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8141A -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141A
KR20020078141A KR1020010018132A KR20010018132A KR20020078141A KR 20020078141 A KR20020078141 A KR 20020078141A KR 1020010018132 A KR1020010018132 A KR 1020010018132A KR 20010018132 A KR20010018132 A KR 20010018132A KR 20020078141 A KR20020078141 A KR 20020078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object file
file
unit
virtual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081B1 (ko
Inventor
주현우
황도선
Original Assignee
(주)이음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음미디어 filed Critical (주)이음미디어
Priority to KR10-2001-001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081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다수의 영상신호를 캡쳐하여 하나의 파일 형태인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로 생성한다. 상기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압축하고, 축소하여 저장한다. 사용자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읽어와 디스플레이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수의 동영상신호의 데이터 양을 최소화하고, 다수의 동영상을 하나의 파일에 고유한 분류체계로 저장하며, 고유한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새로운 동영상 데이터 포맷을 다양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A moving picture virtual reality image construc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이 발명은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오브젝트 동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네트워크 및 로컬을 통해 실시간으로 뷰어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지 사진이미지 오브젝트 VR와 컴퓨터그래픽 오브젝트 VR의 기술은 이미 많은 발전을 해왔다.
일반적으로 그래픽 가상현실(VR) 이미지와는 달리 사진을 통해 가상현실 이미지를 제작하는 기법을 실사 VR 또는 사진 VR 이라고 한다.
제작의 편리성과 우수한 가격 경쟁력 덕분에 사진 VR 분야는 짧은 기간 동안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같은 장소에서 각각 별도로 촬영된 여러 장의 사진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마치 현장에서 주위를 둘러보거나 물체를 살펴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기법인 사진 VR은 좁은 의미의 가상현실이라 말할 수 있다.
고정된 시점에서 좌우 수평선상 360°의 현실을 미리 촬영된 사진을 통하여 사용자의 선택, 즉 마우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파노라마 VR 이라고 하며, 고정된 물체를 중심으로 좌우 수평선상 360°를 회전하듯이 촬영하여 사용자의 선택, 즉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돌려볼 수 있는 방법이 오브젝트 VR 이다.
이렇게 제작된 사진 VR은 여러 가지 형태의 뷰어, 즉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볼 수 있게 만들어 주거나, 겹쳐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볼 수 있게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에 의해 웹과의 접목이 가능하다.
현재의 VR 기술은 좀 더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핫스폿(hotspot) 기능을 이용하여 하나의 동떨어진 VR 이미지를 연관된 다른 이미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지리정보시스템과의 결합을 통해 현재 위치와 방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오브젝트 VR의 경우 상품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고 줌인·줌아웃을 통해 세밀한 관찰을 할 수 있어 쇼핑몰, 전자상거래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동영상 VR은 기본적으로 사진 VR과 개념상의 큰 차이는 없다. 사진 VR은 정지 이미지를 사용하지만 동영상 VR은 움직이는 동영상을 사용하여 수평선상의 360°를 두 가지 시점 즉 피사체가 중심인 오브젝트와 관찰자가 중심인 파노라마로 사용자의 선택 및 조작에 의해 원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이러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는 미국의 비히어(behere)와 아이픽스(ipix)등이 있다. 하지만 위 회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VR 기술은 고가의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미지 해상도가 조악하고, 연결부의 이미지가 연속되지 않는 등의 결함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까지의 동영상 VR은 파노라마 VR을 보여주는데 그치고 있다. 현재 세계 어느 곳에서도 동영상 오브젝트 VR을 개발하거나 기술을 보유한 회사는 없다.
한편, 정지 사진이미지 오브젝트 VR의 경우 움직이지 않는 하나의 이미지를 통해 모든 것을 보여줘야 하는 한계가 있다. 이것은 완전한 가상현실을 체험하기에는 미약한 부분이 많이 있다.
또한, 컴퓨터그래픽 오브젝트 VR의 경우 정교한 작업을 통해 실제와 거의 유사한 형태의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는 있다.
그러나 이것은 많은 작업시간과 숙련된 인력이 요구되어지고 이것 또한 정지된 이미지만을 보여줄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동영상신호의 데이타양을 최소화하고, 다수의 동영상을 하나의 파일에 고유한 분류체계로 저장하며, 고유한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새로운 동영상 데이터 포맷을 다양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제어로 원하는 방향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3은 촬영부의 기본적 촬영 구성도이다.
도4는 다단을 이용한 수직선상의 화각 확대를 위한 카메라 배치도이다.
