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7103A - 액정표시모듈 - Google Patents

액정표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7103A
KR20020077103A KR1020020016392A KR20020016392A KR20020077103A KR 20020077103 A KR20020077103 A KR 20020077103A KR 1020020016392 A KR1020020016392 A KR 1020020016392A KR 20020016392 A KR20020016392 A KR 20020016392A KR 20020077103 A KR20020077103 A KR 20020077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anel
crystal display
display module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모토히로카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7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1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LCD모듈로, 서로 대향한 기판, 그들 기판의 적어도 한쪽의 위에 형성되면서 그들 기판간에 간극(間隙)을 만들도록 구성된 주상 스페이서(복수), 및 그들 기판간의 간극을 채운 액정재료를 포함하는 LCD패널과, 패널을 지지하면서 모듈의 사용시에 패널이 세워지도록 구성된 지지체를 포함하며, 패널의 온도를 25℃로부터 50℃까지 변화시킨 경우에 스페이서가 기판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모듈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본 발명은 액정표시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표시패널을 세워서 사용하는 대면적의 액정표시모듈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패널(이하, LCD패널이라 한다)은, 박형, 경량, 저소비전력이라는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LCD패널을 조립한 액정표시모듈(이하, LCD모듈이라 한다)은 갖가지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LCD모듈의 주된 용도로서는, 텔레비전 수상기나 컴퓨터의 모니터 등이 있다. 그러한 용도에서는, 통상 입상 스페이서 대신에, 포토리소그래피기술을 이용하여 기판상에 형성하는 주상 스페이서를 이용함으로써, 충분한 셀갭의 면(面)내 균일성을 실현하고 있다. 또, 그러한 용도에서는, LCD패널의 배면측에 고휘도의 백라이트(back light)를 배치한 LCD모듈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300cd/㎡이상의 고휘도 LCD모듈도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고온으로 가열되어도 표시얼룩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액정표시패널을 세워서 사용하는 대화면의 액정표시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른 LCD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LCD모듈의 측면도,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LCD모듈의 LCD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LCD패널의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예1에서 사용하는 주상 스페이서의 탄성변형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예1에 따른 LCD패널에서의 온도와 셀갭 및 스페이서 높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예2에 따른 LCD패널에서의 온도와 셀갭 및 스페이서 높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 --- LCD모듈, 2 --- LCD패널,
3 --- 광체(筐體), 4 --- 지지체,
4a --- 기부(基部), 4b --- 지지부,
4c --- 요동부(搖動部), 5 --- 백라이트,
11 ---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 12 --- 대향기판,
13 --- 액정층, 14 --- 편광판,
21 --- 투명기판(액티브 매트릭스 기판),
22 --- 신호선, 23 --- 주사선,
23a --- 게이트전극, 24 --- 박막 트랜지스터(TFT),
25 --- 게이트절연막, 26 --- 반도체층,
27 --- 채널보호막, 28a --- 저저항 반도체층,
28b --- 저저항 반도체층, 29a --- 소스전극,
29b --- 드레인전극, 31 --- 화소전극,
32 --- 배향막, 33 --- 보조용량선,
41 --- 투명기판(대향기판), 42 --- 차광막,
43R --- 적색의 착색층, 43B --- 청색의 착색층,
43G --- 녹색의 착색층, 43a --- 색필터층,
43b --- 주상 스페이서, 44 --- 대향전극,
45 --- 배향막, Cs --- 보조용량,
H0--- 온도가 25℃이고, 기판으로부터의 압력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스페이
서의 높이,
H1--- 온도가 25℃이고, 기판으로부터의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스페이
서의 높이,
β--- 스페이서의 선팽창계수,
ΔD1--- 25℃로부터 50℃로 승온함으로써 생기는 액정재료의 체적증가로부
터 산출되는 기판간의 거리(셀갭)의 증가,
ΔD2--- 25℃로부터 70℃로 승온함으로써 생기는 액정재료의 체적증가로부
터 산출되는 기판간의 거리(셀갭)의 증가,
x --- 스페이서에 가한 하중(mN),
y --- 스페이서 높이의 감소(㎛).
