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645A -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645A
KR20020082645A KR1020010022348A KR20010022348A KR20020082645A KR 20020082645 A KR20020082645 A KR 20020082645A KR 1020010022348 A KR1020010022348 A KR 1020010022348A KR 20010022348 A KR20010022348 A KR 20010022348A KR 20020082645 A KR20020082645 A KR 20020082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rd
card terminal
terminal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산동
Original Assignee
(주) 윌텍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윌텍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 윌텍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10022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2645A/ko
Publication of KR2002008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6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6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comprising keyboard or display, e.g. a pocket calculator sized casing suitable for off-line checking the remaining money on a smart banking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IC 카드 단말기의 입출력 단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IC 카드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IC 카드 단말기 키패드의 신호 입력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제어부와, 중앙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IC 카드 데이터 또는 IC 카드 단말기의 내부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와, 중앙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임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 제어부로 전달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며,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에 인터페이스 경로의 단일화로 IC 카드 단말기의 제조 단가와 부피 및 무게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OF AN IC CARD DEVICE}
본 발명은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C 카드 단말기의 입출력 단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키패드의 신호 입력에 따라 IC 카드의 데이터 또는 IC 카드 단말기의 내부 데이터를 외부로 직접 송신 또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는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IC 카드 단말기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두 개의 IC 카드 입력 단자가 구비되며, 하나의 IC 카드 단말기에 접속된 두 개의 IC 카드 상호간 내부 인터페이스 경로와 서로 다른 IC 카드 단말기에 접속된 두 개의 IC 카드 상호간 외부 인터페이스 경로가 제공된다.
따라서, 하나의 IC 카드 단말기에 두 개의 IC 카드를 꽂고 키패드를 조작하여 내부 인터페이스 경로를 선택하면 IC 카드 상호간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며, 서로 다른 IC 카드 단말기에 각각 하나의 IC 카드를 꽂고 키패드를 조작하여 외부 인터페이스 경로를 선택하면 IC 카드 상호간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된다.
이 중에서 외부 인터페이스 경로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종래 기술에 따른 IC 카드 단말기 운영 시스템을 참고한다.
먼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두 개의 IC 카드(1,2)가 멀리 이격되어 있어 동일한 IC 카드 단말기에 꽂지 못할 경우에는 서로 다른 IC 카드 단말기(10,20)의 입출력 단자에 각각 IC 카드(1,2)를 꽂고 키패드(13,23)를 조작하여 외부 인터페이스 경로를 선택한다. 이때 IC 카드(1)는 제 1 데이터 인터페이스(11)(또는 제 2 데이터 인터페이스(15))에 접속되며, IC 카드(2)는 제 2 데이터 인터페이스(25)(또는 제 2 데이터 인터페이스(21))에 접속된다.
중앙 제어부(12,22)는 외부 인터페이스 경로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IC 카드(1)의 데이터 송신 접점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열은유선 모뎀(14)을 거쳐 외부로 출력되어 유선 통신망(3)을 통하여 호스트 서버(30)로 전송된다.
호스트 서버(30)로 전송된 IC 카드(1)의 데이터는 유선 통신망(3)을 통하여 유선 모뎀(24)으로 송신되며, 중앙 제어부(2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 2 인터페이스(25) 및 IC 카드(2)의 데이터 수신 접점을 거쳐 IC 카드(2) 내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하나의 IC 카드 단말기에 접속된 두 개의 IC 카드 상호간 내부 인터페이스 경로와 서로 다른 IC 카드 단말기에 접속된 두 개의 IC 카드 상호간 외부 인터페이스 경로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인터페이스 경로가 구비됨에 따라 IC 카드 단말기의 제조 단가가 증가되고, IC 카드 단말기의 부피와 무게가 증가되어 IC 카드 단말기의 휴대성이 떨어지며, IC 카드 단말기 운영 시스템을 위한 전용의 호스트 서버가 필요하므로 시스템 구축 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IC 카드 단말기의 입출력 단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키패드의 신호 입력에 따라 IC 카드의 데이터 또는 IC 카드 단말기의 내부 데이터를 외부로 직접 송신 또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는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IC 카드 단말기의 제조 단가와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키고 IC 카드 단말기 운영 시스템의 구축 단가를 절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송수신 장치는, IC 카드 단말기의 입출력 단자에 접속된 IC 카드의 데이터 또는 상기 IC 카드 단말기의 내부 데이터를 키패드의 신호 입력에 따라 외부로 송신 또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단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IC 카드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상기 키패드의 신호 입력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제어부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IC 카드 데이터 또는 상기 IC 카드 단말기의 내부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임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IC 카드 단말기로 전달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IC 카드 단말기 운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적용된 IC 카드 단말기 운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400 : 데이터 송수신 장치 310 : 데이터 인터페이스
320 : 중앙 제어부 330 : 데이터 변환부
340 : 데이터 송신부 350 : 데이터 수신부
360 : 직렬 포트 370 : USB 포트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적용된 IC 카드 단말기 운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300)와 데이터 송수신 장치(400)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가지며, 도 3에서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3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300,400)는, 데이터 인터페이스(310), 중앙 제어부(320), 데이터 변환부(330), 데이터송신부(340), 데이터 수신부(350), 직렬 포트(360), USB 포트(370)로 구성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310)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300)가 IC 카드 단말기(100)의 입출력 단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 제 2 데이터 인터페이스(150)(또는 제 1 데이터 인터페이스(110))에 접속된다.
