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0490A - 기저귀와 같은 1회용 흡수성 물품용 탄성 폐쇄 테이프 탭 - Google Patents

기저귀와 같은 1회용 흡수성 물품용 탄성 폐쇄 테이프 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0490A
KR20020080490A KR1020027012091A KR20027012091A KR20020080490A KR 20020080490 A KR20020080490 A KR 20020080490A KR 1020027012091 A KR1020027012091 A KR 1020027012091A KR 20027012091 A KR20027012091 A KR 20027012091A KR 20020080490 A KR20020080490 A KR 20020080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elastic
inelast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996B1 (ko
Inventor
키니어크리스토퍼엠
에이논스튜어트엘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1711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8049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2008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13/581Tab fastener elements combining adhesive and mechanical fastening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제1 주면 상에 부직포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팽창 가능한 섬유층(17)을 갖춘 탄성 필름(16), 및 제2 주면 상에는 각기 한 주면 상에 접착제 층(22)을 갖춘 부직포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섬유층(21)을 포함하는 제1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30)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를 포함하는 탄성 적층체(1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30)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는 상기 접착제 층(22)에 의해 상기 탄성 적층체(15)의 상기 제2 주면에 서로 대향하여 부착되고, 상기 제1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30)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는 상기 탄성 적층체(15)를 지나 연장하는 것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10, 5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폐쇄 테이프 탭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및 본 발명의 폐쇄 테이프 탭을 절단할 수 있는 롤 형태의 예비 적층된 복합체 테이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기저귀와 같은 1회용 흡수성 물품용 탄성 폐쇄 테이프 탭{ELASTIC CLOSURE TAPE TAB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SUCH AS DIAPERS}
통상적으로, 1회용 기저귀는 얇고, 가요성이며, 신축성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백시트 필름, 상기 백시트 필름 내면 상에 흡수성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오버레이하는 다공성 탑 시트를 갖춘다. 그러한 기저귀는 착용자의 가랑이에 위치되며, 상기 기저귀의 두 말단부는 각각 정면과 배면으로 연장한다. 그 다음, 각 측면에서 기저귀의 인접 가장자리부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거나 또는 중첩되며,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 또는 기계식 파스너 테이프의 스트립은 두 가장자리부 각각의 더 넓은 인접부에서 백 시트에 부착되어 기저귀를 폐쇄시킨다.
1회용 물품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폐쇄 시스템은, 예컨대 후크 및 루프 잠금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기계식 파스너를 사용한다. 기계식 잠금 시스템은 1회용 물품을 개방하고, 다시 잠그는 데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기계식 파스너를 포함하는 폐쇄 시스템은 미국 특허 제5,019,073호 및 제5,176,671호, 유럽 특허 출원 EP 324 578호, EP 563 457호 및 EP 563 458호, 및 WO 96/21413호에 기재되어 있다.
현재, 1회용 흡수성 물품, 특히 기저귀의 외장은 기저귀에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부직포가 자주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저귀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폐쇄 시스템도 기저귀 폐쇄 시스템에 대한 착용감을 갖도록 부직포 배킹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폐쇄 시스템에 탄성을 포함시켜서 1회용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의 편안함을 증가시키도록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WO 99/48455호에는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는 탄성 탭 적층체가 개시되어 있다. 탄성 탭 적층체는 일면 상에 부분 연장 가능한 부직포 층을 갖춘 1 이상의 탄성층을 포함하는 공압출된 탄성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타면에는, 감압성 접착제 층 및/또는 기계식 파스너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제공된다.
EP 704 196호에는 1회용 기저귀에 대한 잠금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잠금 테이프는 적어도 양단에서 테이프의 한 표면에 고정된 연신 가능한 탄성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잠금 테이프의 섹션을 연결한다. 탄성 테이프에 의해 연결된 잠금 테이프의 길이는 이완된 상태에서 탄성 테이프보다 더 길다.