본 발명의 제1측면(側面)에 의하면, 액정표시모듈로, 서로 대향한 기판(복수), 상기 기판의 적어도 한쪽의 위에 형성되면서 상기 기판간에 간극(間隙)을 만들도록 구성된 주상 스페이서(복수), 및 상기 기판간의 상기 간극을 채운 액정재료를 구비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패널을 지지하면서 상기 모듈의 사용시에 상기 패널이 세워지도록 구성된 지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패널의 온도를 25℃로부터 50℃까지 변화시킨 경우에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기판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의하면, 액정표시모듈로, 서로 대향한 기판(복수), 상기 기판의 적어도 한쪽의 위에 형성되면서 상기 기판간에 간극을 만들도록 구성된 주상 스페이서(복수), 및 상기 기판간의 상기 간극을 채운 액정재료를 구비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패널을 지지하면서 상기 모듈의 사용시에 상기 패널이 세워지도록 구성된 지지체를 구비하며, 25℃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기판으로부터의압력에 의해 탄성변형하고 있고, H0와 H1과 β와 ΔD1은 부등식:
H0- H1+ 25×β×H0> ΔD1
으로 나타낸 관계(여기서, H0는 온도가 25℃이면서 상기 압력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를 나타내고, H1은 온도가 25℃이면서 상기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를 나타내며, β는 상기 스페이서의 선팽창계수를 나타내고, ΔD1은 25℃로부터 50℃로 승온함으로써 생기는 상기 액정재료의 체적증가로부터 산출되는 상기 기판간의 거리의 증가를 나타냄)를 만족한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의하면, 액정표시모듈로, 서로 대향한 기판(복수), 상기 기판의 적어도 한쪽의 위에 형성되면서 상기 기판간에 간극을 만들도록 구성된 주상 스페이서(복수), 및 상기 기판간의 상기 간극을 채운 액정재료를 구비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패널을 지지하면서 상기 모듈의 사용시에 상기 패널이 세워지도록 구성된 지지체를 구비하며, 25℃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기판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하고 있고, H0와 H1과 ΔD1은 부등식:
H0- H1> ΔD1
으로 나타낸 관계(여기서, H0는 온도가 25℃이면서 상기 압력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를 나타내고, H1은 온도가 25℃이면서 상기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를 나타내며, ΔD1은 25℃로부터 50℃로 승온함으로써 생기는 상기 액정재료의 체적증가로부터 산출되는 상기 기판간의 거리의 증가를 나타냄)를 만족한 것이 제공된다.
여기서, 「지지체는 모듈의 사용시에 패널이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지지체는 항상 패널이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하는 것 및 「지지체는 모듈의 비사용시에 패널이 쓰러지고 또한 모듈의 사용시에 패널이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또, 「패널이 세워지다」라고 하는 것은 패널의 주면과 중력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내지 45°의 범위내에 있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스페이서의 선팽창계수」는 주상 스페이서의 기판면에 수직한 방향의 선팽창계수를 의미한다. 부가하여, 「스페이서의 높이」는 주상 스페이서가 형성된 기판의 표시에 기여하는 영역(화소영역)에 위치한 부분의 표면을 기준으로 한 높이를 의미한다.
또, 「액정재료의 체적증가로부터 산출되는 기판간의 거리의 증가 ΔD」는 액정재료로 채워진 공간은 액정재료의 팽창에 의해 기판면에 수직한 방향(두께방향)만으로 확대되고, 또한 증가 ΔD는 액정재료로 채워진 공간의 두께방향의 길이의 증가와 같다고 가정하여 얻어지는 값이다. 「높이 H0」는, 예컨대 한쪽의 기판을 다른쪽의 기판으로부터 박리하고, 25℃에서 주상 스페이서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높이 H1」은, 예컨대 액정표시패널의 단면구조를 조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주상 스페이서가 양쪽의 기판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는 셀갭과 같다.
제1의 측면에 있어서, 패널의 온도를 25℃로부터 70℃까지 변화시킨 경우에스페이서가 기판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한 상태를 계속 유지해도 좋다.
제2의 측면에 있어서, H0와 H1과 β와 ΔD2는 부등식:
H0- H1+ 45×β×H0> ΔD2
으로 나타낸 관계(여기서, ΔD2는 25℃로부터 70℃로 승온함으로써 생기는 상기 액정재료의 체적증가로부터 산출되는 상기 기판간의 거리의 증가를 나타냄)를 만족하고 있어도 좋다.
제3의 측면에 있어서, H0와 H1과 ΔD2는 부등식:
H0- H1> ΔD2
으로 나타낸 관계(여기서, ΔD2는 25℃로부터 70℃로 승온함으로써 생기는 상기 액정재료의 체적증가로부터 산출되는 상기 기판간의 거리의 증가를 나타냄)를 만족하고 있어도 좋다.
제1 내지 제3의 측면에 따른 모듈은, 패널에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원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광원의 연속점등에 의해 패널이 도달하는 최고온도는 50℃ 이하여도 좋고, 혹은 70℃ 이하여도 좋다.
제1 내지 제3의 측면에 있어서, 패널의 유효표시영역의 대각사이즈는 12인치 이상이어도 좋고, 15인치 이상이어도 좋으며, 17인치 이상이어도 좋고, 30인치 이상이어도 좋으며, 40인치 이상이어도 좋다.
