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474A - 정보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474A
KR20020082474A KR1020027008137A KR20027008137A KR20020082474A KR 20020082474 A KR20020082474 A KR 20020082474A KR 1020027008137 A KR1020027008137 A KR 1020027008137A KR 20027008137 A KR20027008137 A KR 20027008137A KR 20020082474 A KR20020082474 A KR 20020082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ve
master
master device
devices
sla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라노브스키로버트
베르그로저윌리엄
Original Assignee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82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47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69Address allocation for group communication, multicast communication or broadcas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76Update or notification mechanisms, e.g. Dyn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84Providing for device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71Implementation details of single intermediate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9Providing operational support to end devices by off-loading in the network or by emulation, e.g. when they are un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7Numbering, addr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8Mobile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3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5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WW interface, visual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96Connection circuit/link/trunk/junction, bridge, router, gatew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8Local loop systems, acc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74P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75Electronic 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78Speech recognition, speech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9LAN,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복수의 장치들 간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통신 장치는 각각이 통신 장치의 성능을 수행하는 각종의 장치들로 분할된다. 서브네트가 장치들에 대해 확립되고, 장치들은 서브네트의 전용 마스터로서 작용하며 통신 장치의 전용 마스터 성능을 수행하는 마스터 장치와, 서브네트에 슬레이브들로서 작용하고 통신 장치의 다른 성능들을 수행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을 포함한다.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들과 교섭하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성능을 가진 슬레이브 장치들에 메시지를 지능형으로 발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온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는 서브네트 내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온다. 마스터 장치와의 모든 통신에 동일한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라디오 주파수 혹은 적외선과 같은 무선 통신경로를 통해 슬레이브 장치와 통신한다. 외부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인터넷, 이동기, 음성 네트워크, 혹은 또 다른 서브네트와 같은 확립된 네트워크이다.

Description

정보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방법{Information gateway system and method}
최근에, 네트워킹 능력이 이를테면 셀룰라 전화들, 텔레비전들, 스테레오 등의 각종의 전자장치들을 포함하는 극적인 형태로 증진되었다. 이에 따라, 이들 전자장치들을 "인터넷-예비" 혹은 "네트워크-가능"을 갖추게 하기 위해서는 이들 전자장치들에 비용과 복잡도가 더해질 수밖에 없다. 전자장치에 유선접속 및 무선접속을 포함하여 네트워크가 가능하게 하는 몇 가지 기술들이 사용되었다.
유선접속의 한 예로서는 라우터들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각종의 네트워크들을 접속시키는 것이다. 라우터들은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들을 연결시키며, 이를테면 데이터 패킷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성능, 데이터 패킷이 다음에 어디로 보낼 것인지를 알기 위해서 라우팅 테이블이라 하는 데이터 구조를 참고하는 성능, 배송을 위해 데이터 패킷을 대기시키는 성능, 데이터 패킷을 발송하고 라우팅 정보를 다른 라이터들과 교화하는 성능들을 수행한다. 보통, 발송되는 메시지는 라우터가 메시지를 보내는데 사용하는 MAC(매체 액세스 제어) 주소라고 하는 수신지 주소를 갖고 있다. 라우터는 메시지를 어디로 보낼 것인지 결정하는 지능형 성능은 없고, 발신자로부터 메시지가 배송되기를 원하는 수신지에 메시지를 보내기만 할뿐이다.
라우터는 무선 라이터일 수 있다. 통상, 무선 라우터는 컴퓨터 플랫폼, LAN과의 이서넷 인터페이스(ethernet interface), 및 이서넷 데이터를 무선 송신에 적합한 라디오 주파수로 바꾸는 라디오 모뎀으로 구성된다. 무선 라우터들은 유선 라우터들과 유사한 기능성을 갖고 있으며 메시지를 발송함에 있어 MAC 주소를 사용한다.
무선 시스템은 많은 필요한 하드웨어를 제거하며 사용자에게 이동성을 더해준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은 적외선파 혹은 라디오파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IEEE 802.1 명세는 적외선 및 라디오 주파수에 대한 규격을 제공하고 있다. 무선 주파수에 있어서는, 두 가지 규격이 개발되어 있는데, 즉, 데이터 송신을 위해 넓은 범위의 주파수들을 사용하는 "다이렉트 시퀀스(direct sequence)"와, 주파수 및 시간 영역 변동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제공하는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이다. 라디오 파는 벽, 닫혀 있는 문 등을 통과할 수 있으나 적외선 신호들을 그렇지 못하다. 이들 라디오 및 적외선에 의한 방식들은 모두가, 시스템이 많은 WAN(wide area network) 들과 무선 데이터에 사용되는 디지털 규격들에 호환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회로, 및 무선 네트워크로 통신하도록 처리하는 프로토콜을 필요로 하므로 고가이다.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은 휴대 장치들 간에 작은 폼 팩터, 저비용, 짧은범위의 라디오 링크들에 대한 기술적 명세를 개발함으로써 호환성 문제를 해결한다. 블루투스 기술은 현존의 데이터 네트워크들, 주변 인터페이스, 및 특히 고정된 네트워크 하부구조들로부터 접속된 소규모 사설 임시 장치들을 형성하는 메커니즘에 보편적인 브릿지를 사용한다.
도 1은 블루투스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도시한 것이다. 장치들(121-124)은 피코넷(12)을 형성한다. 피코넷은 이를테면 휴대 개인용 컴퓨터(PC) 및 셀룰라 전화와 같은 적어도 2개의 링크된 장치로 구성되는, 그러나 장치를 8개까지 링크할 수 있는 범용의 저전력의 임시 라디오 네트워크이다. 피코넷 상의 모들 장치들은 통신 접속 및 구현이 동일한 대등한 장치들이다.
피코넷 접속시, 피코넷(12)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제1 장치가 마스터가 되고 다른 장치들은 슬레이브가 된다. 피코넷(12)에서 네트워크 접속은 다음과 같이 하여 확립된다. 피코넷 내에서 어떤 링크든 형성되기 전에, 모든 장치들은 대기 모드에 있다. 이 모드에서, 비접속된 장치는 정해진 주파수 혹은 정해진 호프 시퀀스로 주기적으로 메시지들을 "듣는다". 장치들 중 어느 장치에 의해서 링크설정 과정이 개시되고 그러면 그 장치가 마스터가 된다. 링크는 주소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엔 페이지 메시지에 의해서, 혹은 주소를 모르면 질의 메시지 및 이에 이은 페이지 메시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초기 페이지 상태에서, 마스터 장치는 일련의 16개의 동일한 페이지 메시지를 불러낼 장치(슬레이브 장치)마다 정해져 있는 16개의 서로 다른 호프 주파수들로 발송한다. 아무 응답이 없으면, 마스터 장치는 웨이크-업 시퀀스에서 또 다른 16개의 호프 주파수들로 16 페이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보통, 질의 메시지는 공공의 프린터, 팩스기기, 및 주소를 모르는 유사한 장치들을 포함하여 블루투스 장치들을 찾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피코넷(12) 내 장치들 중 한 장치에 대한 대기 메시지로 피코넷(12) 내 장치로부터 혹은 이 장치에 통신이 확립될 필요가 있을 때, 예를 들면 피코넷(12) 내 장치들 중 한 장치가 피코넷(12) 내 또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개시하고 있을 때, 혹은 피코넷(12) 내 장치들 중 한 장치가 다른 피코넷 내 장치와의 통신을 개시하고 있을 때 피코넷(12)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메시지를 피코넷(14) 내 장치로 발송하는 장치(121)에 의해 통신이 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치(121)는 마스터 장치가 되고 피코넷(12) 내 나머지 장치들, 즉 장치들(122, 123, 124)은 슬레이브 장치들이 된다.
마스터 장치(121)는 피코넷(12) 내 슬레이브 장치들(122, 123, 125)과 동기하도록 클럭 및 호핑 시퀀스를 정한다. 피코넷(12)에서 각각의 링크(125-127)는 논리 링크 제어(LLC) 및 매체 액세스 제어(MAC)를 포함한다. 피코넷(12) 내 각각의 장치(121-124)는 피코넷(12)에 관련한 장치들을 구별하기 위해, 이서넷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같은 3비트 물리 주소인 MAC 주소와 토큰 링으로 표현된다. 피코넷(12) 내 장치들에/로부터의 모든 통신들을 그만두었을 때, 피코넷(12)이 해제된다.
장치들 중 하나가 통신을 확립하였을 때 피코넷(12)이 다시 형성된다. 그러나, 피코넷(12)이 다시 형성되었을 때, 어느 장치가 먼저 통신을 확립하는가에 따라, 장치(121) 대신 다른 장치가 마스터 장치가 될 수 있다.
피코넷(14)도 링크된 장치들(141, 14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141)가 마스터 장치이고 장치(142)는 슬레이브 장치이다. 그러므로, 장치(141)는 피코넷(14)에서 슬레이브 장치(141)와 동기하도록 클럭 및 호핑 시퀀스를 정한다.
피코넷들(12, 14)은 서로 간엔 무관하며 동기될 필요가 없다. 복수의 독립된 서로 동기되지 않은 피코넷들, 예를 들면 피코넷들(12, 14)은 네트워크 접속(16)을 통해 통신하여 스캐터네트(scatternet; 12)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접속(16)은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자)이다.
도 1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서, 모든 장치들은 네트워크 인식 및 성능 면에서 보면 동일하다. 장치들은 역할이 바뀔 수도 있는데, 한 장치는 많은 슬레이브들에 대해 마스터가 되고, 나중에 새로운 마스터에 슬레이브가 될 수 있다. 즉, 모든 장치는 마스터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또한, 어떤 두 개의 장치를 접속함에 있어서는 정해진 프로파일들이 필요하게 된다. 프로파일이란 특정 프로토콜을 말한다. 예를 들면, 코드리스(cordless) 전화는 코드리스 전화 프로파일을 필요로 하고, 헤드셋은 헤드셋 프로파일을 필요로 하며, 팩스 기기는 팩스 프로파일을 필요로 한다, 등등.
