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1837A - 호열성 세균의 단일 나선 디엔에이 결합단백질을 이용한유전자 증폭 효율 증대법 - Google Patents

호열성 세균의 단일 나선 디엔에이 결합단백질을 이용한유전자 증폭 효율 증대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837A
KR20020081837A KR1020010021264A KR20010021264A KR20020081837A KR 20020081837 A KR20020081837 A KR 20020081837A KR 1020010021264 A KR1020010021264 A KR 1020010021264A KR 20010021264 A KR20010021264 A KR 20010021264A KR 20020081837 A KR20020081837 A KR 20020081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pcr
tssb
ssb
dna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현군
고민수
Original Assignee
솔젠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젠트 (주) filed Critical 솔젠트 (주)
Priority to KR102001002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1837A/ko
Publication of KR20020081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83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6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7/00Reactions demanding special reaction conditions
    • C12Q2527/125Specific component of sample, medium or buff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49/0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used to influence the efficiency or specificity

Abstract

본 발명은 호열성 세균의 단일 나선 DNA 결합단백질 (Single strand DNA binding protein, SSB)을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nin reaction, PCR)에 의한 유전자 증폭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열성 세균의 단일 나선 디엔에이 결합단백질을 이용한 유전자 증폭 효율 증대법 {Increasing PCR amplification efficiency by using thermostable single-stranded DNA binding (SSB) protein}
유전자 증폭의 방법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PCR은 Taq polymerase, Pfu polymerase, Vent polymerase 등의 내열성 DNA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극소량의 유전자를 103내지 109배까지 증폭하는 기술이다. 현재 PCR 기술은 분자생물학, 인류학, 진화학, 계통분류학 등의 학문적 연구 분야 뿐만 아니라 의료 진단 분야, 범죄, 사망, 사고 사건들의 조사, 친자 감별, 이산가족 및 미아 검색, 동식물 유전자 감별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그 PCR 기술을 이용하여 유전자를 증폭 시킬때, 시료의 상태나 유전자의 구조및 서열상의 특징에 따라 증폭이 전혀 안되거나 그 증폭효율이 매우 낮은 경우가 종종 나타난다. 특히, 대상 유전자의 서열이 구아닌(guanine) 또는 시토신(cytosine)의 빈도가 많거나 서열상의 특징으로 특정위치에서 매우 안정적인 stem-loop 등의 2차구조가 형성되는 경우에서 그 증폭효율은 매우 낮게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은 PCR 에 사용되는 프라이머(primer)의 서열에 따라서도 나타난다. 이러한 경우 현재까지는 글리세롤(glycerol), DMSO, 베테인(betain) 등의 화학물질을 PCR 반응액에 일정량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어느정도 그 효율을 높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물질은 사용되는 내열성 중합효소들의 활성을 낮추는 효과도 보이기 때문에 그 사용량은 제한되며, 이들로서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나타난다. 따라서, 고온에서 진행되는 PCR 전체 과정 동안에 주형 또는 프라이머 DNA의 이차구조 형성을 저해할 수 있는 내열성 SSB (thermostable SSB, TSSB)를 첨가함으로써 유전자 증폭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PCR에 의해 증폭이 난해한 경우에 화학물질 대신에 내열성 단일 나선 DNA 결합단백질(TSSB)를 이용하여 유전자 증폭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을 개발한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호열성 미생물의 TSSB를 대표하여 공지된 호열성 세균인 Thermus sp. (KCTC 2754)로 부터 TSSB를 코드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분석한 후, 이를 대장균에서 발현, 정제하여 PCR에 사용함으로서 유전자 증폭 효율을 크게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정제된 내열성 단일 DNA 가닥 결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Taq polymerase를 사용한 유전자 증폭의 반응 효율을 증대 시킨 결과이고,
도 2 는 정제된 내열성 단일 DNA 가닥 결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긴 단편의 유전자를 증폭하는 반응 효율을 증대 시킨 결과이다.
본 발명은 내열성 미생물의 TSSB를 PCR 반응용액에 첨가하여 반응 효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이를 위해 대표적 TSSB를 콜로닝 하고 재조합 미생물에서 발현, 정제하고, 이를 PCR 반응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3 단계로 구성되어있다.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Thermus sp.의 TSSB 유전자 클로닝
(1-1) PCR에 의한 Thermus sp.의 TSSB 유전자 증폭
Thermus sp. (KCTC 2754)의 TSSB 유전자를 대장균 클로닝 벡터 pUC19에 클론 하기위하여, Thermus sp. 와 유연관계가 높은 공지된 Thermus thermophilus VK1 의 SSB 유전자 염기서열 (GenBank accession number AF146075)을 근간으로 하여 프라이머 Tssbf와 Tssbr을 고안하여 화학합성하여 사용하였다. 그 프라이머들의 염기서열은 다음과 같다.