제1 내지 제3의 측면에 있어서, 액정재료의 체(體)팽창계수는 0.65×10-3-1내지 0.85×10-3-1의 범위내에 있어도 좋다. 또, 25℃에서의 셀갭은 4㎛미만이어도 좋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태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른 LCD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LCD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LCD모듈(1)은, LCD패널(2), 백라이트(도시하지 않음), 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 그들을 격납한 광체(筐體; 3) 및 지지체(4) 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4)는 기부(基部; 4a)와 지지부(지주부라고도 함; 4b), 요동부(搖動部; 4c) 및 회전부(도시하지 않음)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4b)는 기부(4a)에 고정되어 있고, 요동부(4c)는 지주부(4b)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회전부는 요동부(4c)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광체(3)의 내부에서 광체(3) 및 그것에 격납된 부재를 지지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LCD모듈(1)은, 예컨대 텔레비전 수상기나 컴퓨터의 모니터 등으로서 이용가능하다. 이 경우, LCD모듈(1)은 튜너나 스피커 등을 내장하고 있어도 좋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LCD모듈(1)의 LCD패널(2)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LCD패널(2)은, 예컨대 TN(Twisted Nematic)형의 풀 컬러(full color) 표시가 가능한 LCD패널이다. 또, LCD패널(2)은, 예컨대 (1024×3)×786개의 화소를 매트릭스모양으로 배치한 대각사이즈가 12인치(약 30㎝)의 유효표시영역을 갖고 있다.
이 LCD패널(2)은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11)과 대향기판(12)을 대향시키고, 그들 기판(11, 12) 사이에 액정재료로 이루어진 액정층(13)을 개재시킨 구조를 갖고 있다. 이들 기판(11, 12) 사이의 주연부(周緣部)에는 액정재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제외하고 접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고, 그 주입구는 밀봉재를 이용하여 밀봉되어 있다. 또, 이 LCD패널(2)의 양면에는 편광판(14)이 각각 장착되어 있고, 그 배면측에는 면광원장치인 백라이트(5)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LCD패널(2)의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1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LCD패널(2)에 있어서,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11)은 예컨대 두께 0.7㎜의 유리판과 같은 투명기판(21)을 갖추고 있다. 투명기판(21)상에는 신호선(22)과 주사선(23)이 서로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신호선(22)의 수를 1024개로 하고, 주사선(23)의 수를 786개로 한다. 또, 신호선(22)은 예컨대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주사선(23)은 예컨대 몰리브덴-텅스텐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신호선(22)과 주사선(23)의 교점 근방에는, 스위칭소자로서 예컨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한다)(24)가 설치되어 있다. 이TFT(24)는 주사선(23)으로부터 연재(延在)한 게이트전극(23a)을 갖추고 있다. 게이트전극(23a)상에는, 예컨대 실리콘질화물(SiNx) 등으로 이루어진 게이트절연막(25), 채널로서 이용되는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이하, a-Si:H라 한다)층과 같은 반도체층(26), 및 예컨대 실리콘질화물(SiNx) 등으로 이루어진 채널보호막(27)이 순차 적층되어 있다. 채널보호막(27)의 양측에는 반도체층(26)을 덮는 인을 도프한 저저항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층과 같은 저저항 반도체층(28a, 28b)이 설치되어 있고, 저저항 반도체층(28a, 28b)상에는 소스전극(29a)과 신호선(22)으로부터 연재한 드레인전극(29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절연막(25)상에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도전재료로 이루어진 화소전극(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화소전극은, TFT(24)의 소스전극(29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화소전극(31)상에는, 예컨대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배향막(32)이 설치되어 있다.
기판(21)과 절연막(25) 사이에는 보조용량선(33)이 더 설치되어 있다. 보조용량선(33)은 주사선(23)과 동일 공정에서 형성할 수 있다. 보조용량선(33)과 화소전극(31)과 그들 사이에 개재한 절연막(25)은 보조용량(Cs)을 구성하고 있다.
대향기판(12)은, 예컨대 두께 0.7㎜의 유리판과 같은 투명기판(41)을 갖추고 있다. 투명기판(41)상에는, 예컨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차광막(42)이 매트릭스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차광막(42)은,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라 불리우고, 신호선(22)과 화소전극(31) 사이나 주사선(23)과 화소전극(31) 사이로부터의 광이 관찰자측으로 누설되는 것 및 외광(外光)이 TFT(24)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판(41)의 차광막(42)이 설치된 면에는 적색의 착색층(43R), 청색의 착색층(43B) 및 녹색의 착색층(43G)이 설치되어 있다. 착색층(43R, 43B, 43G)은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고, 그들이 겹쳐져 있지 않은 부분은 색필터(color filter)층(43a)을 구성하며, 그들이 겹쳐진 부분은 주상 스페이서(43b)를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착색층(43R, 43B, 43G)상에는 ITO와 같은 투명도전재료로 이루어진 대향전극(44) 및 예컨대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배향막(45)이 순차 적층되어 있다.
