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0946A -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0946A
KR20020080946A KR1020010020831A KR20010020831A KR20020080946A KR 20020080946 A KR20020080946 A KR 20020080946A KR 1020010020831 A KR1020010020831 A KR 1020010020831A KR 20010020831 A KR20010020831 A KR 20010020831A KR 20020080946 A KR20020080946 A KR 20020080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advertisem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주희
변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텍
Priority to KR102001002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0946A/ko
Publication of KR2002008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94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의 영상표시부에 표시되는 광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의 영상표시부에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표시하여 광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a) 고유 캐릭터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고유 캐릭터에 광고소품을 합성하는 단계; (c) 상기 광고소품이 합성된 광고캐릭터를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d) 이동통신단말의 영상표시부에 상기 광고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특정 통신단말에 표시된 광고 캐릭터를 상기 통신단말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간 통신시 다른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전송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a) 특정 통신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다른 통신단말과 통신 접속하는 단계; (b) 상대 통신단말에 광고 캐릭터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광고 캐릭터를 전송받은 통신단말의 영상표시부에 상기 광고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광고 캐릭터가 표시된 상태로 상기 통신단말들 간에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Method of Advertising by Character Composed of Advertisement Properties}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의 영상표시부에 표시되는 광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의 영상표시부에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표시하여 광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기기의 광고 방법에는 배너, 텍스트, 이메일 등의 수단을 사용한 광고가 이용되었으나, 이는 대량의 광고를 사용자에게 노출시켜서,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대량광고에 쉽게 실증을 내고, 동일 종류의 광고에 흥미를 유발하지 못해, 광고의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현상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인구의 증가와 통신속도의 증가로 인해, 이동통신기기 사용자는 이동통신기기로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고자하는 욕구가 증가하였으며, IMT-2000 등의 고속 데이터서비스가 가능한 기기들이 개발됨에 따라 이동통신을 이용한 다양한 컨텐츠의 공급이 가능해 졌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광고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단말에 광고소품이 합성된 캐릭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고유한 캐릭터를 이동통신단말의 영상표시장치에 표시하여, 광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단말 간, 또는 이동통신단말과 타 통신기기 간의 음성통화 또는 화상통화 시 상대 통신기기에 자신의 고유 캐릭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적용되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서비스제공자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a 내지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캐릭터를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소품이 합성된 광고소품이 합성된 캐릭터를 이동통신단말의 영상표시부에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가 합성된 캐릭터를 이동통신단말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가 합성된 캐릭터를 다른 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a) 고유 캐릭터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고유 캐릭터에 광고소품을 합성하는 단계; (c) 상기 광고소품이 합성된 광고캐릭터를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d) 이동통신단말의 영상표시부에 상기 광고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a)는, 캐릭터의 부분별 이미지 선택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캐릭터의 부분별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캐릭터의 부분별 이미지를 합성하여 고유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b)는, 상기 고유 캐릭터 및 광고소품의 부분별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광고소품의 부분별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고유 캐릭터에 선택된 각 부분별 광고 캐릭터를 합성하여 광고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특정 통신단말에 표시된 광고 캐릭터를 상기 통신단말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간 통신시 다른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전송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a) 특정 통신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다른 통신단말과 통신 접속하는 단계; (b) 상대 통신단말에 광고 캐릭터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광고 캐릭터를전송받은 통신단말의 영상표시부에 상기 광고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광고 캐릭터가 표시된 상태로 상기 통신단말들 간에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에 광고소품이 합성된 캐릭터를 표시하여, 이동통신단말에 계속적인 광고를 표시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 사용자와 그 주변인에게 광고의 노출 횟수를 늘려, 광고 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음성/화상통화, 문자메시지, 이메일 전송 등의 다양한 통신 중에 이동통신단말에 표시된 고유 캐릭터를 전송함으로써, 광고를 보다 많은 사람에게 노출시켜, 광고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캐릭터(character)라 함은 회원의 특징을 나타내는 사람형상의 그림을 말한다. 