터에 개별로 제어되는 슬레이브(SL31, SL32, SL33, SL34, SL35, SL36)를 준비하여 3개의 네트워크를 구성시킨 뒤에, 그 3개의 네트워크를 접속시켜 네트워크 구성을 확대시킬 수도 있다. 어느쪽의 경우에도 슬레이브 사이에서 직접 통신을 행할 수는 없고 반드시 마스터를 경유한 통신이 행하여진다.
또한, 하나의 마스터와, 그 마스터와 직접 통신을 행하는 슬레이브로 구성되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피코네트라고 칭한다. 복수의 마스터를 갖는 네트워크군(즉, 복수의 피코네트로 구성되는 네트워크군)을 캐스터네트하고 칭한다.
다음에 블루투스로 기기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때의 링크의 종류에 관해 설명한다. 블루투스에서는 SCO (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링크와,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링크의 2종류의 통신 링크가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용도에 의해서 구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SCO 링크는, 마스터와 특정 슬레이브 사이에서 1대1로 통신을 행하는 접속 타입으로서 소위 회선 교환형의 링크이다. 이 링크는 주로 음성 등의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이 SCO 링크는 피코네트 내의 통신 링크에 있어서 일정 간격으로 미리 통신 슬롯을 확보해 두고, 도중에 다른 데이터의 전송이 있더라도, SCO 링크의 데이터 통신이 우선된다. 즉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 SCO 통신 슬롯이 일정 간격으로 서로 전송된다.
이 SCO 링크는 하나의 마스터에 대하여 동시에 최대로 3개의 SCO 링크를 서포트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슬레이브로 3개의 SCO 링크를 서포트하는 경우와, 다른 3개의 슬레이브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SCO 링크를 서포트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SCO 링크는 재송신 기능을 갖고 있지 않고, SCO 링크로 전송되는 패킷에는, 오류 정정 부호는 부가되지 않는다.
ACL 링크는, 소위 패킷 교환형의 접속 타입으로서, 마스터와 복수의 슬레이브 사이에서 1대 다수의 통신이 가능하다. 피코네트 내의 어느 슬레이브와도 통신할 수 있는 대신에, 데이터량이나 슬레이브의 수에 의해 개개의 슬레이브의 실효 통신속도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SCO 링크와 ACL 링크는 혼재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ACL 링크에서는, 하나의 마스터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슬레이브의 수는, 최대로 7개까지 된다. 단, 하나의 피코네트 내에서 설정할 수 있는 ACL 링크는 각 슬레이브에 대하여 하나뿐이고, 하나의 슬레이브가 한번에 복수의 ACL 링크를 설정할 수는 없다. 하나의 슬레이브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상위의 어플리케이션을 프로토콜 다중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지정이 없는 한, 마스터와 슬레이브와의 통신에는, 싱글 슬롯의 ACL 패킷이 이용된다. 슬레이브가 멀티 슬롯의 ACL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는, 미리 마스터로부터의 허가가 필요하게 된다. 마스터는, 슬레이브 로부터의 멀티 슬롯의 ACL 패킷의 송신 요구를 거부할 수 있지만, 슬레이브는 마스터로부터의 송신 요구를 반드시 받아 들여야 한다.
마스터는, 슬레이브에 대하여 멀티 슬롯의 상한치만을 통지하고, 멀티 슬롯의 ACL 패킷을 송신할지의 여부는 슬레이브의 판단에 맡겨진다. 한편, 마스터로부터 송신되는 ACL 패킷이 싱글 슬롯인지 멀티 슬롯인지는, 모두 마스터의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슬레이브는 모든 멀티 슬롯 패킷의 수신을 항상 준비해 놓을 필요가 있다.
ACL 패킷에서는, 싱글 슬롯, 멀티 슬롯의 정의와는 별도로, 대별하여 다음 3개의 패킷 통신방법이 제공된다. 첫번째는 비동기 통신방식(Asynchronoustransfer)이고, 두번째는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Isochronous transfer)이고, 세번째는 동보통신 방식(Broadcast transfer)이다.
비동기 통신방식은, 보통의 패킷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방식이다.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피코네트 내에 존재하는 슬레이브의 트래픽(traffic)량이나 통신회선 품질의 열화에 의한 패킷 재송 등에 따라 변화된다.
도 13은 동일 피코네트 내의 3개의 슬레이브(슬레이브(1, 2, 3))가 비동기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예이다. 마스터로부터 각 슬레이브(1, 2, 3)에 대하여 차례로 ACL 패킷이 송신되고, 그 ACL 패킷을 수신한 슬레이브로부터, 마스터에 수신 확인의 패킷이 반송되어 있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 등의 스트림 데이터를 ACL 패킷의 비동기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스트림 데이터를 비동기 통신방식으로 전송시키는 경우에는 각 ACL 패킷에는 타임 스탬프를 부가시켜, 수신측에서 스트림 데이터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은, 미리 결정된 시간 슬롯의 기간 내에, 반드시 마스터로부터 슬레이브 앞으로 패킷이 송신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최저한의 지연을 확보할 수 있다.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의 경우에는 슬롯 간격은, 최대 폴링시간으로서,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에서의 통신을 시작시키기 전에,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 합의할 필요가 있다.
마스터는 슬레이브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최대 폴링 간격을 지정할 수 있고, 또한, 슬레이브로부터의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의 설정 요구를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슬레이브로부터는 마스터에 대하여 최대 폴링 간격의 지정은 할 수 없고, 이소크로너스 통신의 설정 요구도 할 수 없다.
도 14는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으로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예이다. 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폴링 간격 이내로, 마스터로부터 ACL 패킷을 슬레이브에 송신하고, 그 ACL 패킷을 수신한 슬레이브가 수신한 직후에 수신 확인의 패킷을 마스터에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동보통신방식은, 패킷 헤더중의 슬레이브 식별자를 제로로 함으로써 설정된다. 이로써, 마스터로부터 모든 슬레이브에 대하여 동보통신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동일한 패킷을 수신한 슬레이브에서는 그것에 대한 수신 확인의 패킷을 송신하지 않는다. 슬레이브가 수신 확인을 하지 않는 대신에, 마스터는 동보통신 패킷을 복수회 계속하여 송신한다. 이 복수회 송신하는 회수는, 동보통신을 행하기 전에 마스터는 모든 슬레이브에 대하여 통지할 필요가 있다.
도 15는 동보통신방식으로 피코네트 내의 모든 슬레이브에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예이다. 이 도 15에 있어서, 슬레이브에서의 패킷의 수신시에, ×표시를 부여한 개소가 그 때의 슬레이브에서의 패킷을 수신할 수 없었을 때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NBC회 반복하여 송신됨으로써 확실히 모든 슬레이브에 동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6은 SCO 링크와 ACL 링크를 병용하여 사용하는 통신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SCO 링크에서의 SCO 패킷이, 마스터와 슬레이브(1) 사이에서 일정 주기로 송신되고 있는 상황으로, 마스터로부터 3대의 슬레이브(1, 2, 3)에 수시 ACL 패킷이 송신되고 있다. 또한, 동보통신용의 패킷에 관해서도, 소정회 반복 송신되고 있다. 이 동보통신용의 패킷이 반복 송신되고 있는 동안에 SCO 패킷이 송신되는 타이밍이 되면, SCO 패킷이 송신된다.
여기서 이소크로너스 통신방식과 동보통신방식에서 필요한 설정 파라미터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다음에, 마스터 및 슬레이브가 내부에 갖는 클록에 관해 설명한다. 이 통신방식에서는, 각 기기가 내부에 갖는 클록을 사용하여 주파수 호핑 패턴 등이 설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 마스터 및 슬레이브가 갖는 클록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0 내지 27까지의 28비트의 카운터의 카운트치로 설정된다. 이 카운터의 한 조각은 312.5μ초이고, 이 312.5μ초가 호출과 문의의 처리 최소 시간 단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312.5μ초마다 값이 하나씩 카운트 업되는 카운터는 1주기가 약 23시간으로 되고, 주파수 호핑 패턴의 랜덤성을 높이고 있다.
0 비트째의 클록치로 설정되는 312.5μ초의 주기는, 마스터가 호출과 문의를행할 때의 송신 패킷의 시간 주기이다. 1비트번째의 클록치로 설정되는 625μ초의 주기는, 통신 주파수가 변화하는 슬롯의 시간 주기이다. 2비트번째의 클록치로 설정되는 1.25m초의 주기는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의 송수신 시간 주기이다. 또한, 12비트번째의 클록치로 설정되는 1.28초의 주기는, 문의와 호출에 있어서, 수신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시간 주기의 클록 타이밍으로 되어 있다.