도5는 동영상 이미지의 분류 체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 생성부에서 생성된 파일의 이미지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빨강, 초록, 파랑색에 대한 회색레벨 밝기 히스토그램이다.
도8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방법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은,
피사체를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기 위해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다수의 카메라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캡쳐하여 전달하는 동영상 캡쳐부;
상기 동영상 캡쳐부로부터 입력받은 다수개의 영상신호를 하나의 파일 형태인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로 생성하는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 생성부;
상기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방법은,
다수의 카메라가 파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영상신호를 캡쳐하여 하나의 파일 형태인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압축하고, 축소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 다.
그러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은,
피사체를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기 위해 다수의 카메라(110, 120, 130....)를 포함하는 촬영부(100);
상기 촬영부(100)의 다수의 카메라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캡쳐하여 전달하는 동영상 캡쳐부(210);
상기 동영상 캡쳐부(210)로부터 입력받은 다수개의 영상신호를 하나의 파일형태인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로 생성하는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 생성부(220);
상기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230);
상기 압축부(230)에서 압축된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축소하기 위한 데이터양 축소부(240);
상기 데이터양 축소부(240)에서 축소된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50);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장치(300);
상기 입력장치(3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250)의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읽어와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260);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400)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의 동작을 도1 내지 도9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비디오 카메라(110, 120, 130...)를 피사체를 중심으로 동일반경내의 수평선상에 360°로 배치하여 도3과 같이 배치한다. 여기서는 카메라를 6대로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로 변경하여 작업을 할 수도 있다.
다음, 각각의 카메라(110, 120, 130...) 및 본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여 촬영을 시작한다(S201).
이런 기본적인 촬영 방법이외에도 피사체를 중심으로 동일반경내의 수평선상의 360°로 배치한 것을 한 개의 단 즉, 1단으로 규정한다면, 피사체를 중심으로 동일반경내의 1단 이외에도 같은 방법으로 2단, 3단 등 피사체를 중심으로 동일한 반지름을 가진 가상의 원구를 그린다면 도4와 같은 형태의 여러 단을 형성하여 수평선상의 360°뿐만 아니라 수직선상으로도 그 화각을 넓힐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하게 촬영 방법을 변형할 수 있다.
촬영이 시작되면, 다수의 카메라(110, 120, 130...)는 피사체를 각각의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신호를 동영상 캡쳐부(510)로 출력한다(S202).
그러면, 다수의 비디오 카메라(110, 120, 13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메인 컴퓨터의 동영상 캡쳐부(510)를 통해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 생성부(220)로 입력된다.
그러면, 다수의 비디오 카메라(110, 120, 130...)로 촬영된 원래의 이미지들은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 생성부(220)에서 하나의 파일로 생성되며, 새로운 동영상 데이터 포맷을 가지게 된다(S203).
여기서, 촬영된 동영상 이미지들은 각각 고유한 분류체계로 하나의 파일로 생성되는데, 각각의 동영상 이미지의 각 프레임은 도5와 같이 분류된다.
도5에서 1번 동영상은 1번 카메라에서 촬영된 프레임이고, 2번 동영상은 2번 카메라에서 촬영된 프레임이고, 3번 동영상은 3번 카메라에서 촬영된 프레임이고, 4번 동영상은 4번 카메라에서 촬영된 프레임이다.
이와 같이 분류된 동영상 이미지는 도6과 같이 배열되어 다수의 동영상 원이미지는 새로운 동영상 데이터 포맷방식으로 하나의 파일로 생성된다.
즉, 각각의 비디오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의 첫 번째 프레임들 중 첫 번째 비디오 카메라에서 촬영된 프레임부터 마지막 비디오 카메라에서 촬영된 프레임까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다시 첫 번째 비디오 카메라에서 촬영된 두번째 프레임이 위치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동영상 이미지는 하나의 파일형태인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로 생성된다. 도6에서는 카메라가 4대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다음, 동영상 압축부(230)에서는 동영상 압축을 통해 1차 압축을 하게 된다.
동영상은 1초에 24-30프레임의 정지 영상이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마치 움직이는 실제 현실을 보는 듯한 착각을 느끼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프레임과 연속한 다음 프레임과의 차이는 이미지의 움직임이 거의 없다.
따라서, 전 이미지의 상황에 따라 연속된 프레임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와 움직임이 있는 경우로 크게 나누어 질 수 있다.
첫 번째의 경우는 전혀 변화가 없는(정지된) 경우는 데이터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전 영상 이미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다음 영상 이미지의 데이터를 삭제 할 수 있다.