그런데, 고휘도의 백라이트를 사용한 LCD모듈에서는, 백라이트로부터의 열에 의해 액정패널이 50℃ 근처까지 승온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70℃ 근처까지 승온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액정패널의 온도상승이 생기면, 액정재료가 팽창하고, 그 결과 셀갭이 넓어진다.
본 발명자는, 그러한 셀갭의 확대가 표시성능에 주는 영향에 대해 상세히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즉, 자동지불기의 모니터와 같이 LCD패널을 거의 수평으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LCD모듈에서는, 그러한 셀갭의 확대가 표시성능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그렇지만, 텔레비전 수상기나 컴퓨터의 모니터 등과 같이 LCD패널을 세워서 사용하는 LCD모듈에서는, 화면사이즈가 크면, 그러한 셀갭의 확대는 표시얼룩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그러한 표시얼룩은 유효표시영역의 대각사이즈가 12인치 정도의 경우에 확인할 수 있고, 15인치 정도의 경우에 약간 두드러지게 되며, 17인치 정도의 경우에 두드러지게 되고, 30인치 정도 혹은 40인치 정도의 경우에 아주 현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셀갭의 확대에 기인한 표시얼룩은 액정표시패널을 세워서 사용하는 대화면의 액정표시모듈에 특유의 표시불량이다.
본 발명자는, LCD패널을 세워서 사용하는 종래의 LCD모듈에서 화면사이즈가 크면 백라이트로부터의 열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셀갭의 확대에 의해 표시얼룩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표시얼룩이 생기는 것을 알아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CD패널의 온도가 상승하면 셀갭이 넓어진다. 상온에서 주상 스페이서는 기판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하고 있고, 또 주상 스페이서는 가열하면 팽창하기 때문에, 온도상승에 의해 셀갭이 증가하면 주상 스페이서도 신장된다. 즉, 주상 스페이서는 셀갭의 증가에 추종한다. LCD패널을 세우면 액정재료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한쪽의 기판에 형성한 주상 스페이서가 다른쪽의 기판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한, 액정재료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은 억제된다. 즉, 셀갭은 넓어지지만, 액정재료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기인한 기판의 휘어짐이 억제되기 때문에 셀갭의 면내 균일성은 유지된다.
그렇지만, 셀갭이 더 넓어지면, 주상 스페이서는 셀갭의 증가에 추종할 수 없게 된다. 즉, 한쪽의 기판에 형성한 주상 스페이서는 다른쪽의 기판으로부터 떨어진다. 그러한 박리가 생기면, 액정재료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기판이 크게 휘어진다. 그 결과, 하부에서는 상부에 비해 셀갭이 넓어지고, 표시얼룩이 생긴다.
이에 대해, 본 태양에서는 하기 부등식 (1)에 나타낸 관계를 만족하도록 LCD패널(2)을 구성한다.
H0- H1+ 25×β×H0> ΔD1--- (1)
이 부등식 (1)에 있어서, 「H0」는 대향기판(12)에 대해 25℃에서 측정한, 즉 LCD패널(2)로부터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11) 등을 떼어내고 25℃에서 측정한 주상 스페이서(43b)의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H1」은 LCD패널(2)에 대해 25℃에서 측정한 주상 스페이서(43b)의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β」는 주상 스페이서(43b)의 선팽창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ΔD1」은 LCD패널(2)을 25℃로부터 50℃로 승온함으로써 생기는 액정재료의 체적증가로부터 산출한 셀갭의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부등식 (1)에 있어서, 차 (H0-H1)은 온도를 25℃로 유지한 채, 탄성변형하고 있는 주상 스페이서(43b)로의 압력을 제거한 경우에, 주상 스페이서(43b)가 신장될 수 있는 길이에 상당한다. 또, 상기 부등식 (1)에 있어서, 곱 (25×β×H0)는 압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를 25℃로부터 50℃로 변화시킨 경우에, 주상 스페이서(43b)가 신장될 수 있는 길이에 상당한다. 따라서, LCD패널(2)이 상기 부등식 (1)에 나타낸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경우, LCD패널(2)의 온도를 25℃로부터 50℃로 변화시켜도 주상 스페이서(43b)는 셀갭의 증가에 추종한다. 그러므로, 본 태양에 의하면, LCD패널(2)이 고온으로 가열된다고 해도, 셀갭의 면내 균일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표시얼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태양에 있어서, LCD패널(2)은 하기 부등식 (2)에 나타낸 관계를 만족하고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H0- H1+ 45×β×H0> ΔD2--- (2)
이 부등식 (2)에 있어서, 「ΔD2」는 LCD패널(2)을 25℃로부터 70℃로 승온함으로써 생기는 액정재료의 체적증가로부터 산출되는 셀갭의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부등식 (2)에 있어서, 곱 (45×β×H0)는 압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를 25℃로부터 70℃로 변화시킨 경우에, 주상 스페이서(43b)가 신장될 수 있는 길이에 상당한다. 따라서, LCD패널(2)이 상기 부등식 (2)에 나타낸 관계를 만족하고 있는 경우, LCD패널(2)의 온도를 25℃로부터 70℃로 변화시켜도 주상 스페이서(43b)는 셀갭의 증가에 추종한다. 즉, 이 경우, LCD패널(2)이 보다 고온으로 가열된다고 해도, 표시얼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태양에 있어서, LCD패널(2)은 하기 부등식 (3)에 나타낸 관계를 만족하고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태양에 있어서, LCD패널(2)은 하기 부등식 (4)에 나타낸 관계를 만족하고 있어도 좋다.