각 슬레이브는, 마스터의 클록을 참조하여 마스터의 클록과 일치하도록, 일정한 오프셋치를 자기의 클록에 가산하여 그 가산된 클록을 통신에 사용한다.
마스터와 슬레이브에서 주파수 호핑 패턴을 산출할 때는 이 클록 이외에, 각 단말에 부여된 48비트의 어드레스에 관해서도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48비트의 어드레스는, IEEE802 사양에 준거하여 어드레스 방식으로 정의되고, 각각의 블루투스의 단말마다 개별로 할당된 절대적인 어드레스이다. 도 18은, 이 48비트의 어드레스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하위 24비트가 LAP(Lower Address Part), 다음의 8비트가 UAP(Upper Address Part), 나머지의 16비트가 NAP(Non-significant Address Part)의 3개의 요소로 구성된다.
피코네트 내 동기에 있어서의 주파수 호핑 패턴의 생성에는, 마스터의 어드레스 내의, LAP 전체의 24비트와 UAP의 하위 4비트의 합계 28비트가 사용된다. 이로써, 각각의 피코네트에 대하여 마스터의 어드레스에 의거한 주파수 호핑 패턴이 주어지게 된다. 통신 상태로 이행할 때는 슬레이브에는 마스터의 어드레스가 통지되기 때문에, 각 슬레이브에서도 마스터와 같은 주파수 호핑 패턴을 독자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19는 통신 주파수를 산출하는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스터의 어드레스의 하위 28비트와 28비트의 클록의 하위 27비트를, 통신 주파수 선택부(8)에 공급하여, 채널 주파수 호핑 패턴으로 어느 통신 주파수가 일률적으로 결정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단, 호출 주파수 호핑 패턴과 문의 주파수 호핑 패턴은, 채널 주파수 호핑 패턴과는 다른 패턴이다.
다음에,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0은 패킷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패킷은 크게 나누어 액세스 코드, 패킷 헤더, 페이로드의 3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페이로드는 그 때에 전송하는 데이터량에 따라서 가변 길이로 설정된다.
도 21은, 액세스 코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액세스 코드는 68비트 또는 72비트의 데이터로 구성되고, 송신 패킷의 보낼곳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송수신되는 모든 패킷에 부가되는 코드이다. 패킷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 액세스 코드만의 경우도 있다.
프리앰플은 싱크워드의 LSB에 따라서 1과 0의 패턴를 반복하는 고정 4비트 길이로 구성된다. 트레일러는 싱크워드의 MSB에 따라서 1과 0을 반복하는 4비트로 구성된다. 어느것이나 액세스 코드 전체의 신호 직류성분을 제거하도록 기능한다.
48비트의 싱크워드는, 48비트의 어드레스 내의 24비트의 LAP를 바탕으로 하여 생성되는 64비트의 데이터이다. 이 싱크워드가 피코네트 식별을 위해 사용된다. 단, 마스터의 어드레스나 클록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서의 통신 등에서 문의와 호출로 사용되는 패킷에서 다른 싱크워드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액세스 코드 종별을 정리하면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도 22는 패킷 헤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패킷 헤더는 베이스 밴드층에 있어서의 통신 링크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3비트의 AM ADDR은 피코네트 내에서 통신신의 슬레이브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필드로서 마스터가 각 슬레이브에 할당하는 값이다.
4비트의 타입은 패킷 전체가 어떠한 패킷인지를 지정하는 패킷 타입 종별 필드이다.
1비트의 플로우는 ACL 링크로 통신하는 패킷의 플로우 제어의 관리에 사용하는 필드이다,
1비트의 ARQN은 수신한 패키지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패킷 송신측에 통지하기 위해 이용하는 1비트의 필드이다. 블루투스 규격에서는, 수신 확인 전용의 응답 패킷이 준비되지 않고, 이 ARQN의 필드를 사용하여 패킷의 송신원에 대하여 패킷의 수신 확인을 보낸다. 이 필드의 값이 1인지 0인지에 의해, 수신한 패킷에 오류가 없었다던지 또는 오류가 있었다는 것을 상대에게 통지한다. 수신 패킷의 오류의 유무는 수신 패킷의 패킷 헤더에 부가된 헤더 오류 검출 부호와, 페이로드에 부가된 오류 검출 부호로서 판단된다.
1비트의 SENQ는 재송 패킷이 수신측에서 중복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 이용하는 필드이다. 동일한 패킷을 재송할 때, 1 패킷 보낼때마다, 값을 1과 0으로 교대로 반전시킨다.
8비트의 HEC는, 패킷 헤더의 오류 정정 부호가 배치되는 필드이다. 이 오류 정정 부호는, g(D)= D8+D7+D5+D2+D +1의 생성 다항식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그 생성에 있어서, 오류 정정 부호 생성용의 8비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설정되는 초기치는 이미 설명한 블루투스용의 어드레스 내의 UAP의 8비트를 설정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어드레스는, 액세스 코드를 생성할 때의 어드레스와 동일하게 된다. 이 오류 정정 부호를 생성시킬 때의 초기치를 정리하면, 다음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통신중인 피코네트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마스터 어드레스의 LAP의 24비트에 의거하여 생성한 채널 액세스 코드(CAC)를 사용한다. 피코네트 내에서의 통신의 동기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호핑 패턴과 시간 슬롯의 동기가 필요하게 되지만, 이때, 만일 가까이에 동일 LAP를 갖는 다른 마스터가 존재하며 또한, 주파수와 시간 슬롯의 동기가 가끔 일치한 경우라도, 패킷 헤더의 오류 정정 부호인 HEC를 이용하여 그것을 배제할 수 있다.
페이로드에는 실제로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유저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가 수용된다. 유저 데이터에는 SCO 링크로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패킷 교환형의 ACL 링크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있다.
도 23은 ACL 링크의 페이로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페이로드 헤더, 페이로드 보디, 오류 검출 부호인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페이로드 전체의 길이는 가변 길이이다. 한편 SCO 링크의 페이로드는, 미리 통신 슬롯을 주기적으로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패킷의 재송은 없고, 페이로드 보디만의 구성이며, 페이로드 오류 검출 부호는 부가되지 않는다.
페이로드 헤더는 베이스 밴드층보다 상위 층의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ACL 링크에만 포함되는 데이터이다. 도 24에 싱글 슬롯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25에 멀티 슬롯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의 구성을 도시한다.
페이로드 헤더에 포함되는 2비트의 L_CH의 데이터는 베이스 벤드층보다 상위 층의 데이터가 어떠한 데이터인지를 지정하는 논리 채널을 식별하는 필드이다. SCO 링크와 ACL 링크는 베이스 밴드층에서의 링크로서, 그 제어는 패킷 헤더에 설정되는 정보에 의해 행하여진다. L_CH는 베이스 벤드층보다 상위 층에서 정의되는 논리 채널을 식별하는 것으로서, 3개의 유저 논리 채널에 대하여 L_CH가 다음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의된다.
1비트의 플로우는 유저 논리 채널상을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플로우 제어를 행하기 위해 이용하는 1비트의 데이터이다. 플로우는 유저 논리 채널마다 관리되고, 플로우= 0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반환함으로서 상대에게 일시적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중단시킨다. 또한, 수신 버퍼가 비어있으면, 플로우= 1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반환함으로서 상대 데이터의 송신을 재개시킨다. 이 플로우 필드의 설정은 링크 관리층이 행하지만, 리얼타임적인 데이터의 플로우 제어를 보증하는 것은 아니다. 리얼타임의 데이터의 플로우 제어는 모든 베이스 밴드층이 패킷 헤더중의 플로우 필드를 이용하여 관리한다. 제어 패킷중의 데이터는 링크 관리층에서 모두 처리되기 때문에, 논리링크 관리층에는 인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패킷은 이 플로우에 의한 플로우 제어의 영향은 받지 않고 그 값은 반드시 1에 설정된다.
5비트 또는 9비트의 길이는 필드 보디의 데이터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내는 필드이다. 싱글 슬롯 패킷의 경우에는 5비트이며, 멀티 슬롯 패킷의 경우에는 9비트의 필드가 된다.
UNDEFINED는 멀티 슬롯 패킷의 페이로드 헤더에만 존재하고, 현상으로서는 미정의의 필드이며 모두 0으로 설정된다.
