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740A -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740A
KR20010001740A KR1019990021160A KR19990021160A KR20010001740A KR 20010001740 A KR20010001740 A KR 20010001740A KR 1019990021160 A KR1019990021160 A KR 1019990021160A KR 19990021160 A KR19990021160 A KR 19990021160A KR 20010001740 A KR20010001740 A KR 20010001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orama
image
coordinate
map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균
Original Assignee
이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균 filed Critical 이호균
Priority to KR101999002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1740A/ko
Publication of KR2001000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74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42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 B65B7/2878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8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revolving, e.g. cylinder,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3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65H2403/21Tim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 입력수단, 좌표 입력수단, 방향 입력수단, 사용자 입력수단, 파노라마 제작 및 가상공간을 탐색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영상출력장치, 파노라마 요소와 천이 요소를 저장하는 가상공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시스템을 제공하고, 그 탐색 시스템은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 파노라마 요소와 영상을 함께 파노라마 구조체로 저장, 천이 요소를 맵으로 저장하고, 각 지점의 위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지도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한 후, 지도의 좌표점을 입력받아 그 좌표점에 따른 파노라마 요소와, 시각 및 시야각에 의해 보여지는 부분을 결정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표시되는 파노라마 영상에 대해 좌우방향 이동, 좌표이동 및 화면 확대/축소 제어를 하도록 함으로서,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제어를 함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viewing of panoramic image linking map}
본 발명은 파노라마식 영상 표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도와 연계시켜 지도상의 지점과 매칭시켜 실사를 촬영한 파노라마 영상과 같이 표시하고 그 파노라마 영상의 가상 공간에서 자유롭고 매끄럽게 탐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3차원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 하드웨어는 하나 이상의 3차원 물체로 이루어진 경치들을 렌더링한다. 그런데 이러한 3차원 물체의 렌더링 동작은 방대한 계산 처리를 필요로 하므로 통상 전문 그래픽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된다. 그러한 시스템은 성능이 강력한데 이런 목적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전문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므로 고가이다.
종래의 3차원 그래픽 시스템과 관련된 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표준형 개인용 컴퓨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3차원 경치를 만들어 내어 뷰잉하는데에 효과적인 다른 해결방법이 출현하고 있지만 여전히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표준형 개인용 컴퓨터에서 3차원 물체를 파노라마식 화상의 시야를 확장하여 대화형 그래픽 피드백 수준을 향상시키는 3차원 파노라마식 화상을 생성하여 뷰잉하는 저가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선행기술로는 1997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021081호가 알려져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파노라마식 경치의 측면 화상의 요소와 연관되는 정보 및 파노라마식 경치의 상부 및/또는 하부 화상의 요소와 연관되는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복수의 요소 및 그 파노라마식 경치의 화상과 관련되는 연관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복수의 요소 및 그 파노라마식 경치의 화상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원통형 환경 맵을 발생하고, 컴퓨터 시스템은 그러한 원통형 환경 맵의 뷰를 렌더링하여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 기술 이외에도 일반 이미지나 특수한 형태의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이미지에서 360도 조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파노라마 합성툴은 Apple사의 퀵타임 VR, 아이픽스(IPIX), 라이브픽쳐, 아루트사의 퀵스텃치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파노라마식 3차원 경치 뷰잉 방법들은, 공간상의 이동에 대한 기술적인 발전이 부족하여 해당 경관에 대해 단일 파노라마 뷰잉이나 복수개의 뷰잉이 있더라도 각 뷰잉과 공간상의 위치를 체계적으로 연결시키기 못하여 현실감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파노라마 이미지와 지도를 연결하여 관측자가 가상적으로 공간을 이동하며 주위 경관을 볼 수 있는 가상 이동 기능과, 다수의 파노라마 사진과 촬영된 좌표를 포함하는 지도를 연결시켜 자유롭게 지도상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파노라마의 시야각에 반영시켜 이동 자체에 생동감을 주며 보고자 하는 물체를 확대, 축소할 수 있도록 한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노라마식 가상공간 제작 및 재생과 가상공간 탐색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의 (a)는 파노라마 요소를 표시하는 표이고, 도 2의 (b)는 파노라마 구성 요소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천이 요소 맵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상 공간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노라마 디스플레이를 위한 시각 및 시야각 표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확대 비율을 결정하는 방법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확대 비율 예측을 위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 표시 흐름도.