그러나, 상기 두 개의 특허 출원에 개시된 탄성 탭 적층체와 잠금 테이프는 착용자의 피부가 탄성 필름에 노출될 수 있어서 탄성 필름의 반복된 팽창과 이완중에 필름이 피부를 문지르기 때문에 피부의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이것은 유아의 피부와 같은 감수성 피부의 경우일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갖지 않는 동시에, 1회용 흡수성 물품의 양호한 성능, 즉 양호한 탄성 및 신뢰성있는 폐쇄를 제공하고, 기존의 1회용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적합한 탄성 폐쇄 테이프 탭을 개발하는 것이 요망된다. 탄성 폐쇄 테이프 탭은 용이하고,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제조를 위한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탄성 적층체를 포함하는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이 절단될 수 있는 안정한 롤 형태의 예비 적층된 복합체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체예를 설명하는 하기 도면을 참고로 더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을 이것으로 국한시키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을 갖춘 1회용 흡수성 물품의 개략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두 가지 구체예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사용 전에 보관 중인 1회용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부에 부착된 도 3의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두 가지 개략 배치도이고,
도 6,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또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며,
도 7은 사용 전에 보관 중인 1회용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부에 부착된 도 6의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을 도시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접착제 테이프는 흡수성 물품에 대한 폐쇄 시스템, 특히 기저귀에 대한 폐쇄 시스템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폐쇄된 형태의 1회용 기저귀(1)의 사시도이다. 기저귀는 내면(110)과 외면(120) 사이에 흡수성 코어(130)를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130)는 일반적으로 압축 가능하고, 정합성이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성이고, 액체 및 특정한 체내 배설물을 흡수하고 보류시킬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일 수 있다.
기저귀의 외면(120)은 액체 불투과성이며, 플라스틱 박막으로부터 제조되는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가요성의 액체 불투과성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외면(120)은 흡수성 코어에 흡수되어 함유된 배설물이 기저귀(1)를 접촉하는 물품, 예컨대 침대 시트 및 속옷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외면(120)은 착용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의 내면(110)은 유순하고 부드러운 감을 가지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성이다. 또한, 내면(110)은 그 두께를 통하여 액체를 즉시 투과시키는 액체 투과성이다. 적절한 내면(110)은 광범위한 재료, 예컨대 다공성 발포체, 망상 발포체, 개구 필름, 천연 섬유(예를 들면, 목질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로부터 제조되거나, 또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된다. 흡수성 코어(130)에 보류된 액체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분리시키기 위해 소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내면(110)은, 예를 들면 대략 15 내지 25 g/㎡의 스펀본드 또는 소면형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일 수 있다.
흡수성 코어(130)는, 예를 들면 감압성 접착제, 핫 멜트 접착제 또는 기타 접착제, 초음파 본딩 또는 열/압력 밀봉에 의해 외면(120)에 고정될 수 있다. 외면(120)과 내면(110)은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외면(120)과 내면(110)을 고정하는 중간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내면(110)과 외면(120)은, 예컨대 감압성 접착제, 핫 멜트 접착제 또는 기타 접착제, 초음파 본딩 및/또는 열 및/또는 압력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함께 합체될 수 있다.
기저귀(1)의 상기 설명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저귀 및 그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EP 0 529 681호 미국 특허 제4,036,233호, EP 0 487 758호, WO 96/10382호, 미국 특허 제3,800,796호, EP 0 247 855호 또는 미국 특허 제4,857,067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10)의 제1 구체예를 도시한다.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10)은 탄성 적층체(15)와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각각 20 및 30)를 포함한다. 탄성 적층체(15)는 한 주면 상에 섬유층(17)을 갖춘 탄성 필름(16)을 포함한다. 탄성 필름(16)은 단층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필름(1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스킨 층을 갖춘 코어 탄성 층을 포함하는 다층 재료이다. 섬유층(17)은 팽창 가능한데, 즉 이완 상태에서 탄성 필름(16)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진다. 섬유층(17)은 탄성 필름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는데, 즉 종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탄성 필름에 연결된 섬유층의 부분이 탄성 필름 층에 연결되지 않은 섬유층의 부분(도 2에 아치형 부분으로 도시됨)과 교호한다.
탄성 필름(16)의 다른 면 상에는,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및 30)가 본딩되어 있다.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및 30)는 각각 탄성 적층체(15)의 한 가장자리에서 서로 대향하여 본딩되어 있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및 30)는 탄성 적층체(15)의 가장자리를 지나 연장한다. 탄성 적층체(15)에 본딩된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및 30)의 부분의 길이는 대체로 약 5 mm이고,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전체 길이는 대체로 약 20 mm 내지 40 mm, 바람직하게는 25 mm 내지 30 mm이다. 이완 상태의 탄성 적층체의 길이는 통상 20 내지 40mm,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mm이다.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및 30) 각각은 부직포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섬유층(21)과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를 탄성 적층체(15)에 본딩하는 접착제 층(22)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의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30)에는 탄성 적층체(15)에 부착된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에서 핑거 리프트(31)가 부착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핑거 리프트(31)는 일단에서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30)의 접착제를 피복하는 약 3 내지 5 mm의 필름이다.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장착되는 경우,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10)은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로 기저귀(1)의 가장자리부(140)에 부착될 수 있다. 그 후,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30)는 기저귀의 정면에서 표적 구역(150)에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30)를 부착시킴으로써 기저귀를 폐쇄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도 1 참조).