H0- H1> ΔD1--- (3)
H0- H1> ΔD2--- (4)
곱 (β×H0)는 양의 값이므로, LCD패널(2)은 상기 부등식 (1)에 나타낸 관계를 만족하고 있으면, 이 부등식 (3)에 나타낸 관계도 만족한다. 마찬가지로, LCD패널(2)은 상기 부등식 (2)에 나타낸 관계를 만족하고 있으면, 이 부등식 (4)에 나타낸 관계도 만족한다.
상기 부등식 (1) 내지 (4)의 각각에 있어서, 좌변은 우변보다도 0.01㎛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술한 표시얼룩의 발생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태양에 있어서, LCD패널(2)의 유효표시영역의 대각사이즈는, 12인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인치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7인치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0인치 이상 혹은 40인치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효표시영역의 대각사이즈가 클수록 LCD패널을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에 특유의 표시얼룩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상술한 구성이 보다 유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태양에서는 착색층(43R, 43G, 43B)의 3층 구조를 형성하고, 이것을 주상 스페이서로서 이용했지만, 주상 스페이서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착색층(43G)과 착색층(43R, 43B)의 한쪽과의 2층 구조를 형성하고, 이것을 주상 스페이서로서 이용해도 좋다. 또, 착색층(43R, 43G, 43B)의 3층 구조에 다른 층을 더 부가하여 4층 구조를 형성하고, 이것을 주상 스페이서로서 이용해도 좋다. 또, 착색층(43G)과 착색층(43R, 43B)의 한쪽과의 2층 구조에 다른 층을 더 부가하여 3층 구조를 형성하고, 이것을 주상 스페이서로서 이용해도 좋다. 부가하여, 착색층(43R, 43G, 43B)을 서로 겹치게 하지 않고 색필터층상에 주상돌기(柱狀突起)를 형성해도 좋다. 즉, 착색층(43R, 43G, 43B)을 이용하지 않고 주상 스페이서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태양에서는 착색층(43R, 43G, 43B)을 순서대로 형성했지만, 착색층(43R, 43G, 43B)의 형성순서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 본 태양에서는 주상 스페이서를 대향기판(12)에 설치했지만, 주상 스페이서는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11)에 설치해도 좋다. 혹은,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11) 및 대향기판(12)의 쌍방에 설치해도 좋다. 더욱이, 본 태양에서는 색필터층을 대향기판(12)에 설치했지만,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11)에 설치해도 좋다.
본 태양에 있어서, 주상 스페이서(43b)의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다만, 높은 개구율을 실현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주상 스페이서(43b)를 인접하는 화소전극(31)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상 스페이서(43b)는 신호선(22)이나 TFT(24)상에 위치시켜도 좋지만, 기판(11, 12)끼리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주상 스페이서(43b)는 주사선(23)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태양에서는, 표시모드로서 TN모드를 이용했지만, TN모드 이외의 복굴절모드도 이용가능하다. 더욱이, 게스트(Guest)·호스트(Host)모드 등과 같이 복굴절모드 이외의 표시모드도 이용가능하다.
