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7326A - 봉사활동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봉사활동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7326A
KR20020077326A KR1020020057168A KR20020057168A KR20020077326A KR 20020077326 A KR20020077326 A KR 20020077326A KR 1020020057168 A KR1020020057168 A KR 1020020057168A KR 20020057168 A KR20020057168 A KR 20020057168A KR 20020077326 A KR20020077326 A KR 20020077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nteer
activity
service
informa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8074B1 (ko
Inventor
윤원중
Original Assignee
윤원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원중 filed Critical 윤원중
Priority to KR10-2002-0057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074B1/ko
Publication of KR2002007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사활동 신청자와 봉사활동 수요처(수요자) 상호간에 봉사활동을 연결하며, 봉사활동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봉사활동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봉사활동신청자 또는 봉사단체가 수행 가능한 봉사활동의 종류 및 활동 가능한 일자(또는 기간), 인원수 등을 입력하는 봉사활동 신청 입력단계(S100); 봉사활동을 필요로 하는 수요처의 봉사활동 요청을 입력하는 봉사활동 요청 입력단계(S200); 중앙관리자 또는 각 봉사활동 관리기관의 개별관리자가 그에 소속된 봉사활동신청자들에 대하여 수요처의 봉사활동요청정보DB에 저장된 특정활동에 연결하여 저장,등록하는 연결단계(S300)와; 봉사활동 신청자가 상기 연계단계에 의하여 지정된 해당 봉사활동을 수행한 결과를 기록, 저장 및 관리하는 수행결과 관리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각 봉사활동 관리기관 및 중앙관리자가 봉사자의 봉사활동 실행실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봉사활동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향후의 봉사활동 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원봉사 자원을 국가적 자원으로 극대화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봉사활동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MANAGEMENT OF VOLUNTEER DATABAS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봉사활동을 신청하는 봉사자(자원봉사 신청자와 동일한 의미임. 이하 같다. 봉사단체를 포함)와 봉사활동을 필요로 하는 수요처 상호간에 그 신청과 요청을 연결하며, 활동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봉사활동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그 의미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용어, 그 의미가 불명확한 용어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의하기로 한다.
먼저, "봉사활동 관리기관"이란 각 지역별로 운영되고 있는 자원봉사센터, 복지관, 사회단체(YMCA, YWCA 등)와 같이 봉사활동을 지원하거나 관리하는 기관을 통칭하는 의미로 정의하기로 하며, 관리기관 또는 기관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봉사활동희망자"는 자원봉사를 실천하려는 의사를 가진 사람(또는 단체)을 의미하며, "봉사활동신청자"는 자원봉사를 실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 자신의 기본사항을 등록하고 스스로 수행 가능한 봉사활동 업무를 신청한 사람(또는 단체)을 의미하며, "봉사자"는 봉사활동관리기관 개별관리자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봉사활동 업무를 배정받은 사람(또는 단체)을 의미한다.
또한, "수요처"는 봉사활동을 요청하는 곳으로서, 기관이나 단체, 나아가 무의탁 노인, 소년소녀가장 등을 포함하며, "활동요청 업무"는 상기 수요처에서 요청한 봉사활동의 업무내용으로 정의하기로 하고, "봉사활동 대상업무"는 상기 활동요청 업무에 봉사자가 배정된 봉사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 외에도 특정한 의미를 갖는 용어가 있으며, 이 때에는 그 설명과정에서 별도로 용어를 정의하기로 한다.