도 2에 도시된 구체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은 후크 및 루프 잠금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체예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는 후크 및 루프 잠금 시스템 중 후크 구성요소(32)를 갖춘다. 이 후크 구성요소(32)는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30)의 접착제 층(22)에 본딩되며, 탄성 적층체(15)의 가장자리와 핑거 리프트(31) 사이의 접착제 층을 피복한다. 핑거 리프트(3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후크 구성요소는 탄성 접착제 테이프(30)의 단부로 연장한다.
도 3의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은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을 사용 전에 접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접착제 페쇄 테이프 탭의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는 기저귀(1)의 가장자리부(140)에 본딩된다. 도 4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은 후크 구성요소(32)가 탄성 적층체(15)의 팽창 가능한 섬유층(17)을 대면하고, 릴리스 가능하게 그 섬유층과 맞물릴 수 있도록 접힌다. 도 4에서 접힌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은 기저귀(1)의 가장자리부(140)를 지나 연장한다. 도 5에 도시된 대안의 구체예에서, 접착제 폐쇄 탭은 기저귀(1)의 가장자리부(140) 주위에 접혀지는데, 이는 대체로 귀저기(1)의 포장과 취급이 더 용이하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제 후크 구성요소(32)는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가 부착된 가장자리부(140)의 면에 대향하는 가장자리부(140)의 면을 대면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또 다른 구체예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50)은 배킹(73), 예를 들면 필름 배킹의 일면 상에 릴리스 층(71), 또는 대안으로 릴리스 표면을 포함하고, 대향면 상에는 접착제 층(72)을 포함하는 릴리스 테이프(70)를 더 포함한다. 릴리스 테이프(70)는 탄성 적층체(15)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에 본딩된다. 릴리스 테이프(70)는 릴리스 층(71)이 탄성 적층체(15)를 오버레이하도록 접힌다. 릴리스 테이프(70)는 탄성 적층체(15)와, 후크 성분(32)와 탄성 적층체(15) 사이의 접착제 영역(36)을 피복한다. 릴리스 테이프로서, 접착제 층이 한 주면 상에 있고, 대향 주면에 릴리스 표면이 있는 지지 시트를 갖춘 임의의 릴리스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기저귀 상에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50)의 사용을 예시한다.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50)은 기저귀의 가장자리부(140)의 외면(120)에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로 본딩되어 있다.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50)은 라인 A(도 6)을 따라 접히며, 릴리스 테이프(70)는 가장자리부(140)의 내면(110)에 부착된다. 따라서, 보관 중에 릴리스 테이프(70)는 접착제 부분(36)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을 위해 접힌 폐쇄 테이프 탭(50)을 여는 경우, 릴리스 테이프(70)는 내면(10)에 체류하며, 접착제 부분(36)은 표적 구역(150)에 부착되어 기계식 잠금 시스템을 지지한다. 사용 후, 기저귀는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이 여전히 말린 기저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도록 하는 구조로 접거나 말 수 있다. 그 후, 접착제 섹션(36)은 표적 영역(150) 또는 기저귀의 외면(120)에 고착되어 휴지통에 용이하고 편리하게 폐기할 수 있는 형태의 말린 구조로 기저귀를 고착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50)은 폐기 전에 기저귀를 고착시키기 위해 접착제 섹션(36)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접착제 섹션(36)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저귀의 가장자리부 상의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후크 부분은 기저귀의 대향 가장자리부의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섬유층, 또는 섬유 백시트 또는 임의의 섬유 표면과 맞물려서 폐기 전에 접힌 구조로 기저귀를 고착시킨다.
또한, 당업자라면, 또 다른 변형예로서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50)의 폐쇄 시스템이 후크 및 루프 잠금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지 않지만, 대신에 폐쇄를 위해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30)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구체예에서, 릴리스 테이프(70)는 보관 중에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30)의 접착제 층을 피복하기에 충분히 연장한다.