중앙 제어부(320)는 키패드(130)의 신호 입력에 따라 IC 카드(1)의 데이터를 송수신 또는 IC 카드 단말기의 내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PC 등과 같은 외부 정보기기 또는 외부의 다른 IC 카드 단말기로부터 임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데이터 변환부(330)는 중앙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IC 카드(1)의 데이터 또는 IC 카드 단말기의 내부 데이터를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4)의 송수신 전송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 송신부(340)로 전달한다.
데이터 송신부(340)는 중앙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IC 카드(1)의 데이터 또는 IC 카드 단말기의 내부 데이터를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4)을 통하여 송신한다.
데이터 수신부(350)는 중앙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정보기기 또는 외부의 다른 IC 카드 단말기로부터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4)을 통하여 임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 제어부(320)로 전달한다.
직렬 포트(360)와 USB 포트(370)는 PC 등과 같은 외부 정보기기(도시 생략됨)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포트로서, 어느 하나만 또는 모두 채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300,400)가 적용된 IC 카드 단말기 운영 시스템의 구성은 도 1과 도 2의 비교 및 이하에서 설명될 동작 설명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IC 카드 단말기 운영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서로 다른 IC 카드 단말기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두 개의 IC 카드(1,2)가 멀리 이격되어 있어 동일한 IC 카드 단말기에 꽂지 못할 경우에는 서로 다른 IC 카드 단말기(100,200)의 입출력 단자에 각각 IC 카드(1,2) 및 데이터 송수신 장치(300,400)를 꽂고 키패드(130,230)를 조작하여 IC 카드(1,2)의 상호간 데이터 송수신을 선택한다.
이때, IC 카드(1)는 제 1 데이터 인터페이스(110)(또는 제 2 데이터 인터페이스(150))에 접속되며, IC 카드(2)는 제 2 데이터 인터페이스(250)(또는 제 2 데이터 인터페이스(210))에 접속되고, 데이터 송수신 장치(300)의 데이터 인터페이스(310)는 제 2 데이터 인터페이스(150)(또는 제 1 데이터 인터페이스(110))에 접속되며, 데이터 송수신 장치(400)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도시 생략됨)는 제 1 데이터 인터페이스(210)(또는 제 2 데이터 인터페이스(250))에 접속된다.
중앙 제어부(120,220)는 원격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IC 카드(1)의 데이터 송신 접점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열은 제 1 및 제 2 데이터 인터페이스(110,150)를 거쳐 데이터 송수신 장치(300)의 데이터 인터페이스(310)로입력된다.
중앙 제어부(320)는 외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데이터 변환부(330)는 데이터 인터페이스(310)로 입력되는 IC 카드(1)의 데이터를 전송로로 이용할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4)의 통신 환경에 맞추어 송수신 전송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한다.
데이터 송신부(340)는 중앙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변환부(330)에서 출력되는 송수신 전송 데이터, 즉 IC 카드(1)의 데이터를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4)을 통하여 다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400)로 송신한다.
여기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400)에 의하여 IC 카드(1)의 데이터가 수신되어 IC 카드(2)로 전달되는 과정을 알기 위하여 데이터 송수신 장치(300)에 의한 IC 카드(2)의 데이터 수신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 송수신 장치(400)로부터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4)을 통하여 송신된 IC 카드(2)의 데이터는 중앙 제어부(320)의 원격 데이터 송수신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데이터 수신부(350)를 통하여 수신되어 데이터 변환부(330)로 입력된다.
데이터 변환부(330)는 기 변환되어 전송된 IC 카드(2)의 데이터를 IC 카드 단말기(100)의 내부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며, 복원된 IC 카드(2)의 데이터열은 중앙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인터페이스(310)와 제 2 데이터 인터페이스(150)와 제 1 데이터 인터페이스(110) 및 IC 카드(1)의 데이터 수신 접점을 거쳐 IC 카드(1) 내로 입력된다.
아울러, 중앙 제어부(320)와 IC 카드 단말기(100,200)는 별도의 제어 단자(도시 생략됨)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이 데이터 송수신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IC 카드 단말기(100,200)와 데이터 송수신 장치(400)는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점검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IC 카드(1,2)의 상호간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IC 카드 단말기 상호간 또는 특정 IC 카드와 IC 카드 단말기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의 IC 카드 상호간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통하여 쉽게 알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원리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장치(400)는 IC 카드 단말기 상호간 또는 특정 IC 카드와 IC 카드 단말기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지원한다.