또한, 이미지라 함은 컴퓨터에서 확인 가능한 그림 파일(예를들어, JPG, GIF 등의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말한다. 그리고, 영상표시부라 함은 통신단말이 수신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통신단말의 외부에 텍스트 혹은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장치로서, LCD, TFT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시스템 구성>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1~N(12), 이동통신망(20), 이동통신화사시스템(30), 유선통신망(40) 및 서비스제공자시스템(50)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면, 상기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단말(10)
이동통신단말(12)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서비스제공자시스템(30)에 접속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광고캐릭터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이다. 또한, 이동통신단말(10)은 이동통신망(10)에 연결되어 다른 통신단말(12)과 데이터 및 음성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12)은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기기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전화는 CDMA, PDC, TDMA, FLEX, iDEN, TETRA, DECT, DataTAC, IMT-2000 등의 표준을 사용하는 이동통신기기로서, 음성통화가 가능하고, WAP게이트웨이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기기이다. 하지만, 상기 WAP게이트웨이로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휴대전화는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고, WML, CWML등의 언어로 제작된 파일을 이동통신단말의 영상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PDA는 PalmOS, EPOC, Windows CE, FLEXOS, OS/9, JavaOS 등의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휴대용 데이터 장치로서, 무선 모뎀 등의 통신장치를 사용하여, 이동통신망(20)과, 유선통신망(40)을 통해 서비스제공자시스템(5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PDA는 영상표시장치와 웹브라우저를 포함한다. 여기서, 웹브라우저는 HTML, XML 등의 언어로 제작된 파일을 영상표시장치에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휴대전화용 파일의 예로서 WML, CWML등의 언어로 제작된 파일로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CHTML, MHTML 등의 언어로 제작된 파일과 같은 광범위한 휴대전화용 파일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동통신망(20)
이동통신망은 이동통신단말과 이동통신회사를 상호 접속시켜, 음성통화, 화상통화,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통신망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망은 CDMA, PDC, TDMA, FLEX, iDEN, TETRA, DECT, DataTAC 등의 표준을 사용하는 통신망으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 수신할 수 있다. 다르게, 이동통신망은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 2000) 등의 인공위성을 사용한 무선통신망일 수 있다.
이동통신회사시스템(30)
이동통신회사시스템(30)은 이동통신단말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유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제공자시스템(50)에 접속하거나, 다른 통신단말과 음성통화, 또는 화상통화 등을 실행하기 위한 디지털 장치이다. 아울러, 이동통신회사시스템(30)은 단문메시지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이메일전송, 및 무선인터넷 등 이동통신단말이 다양한 방법으로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전술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통신회사시스템은 WAP게이트웨이(32), 무선인터넷게이트웨이(34), 및 전화교환기(36)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WAP게이트웨이(32)는 이동통신단말(10)과 유선통신망(40)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포인트로서, 디지털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 가능하다.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은 이동통신단말이 전자우편, 웹, 뉴스그룹 및 IRC(Internet Relay Chat) 등의 인터넷 액세스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표준화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규격이다.
또한, 무선인터넷게이트웨이(34)는 PDA 등의 이동통신단말(10)이 직접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선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포인트로서, 디지털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전화교환기(36)는 이동통신단말(10)이 타 이동통신단말(10) 또는 유선통신단말에 접속하여 음성통화 또는 화상통화를 실시하도록 연결하는 네트워크 포인트이다.
유선통신망(40)
유선통신망(40)은 유선 인터넷망, 공중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을 포함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WAP게이트웨이(32) 및 무선인터넷게이트웨이(34)를 통해 이동통신단말(10)과 서비스제공자시스템(30)을 공통적으로 접속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망은 유선통신단말과 이동통신단말이 음성통화 또는 화상통화를 실시할 수 있는 아날로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이다.
서비스제공자시스템(50)
서비스제공자시스템(50)은 광고캐릭터서비스제공자(이하 서비스제공자)가 보유한 디지털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의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12b)를 저장하고, 저장된 캐릭터(12b)를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제공자시스템(50)은 웹서버(52), 인증모듈(54a), 캐릭터모듈(54b), 광고이미지삽입모듈(54c), 캐릭터전송모듈(54d), 인증DB(56a), 부분캐릭터DB(56b), 광고소품DB(56c), 및 캐릭터DB(56d)를 포함한다.
