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133A - Forming device for forming pin tuck using zigzag sewing machine - Google Patents

Forming device for forming pin tuck using zigzag sew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133A
KR20020076133A KR1020020015995A KR20020015995A KR20020076133A KR 20020076133 A KR20020076133 A KR 20020076133A KR 1020020015995 A KR1020020015995 A KR 1020020015995A KR 20020015995 A KR20020015995 A KR 20020015995A KR 20020076133 A KR20020076133 A KR 20020076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ewing
thread
p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야마오카타케오
아사오히데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6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133A/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needle-bar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05B1/12Lock-stitch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8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uching, gathering, casing, or filling lace, ribbons, or bindings; Pleating devices; Cuttlers; Gathering feet; Crimpers; Curlers; Ruffl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3/00Casings
    • D05B73/04Lower casings
    • D05B73/12Slides; Needl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PURPOSE: To allow a worker to easily, efficiently and stably sew uniform and beautiful pin-tucks regardless of its skill by improving the stability stitch balancing thread tension, the feeding stability of a sewing matter (cloth), and the visual confirmability of seams in sewing in the formation of pin-tucks by use of a zigzag lock stitch sewing machine. CONSTITUTION: A throat plate 11a comprises a hole 12a located between the lateral needle locating positions 20a and 20b of one needle and extended long in the feeding direction S of a sewing matter 13. A guide plate 10 for freely inserted to the hole 12a from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throat plate 11a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a presser 8. A feed dog 14a has a U-shaped sectional U-groove 15a in a position opposed to the hole 12a to work a feeding force to a pin-tuck part.

Description

지그재그 재봉틀에 의한 핀 턱 형성장치{FORMING DEVICE FOR FORMING PIN TUCK USING ZIGZAG SEWING MACHINE}Pin jaw forming device by zigzag sewing machine {FORMING DEVICE FOR FORMING PIN TUCK USING ZIGZAG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한개의 바늘을 좌우로 흔들면서 바늘 진동폭에 대응하는 좌우위치에 있는 수평북의 보빈실과 번갈아 다른 실 레이싱(interlacing; 실이 다른 실 또는 다른 루프와 교차하는 것)하는 지그재그 재봉틀에 의한 핀 턱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in by a zigzag sewing machine alternately interlacing with a bobbin thread of a horizontal drum in a left and right position corresponding to a needle vibration width while shaking one needle from side to side. It relates to a jaw forming device.

핀 턱(pin tuck)을 실시한 봉제물(천)은 봉제물(천)을 신축시키는 기능성이나, 독특한 장식성을 갖기 때문에 그 수요는 높아지고 있다.Since the sewing material (cloth) which gave pin tuck has the functionality which stretches a sewing material (cloth), and has unique decorativeness, the demand is increasing.

봉제물(천)을 뒤집어 대향하는 부분을 뒤집는 부를 따라 봉합함으로써 핀 턱을 형성할 수 있다.The pin tuck can be formed by inverting the sewing material (cloth) and sewing it along an inverted portion.

또 핀 턱을 시침질에 의해 형성하고, 그 봉제물(천)을 열처리하여 핀 턱형상을 정착시키고, 봉합을 풀어 봉제실을 제거함으로써 주름모양의 핀 턱이 반영구적으로 형성된다. 이와같은 핀 턱을 여러개 실시하면 신축성이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피복 등의 표면을 장식하거나 독특한 소재감을 나타낼 수 있어 그 인기는 높다.In addition, pin tuck is formed by tacking, the sewing material (cloth) is heat-treated to fix the pin tuck shape, and the stitch is released to remove the sewing thread, thereby forming a wrinkled pin tuck semi-permanently. Multiple pin chins can be used as a good stretch material, and their popularity is high because they can decorate surfaces such as cloths or display unique textures.

일반적으로 시침질을 할 경우, 그 시침실의 제거작업의 간편함이 생산상 중요과제가 된다.In general, when tacking, the simplicity of removing the lancet is an important production issue.