도 6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임의로,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50)은, 2이상의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50)이 스택과 같이 서로 오버레이되는 경우, 또는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50)을 전술한 바와 같은 예비 적층된 복합체 테이프의 롤로부터 절단하는 경우, 적어도 릴리스 테이프(70)의 접착제 층이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및 30) 사이의 그 주면(18)에서 탄성 적층체를 접촉하는 정도로 릴리스 테이프(70)의 접착제 층을 피복하는 라이너(35)를 포함한다. 기저귀 제조에 그러한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50)을 사용하기 전에 릴리스 라이너(35)를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또 다른 구체예를 예시한다. 이 구체예에서,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및 30)는 서로 접촉하도록 탄성 적층체(15)에 부착된다. 또한, 서로 접촉하고 있는 테이프의 가장자리의 부분 위에서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접착제를 피복하는 피복층(37a 및 37b), 예를 들면 필름 층이 제공된다. 따라서,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및 30)만이 탄성 적층체의 대향 단부에 본딩하며,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가 서로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들은 탄성 적층체에 본딩하지 않는다. 폐쇄 테이프 탭이 연신하는 경우,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및 30)는 서로 간에 갭을 두고 서로 떨어져 이동한다. 탄성 적층체가 다시 이완되면,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및 30)는 실질적으로 서로 다시 접촉한다. 피복층(37a 및 37b)은 탄성 적층체가 거기에 부착된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에 의해 방해되지 않으면서 연신될 수 있게 한다. 피복층(37a 및 37b)의 사용에 대한 대안으로서,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접착제 층은 테이프의 전체 길이를 지나 연장되어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는 테이프 상의 부분을 남기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구체예는 그러한 접착제가 스택 또는 롤 형태로 서로 오버레이된 경우,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섬유층이 릴리스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어서 릴리스 테이프의 접착제 층이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섬유층에 영구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 6에서의 릴리스 라이너(35)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9는 탄성 적층체가 탄성 필름(16)의 양면 상에 팽창 가능한 섬유층(17)을 갖춘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을 더 예시한다. 이 구체예에서, 구역(40 및 41)은 탄성 필름의 일면의 양단에 남아서 탄성 필름이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및 30)를 거기에 본딩하는 데 채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역(40 및 41)은 이 지점에서 섬유층(17)을 구역 용융시킴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타이 층(46)을 이러한 구역에 제공하여 탄성 접착제 테이프(20 및 30)를 탄성 적층체에 본딩하는 것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한 타이 층은, 예를 들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구체예 중 임의의 것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은 예비 적층된 복합체 테이프의 스톡 롤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한 롤 형태(44)의 예비 적층된 복합체 테이프가 제공된다. 필요에 따라서 세그먼트(45)를 롤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세그먼트(45)의 길이는 롤로부터 절단된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너비를 결정하며, 롤의 너비는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길이를 결정한다. 따라서,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와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탄성 적층체는 에비 적층된 복합체 테이프의 롤로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발명의 개시
한 가지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제1 주면 상에 부직포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팽창 가능한 섬유층을 갖춘 탄성 필름의 탄성 적층체를 포함하는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을 제공한다.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은 용이하게 제조되며, 현행 제조 장치에 적합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은 피부에 덜 자극적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을 갖춘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에게 보다 편안함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탄성 적층체의 팽창 가능한 섬유층은 탄성 필름의 양쪽 주면 상에 제공된다. 용어 팽창 가능한 섬유층이란, 섬유층에 고정된 탄성 필름이 연신될 때 섬유층이 팽창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섬유층 자체가 비탄성이기 때문에, 층의 팽창성은 섬유층의 길이가 이완 상태에서 탄성 필름의 길이보다 더 길도록 섬유층을 탄성 필름에 고정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탄성 필름이 섬유층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연신될 때까지 탄성 필름의 연신시 섬유층을 팽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한계를 넘는 연신은 섬유층의 변형을 요하기 때문에 연신력의 실질적인 증가를 필요로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층은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의 팽창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탄성 적층체는 이완 상태에서 그 길이의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연신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섬유층의 팽창성은 50% 내지 400%,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200%이다.
섬유층은 간격을 두고 탄성 필름에 고정되어 있는데, 즉 종축 방향으로 봤을 때 탄성 필름에 연결된 섬유층의 부분이 탄성 필름에 연결되지 않은 섬유층의 부분과 교호되어 있다. 이것은 EP 704196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링롤링(ringrolling)이라고 하는 기술에 의하여, 또는 대안으로 섬유층을 아치형 부분과 앵커형 부분이 형성되도록 주름 성형한 다음, 그 위에 냉각시 탄성 필름을 형성하는 용융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후자의 기술은 WO 99/48455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탄성 필름은 주위 조건에서 탄성 중합체 성질을 나타내는 재료를 포함하는데, 즉 상기 재료는 연신된 후에 실질적으로 그 원래의 형상으로 재개된다. 탄성 중합체는 변형 및 이완 후에 단지 작은 영구 세트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세트는 원형의 50% 내지 500% 연신의 30% 미만이 바람직하고, 20%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성 중합체 재료는 순수 탄성 중합체 또는 실온에서 실질적인 탄성 중합체 성질을 나타내는 탄성 중합체 상 또는 성분과의 혼합체일 수 있다. 적절한 탄성 중합체 열가소성 중합체로는 블록 공중합체 등이 있다.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3,265,765호, 제3,562,356호, 제3,700,633호, 제4,116,917호 및 제4,156,673호에 기재되어 있다. 스티렌/이소프렌, 부타디엔 또는 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특히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블록 공중합체는 A 블록과 B 블록을 함유한다. 이러한 블록은 선형, 방사상, 분지형 또는 성상 블록 공중합체를 비롯한 임의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유용한 탄성 중합체 조성물로는 탄성 중합체 폴리우레탄, 에틸렌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탄성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공중합체 탄성 중합체가 있다. 이러한 탄성 중합체의 상호 혼합체 또는 변성 탄성 중합체와의 혼합체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점도 감소 중합체 및 가소제는 탄성 중합체, 예컨대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및 공중합체, 또는 점착성 부여 수지, 예컨대 지방족 탄화수소 점착성 부여제인 굳이어 케미컬 컴파니 제품인 WingtackTM과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부여제의 예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액상 점착성 부여제, 폴리테르펜 점착성 부여제 및 수소화 점착성 부여 수지가 있다.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가 바람직하다.