상기 웹서버(52)는 사용자단말이 접속할 경우, 사용자 단말에 HTML(Hyper Text Meta Language), WML(Wireless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언어로 제작된 웹페이지를 전송하는 디지털 컴퓨터 시스템이다. 이러한 웹서버는 기억장치에 웹서비스데몬을 탑재하고 있다. 여기서, 웹서비스데몬은 HTTPD(HyperText Transfer Protocol daemon) 등의 프로그램으로서, 이동통신단말(10)이 웹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웹서비스데몬이 시행되고있는 서버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10)에 HTML, WML, XML 등의 언어로 제작된 파일을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증모듈(54a)은 상기 이동통신단말(10)이 접속할 경우, 이동통신단말(10)의 단말기 정보(단말기 전화번호, 종류 등)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인증DB(56a)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캐릭터모듈(54b)은 사용자단말에 고유 캐릭터(12a)를 제작할 수 있는 웹페이지(도 3a, 3b, 3c, 3d, 3e, 및 3f)를 차례로 이동통신단말(10) 제공하고, 제작된 고유 캐릭터(12a)를 캐릭터DB(56d)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캐릭터모듈(54b)은 이동통신단말(10)의 요구에 따라 캐릭터를 제작할 수 있는 웹페이지(예를들어 도 3a, 3b, 3c, 3d, 3e, 및 3f)를 이동통신단말(10)에 전송한다. 예를들어, 상기 웹페이지에는 다양한 형태의 인체의 각 부분들을 차례로 나타나고, 인체의 각 부분들은 각각 선택이 가능하여, 회원에 의해 인체의 모든 부분이 선택되었을 경우, 선택된 인체의 각 부분들을 합성하고, 합성된 캐릭터(12a)를 이동통신단말(10)에 웹페이지형태로 전송한다. 그리고, 캐릭터모듈(54b)은 합성된 고유 캐릭터(12a)를 캐릭터DB(56d)에 저장한다.
광고이미지삽입모듈(54c)은 고유 캐릭터(12a)와 광고소품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더불어, 광고이미지삽입모듈(54c)은 광고소품이 합성된 캐릭터(12b)를 캐릭터DB(56d)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광고이미지삽입모듈(54c)의 역할을 자세히 설명하면, 광고이미지삽입모듈(54c)은 이동통신단말(10)에 고유 캐릭터(12a)와 광고소품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웹페이지를 이용하여 각 광고소품 이미지를 선택하면, 선택된 이미지를 고유 캐릭터(12a)에 합성하여, 합성된 캐릭터(12b)를 캐릭터DB(56d)에 저장한다. 다르게, 광고이미지삽입모듈(54c)은 임의로 광고소품 이미지를 고유 캐릭터(12a)에 합성하여, 합성된 캐릭터(12b)를 캐릭터DB(56d)에 저장할 수도 있다.
캐릭터전송모듈(54d)은 캐릭터DB(56d)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소품이 합성된 캐릭터(12b)를 이동통신단말(10)에 전송한다. 여기서, 캐릭터전송모듈(54d)은 인증DB(56a)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통신단말(10)의 단말기 종류를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 종류에 따라, 광고소품이 합성된 캐릭터(12b)를 이동통신단말(10)이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의 포맷으로 변경하고, 포맷이 변경된 캐릭터 이미지를 이동통신단말(10)에 전송한다.
인증DB(56a)는 이동통신단말의 단말기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종류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 종류는 단말기의 모델 정보로서, 제조회사와 모델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DB(36a)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다르게 이동통신회사가 보유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 종류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부분캐릭터DB(56b)는 고유 캐릭터를 제작하기 위한 캐릭터의 부분 이미지들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부분 캐릭터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합성위치가 저장된다. 여기서, 부분 캐릭터 이미지는 GIF, JPG, TIF 등의 포맷으로 저장된 그림파일이다. 또한, 이미지합성위치는 예를들어, 몸통의 이미지는 머리 이미지 아래에 위치한다는 정보를 말한다.