페이로드 보디에는 페이로드 헤더의 길이로서 지정된 길이의 데이터가 들어간다. SCO 링크 통신에서는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가 페이로드 보디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길이에 의한 데이터 길이의 지정은 없다. 단, DV 패킷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 부분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낸다.
CRC는 오류 검출 부호를 나타낸 16비트의 필드로서, 페이로드 헤더 및 페이로드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부호이다. 이 오류 검출 부호는, g(D)= D16+D12+D5+1의 생성 다항식을 이용하여 생성된다. 그 생성에 있어서, 16비트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설정되는 초기치는 이미 설명한 어드레스 내의 UAP의 8비트에 8비트의 제로를 더한 16비트의 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어드레스는 HEC와 마찬가지로 액세스 코드를 생성할 때의 어드레스와 동일하게 된다.
다음에 패킷 종별에 관해 설명한다.
패킷 헤더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타입 필드는 패킷 타입을 지정한다. 이 지정되는 패킷 타입에 관해 설명하면, SCO 링크와 ACL 링크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통 패킷와, SCO 링크 또는 ACL 링크에 고유한 패킷이 있다.
우선 공통 패킷에 관해 설명한다. 공통 패킷에는, NULL 패킷, POLL 패킷, FHS 패킷, DM1 패킷, IQ 패킷, ID 패킷이 있다.
NULL 패킷은 액세스 코드와 패킷 헤더로 구성되는 패킷으로, 페이로드를 갖지 않는다. 패킷의 길이는 고정으로 126비트가 된다. 이 패킷은 통신 링크의 상태를 송수신하기 위한 패킷으로, 패킷의 수신 확인(ARQN)이나 플로우 제어(FLOW)를 관리한다. 이 NULL 패킷을 수신한 것에 대한 패킷의 확인 응답은 필요없다.
POLL 패킷은 NULL 패킷과 같이 액세스 코드와 패킷 헤더로 구성되는 패킷으로서 126비트의 고정 길이이며 통신 링크의 상태를 관리한다. 단, 이 POLL 패킷의 경우에는 NULL 패킷과 달리 POLL 패킷을 수신한 것에 대하여 송신하는 데이터가 없더라도, 패킷의 확인을 응답 송신할 필요가 있다.
FHS 패킷은 피코네트 내 동기를 도모하기 위해 중요한 제어 패킷으로서,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필수적인 파라미터인 클록과 어드레스를 교환할 때에 송신된다. 도 26은 FHS 패킷의 페이로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HS 패킷의 페이로드는 11의 필드로 구성되고, 이 11의 필드인 144비트에 대한 16비트의 오류 검출 부호가 부가되어 160비트로 구성된다. FHS 패킷을 구성하는 11의 필드에 관해 이하 설명한다.
34비트의 패리티 비트는 FHS 패킷에서 설정되는 액세스 코드중의 싱크워드에 대한 패리티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24비트의 LAP는 FHS 패킷을 송신하는 단말의 어드레스의 하위 24비트이다. LAP에 계속된 2비트는 미정의의 필드이며 0으로 설정된다.
2비트의 SR은 호출에 있어서, 마스터가 슬레이브에 대하여 ID 패킷열을 송신할 때의 반복 회수 및 슬레이브가 마스터로부터의 ID 패킷열을 스캔할 때의 스캔 주기를 지정하는 2비트의 필드이다.
2비트의 SP는 문의에 있어서, 슬레이브가 마스터로부터의 IQ 패킷을 수신하고, FHS 패킷을 마스터에 송신한 후에, 슬레이브가 필수 호출 스캔을 행하는 시간을 지정하는 필드이다.
8비트의 UAP는 FHS 패킷을 송신하는 단말의 어드레스 상위 8비트이다.
16비트의 NAP는 FHS 패킷을 송신하는 단말의 어드레스 내의 LAP와 UAP 이외의 16비트이다.
24비트의 디바이스의 클래스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낸 필드이다.
3비트의 AM ADDR은 마스터가 슬레이브를 식별하기 위한 3비트의 필드이다.호출 처리 내에서 마스터가 슬레이브에 대하여 송신하는 FHS 패킷에 있어서, 피코네트 내에서 이용하는 슬레이브 식별자를 지정한다. 슬레이브가 마스터로부터의 IQ 패킷의 응답으로서 송신하는 FHS 패킷에서는, AM ADDR은 의미가 없기 때문에 0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26비트의 CLK27-2는 단말이 갖는 클록 내의 상위 26비트를 나타낸 필드이다. 이 클록은 1.25μ초의 클록 정밀도를 가지며 FHS 패킷을 송신할 때는 반드시 그 때의 클록의 값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3비트의 페이지 스캔 모드는 FHS 패킷을 송신한 단말이 서포트하는 디폴트의 호출스캔의 모드를 지정하는 필드이다.
다음에 DM1 패킷에 관해 설명한다. DM1 패킷이 SCO 링크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제어 패킷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ACL 링크로 송수신되는 경우에는 제어 패킷으로서 기능하는 이외에,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SCO 링크 또는 ACL 링크에서 공통 패킷으로서 송신되는 경우에는 링크 관리층의 제어 패킷으로서 정의된다. 그런데, ACL 링크로 DM1 패킷을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패킷 타입을 지정하는 필드(TYPE)를 본 건만으로서는, 유저 패킷인지 제어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페이로드 헤더의 논리 채널 종별 필드를 L_CH= 11로 설정함으로써 DM1 패킷은 링크 관리층에 대한 제어 패킷인 것이 지정된다. 데이터 패킷인 경우는, 원래의 유저 데이터의 프래그먼트화에 의해 L_CH= 01 또는 L_CH= 10을 설정한다.
IQ 패킷은, 문의에 있어서 마스터가 브로드 캐스트하는 패킷으로서, 문의 액세스 코드만으로 구성된다.
ID 패킷은 호출에 있어서 마스터가 특정한 슬레이브를 지정하여 송신하는 패킷으로서 호출 액세스 코드만으로 구성된다. IQ 패킷과 ID 패킷에 관해서는, 패킷 헤더의 타입 필드에서는 정의되지 않는 패킷이다.
다음에 SCO 링크상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인 SCO 패킷에 관해 설명한다. SCO 패킷은 HV1 패킷, HV2 패킷, HV3 패킷, DV 패킷의 4종류로 구성된다.
HV1 패킷의 페이로드는 페이로드 보디만으로 구성되고 거기에는 10바이트의 유저 데이터가 수용된다. SCO 패킷은 기본적으로 재송되지 않기 때문에, 이 10바이트에는 오류 검출 부호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리고 데이터는 1/3 레이트의 오류 정정 부호화 되고, 최종적으로 240비트의 페이로드 길이를 갖게 된다.
HV2 패킷의 페이로드도 페이로드 보디만으로 구성되고 거기에는 20바이트의 데이터가 또한 수용된다. 이 20바이트에는 오류 검출 부호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리고 데이터는 2/3 레이트의 오류 정정 부호가 되고 최종적으로 240비트의 페이로드 길이를 갖게 된다.
HV3 패킷의 페이로드도 페이로드 보디만으로 구성되고 그곳에는 30바이트의 데이터가 또한, 수용된다. 이 30바이트에는 오류 검출 부호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30바이트에는 오류 검출 부호화 되지 않는다.
DV 패킷은 고정 길이 10바이트의 음성부분과 최대 9바이트까지 가변 길이의 데이터부분으로 구성된다. 음성부분의 10바이트에는, 오류 정정 부호는 포함되지 않지만, 데이터부분에는 1바이트의 페이로드 헤더를 팽창시킨 최대 10바이트의 부분에 대한 2바이트의 오류 검출 부호가 부가된다.
ACL 링크상에서 송수신되는 ACL 패킷에는 DM1 패킷, DH1 패킷, DM3 패킷, DH3 패킷, DM5 패킷, DH5 패킷, AUX1 패킷이 있다.
DM1 패킷의 페이로드는 1바이트의 페이로드 헤더와, 최대 17바이트까지의 가변 길이의 페이로드 보디와, 오류 검출 부호로 구성된다.
DH1 패킷의 구성은 DM1의 경우와 같다. 단, 페이로드는 오류 정정 부호화 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대 27바이트까지의 가변 길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M3 패킷의 페이로드는 2바이트의 페이로드 헤더와, 최대 121바이트까지의가변 길이 페이로드 보디와, 오류 정정 부호로 구성된다. 이들 DM3 패킷의 페이로드는 2/3 레이트의 오류 정정 부호가 된다.