최근 사회봉사활동의 개념과 중요성이 널리 확산되면서 봉사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의 경우에는 봉사활동을 하고 싶어도 누가, 무엇을, 언제, 얼마만큼 필요로 하는지를 알 수가 없어 자발적인 봉사활동의 의사가 수요처(수요자)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봉사자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한 수요처의 경우에도 봉사활동을 요청하고 싶어도 어디에, 어떻게 요청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공개특허공보 제2002-008320호(2002. 1. 30 공개)에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봉사활동 연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그 기술적 구체성이 전혀 명시되어 있지 않고 단순한 개념의 제시에 불과하여 현실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전혀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목적인 봉사활동 희망자와 수요자를 효과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해서는 그 연결방법에 대하여 명확한 해결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자원봉사활동 희망자 회원 정보와 요청자 회원 정보를 서버가 읽어들여 가장 근접한 정보를 가진 회원끼리 서로 연결시켜 주는 단계'라는 기재로 제시하고 있을 뿐 구체적으로 어떤 프로세서에 의하여 연결시켜 주는 것인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봉사활동의 관리실태를 살펴보면, 봉사활동을 필요로 하는 수요처의 요청업무에 배정(연결)된 봉사자가 봉사활동 실행여부 및 현황(봉사자가 사전에 배정(연결)된 수요처에서 출석하여 정상적으로 봉사활동에 참가했는지, 참가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은 언제인지 등)은 물론 사전에 예약되지 않은 봉사자가 참여하지는 않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자원봉사센터에서는 '봉사활동을 하기로 배정(연결)된 봉사자 00명 중에서 몇 명이나 참여했는지'를 각각의 봉사활동 수요처에 전화를 걸어 확인하고, 이 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함으로써 그나마 초급적인 수준에서 봉사활동 실적을 관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실적관리체계로서는 전체적인 봉사활동의 수행(실행)실적, 출석율(참여율)은 물론, 개별 봉사활동 업무별로 출석률(참여율) 분석, 상기 분석자료를 토대로 하여 봉사자 개인별 실행실적, 지역별 또는 관리기관 별로 봉사활동의 참여실적, 관리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없기 때문에 향후의 봉사활동 계획을 수립하거나 봉사신청자의 배정(연결)방법의 개선 등에 관한 정책수립이 주먹구구식이 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본 발명은 봉사활동신청자와 수요처의 연계, 즉 봉사활동신청자의 수요처 적정연결(배치, 배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봉사활동 수요처별 신청자 연결현황, 활동요청 업무별 신청자 연결현황, 봉사활동신청자별 배정/미배정 현황 등의 정보를 손쉽게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사활동신청자가 지정된 수요처에서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시작 및 종료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자료로 하여 실천 결과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봉사활동 업무를 배정받은 봉사자에 대하여 배정된 봉사일정 이전에 봉사일자, 봉사활동 대상업무 등의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봉사자의 봉사활동 참여율(실천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알림메시지 전송 개념을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봉사활동 실행실적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도 4는 신규 봉사활동 신청자의 기본사항 등록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5는 신규 봉사활동 신청단체의 기본사항 등록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6은 신규 수요처의 기본사항 등록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7은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신청 등록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8은 봉사단체의 봉사활동 신청 등록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9는 수요처의 봉사활동 요청 등록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0은 봉사자의 일일 활동을 연결(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1은 봉사단체의 일일 활동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2는 카드리더기에 의한 봉사활동 확인단계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3은 신규 봉사활동 신청자의 기본사항을 등록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도
도 14는 신규 봉사활동 신청단체의 기본사항을 등록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도
도 15는 신규 봉사활동 수요처의 기본사항을 등록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도