본 태양에서는, 본 발명을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구조의 LCD모듈에 적용했지만, 본 발명은 다른 구조의 LCD모듈에도 적용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은 벽부착형의 LCD모듈이나 벽에 끼워 넣는 형의 LCD모듈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1
먼저, 도 2에 나타낸 LCD패널(2)의 대향기판(12)을 제작했다. 여기서 제작한 LCD패널(2)은 유효표시영역내에 (800×3)×600개의 화소를 포함한 SVGA사양의 TN형 LCD패널이다. 이 LCD패널(2)의 기판(21, 41)은 31㎝×23㎝의 유리기판이고, 화소피치는 102.5㎛×307.5㎛이며, 유효표시영역의 대각사이즈는 약 30㎝이다. 기판(11, 12)간에는 1960N의 하중이 가해지고 있고, 25℃에서의 셀갭은 5.00㎛이다. 또, 사용한 액정재료는 칫소사 제품이고, 그 체팽창계수는 0.7×10-3-1이다.
주상 스페이서(43b)에는 아크릴계 재료를 사용하고, 탄성변형하고 있지 않은 스페이서(43b)의 25℃에서의 높이는 5.1㎛로 했다. 스페이서(43b)는 9개의 화소에 대해 4개의 비율로 설치했다. 또, 스페이서(43b)의 정수리부의 면적, 즉 스페이서(43b)의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11)과의 접촉면의 면적은 100㎛2(=10㎛×10㎛)로 했다. 즉, 1㎟의 표시영역내에서 주상 스페이서(43b)가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11)에 접촉하는 면적을 1410㎛2/1㎟으로 했다.
도 4는 이 주상 스페이서(43b)의 탄성변형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 중, 횡축은 1개의 스페이서(43b)에 가한 하중을 나타내고, 종축은 스페이서(43b)에 하중을 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대한 스페이서(43b)의 높이의 감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10mN의 하중을 가하는 것만으로 스페이서(43b)의 높이는 0.1㎛ 정도 축소된다. 즉, 이 스페이서(43b)는 하중 변형이 비교적 크다. 여기서, 스페이서(43b)에 가한 하중을 x(mN), 스페이서 높이의 감소를 y(㎛)로 하면, 도 4에 나타낸 곡선은 다음의 등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y = 0.0187×x0.7212
다음으로, 이 LCD패널(2)에 대해 온도상승에 대한 셀갭 및 스페이서 높이의 변화를 조사했다.
도 5는 온도와 셀갭 및 스페이서 높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 중, 횡축은 온도를 나타내고, 종축은 셀갭 및 스페이서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 실선(51)은 셀갭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점선(52)은 주상 스페이서(43b)의 높이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일점쇄선(53)은 하중을 가하고 있지 않은 주상 스페이서(43b)의 높이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LCD패널(2)은 약 54℃까지 주상 스페이서(43b)가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11)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이 LCD패널(2)을 이용하여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LCD모듈(1)을 제작했다. 이 LCD모듈(1)에서 백라이트(5)를 연속 점등한 경우, LCD패널(2)은 최고로 50℃까지 승온한다.
이 LCD모듈(1)에 대해, LCD패널(2)의 주면과 중력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0°내지 45°의 범위내에서 변화시켜 표시얼룩의 발생의 유무를 조사했다. 그 결과, 이 LCD모듈(1)에서는 표시얼룩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 이 상태에서는, 셀갭의 오차는 0.05㎛이내였다.
비교예
주상 스페이서(43b)에 하중변형이 보다 작은 재료를 사용한 것 이외는 예1에서 설명한 것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LCD패널(2)을 제작했다. 이 LCD패널(2)의 주상 스페이서(43b)의 25℃에서의 높이는 하중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약 5.05㎛이고, 25℃에서의 셀갭은 5.00㎛이다. 또, 본 비교예에 따른 LCD패널(2)과 예1에 따른 LCD패널(2)에서는, 주상 스페이서(43b)의 선팽창계수가 거의 같다.
이 LCD패널(2)은 약 42℃까지 주상 스페이서(43b)가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11)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했다. 그렇지만, 보다 높은 온도까지 가열하면, 주상 스페이서(43b)는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11)으로부터 떨어져 버렸다.
다음에, 이 LCD패널(2)을 이용하여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LCD모듈(1)을 제작했다. 이 LCD모듈(1)에서 백라이트(5)를 연속 점등한 경우, LCD패널(2)은 최고로 50℃까지 승온한다.
이 LCD모듈(1)에 대해, 예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조건에서 표시얼룩의 발생의 유무를 조사했다. 그 결과, 이 LCD모듈(1)에서는 LCD패널(2)의 하부에 표시얼룩을 발생시켰다. 또, 이 상태에서는, 셀갭의 오차는 0.05㎛를 훨씬 넘고 있었다.