DH3 패킷의 구성은 DM3 패킷의 구성과 같다. 단, 페이로드는 오류 정정 부호화 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대로 183바이트까지의 가변 길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DM5 패킷의 페이로드는 2바이트의 페이로드 헤더, 최대 224바이트까지의 가변 길이 페이로드 보디, 2바이트의 오류 정정 부호로 구성된다.
DH5 패킷의 구성은, DM5 패킷과 같다. 단, 페이로드는 오류 정정 부호화 되지 않는다. 따라서 최대 339바이트까지의 가변 길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AUX 패킷은 2바이트의 오류 검출 부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DH1 패킷과 같다. 즉, AUX1 패킷의 재송은 없다. 페이로드 보디는 2바이트 증가하여, 최대로 29바이트까지의 가변 길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에 블루투스로의 천이상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 방식에서의 천이상태는, 통신에 관계되는 3단계의 상태와, 단말의 소비전력에 관계되는 저소비전력 모드로 구성된다. 통신에 관계되는 3단계의 상태로서는, 대기 상태, 동기확립 상태, 통신 상태로 분리되어 있고, 또한, 저소비전력 모드에서는, 파크 모드, 홀드 모드, 스니프 모드의 3종류가 있다. 도 27은 상태 천이 예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화살표로 도시한 상태로의 천이가 있다.
대기 상태(S11)는 하나의 처리상태로 구성되고 어떠한 패킷의 송수신도 행하여지고 있지 않는 상태이다. 단말의 전원을 넣은 직후나 통신 링크를 절단한 경우에는 단말은 대기 상태에 있다. 이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마스터와 슬레이브에 관한 역할의 차이는 없다.
동기확립 상태에는, 문의(S12)와 호출(S13)의 두종류로 구성된다.
문의란, 피코네트 내의 동기를 확립하기 위해 행하는 제1 단계의 처리상태이다. 처음으로 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단말은, 대기 후에 반드시 문의로 천이한다.
호출이란, 피코네트 내의 동기를 확립하기 위해 행하는 제2 단계의 처리상태로서 기본적으로는 문의로 부터 상태 천이하지만, 문의상태에서 피코네트 내의 동기확립의 제1 단계의 처리가 이미 완료된 경우에는 대기로부터 직접 호출로 천이하는 것도 있다.
문의에서는,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그 역할이 명확히 다르다. 이 처리상태에 있는 마스터는 주위에 슬레이브가 존재하고 있는인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연속하여 IQ 패킷을 브로드 캐스트 한다. 그 주위에 문의의 처리상태에 있는 슬레이브가 존재하는 경우, IQ 패킷을 수신 할때마다 마스터에 대하여 슬레이브는 그 속성을 전하기 위해 FHS 패킷을 송신한다. 이 FHS 패킷에 의해 마스터는 슬레이브의 어드레스와 클록을 알 수 있다.
도 28은 이 문의 상태에 있는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행하는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28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마스터가 IQ 패킷을 송신하면, 도 28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주위의 슬레이브가, FHS 패킷을 마스터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문의에 있는 마스터는, 불특정 다수의 슬레이브로부터FHS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슬레이브가 동시에 특정한 IQ 패킷에 대하여 FHS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문제로 된다. 동시에 복수의 FHS 패킷이 송신될 때, 패킷의 충돌이 발생하여, 마스터가 송신되는 FHS 패킷을 판단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블루투스에서는 이러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FHS 패킷을 송신할 때에, 랜덤시간 백오프(back off)하도록 하고 있다. 즉, 슬레이브는 처음으로 수신한 IQ 패킷에 대해서는, 마스터에 FHS 패킷의 송신을 행하지 않고, 그 후에 랜덤시간 백오프하는 동안은 IQ 패킷의 수신을 중단시킨다. 그 후, 슬레이브는 IQ 패킷의 수신을 재개하여, 다음에 IQ 패킷을 수신한 직후에 FHS 패킷을 마스터에 송신한다. 슬레이브는 FHS 패킷을 수신하면, 다시 IQ 패킷의 수신을 랜덤시간 백오프하고 있는 동안은 중단시킨다. 이후는 이 동작을 반복한다.
도 29는 이 문의에 있어서의 마스터, 슬레이브에서의 처리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스터는 FHS 패킷을 오류 없이 수신할 수 있었음을 슬레이브에 통지하지 않기 때문에 문의의 상태에 있는 슬레이브는, FHS 패킷을 송신하였을 때의 상태로 되어 버린다. 그러나, 동일한 IQ 패킷을 반복하여 어느 일정시간 브로드 캐스트하기 때문에 마스터는 문의 처리상태의 각 슬레이브마다 복수의 FHS 패킷를 수신하게 된다. 결국, 어떤 일정시간 문의를 계속함으로써, FHS 패킷의 송수신의 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호출의 경우에도, 마스터와 슬레이브에서 역할이 다르다. 이 처리상태에서는, 문의로 송수신한 FHS 패킷의 정보를 바탕으로, 마스터는 통신하는 슬레이브를선택하여, 그 슬레이브 앞으로 ID 패킷을 송신한다. 마스터는 ID 패킷의 수신을 확인하면, 그 슬레이브에 대하여 FHS 패킷을 송신한다. 이로써, 슬레이브는 마스터의 어드레스와 클록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되는 ID 패킷과 FHS 패킷의 액세스 코드에는 호출 액세스 코드를 이용한다.
도 30은 호출에 있는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행하는 처리동작의 개요를 도시하고 있다. 도 30의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에 있는 마스터가 ID 패킷을 슬레이브에 송신함으로써 슬레이브가 수신 확인을 통지한다. 또한, 도 30의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가 FHS 패킷을 슬레이브에 송신함으로써 슬레이브가 수신 확인을 통지한다.
문의에 있어서의 불특정 다수의 슬레이브에 대한 처리와 달리, 호출에서는 특정한 슬레이브와 마스터의 사이에서 처리가 교환된다. 1대1로 패킷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마스터와 슬레이브는 그 송수신을 확인하면서 처리가 행하여진다.
마스터로부터의 ID 패킷을 수신한 슬레이브는 마스터에 동일한 ID 패킷을 송신하여 수신 확인을 통지한다. 다음에 마스터는 슬레이브에 FHS 패킷을 송신하여 자신의 어드레스와 클록을 슬레이브에 통지한다. 슬레이브는, 이 FHS 패킷을 오류 없이 수신하면 ID 패킷을 마스터에 송신하여 그 수신 확인으로 한다. 이 시점에서, 문의 에서의 처리와 맞추어, 피코네트 내의 동기에 필요한 어드레스와 클록의 정보가 마스터, 슬레이브 사이에서 서로 교환되게 된다.
도 31은 호출에 있어서의 마스터, 슬레이브 사이에서의 한 예의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의 상태 천이도에 도시한 통신 접속 상태는, 접속(S14)과, 데이터 전송(S15)을 갖는다. 이 통신 접속 상태에서는, 동기 확립 상태를 거쳐서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피코네트 내에서 동기를 하고 있으며, 실제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이다. 접속의 상태에서는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 때에 송수신되는 것은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패킷, 보안 관련의 제어 패킷, 저소비전력 모드에 관련되는 제어 패킷 등에 한정된다.
한편, 데이터 전송의 상태에서는,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이 허용된다. 동기 확립 상태를 거쳐서 처음 접속으로 천이된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사이에서 접속 확인과 암호화의 처리를 완료하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으로 이행할 수 없다. 접속에 있어서의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역할은, 거기서 관리되는 제어 패킷의 내용에 따라 다르다.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의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에, 마스터와 슬레이브 및 시간 슬롯의 규칙에 따라서 행하여진다. 또한, 데이터 전송에 의한 단말이 통신을 절단한 경우 및 단말 내의 콘트롤러에 대하여 하드적인 리셋이 걸린 경우에는 단말은 데이터 전송으로부터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
저소비전력 모드란, 접속으로부터 천이하는 단말의 저소비전력 상태를 제공하는 모드를 말한다. 이 저소비전력 모드에는, 파크 모드(S16), 홀드 모드(S17), 스니프 모드(S18)의 3종류가 있다.
파크 모드는 슬레이브 특유의 모드로서, 접속으로 확립한 피코네트 내의 동기를 유지한 저소비전력 모드이다.