도 16은 봉사활동 신청자와 수요처의 봉사활동을 연결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도
도 17은 봉사활동 신청단체와 수요처의 봉사활동을 연결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도
도 18은 개별관리자가 그에 소속된 봉사자의 등록을 관리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도
도 19는 개별관리자가 그에 소속된 봉사자의 봉사활동 일일상황을 조회하고 관리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도
도 20은 개별관리자가 수요처를 기준으로 하여 일일봉사자의 연결,등록을 관리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도
도 21은 개별관리자가 특정 수요처에서의 봉사활동의 개시, 참여인원 등을 모니터링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도
도 22는 봉사자 또는 봉사단체의 월간 활동 예상현황 등의 각종 통계자료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구성의 일실시예
도 23은 수요처별 봉사활동 실행실적을 조회하는 화면 구성도
도 24는 수요처의 로컬PC가 봉사자의 개시시간에 대한 종료시간의 누락입력이 없는 경우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화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중앙관리서버 101a: 봉사자 기본정보DB
101b: 수요처 기본정보DB 102a: 봉사활동 신청정보DB
102b: 수요처 활동요청정보DB 103: 봉사활동 연결정보DB
104: 실적관리DB 150: 로컬PC
151: 카드리더기
200,201,202: 봉사활동 관리기관 300: 수요처(수요기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봉사활동 관리방법은, 봉사활동신청자 또는 단체(동아리와 같은 의미임. 이하 같다)가 수행 가능한 봉사활동의 업무, 활동 가능한 일자를 봉사활동 신청정보DB에 입력하는 봉사활동 신청 입력단계(S100); 봉사자들의 봉사활동을 필요로 하는 수요처(수요기관, 수요자 포함)에서 봉사활동 요청업무, 각 업무별로 필요로 하는 요청인원 및 요청일자, 활동시간대 등의 봉사활동 요청정보를 봉사활동 요청정보DB에 입력하는 봉사활동 요청 입력단계(S200); 중앙관리자 또는 각 기관의 개별관리자가 그 소속된 봉사활동 신청자들에 대하여 봉사활동 요청정보DB에 저장된 특정활동에 배정함으로써 연결정보DB에 저장,등록하는 연결단계(S300); 봉사활동 신청자가 상기 연결단계에 의하여 배정된 봉사활동 대상업무를 수행한 결과를 실적관리DB에 기록, 저장 및 관리하는 봉사활동 관리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봉사활동 관리시스템은 봉사활동을 신청하는 신청자 또는 신청단체의 기본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봉사자 기본정보DB와, 봉사활동을 필요로 하는 수요처의 명칭, 소속 지역 등의 기본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수요처 기본정보DB와, 상기 봉사자 기본정보DB에 등록된 봉사활동 신청자 또는 단체가 봉사활동을 신청하는 일자(기간 포함)를 필수값으로 입력받아 이를 저장, 관리하는 봉사활동 신청정보DB와, 상기 수요처 기본정보DB에 등록된 수요처에서 필요로 하는 봉사활동 요청업무, 해당 봉사활동 요청업무별 요청인원, 요청업무별 활동요청일자(기간 포함), 시간대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 관리하는 수요처 요청정보DB와, 상기 활동신청정보DB와 상기 활동요청정보DB 상호간의 연결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봉사활동 연결정보DB 및 봉사활동의 수행실적을 날짜별로 관리하는 실적관리D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다수 개의 개별관리자 모듈을 구비한 로컬PC(150)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중앙관리서버(100)와;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송수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에 의하여 상기 중앙관리서버의 각 DB들에접속하여 해당 정보의 입력, 조회 및 수정이 가능한 개별 관리자 모듈이 구비되어 각각의 봉사활동 지원 및 관리기관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로컬PC(150)들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사자의 봉사활동 수행결과를 자동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로컬PC(150)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카드리더기(151)와, 봉사자 개인별로 부여된 고유번호(또는 ID)가 입력되어 있어, 상기 카드리더기와 접촉 또는 비접촉에 의하여 상기 고유번호를 상기 카드리더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전자카드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각 지역에 소재, 관할 구역에 속하는 각종 복지시설을 지원하는 지역별 자원봉사센터(200, 201), 복지관(202)은 물론, 특정지역에 한정되지 않는 사회단체들(YMCA, YWCA 등)('봉사활동 관리기관' 또는 '기관'이라 함)을 전체적으로 포함하여 네트워크에 의하여 연계시켜 통합된 중앙관리서버(100)에 의하여 관리하는 체계를 가지며, 각 봉사활동 관리기관을 통하여 봉사활동을 신청하는 경우, 그 기관의 고유코드와 함께 인적정보가 상기 봉사활동 신청자의 봉사자 기본정보DB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봉사활동 신청자가 어느 기관에 소속된 신청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각 지역 자원봉사센터 또는 봉사기관에서 수요처 또는 수요자의 신청을 받아 봉사활동 대상업무를 봉사활동 요청정보DB에 등록한다.