도 9는 관측점 이동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관측점 이동시의 자연스런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파노라마 탐색을 위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영상 입력수단 20 : 좌표 입력수단
30 : 방향 입력수단 40 : 사용자 입력수단
50 : 중앙처리장치 60 : 모니터
100 : 가상공간 데이터 베이스 110 : 파노라마 요소 데이터 베이스
120 : 천이 요소 데이터 베이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노라마식 가상공간 제작 및 재생과 가상공간 탐색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노라마 제작을 위한 영상 및 지도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수단(10)과; 파노라마 영상의 촬영 좌표값을 입력받기 위한 좌표 입력수단(20)과; 영상의 시각방향을 입력받기 위한 방향 입력수단(30)과; 사용자의 가상공간 탐색 기능조작 및 지도와 매칭시키기 위한 좌표값, 방향 등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수단(40)과; 상기 각 입력수단들을 통해 입력된 영상들을 원통맵에 투사하여 중첩 부분을 제거하여 파노라마 영상으로 만들고, 그 파노라마 영상의 촬영 포인트인 좌표와 방향 값의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파노라마 구조체를 작성함과 아울러 그 파노라마 구조체의 탐색을 위한 천이 요소 정보들을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의 탐색 제어에 의해 지도상의 좌표 정보에 해당되는 파노라마 영상을 재생시켜 표시함과 아울러 천이요소 맵에 의해 가상공간을 탐색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50)와; 그 중앙처리장치(50)에서 처리되는 파노라마 영상 및 탐색에 따른 가상공간 영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메뉴 및 제어윈도우를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60)와; 상기 중앙 처리장치(50)의 제어에 의해 파노라마 영상에 대해 좌표값, 촬영 각도, 시작각도 영상의 높이 및 넓이 및 영상의 화소정보를 저장하는 파노라마 요소 데이터 베이스(110) 및 파노라마 영상의 이동을 위한 시작 좌표 끝좌표 및 확대비율을 천이 요소로서 저장하는 천이요소 데이터 베이스(120)를 포함하여 가상공간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공간 데이터베이스(100)를 포함하여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제어 시스템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입력수단(10)은 디지탈 카메라를 이용하여 직접 실사를 촬영하여 입력받을 수 있고, 하드카피 사진을 스캐너를 통해 읽어들어 영상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파노라마 영상을 만들기 위해 고정된 좌표점에서 각도를 변경하면서 중첩 부분을 가지도록 사진 촬영을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만들기 위한 영상을 입력한다.