홀드 모드는 마스터, 슬레이브의 어느것이나 이행할 수 있는 저소비전력 모드로서, 접속으로 확립한 피코네트 내의 동기를 유지하며, 또한, 슬레이브의 경우에는 마스터로부터 주어진 슬레이브 식별자를 보존하고 있는 모드이다.
스니프 모드는 슬레이브 특유의 저소비전력 모드로서, 홀드 모드의 경우와 같이, 슬레이브는 접속으로 확립한 피코네트 내의 동기를 그대로 유지하며, 마스터로부터 주어진 슬레이브 식별자를 보존하고 있는 모드이다.
또한, 블루투스에 있어서는, 피코네트 내에서 마스터와 특정한 슬레이브 사이에서 마스터·슬레이브 전환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통신 접속 상태의 접속상태에서 실행되는 보안에 관한 처리로서는, 크게 나누어 인증과 암호화의 2가지 처리가 있다. 인증 처리에서는 자기와 특정한 상대 사이에서 접속을 허가 판단하는 것이다. 암호화 처리는 자기가 통신중인 데이터를 제삼자에게 도청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블루투스의 보안은 링크 키라는 개념으로 관리되고 있다. 링크 키는 어떤 특정한 두 단말간의 각각에 있어서, 1대 1의 보안을 관리하는 파라미터인 것이다. 이 링크 키는 제삼자에게는 개시되어서는 안된다.
이 링크 키로서는, 처음으로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 사이에서 사용되는 초기화 키가 사용되고, 과거에 접속을 행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링크 키가 파라미터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설정된 링크 키가 사용된다. 초기화 키는, 상위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PIN 코드와 내부적으로 발생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여기까지는 블루투스 규격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처리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예에 있어서는, 이 근거리 무선 전송으로 오디오 기기나 비디오 기기(이들의 기기를 총칭하여 AV기기라고 칭한다) 등의 전자기기를 콘트롤하는 커맨드와, 응답의 전송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 32는 이 커맨드와 응답의 전송을 행하는 전송 구성을, 계층 구조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커맨드를 송신하는 측의 단말이 콘트롤러라고 칭하여지고, 그 커맨드를 수신하고 응답을 커맨드의 송신원에게 송신하는 단말이 타겟이라고 칭하여진다. 이 콘트롤러, 타겟의 관계는, 통신 접속 관리를 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이미 설명한 마스터, 슬레이브와는 별도의 개념으로서, 기본적으로는 어느것이 마스터, 슬레이브의 단말로서 기능하고 있어도 좋다.
베이스 밴드층의 위에는, 제어용의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L2CAP 패킷을 처리하는 층이 있고, 더욱 그 위에, AVCTP(Audio/Video Control Transport Protocol)의 프로토콜이 준비되고, 그 프로토콜상에서, AV기기를 콘트롤 하는 AV/C 커맨드라고 칭하여지는 프로토콜이 준비되어 있다.
도 33은 그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L2CAP 패킷의 데이터 구성예이다. 이 패킷의 페이로드의 구간의 선두부분에는 헤더가 부가되고(L2CAP 헤더로 도시된 부분), 데이터길이(length)와, 채널 ID가 도시된다. 그 이후의 구간이 실제의 정보(인포메이션)가 된다.
인포메이션의 구간은, AVCTP 헤더와, AVCTP의 메시지가 배치된다. AVCTP의메시지의 데이터는, AV/C의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0000"의 데이터(4비트)와, 커맨드 타입 및 응답 타입을 나타내는 커맨드타입/응답 데이터(4비트)와, 서브유닛 타입을 나타내는 데이터(5비트)와, 서브유닛 ID를 나타내는 데이터(3비트)와, 기능을 지시하는 조작코드(opcode)의 데이터(8비트)와, 그 기능에 부수되는 데이터인 오퍼랜드(operand: 8비트)가, 오퍼랜드[0], 오퍼랜드[1], ‥‥ 오퍼랜드[n](n은 임의의 정수)로 배치되어 있다. 이 도 33에 도시한 AVCTP의 데이터 구성은, 유선의 버스라인으로 접속된 네트워크상에서 기기 제어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규격인 AV/C 커맨드 세트로서 규정된 데이터구성을 적용한 것이다.
도 34는 콘트롤러와 타겟 사이에서 커맨드와 응답이 무선 전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콘트롤러측의 단말에서, 어떠한 유저 등이 있고, 타겟의 기기에 대하여 커맨드를 송신할 필요가 발생하였을 때, 콘트롤러는 타겟에 대하여 커넥션을 확립시키고(스텝 S31), 그 확립한 커넥션으로 AV/C 커맨드를 콘트롤러로부터 타겟에 송신한다(스텝 S32). 이 커맨드를 수신한 타겟에서는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콘트롤러에게 송신한다(스텝 S33). 그리고 필요에 의해 커맨드에 대한 처리가 타겟에서 실행된다. 또한, 타겟의 상태를 확인하는 커맨드인 때에는 그 요구된 데이터를 응답으로 콘트롤러에 돌려보낸다.
그리고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러측에서의 유저 조작 등으로, 또는 타겟측에서의 유저 조작 등으로, 커넥션을 분리하는 처리가 실행되었을 때, 커맨드나 응답을 전송하기 위해 설정한 커넥션을 분리하는 해제 커넥션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34).
다음에 본 예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AV/C 커맨드 세트(즉 AVCTP의 데이터)의 구성에 관해 도 36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6은 AV/C 커맨드(즉, 본 예의 경우의 AVCTP의 데이터)로서 전송되는 구간의 데이터 구조를 8비트 단위로 도시하고 있다. AV/C 커맨드 세트는, AV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 세트로서, CTS(커맨드 세트의 ID)= "0000"이다. AV/C 커맨드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이 교환된다. 커맨드에 대한 응답은, 예를 들면 규정된 기간 내에 행하게 되어 있다. 단, 잠정적인 응답을 규정된 기간 내에 보내고, 어느정도의 기간 후에 정식의 응답을 보내는 경우도 있다.
CTS는 커맨드 세트의 ID를 나타내고 있고, AV/C 커맨드 세트에서는 CTS= "0000"이다. C타입/응답(ctype/response)의 필드는, 패킷이 커맨드인 경우는 커맨드의 기능 분류를 나타내고, 패킷이 응답인 경우는 커맨드의 처리 경과를 나타낸다. 커맨드는 크게 나누어 (1) 기능을 외부로부터 제어하는 커맨드(CONTROL), (2) 외부로부터 상태를 문의하는 커맨드(STATUS), (3) 제어 커맨드의 서포트의 유무를 외부로부터 문의하는 커맨드(GENERAL INQUIRY(opcode의 서포트의 유무) 및 SPECIFIC INQUIRY(opcode 및 operands의 서포트의 유무)), (4) 상태의 변화를 외부에 알리 도록 요구하는 커맨드(NOTIFY)의 4종류가 정의되어 있다.
응답은 커맨드의 종류에 따라서 돌려보내진다. 콘트롤(CONTROL) 커맨드에 대한 응답에는, 「실장되어 있지 않다」(NOT IMPLEMENTED), 「받아 들인다」(ACCEPTED), 「거절」(REJECTED) 및 「잠정(暫定)」(INTERIM)이 있다. 스테이터스(STATUS) 커맨드에 대한 응답에는, 「실장되어 있지 않다」(NOTIMPLEMENTED), 「거절」(REJECTED), 「이행중」(IN TRANSITION) 및 「안정」(STABLE)이 있다. 커맨드의 서포트의 유무를 외부로부터 문의하는 커맨드(GENERAL INQUIRY 및 SPECIFIC INQUIRY)에 대한 응답에는, 「실장되어 있다」(IMPLEMENTED) 및 「실장되어 있지 않다」(NOT IMFLEMENTED)가 있다. 상태의 변화를 외부에 알리도록 요구하는 커맨드(NOTIFY)에 대한 응답에는, 「실장되어 있지 않다」(NOT IMFLEMENTED), 「거절」(REJECTED), 「잠정」(INTERIM) 및 「변화되었다」(CHANGED)가 있다.