보통, 종래의 게이트웨이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조합된 것으로, 서로 다른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혹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고는 통신할 수 없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을 접속하는 것이다. 일부 게이트웨이들, 즉 애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들은 프로토콜들을 전환하는 것 외에,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낸다. 또다른 일부 게이트웨이들은 프로토콜 전환은 하지 않고 데이터를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보내기만 한다. 즉,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들을 구별하여 전환하는 지능형 성능을 구비한 것도 있고, 기지의 주소로 데이터를 보내기만 하는 "덤브(dumb)" 채널인 것도 있다.
종래의 게이트웨이들은 두 개의 네트워크의 하드웨어 플랫폼에 특정한 것이어서, 두 개의 플랫폼들의 통신 프로토콜들과 특정한 애플리케이션들이 동작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게이트웨이는 웹 서버 호스트 상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로서 실현되거나, 웹 호스트와는 별도의 장치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실현된다. 후자의 경우에, 게이트웨이는 인터넷을 통해서 혹은 그 외 다른 수단에 의해서 웹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다. 종래의 게이트웨이들의 예로서는 고포(Gopher) 및 FTP(File Transfer Protocol)이 있으며, 이들은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들이다. 종래의 게이트웨이들은 게이트웨이들을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서비스들과 바꿀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필요한 것은 네트워크의 각종의 전자장치들과의 간단하고 저렴한 통신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들의 네트워킹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공통의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로컬 전자 장치들을 외부 네트워크에 네트워킹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블루투스 기술용 통신 링크들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모두 본 발명에 따라 내부 링크 및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의 링크를 갖는 서브네트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통신 장치의 성능 부분들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5에 키에 도시되 바와 같이 배열된 도 5a 및 도 5b로 구성되고 게이트웨이 통신 프로세스의 흐름도.
도 6은 네트워크에 링크된 자동차용의 게이트웨이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네트워크에 링크된 집용의 게이트웨이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네트워크에 링크된 카메라용의 게이트웨이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주문 음악용의 게이트웨이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음식점 안내용의 게이트웨이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펜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시계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무선 헤드세트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마이크로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
복수의 장치들 간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통신 장치는 각각이 통신 장치의 성능을 수행하는 각종의 장치들로 분할된다. 서브네트가 장치들에 대해 확립되고, 장치들은 서브네트의 전용 마스터로서 작용하며 통신 장치의 전용 마스터 성능을 수행하는 마스터 장치와, 서브네트에 슬레이브들로서 작용하고 통신 장치의 다른 성능들을 수행하는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을 포함한다.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들과 교섭하고 메시지를 처리하는 성능을 가진 슬레이브 장치들에 메시지를 지능형으로 발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온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는 서브네트 내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온다. 마스터 장치와의 모든 통신에 동일한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라디오 주파수 혹은 적외선과 같은 무선 통신경로를 통해 슬레이브 장치들과 통신한다. 외부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인터넷, 공중 지상 이동 네트워크, POTS(plain old telephone system) 네트워크, 혹은 또다른 서브네트와 같은 확립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서브네트 네 슬레이브 장치에 동기화 메시지를 보낸다.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성능워드를 저장함으로써 슬레이브 장치를 등록한다. 성능워드는 예를 들면 데이터 포맷 및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등록된 슬레이브 장치에 장치 식별번호를 할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들의 수가 예정된 최대 허용가능 수 미만이면 어드레스 테이블에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대응하는 슬레이브 장치가 서브네트에서 접속이 끊겼을 때 어드레스 테이블에 어드레스를 재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능들을 갖는 복수의 슬레이브장치들에 그룹 식별번호를 할당한다.
외부 네트워크가 마스터 장치에 결합되는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대개 데이터에 대해 외부 네트워크에 질의한다. 대기 데이터가 있으면, 외부 네트워크는 메시지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통지 워드를 보냄으로써 마스터 장치에 통지한다. 그러면 마스터 장치는 서브네트 내 어떤 슬레이브 장치가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 결정한다. 그러면 마스터 장치는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슬레이브 장치들에 통지한다. 통지 받은 슬레이브 장치는 다운로드 준비가 되었으면 마스터 장치에 긍정 응답(acknowledgement)을 보낸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될 슬레이브 장치를 선택한다. 마스터 장치는 긍정 응답을 받은 후에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외부 네트워크는 대기 데이터를 마스터 장치로 보낸다. 마스터 장치는 대기 데이터를 슬레이브 장치로 발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의 처리 성능들의 함수로서 대기 데이터의 포맷을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가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면 마스터 장치에 통지한다. 마스터 장치는 제2 포맷으로 대기 데이터를 요청한다. 일 실시예에서, 슬레이브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의 사용 가능한 처리 성능들을 마스터 장치에 알린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외부 네트워크에서 갱신 소프트웨어를 찾고 예를 들면 버전 번호를 체크함으로써 슬레이브 장치 내 소프트웨어를 갱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에 링크된 제1 인터페이스, 운용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 및 마스터 장치에 대한 장치 구성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 데이터 저장용의 제2 메모리 및 제1 인터페이스,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를 제어하기 이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마스터 장치에 전력 공급을 위한 밧데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조작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슬레이브 장치들은 예를 들면 펜 전화, 시계 전화, 무선 헤드세트, 혹은 소형 무선 디스플레이이다.
각종의 전자장치들에 대한 게이트웨이로서 작용하는 단일의 장치를 사용한 네트워크 액세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통신 장치의 성능들은 분리되고 통신 장치의 각 성능은 게이트웨이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종속/독립장치(혹은 슬레이브)를 포함하는 로컬 네트워크(즉, 서브네트) 내 장치에 실현된다. 장치들은 물리적으로 동일 혹은 분리된 장치들 내에 존재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서브네트용 마스터이고 서브네트 내 종속/독립 장치들과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주변 시스템 간, 혹은 종속/독립 장치들 자신들 간 통신을 간단한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확립하는 지능형 성능을 갖고 있다. 외부 네트워크를 확립된 네트워크이다.
도 2는 서브네트(201) 및 외부 통신 네트워크(202)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200)을 도시한 것이다. 통상, 서브네트(201)는 무면허 무선 링크이며, 셀룰라/PCS 전화를 포함하는 특정 통신 시스템으로 구성된 각종의 성분들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서브네트(201)는 게이트웨이 장치(203)와, 함께 링크된 여러 종속 및 독립적인 장치들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네트(201)는 저전력이고,풋프린트(footprint)가 적고, 10미터 범위이며, 이 범위 내에서 적어도 10개의 장치들에 대해 높은 데이터 속도를 갖는다.
게이트웨이 장치(203)는 서브네트(201) 내 모든 종속/독립 장치들에 마스터로서 작용한다. 피코넷 내 모든 장치가 마스터 혹은 슬레이브 역할을 취할 수 잇는 블루투스와는 달리, 게이트웨이 장치(203)는 서브네트에서 전용 마스터이고 서브네트의 마스터로서 고정된 역할을 갖는다. 역할이 마스터로서 고정되고 마스터만의 성능을 수행하는 장치는 종속/독립 장치들이 마스터 장치로서의 지능형 성능과 정교함을 갖출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 및 복잡성이 덜 하다는 이점이 있다. 즉, 종속/독립 장치들은 마스터의 보다 복잡한 성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보다 광범위하고 복잡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다. 대신, 종속/독립 장치들은 고정된 마스터와 통신하기 위한 매우 단순한 통신 인터페이스만 필요하다. 종속/독립 장치들을 "슬레이브"라고도 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203)는 외부 통신 네트워크(202)와 서브네트(201) 내 종속/독립 장치들 간의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로서 작용한다. 종속장치들(1 내지 M)은 이들의 대부분의 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203)를 통해 외부 통신 네트워크(202)로/로부터 통신하는 장치들이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는 외부 통신 장치로부터 표시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자신은 성능들을 갖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반면, 독립장치(1 내지 N)는 게이트웨이 장치(203)와 통신하고 있지 않을 때는 본연의 성능을 갖고 있고 이들의 특징은 게이트 장치가 있을 때는 강화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은 게이트웨이 밖의 네트워크로부터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들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본연의 성능을 갖고 있고, 게이트웨이가 있을 때는 이것은 컴퓨터용 디스플레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203)는 서브네트 내 여러 종속/독립 장치들 간에 게이트웨이로서 작용한다. 예를 들면, 서브네트 내 개인용 컴퓨터는 역시 서브네트 내 있는 텔레비전을 게이트웨이 장치(203)를 통해 턴 온 시킬 수 있다.
통신 장치가 셀룰라 전화인 경우, 게이트웨이 장치(203)는 서브네트(201) 내 모든 종속/독립 장치들과 통신하는데 필요한 셀룰라 RF 회로, 밧데리 및 무선 회로를 수용할 수 있다. 종속/독립 장치들은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성능을 제공하는 스테레오, 전화 걸기 성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및 표기성능을 제공하는 텔레비전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레오, 컴퓨터 및 텔레비전 각각은 이들이 어떠한 게이트웨이 장치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 본연의 성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독립 장치 범주 내에 들어맞는다.
도 3은 게이트웨이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 장치(203)는, 인터넷, 음성 네트워크, 서브네트 내 또다른 게이트웨이 장치, 혹은 이동장치와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2); 서로간에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예를 들면 10피트 내 짧은 거리에 있는 서브네트 내 종속/독립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04); 게이트웨이 장치(203) 내 모든 다른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406); 운영체제, 장치 구성 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들의 관계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시/ROM(독출 전용 메모리)(408); 장치 목록 및 메시지 내용들을 버퍼하기 위한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410); 및 상태 표시 혹은 사용자 입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혹은 키보드 등의 선택적 조작자 인터페이스(412)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 장치(203) 내 장치들은 특징의 선택들에 의존하므로, 구현 지향적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406)는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스일 수 있고 메모리(408)는 선택된 특징에 적합한 크기이다.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수신된 메시지의 타입에 기초하여 특정 메시지를 어디로 보낼 것인가를 결정하는 지능형 성능을 게이트웨이 장치에 부여한다. 게이트웨이 장치(203)는 게이트웨이 장치(203)를 구성하는 성분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밧데리(도시없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203)는 페이저(도 6 내지 10에 도시한)처럼 보이게 한 디자인을 갖고 있다. 그러나, 실제의 게이트웨이 장치(203)는 임의의 디자인을 가질 수 있고, 디자인은 통상 필요한 밧데리 크기 및 사용자가 게이트웨이 장치를 가지고 이동하기에 편리한 방식에 따른다.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 장치 패키지의 모양이나 크기엔 제한이 없다. 서브네트 내 각각의 종속/독립장치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 회로 및 관계된 소프트웨어를 구비한다. 게이트웨이 장치와 종속/독립 장치들 간 통신경로는 유선 혹은 무선일 수 있다.