또한, 상기 중앙관리서버(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사활동 업무를연결(배정)받은 봉사자는 봉사활동일자 전일에 휴대폰 단말기로 이동통신사업자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SMS서비스(단문 문자전송서비스, Short Message Service)를 제공받음으로써, 자신이 수행할 봉사활동 대상업무 및 활동일자를 확인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부가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봉사활동 관리방법은, 봉사활동을 신청하는 자원봉사자의 기본정보 입력시에 휴대폰 번호를 입력받아 이를 해당 DB에 관리하도록 하며, 상기 연결단계(S300)에 의하여 배정된 봉사활동일 전일(前日)에 SMS기능을 이용하여 봉사자의 휴대폰으로 봉사활동 대상업무, 수요처 및 활동일자를 발송하도록 하는 알림메시지 전송단계(350)가 상기 연결단계(300)와 상기 봉사활동 수행결과 관리단계(S400) 사이에 더 추가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은 봉사자가 불가피한 사정에 의하여 익일(翌日)의 봉사활동에 참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이를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수요처의 봉사활동 대상업무에 다른 봉사신청자를 대체 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SMS서비스를 받은 봉사자의 핸드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응답의 유무에 따라 예정된 일자의 봉사활동에 참여 가능여부를 확인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SMS 문자서비스를 받은 봉사자가 "통화"버튼을 누르면, 중앙관리서버가 그 휴대폰 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DB를 검색하여 해당 봉사자를 판별하고 그 봉사자의 봉사활동 대상업무의 배치를 봉사활동 연결정보DB(103)에서 삭제하도록 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개략적인 본 발명의 봉사활동 관리시스템 체계하에서, 각 관리기관(200, 201, 202)들에 제공되는 개별관리자용 모듈은 그에 소속된 봉사활동신청자에 대해서만 봉사활동 연결이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반면, 그에 소속된 여러 수요처(또는 수요자)의 봉사활동 요청업무는 물론 타 기관에 소속된 봉사활동 요청업무에 대해서도 그 소속된 봉사활동신청자를 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개별관리자용 모듈"라 함은 각각의 자원봉사센터 또는 봉사기관의 로컬PC(150)에 탑재되어 상기 중앙관리서버(1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봉사활동 요청업무에 대하여 그 소속된 봉사활동신청자를 배정하여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봉사활동 연결방법은 봉사활동신청자와 수요처의 연계, 즉 봉사활동신청자의 수요처 적정연결(배치, 배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각 기관의 개별관리자는 당해 기관에서 봉사활동 신청을 받은 봉사신청자에 대해서만 수요처 요청업무를 연결하도록 그 연결권한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방안으로는, 봉사활동 신청자의 등록시에 특정 코드값을 부여하고, 각 기관의 개별관리자별 고유번호(ID)에 따라 특정코드값을 갖는 신청자에 대한 연결권한을 제한하는 방식이 적용되거나 또는 각 기관의 로컬PC의 개별 관리자 모듈에 해당 코드값을 부여하고 그와 동일한 코드값을 갖는 봉사활동 신청자에 대해서만 요청업무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제한할 수도 있으며, 개별관리자의 권한을 제한하는 방법은 이 외에도 여러 다른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지역(A)의 자원봉사센터(200) 관리자는 그 소속인 봉사활동 신청자들(예를 들어, 갑, 을, 병,...)을 수요처의 봉사활동 요청업무에 각각 배정(신청자와 봉사활동 대상업무를 연결하여 시스템의 연결정보DB에 저장, 등록하는 행위)할 수 있지만, 지역(B)의 자원봉사센터(201)에 소속된 봉사활동 신청자들(예를 들어, 무,기,경,신,...)에 대해서는 봉사활동 요청업무와 연결하지 못하도록 제한된다. 그러나, 지역(A) 봉사센터(200)의 관리자는 그 소속인 봉사활동 신청자들(갑, 을, 병,...)에 대하여, 지역(B) 자원봉사센터(201)로 요청이 접수, 등록된 업무(예를 들어, 양로원에서의 배식활동, 보육원에서의 청소활동,....)를 연결, 등록할 수 있도록 허용된다.
물론, 봉사활동신청자가 각 관리기관을 통하여 봉사활동신청을 접수하지 않고 직접 인터넷을 통하여 중앙관리서버(100)에 접속하여 신청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총괄 관리하는 중앙관리자가 그 신청자에 대해서 봉사활동 업무를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관리기관의 개별관리자 기능을 제한하는 이유는, 특정 기관의 관리자가 본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봉사활동 신청자를 독점하지 못하도록 하고, 봉사활동 신청자의 접수를 받은 기관(이하 '소속기관'이라 한다.) 단위로 봉사자들을 분산, 관리하게 함으로써, 봉사자에 대한 관리책임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봉사자의 봉사활동이 여러 수요처에 고루 배치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4 및 도 5는 봉사활동을 희망하는 개인 또는 단체(동아리, 이하 같다.)가 본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필요한 인적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11, S112)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며, 도 13 및 도 14는 그 일실시예로서의 입력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회원정보 입력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봉사단체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그 소속회원에 대하여 봉사자 신청등록을 별도로 하여야 하며, 개인 봉사자 신청등록시에 그 개인이 가입한 봉사단체명을 입력하게 된다.