광고이미지DB(56c)는 고유 캐릭터(12a)에 합성되는 광고소품 이미지들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광고이미지DB(56c)에는 광고소품이미지와 상기 광고소품이미지에 대응하는 광고소품위치, 광고주, 및 광고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광고소품이미지는 GIF, JPG, TIF 등의 포맷으로 저장된 그림파일이다. 광고소품위치는 고유캐릭터 이미지에 광고소품이미지가 합성될 때 두 이미지를 결합시키는 지점의 위치정보로서, 예를들어 모자를 나타내는 광고소품이미지의 경우, 상기 광고소품이미지는 고유 캐릭터 머리 위에 합성된다. 또한, 상기 광고주는 광고를 의뢰한 자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광고정보는 웹페이지주소, 전화번호, 또는 광고문구로서, 이동통신단말 사용자가 상기 광고소품을 선택한 경우, 광고를 보여주기 위한 정보이다. 즉, 이동통신단말 사용자가 영상표시부에 나타난 광고가 합성된 캐릭터(12b) 중에서 상기 광고소품을 선택한 경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광고정보를 이용하여 웹페이지주소, 전화번호 등에 접속하여 광고를 영상표시부에 보여주거나, 광고문구를 영상표시부에 보여지기 위한 정보를 말한다.
캐릭터DB(56d)는 회원명과 회원명에 대응하는 고유 캐릭터(12a)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캐릭터DB(56d)에는 상기 회원명에 대응하는 광고소품이 합성된 캐릭터(12b)가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캐릭터를 이동통신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 '캐릭터 자동 갱신 방법', 및 '자신의 광고 캐릭터를 타 통신단말의 영상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캐릭터를 이동통신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
'캐릭터를 이동통신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은 서버접속단계(S110), 캐릭터선택단계(S120), 캐릭터에 광고소품합성단계(S130), 광고캐릭터전송단계(S140), 광고캐릭터표시단계(S150)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전술한 단계(S110, S120, S130, S140, S150)를 자세히 설명한다.
서버접속 단계(S110)
이동통신단말(10)이 서비스제공자시스템(50)에 접속한다. 이때, 인증모듈(54a)은 이동통신단말(10)에 단말기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10)로부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말기 정보를 인증DB(56a)에 저장한다.
캐릭터제작 단계(S120)
캐릭터모듈(54b)은 얼굴형, 눈썹, 눈, 코, 입, 앞머리 등의 부분 캐릭터 이미지 선택화면(도 3a, 3b, 3c, 3d, 3e, 및 3f)을 이동통신단말(10)에 제공한다(S122). 여기서, 캐릭터모듈(54b)은 부분캐릭터DB(56b)에 저장된 부분캐릭터 이미지를 호출하여, 호출된 이미지를 이동통신단말(10)에 제공하는데, 여기서, 인증DB(56a)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 종류에 따라 이동통신단말(10)이 인식할 수 있는 그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회원은 이동통신단말(10)에 제공된 부분 캐릭터 이미지 중에서 희망하는 부분의 이미지를 차례로 선택한다(S124). 예를들어, 회원은 머리모양은 "머리1" 이미지를 선택하고, 몸통모양은 "몸통3"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들(S122 및 S124)은 캐릭터모듈(54a)이 각 부분이미지를 한 화면에 한 개의 이미지를 이동통신단말(1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를 차례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캐릭터모듈(54b)은 이동통신단말(10)로부터 선택 이벤트를 전송 받아, 회원이 선택한 각 부분 캐릭터를 합성하여, 고유 캐릭터(12a)를 생성한다(S126). 예를들어, 캐릭터모듈(54b)은 고유 캐릭터(12a)를 합성하기 위한 팔레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팔레트 위에 부분 캐릭터를 배치하고, 배치된 팔레트를 그림파일로 저장하여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다.