또 핀 턱을 장식으로서 이용할 경우 그 균일성이나 디자인의 자유도 등이 문제가 되어 숙련된 작업자의 기량에 의하지 않고 균일하고 깔끔한 핀 턱을 확실하게 봉제할 수 있는 재봉틀이 요구된다.In addition, when the pin jaw is used as a decoration, the uniformity,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and the like become a problem, and a sewing machine capable of sewing a uniform and neat pin jaw securely without depending on the skill of a skilled worker is required.

또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모양의 핀 턱을 그 균일성을 망가뜨리지 않고 간단하게 봉제할 수 있는 재봉틀이 있으면 디자인의 자유도가 확대되어 이상적이다.In addition, it is ideal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if there is a sewing machine that can sew not only straight lines but also curved pin jaws without breaking their uniformity.

또 재봉틀에 의한 봉제작업 진행중에 솔기의 완성상태를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재봉틀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wing machine that the operator can visually check the completion state of the seam during the sewing operation by the sewing machine is preferable.

종래 봉제물(천)이 U자모양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핀 턱을 봉제하기 위해서 기존의 지그재그 재봉틀을 핀 턱 봉제용으로 개선하여 사용하거나, 기존의 락 스티치 재봉틀을 사용하거나 했다. 그 때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봉제하였다.In order to sew a pin tuck made of a conventional sewing material (cloth) is bent in a U-shape, an existing zigzag sewing machine is used to improve a pin tuck, or an existing rock stitch sewing machine is used. At that time, it was sewn by the following production method.

(종래예 1)(Conventional example 1)

기존의 지그재그 재봉틀을 개선하여 사용할 경우(종래예 1로 함)에 대해 도 11(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case of improving and using the existing zigzag sewing machine (formerly referred to as Example 1)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기존의 지그재그 재봉틀을 개선하여 사용할 경우는 도 11(a)와 같이 기존 지그재그 재봉틀의 바늘봉(1)의 하단에 2개 바늘용의 침류(針留)(6)를 부착하고, 침류(6)를 통해 바늘(2a) 및 바늘(2b)을 부착한다. 바늘(2a) 및 바늘(2b)의 각각에 윗실(도시하지 않음)을 지나게 한다. 바늘판(4) 윗면에 돌기(7)를 배치한다. 이로써 봉제물(천)(3)을 역 U자모양으로 변형시킨다. 이 돌기(7)의 높이에 의해 핀 턱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In the case of improving the existing zigzag sewing machine, as shown in FIG. 11 (a), a needle 6 for two needles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needle bar 1 of the existing zigzag sewing machine, and an infiltration 6 is provided. Attach the needle (2a) and the needle (2b) through. Each of the needles 2a and 2b passes through an upper thread (not shown). The projection 7 is placed on the needle plate 4 upper surface. This deforms the sewing (cloth) 3 into an inverted U shape. The shape of the pin tuck can be adjusted by the height of this protrusion 7.

지그재그 재봉틀의 바늘진동은 멈춘 상태에서 사용한다. 봉제물(천)(3)을 재봉틀에 셋트하면 봉제물(천)(3)은 바늘판(4)윗면의 돌기(7)를 따라 역 U자모양의 핀 턱형상이 된다. 재봉틀이 동작하면 좌우의 바늘(2a)(2b)이 동시에 봉제물(천)(3)을 관통하고, 좌우의 바늘(2a)(2b)을 통과한 윗실은 단일 북(5)의 밑실과 레이싱한다. 이에 따라 봉제물(천)(3)에 핀 턱이 실시된다.The needle vibration of the zigzag sewing machine is used in the stopped state. When the sewing material (cloth) 3 is set in the sewing machine, the sewing material (cloth) 3 is in the shape of an inverted U-shaped pin jaw along the protrusion 7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eedle plate 4. When the sewing machine operates, the left and right needles 2a and 2b simultaneously penetrate the sewing material (cloth) 3, and the upper thread passi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needles 2a and 2b is the lower thread of the single drum 5 and the lacing. do. Accordingly, the pin tuck is applied to the sewing material (cloth) 3.