도 6 및 도 15는 봉사활동을 필요로 하는 수요처(또는 수요자)의 기본정보 입력단계(S210)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및 그 일실시예로서의 입력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수요처의 속성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4, 도 5 및 도 6에서는 고유번호(ID)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나, 봉사자의 봉사활동신청과 수요처의 봉사활동요청을 인터넷에 의하여 등록받지 않고 각 기관의 개별관리자만이 본 시스템에 봉사활동신청과 수요처의 봉사활동요청을 등록하도록 제한하는 경우에는 고유번호(ID)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을 필요가 없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기본정보 입력단계(S111,S112)를 마친 봉사자 또는 봉사단체가 봉사활동을 신청하는 신청 입력단계(S100)에 관한 플로우 차트이다. 봉사활동을 신청하는 신청 입력단계에서는, 봉사활동을 신청하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일정에 맞추어 봉사활동 신청일자 또는 신청기간을 선택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수요처의 봉사활동 요청을 입력받는 경우에, 봉사활동 요청업무의 내용을 대항목, 세부항목으로 구분코드에 의하여 체계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봉사활동 신청자가 보다 편리하게 활동가능한 업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동아리와 같은 소그룹인 봉사단체의 봉사활동 신청 입력시에는 그 단체의 봉사활동 참여신청인원을 필수 입력값으로 설정하여 봉사활동의 수요와 공급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봉사활동신청자 개인 또는 단체와 수요처로부터의 봉사활동 요청업무를 연결, 등록하는 활동 연결단계(각각 S311, S312)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로서, 신청자의 성명과 '활동신청일자'를 입력하는 단계(S311a)와, 상기 수요처(수요기관)의 봉사활동 요청 입력단계(S200)에서 입력받은 요청정보DB를 읽어들여 상기 입력된 '활동신청일자'(즉, 봉사활동 신청일자)를 포함하는 기간 또는 '일자'에 해당하는 봉사활동 요청업무를 추출하고, 추출된 봉사활동 요청업무에 대해 연결정보DB를 분석하여 기배정된 개인 숫자와 동아리의 참여인원 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311b)와, 상기 단계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수요처의 봉사활동 요청업무와 요청인원, 기배정된 인원을 고려하여 봉사활동신청자(또는 동아리)를 특정한 봉사활동 요청업무에 배정하는 연결단계(S311c) 및 상기 연결단계에 의하여 입력된 관련 정보들을 자원봉사자 활동신청정보DB 및 자원봉사자 활동 연결정보DB에저장하는 저장단계(S311d)로 이루어진다. 도 16 및 도 17은 그 일실시예를 도시한 입력화면의 예시이다.