캐릭터모듈(54b)은 제작된 고유 캐릭터(12a)를 캐릭터DB(56d)에 저장한다(S128). 바람직하게, 단계 S128에서 저장된 고유 캐릭터(12a)는 몸통 이미지를 갖고 있지 않다. 다르게, 고유 캐릭터(12a)가 몸통 이미지를 갖고 있으나, 상기 몸통은 아무런 특징도 갖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캐릭터에 광고소품을 삽입하는 단계(S130)
광고이미지삽입모듈(54c)은 고유 캐릭터(12a)에 광고소품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는 화면을 사용자단말(10)에 제공한다(S132). 예를들어, "(주)비에스텍"이라고 적힌 모자, "서울시"로고가 새겨진 티셔츠 등을 나열하여 회원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회원은 사용자단말(10)에 제공된 광고소품이미지를 선택한다(S134).
광고이미지삽입모듈(54c)은 고유 캐릭터(12a)와 각 부분별 광고소품 이미지를 합성한다(S136). 상기 단계 S136에서, 광고이미지삽입모듈(54c)은 고유캐릭터(12a)의 이미지 위에 광고 소품의 이미지를 겹쳐 놓아 상기 다른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다.
광고소품이 합성된 캐릭터(12b)를 캐릭터DB(56d)에 저장한다(S138).
다르게, 광고이미지삽입모듈(54c)은 주기적으로 고유 캐릭터(12a)에 광고소품을 합성하고, 합성된 캐릭터(12b)를 이동통신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캐릭터 전송하는 단계(S140)
캐릭터전송모듈(54d)은 광고가 합성된 캐릭터(12b)를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한다. 여기서, 캐릭터전송모듈(54d)은 인증DB(56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0)의 단말기 종류를 호출하여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그림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그림파일을 상기 이동통신단말(10)에 전송한다.
광고 캐릭터 표시하는 단계(S150)
상기 서비스제공자시스템(50)으로부터 광고소품을 삽입한 캐릭터(12b)를 전송 받은 이동통신단말(10)은 이를 저장장치(미도시)에 저장하고, 저장된 캐릭터를 이동통신단말(10)의 영상표시장치에 표시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10)은 저장되어있는 캐릭터(12b)를 이동통신단말의 영상표시부에 배경에 삽입하여 표시하고, 이동통신단말의 나머지 정보들을 배경 위에 표시하도록 하여, 이동통신단말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캐릭터를 영상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캐릭터 자동 갱신 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광고를 삽입한 캐릭터(12b)를 일정주기마다 이동통신단말(10)에 전송하여, 이동통신단말에 표시되는 캐릭터를 갱신할 수도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일정 기간마다 캐릭터전송모듈(54d)은 캐릭터DB(56d)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캐릭터(12a)를 검색하고, 검색된 고유 캐릭터에 광고소품을 자동으로 합성한다. 그리고, 광고소품이 합성된 캐릭터(12b)를 이동통신단말(10)에 전송한다. 여기서, 캐릭터전송모듈(54d)은 이동통신단말(10)이 통신 중인지를 판단하고, 통신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이동통신단말(10)과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10)에 광고소품을 삽입한 캐릭터(12b)를 전송한다. 또한, 광고소품이 합성된 캐릭터(12b)를 전송 받은 이동통신단말(10)은 영상표시부에 광고를 합성한 캐릭터를 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에는 일정한 주기마다 새로운 캐릭터(12b)를 영상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자신만의 캐릭터(12a)와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12b)를 제작하고, 제작된 캐릭터를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에 저장하고, 저장된 캐릭터(12b)를 이동통신단말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개성 있는 화면을 가진 이동통신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주가 많은 이동통신단말에 자신의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자신의 광고 캐릭터를 타 통신단말의 영상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방법>
또한, 이동통신단말(10)에 저장된 캐릭터(12b)는 상기 이동통신단말(10)의 사용자가 다른 통신단말(이동통신단말 및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유선통신단말)과 통신 시 타 통신단말의 영상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도 5를 통해 자세히설명한다.
통화접속단계(S210)
사용자는 통화를 희망하는 다른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를 이동통신단말에 입력하고, 이동통신단말은 입력된 전화번호를 통신회사의 전화교환기에 전송한다.