Tssbf : 5' cac gaa ttc ggg gat ggc tcg agg cct gaa cca 3'
Tssbr : 5' gtg aga tct atc aaa acg gca aat cct cct ccg 3'
pUC19의 클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들 프라이머의 5' 쪽에 제한효소 EcoRI 또는 BglII 인지 염기서열을 첨가하여주었다. PCR을 위한 주형 DNA는 Thermus sp.균주를 100 micro-liter 증류수에 풀고 5분간 끓인 후에 사용하였으며, PCR 반응은 Pfu polymerase를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약 850 bp 크기의 산물을 얻어, 페놀-클로로포름으로 추출(extraction)하고 에탄올 침전법으로 정제하였다.
(1-2) 증폭된 TSSB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제조 및 분석
정제된 DNA 산물은 EcoRI 과 BglII 로 반응시킨 후, 아가로스 젤 전기영동을 수행한 후, 젤로 부터 DNA를 분리하고 EcoRI 과 BamHI으로 절단한 pUC19 플라스미드와 함께 T4 DNA 라이게이즈(ligase)를 이용하여 DNA 결합반응(ligation)을 수행하였다. 16oC에서 10시간 반응후 반응액을 염화칼슘(CaCl2)을 이용한 대장균 균주 DH10beta 형질전환에 사용하였다. 이에대한 자세한 방법은 해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형질전환된 대장균 클론들 중에서 TSSB 유전자 절편이 삽입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갖는 재조합 균주를 선별해내고, EcoRI 등의 제한효소로 절단한 후, 그 크기를 비교하여 재조합 플라스미드가 제대로 합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고 pSG100으로 명명하였다.
(1-3) 클로닝된 TSSB 유전자의 염기배열 결정 및 분석
재조합 플라스미드 pSG100의 TSSB 유전자 염기서열을 Sanger의 다이디옥시뉴클리오타이드 시퀀싱(dideoxynucleotide sequencing) 방법으로 TSSB 단백질을 코딩하는 840bp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그 결과를 [서열목록]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염기서열로 부터 확실히 추론되는 TSSB 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 서열을 결정하는데 이는 총 279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공지된 Thermus thermophilus VK1, Thermus thermophilus HB-8, Thermus aquaticus YT-1 등의 SSB와 상동성이 있는 아미노산 서열을 지니고 있는 단백질이다.
실시예 2: TSSB 발현 재조합 플라스미드 제조와 대장균에서의 TSSB 단백질 발현
대장균 내에서의 발현과 정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TSSB 유전자를 Qiagen 사의 제품인 플라스미드 pQE32를 벡터로 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에서 상기의 Tssbf 와 Tssbr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증폭된 DNA를 EcoRI 과 BglII로 반응시킨 후, Klenow fragment를 이용하여 평활말단 (blunt end) 으로 만들어 주고, SmaI으로 절단한 pQE32 플라스미드와 함께 DNA 결합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액을 16 도씨에서 12 시간 놓아둔 후, 대장균 DH10beta 에 형질전환하여 엠피실린(amphicillin)이 포함된 LB 평판배지에 도말하고 37도씨에서 16시간 배양하여 콜로니들을 얻었다. 그들 콜로니중에서 pQE32 플라스미드보다 큰 플라스미드를 갖는 것들을 고른 후, TSSB가 발현되는 방향으로 끼어들어간 것들을 몇가지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확인하고 선별하고, pSG101로 명명하였다. 이렇게 선별된 플라스미드들을 갖는 콜로니들을 엠피실린이 포함된 LB 액체배지에서 대수기 (log phase, OD6000.3)까지 키우고 발현유도를 위하여 IPTG를 최종농도 0.5 mM 되도록 첨가하여 4 시간을 추가로 성장시켰다. 키운 재조합 대장균의 단백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SDS-PAGE를 수행하여 His-tag이 붙어있는 TSSB (His-TSSB)로 유추되는 단백질이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플라스미드 제조, 분석과 단백질 분석 방법은 해당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실시예 3: TSSB 단백질의 정제
pSG101을 포함하는 대장균 (DH10beta/pSG101)을 37도씨에서 16시간 LB 액체배지(앰피실린 50 ug/ml 포함)에서 진탕배양하여 새 배지 0.5 L 에 1/100 부피로 접종한 후, 같은 조건에서 약 3시간 키우고 IPTG를 최종 0.5 mM 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5 시간을 더 배양하였다. 원심분리에 의해 균체를 수확하고 버퍼 A (50 mM Tris-Cl, pH8.0, 100 mM NaCl, 1 mM EDTA) 10 ml로 현탁시키고 라이소자임 1 mg 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30 분간 방치하고, 72도씨에서 20분간 배양한 후 얼음으로 바로 옮겨 20분동안 놓아둔다. 원심분리 (10,000 g, 20분)하고, 상층액을 Ni-NTA 컬럼에 적재시킨 후, 버퍼 B (20 mM Tris-Cl, pH7.9, 300 mM KCl, 5 mM Imidazole) 를 흘려서 컬럼을 씻어준다. Imidazole이 200 mM 농도로 들어있는 버퍼 B로 컬럼에 붙어있던 단백질을 용출시킨다. 용출된 단백질은 0.5M NaCl, 50mM Tris-Cl, pH 9.0의 버퍼로 투석(dialysis)시키고, SDS-PAGE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얻은 단백질은 99 % 이상의 순수도를 나타냈으며, 약 20 mg/ml 의 농도를 나타냈다.