다시 도 2에서,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203)와 종속장치들(1 내지 M) 간 통신, 예를 들면 링크들(204I 내지 204M), 및 게이트웨이 장치(203)와 독립장치들(1 내지 N) 간 통신, 예를 들면 링크들(206I 내지 206N)은 디지털 라디오 주파수(RF), 아날로그 RF 혹은 적외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들과 같은 어떤타입의 무선 링크들에 의해 달성된다. 게이트웨이 장치(203)와 종속/독립 장치들간 통신은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혹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와 같은 어떤 공중 인터페이스(즉, 무선 네트워크의 표준 운영 시스템)에 해당하는 임의의 무선 링크들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그 외 다른, 블루투스 기술과 같은 무선 기술, 무선 IEEE 1394 혹은 어떤 그 외의 다른 기존의 혹은 고유 프로토콜도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전술한 무선 링크들은 유선 링크가 휴대성을 감소시키긴 해도 유선 링크로 대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종속장치들 및 독립장치들은 게이트웨이 장치(203)를 통해 무선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속장치(1)는 링크(2041)(종속장치(1)에서 게이트웨이 장치(203)로) 및 링크(2061)(게이트웨이 장치(203)에서 독립장치(1)로)를 통해 독립장치(1)와 통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 종속장치들 및 독립장치들은 게이트웨이 장치(203) 없이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종속장치(1)는 링크(2101M)를 통해 다른 종속장치(M)와 직접 통신할 수 있고, 독립장치(1)는 링크(2121N)를 통해 다른 독립장치(N)와 직접 통신할 수 있고, 종속장치(M)는 링크(208MN)를 통해 독립장치(N)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이들 직접 통신 링크들은 유선 혹은 무선 링크들을 통해 달성된다. 그러나, 추가 하드웨어/소프트웨어가 이러한 직접 접속에 필요로 될 수 있음에 유념한다.
게이트웨이 장치(203)와 종속/독립 장치들 중 어느 한 장치간에 송신되는 정보는 제어 정보 및 페이로드 데이터로 구성된다. 제어정보는 게이트 장치(203)와 서브네트(201) 내 종속/독립 장치 간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장치 능력을 교섭하기 위한 것이다. 장치의 능력 교섭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페이로드 데이터는 서브네트 내 장치로 전송될 필요가 있고 음성 정보, 비디오 정보 혹은 텍스트 정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러한 것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임의의 데이터이다. 페이로드 데이터는 포맷이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외부 통신 네트워크(202)는 유선 혹은 무선 통신 장치들 및/또는 네트워크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외부 통신 네트워크(202) 내 장치들/네트워크들은 인터넷(215), 음성 네트워크(216), 게이트웨이 장치(217)를 가진 또다른 서브네트, 혹은 이동기(218)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러한 것들일 수 있다. 외부 통신 네트워크(202) 내 통신 장치들/네트워크들은, 예를 들면, 링크(220)를 통해 서브네트(210) 내 게이트웨이 장치(203)에 링크되는 셀룰라/PCS(개인용 통신 서비스들) 기지국 혹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자(ISP)(214)와 통신한다. 링크(220)는 유선 혹은 무선일 수 있다.
유사하게 게이트웨이 장치(217)도 서브네트에 접속된 연관된 종속 및 독립장치들(도시없음)을 갖는다. 그러므로, 서브네트(210) 내 장치는 게이트웨이 장치(203), 셀룰라/PCS 기지국 혹은 ISP(214) 및 게이트웨이 장치(217)를 통해 다른 서브네트 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서브네트(201) 내 스테레오에서 나오는 곡을 게이트웨이 장치(217)가 마스터인 서브네트 내 PC(개인용 컴퓨터)로의 다운로드를 개시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203)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 장치는 시스템의 마스터가 됨으로써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마스터로서, 게이트웨이 장치(203)는 각 장치의 능력들을 등록하고 이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범위 내에 있으며 통신할 수 있는(예를 들면, 전원이 넣어져 물리적으로 링크된) 장치의 수 및 타입을 항시 파악하고 있다. 이때 게이트웨이 장치는 어떤 타입의 데이터가 보내질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각 장치의 타입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비디오 타입의 데이터는 텔레비전, 컴퓨터 스크린 혹은 LCD 디스플레이로 보내지고, 오븐, 전화 혹은 라디오로는 보내지지 않는다. 데이터 발송은 후술하는 간단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그러므로, 게이트웨이 장치는 라우팅 지능형 성능을 갖는다. 피코넷 내 각각의 장치가 슬레이브에서 마스터로 또는 그 반대로 역할을 바꿀 수 있는 블루투스와는 달리 게이트웨이 장치는 항시 전용 마스터이고 유일한 마스터임에 유의한다.
도 4는 셀룰라/PCS 전화와 같은 전형적인 통신 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 로컬 네트워크 내 무선으로 네트워크로 링크된 장치들로 교체되는 경우의 적용을 도시한 것이다. 통상적인 셀룰라/PCS 핸드셋(310)은 각종의 결선된 통신경로들, 예를 들면 통신 경로(301, 303, 305)에 의해 링크되는 트랜시버(300), 사용자 인터페이스(304) 및 청각/시각/데이터원(302)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트랜시버(300)는 RF 트랜시버, 밧데리 및 안테나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4)는 예를 들면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각/시각/데이터원(302)은 헤드세트이다. 통신 장치용의 로컬 네트워크 구성의 추가 예를 이하 기술한다.
트랜시버(300)는 통신매체(306)를 통해 데이터원(302)부터 외부 세계, 예를 들면 외부 네트워크로의 통신경로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4)는 데이터원(302)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상태와 통신매체(306)를 관계시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4)는 사용자가 통신매체(306)의 접속성과 통신경로(305)를 통해 트랜시버로/로부터 전송되고 있는 통신정보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통상, 통신경로들(301, 303, 305)은 전화기 내에 결선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전술한 셀룰라/PCS 전화(301) 내 트랜시버(300), 사용자 인터페이스(304) 및 청각/시각/데이터원(302)은 개별 장치들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랜시버(300)는 셀룰라/PCS 라디오 모듈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304)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청각/시각/데이터원(302)은 자동차 스테레오에 있는 마이크로폰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셀룰라/PCS 라디오 모듈,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은 개별적으로 독립된 장치들이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경로들(301, 303, 305)은 전처럼 결선된 링크들이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 통신경로들(30, 303, 305)은 전술한 어떤 종래의 수단을 사용하여 확립되는 무선 링크들로 대치된다.
트랜시버(300)는 외부 네트워크와 종속/독립장치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304) 및 청각/시각/데이터원(302) 간에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작용한다. 트랜시버(300) 외에 게이트웨이 장치는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장치와 외부 네트워크 및 서브네트 내 종속/독립장치들과 인터페이스시키기 위한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밧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4) 및 청각/시각/데이터원(302)은 성능성에 따라 독립 혹은 종속장치들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304)가 헤드업 디스플레이이면, 게이트웨이 장치가 없으면 한정된 성능을 갖기 때문에 종속장치이다. 그러나, 사용자 인터페이스(304)가 텔레비전이면, 어떤 게이트웨이 장치 없이도 본연의 성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독립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응용에 맞게 전술한 장치들, 예를 들면 트랜시버(300), 사용자 인터페이스(304) 및 청각/시각/데이터원(302)의 어떤 조합을 만들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랜시버(300), 사용자 인터페이스(304) 및 데이터원(302)은 단일의 통신 장치로 대치될 수 있고; 트랜시버(300), 사용자 인터페이스(304) 및 데이터원(302)은 이들 각각의 장치로 있을 수 있고; 트랜시버(300)는 한 장치에 사용자 인터페이스(304) 및 데이터원(302)은 다른 장치에 있을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304)는 한 장치에 트랜시버(300) 및 데이터원(302)은 다른 장치에 있을 수 있고; 데이터원(302)은 한 장치에 트랜지스터(30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04)는 다른 장치에 있을 수 있다.
도 5는 게이트웨이 장치가 네트워크에 설치된 다음 어떤 장치가 게이트웨이 장치와 통신을 시작한 후의 이벤트들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스는 단계 500에서 시작한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어떤 새로운 장치들이 서브네트 내에 있는지 알기 위해서 동기화 메시지를 게이트웨이 장치의 제어 채널을 통해 서브네트 내 종속/독립 장치들에 주기적으로 보낸다(단계 502). 예를 들면 새로운 장치가 범위 내에 있고 통신할 수 있다면, 예를 들면 전원이 인가되었으면(단계 503), 종속/독립 장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동기를 맞추고(단계 504) 종속/독립 장치의 성능들을 게이트웨이 장치에 등록한다(단계 506). 등록하기 위해서, 종속/독립 장치는 종속/독립 장치의 성능을 나타내는 장치 성능 워드를 보낸다. 성능 워드는 각종의 성능, 이를테면 비디오 가능, 스테레오 가능 등을 나타내는 성능 비트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장치가 스테레오가 가능하면, 스테레오 성능 비트가 "1"로 설정되고, 장치가 오디오가 가능하면, 오디오 성능이 "1"로 설정되고, 장치가 비디오와 스테레오가 가능하면, 비디오 및 스테레오 비트들 모두가 "1"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 성능 워드는 그 외 다른 정보, 이를테면 데이트의 포맷, 표시 해상도,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 성능 워드는 서브네트에 종속/독립 장치의 유무를 게이트웨이 장치에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 성능 워드는 32비트이다. 물론, 장치 성능 워드는 각 종속/독립 장치에 요구되는 정보의 양 및 상세에 따라 임의의 길이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장치로부터 자신이 있음을 알리는 장치 성능 워드를 수신한다. 그러면 게이트웨이 장치는 종속/독립장치에 장치 식별 번호(장치 ID)를 할당하고 성능 워드 및 대응하는 식별번호를 저장한다(단계 507). 일 실시예에서, 장치 ID는 0 내지 255의 숫자를 제공하는 8비트이다. 이 실시예에서, 최대 256개의 종속/독립 장치들이 서브네트에 네트워크로 링크될 수 있다. 서브네트 내 종속/독립장치들의 최대 수는 충분한 수의 장치들이 함께 네트워크에 링크되게 하고, 과밀한 네트워크가 되지 않게 예정된다. 이것은 피코네트 내 장치들의 최대 수가 8인 블루투스 기술과는 반대이다.