도 16 및 도 17에서 "요청"은 수요처에서 원하는 봉사자의 숫자를 나타내며, "개인"은 기배정된 봉사자 중에서 개인 자격으로 배정된 봉사자의 숫자를, "단체"는 그룹(동아리) 단위로 신청하여 배정된 봉사자의 숫자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봉사활동 관리시스템은, 봉사자가 지정된 수요처에서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시작 및 종료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자료로 하여 실천 결과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사활동 수요처에 구비된 PC에 카드 리더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봉사자의 전자카드를 인식하여 이를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각 센터(또는 기관)의 개별관리자 또는 중앙관리자가 봉사활동 수요처에 별도의 확인 요청을 하지 않고도 봉사활동 참여자의 출결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봉사활동 신청 입력단계(S100)는 신규 봉사활동 신청자(단체의 경우에는 각 회원)의 기본정보 및 아이디가 입력된 전자카드를 제작 및 발급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봉사활동 수행결과 관리단계(S400)는 도 12에 도시된 봉사활동 확인단계(S410)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검단계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에 의하여 개별관리자 또는 봉사활동의 수행현황을 점검하는 점검단계(S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봉사활동 확인단계(S4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리더기(150)의 작동상태와 통신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로컬PC의 소속, 수요처 고유번호(즉, 로컬PC에서 동작하는 개별관리자 모듈의 고유번호)를 기준으로 중앙관리서버로부터 당일 활동내역에 연결된 봉사자 및 봉사동아리의 정보를 취득하여 로컬PC에 저장하는 준비단계(S410a)와; 봉사자의 전자카드를 인식하여 중앙관리서버(100)의 해당 DB에 등록된 자원봉사자인지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연결정보DB로부터 당일 활동내역에 연결된 봉사자인지를 판단하여 그 여부를 중앙관리서버의 해당 DB에 저장하는 활동개시시간 입력단계(S410b)와; 로컬PC에 저장된 봉사자의 상기 개시시간에 대한 종료시간의 누락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누락입력확인단계(S410c)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거침으로써, 상기 수요처에 예약된 봉사자가 정상적인 활동을 완료하였는지를 중앙관리자 및 개별관리자가 특별한 조치 없이도 봉사활동 수행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본 시스템에 의하여 사전에 연결, 등록되지 아니한 봉사자의 봉사활동 수행여부 또한 자동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전자카드란, 카드리더기가 당해 카드에 입력된 봉사자의 고유번호(또는 ID)를 인식할 수 있는 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비접촉식 카드(예를 들어, RF/IC카드)는 물론 마그네틱 카드, 스마트카드 등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카드 리더기 또한 그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의 개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4는 상기한 누락입력확인단계(S410c)에서 로컬PC에 저장된 봉사자의 상기 개시시간에 대한 종료시간의 누락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화면구성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 및 그 구성에 의하여, 각 기관의 개별관리자는 물론 시스템을 총괄 관리하는 중앙관리자에게 봉사활동의 연결현황은 물론 수행실적 정보를 날짜단위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화면의 일실시예는, 개별관리자가 수요처를 기준으로 하여 일일봉사자의 연결여부를 확인하거나, 예약 등록이 완료된 봉사활동 신청자의 봉사활동 배정(연결)을 변경하며, 수요처의 활동내역별로 요청인원과 배정된 인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설명한 것이다.
또한, 도 21은 개별관리자가 특정 수요처에서의 봉사활동의 개시, 참여인원 등을 모니터링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구성도이며, 도 22는 상기한 신청정보DB, 요청정보DB, 연결정보DB로부터 종합적인 봉사활동 실적 및 계획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하는 화면구성의 일실시예로서, 현재일 이전의 봉사활동정보(연결실적 및 실행실적)에 대해서는 날짜단위 기준으로 저장, 관리되는 실적관리DB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며, 현재일 이후 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연결정보DB의 정보를 읽어들여 연결(배정) 현황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23은 수요처별 봉사활동 실행실적을 조회하는 화면으로서, 수요처의 봉사활동 대상업무별로 참여한 봉사자 이름 및 활동개시 및 종료시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22에서와 같이, 각 기관의 개별관리자 또는 중앙관리자는 봉사활동 연결실적, 실행실적은 물론 현재일 이후에 대하여 날짜별로 수요처의 요청인원, 봉사활동 신청인원 및 봉사활동 연결(배정)된 인원을 하나의 화면에서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과거 봉사활동의 실적 분석 및 향후의 