실시예 4: 정제된 TSSB 단백질의 PCR 효율증대 효과
정제된 TSSB 단백질을 PCR 반응액에 첨가하여 PCR 효율 및 특이적 산물 생성 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Taq polymerase와 긴 단편을 증폭하는 Ex-Taq polymerase, LA-Taq polymerase (Takara Co.) 등의 중합효소를 이용한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4-1) Taq polymerase를 이용한 PCR에서의 TSSB 효과
Taq polymerase를 이용한 PCR 시스템에서의 TSSB 효과를 보기위하여, 그 증폭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ApoE 유전자를 증폭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사람의 혈구세포로 부터 추출된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하고, ApoE primer set (Solgent Co. )를 프라이머로 하여 반응액은 전체 50 microliter의 1x Taq buffer, 0.2mM dNTP, 10 pmole primers, 2.5 Units Taq polymerase를 사용하고, TSSB는 125ng 또는 250ng 으로 사용하였으며, 95도씨 40초, 70도씨 1분의 반응을 35회 반복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TSSB가 없는 반응에서는 산물이 거의 생성되지 않은 반면에 (도 1 의 제 1열과 2열) TSSB를 125ng 또는 250ng 첨가한 반응에서는 산물이 뚜렷하게 형성되었다 (도 1 의 제 3 열과 4열). PCR에 있어서의 TSSB효과는 50 ng 에서 2 microgram 의 범위에서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4-2) 긴 단편을 증폭하는 PCR에서의 TSSB 효과
긴 단편을 증폭하는 PCR에서의 TSSB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서 사람의 베타-글로빈(human beta-globin) 유전자의 일부, 17 kb 크기의 DNA를 증폭하는 프라이머 세트 Glo-1 와 Glo-2 를 이용하는 PCR을 수행하였다.
프라이머 세트 Glo-1 과 Glo-2 의 염기 서열은 다음과 같다.
Glo-1: GGG ATG ATA GTC TGA CTT TCC TAA CCT
Glo-2: TGA GAC GCA TGA GAC GTG CAG CAC AT
반응액은 50 microliter 부피로 하였으며 주형 DNA는 사람 크로모좀 DNA 200 ng, 프라이머는 각각 10 pmole 씩을 사용하였다. 94oC 10초, 68oC 20분의 반응을 30회 수행하였다. 효소는 3가지 (Solgent EF-Taq, Takara Ex-Taq, Takara LA-Taq)를 2.5 units 또는 1.25 units를 사용하였다. 반응 버퍼는 각 사에서 제공되는 buffer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는데, 제 1 열은 박테리오파아지 람다 (bacteriophage lambda) DNA를 HindIII로 절단한 샘플. 제 2 열과 3열은 EF-Taq (Solgent Co.)을 2.5 units와 1.25 units를 사용한 PCR. 제 4 열과 5 열은 Ex-Taq (Takara Co.), 제 6 열과 7 열은 LA-Taq (Takara Co.)을 2.5 units와 1.25 units 를 사용한 PCR. 제 8 열과 9열은 EF-Taq을 2.5 units 와 1.25 units를 사용하였으며 TSSB를 250 ng 첨가한 PCR 반응의 결과물을 아가로스젤 에서 분석한 결과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같이 반응액에 TSSB를 250 ng 첨가하여 PCR을 수행했을때10배 이상의 산물이 생성되며, 효소를 1.25 units 사용하는 경우에 그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에서 단일나선DNA에 결합하는 내열성 단백질인 TSSB의 대표적 예로서 호열성 세균인 Thermus sp. 로부터 SSB의 유전자를 찾아내어 분석하고, 이를 대장균에서 과량발현 시킨 후, 정제된 단백질을 이용하여 유전자 증폭의 효율 및 특이성을 크게 증대시켰다. 본 발명으로 내열성 미생물의 SSB를 사용하여 유전자 증폭시에 그 주형 또는 프라이머의 구조 및 염기 서열에 따라 증폭이 난해한 경우의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이전에 이러한 문제점들은 몇 가지 화학물질을 사용하여왔으나, 그러한 화학물질들은 DNA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해 주는 반면에 효소의 활성을 낮추게 되는 부작용이 있어서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 이었다. 단백질 인자인 TSS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합효소의 활성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DNA의 구조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길이가 긴 DNA의 증폭시에 TSSB는 증폭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4)

  1. PCR 반응에 내열성 SSB를 첨가하여 유전자 증폭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내열성 SSB는 60oC 이상의 온도에서에 1시간 이상 그 활성이 유지되는 특성이 있는 단일 DNA 가닥 결합단백질을 포함한다
  3. 제1항에 있어서,
    내열성 SSB는 원균주에서 생산되거나 유전자 재조합 균주에 의해 생산된 SSB를 말한다.