전화번호를 전송 받은 통신회사의 교환기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대 통신단말을 호출하고, 상대 통신단말로부터 응답이 있을 경우, 통신단말들간에 통화접속을 실행한다.
상대단말의 형태검색단계(S220)
통화접속이 완료되면, 통신단말은 상대 통신단말의 종류를 검색하여, 상대 통신단말이 캐릭터(12b)를 표시할 수 있는지를 검색한다. 바람직하게, 이동통신단말은 상대 통신단말이 캐릭터(12b)를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질의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대 통신단말로부터 영상표시부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대 통신단말이 캐릭터(12b)를 수신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일반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대 통신단말이 캐릭터(12b)를 수신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단계 S230을 실행한다.
상대단말에 광고캐릭터 전송단계(S230)
상대 통신단말이 캐릭터(12b)를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부를 갖고 있으면, 이동통신단말은 자신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12b)를 상대 통신단말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이동통신단말(10)은 상대 통신단말의 영상표시부에 표시할수 있는 이미지 형태로 캐릭터(12b)의 저장 포맷을 변경하고, 변경된 이미지를 전송한다.
광고 캐릭터를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단계(S240)
상대 통신단말은 전송 받은 캐릭터를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저장된 캐릭터를 영상표시부에 표시한다.
음성통화단계(S250)
상대 통신단말은 영상표시부에 상대방의 캐릭터(12b)가 표시된 상태로 이동통신단말 사용자와 상대 통신단말 사용자가 음성통화를 실시한다.
통화접속해제단계(S260)
통화가 종료되면, 이동통신단말은 종료신호를 발신하고, 이동통신회사의 교환기는 접속을 해제한다. 이 때 상대 통신단말은 종료신호를 수신하고, 영상표시부에 표시된 캐릭터(12b)를 표시하지 않는다.
이로써, 음성통화 시에 영상표시부가 있는 통신단말에 자신의 캐릭터를 전송함으로써, 통화 상대자에게 자신의 개성 있는 캐릭터를 보여 줄 수 있다. 또한, 화상통화가 가능한 통신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자신의 실제 화면 영상이 아닌 개성 있는 캐릭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대 통화자는 캐릭터에 포함된 광고소품을 함께 인식하게 되어, 광고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전술한 자신의 광고 캐릭터를 타 통신단말의 영상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방법은 음성통화, 혹은 화상통화의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 의해 이동통신단말의 단문메시지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단문메시지 전송시 캐릭터를 함께 전송하거나, 단순히 광고 캐릭터만을 전송하여 다른 통신단말의 영상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에 광고소품이 합성된 캐릭터를 표시하여, 이동통신단말에 계속적인 광고를 표시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 사용자와 그 주변인에게 광고의 노출 횟수를 늘려, 광고 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음성/화상통화 문자메시지, 이메일 전송 등의 다양한 통신 중에 이동통신단말에 표시된 고유 캐릭터를 전송함으로써, 광고를 보다 많은 사람에게 노출시켜, 광고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a) 고유 캐릭터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고유 캐릭터에 광고소품을 합성하는 단계;
    (c) 상기 광고소품이 합성된 광고캐릭터를 이동통신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d) 이동통신단말의 영상표시부에 상기 광고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가
    캐릭터의 부분별 이미지 선택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캐릭터의 부분별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캐릭터의 부분별 이미지를 합성하여 고유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
  3.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캐릭터 및 광고소품의 부분별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광고소품의 부분별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고유 캐릭터에 선택된 각 부분별 광고 캐릭터를 합성하여 광고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
  4. 특정 통신단말에 표시된 광고 캐릭터를 상기 통신단말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간 통신시 다른 사용자의 통신단말에 전송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
    (a) 특정 통신단말이 통신망을 통해 다른 통신단말과 통신 접속하는 단계;
    (b) 상대 통신단말에 광고 캐릭터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광고 캐릭터를 전송받은 통신단말의 영상표시부에 상기 광고 캐릭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광고 캐릭터가 표시된 상태로 상기 통신단말들 간에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20010020831A 2001-04-18 2001-04-18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020080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831A KR20020080946A (ko) 2001-04-18 2001-04-18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831A KR20020080946A (ko) 2001-04-18 2001-04-18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946A true KR20020080946A (ko) 2002-10-26

Family