상기 좌표 입력 수단(20)은, GPS를 이용하여 위치 좌표를 측정하여 직접 입력 받을 수 있고, 측량 기구를 이용한 목측에 의해 좌표값을 수동 입력시킬 수도 있다. 이는 카메라가 위치한 좌표점으로써, 여러장의 사진을 연결하여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을 만드는 경우 그 파노라마에 대해서 하나의 좌표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경치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하여 파노라마를 만들 경우 그 좌표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방향 입력 수단(30)은, 영상의 방향에 대해 전자식 나침반 등의 방향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거나 수동으로 목측에 의해 방향을 입력할 수도 있다. 파노라마가 촬영된 각도 및 시작 각도 등을 사진 촬영에 대한 절대적인 기준 방향에 대해 어떤 각도에서 파노라마 영상이 시작되는지와, 그 파노라마 영상의 시작점과 끝점을 보는 각도(즉, 촬영된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40)은, 키보드를 이용함과 아울러 화면에 메뉴 윈도우를 표시하여 마우스나 키보드, 조이스틱 또는 헤드마운트등 사용자의 조작수단으로 클릭하여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영상을 입력받아 촬영 좌표를 기준으로 중첩부분을 제거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하는 제1과정과; 상기 파노라마 영상별로 각 좌표값, 파노라마가 촬영된 각도, 파노라마 시작각도, 파노라마 영상의 높이 및 넓이, 파노라마 영상의 화소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파노라마 구조체를 작성하는 제2과정과; 상기 각 파노라마의 연속되는 이동을 위한 시작 좌표와, 끝좌표 및 그 좌표간의 확대비율을 천이 요소로서 저장하여 천이 요소 맵을 작성하는 제3과정과; 각 지점의 위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지도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4과정과; 상기 지도의 좌표점을 입력받아 그 좌표점에 따른 파노라마 요소와, 시각 및 시야각에 의해 보여지는 부분을 결정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제5과정과; 표시되는 파노라마 영상에 대해 좌우방향 이동, 좌표이동 및 화면 확대/축소 제어를 하는 제6과정을 수행하여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을 제어하도록 한다.
파노라마 제작 방법은, 특정한 좌표에서 경치에 대해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각도로 차례로 중첩 부분을 가지도록 촬영하여 이들을 디지탈 데이터로 입력받는다. 하나의 카메라 좌표에서 촬영한 다수의 영상 사진들을 원통형 맵에 투사시켜 중첩부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연속된 사진으로 합성하여 하나의 파노라마 사진을 제작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파노라마 사진을 제작하는 방법은 앞에서 선행기술들로 언급한 Apple사의 퀵타임 VR, 아이픽스(IPIX), 라이브픽쳐, 아루트사의 퀵스텃치 등의 파노라마 합성 툴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파노라마 요소 정보들과 천이 요소 정보들을 입력하여 파노라마 구조체와 천이요소 맵을 작성한다.
도 2의 (a)는 파노라마 요소를 표시하는 표이고, 도 2의 (b)는 파노라마 구성 요소의 설명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노라마가 촬영된 공간상의 좌표(x, y, z)와, 파노라마가 촬영된 각도(α)와, 상기 촬영 좌표(x, y, z)의 기준 방향에 대해 파노라마가 시작되는 위치의 시작각도(θ), 해당 파노라마 영상의 높이(H) 및 넓이(W), 파노라마 영상의 화소 s(H, W)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파노라마 요소들을 파노라마 구조체로서 적재하여두고 사용자의 탐색 포인트 선택에 의해 해당 파노라마 구조체를 읽어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파노라마 영상에 의한 가상 공간을 탐색하는 경우에 탐색 위치를 이동을 하여야 하는데, 이동을 위한 천이 요소들을 미리 정하여 저장하여 둔다.
천이 요소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파노라마 영상의 촬영 위치에 대한 시작 좌표(P0 = x0, y0, z0)와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한 끝 좌표(P1 = x1, y1, z1)를 표시함과 아울러 그 두 좌표간의 이동에 따른 확대 비율(M)을 천이요소로서 기록하여 둔다. 이와같은 천이 요소들을 천이 맵 구조로 저장하여 두고, 가상공간의 탐색시에 해당되는 좌표의 천이요소 정보를 읽어서 화면 확대 비율을 제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상 공간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 2a와 같은 파노라마 영상별로 파노라마 요소를 저장하여 파노라마 구조체 데이터 베이스(110)를 구성하고, 그 파노라마 구조체에 대응해서 도 3의 천이요소 맵을 작성하여 천이요소 데이터베이스(120)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파노라마 영상에 대해 파노라마 요소와 천이 요소를 데이터 베이스화 시켜 저장하여 두고, 파노라마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노라마 디스플레이를 위한 시각 및 시야각 표시 설명도로서, 임의의 위치 즉, 해당 파노라마의 좌표(x, y, z)의 위치점에서 임의의 파노라마 영상을 보는 경우, 시각(Θ)과 시야각(ψ)과 시각(Θ) 및 시야각(ψ)의 좌 우측단과 파노라마 영상의 Y좌표 Q, A, B와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함수 MOD는 360도에 대해서 몫을 버리고 나머지를 취하는 함수로서, 360도를 넘는 경우 그 넘는 각도 즉 나머지만을 취하는 함수이다.