  4. 제1항에 있어서,
    내열성 SSB는 PCR 반응액에 1 microgram/ml 에서 40 microgram/ml의 농도 범위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KR1020010021264A 2001-04-20 2001-04-20 호열성 세균의 단일 나선 디엔에이 결합단백질을 이용한유전자 증폭 효율 증대법 KR20020081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264A KR20020081837A (ko) 2001-04-20 2001-04-20 호열성 세균의 단일 나선 디엔에이 결합단백질을 이용한유전자 증폭 효율 증대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264A KR20020081837A (ko) 2001-04-20 2001-04-20 호열성 세균의 단일 나선 디엔에이 결합단백질을 이용한유전자 증폭 효율 증대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837A true KR20020081837A (ko) 2002-10-30

Family

ID=2770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264A KR20020081837A (ko) 2001-04-20 2001-04-20 호열성 세균의 단일 나선 디엔에이 결합단백질을 이용한유전자 증폭 효율 증대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18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8642A (zh) * 2021-04-30 2021-08-20 上海交通大学 一种深海古菌单链dna结合蛋白ssb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8642A (zh) * 2021-04-30 2021-08-20 上海交通大学 一种深海古菌单链dna结合蛋白ssb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0055C2 (ru) Способ амплификации днк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6454243B2 (ja) 閉鎖型直鎖状dnaの製造
US5700672A (en) Purified thermostable pyrococcus furiousus DNA ligase
US5455170A (en) Mutated thermostable nucleic acid polymerase enzyme from Thermus species Z05
CA2071213C (en) High temperature reverse transcriptases
WO1999064438A1 (en) Thermostable polymerase
JP2000508538A (ja) バシラス ステアロテルモフィルスdnaポリメラーゼの生物学的に活性な断片
CA2092317A1 (en) Purified thermostable nucleic acid polymerase enzyme from thermosipho africanus
JPH08298991A (ja) 修飾されたdnaポリメラーゼ
JP4486009B2 (ja) Dnaリガーゼ変異体
JP2863738B2 (ja) 熱安定性ピロホスファターゼをコードするdna
JP4054871B2 (ja) 耐熱性dnaリガーゼ
JP3891330B2 (ja) 改変された耐熱性dnaポリメラーゼ
KR20020081837A (ko) 호열성 세균의 단일 나선 디엔에이 결합단백질을 이용한유전자 증폭 효율 증대법
US6444429B1 (en) Gene coding for DNA ligase of hyperthermophilic bacteria Aquifex pyrophilus and protein expressed therefrom
WO2007117331A2 (en) Novel dna polymerase from thermoanaerobacter tengcongenesis
JP4808361B2 (ja) 新規dna合成酵素
KR100269979B1 (ko) 써무스 필리포미스로부터 분리된 내열성 dna 중합효소의 유전자 및 그로부터 유추되는 아미노산 서열
JP3498808B2 (ja) Dnaポリメラーゼ遺伝子
JPH05304964A (ja) Dnaポリメラーゼ遺伝子
Ishii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N gene product of bacteriophage lambda
US6277614B1 (en) Deoxyribonuclease
CN115975975A (zh) 一种室温条件下具有扩增活性的dna聚合酶及其应用
JP3679536B2 (ja) 耐熱性dna合成酵素
EP4041877A1 (en) Dna polymerase and dna polymerase derived 3'-5'exonucl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