봉사활동 계획수립에 관한 의사결정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기관의 개별관리자가 봉사활동 신청자와 봉사활동 요청업무의 연결권한을 일정한 조건으로 제한함으로써, 봉사활동 신청자와 수요처의 연계, 즉 봉사활동 신청자의 수요처 적정배치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사활동 수요처별 봉사자 배치현황, 봉사활동 실행현황 등의 현황정보를 손쉽게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봉사자가 연결된 수요처에서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시작 및 종료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자료로 하여실천 결과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봉사활동 연결실적, 실행실적은 물론 현재일 이후에 대하여 날짜별로 수요처의 요청인원, 봉사활동 신청인원 및 봉사활동 연결(배정)된 인원을 하나의 화면에서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과거 봉사활동의 실적 분석 및 향후의 봉사활동 계획수립에 관한 의사결정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또한, 봉사활동 연결등록이 사전(事前)에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당일 수요처에 봉사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참가한 봉사자의 경우에도 카드리더기로부터 인식된 해당 봉사자의 고유번호값과 활동실행정보를 중앙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참여의사를 가장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을 국가발전에 필요한 자원으로서 그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봉사활동 신청자의 봉사활동 신청정보와, 봉사활동을 필요로 하는 봉사활동 수요처의 봉사활동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상호간에 봉사활동의 공급과 수요를 서로 연결시켜 주고, 그 결과를 관리하는 봉사활동 관리방법에 있어서,
    신규 봉사활동 신청자의 기본적 사항을 입력받아 등록하고, 신청자(봉사자) 고유번호가 입력된 전자카드를 제작, 발급하는 신청자 등록단계(S111)와, 신규 봉사활동 신청단체의 기본사항을 입력받아 등록하는 신청단체 등록단계(S111)를 포함하며, 봉사활동 신청자 또는 단체가 수행 가능한 봉사활동의 종류 및 활동 가능일자(기간을 포함), 활동가능 인원수(단체의 경우에 한함)를 필수값으로 입력하는 봉사활동 신청 입력단계(S100)와;
    봉사활동 신규 수요처의 기본사항을 입력받아 이를 등록하는 단계(S210)를 포함하며, 봉사활동을 필요로 하는 수요처로부터 봉사활동 요청업무의 종류 및 내용, 요청일자(기간을 포함), 요청업무별 요청인원 등의 봉사활동 요청정보를 입력하는 봉사활동 요청 입력단계(S200)와;
    중앙관리자 또는 각 기관의 개별관리자가 그에 소속된 봉사활동신청자들에 대하여 봉사활동 요청정보DB에 저장된 특정활동에 배정하여 연결정보DB에 저장,등록하는 연결단계(S300)와;
    봉사활동 수요처에 배치된 로컬PC와 연동되는 카드리더기(150)로부터 인식된 카드정보 및 일시값을 중앙관리서버(100)로 전송하는 봉사활동 확인단계(S410)와,상기 확인단계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날짜 기준으로 실적관리DB에 저장하며 이 저장된 정보에 의하여 개별관리자 또는 중앙관리자가 봉사활동의 수행현황을 점검하는 점검단계(S420)로 구성되는 수행결과 관리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사활동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사활동 확인단계(S410)는, 카드리더기의 작동상태와 통신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로컬PC(150)의 소속, 수요처 고유번호(즉, 로컬PC에 탑재되어 동작하는 개별관리자 모듈의 고유번호)를 기준으로 중앙관리서버로부터 당일 활동내역에 연결된 봉사자 및 봉사단체의 정보를 취득하여 로컬PC에 저장하는 준비단계(S410a)와; 전자카드를 인식하여 중앙관리서버의 해당 DB에 등록된 자원봉사자인지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당일 활동내역에 연결된 봉사자인지를 판단하여 그 여부를 중앙관리서버의 해당 DB에 저장하는 활동개시시간 입력단계(S410b)와; 로컬PC에 저장된 봉사자의 상기 개시시간에 대한 종료시간의 누락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누락입력확인단계(S410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사활동 관리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DB로부터 익일(翌日)의 봉사활동 연결정보 및 해당 봉사자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봉사자의 휴대폰 번호를 신청정보DB로부터 추출하는 준비단계와, SMS기능을 이용하여 봉사자의 휴대폰으로 봉사활동 대상업무, 수요처 및 활동일자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메시지를 발송하는 알림메시지 전송단계(350)가; 상기 연결단계(300)와 상기 봉사활동 수행결과 관리단계(S400) 사이에 추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사활동 관리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사활동 신청 입력단계(S100)는, 그 신청자의 소속지역을 추가적으로 입력받아, 중앙관리서버의 해당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계(S300)는, 각 기관의 개별관리자가 그에 소속된 봉사활동 신청자들에 대하여 상기 요청정보DB에 등록된 모든 요청업무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반면, 그에 소속되지 아니한 봉사활동 신청자들에 대해서는 봉사활동을 연결 등록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사활동 관리방법.