또한, 직렬 포트(360)가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통하여 PC와 같은 외부 정보기기(도시 생략됨)의 직렬 포트에 접속되거나 USB 포트(370)가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정보기기(도시 생략됨)의 USB 포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키패드(130,230)를 조작하여 해당 데이터 송수신을 선택한 경우에는, 통상의 정보기기와 주변기기간의 신호 전달 원리와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IC 카드 단말기(100,200)와 정보기기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된다. 여기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300,400)는 직렬 포트(360) 또는 USB 포트(370)를 통한 IC 카드 단말기(100,200)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관장하며, 이때 IC 카드 단말기(100,200)내의 인터페이스 경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원격 데이터 송수신의 인터페이스 경로와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IC 카드 단말기의 입출력 단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키패드의 신호 입력에 따라 IC 카드의 데이터 또는 IC 카드 단말기 내부 데이터를 외부로 직접 송신 또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데이터를 직접 수신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에 인터페이스 경로의 단일화로 IC 카드 단말기의 제조 단가와 부피 및 무게가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IC 카드 단말기의 운영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에는 별도의 호스트 서버가 필요 없어 구축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IC 카드 단말기의 입출력 단자에 접속된 IC 카드의 데이터 또는 상기 IC 카드 단말기의 내부 데이터를 키패드의 신호 입력에 따라 외부로 송신 또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단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IC 카드 단말기의 데이터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상기 키패드의 신호 입력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제어부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IC 카드 데이터 또는 상기 IC 카드 단말기의 내부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임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IC 카드 단말기로 전달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는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IC 카드 데이터 또는 상기 IC 카드 단말기의 내부 데이터를 송수신 전송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 송신부로 전달하며, 상기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를 상기 내부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여 상기 IC 카드 단말기로 전달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IC 카드 단말기용데이터 송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정보기기와의 직렬 통신 또는 USB 통신을 위한 통신 포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송신부 및 데이터 수신부는 외부에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와 상기 IC 카드 단말기는 별도의 제어 단자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20010022348A 2001-04-25 2001-04-25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20020082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348A KR20020082645A (ko) 2001-04-25 2001-04-25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348A KR20020082645A (ko) 2001-04-25 2001-04-25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645A true KR20020082645A (ko) 2002-10-31

Family

ID=2770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348A KR20020082645A (ko) 2001-04-25 2001-04-25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264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387A (ko) * 1992-08-20 1994-03-15 가사이 아끼오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JP2000222337A (ja) * 1999-02-02 2000-08-11 Hitachi Maxell Ltd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20020037779A (ko) * 2000-11-15 2002-05-23 최천우 Usb포트 동작형 ic카드시스템
KR20020052439A (ko) * 2000-12-26 2002-07-04 구자홍 분리형 이동 단말기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387A (ko) * 1992-08-20 1994-03-15 가사이 아끼오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JP2000222337A (ja) * 1999-02-02 2000-08-11 Hitachi Maxell Ltd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20020037779A (ko) * 2000-11-15 2002-05-23 최천우 Usb포트 동작형 ic카드시스템
KR20020052439A (ko) * 2000-12-26 2002-07-04 구자홍 분리형 이동 단말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0328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伝送システムのアセンブリ
US7401162B2 (en) Multi-functional port
KR20030093239A (ko) 통신 어댑터 및 방법
CN101790090A (zh) 远程桌面监视控制系统和方法
KR20060131489A (ko) 휴대단말기에서 단일포트를 통해 멀티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및 방법
US8170054B2 (en) Software control of half duplex radio data transceivers
CN116303205A (zh) 串口三合一接口电路及其控制方法和串口系统芯片
KR20020082645A (ko) Ic 카드 단말기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20010047406A (ko) 적외선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용 통신 장치
CN101816136B (zh) 用于传输人体的声波的方法和设备
KR200224831Y1 (ko) 유에스비를 이용한 고속 데이터 전송 장치
JP3807064B2 (ja) 携帯情報端末
KR100407329B1 (ko) 허브의 lan전원을 이용한 ip시스템의 전원공급회로
CN116541331A (zh) 接口装置及数据传输系统
KR101062347B1 (ko) 이동통신용 단말
KR100202993B1 (ko) 통신포트와 백보드상의 코넥터간 정합장치
JPH11272409A (ja) 複数端末を操作可能な入力装置
KR100648256B1 (ko) 모스트 경로 확장장치
KR20050001874A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포트 겸용장치 및 방법
KR200328928Y1 (ko) 이동통신용 기지국 제어기와 개인용 컴퓨터와의 정합장치
KR20030027307A (ko) 범용 프로세서의 시리얼 인터페이스
KR20030048576A (ko) 무선을 이용한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KR20040107071A (ko) 블루투스가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
KR20030078197A (ko) 이동통신 단말기간 데이터 교환방법
KR20020096629A (ko) 적외선 무선 통신 접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