ID=2770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831A KR20020080946A (ko) 2001-04-18 2001-04-18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09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174B1 (ko) * 2001-12-11 2005-02-05 (주)이미지쇼크 광고 데이터가 포함된 캐릭터의 무선 전송 방법 및 그기록매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166A (ja) * 1998-12-08 2000-06-23 Canon Inc テレビ電話装置、テレビ電話装置の送受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0196987A (ja) * 1998-12-25 2000-07-14 Ricoh Co Ltd 携帯情報端末
KR20000058249A (ko) * 1999-12-30 2000-10-05 이용호 이미지파일 전송 시스템 및 방법과 상기 시스템 및 방법을이용한 프랜차이즈 서비스
KR20010090227A (ko) * 2000-03-24 2001-10-18 김기태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 동영상 표시 방법
KR20020012388A (ko) * 2000-08-07 2002-02-16 김경선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의 벨소리 및 캐릭터를 이용한광고방법
KR20020014358A (ko) * 2000-08-17 2002-02-25 최성묵 인터넷상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포토아바타캐릭터 합성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46062A (ko) * 2000-12-12 2002-06-20 한명석 합성영상을 이용한 모바일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166A (ja) * 1998-12-08 2000-06-23 Canon Inc テレビ電話装置、テレビ電話装置の送受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0196987A (ja) * 1998-12-25 2000-07-14 Ricoh Co Ltd 携帯情報端末
KR20000058249A (ko) * 1999-12-30 2000-10-05 이용호 이미지파일 전송 시스템 및 방법과 상기 시스템 및 방법을이용한 프랜차이즈 서비스
KR20010090227A (ko) * 2000-03-24 2001-10-18 김기태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 동영상 표시 방법
KR20020012388A (ko) * 2000-08-07 2002-02-16 김경선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의 벨소리 및 캐릭터를 이용한광고방법
KR20020014358A (ko) * 2000-08-17 2002-02-25 최성묵 인터넷상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포토아바타캐릭터 합성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46062A (ko) * 2000-12-12 2002-06-20 한명석 합성영상을 이용한 모바일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174B1 (ko) * 2001-12-11 2005-02-05 (주)이미지쇼크 광고 데이터가 포함된 캐릭터의 무선 전송 방법 및 그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268B1 (ko) 텍스트 표시 단말 장치 및 서버
US79127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ews information by using three dimensional character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6826417B2 (en) Process for sending images to a low display ability terminal
US20060212818A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e
WO2007008050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flashcon in a instant messenger of a mobile device
KR20120136633A (ko) 이성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66326A (ko) 휴대폰의 p2p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492415B1 (ko) 모바일 폰에서의 3차원 아바타 생성 및 이용 방법
KR20020080946A (ko) 광고소품을 합성한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9990083929A (ko)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이용한 채팅 서비스 제공방법
KR2002001238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의 벨소리 및 캐릭터를 이용한광고방법
KR20020036280A (ko) 유무선 네트웍 환경에서의 수화 전송방법 및 장치
KR100641145B1 (ko) 화상 통신 단말기의 왑 브라우저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 방법
KR101117385B1 (ko) 모바일 이미지 합성 광고 방법
JP4530016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データ通信方法
KR100546075B1 (ko) 아이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아이콘 메시지 전송 시스템
JP2004008354A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管理装置、および広告方法
JP2002288080A (ja) メール管理装置、メール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48379A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
JP2002290567A (ja) Ip電話システム、ip電話サーバ、及び広告提供プログラム
JP2006319653A (ja) 通信端末制御方法、通信端末、通信サーバ、及び通信方法
EP20734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mail communication using mobile devices, in particular mobile phones, on basis of at least one of mobile phone numbers and graphics or image personalization technology
JP2001036567A (ja) 電子メール中継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WO2021137233A1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rich contacts for pre-phonecall communication
JP2006080707A (ja) 電話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情報表示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