예2
주상 스페이서(43b)의 25℃에서의 높이가 하중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3.60㎛이고, 25℃에서의 셀갭이 3.50㎛인 것 이외는 예1에서 설명한 것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LCD패널(2)을 제작했다. 이 LCD패널(2)에 대해, 온도상승에 대한 셀갭 및 스페이서 높이의 변화를 조사했다.
도 6은 온도와 셀갭 및 스페이서 높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중, 횡축은 온도를 나타내고, 종축은 셀갭 및 스페이서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 실선(61)은 셀갭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점선(62)은 주상 스페이서(43b)의 높이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일점쇄선(63)은 하중을 가하고 있지 않은 주상 스페이서(43b)의 높이에 관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LCD패널(2)은 약 73℃까지 주상 스페이서(43b)가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11)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이 LCD패널(2)을 이용하여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LCD모듈(1)을 제작했다. 이 LCD모듈(1)에서 백라이트(5)를 연속 점등한 경우, LCD패널(2)은 최고로 70℃까지 승온한다.
이 LCD모듈(1)에 대해, LCD패널(2)의 주면과 중력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0°내지 45°의 범위내에서 변화시켜 표시얼룩의 발생의 유무를 조사했다. 그 결과, 이 LCD모듈(1)에서는 표시얼룩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 이 상태에서는, 셀갭의 오차는 0.05㎛이내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LCD패널의 온도를 25℃로부터 소정의 온도까지 높인 경우에 주상 스페이서가 기판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LCD모듈을 구성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LCD패널을 세워서 사용할 때에 패널이 고온으로 가열되어도, 주상 스페이서가 한쪽의 기판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에 기인하여 셀갭의 면내 균일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으로 가열되어도 표시얼룩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액정표시패널을 세워서 사용하는 대화면의 액정표시모듈이 제공된다.
부가적인 이점 및 변형이 이 기술에 능통한 자에게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내고 설명한 각종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0)

  1. 액정표시모듈로,
    서로 대향한 기판(복수), 상기 기판의 적어도 한쪽의 위에 형성되면서 상기 기판간에 간극(間隙)을 만들도록 구성된 주상 스페이서(복수), 및 상기 기판간의 상기 간극을 채운 액정재료를 구비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패널을 지지하면서 상기 모듈의 사용시에 상기 패널이 세워지도록 구성된 지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패널의 온도를 25℃로부터 50℃까지 변화시킨 경우에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기판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광원의 연속점등에 의해 상기 패널이 도달하는 최고온도는 5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대각사이즈가 12인치 이상의 유효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온도를 25℃로부터 70℃까지 변화시킨 경우에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기판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광원의 연속점등에 의해 상기 패널이 도달하는 최고온도는 7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대각사이즈가 12인치 이상의 유효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대각사이즈가 12인치 이상의 유효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9. 액정표시모듈로,
    서로 대향한 기판(복수), 상기 기판의 적어도 한쪽의 위에 형성되면서 상기 기판간에 간극을 만들도록 구성된 주상 스페이서(복수), 및 상기 기판간의 상기 간극을 채운 액정재료를 구비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패널을 지지하면서 상기 모듈의 사용시에 상기 패널이 세워지도록 구성된 지지체를 구비하며,
    25℃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기판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하고 있고, H0와 H1과 β와 ΔD1은 부등식:
    H0- H1+ 25×β×H0> ΔD1
    으로 나타낸 관계(여기서, H0는 온도가 25℃이면서 상기 압력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를 나타내고, H1은 온도가 25℃이면서 상기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를 나타내며, β는 상기 스페이서의 선팽창계수를 나타내고, ΔD1은 25℃로부터 50℃로 승온함으로써 생기는 상기 액정재료의 체적증가로부터 산출되는 상기 기판간의 거리의 증가를 나타냄)를 만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광원의 연속점등에 의해 상기 패널이 도달하는 최고온도는 5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대각사이즈가 12인치 이상의 유효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H0와 H1과 β와 ΔD2는 부등식:
    H0- H1+ 45×β×H0> ΔD2
    으로 나타낸 관계(여기서, ΔD2는 25℃로부터 70℃로 승온함으로써 생기는 상기 액정재료의 체적증가로부터 산출되는 상기 기판간의 거리의 증가를 나타냄)를 만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광원의 연속점등에 의해 상기 패널이 도달하는 최고온도는 7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대각사이즈가 12인치 이상의 유효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15. 액정표시모듈로,
    서로 대향한 기판(복수), 상기 기판의 적어도 한쪽의 위에 형성되면서 상기 기판간에 간극을 만들도록 구성된 주상 스페이서(복수), 및 상기 기판간의 상기 간극을 채운 액정재료를 구비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패널을 지지하면서 상기 모듈의 사용시에 상기 패널이 세워지도록 구성된 지지체를 구비하며,
    25℃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기판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하고 있고, H0와 H1과 ΔD1은 부등식:
    H0- H1> ΔD1
    으로 나타낸 관계(여기서, H0는 온도가 25℃이면서 상기 압력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를 나타내고, H1은 온도가 25℃이면서 상기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를 나타내며, ΔD1은 25℃로부터 50℃로 승온함으로써 생기는 상기 액정재료의 체적증가로부터 산출되는 상기 기판간의 거리의 증가를 나타냄)를 만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광원의 연속점등에 의해 상기 패널이 도달하는 최고온도는 5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대각사이즈가 12인치 이상의 유효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18. 제15항에 있어서, H0와 H1과 ΔD2는 부등식:
    H0- H1> ΔD2