염료, 안료,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결합 보조제, 블록방지제, 활제, 열 안정화제, 광안정화제, 발포제, 유리 버블, 강화 섬유, 분해성을 위한 전분 및 금속 염 또는 미세섬유와 같은 첨가제도 탄성 필름 제조를 위해 탄성 중합체 조성물에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탄성 필름은 스킨 층과 하나 또는두 주면 상에 제공되는 탄성 중합체 재료의 탄성 중합체 코어 층을 포함한다. 그러한 다층 필름은 공압출에 의해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스킨 층의 사용은 스킨 층이 점착성 부여제와 다른 저분자량 화학종의 탄성 코어 층으로의 이동에 대한 차단 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에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가 부착되는 면에 특히 유용하며, 또한, 특히, 스킨 층이 비탄성 재료인 경우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부착에 대해 보다 안정한 표면을 형성한다.
스킨 층은 이러한 스킨 층의 탄성 한계를 넘어 연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킨 층은 탄성 코어 층보다 덜 탄성 중합성인, 대체로 비탄성이며, 탄성 필름이 연신되는 백분율에서 탄성 코어 층보다 비교적 더 영구 변형되는 임의의 반결정형 또는 비정형 중합체(들)로 형성된 비점착성 재료 또는 혼합체이다. 올레핀계 탄성 중합체,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탄성 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중합체 탄성 중합체, 메탈로센 폴리올레핀 탄성 중합체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탄성 중합체, 또는 스티렌/이소프렌, 부타디엔 또는 에틸렌-부틸렌/스티렌(SIS, SBS, SEBS)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이러한 재료들의 혼합체와 같은 탄성 중합체 재료는 제공되는 스킨 층이 대체로 비점착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도포된 접착제에 대한 차단 층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성 중합체 재료는 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의 중량 백분율 범위로 비탄성 중합체 재료와의 혼합체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스킨 층(들) 내 탄성 중합체의 고 백분율은 표면 점착성과 롤 풀림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블록방지제 및/또는 활제의 사용을 요한다. 이러한 스킨 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주합체와 같은 중합체로 주로 형성된 폴리올레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또한, 이들 스킨 층은 완전 또는 부분 폴리아미드, 예컨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및 이들의 적절한 혼합체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공압출된 탄성체의 연신 및 회복 후 스킨 층 재료는 다음 세 가지 적절한 모델 중 하나 이상으로 탄성 코어 층과 접촉한다; 첫째, 탄성 코어 층과 미세조직 스킨 층 간의 연속 접촉; 둘째, 미세조직 스킨 주름 하에 코어 층 재료의 점착력 오류를 가진 층들 간의 연속 접촉; 세째, 미세조직 주름 골에서 접촉한 코어 층에 대한 간헐적 스킨 층과 미세조직 주름 하의 코어 층에 대한 스킨 층의 접착력 오류.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내용상, 스킨 대 코어 접촉의 모든 세 가지 형태가 허용 가능하다. 그러나, 스킨 층과 코어 층은 탄성 코어 층으로부터 스킨 층(들)의 탈리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실질적으로 연속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탄성 필름의 전체 탄성 코어 층 대 스킨 층(들) 두께비는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1000 미만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이다. 일반적으로, 다층 탄성 필름의 전체 두께는 25 내지 200 미크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스킨 층 재료를 첨가하면, 탄성 필름 재료를 강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스킨 층은 탄성 중합체 코어 층의 강화가 거의 일어나거나 전혀 일어나지 않고, 탄성이 사용시 순환되는 경우(예컨대, 호흡에 의해 유발되는 치수 변화에 의하여) 적절히 낮은 응력 연신력 및 저 이력 레벨에서 필름이 초기 연신, 뿐만 아니라 제2 연신 및 후속 연신에서 탄성이 되도록 충분히 얇거나및/또는 연성이되도록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탄성 필름은 항복점 또는 제1 연신 범위가 상이하지 않은 탄성 중합체 층 재료의 자체 탄성 특성과 유사한 제1 연신, 바람직하게는 후속 연신시 탄성 특성을 가진다.