이때 확대 비율을 결정하는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 비율 M은 파노라마가 촬영된 두 지점(P0, P1) 사이를 연결하는 시각에서의 영상의 비율로 거리에 반비례하며, 동일 물체에 대한 두 영상 사이의 비교로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일반 각에서 확대비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기준 위치에서 M의 확대 비율인 경우, 180도의 방향은 최저 확대 비율인 1/M이 된다.
시각방향으로 전진하는 경우 M배가 확대되며, 시각방향으로 후퇴하는 경우 1/M배로 축소된다. 일반적으로 시각방향과 좌표이동 방향이 임의의 각을 이룰 때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0도에서는 M배, 90도에서는 1, 180도에서는 1/M배의 값을 가지는 연속적인 매끄러운 값을 갖는 함수로 배율을 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 표시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상의 좌표값 P를 입력하면(S1), 좌표 P가 가상공간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가를 판단한다(S2). 만약 가상공간 데이터 베이스(100)내에 해당되는 좌표 P가 없으면, 현재의 파노라마 표시를 그대로 유지하고 종료한다.
해당 좌표 P가 있는 경우에는, 좌표 P에 해당하는 파노라마 요소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서 실행 메모리에 적재한다(S3). 그리고, 탐색하고자하는 시각(Θ)과 시야각(ψ)을 입력(S4)하고, 보여지는 부분 A,B를 결정한다(S5). 그 보여지는 부분 A, B의 결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각과 시야각에 대해서 해당 관계식에 의해 구하게 된다.
즉,에 의해 보여지는 부분 A, B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A, B 부분을 파노라마 영상에서 추출하고(S6), 그 추출된 파노라마 영상을 화면에 표시(S7)함과 아울러 지도상의 위치와 방향을 표시한다(S8).
도 9는 관측점 이동에 대한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상의 좌표값 P1을 얻거나 P0점의 파노라마에서 P1으로 이동하는 방향 지시자를 지정할 경우, 이동하고자 하는 좌표값 P1을 입력하면(S11), 좌표 P1이 가상공간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가를 판단한다(S12). 만약, 해당 좌표 P1이 가상공간 데이터 베이스에 없으면 종료하고, 있으면 천이맵에 P0 → P1으로의 이동 경로가 있는가를 판단한다(S13). 이동 경로가 없으면 종료하고, 이동 경로가 있으면, 좌표 P1에서의 파노라마를 표시한다(S14).
도 10은 관측점 이동시의 자연스런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 P1에서 보여지는 부분 A1, B1을 계산하고(S21), 천이 요소로부터 이동 각도에 따른 확대 비율 m을 계산한다(S22). 이어서, 확대비율 m으로부터 이동전의 좌표 P0점에서 A1, B1에 해당하는 a, b를 계산한다(S23).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 P0에서 보여지는 a, b 부분과 이동시에 보여지는 A1, B1부분에 대한 확대 비율을 천이 요소로부터 이동 각도에 따라 구하게 된다.
상기 이동전 위치 P0에서 보여지는 a, b를 A, B 만큼 확대후 영상을 표시하며(S24), 이후 상기 P1좌표에 따른 A1, B1이 구해지면 최종적으로 A1, B1을 영상 표시하게 된다(S25).