장치 등록 수가 예정된 최대 허용 가능한 수를 초과하면, 등록된 장치가 장치 목록에서 제외될 때까지는 어떠한 새로운 장치도 등록되지 않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 ID가 사용 가능하게 될 때, 게이트웨이 장치는 미사용 장치 ID 번호를 다음 등록하는 장치에 재할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장치 ID를 일련으로 할당한다. 예를 들면, 제1 등록 장치가 1의 장치 ID가 할당되면, 제2 등록장치는 2의 장치 ID가 할당되고, 등등으로 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등록되는 장치에 제1의 사용 가능한 장치 ID를 할당한다. 예를 들면, 장치 ID 1, 2, 4, 5, 6, 8이 사용 중에 있으면 다음 등록되는 장치에는 3의 장치 ID가 할당될 것이다.
장치 ID는 예를 들면 등록된 장치가 접속을 해제하거나 범위 밖에 있거나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록된 장치는 전원이 차단되었음을 게이트웨이 장치에 알리는 예정된 "파워다운" 메시지를 보낸다. 예를 들면, 전원 버튼을 눌러 장치가 턴 오프되었을 때, 소프트웨어에 완전한 전원차단을 행할 것을 알리는 신호가 생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품질이 감시된다. 허용가능 레벨 미만의 신호 품질 및 예정된 비트 에러율 이상으로 비트 에러율의 증가는 장치가 범위 밖으로 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네트워크 접속을 갱신하기 위해서 등록된 장치들을 연속적으로 폴링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어떤 추가된 장치들을 등록시키고 사용 중단된 장치들을 재등록시키기 위해서 예정된 시간간격으로 동기화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보낸다. 그러므로, 장치 목록이 연속적으로 갱신된다. 연속적으로 장치목록을 갱신시킴으로써, 시스템은 사용 중단된 혹은 사용 불가한 장치에 마스터 장치가 메시지들을 보내는 것을 피할 것이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어떠한 장치도 게이트웨이 장치에 등록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게 초기에 제로들로 채워지는 어드레스 테이블을 유지한다. 어떤 장치가 게이트웨이 장치에 등록될 때, 게이트웨이 장치는 테이블 내 제1 제로를 찾아 그 장치를 그 어드레스에 할당한다. 그 후 게이트웨이 장치는 어드레스를 "1"로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접속을 끊은 장치는 어드레스를 다시 제로로 재설정하게 게이트웨이 장치에 신호를 보낸다.
상기 실시예는 어드레스와 성능 워드들을 맞추기 위해서 적어도 두 개의 테이블을 필요로 한다. 구체적으로, 어떤 장치에 어드레스를 할당하기 위해서 테이블 하나가 필요하고 성능 워드와 어드레스를 맞추어 보기 위해서 또 하나의 테이블이 필요하다. 대안 실시예에서, 성능 워드들은 어드레스 테이블에 저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성능 워드들의 모든 비트들이 제로이면, 어드레스가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비트 전부가 제로가 아니면, 어드레스가 사용중이다. 성능워드와 어드레스를 맞추어 보기 위해서는 단지 하나의 테이블만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장치 ID들을 할당하기 위해 어떤 적합한 방법이든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성능들을 갖는 종속/독립 장치들의 그룹에 그룹 ID가 할당된다. 그러면 게이트웨이 장치는 하나의 메시지를 복수의 장치들에 방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컴퓨터 스크린 및 팜 탑은 모두가 비디오가 가능한것으로 이에 따라 이들에 공통의 그룹 ID가 할당될 수 있다. 장치 ID 및 그룹 ID를 가진 종속/독립 장치는 방송된 메시지가 아니며 그에 혹은 이의 그룹에 어드레스되지 않은 메시지들을 무시할 것이다. 종속/독립 장치는 방송된 메시지이고 그에 혹은 이의 그룹에 어드레스된 메시지들에만 응답할 것이다. 예를 들면, 비디오 가능 그룹에 메시지가 어드레스되면, 텔레비전 및 컴퓨터 모니터는 응답할 것이지만 스테레오는 응답하지 않을 것이다.
게이트웨이 장치가 장치 ID 및/또는 그룹 ID를 할당한 후에, 게이트웨이 장치는 게이트웨이 장치 내 메모리에 장치 ID 및 장치 성능워드를 저장한다(단계 507). 대안으로, 장치 ID 및 대응하는 장치 성능 워드를 포함하는 장치 목록은 전술한 폴링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되는 대신 메모리에 사전에 프로그램된다.
현재 서브네트 내 각각의 종속/독립 장치의 성능을 파악하고 있는 게이트웨이 장치는 대기하고 있는 데이터가 있는지 체크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제어 채널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질의한다(단계 508). 네트워크 제어 채널은 동기화 메시지에 응답하여 서브네트에 어떠한 새로운 장치도 없을 때(단계 503) 대기 데이터에 대해서도 체크한다. 질의는 예를 들면 인터넷 서버로 보내진다. 서버는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질의를 받고 대기 중의 데이터를 찾는다(단계 512). 대기 중의 데이터가 있다면(단계 513), 서버는 대기중의 데이터를 네트워크 제어 채널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에 통지한다(단계 514). 통지 메시지는 대기 데이터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대기 데이터는 HTML 포맷, 텍스트 혹은 그래픽스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서버로부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어떤 장치가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 알기 위해서 장치 목록을 체크한다. 하나 이상의 종속/독립 장치들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면, 게이트웨이 장치는 대기 데이터를 적합한 종속/독립 장치에 알린다(단계 518).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종속/독립 장치들이 유사하거나 동일한 성능을 갖고 있을 때, 게이트웨이 장치는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장치를 선택할 것이며 그 특정의 종속/독립 장치에 통지 메시지를 보낸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예를 들면 효율에 근거하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2비트 해상도의 비디오 이미지가 발송을 대기 중에 있고 서브네트에 32비트 해상도의 컴퓨터 스크린과 8비트 해상도의 팜 탑이 있다면, 게이트웨이 장치는 이미지를 컴퓨터 스크린으로 보낼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속/독립 장치들이 통지를 받는다. 이 실시예에서, 32비트 이미지는 모든 비디오 가능 장치들, 예를 들면 컴퓨터 스크린 및 팜 탑으로 보내진다.
예로서 게이트웨이 장치의 발송 성능을 예시한다. MPEG-4(양방향 비디오 트래픽, 낮은 대역폭 라인들 및 사용자들로 하여금 프로그램의 일부를 선택하고 나머지는 무시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상호작용성을 지원하는 동화상 전문가 그룹 표준) 가능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하였을 때, 게이트웨이 장치는 외부 네트워크측에 적합한 MPEG-4 접속을 찾아 가능할 땐 항시 MPEG-4 데이터를 발송한다. 유사하게, 장치가 웹 페이지들을 열람하는 성능을 갖고 있다면, 게이트웨이 장치는 장치에서 가능한, 예를 들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HDML(Hand-Held Device Markup Language), DHTML(Dynamic HTML) 혹은 텍스트의 페이지 타입을 요청한다.페이지의 타입은 자바(자바는 바이트 코드들로 컴파일되는 이식가능 객체 지향적 언어임), ActiveX(ActiveX는 웹 서버들만이 아니라 웹 클라이언트들의 성능들을 동적으로 확장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혹은 일반적인 브라우저 플러그인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는 타입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떠한 장치고 대기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처리할 수 없다면, 게이트웨이 장치는 대기한다.
종속/독립 장치 혹은 장치들은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대기 데이터 통지를 수신한다. 그러면 종속/독립 장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다운로드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기 위해서 제어 채널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에 긍정 응답을 보낸다(단계 522). 이러한 핸드쉐이크는 장치가 대기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다. 종속/독립 장치가 준비가 안 되어 있거나, 접속이 끊어졌거나, 전원이 나갔거나 범위밖에 있다면, 게이트웨이 장치는 그 종속/독립 장치로부터 이러한 긍정 응답을 수신하지 않을 것이다. 단지 하나의 종속/독립장치만에 통지되는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예정된 시간지연을 대기한 후,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다른 종속/독립장치를 선택하기 위해 장치 목록을 탐색하고 처리를 반복한다. 복수의 종속/독립장치들이 통지를 받는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예정된 시간지연을 대기한 후, 긍정 응답으로 응답한 모든 종속/독립장치들에 대기 데이터를 보낸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다운로드하는데 사용하기를 원하는 종속/독립 장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성능을 갖춘 모든종속/독립 장치들 목록이 컴퓨터 스크린 혹은 텔레비전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그후 사용자는 예를 들면 키보드 혹은 리모콘으로부터 종속/독립 장치를 선택한다. 이어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선택된 종속/독립장치에 대기 데이터를 통지한다. 선택된 종속/독립 장치가 다운로드 준비가 되었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긍정 응답을 다시 게이트웨이 장치로 보낸다. 선택된 장치로부터 긍정 응답을 받은 게이트웨이 장치는 대기 데이터를 선택된 장치로 다운로드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다운로드를 위해 복수의 종속/독립 장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데이터를 처리하는 성능을 구비한 모든 등록된 장치들이 통지를 받는 일 실시예에서, 긍정 응답하는 장치들의 목록이 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다운로드 준비가 된 장치들의 목록 중에서 선택한다. 그 후 게이트웨이 장치는 대기 데이터를 선택된 장치로 보낸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종속/독립 장치들이 선택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장치들이 긍정 응답 메시지로 응답할 때, 게이트웨이 장치는 이의 네트워크 제어 채널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를 요청한다(단계 524). 종속/독립 장치와 호환되는 각종의 포맷으로 데이터가 다운로드될 수 있는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종속/독립 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최상의 포맷에 기초하여 다운로드 사이트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대기 데이터가 비디오 데이터이면, 풀 스크린의 컴퓨터는 최대 해상도로 처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운로드된 포맷은 풀 데이터 포맷이다. 그러나, 장치가 저해상도의 PDA이면, 보다 협소한 대역폭의 데이터 포맷이 요청된다. 단지 하나의 포맷만이 가능하다면, 그 포맷의 데이터가다운로드된다.