통상적으로, 탄성 적층체의 섬유층은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부직포 웹이다. 부직포 웹의 적절한 제조 방법으로는 에어레잉, 스펀본드, 스펀레이스, 본드형 용융 블로운 웹 및 본드형 소면형 웹 형성 공정이 있으며, 이들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펀본드 부직포 웹은 방적 돌기 내 일련의 미세 다이 오리피스로부터의 필라멘트로서 용융 열가소체를 압출함으로써 제조된다. 압출된 필라멘트의 직경은 예를 들면, 비배출식 또는 배출식 유체 연신 또는, 미국 특허 제4,340,653호(Appel 등), 제3,692,618호(Dorschner 등), 제3,338,992호 및 제3,341,394호(Kinney), 제3,276,944호(Levy), 제3,502,538호(Peterson), 제3,502,763호(Hartman) 및 제3,542,615호(Dobo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기타 공지된 스펀본드 메카니즘에 의해 장력 하에 빠르게 감소한다. 스펀본드 웹은 본드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 웹은 본드형 소면형 웹으로 제조할 수 있다. 소면형 웹은 분리된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제조되며, 이 섬유는 소모 또는 소면 유니트를 통해 이송되어 대체로 기계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 부직포 웹을 형성하도록 기계 방향으로 스테이플 섬유를 분리하고 정렬한다. 일단 소면형 웹이 형성되면, 몇 가지 본딩 방법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본딩하여 이것에 적절한 인장 성질을 제공한다. 한 가지 본딩 방법은 분말 본딩이며, 여기서 분말화된 접착제는 웹을 통해 분배된 다음, 보통 웹과 접착제를 고온공기로 가열함으로써 활성화된다. 다른 본딩 방법으로는 패턴 본딩이 있으며, 여기서 가열된 캘린더 롤 또는 초음파 본딩 장치가 사용되어 통상적으로 웹을 통하여 편재된 본드 패턴으로 섬유를 함께 본딩하는 데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서 그 전체 표면을 가로질러 본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웹의 섬유를 더 함께 본딩할수록, 부직포 웹의 인장 성질은 더 커진다.
에어레잉은 본 발명에 유용한 섬유 부직포 웹을 제조할 수 있는 다른 공정이다. 에어레잉 공정에서, 보통 길이가 약 6 내지 약 19 밀리미터 범위인 소형 섬유 다발을 분리하고, 에어 공급원에 포획한 다음, 종종 진공 공급원의 도움으로 성형 스크린에 부착시킨다. 그 다음, 무작위 부착된 섬유를, 예를 들면 고온 공기 또는 분무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본딩시킨다.
대안으로, 기존의 용융 블로운 웹 또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웹 등을 탄성 적층체의 섬유층 형성에 사용할 수 있다. 용융 블로운 웹은 다중 다이 오리피스로부터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압출함으로써 형성되며, 중합체 용융 스트림은 중합체가 다이 오리피스로부터 나오는 위치에서 바로 다이의 두 면을 따라 고온 고점성 공기 또는 증기에 의해 즉시 가늘게 될 수 있다. 생성된 섬유는 수집 표면 상에 수집되기 전에 생성된 난류 공기 스트림 내에서 응집된 웹으로 얽힌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대한 충분한 일체성과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용융 블로운 웹은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 본딩, 열 또는 초음파 본딩에 의하여 더 본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는 제1 주면 상에 탄성 필름이 팽창 가능한 섬유층이 부착되고, 제2 주면 상에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테이프가 부착되도록 탄성 필름에 서로 대향하여 부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 각각은 섬유층과 접착제 층을 포함한다.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섬유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10 g/㎡ 내지 150 g/㎡, 바람직하게는 20 g/㎡ 내지 150 g/㎡의 두께를 가진 대체로 치수 안정한 층이다.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섬유층은 일면 상의 접착제 층의 접착제가 타면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섬유층이 접착제를 흐르게 하는 경우, 필름 차단 층을 접착제 층과 섬유층 사이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필름 차단 층은 섬유층 자체가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에 접착제 테이프의 강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접착제 층은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를 탄성 필름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된다. 접착제 층은 임의의 통상적인 용액 또는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예컨대 점착성 부여 합성 고무 수지 접착제,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실리콘 접착제, 폴리알파올레핀 접착제, 혼합체 등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는 각 접착제 테이프의 일부가 탄성 필름을 지나쳐 연장하도록 탄성 적층체의 일단에 각기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연장된 부분은 기저귀와 같은 1회용 흡수성 물품의 한 가장자리에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을 부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연장하는 부분은 폐쇄 시스템을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과 연관된 한 가지 구체예에 따르면, 폐쇄 시스템은 단순히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 중 하나의 연장하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 중 하나의 접착제 층은 그러한 시스템에서 흡수성 물품의 정면 상에 채택되는 랜딩 구역에 그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연장하는 부분을 부착시킴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폐쇄하는 데 사용된다. 