이와같이 P1점의 파노라마 구조체를 읽지 않고 현재 메모리에 적재된 P0의 파노라마 영상에서 유추하여 미리 보여줌으로써 중앙처리장치가 P1의 파노라마 구조체를 읽을때의 시간지연으로 좌표 이동이 매끄럽지 못한 것을 극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도상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좌표 선택이나 보고싶은 방향을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좌표가 파노라마 요소에 없으면, 지도상에서 클릭된 좌표와 가장 근접되는 좌표의 파노라마 요소의 좌표를 검색하여 해당 좌표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지도상에서의 이동 이외에 표시되는 파노라마 영상에서 직접 좌표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파노라마 탐색을 위한 설명도로서, (a)와 화면상에 파노라마 영상과 지도 영상을 함께 표시하고, 파노라마 영상을 탐색하기 위한 방향 이동키와, 확대/축소(줌 업/줌 다운) 키를 표시하며, 좌표 이동키를 표시한다.
만약, (b)와 같이 방향 이동키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파노라마 영상이 좌우로 이동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보는 위치를 다르게 표시한다. 이때 지도상에는 방향 이동에 따라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을 현재 이동된 방향으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파노라마가 어느 방향으로 보는 화면인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 그리고, 확대/축소(줌 업/줌 다운)를 누르게 되면, 해당 영상의 줌업/줌다운하여 화면상에서 확대/축소를 제어한다.
또한, 도 11의 (d)와 같이 파노라마 영상에 좌표 이동 키가 표시되고 그 좌표이동 키를 클릭하게 되면, 현재의 파노라마 영상에서 해당되는 좌표의 파노라마로 이동되며, 이는 천이 맵에 이동이 가능한 좌표와 그때의 확대비율이 정해져 있으므로, 그 천이 맵을 이용한다. 좌표이동을 하게 되면, 해당 좌표점을 가지는 파노라마 영상을 표시하면서 이를 지도상에도 표시한다.
한편, 도 11의 예를 설명하면서 지도를 파노라마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였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지도 영상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파노라마 영상을 화면의 전체에 표시하면서 조작 버튼과 제어 메뉴만을 간단히 표시하고 지도는 그 메뉴나 조작버튼에 의해 선택하여 작은 윈도우로 표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파노라마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그 파노라마를 탐색하고자 하는 방향 이동, 확대/축소, 좌표 이동을 화면상에서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으며, 현재의 위치 및 방향이 지도상에도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상공간을 탐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좌표 이동시에는 각각의 천이 요소 맵을 이용하여 확대 비율을 결정하는데, 좌표이동에 다른 확대 비율을 계산하면서, 단순 확대비율 예컨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영상의 크기 비율에 따라 단순 확대비율을 결정하여 좌표이동에 따른 파노라마를 표시하고, 이어서 확대비율 계산이 완료되면 그 확대비율에 의해 정확한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러므로 좌표 이동시에도 매끄럽게 화면 변화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파노라마 사진과 촬영된 좌표를 포함하는 지도를 연결시켜 자유롭게 지도상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파노라마의 시야각에 반영시켜 이동 자체에 생동감을 주며 보고자 하는 물체를 확대,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파노라마 제작을 위한 영상 및 지도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력수단(10)과;
    파노라마 영상의 촬영 좌표값을 입력받기 위한 좌표 입력수단(20)과;
    영상의 시각방향을 입력받기 위한 방향 입력수단(30)과;
    사용자의 가상공간 탐색 기능조작 및 지도와 매칭시키기 위한 좌표값, 방향 등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수단(40)과;
    상기 각 입력수단들을 통해 입력된 영상들을 원통맵에 투사하여 중첩 부분을 제거하여 파노라마 영상으로 만들고, 그 파노라마 영상의 촬영 포인트인 좌표와 방향 값의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파노라마 구조체를 작성함과 아울러 그 파노라마 구조체의 탐색을 위한 천이 요소 정보들을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의 탐색 제어에 의해 지도상의 좌표 정보에 해당되는 파노라마 영상을 재생시켜 표시함과 아울러 천이요소 맵에 의해 가상공간을 탐색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50)와;
    그 중앙처리장치(50)에서 처리되는 파노라마 영상 및 탐색에 따른 가상공간 영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메뉴 및 제어윈도우를 출력하는 영상출력장치(60)와;
    상기 중앙 처리장치(50)의 제어에 의해 파노라마 영상에 대해 좌표값, 촬영 각도, 시작각도 영상의 높이 및 넓이 및 영상의 화소정보를 저장하는 파노라마 요소 데이터 베이스(110) 및 파노라마 영상의 이동을 위한 시작 좌표 끝좌표 및 확대비율을 천이 요소로서 저장하는 천이요소 데이터 베이스(120)를 포함하여 가상공간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공간 데이터베이스(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제어 시스템.