두 번째의 경우 현재 화면의 어느 부분이 전 화면의 어느 부분에서 이동해온 경우이다. 전 영상의 움직이는 부분의 이동량(x,y 좌표)을 좌표화 하여 실제 움직이는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움직이지 않는 부분은 전 영상을 사용하여 데이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영상 압축부(230)에서는 현재프레임과 다음 프레임의 변화량을 좌표화 함으로써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압축시키며, 이와 같은 압축기술은 이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S204).
다음, 데이터양 축소부(240)는 특수효과의 일종인 합성기술로 사용되어지는 크로마키를 이용하여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의 데이터 양을 축소한다.
즉, 피사체의 배경이미지를 블루스크린 또는 그린스크린 등 피사체와 보색관계인 색을 배경으로 사용하여 다수의 카메라로 촬영 후 디지털 영역에서 표현되는 1600만가지 색깔 중 피사체와 보색관계인 색으로 사용되었던 색을 임의로 삭제 시켜 데이터 양을 현저하게 줄이게 된다(S205).
칼라는 빨강, 초록, 파랑의 원색의 조합을 통해 자연의 모든 색을 표현한다.
이 빛의 삼원색은 도7과 같이 각각 회색레벨 밝기 히스토그램을 가지게 된다.
이 히스토그램의 인위적인 조작으로 특정한 색을 모두 삭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로마키 기술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언급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양 축소부(240)는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배경에 대한 정보를 제거시킴으로써 동영상 압축부(230)에서 압축된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축소시킨 후 출력한다.
그러면, 저장부(250)는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 생성부를 통해 생성되어 압축 및 축소된 새로운 동영상 데이터 포맷을 저장한다(S206).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가 제작된다.
한편, 이와 같이 제작된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를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입력장치(300)를 사용하여 보고 싶은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를 선택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제어부(260)가 저장부(250)에서 해당 동영상 파일을 읽어와 압축된 것을 원래대로 복원하여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표시한다(S801). 이때, 복원된 파일은 도6의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새로운 동영상 데이터 포맷과 같이 동영상 이미지의 프레임별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도6에서, 1-1, 1-2, 1-3 등은 1번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된 동영상의 프레임번호이고, 2-1, 2-2, 2-3등은 2번 비디오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영상이다.
이렇게 하나의 파일로 합쳐진 동영상의 첫 번째 프레임은 1번 비디오 카메라에서 마지막 비디오 카메라까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그 다음 프레임으로 넘어가게 된다.
생성된 파일은 사용자의 요구가 있기 전까지는 즉, 컴퓨터의 입력장치(300)인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1-1에서 1-2로 바로 이동하면서 피사체의 한 측면만을 플레이한다(S802).
이것은 한 대의 카메라로 본 피사체의 모습만을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다. 즉, 첫 번째 비디오 카메라에서 촬영되지 않고 다른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모든 동영상 이미지의 2-1, 3-1, 4-1등의 프레임은 전혀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촬영된 오브젝트의 오른쪽이나 왼쪽 측면을 보고자 할 때 컴퓨터의입력장치(300)인 마우스를 화면에서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이동시키거나 키보드를 통해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제어부(540)는 사용자가 피사체의 오른쪽 면을 보기 위해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300)를 사용했는지를 판단한다(S803).
사용자가 피사체의 오른쪽 면을 보기 위해 입력장치(300)를 사용했다면, 디스플레이 제어부(540)는 피사체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계속 디스플레이 하고(S805), 사용자가 피사체의 오른쪽 면을 보기 위해 입력장치(300)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디스플레이 제어부(540)는 사용자가 피사체의 왼쪽 면을 보기 위해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300)를 사용했는지를 판단한다(S804).
사용자가 피사체의 왼쪽 면을 보기 위해 입력장치(300)를 사용했으면, 디스플레이 제어부(540)는 피사체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계속 디스플레이 하고(S806), 사용자가 명령을 정지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상기한 과정에서, 동영상 파일은 1-1에서 2-1 그리고 3-1 프레임으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1-1에서 4-1 그리고 3-1 프레임으로 이동함에 의해 피사체의 다른 측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즉, 이것은 촬영된 피사체(오브젝트)를 다른 측면에서 본 이미지이다.
하나의 피사체를 자세히 관찰하기 위하여 좌우·상하를 돌려서 보듯이 자연스럽게 피사체의 다른 측면으로 이동되면서 디스플레이 된다.