서브유닛 타입(Subunit type)은 기기 내의 기능을 특정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고, 예를 들면, 테이프 리코더/플레이어(tape recorder/player), 튜너(tuner) 등이 할당된다. 이 서브유닛 타입에는 기기에 대응한 기능 이외에, 다른 기기에 정보를 공개하는 서브유닛인 BBS(불레틴 보드 서브유닛)에 관해서도 할당이 있다. 같은 종류의 서브유닛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판별을 행하기 위해, 판별 번호로서 서브유닛 ID(subunit id)로 어드레싱을 행한다. 오퍼레이션의 코드인 조작코드(opcode)는 커맨드를 나타내고 있고, 오퍼랜드(operand)는 커맨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필요에 따라 부가되는 필드(additional operands)도 준비되어 있다. 오퍼랜드의 후에는, 0데이터 등이 필요에 따라 부가된다.
도 37은 AV/C 커맨드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7의 좌측은, 커맨드 타입/응답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중 상단이 커맨드를 나타내고 있고, 도면중 하단이 응답을 나타내고 있다. "0000"에는 콘트롤(CONTROL), "0001"에는 스테이터스(STATUS), "0010"에는 스페시픽 인콰이어리(SPECIFIC INQUIRY), "0011"에는 노티파이(NOTIFY), "0100"에는 제너럴 인콰이어리(GENERAL INQUIRY)가 할당되어 있다. "010 내지 0111"은 장래의 사양을 위해 예비 확보되어 있다. 또한, "1000"에는 실장 없음(NOT INPLEMENTED), "1001"에는 받아들임(ACCEPTED), "1010"에는 거절(REJECTED), "1011"에는 이행중(IN TRANSITION), "1100"에는 실장 있음(IMPLEMENTED/STABLE), "1101"에는 상태변화(CHNGED), "1111"에는 잠정 응답(INTERIM)이 할당되어 있다. "1110"은 장래의 사양을 위해 예약 확보되어 있다
도 37의 중앙은 서브유닛 타입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00000"에는 비디오 모니터, "00011"에는 디스크 리코더/플레이어, "00100"에는 테이프 리코더/플레이어, "00101"에는 튜너, "00111"에는 비디오 카메라, "01010"에는 BBS(Bulletin Board subunit)라고 칭하여지는 게시판으로 사용되는 서브유닛, "11100"에는 제조 메이커특유의 서브유닛 타입(Vender unique), "11110"에는 특정한 서브유닛 타입(Subunit type extended to next byte)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11111"에는 유닛이 할당되어 있지만, 이것은 기기 그자체에 보내지는 경우에 이용되며 예를 들면 전원의 온오프 등을 들 수 있다.
도 37의 우측은 조작코드(오퍼레이션 코드)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각 서브유닛 타입마다 조작코드의 테이블이 존재하고, 여기서는 서브유닛 타입이 테이프 리코더/플레이어인 경우의 조작코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작코드마다 오퍼랜드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는, "00h"에는 제조 메이커 특유의 값(Vender dependent), "50h"에는 서치 모드, "51h"에는 타임 코드, "52h"에는 ATN, "60h"에는 오픈 메모리, "61h"에는 메모리 판독, "62h"에는 메모리 기록, "C1h"에는 로드,"C2h"에는 녹음, "C3h"에는 재생, "C4h"에는 되감기가 할당되어 있다.
도 38은 AV/C 커맨드와 응답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타겟(consumer)으로서의 재생기기에 재생 지시를 행하는 경우, 콘트롤러는, 도 38A와 같은 커맨드를 타겟에 보낸다. 이 커맨드는 AV/C 커맨드 세트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CTS= "0000"으로 되어 있다. 커맨드 타입(ctype)에는 기기를 외부로부터 제어하는 커맨드(CONTROL)를 이용하기 때문에, c타입= "0000"으로 되어 있다(도 37 참조). 서브유닛 타입은 테이프 리코더/플레이어이기 때문에 서브유닛 타입= "00100"으로 되어 있다(도 37 참조). id는 ID0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어서 id= 000으로 되어 있다. 조작코드는 재생을 의미하는 "C3h"로 되어 있다(도 37 참조). 오퍼랜드는 순방향(FORWARD)을 의미하는 "75h"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재생되면, 타겟은 도 38B와 같은 응답을 콘트롤러에 돌려보낸다. 여기서는 「받아 들임」(accepted)이 응답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응답= "1001"로 되어 있다 (도 38참조). 응답을 제외하고, 기타는 도 38A와 같기 대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하여 규정된 AVDCP의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도 33에 도시한 구성으로 블루투스 방식으로써 무선 전송함으로써 상대의 기기의 제어 등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예의 경우에는 AVDCP의 프로토콜의 데이터로 콘트롤되는 기기로서, 패널 서브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AVDCP의 프로토콜로 제어되는 기기는, 각 기능부가 서브유닛이라고 칭하여지고 있는데, 그 서브유닛의 하나로서 패널 서브유닛이라고 칭하여지는 것이 있다. 이 패널 서브유닛은, 예를 들면 리모트 콘트롤장치 등의 제어기기측에서, 피제어기기에서 실행할 수 있는 동작에 관한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용의 패널을 표시시키고, 그 패널의 표시에 대응한 키 조작이 있었을 때, 그 키로 지정된 패널상의 표시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패널 서브유닛을 사용한 제어를 행할 때는, 예를 들면 패스스루 커맨드를 사용하여 제어를 실행한다. 패스스루 커맨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는, 도 2에 도시한 오디오 기기(100)에 적용한 예에 관해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오디오 기기(100)는, 서브유닛으로서, 오디오 데이터의 디스크에의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하는 MD(미니디스크) 기록 재생부인 디스크 서브유닛(100a)과, 오디오 데이터의 디스크로부터의 재생을 실행하는 CD(컴팩트디스크) 재생부(100b)와, 라디오방송 등을 수신하는 튜너 서브유닛(100c)과, 각 서브유닛(100a, 100b, 100c)에서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패널 서브유닛(100d)을 구비한다. 디스크 서브유닛(100a 및 100b)은 각각 서브유닛 ID로서, ID0, ID1이 부여되어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패널 서브유닛(100d)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CPU(110)와 그 주변 메모리의 일부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또한, CPU(110)는 다른 서브유닛(100a, 100b, 100c)의 제어 수단으로서도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 리모트 콘트롤장치(200)는 패널 서브유닛(100d)에 대하여 제어 커맨드(C1)를 보내 오디오 기기(100)의 동작을 원격 제어한다. 또한, 각 서브유닛(100a, 100b, 100c)으로부터 무선 전송으로 스트림 데이터(오디오 데이터 등)를 외부에 출력시킬 때에는 스트림용 플러그(100e)로부터 직접적으로 데이터(D1)로서 전송시킨다.
도 45는 패널 서브유닛에 대하여 전송되는 패스스루(PASSTHROUGH) 커맨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조작코드의 구간은 패스스루 커맨드인 것을 나타낸 코드(7C16)이 부가된다. 오퍼랜드[0]의 구간에는 펑션 타입의 데이터를 배치한다. 오퍼랜드[1]의 구간에는 선두 비트에 스테이트 플래그를 배치하고, 나머지의 7비트에 조작 ID를 배치한다. 이 스테이트 플래그가 서있을 때(1데이터인 때),콘트롤하는 기능 블록을 지시하는 커맨드인 것이 나타내여지고, 7비트의 오퍼레이션 ID는 무시된다. 스테이트 플래그가 서있지 않을 때(0데이터인 때), 나머지의 7비트에 오퍼레이션 ID가 유효한 것이 나타내여진다. 오퍼랜드[2] 이후의 구간에는, 서브유닛 타입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또한,(16)를 부가하여 나타낸 숫자는, 4비트의 데이터로 나타내여지는 16진수 값(0, 1, …9, A, B … F의 값으로 나타내여진다)이다.
오퍼랜드[1]의 구간에 배치되는 조작 ID로서는, 예를 들면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코드값마다 각종 조작이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GUI 화면상의 업, 다운 등의 방향이나 선택을 지시하는 코드나, 메뉴화면의 선택을 지시하는 코드나, 재생, 정지, 녹음, 빨리보냄, 되감기 등의 오디오 기기나 비디오 기기의 동작을 직접 지시하는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 있어서는, 리모트 콘트롤장치(200)가 특정한 커맨드를 오디오 기기(100)에 대하여 전송함으로써, 이 오디오 기기(100)가 구비하는 서브유닛에 대한 지정을 미리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40은 이 경우에 리모트 콘트롤장치(200)로부터 보내는 커맨드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0의 상단에 도시한 데이터가, 도 33에 도시한 데이터 구간에 각각 배치된다. 커맨드 종별로서는, 상태를 제어하는 [CONTROL] 또는 문의하는 [STATUS]중 어느 하나가 된다. 이 커맨드의 수신처는 해당하는 장치 전체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유닛으로 된다. 조작코드의 구간은, 제조 메이터에 특유의 코드인 것을 나타내는 벤더 디펜던트 값으로 된다. 오퍼랜드[0]의 구간에는, 그 제조 메이커를 식별하는 컴퍼니 ID가 배치된다. 오퍼랜드[1] 이후의 구간에, 어떤 커맨드에 의한 제어가 가능한지를 조사하기 위한 데이터가 배치된다.