  2. 영상을 입력받아 촬영 좌표를 기준으로 중첩부분을 제거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하는 제1과정과;
    상기 파노라마 영상별로 각 좌표값, 파노라마가 촬영된 각도, 파노라마 시작각도, 파노라마 영상의 높이 및 넓이, 파노라마 영상의 화소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파노라마 구조체를 작성하는 제2과정과;
    상기 각 파노라마의 연속되는 이동을 위한 시작 좌표와, 끝좌표 및 그 좌표간의 확대비율을 천이 요소로서 저장하여 천이 요소 맵을 작성하는 제3과정과;
    각 지점의 위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지도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4과정과;
    상기 지도의 좌표점을 입력받아 그 좌표점에 따른 파노라마 요소와, 시각 및 시야각에 의해 보여지는 부분을 결정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제5과정과;
    표시되는 파노라마 영상에 대해 좌우방향 이동, 좌표이동 및 화면 확대/축소 제어를 하는 제6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표시를 하는 제5과정은,
    지도상의 좌표값 P를 입력하면(S1), 좌표 P가 가상공간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와,
    만약 가상공간 데이터 베이스내에 해당되는 좌표 P가 있으면, 좌표 P에 해당하는 파노라마 요소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서 실행 메모리에 적재하는 단계(S3)와,
    탐색하고자하는 시각(Θ)과 시야각(ψ)을 입력받아(S4) 보여지는 부분 A, B를 결정하는 단계(S5)와,
    상기 보여지는 A, B 부분을 파노라마 영상에서 추출하고(S6), 그 추출된 파노라마 영상을 화면에 표시(S7)함과 아울러 지도상의 위치와 방향을 표시하는 단계(S8)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과정의 관측점 이동은,
    지도상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좌표값 P1을 입력하면(S11), 좌표 P1이 가상공간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2)와,
    해당 좌표 P1이 가상공간 데이터 베이스에 있으면 천이 요소 맵에 P0 → P1으로의 이동 경로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3)와,
    이동 경로가 없으면 원 화면을 유지하고, 이동 경로가 있으면, 좌표 P1에서의 파노라마를 표시하는 단계(S14)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된 좌표 P1에서의 파노라마 표시단계는,
    좌표 P1에서 보여지는 부분 A1, B1을 계산하는 단계(S21)와,
    천이 요소로부터 이동 각도에 따른 확대 비율 m을 계산하는 단계(S22)와,
    상기 확대비율 m으로부터 이동전의 좌표 P0점에서 A1, B1에 해당하는 a, b를 계산하는 단계(S23)와,
    상기 이동전 위치 P0에서 보여지는 a, b를 A, B 만큼 확대후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24)와,
    상기 최종적으로 확대비율을 반역하여 파노라마를 계산한 A1, B1을 영상 표시하는 단계(S25)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제어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과정은,
    화면상에 파노라마 영상과 지도 영상을 함께 표시하고, 파노라마 영상을 탐색하기 위한 방향 이동키와, 확대/축소 키를 표시하며, 좌표 이동키를 표시하는 단계와,
    방향 이동키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파노라마 영상이 좌우로 이동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보는 위치를 다르게 표시함과 아울러 지도상에는 방향 이동에 따라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을 현재 이동된 방향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확대/축소를 누르게 되면, 해당 영상의 줌업/줌 다운을 제어하여 화면상에서 확대/축소를 제어하는 단계와,
    파노라마 영상의 좌우 이동에서 다음 좌표 이동이 연계되는 경우 좌표 이동 키가 표시되고 그 좌표이동 키를 클릭하게 되면, 현재의 파노라마 영상에서 해당되는 좌표의 파노라마로 이동되어 해당 파노라마의 표시 및 지도상의 좌표점과 방향 표시를 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제어방법.