서버는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네트워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로 적합한 포맷으로 데이터를 보낸다(단계 528). 게이트웨이 장치는 다운로드 준비가 된 적합한 장치(들)로 데이터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발송한다(단계 530).
종속/독립 장치들은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단계 532). 처리는 단계 534에서 계속되며 여기서는 등록된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요청이 행해지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그러면 게이트웨이는 요청 단계를 처리한다(단계 536).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저장된 해상도를 복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요청에 기초하여 해상도를 예를 들면 낮게 수정할 수 있다. 처리는 단계 502로 되돌아간다.
대기 데이터가 없다면(단계 513), 단계 534가 실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서브네트 내 어떤 장치에 대해 적합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찾아낼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장치는 등록된 장치들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찾을 수 있고, 장치는 주기적으로 비호환성을 검출하여 게이트웨이 장치에 통지하거나, 사용자는 주변 제조업자 웹사이트로부터 업그레이드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게이트웨이 장치는 네트워크에서 업그레이드를 찾은 후 네트워크로부터 장치로 업그레이드를 얻는다. 일반적으로, 업그레이드 개시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업그레이드를 찾을 것을 시스템에 재촉한다. 이것은 분 단위로 외부 네트워크에의 접속에 대해지불해야 하고 언제 얼마나 자주 업그레이드가 수행되는지 결정할 기회를 제공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통상, 비호환성은 PC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버전 검출과 유사하게,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버전 번호를 비교함으로써 검출된다.
게이트웨이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발송 알고리즘의 목적은 간단하고, 빠르고, 구현하기가 쉽고, 견고, 즉 데이터 패킷을 다음 목적지로 보내는 중에 거의 에러가 없어야 하고, 네트워크 변경에 탄력성이 있게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토콜은 복수의 장치들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게 패킷화된다. 공중(무선) 프로토콜은 충돌 방지를 위해 시간 슬롯들을 장치들에 할당하는 시분할 다중 접속(TDMA)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높은 처리 및 재료비용이 들어도 보다 나은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경로는 높은 우선도의 데이터가 더 먼저 전송되게 연관된 우선도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더 높은 우선도의 데이터 스트림이 우선이 되게 하기 위해서 더 낮은 우선도의 데이터 스트림을 뒤로 미루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사용자의 장치,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장치의 범위 내의 다른 게이트웨이 장치를 고려하여 데이터 보안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링크의 강건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에러 검출이 채용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링크의 강건성을 더욱 보장하기 위해서 에러 정정이 채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어떤 장치와 게이트웨이 장치 간 통신은 간단한 프로토콜에 따른다. 일 실시예에서, 명령 세트는 표 1에 나타낸 다음의 예의 명령들과 명령 카테고리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명령들 및 명령 카테고리들이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표 1
카테고리 명령 기능
접속 등록 게이트웨이 장치를 갖는 종속/독립 장치를 등록하고; 각각의 등록 종속/독립 장치에 장치 ID를 할당하고;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메모리의 장치 성능 및 대응하는 장치 ID를 저장한다.
Open_Path 실시간 접속 동안 전용 통신 경로,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이미지를 만든다. 명령 Open_Path는 송신기가 호출 개시하면 목적지로서 전화 번호를 포함한다.
Close_Path 명령 Open_Path로 열렸던 통신 경로를 닫는다.
상태 디스플레이 밧데리 레벨, 셀룰러 RSSI(수신된 신호 세기 표시), 메시지 대기, 등과 같은 다양한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상태 디스플레이 명령 플러스 접속 상태에 사용된 항목들을 요청한다.
데이터 수신 외부 네트워크 또는 종속/독립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한다.
송신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 또는 종속/독립 장치에 송신한다.
메시지 대기 메시지의 사용자를 경보한다.
메모리 기록 구성, 어드레스 북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저장된 파라미터를 기록한다.
판독 어떤 저장된 파라미터를 다시 판독한다.
업그레이드 업그레이드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업그레이드를 요청하거나, 명령을 따르는 파일로 갱신하도록 종속/독립 장치를 지시한다.
단순 명령 세트는 게이트웨이 장치와 종속/독립 장치들 간 인터페이스를 간단하게 유지함에 유의한다. 표 1에는 예를 들면, 전자메일 체크, FTP(File Transfer Protocol) 혹은 HTML, 혹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수행 명령들은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취급되고 네트워크 상의 개개의 종속/독립 장치들에 의해 취급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들 인터넷-프로토콜에 특정한 명령들은 없다. 대신, 종속/독립 장치는 단순히 예를 들면 전자메일 대기중이라는 표시 명령을 안다.그러면 종속/독립장치는 수신명령에 의해 대기 중의 전자메일을 선택적으로 요청한다. 그러면 전자우편 메시지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읽혀지고 전자메일 메시지를 데이터로서 갖는 송신 명령에 의해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그러므로, 게이트웨이 장치가 종속/독립 장치를 외부 네트워크에 혹은 종속/독립 장치와 호환되는 또다른 종속/독립장치레 접속하는 어려운 작업을 취급할지라도, 종속/독립 장치와 게이트웨이 장치 간 프로토콜은 종속/독립 장치를 단순하고, 소형 및 저렴하게 할만큼 간단하면서도 사용자에게 만족을 줄만큼 강력하다.
다음의 예들은 게이트웨이 장치를 사용하는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 것이다.
제1 예는 도 6에 도시한 네트워크에 링크된 자동차이다. 사용자가 운전하면서 카 스테레오(606)를 듣고 있을 때, 뒷좌석의 가방 안의 게이트웨이 전화(602)가 착신을 수신하고 있다. 게이트웨이 전화(602)는 카 스테레오(606)를 소음시키는 신호를 보내고 헤드업 디스플레이(604)에 "호"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신호를 보낸다.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카 스테레오(606)에 있는 "응답" 버튼을 누른 후에, 사용자는 이를테면 카 스테레오(606)와 같이 자동체 내 임의의 곳에 있는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송화자와 핸즈프리로 대화를 한다. 이 예에서, 서브네트는 게이트웨이전화(602), 카 스테레오(606)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604)로 구성되고, 게이트웨이 전화(602)는 게이트웨이 장치가 되고, 카 스테레오(606)는 독립장치가 되며 헤드업 디스플레이(604)는 종속장치이다. 게이트웨이 전화(602)는 셀룰라/PCS 베이스(608)와 통신하고 전화 메시지를 서브네트 상의카 스테레오(606)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604)로 발송한다.
송화자는 수화자에게 수화자가 가 본 적이 없는 음식점에서 만날 것을 묻는다. 전화를 끊은 후에, 수화자는 카 스테레오(606)에 있는 "음성 인식" 버튼을 누르고 "방향" 및 음식점 상호를 말로 한다. 운전방향이 헤드업 디스플레이(604)에 문자로 나타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604)는 다음 회전을 지적하고 화살표가 윈드쉴드를 통해 시야에서 회전을 따라간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게이트웨이 전화(602)는 인터넷으로부터 방향(612)을 가져오기 위해서 ISP(610)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장치이다. 게이트웨이 전화(602)는 방향 정보를 헤드업 디스플레이(604)에 보낸다.
또 다른 예는 도 7에 도시한 네트워크에 링크된 집이다. 사용자의 홈 스테레오(704)를 통한 오디오와 함께 텔레비전(702)을 보는 중에, 사용자 벨트에 있는 게이트웨이 전화(706)가 셀룰라 PCS 베이스(710)를 통해 송화자로부터 호를 수신한다. 게이트웨이 전화(706)는 홈 스테레오(606)를 소음시키는 신호를 보내고 사용자의 텔레비전 화면(702)에 "전화 왔음" 및 송화자 ID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를 보낸다.
송화자 ID는 송화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송화자 ID 서비스는 통상 매달 추가로 소액의 요금으로 전화 가입자들에게 제공된다. 현재의 무선 규격 하에서, 주파수 부호화된 디지털 송화자 ID 정보가 제1 링 신호와 제2 링 신호 사이에 송신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보통 사용자가 걸려온 전화에 응답하기 전에 송화자 ID 장치에 의해 송화자에 관한 정보가 수신, 저장 및 표시된다. 송화자 ID 정보는연관된 전화에 응답하든 하지 않든 통상 송화자 ID 장치들에 의해 기록된다. 송화자 ID 장치는 보통은 디지털 송화자 ID 정보를 수신, 저장 및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송화자 ID 정보를 수신하여 게이트웨이 장치에 있는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무선으로 텔레비전(702)에 표시를 위해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전용 송화자 ID 장치나 전화 자체에 추가로 하드웨어를 부가할 필요성이 없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착신과 디렉토리 일치 ID에 연관된 비디오 혹은 오디오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러한 비디오 이미지는 디지털 화상, 클립 아트 파일, 웨이브(예를 들면, *.wav), 혹은 오디오 이미지 형성을 위한 *.mp3 파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송화자 ID 정보를 저장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호에 응답하기 위해서 리모콘 장치(708)에 있는 "전화" 버튼을 누른다. 게이트웨이 전화(706)는 리모콘 장치(708)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비디오 포맷이 텔레비전(702)과 호환이 되게 셀룰라 PCS 베이스(710)와 호의 비디오 포맷을 교섭한다. 데이터 포맷이 텔레비전(702)과 호환된다면, 송화자의 이미지가 화면 내 화면(PIP; picture-in-picture) 윈도우(혹은 텔레비전 PIP 성능이 없다면 전체 스크린)에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대화는 스테레오(704)를 통해 오며, 리모콘 장치(807) 내 마이크로폰을 사용한다. 착신이 비디오 호가 아니면, 어떠한 비디오도 표시되지 않는다. 송화자가 자신의 위치를 보내면, 송화자의 위치가 강조 표시되면서, 지도가 텔레비전(702)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일어나 방을 나가면, 핸즈프리 대화가 다음 가장 가까이 있는 스테레오, 텔레비전, 혹은 개인용 컴퓨터에서 계속된다.