  5. 봉사활동을 신청하는 자원봉사자 또는 봉사단체의 기본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봉사자 기본정보DB와; 봉사활동을 필요로 하는 수요처의 기본정보를 저장하고관리하는 수요처 기본정보DB와; 상기 봉사자 기본정보DB에 등록된 봉사활동 신청자 또는 단체가 활동가능한 봉사활동 종류, 활동 가능일자(기간 포함) 및 활동가능인원(단체의 경우)을 저장, 관리하는 자원봉사활동 신청정보DB와; 상기 수요처 요청정보DB에 등록된 수요처에서 필요로 하는 봉사활동 요청업무, 요청기간 및 시간대, 요청인원 등의 기본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수요처 활동요청정보DB와; 상기 신청정보DB와 상기 활동요청정보DB 상호간의 연결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봉사활동 연결정보DB; 및 봉사활동 실적을 관리하는 실적관리D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통신수단에 의하여 다수 개의 개별관리자 모듈을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중앙관리서버(100)와,
    상기 중앙관리서버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송수신수단과; 상기 송수신수단에 의하여 상기 중앙관리서버의 각 DB들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의 입력·조회 및 수정이 가능한 다수 개의 개별 관리자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개별 관리자 모듈의 고유번호를 저장하며, 상기 중앙관리서버(100)로부터 당일 봉사활동 대상업무에 연결된 봉사자 및 봉사단체의 정보를 해당 DB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저장장치와; 상기 전자카드를 인식하여 카드에 저장된 값을 읽어들이는 카드리더기(151)와;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하여 입력된 고유번호값이 중앙관리서버의 해당 DB에 등록된 값인지를 비교하고, 해당 고유번호가 당일 봉사활동 대상업무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개시시간에 대한 종료시간의 누락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로컬PC(150)와,
    봉사자의 고유번호, 소속기관 고유번호 등의 인적 정보가 기록된 전자카드;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사활동 관리시스템.
KR10-2002-0057168A 2002-09-19 2002-09-19 봉사활동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28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168A KR100428074B1 (ko) 2002-09-19 2002-09-19 봉사활동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168A KR100428074B1 (ko) 2002-09-19 2002-09-19 봉사활동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326A true KR20020077326A (ko) 2002-10-11
KR100428074B1 KR100428074B1 (ko) 2004-04-28

Family

ID=2772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168A KR100428074B1 (ko) 2002-09-19 2002-09-19 봉사활동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944B1 (ko) * 2019-10-23 2020-04-01 박성집 봉사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봉사 인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478B1 (ko) 2021-08-25 2022-03-04 주식회사 이포넷 완전체형 온라인 봉사 관리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340A (ko) * 2001-01-27 2002-08-03 주식회사 오앤이시스템 프리랜서 에이전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944B1 (ko) * 2019-10-23 2020-04-01 박성집 봉사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봉사 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8074B1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183242A (ja) 待ち行列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68709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dissemina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using a voice and data base system
US11941642B2 (en) Queue manage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service providers
US11423412B2 (en) Queue manage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service providers
US200800401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staff bidding
JP2007523428A (ja) Asp−主催メンバー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統合目的地セールスシステム
CN104992305A (zh) 一种医院客户关系管理系统
KR101934338B1 (ko) 업무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935710B1 (ko) Emr 시스템과 연계된 고객관리 및 고객서비스 운영 방법
KR101959791B1 (ko) 업무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878597B1 (ko) 회원의 출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445532B1 (ko) 봉사활동 중계 및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Weiss et al. High response rates for low-income population in-person surveys
KR100428074B1 (ko) 봉사활동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10405B1 (ko) Emr 시스템과 연계된 고객 건강검진정보 통합 운용 방법
JP3057079B2 (ja) ケア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
CN114386943A (zh) 智慧场馆运营与管理平台
KR20180075895A (ko) 대규모 이벤트를 위한 숙박시설 연계 및 예약, 관리를 위한 방법
US20030033185A1 (en) Method for matching a user to a subscriber
EP3349155A1 (en) Ev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event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JP6757013B1 (ja) 取引業者情報表示システム
KR20150095974A (ko) 사회적 협동조합의 고용지원 시스템
US20240185259A1 (en) Queue management system utilizing virtual service providers
KR101175851B1 (ko) 교회의 성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50682B1 (ko) 판매실적 예측수단을 적용한 판매사원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