    으로 나타낸 관계(여기서, ΔD2는 25℃로부터 70℃로 승온함으로써 생기는 상기 액정재료의 체적증가로부터 산출되는 상기 기판간의 거리의 증가를 나타냄)를 만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광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광원의 연속점등에 의해 상기 패널이 도달하는 최고온도는 7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대각사이즈가 12인치 이상의 유효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KR1020020016392A 2001-03-28 2002-03-26 액정표시모듈 KR200200771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94364 2001-03-28
JP2001094364 2001-03-28
JP2002037325A JP2002357835A (ja) 2001-03-28 2002-02-14 液晶表示モジュール
JPJP-P-2002-00037325 2002-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103A true KR20020077103A (ko) 2002-10-11

Family

ID=2661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392A KR20020077103A (ko) 2001-03-28 2002-03-26 액정표시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41318B2 (ko)
JP (1) JP2002357835A (ko)
KR (1) KR20020077103A (ko)
TW (1) TWI2910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5612B2 (ja) * 2001-09-26 2010-0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KR101209809B1 (ko) * 2006-03-08 2012-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288729B2 (ja) * 2007-05-23 2013-09-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セントラル 液晶表示装置
JP2008309857A (ja) * 2007-06-12 2008-12-2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4970545B2 (ja) * 2007-09-20 2012-07-11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液晶パネル、液晶表示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
JP5544692B2 (ja) * 2007-12-07 2014-07-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5174450B2 (ja) * 2007-12-18 2013-04-03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120134147A (ko) * 2010-03-31 2012-12-1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0512A (ja) * 1989-05-26 1990-12-26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H09305239A (ja) * 1996-05-16 1997-11-28 Toyo Electric Mfg Co Ltd バックラッシュ制振制御方法
JP2000310784A (ja) * 1999-02-22 2000-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パネル、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1013506A (ja) * 1999-04-30 2001-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47437A (ja) * 1999-11-19 2001-05-29 Nec Corp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9139A (en) * 1995-07-05 1997-12-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crystal device having pressure relief structure
JP3998317B2 (ja) * 1998-03-12 2007-10-24 東芝電子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6181390B1 (en) * 1999-01-27 2001-01-30 Compal Electronics, Inc. Display holder with multiple side frames
KR20000071852A (ko) * 1999-04-30 2000-11-25 모리시타 요이찌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1142074A (ja) * 1999-11-10 2001-05-2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0512A (ja) * 1989-05-26 1990-12-26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H09305239A (ja) * 1996-05-16 1997-11-28 Toyo Electric Mfg Co Ltd バックラッシュ制振制御方法
JP2000310784A (ja) * 1999-02-22 2000-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パネル、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1013506A (ja) * 1999-04-30 2001-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47437A (ja) * 1999-11-19 2001-05-29 Nec Corp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41318B2 (en) 2004-05-25
TWI291066B (en) 2007-12-11
JP2002357835A (ja) 2002-12-13
US20020140894A1 (en) 200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391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220994B2 (en) In 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7329339B (zh) 阵列基板及曲面液晶显示器
JP3081607B2 (ja) 液晶表示装置
US745690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41890B1 (ko)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4566162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68400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the same
JP2003207803A (ja) 横電界方式の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20040110884A (ko) 빛샘 현상이 방지된 액정표시장치
US752562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8262006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液晶パネル
KR20020077103A (ko) 액정표시모듈
JP2012113163A (ja) 液晶表示装置
KR100577299B1 (ko) 액정표시장치
JPH10206895A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KR20050064753A (ko)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2666764A (zh) 一种液晶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JP5491892B2 (ja) 液晶表示装置
CN217767139U (zh) 像素结构及显示装置
KR100918651B1 (ko) 횡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77733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88941B1 (ko) 프린지필드구동 액정표시장치
KR10065205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429902B1 (ko)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029

Effective date: 2006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