KR1019990021160A 1999-06-08 1999-06-08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01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160A KR20010001740A (ko) 1999-06-08 1999-06-08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160A KR20010001740A (ko) 1999-06-08 1999-06-08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40A true KR20010001740A (ko) 2001-01-05

Family

ID=1959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160A KR20010001740A (ko) 1999-06-08 1999-06-08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174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735B1 (ko) * 2001-03-26 2003-09-29 이호균 스틸 사진을 이용한 가상 네비게이션 구현 방법
KR100682976B1 (ko) * 2004-12-16 2007-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기반 경로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13002B1 (ko) * 2006-09-27 2008-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기반 경로정보 제공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928723B1 (ko) * 2007-08-06 2009-11-2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제환경과 중첩되도록 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뷰어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영상출력방법
KR101049416B1 (ko) * 2009-09-03 2011-07-14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파노라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US8305375B2 (en) 2007-09-18 2012-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lide show by using plurality of images
KR101837282B1 (ko) * 2016-04-25 2018-03-09 한국과학기술원 파노라마 영상의 자동 시야각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735B1 (ko) * 2001-03-26 2003-09-29 이호균 스틸 사진을 이용한 가상 네비게이션 구현 방법
KR100682976B1 (ko) * 2004-12-16 2007-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기반 경로정보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13002B1 (ko) * 2006-09-27 2008-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기반 경로정보 제공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928723B1 (ko) * 2007-08-06 2009-11-2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제환경과 중첩되도록 영상을 보여주기 위한 뷰어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영상출력방법
US8305375B2 (en) 2007-09-18 2012-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lide show by using plurality of images
KR101049416B1 (ko) * 2009-09-03 2011-07-14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파노라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1837282B1 (ko) * 2016-04-25 2018-03-09 한국과학기술원 파노라마 영상의 자동 시야각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4108B2 (en) Augmentation of captured 3D scenes with contextual information
CA3096601C (en) Presenting image transition sequences between viewing locations
KR101667345B1 (ko) 스트리트 레벨 이미지들 간의 전환을 나타내는 시스템 및 방법
US5768447A (en) Method for indexing image information using a reference model
JP5053404B2 (ja) 関連メタデータに基づくデジタル画像のキャプチャと表示
US6750903B1 (en) Super high resolution camera
US20050283730A1 (en) System and process for viewing and navigating through an interactive video tour
KR20170122725A (ko) 파라미터를 갖는 마커를 사용한 증강 현실의 장면 수정
US1085591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07016318A2 (en) Real-time preview for panoramic images
KR20070086037A (ko) 장면 간 전환 방법
KR102435185B1 (ko) 360°vr촬영 기반의 3차원 이미지 생성 및 360°vr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9028920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50106879A (ko) 플렌옵틱 라이트 필드에 어노테이션을 추가하는 방법 및 기기
JP3352475B2 (ja) 画像表示装置
JP201103980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20010001740A (ko) 지도와 연계된 파노라마 영상의 탐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34799B1 (ko) 파노라마 영상을 이용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460081B1 (ko) 동영상 가상현실 이미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
JPH11185051A (ja) 動画作成装置
JP2003143478A (ja) 映像合成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3216037B2 (ja) パノラマ画像合成システム
JP2004012717A (ja) 画像の表示方法
JP2005217902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5115711A (ja) 画像補正装置、画像補正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