다음, 사용자가 명령을 중지하면, 디스플레이 제어부(540)는 명령 정지 순간의 한 측면을 계속 디스플레이 한다. 즉, 3-1에서 마우스의 이동 또는 키보드의명령이 끝났을 경우 3-2, 3-3등으로 한 측면만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부(540)는 마우스의 이동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300)에서 명령이 끝나면, 동영상 이미지를 최초의 측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압축 및 축소하여 저장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압축, 축소를 하지 않고 저장을 할 수도 있다.
이를 도9에 도시하였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00)에서 획득된 동영상을 동영상 캡쳐부(510)를 통해 출력하고,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 생성부(520)는 상기 동영상 캡쳐부(510)로부터 입력받은 다수개의 영상신호를 하나의 파일 형태인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부(53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는 간단한 구성으로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압축 및 축소과정이 없었으므로 디스플레이 제어부(540)는 복원을 할 필요가 없고, 저장된 파일을 바로 디스플레이하면 된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해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이 차지하는 저장부(530)의 저장공간은 많이 필요하지만 간단한 구성으로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를 제작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하며, 컴퓨터나인터넷에 응용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수의 동영상신호의 데이타양을 최소화하고, 다수의 동영상을 하나의 파일에 고유한 분류체계로 저장하며, 고유한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새로운 동영상 데이터 포맷을 다양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제어로 원하는 방향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피사체를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기 위해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다수의 카메라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캡쳐하여 전달하는 동영상 캡쳐부;
    상기 동영상 캡쳐부로부터 입력받은 다수개의 영상신호를 하나의 파일 형태인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로 생성하는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 생성부;
    상기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는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에서 압축된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크로마키 기법을 이용하여 축소하기 위한 데이터양 축소부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읽어와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5. 피사체를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기 위해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다수의 카메라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캡쳐하여 다수개의 영상신호를 하나의 파일 형태인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의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읽어와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7. 다수의 카메라가 파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영상신호를 캡쳐하여 하나의 파일 형태인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압축하고, 축소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읽어와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한 대의 카메라로 촬영한 피사체의 모습을 디스플레이 하다가, 사용자의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측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방법.
  10. 다수의 카메라가 파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영상신호를 캡쳐하여 하나의 파일 형태인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오브젝트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방법.
KR10-2001-0018132A 2001-04-06 2001-04-06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0460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132A KR100460081B1 (ko) 2001-04-06 2001-04-06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132A KR100460081B1 (ko) 2001-04-06 2001-04-06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141A true KR20020078141A (ko) 2002-10-18
KR100460081B1 KR100460081B1 (ko) 2004-12-03

Family

ID=2769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132A KR100460081B1 (ko) 2001-04-06 2001-04-06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0188B2 (en) 2016-05-16 2020-03-24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system for correcting field of view using user terminal information upon playback of 360-degree ima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9471A (en) * 1995-03-31 1998-03-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achine dynamic selection of one video camera/image of a scene from multiple video cameras/images of the scene in accordance with a particular perspective on the scene, an object in the scene, or an event in the scene
KR19980035726A (ko) * 1996-11-14 1998-08-05 배순훈 가상 현실 시스템의 파노라믹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0188B2 (en) 2016-05-16 2020-03-24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system for correcting field of view using user terminal information upon playback of 360-degree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0081B1 (ko) 200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1358B (zh) 香蕉編碼解碼器
US6750903B1 (en) Super high resolution camera
KR101003277B1 (ko) 이음매 없는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및 멀티-이미저 시스템
US8068693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composite image
US86812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indicating a positional relation between partially overlapping images
US6559846B1 (en) System and process for viewing panoramic video
KR100656780B1 (ko) 해상도의 변환기능을 구비한 표시화상생성장치, 촬상투영장치, 촬상투영시스템, 이에 관련된 생성방법 및 관련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0369461C (zh) 图像捕获设备、图像显示方法和程序
US8504941B2 (en) Digital image magnification user interface
EP0884897A1 (en) Digital panorama camera
JP2002544742A (ja) デジタルイメージ撮影システム
JP2002514875A (ja) 多次元空間において運動をシミュレーションするパノラマムービー
EP3681144B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electronic device
TWI434129B (zh) 全景影像播放裝置與系統
JP200312536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460081B1 (ko)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01740A (ko)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61242B1 (ko) 360도 3차원 영상 재생시스템
JP2000270261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811249B2 (ja) 遠隔指示システム
JPS6346575A (ja) 画像情報提供装置
GB2324429A (en) Electronic zoom control in a virtual studio
JP2001331246A (ja) 画像関連データ表示装置
Zhang et al. HVS: an image-based approach for constructing virtual environments
JPH1141555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