오퍼랜드[1] 이후의 구간의 데이터로서는, 도 40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에 카테고리 코드로서, AVDCP의 프로토콜의 코드인 것이 나타내여지고, 다음에 문의되는 펑션 타입에 관해서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여기에 서브유닛을 특정하는 데이터가 배치된다. 다음에 오퍼레이션 ID가 배치된다. 최후에, 서브유닛 ID 등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도 41은 이 커맨드의 커맨드 종별로서 상태를 제어하는 [C0NTROL]로서, 상대의 기기에 대하여 전송하는 커맨드의 실행처의 서브유닛를 등록시키는 처리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리모트 콘트롤장치(200)는, 오디오 기기(100)에 대하여 서브유닛 지정 커맨드를 보낸다. 이 때에는 서브유닛 타입로서 ID0의 디스크 서브유닛를 지정하는 데이터를 부가한다(스텝 S11). 이 때에는 스테이트 플래그(도 45 참조)를 1로 세워 놓는다. 이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오디오 기기(100)는 리모트 콘트롤장치(200)에 대하여 반송한다(스텝 S12). 그리고 오디오 기기(100) 내의 패널 서브유닛에서는, 이 때에 지시된 서브유닛를 기억(등록)해 둔다.
도 42는 이 때의 커맨드와 응답의 오퍼레이션 ID와, 서브유닛 ID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콘트롤 커맨드인 때에는 오퍼레이션 ID는 무효로서, 최대치 FF로 하여 놓는다. 그리고 서브유닛 ID에서, 디스크 서브유닛(0)을 지정하는 ID를 부가한다. 응답에서는, 오퍼레이션 ID와 서브유닛 ID는 그대로 반송된다.
그리고, 다음에 리모트 콘트롤장치(200)로부터 패스스루 커맨드로 재생을 지시하는 커맨드를 보냈을 때에는(스텝 S13), 스텝 S11의 커맨드로 지정된 디스크 서브유닛(ID0의 디스크 서브유닛)에 대하여 재생의 커맨드를 패널 서브유닛이 보내고, 해당하는 디스크 서브유닛에서의 재생을 시작시켜 그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반송한다(스텝 S14).
또한, 리모트 콘트롤장치(200)로부터 패스스루 커맨드로 재생의 정지를 지시하는 커맨드를 보냈을 때에는(스텝 S15), 스텝 S11의 커맨드로 지정된 디스크 서브유닛(ID0의 디스크 서브유닛)에 대하여 정지의 커맨드를 패널 서브유닛이 보내고, 해당하는 디스크 서브유닛에서의 재생을 정지시켜 그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반송한다(스텝 S16).
이렇게하여, 한번 제어를 행하는 서브유닛를 지정함으로써 그 후에 전송하는 커맨드에서는, 서브유닛를 일일이 지시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데이터중의 서브유닛를 지정하는 란은, 무효인 데이터인 최대치(FF)라고 하면 좋다. 이 서브유닛의 지정은, 예를 들면 서브유닛의 지정을 해제하는 데이터를 보내어 해제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서브유닛의 지정이 있을 때, 갱신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콘트롤 커맨드가 아니라, 문의하는 [STATUS]의 커맨드로서, 리모트 콘트롤장치로부터 오디오 기기에 커맨드를 보냄으로써 그 기기에서의 서브유닛의 등록상태를 문의할 수도 있다. 도 43은 이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리모트 콘트롤장치(200)는 오디오 기기(100)에 대하여 서브유닛의 지정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STATUS]의 커맨드를 보낸다(스텝 S21). 이 때에는 스테이트 플래그(도 45 참조)를 1로 세워 놓는다. 이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 오디오 기기(100)에 제어되는 것이 등록된 서브유닛 ID의 데이터를 부가한다(스텝 S22).
도 44는 이 때의 커맨드와 응답의 오퍼레이션 ID와, 서브유닛 ID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테이터스 커맨드인 때에는 오퍼레이션 ID에서 문의하는 기능의 코드를 부가한다. 이 예에서는, 재생의 지시가 실행되는 서브유닛을 문의하기 때문에, 재생에 대응한 코드(44)를 부가한다. 그리고 서브유닛 ID는 최대치(FF)로 하여 놓는다.
이 커맨드에 대한 응답에서는, 오퍼레이션 ID는 그대로로 하고, 재생의 지시가 있었을 때에 재생 동작이 실행되도록 등록된 서브유닛의 ID를 서브유닛 ID에 부가한다. 이 예에서는, 서브유닛 ID에, 디스크 서브유닛(0)의 ID를 부가하여 반송한다.
이렇게 하여 응답을 보냄으로써 서브유닛을 지정하는 일 없이, 콘트롤이 되도록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그 등록상황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여기까지 설명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블루투스라고 칭하여지는 규격으로 무선 전송하는 네트워크로 전송을 행하는 예로 하였지만, 다른 무선 전송 네트워크로, 마찬가지의 제어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처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기기가 구비하는 서브유닛에 관해서도, 오디오 기기의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비디오 기기 등 다른 기기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유선의 버스라인을 통하여 각 기기를 직접적으로 접속시킨 전송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방식이라고 칭하여지는 버스라인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각각의 커맨드는 이소크로너스 통신으로 행하고, 그 커맨드에서 스트림 데이터의 전송이 지시된 경우에는 이소크로너스 통신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커맨드의 전송에서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정함으로써 그 후에 제2 커맨드를 전송할 때는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정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커맨드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하게 한쪽의 기기로부터 다른쪽 기기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맨드는, 소정의 플래그를 세움으로서 지시하도록 한것으로,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의 지정이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송 네트워크는 무선 전송 네트워크이며, 커맨드는 그 무선 전송 네트워크 내에서 확보한 제1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무선 전송에 의해 간단히 제어 대상을 지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송 네트워크는, 기기 사이를 소정의 버스라인으로 접속시킨 네트워크이며, 커맨드는 버스라인상의 이소크로너스 통신으로 행하도록 함으로써, 버스라인을 사용한 데이터 전송에서 간단히 제어 대상을 지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제어기기측에서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기능 블록을, 다른 기기로부터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어 기기 블록을 미리 특정시켜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확인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오디오 기기 사이나, 비디오 기기의사이에서 무선 전송을 행하는 무선 전송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 네트워크 내의 특정한 기기로부터 다른 기기를 원격 제어 하는 경우에, 최초의 커맨드의 전송으로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정하고, 그 후의 커맨드의 전송시에는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정하지 않아도 좋게 함으로서, 구성을 간단히 행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하게 한쪽의 기기로부터 다른쪽 기기의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제어기기측에서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기능 블록을 다른 기기로부터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기능 블록을 미리 특정시켜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확인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Claims (20)

  1. 소정의 전송 네트워크로 쌍방향으로 데이터 전송 가능한 한쪽의 기기와 다른쪽 기기 사이에서 소정 형식의 커맨드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 네트워크로, 상기 한쪽의 기기가 상기 다른쪽 기기에 대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시하는 제 l의 커맨드를 보냈을 때, 상기 한쪽의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제2 커맨드의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상기 제1 커맨드로 지시한 기능 블록으로 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맨드는 소정의 플래그를 세움으로서 지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네트워크는 무선 전송 네트워크이며, 상기 커맨드는 그 무선 전송 네트워크 내에서 확보한 제1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맨드로 스트림 데이터의 송출을 지시시킨 때, 그 스트림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무선 전송 네트워크 내에서 확보한 제2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네트워크는 기기 사이를 소정의 버스라인으로 접속시킨 네트워크이며, 상기 커맨드는 상기 버스라인상의 이소크로너스 통신으로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맨드로 스트림 데이터의 송출을 지시하였을 때, 그 스트림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버스라인상의 이소크로너스 통신으로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7. 소정의 전송 네트워크로 쌍방향으로 데이터 전송 가능한 한쪽의 기기와 다른쪽 기기 사이에서 소정 형식의 커맨드 및 그 응답을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 네트워크로, 상기 한쪽의 기기가 상기 다른쪽 기기에 대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확인하는 제1 커맨드를 보냈을 때, 그 제1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다른쪽 기기에서 대응하는 기능 블록을 반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맨드는 소정의 플래그를 세움으로서 지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9. 소정의 전송 네트워크로 쌍방향으로 데이터 전송 가능한 제1 기기와 제2 기기 사이에서 소정 형식의 커맨드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2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수단과,
    상기 제2 기기 내의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시하는 제1 커맨드와, 제1 커맨드로 지시한 기능 블록에 대하여 소정 기능의 실행을 지시하는 제2 커맨드를 생성시키는 제1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기기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1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수단과,
    상기 제2 통신수단이 상기 제1 커맨드를 수신하였을 때, 그 커맨드로 지시된 기능 블록을 기억하고, 상기 제2 커맨드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기억한 기능 블록에 대하여 그 제2 커맨드로 지시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제2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수단은 커맨드 내의 소정의 비트를 세움으로서 제1 커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시스템.