위의 예에서, 서브네트는 우선 거실 내에 게이트웨이 전화(706), 텔레비전(702) 및 스테레오(704)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거실에서 나갈 때, 즉 게이트웨이 장치가 이동할 때, 텔레비전(702) 및 스테레오(704)는 범위밖에 있게 되므로 서브네트로부터 끊어진다. 그러나, 사용자가 다른 방, 예를 들면 침실로 갈 때, 다른 텔레비전 혹은 스테레오 혹은 개인용 컴퓨터가 범위 내에 들어오게 되고 게이트웨이 전화(706)에 등록되어 새로운 서브네트를 형성하게 된다. 비디오 데이터를 거실 내 텔레비전(702)에 보내고 있었던 게이트웨이 전화(706)는 비디오 데이터를 이제는 침실 내 컴퓨터로 보낼 수 있다.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게이트웨이 원리는 홈 엔터테인먼트 장치들, 가전기기들, 보안 시스템, 그 외 다른 전자장치들 간에 매우 간단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케이블, 전화 혹은 안테나를 통해 이들 모든 장치들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게이트웨이 장치를 형성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예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로서 작용하는 셀룰라/PCS 전화를 소지한 사진사이다. 자신의 셀룰라/PCS 전화(804)에 그에게 이벤트를 알리는 음성 호를 수신한 후에, 사진사는 자신의 게이트웨이 전화(804)를 통해 무선으로 자신의 디지털 카메라(802)로부터 화상들을 인터넷상의 목적지(806)로 보낼 수 있다. 게이트웨이 전화(804)가 셀룰라/PCS 시스템(808)을 통해 사진을 보낼 곳에 대해 인터넷 교섭을 행하는 반면, 카메라는 간단히 데이터를 보낸다. 이 예에서, 게이트웨이 전화(804)는 게이트웨이 장치이고 디지털 카메라(802)는 서브네트 상의독립장치이다. 디지털 카메라(802)가 사진사의 PC(806)의 범위 내에 있다면 사진들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PC(806)으로 보내질 수 있고, PC(806)는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다. 셀룰라/PCS 카메라를 조합한 개발비용은 개개의 장치들보다 훨씬 높을 것이므로 개별 장치들 즉 주변 장치들을 개발하는 것이 비용이 덜 들뿐만 아니라, 개개 장치별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예는 도 9에 도시한 주문 음악이다. 미니 디스크 혹은 휴대 음악 플레이어(902)로 음악을 들으면서, 사용자는 ISP(908)를 통해 인터넷상의 소스(906)로부터 최신에 발매된 음악을 시연해보고 미니 디스크 혹은 휴대 음악 플레이어(902) 상의 버튼을 터치하여 발매된 음악을 구입할 수 있다. 구입 후에, 교섭하여 곡을 미니 디스크 혹은 휴대 음악 플레이어(902)로 보내는 게이트웨이 장치(904)로 곡이 소스(906)로부터 다운로드된다. 미니 디스크는 예를 들면 음악을 보유하고 이를 요구된 때 재생하는 소형 플래시 카드 혹은 플래시 박스로 대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도 10에 도시한 음식점 안내이다. PDA(1002)는 게이트웨이 장치(1004)로부터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고(CDMA 하부구조로부터) 현존의 HTML 시스템들로부터 지역에 대한 엔터테인먼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004)는 선택된 웹사이트(1006)로부터 데이터를 포맷하기 위해 PDA(1002)로 보낸다. 이 방식에 의해서 PDA들은 크기를 소형으로 하고 디자인을 단순하게 유지하면서 접속성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사용자의 보다 소형의 셀룰라 전화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전화가 작다라고 느끼게 전화를 보다 작은 부분들로 분할한다. 벨트나 지갑에 큰 밧데리, RF 및 호 처리 회로를 넣어두고 소형의 오디오 장치를 사용자의 손안에 남겨둠으로써 매우 작은 전화로 인식하게 된다. 전화를 보다 작은 부분들로 나눔에 있어 어려움은 전화 자체가 벨트나 지갑에서 절대 이탈하지 않게 사용자가 이 작은 장치들로부터 전화를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게이트웨이 구조를 셀룰라/PCS 전화 환경에 적용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몇 가지 즉각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가장 큰 변화는 전화 대화 중이라도 큰 RF 회로 및 연관된 밧데리(예를 들면, 게이트웨이 장치)를 원격의 장소에 놓아 둘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신용카드 크기의 작은 장치일 수도 있을 것이다. 오디오는 매우 작은 헤드세트를 통해 사용자로/로부터 전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전화 걸기 위해 음성 인식을 갖춘 헤드세트에 의존할 수도 있고, 하루종일 게이트웨이 장치를 결코 못 볼 수도 있다. 사용자는 매우 작은 다루기 쉬운 장치로서 셀룰라 전화를 인지할 것이다. 더구나, 셀룰라/PCS 전화는 고속 접속을 제공하며 모든 타겟 소비자에게 이익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 소비자들은 이들의 인터넷 예비 장비에 짜맞출 수 있고, 필요로 하는 아이템들만을 구입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기본 장치들(손목시계, 냉장고, 알람 시계)과, 제조비용을 현격히 증가시킴이 없이 부가된 크기의 접속성을 제공한다.
또한, 게이트웨이 구조는 제조업자에게도 이익을 제공한다. 시장 내 모든 가능성을 포괄하기 위해서, 제조업자는 모두가 셀룰라/PCS에 호환이 되거나 단번에한 장치에 접속될 수 있게 셀룰라/PCS 전화를 모듈화한 제품들을 만들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각 주변 장치에 대해 게이트웨이 장치에 간단하고, 저전력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부가함으로써 셀룰라/PCS 전화를, 게이트웨이 장치에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주변 장치들에 대한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해서, 장치는 각 주변장치에 대한 전성능의 셀룰라 회로를 부가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인터넷-예비"를 갖출 수 있게 될 것이다.
게이트웨이 개념은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대안 사용이 매우 광범위하다. 원리는 고전력의 복잡한 통신 회로를 공통의 장치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장치비용을 낮출 수 있고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곳에 적용될 수 있다.
종속/독립장치의 구현예를 기술한다. 제1 구현예는 도 11에 도시한 펜(pen)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이다. 펜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1100)는 펜 모양, 크기이고 펜 성능을 갖고 있다. 또한, 펜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1100)는 전화라는 부가된 성능을 갖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셀룰라/PCS 통신회로, 예를 들면, 트랜시버는 게이트웨이 장치 내에 설치된다. 펜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는 트랜시버와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펜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는 게이트웨이 장치 없이는 그 성능이 오디오를 보내거나 음성 명령들을 처리하는 것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게이트웨이 장치의 종속장치로서 작용한다.
펜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1100)는 펜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1100)의 예를 들면 하부(1102)에 마이크로폰과 상부(1104)에 스피커를 탑재하고 있다. 마이크로폰은 송신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한편 스피커는 수신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송신회로 및 수신회로는 무선 통신 경로들을 통해 트랜시버를 구비한 게이트웨이 장치와 통신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펜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를 자신의 얼굴에 유지하고, 펜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의 상부를 귀에 일치시키고 펜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100)의 하부를 입 근처에 일치시킴으로써 양방향 대화를 할 수 있다.
착신에 대해서, 펜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1100)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링 표시에 의해 신호 수신을 알린다. 일 실시예에서, 링 표시는 청각에 의한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링 표시는 진동이다. 양 링 표시들은 통상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사운드는 어떤 적합한 회전 카운터 웨이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호를 개시하기 위해서, 일 실시예에서 전화 걸기는 음성 인식(게이트웨이 장치 내 VR 처리에 의한)이나 소니 일렉트로닉스사에서 제작한 수정된 조그다이얼 네비게이터(등록상표) 다이얼링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체를 참고로 여기 포함시키는, 소니사에 양도된, 후지나카, 아키히코에 의한 "Radio Telephone Apparatus" 명칭의 미국특허 5,335,2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음성 인식 장치가 사용된다. 음성 인식 장치는 개시 음성을 감지하는 마이크로폰 장치와 마이크로폰에의 음성입력을 인식하여 음성에 기초하여 전화 걸기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회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음성 인식 장치는 음성 인식 회로를 작동/비작동시키는 뮤트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통상,오프-후크 동작에 이어 음성 인식 모드로 설정되었을 때, 라디오 전화 장치는 수신지 확인 음성 입력 대기 상태, 즉 마이크로폰 장치에 입력되는 음성이 음성 인식 회로에 전기신호로서 송신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목적지 확인 음성이 마이크로폰 장치에 입력되었을 때, 음성 인식 회로는 마이크로폰 장치로부터 송신된 전기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된 수신지에 관계된 정보에 연관시킴으로써 수신지 확인을 진행한다. 그러면 음성 인식 회로는 송신동작을 달성하기 위해 라디오 전화 장치의 송신 회로 등의 제어를 진행한다. 대안으로, 어떤 공지의 음성 인식 및 오디오-다이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소니사에 양도된, 1999년 5월 18일에 나온 스도, 후쿠하루에 의한,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명칭의 미국특허 5,905,964에 기재된 조그-다이얼 다이얼링 시스템을 여기 그 전체 내용을 참고로 포함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업, 다운 및 클릭 입력을 갖는 '964 특허에 기재된 조그 다이얼 다이얼링 시스템에서, 업/다운을 펜 몸체(1106)의 회전으로 바꾸고, 클릭을 펜의 상부(1108) 상의 버튼으로 하여 본 응용을 위해 수정하였다. 이 조합은 예를 들면 매트릭스상 화소들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1110)에 나타나는 선택들을 스크롤하여, 클릭에 의해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새로운 번호들은 스핀 클릭 방법에 의해 서, 혹은 음성 인식을 사용한 다어일링에 의해서 입력될 수 있다. 펜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1100)는 펜의 쓰기 성능을 유지한다.
종속/독립 장치의 다음 구현예는 도 12에 도시한 시계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이다. 시계 전화 무선 오디도 장치(1200)는 이 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인 트랜시버와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현이다. 시계 전화 무선 오디도 장치(1200)는 전술한 펜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와 유사하게, 마이크로폰, 스피커, 및 한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있다. 시계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1200)는 성능이 게이트웨이 장치가 없다면 오디오를 보내거나 음성 명령을 처리하는 것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게이트웨이 장치들의 종속 카테고리에 맞는다.