대안으로, 폐쇄 시스템은 기계식 파스너를 포함한다. 후자의 경우,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 중 하나의 연장된 부분은 기계식 파스너 시스템의 두 개의 상호 맞물림 수단 중 하나, 통상적으로 후크 및 루프 기계식 파스너 시스템의 후크 부분으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루프 구성요소는 흡수성 물품의 외부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섬유층은 접착제 층을 갖춘 면에 대향하는 면 상에 릴리스 층으로 제공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이 절단될 수 있는 예비 적층된 복합체 테이프의 롤과 같이 서로의 상부에 적층하고자 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한 롤 형태의 예비 적층된 복합체 테이프에서,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와 탄성 필름은 롤에서 단편을 절단함으로써 소정 너비를 가진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을 얻을 수 있도록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길이는 롤의 너비에 의해 결정된다).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섬유층 상에 제공될 수 있는 적절한 릴리스 코팅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UV 경화성 실리콘 릴리스 코팅 및 폴리우레탄계 실리콘 릴리스 코팅이 있다.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접착제 층과 섬유층 사이에 필름 층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적어도 제1 주면 상에 부직포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팽창 가능한 섬유층(17)을 갖춘 탄성 필름(16), 및 제2 주면 상에는 각기 한 주면 상에 접착제 층(22)을 갖춘 부직포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섬유층(21)을 포함하는 제1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30)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를 포함하는 탄성 적층체(1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30)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는 상기 접착제 층(22)에 의해 상기 탄성 적층체(15)의 상기 제2 주면에 서로 대향하여 부착되고, 상기 제1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30)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는 상기 탄성 적층체(15)를 지나 연장하는 것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10, 5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는 상기 접착제 층(22)에 부착된 기계식 파스너(32)를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
  3. 제1항에 있어서, 일면 상에 접착제 층(71)을 갖추고, 거기에 대향하는 면 상에 릴리스 표면(72)을 갖춘 배킹(73)을 구비하는 릴리스 테이프(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릴리스 테이프는 상기 탄성 적층체에 인접한 상기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70)에 본딩되고, 상기 릴리스 표면이 상기 탄성 적층체(15)의 팽창 가능한 섬유층(17)을 오버레이하도록 접히는 것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30) 각각은 탄성 적층체(15)를 오버레이하는 가장자리에 인접한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의 접착제 층을 피복하는 피복층(37a, 37b)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30)는 상기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의 비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20, 30)가 서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탄성 적층체(15)에 본딩되는 것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적층체(15)의 상기 제2 주면도 거기에 부착된 부직포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팽창 가능한 섬유층(17)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적층체의 상기 제2 주면의 대향 단부(40, 41)는 상기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를 거기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것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
  6. 제1항에 따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을 절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비탄성 접착제 테이프와 상기 탄성 필름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안정한 롤 형태의 예비 적층된 복합체 테이프(44).
  7. 제1항에 따른 접착제 폐쇄 테이프 탭(10, 50)이 한 가장자리에 부착된 흡수성 물품(1).