  11. 소정의 전송 네트워크로 쌍방향으로 데이터 전송 가능한 제1 기기와 제2 기기 사이에서 소정 형식의 커맨드 및 응답을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2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수단과,
    상기 제2 기기 내에서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확인하는 제1 커맨드를 생성시키는 제1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기기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1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수단과,
    상기 제2 통신수단이 상기 제1 커맨드를 수신하였을 때,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기능 블록을 응답으로서 상기 제2 통신수단으로부터 송출시키는 제2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2.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와 쌍방향으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소정의 기기 내의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 블록을 지시하는 제1 커맨드와, 제1 커맨드로 지시한 기능 블록에 대하여 소정 기능의 실행을 지시하는 제2 커맨드를 생성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커맨드 내 소정의 비트를 세움으로서 제1 커맨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4.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와 쌍방향으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소정의 기기 내에서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확인하는 제1 커맨드를 생성시키고, 상기 통신수단으로부터 송출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커맨드 내의 소정의 비트를 세움으로서 제1 커맨드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6.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와 쌍방향으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이 제1 커맨드를 수신하였을 때, 그 커맨드로 지시된 기능 블록을 기억하고, 제2 커맨드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기억한 기능 블록에 대하여 그 제2 커맨드로 지시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커맨드 내의 소정의 비트를 판별함으로써 제1 커맨드라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8. 소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기기와 쌍방향으로 통신을 행하는 통신수단과,
    자체기기 내에서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확인하는 커맨드를 상기 통신수단이 수신한 것을 판별하였을 때, 설정된 제어 대상으로 되어있는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응답을 상기 커맨드의 송출원으로 상기 통신수단으로부터 송신 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커맨드 내의 소정의 비트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기능 블록을 확인하는 커맨드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맨드는 제조회사 전용 데이터 영역에서 지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KR1020027000895A 2000-05-22 2001-05-22 데이터 전송방법,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장치 KR200200275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50546 2000-05-22
JP2000150546 2000-05-22
PCT/JP2001/004285 WO2001091505A1 (fr) 2000-05-22 2001-05-22 Procede, systeme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donne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500A true KR20020027500A (ko) 2002-04-13

Family

ID=1865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895A KR20020027500A (ko) 2000-05-22 2001-05-22 데이터 전송방법,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003867A1 (ko)
EP (1) EP1198153A1 (ko)
KR (1) KR20020027500A (ko)
CN (1) CN1386390A (ko)
WO (1) WO20010915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581B1 (ko) * 2005-11-14 2013-02-28 마쿠에트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치료대와 작동 제어장치 사이의 양방향 아이알 데이타전송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28134A4 (en) * 2000-10-25 2009-06-17 Panasonic Corp CONTROLLED DEVICE IN A NET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ITS CONTROL PROCESS
US6973071B1 (en) * 2001-03-06 2005-12-06 Rfmd Wp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72718A (ko) * 2002-01-11 2004-08-18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클록 신호 제공 방법 및 믹스된 신호 통신 칩
CN2655530Y (zh) * 2002-07-03 2004-11-10 兄弟工业株式会社 网络系统
JP3973092B2 (ja) * 2002-09-20 2007-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266234B1 (en) 2004-06-11 2012-09-11 Seisint,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ystem reliability using multiple channels and multicast
US7797333B1 (en) * 2004-06-11 2010-09-14 Seisint, Inc. System and method for returning results of a query from one or more slave nodes to one or more master nodes of a database system
US20060126537A1 (en) * 2004-12-10 2006-06-15 Booth Cory J System and method to connect devices to a network via a network learning and programming remote control
CN101129079B (zh) * 2005-02-25 2011-09-28 汤姆森许可贸易公司 无线电通信设备和包括该设备的无线电通信系统
CN1905514B (zh) * 2005-07-25 2011-07-0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数据包接收方法
JP5326762B2 (ja) * 2009-04-15 2013-10-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通信プログラム、情報通信方法
CN101990309A (zh) * 2009-08-06 2011-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接入的方法和终端
CN102035574B (zh) * 2009-09-29 2013-06-19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可降低无线资源耗费的传输方法及其相关装置
US20110227711A1 (en) * 2010-03-18 2011-09-22 John Robert Weimer General purpose wireless control system
US8780961B2 (en) * 2010-10-29 2014-07-15 Broadcom Corporation Mixed-mode wireless device operation
US9049155B2 (en) * 2011-09-06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Dual interpretation of a length field of a signal unit
US9100275B2 (en) 2011-09-06 2015-08-04 Sameer Vermani Signal unit including a field indicative of a zero-length payload
JP5834813B2 (ja) * 2011-11-18 2015-12-24 ヤマハ株式会社 リモート制御システム
US8873691B2 (en) * 2012-09-10 2014-10-28 Broadcom Corporation Generating codes for sync words to avoid cyclic collision
US10609535B2 (en) 2013-08-26 2020-03-31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and broadcasting method thereof
CN106233268B (zh) * 2015-04-02 2019-04-12 三菱电机株式会社 网络系统以及控制装置
CN107517069B (zh) * 2017-08-22 2020-06-02 深圳市华信天线技术有限公司 跳频同步的方法、装置、接收机以及发射机
WO2020243921A1 (zh) 2019-06-05 2020-12-1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同步链路的拓扑切换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3987278B (zh) * 2020-07-27 2024-06-11 方图智能(深圳)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会议系统的单元自动编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9778B2 (ja) * 1995-10-31 2005-03-1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制御機器
JP3695992B2 (ja) * 1999-06-04 2005-09-14 株式会社東芝 放送受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利用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581B1 (ko) * 2005-11-14 2013-02-28 마쿠에트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치료대와 작동 제어장치 사이의 양방향 아이알 데이타전송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03867A1 (en) 2003-01-02
EP1198153A1 (en) 2002-04-17
CN1386390A (zh) 2002-12-18
WO2001091505A1 (fr)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7500A (ko) 데이터 전송방법,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장치
KR20020040676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 장치
US7257398B1 (en) Telephone set, communication adaptor,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0710740B1 (ko) 블루투스 장치들의 식별 및 페어링 방법 및 장치
CN101779419B (zh) 同时维持蓝牙和802.11连接以增加数据吞吐量
KR20020082882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장치, 기록 매체 및프로그램
US6947067B2 (en) Method of transferring data of screen and voice of mobile phone to a normal analog television receiver with an adapter
US20040048569A1 (en) Radio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20070112838A (ko) 무선 오디오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KR20050085725A (ko)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인증 방법
JP2004523981A (ja) 通信アダプタおよび方法
JP4137670B2 (ja) 電子機器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出力方法
EP1185012A2 (en) Broadcast system using a bluetooth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KR100640561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기록매체
JP2002291067A (ja) 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データ伝送装置
US20050089058A1 (en) Method fo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with enhanced contention access period mechanism, and system for the same
EP4057565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etting encryption ke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same
JP2011521492A (ja) ワイヤレスパーソナ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方法
JP2005136486A (ja) 機器制御システム並びに電気電子機器
JP2004527189A (ja) 複数の副端末(スレーブ)を有するブルートゥースデータ伝送システム
WO2001091504A1 (fr) Procede, systeme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donnees
KR100704693B1 (ko)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의 터널링 기능을 이용한 무선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1203788A (ja) 電話機、通信アダプタ装置、家電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TWI442745B (zh) 支持視訊傳輸規範之藍芽多播傳輸方法及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