시계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1200)는 송신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마이크로폰 및 수신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스피커를 탑재한다. 송신회로 및 수신회로는 무선 통신 경로들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와 통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02)를 구비한 시계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1200)는 예를 들면 시계 전화 무선 오디오 장치(1200)를 스피커폰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양방향 대화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대화는 일정 거리에서 일어난다. 즉,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모두가 장치 내에 내장되어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손바닥을 컵 모양으로 하여 귀에 대었을 때 대화가 되게, 마이크로폰(도시없음)이 시계줄에 부착된 손의 손바닥에 안착되게 펼쳐지는 스피커가 시계줄(1204)에 구비된다.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은 어떤 적합한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대안으로, 스피커 선(도시없음)이 사용자의 팔 위로 하여 화자의 귀로 이어져 보다 사적인 대화가 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이어 플러그 및 마이크로폰은 유선접속을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261 특허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음성 명령들에 의해 제어된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눌러작동되는 복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키패드(도시없음)이다. 대안으로, 조그-다이얼(1206)은 '964 특허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부가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는 수기 인식이 되는 적합한 터치 스크린을 탑재한다.
종속/독립장치의 제 3 예는 도 13에 도시한 후크 스위치와 호 경보를 구비한 무선 헤드세트(1301)이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세트는 라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상의 성능을 갖는다. 또한, 헤드세트는 착신 표시, 송화자 ID 정보(예를 들면, LED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후크 스위치 제어, 볼륨 제어 및 밧데리 표시(예를 들면, LED 디스플레이, 비퍼(beeper))와 같은 성능을 수행한다. 헤드세트는 송신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마이크로폰 및 수신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스피커를 탑재하고 있다. 송신회로 및 수신회로는 무선 통신경로들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와 통신한다.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착신이 수신되었을 때, 게이트웨이 장치는 예를 들면 헤드세트가 접속된 스테레오를 뮤트시키고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착신을 알리기 위해 비프 혹은 링 형태로 착신 표시를 활성화시킨다.
후크 스위치는 후크 스위치가 열렸을 때 전화의 모든 부분들이 링거 회로를 제외하고 전화선에서 분리되게 동작한다. 송화측에서 수화측에 전화를 걸었을 때, 중앙국 내 교환장비는 수화측의 전화에 수화측에 착신을 알릴 것을 통지한다. 수화측이 착신에 응답하기 위해서 수화기대에서 핸드세트를 들었을 때, 후크스위치가 닫혀지고, 송화측과 수화측 간에 접속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화걸기 및 특징 제어를 위한 음성 인식이 결합된 헤드세트는 사용자에게 통상의 조작에서 실제 전화를 전혀 대지 않고 충분한 제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세트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반으로 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폰은 후크스위치 제어를 위해 접고 펼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은 헤드세트에서 분리되어 차량 내 라벨이나 선 바이저에 부착할 수 있다.
종속/독립 장치의 제 4 구현예는 장치(1401)의 상대적인 크기를 보이기 위해서 5센트 동전과 함께 도 14에 도시한 소형 무선 디스플레이(1401)이다. 소형 무선 디스플레이는 기판재로서 실리콘 칩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들이다. 칩은 또한 보통 표준 CMOS 기술로 구현되는 어드레싱 전자장치들(집적화된 드라이버들을 구비한 적어도 능동 매트릭스)을 수용하고 있다. 이 소형 기술은 매우 신뢰성 있고 안정된 회로들을 생성하며 매우 작은 화소 피치들(<10㎛) 및 높은 표시 해상도를 가능하게 한다. 마이크로디스플레이들은 작으며 프로젝터, 헤드장착 디스플레이, 뷰-파인더 혹은 그 외 다른 렌즈-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지 생성에 다른 전기-광학 효과들로서, 전장발광(EL), 진공 형광(VF), 반사 액정 효과 및 마이크로미러(마이크로 가공을 필요로 함)의 틸팅 혹은 변형이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조합은 뷰파인더를 통해 보았을 때 1피트 이상의 거리에서 가상 SVGA 15 인치 모니터를 제공하는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이다. 실제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각 길이가 단지 1/4인치이다. 게이트웨이 장치로부터 표시된 이미지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와 상호작용을 위해 네비게이션 키들이 장치에 배치된다.
도시된 정보가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해 생성되거나 게이트웨이 장치에 하부구조 상의 소스로부터 디스플레이로 보내지는 점에서 가상 디스플레이는 게이트웨이 개념에 들어맞는다. 디스플레이는 화상/비디오 리뷰 혹은 웹 브라우징에 사용될 수 있다. 소형이며 무선이기 때문에, 키체인 혹은 신축 가능한 줄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술하였어도, 기술된 바는 본 발명의 적용예일뿐이고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특징들의 각종의 다른 채택 및 조합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정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15)

  1. 장치와 슬레이브 사이에 통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용 마스터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제 1 통신 경로로 상기 마스터 장치에 링크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해 한 장치로부터의 메시지를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브네트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메시지를 그 성능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라우팅하는,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동기화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상기 마스터 장치와 함께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성능들을 규정하는 정보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장치 성능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성능 비트들을 갖는 장치 성능 워드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워드는 데이터 포맷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워드는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외부 네트워크에 있고,
    상기 마스터 장치를 제 2 통신 경로로 상기 제 2 장치에 링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대기 데이터에 대해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질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가 대기 데이터에 대해 체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가 대기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단계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가 통지 워드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 워드는 메시지 타입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상기 마스터 장치가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다운로드를 위한 준비가 되었을 때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마스터 장치에 긍정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의 상기 대기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해 상기 슬레이브 장치로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처리 성능들의 함수로서 상기 대기 데이터의 포맷을 선택하는, 통신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마스터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데이터는 제 1 포맷을 갖고,
    상기 제 1 포맷과는 다른 제 2 포맷으로 상기 대기 데이터를 보낼 것을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사용 가능한 처리 성능들을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 2 슬레이브 장치이고,
    상기 제 2 슬레이브 장치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링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레이브 장치는 성능 워드를 갖고,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에 장치 식별번호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성능워드와 상기 장치 식별번호를 상기 마스터 장치 내의 메모리에 장치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식별번호를 할당하는 단계는, 등록된 슬레이브 장치들의 수가 예정된 최대 허용가능 수보다 작을 때, 상기 마스터 장치가 장치 식별번호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메모리에 어드레스 테이블에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서브네트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어드레스 테이블에 어드레스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슬레이브 장치들에 대해 상기 장치 목록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슬레이브 장치들의 처리성능들의 함수로서 슬레이브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선택된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대기 데이터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통지 받은 슬레이브 장치로부터의 긍정 응답을 예정된 시간동안 기다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긍정 응답을 수신하지 않으며,
    상기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제 2 슬레이브 장치를 상기 장치 목록에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슬레이브 장치들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통지 받은 슬레이브 장치로부터의 긍정 응답을 예정된 시간동안 기다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긍정 응답을 보낸 모든 통지 받은 슬레이브 장치들에 상기 대기 데이터를 방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4. 제 27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다운로드하기 위한 슬레이브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슬레이브 장치들의 목록에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선택된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대기 데이터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선택된 슬레이브 장치로부터의 긍정 응답을 예정된 시간동안 기다리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마스터 장치에 긍정 응답으로 응답하면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해 상기 선택된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대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대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슬레이브 장치들에 통지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통지 받은 슬레이브 장치들로부터 긍정 응답들을 예정된 시간 동안 기다리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스터 장치에 슬레이브 장치들의 목록을 보낸 슬레이브 장치들의 목록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선택된 슬레이브 장치들에 상기 대기 데이터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대기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해 상기 선택된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4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예정된 시간 간격들로 상기 슬레이브 장치들에 동기화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장치 목록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41. 제 40항 에 있어서,
    상기 갱신 단계는 분리된 장치들, 전원이 차단된 장치들(powered off devices) 및 상기 마스터 장치의 범위 밖의 장치들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슬레이브 장치들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네트는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네트 내 슬레이브 장치들의 그룹에 그룹 식별번호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의 서브 세트인, 통신 방법.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들의 그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장치 성능들을 갖는, 통신 방법.
  4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 각각은 성능 워드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 각각에 장치 식별번호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장치 내의 메모리에 장치 목록을 프로그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목록은 상기 장치 성능 워드들과 상기 장치 식별번호들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4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서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로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는,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
    상기 제 2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상기 마스터 장치가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으면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가 다운로드 준비가 되었을 때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마스터 장치에 긍정 응답을 보내는 단계;
    상기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마스터 장치의 메모리에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의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로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서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로 메시지 송신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는,
    상기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
    상기 제2 마스터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상기 마스터 장치가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처리할 수 없다면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상기 마스터 장치가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제2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성능들을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4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상기 슬레이브 장치 내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 단계는 외부 네트워크에서 갱신 소프트웨어를 찾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5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링크하는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무선으로 링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52.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장치의 전용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 마스터 장치;
    상기 제 1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슬레이브 장치;
    상기 마스터 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장치를 링크하는 통신경로를 포함하는 서브네트와;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해 제 2 장치가 상기 슬레이브 장치와 통신하는 상기 서브네트에 결합된 상기 제 2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는 셀룰라 전화이고, 상기 마스터 장치는 트랜시버인, 통신 시스템.
  5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링크된 제 1 인터페이스;
    상기 마스터 장치에 대한 운영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 및 상기 마스터 장치에 대한 장치 구성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상기 제 1 메모리 및 제 2 메모리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트랜시버와;
    상기 마스터 장치와 상기 슬레이브 장치간에 무선 통신을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장치목록을 저장하는, 통신 시스템.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목록은 상기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성능워드 및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네트는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목록은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 각각에 대한 성능워드 및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59.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는 장치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목록은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성능워드 및 장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성능워드는 스테레오 가능 비트, 오디오 가능 비트 및 비디오 가능 비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복수의 성능 비트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61.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성능워드는 데이터 포맷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62.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성능워드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63.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네트는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목록은 상기 서브네트 내의 슬레이브 장치들의 그룹에 대한 그룹 식별번호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들의 서브 세트인, 통신 시스템.
  65.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내의 상기 슬레이브 장치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능을 갖는, 통신 시스템.