KR1020027012091A 2000-03-15 2001-03-05 기저귀와 같은 1회용 흡수성 물품용 탄성 폐쇄 테이프 탭 KR100777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200919.9 2000-03-15
EP00200919A EP1133967A1 (en) 2000-03-15 2000-03-15 Elastic closure tape tab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such as diap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490A true KR20020080490A (ko) 2002-10-23
KR100777996B1 KR100777996B1 (ko) 2007-11-27

Family

ID=817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091A KR100777996B1 (ko) 2000-03-15 2001-03-05 기저귀와 같은 1회용 흡수성 물품용 탄성 폐쇄 테이프 탭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2) EP1133967A1 (ko)
JP (1) JP4795605B2 (ko)
KR (1) KR100777996B1 (ko)
AT (1) ATE268152T1 (ko)
DE (1) DE60103616T2 (ko)
ES (1) ES2222361T3 (ko)
MX (1) MXPA02009022A (ko)
TR (1) TR200402180T4 (ko)
WO (1) WO20010680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4631B2 (en) 2002-04-12 2006-03-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astic closure tab
EP1449505A1 (en) * 2003-02-24 2004-08-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astic fastening tab, fasten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462556B1 (de) * 2003-03-22 2005-05-18 Nordenia Deutschland Gronau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astischen Verbundfolie mit textiler Oberfläche
EP1543807A1 (en) * 2003-12-18 2005-06-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osure tape tab for an absorbent article, prelaminated closure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losure tape tab
AR053192A1 (es) * 2005-03-24 2007-04-25 Clopay Plastic Prod Co Metodos para producir laminados elastomericos multicapa y laminados
US8034430B2 (en) * 2005-10-27 2011-10-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fabric and fastening system that include an auto-adhesive material
US7736352B2 (en) 2006-01-25 2010-06-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osure tape tab for absorbent article, prelaminated closure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losure tape
EP1820482A1 (en) 2006-02-17 2007-08-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closure elements
JP5220119B2 (ja) 2007-11-08 2013-06-26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一時的に取り付けられた側方面材を備える衛生用品
EP2255769A1 (en) 2009-05-25 2010-12-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fastening tab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article
EP2338453A1 (en) * 2009-12-23 2011-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ygiene Article
FR3015232B1 (fr) 2013-12-23 2016-01-08 Oreal Article de conditionnement comportant un enveloppe une composition colorante anhydre comprenant un colorant d'oxydation, utilisation et procede pour colorer les fibres keratiniques
FR3016288B1 (fr) 2013-12-23 2016-09-09 Oreal Article de conditionnement comportant une enveloppe et une composition anhydre comprenant un agent oxydant
FR3015231B1 (fr) 2013-12-23 2017-02-24 Oreal Article de conditionnement comportant un enveloppe une composition colorante anhydre comprenant un colorant direct, utilisation et procede pour colorer les fibres keratiniques
EP3766468A1 (en) * 2019-07-19 2021-01-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osure tape tab with an inner tab portion having mechanical fastening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13891A1 (fr) * 1978-01-06 1979-08-03 Beghin Say Sa Attaches pliees et procede de fabrication
JPS6350807U (ko) * 1986-09-24 1988-04-06
DE4033850A1 (de) * 1990-10-24 1992-04-30 Minnesota Mining & Mfg Zu einer rolle endlos aufgewickeltes, zusammengesetztes laminatklebeb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rolle des laminatklebebandes
US5599601A (en) * 1994-07-20 1997-02-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aper fastening tape
EP0796073B2 (en) * 1995-01-14 2006-06-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mposite-prelaminated closure tape system
US5942308A (en) * 1995-07-05 1999-08-24 Nitto Denko Corporation Expandable fixing tape
JP3110694B2 (ja) * 1996-01-26 2000-11-20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566461B2 (ja) 1996-06-28 2004-09-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JPH10117815A (ja) * 1996-08-30 1998-05-12 Ykk Corp 面ファスナー帯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891760A1 (en) * 1997-07-15 1999-01-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losure tape for an absorbent article
EP0941730A1 (en) * 1998-03-13 1999-09-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astening tape
US6159584A (en) 1998-03-27 2000-1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astic tab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3375B1 (en) 2004-06-02
TR200402180T4 (tr) 2004-09-21
EP1133967A1 (en) 2001-09-19
EP1263375A1 (en) 2002-12-11
WO2001068025A1 (en) 2001-09-20
ES2222361T3 (es) 2005-02-01
MXPA02009022A (es) 2003-04-25
DE60103616T2 (de) 2005-06-16
DE60103616D1 (de) 2004-07-08
KR100777996B1 (ko) 2007-11-27
JP2003526467A (ja) 2003-09-09
ATE268152T1 (de) 2004-06-15
JP4795605B2 (ja)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9744B2 (en) Elastic closure tape tab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such as diapers
JP4275859B2 (ja) 弾性タブ積層品
US6461715B1 (en) Article closure tape for an absorbent
KR100777996B1 (ko) 기저귀와 같은 1회용 흡수성 물품용 탄성 폐쇄 테이프 탭
EP1545421B1 (en) Shaped elastic ear
WO1997015262A1 (fr) Article absorbant
WO1997028774A1 (en) Diapers having precombined mechanical closures
JP4842799B2 (ja) 弾性ファスニングタブ、ファスニングシステ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73198B1 (ko) 흡수재용 폐쇄 테이프 제품
EP0941730A1 (en) Fastening tape
US20060271003A1 (en) Elastic fastening tab, fasten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11276522A (ja) 使い捨ておむつ廃棄用テープ
EP3797747A1 (en) Disposal tab, method of making a disposal tab, disposal tape and absorbent article with disposal t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