  6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 내의 상기 데이터는 상기 슬레이브 장치로/로부터 메시지의 내용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67.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조작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68.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69.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마이크로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통신 시스템.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트랜시버와;
    상기 마스터 장치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71.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외부 네트워크에 있으며,
    상기 제 2 장치는 제 2 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마스터 장치에 결합되는, 통신 시스템.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제 2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제 2 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제 2 장치에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로 메시지의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슬레이브 장치와 교섭하는, 통신 시스템.
  73.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는 인터넷, 음성 네트워크, 제2 서브네트, 및 이동 유닛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통신 시스템.
  7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75.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데이터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76.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경로는 무선인, 통신 시스템.
  77.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경로는 디지털 라디오 주파수, 아날로그 라디오 주파수 및 적외선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신호들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78.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경로는 AMPS, TDMA, CDMA, GSM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공중 인터페이스인, 통신 시스템.
  79.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경로는 블루투스 및 무선 IEEE 1394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확립되는, 통신 시스템.
  80.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펜 전화인, 통신 시스템.
  81.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전화는 송신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회로는 상기 제1 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마스터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
  82.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전화는 수신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회로는 상기 제1 통신경로를 통해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시스템.
  83.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전화는 링 표시용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4. 제 83 항에 있어서,
    링 표시용 상기 회로는 내부 진동기, 링거 회로 및 비퍼 회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통신 시스템.
  85. 제 80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에의 음성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음성에 기초하여 전화걸기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회로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6.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 회로를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7.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전화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 목록에서 전화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조그-다이얼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8.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전화 몸체는 상기 전화 목록에서 전화 번호를 조그하도록 회전하는, 통신 시스템.
  89. 제 87 항에 있어서,
    현재 선택된 전화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0. 제 80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1. 제 9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현재 선택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통신 시스템.
  92.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시계전화인, 통신 시스템.
  93. 제 9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전화는 송신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마이크로폰과, 수신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스피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4. 제 9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시계 전화의 몸체로부터 펼쳐지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시계전화의 시계줄에 부착된, 통신 시스템.
  95. 제 9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시계전화의 몸체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스피커를 상기 수신회로에 접속하는 스피커 선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6. 제 9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에의 음성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음성에 기초하여 전화 걸기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회로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7. 제 9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키패드의 누름 작동되는 스위치들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전화걸기 동작을 수행하는 키패드인, 통신 시스템.
  98. 제 9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시계 전화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목록에서 전화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조그-다이얼인, 통신 시스템.
  99. 제 9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화걸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인, 통신 시스템.
  100.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무선 헤드세트인, 통신 시스템.
  101. 제 10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헤드세트는 송신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마이크로폰과, 수신회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2.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무선 헤드세트의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통신 시스템.
  103.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기 위한 볼륨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4.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에의 음성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음성에 기초하여 전화 걸기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회로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5.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회로 및 수신회로를 접속/비접속시키는 후크스위치 제어 및 사용자에게 착신을 알리는 호 경보 장치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6.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헤드세트의 몸체는 상기 후크스위치 제어를 위해 접히고 펼쳐지는, 통신 시스템.
  107. 제 100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세트는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8. 제 100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세트는 밧데리 상태를 표시하는 밧데리 표시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9.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소형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인, 통신 시스템.
  110.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는 상기 서브네트 내 제 2 슬레이브 장치인, 통신 시스템.
  111. 전용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서브네트 내 슬레이브 장치에 링크하기 위한 제 1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서브네트의 전용 마스터인,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외부 네트워크에 링크하기 위한 제 2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운영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 및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한 장치 구성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
    데이터 저장용의 제 2 메모리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2메모리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12. 제 1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서브네트에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슬레이브 장치간 무선 통신을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13. 제 1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트랜시버와;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14. 제 1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에서 성분들에 전력 공급을 위한 밧데리를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115. 제 11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20027008137A 1999-12-23 2000-12-15 정보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24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056299A 1999-12-23 1999-12-23
US09/470,562 1999-12-23
PCT/US2000/034184 WO2001048977A2 (en) 1999-12-23 2000-12-15 Information gateway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474A true KR20020082474A (ko) 2002-10-31

Family

ID=2386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137A KR20020082474A (ko) 1999-12-23 2000-12-15 정보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260062A2 (ko)
JP (1) JP2003519943A (ko)
KR (1) KR20020082474A (ko)
AU (1) AU2108101A (ko)
CA (1) CA2393936A1 (ko)
TW (1) TW561745B (ko)
WO (1) WO200104897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916B1 (ko) * 2002-11-12 200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웨이의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07002B1 (ko) * 2012-12-18 2014-06-13 주식회사 시큐아이 라우팅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7947B1 (en) 2000-03-28 2007-03-06 Affinity Lab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select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WO2001076154A2 (en) * 2000-04-03 2001-10-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hoc network and gateway
JP5105665B2 (ja) 2001-03-13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478281B2 (en) * 2007-12-13 2013-07-02 Agere Systems Llc Cell phone extension using wireless piconet
EP1282282B1 (de) * 2001-08-03 2007-05-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ildung eines Ad-hoc-Netzwerkes
US7295532B2 (en) 2001-08-17 2007-11-13 Ixi Mobile (R & D), Lt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networking services on a mobile device
US7016334B2 (en) 2001-08-17 2006-03-21 Ixi Mobile ( Israel) Ltd.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fast recovery of IP address change
US7039408B2 (en) * 2002-06-03 2006-05-0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ion of personal area networks (PANs)
US7356571B2 (en) 2002-10-07 2008-04-08 Ixi Mobile (R&D), Ltd. System, method and processor readable medium for downloading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a device in a network responsive to price selection
SG117424A1 (en) * 2002-10-21 2005-12-29 Wireless Intellect Labs Pte Lt Data acquisition sour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R2852752B1 (fr) 2003-03-17 2005-06-24 Oberthur Card Syst Sa Procede de communication entre diverses entites electroniques
EP1566938A1 (en) * 2004-02-18 2005-08-24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Device registration in a wireless multi-hop ad-hoc network
US8214447B2 (en) 2004-06-08 2012-07-03 Bose Corporation Managing an audio network
US7852825B2 (en) * 2004-07-30 2010-12-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network access by mobile stations which support an incompatible internet protocol version
WO2006076349A2 (en) * 2005-01-11 2006-07-20 Telcordia Technologies, Inc. Method to establish and organize an ad-hoc wireless peer to peer network
JP2007173920A (ja) * 2005-12-19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装置、外部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知方法
US8090401B2 (en) 2006-05-19 2012-01-03 Agere Systems Inc. Virtual gateway node for dual-mode wireless phones
US8607281B2 (en) * 2006-09-07 2013-12-10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Control of data presentation in multiple zones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9319741B2 (en) 2006-09-07 2016-04-19 Rateze Remote Mgmt Llc Finding devices in an entertainment system
TWI330025B (en) 2006-11-17 2010-09-01 Ind Tech Res Inst Multi-service method over heterogeneous network
US9240895B2 (en) 2011-10-13 2016-01-1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system and device of multicast functionality in an energy portal
KR101320347B1 (ko) 2012-04-25 2013-12-19 라이트웍스 주식회사 다수의 이더넷 스위치의 펌웨어 업그레드 방법
US10409454B2 (en) 2014-03-05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mart watch device and user interface thereof
US20160044136A1 (en) * 2014-05-27 2016-02-11 Nimbus 9, Inc. Virtual gateway
KR102072160B1 (ko) * 2017-11-02 2020-02-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대칭 메모리 접근 환경에서의 블록암호 연산 시스템, 연산 장치 및 연산 방법
DE102018127233B3 (de) 2018-10-31 2019-11-28 Hiwin Technologies Corp. Mit einem Fettführungsring versehenes Wellgetrieb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5656B2 (ja) * 1987-03-12 1994-11-24 株式会社東芝 無線チヤネルサ−チ方式
US5949776A (en) * 1990-01-18 1999-09-07 Norand Corporation Hierarchic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premises, peripheral and vehicular local area networking
US6282572B1 (en) * 1994-05-04 2001-08-28 Telefonaktieboalget Lm Ericsson (Publ) Providing a master device with slave device capability information
US5699409A (en) * 1994-08-26 1997-12-16 Nec Corporation Cordless telephone system for providing set-up communications between subsidiary units through a master unit
JP3349861B2 (ja) * 1995-03-17 2002-11-25 富士通株式会社 ワイヤレスlanシステム
GB9725659D0 (en) * 1997-12-03 1998-02-04 Nokia Mobile Phones Ltd The LPRF system with frequency hopping extens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916B1 (ko) * 2002-11-12 200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이트웨이의 상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07002B1 (ko) * 2012-12-18 2014-06-13 주식회사 시큐아이 라우팅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19943A (ja) 2003-06-24
EP1260062A2 (en) 2002-11-27
CA2393936A1 (en) 2001-07-05
WO2001048977A3 (en) 2002-09-12
TW561745B (en) 2003-11-11
WO2001048977A2 (en) 2001-07-05
AU2108101A (en)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2474A (ko) 정보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방법
EP1609281B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nd pairing bluetooth devices
EP1447944A2 (en)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notifying users of devices connectable to ad-hoc networks to establish effective connections based on a user&#39;s selection
EP1290829B1 (en) Call handling device for conn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to a communications network
JP2004507956A (ja) ブルーツースを用いた無線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50031454A (ko) 무선 통신 시스템
WO2002087165A1 (fr) Appareil et procede permettant de connecter des appareils a liaison radioelectrique, procede permettant de creer un tableau de situations exploitables pour une connexion d&#39;appareils, et support de donnees
WO20060882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US7471958B2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telephone equipment and terminal device used in cordless telephone system
JP2005192151A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画像・映像表示方法
JP2008026875A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画像・映像表示方法
WO2014086292A1 (zh) 一种由被叫终端决定主叫终端回铃音的方法及终端
JP3875710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5354689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8011523A (ja) 情報検索装置、サーバ装置、情報検索方法、及び、サーバ装置の情報検索方法
JP2006135965A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画像・映像表示方法
JP2002330201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JP3833690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275003B2 (ja) 電話機
JP2008216993A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画像・映像表示方法
JP2008211783A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画像・映像表示方法
JP2002271453A (ja) ヘッドセット用送受信機
JP2007272227A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画像・映像表示方法
JP2002320011A (ja) 携帯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7298959A (ja)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