(종래예 2)(Conventional example 2)

기존의 1바늘 락스티치 재봉틀(바늘진동을 행하지 않음)을 사용할 경우는 도 11(b)과 같이 봉제물(천)(3)을 접고, 핀 턱부위에 바늘(2)을 떨어뜨려 봉합하여 완료한 후 봉제물(천)(3)을 펼침으로써 핀 턱형상을 확보한다.When using a conventional single-stitched lacquer sewing machine (not subject to needle vibration), the sewing material (cloth) 3 is folded as shown in FIG. 11 (b), and the needle 2 is dropped on the pin jaw to complete the sewing. After spreading the sewing (cloth) (3) to secure the pin jaw shape.

그러나 이상의 기존 지그재그 재봉틀을 개선하여 사용하는 종래예 1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xample 1 using the above-described existing zigzag sewing machine improved, there was the following problem.

제 1로 종래예 1에서는 좌우의 바늘(2a)(2b)을 통과한 2개의 윗실을, 지그재봉제용의 북(5)으로 레이싱하므로 북(5)이 좌우의 윗실을 끌어 올리지만 좌우의 바늘(2a)(2b)의 간격만큼을 떨어지게 한 2개의 윗실을 북(5)의 뾰족한 끝으로 끌어 올리는 것은 어려워 그 좌우의 실을 끌어올리는 타이밍 등, 절묘한 끝맞춤을 강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First, in the conventional example 1, the two upper threads passi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needles 2a and 2b are laced by the drum 5 for jig sewing, so the drum 5 pulls up the left and right upper threads, but the left and right needles It was difficult to pull up the two upper threads which dropped by the space | interval of (2a) (2b) to the pointed end of the drum 5, and there existed a problem of pushing exquisite finishing, such as the timing which raises the left and right threads.

제 2로 종래예 1에서는 북(5)의 뾰족한 끝 맞춤 후 좌우 윗실의 북(5)의 실빠짐 타이밍이 다르기 때문에 바느질 상태가 불균일하게 됨과 동시에 좌우의 윗실을 북(5)의 뾰족한 끝이 끌어올리는 시점부터 좌우의 윗실이 북(5)안을 실빠짐 하는 시점까지 좌우의 윗실이 북(5)안에서 간섭하게 되어 이를 요인으로 실텐션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Secondly, in the prior art example 1, since the timing of threading of the drum 5 of the left and right upper threads is different after the pointed end of the drum 5 is aligned, the sewing state becomes uneven and the sharp ends of the drum 5 pull the left and right upper thread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upper thread interferes in the drum 5 from the time of raising to the time when the upper and left upper threads are missing in the drum 5, resulting in unstable tension.

제 3으로 종래예 1에서는 불안정한 바느질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실의 접합점은 봉제시에는 봉제물(천)(3)의 밑면이 되므로 바느질 상태의 이상 등을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솔기의 시인성이 좋지 않다.Third, despite the unstable sewing state in the prior art example 1, the joint point of the thread becomes the bottom of the sewing (cloth) (3) at the time of sewing,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work while checking the abnormal state of the sewing. In other words, seam visibility is not good.

제 4로 종래예 1에서는 핀 턱형상으로 봉제주름· 비틀림 등이 발생하여 불안정한 형상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Fourthly, in the conventional example 1,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sewing wrinkles, a torsion, etc. generate | occur | produced in the pin tuck shape, and become an unstable shape.

그 원인으로서는 ① 역 U자모양의 핀 턱부분이 봉제물(천)(3)의 윗면으로 돌출하여 이송톱니에 바로 접촉하지 않고, 이송톱니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되므로 솔기핏치 이동시 핀 턱부분에 이송력이 전달되기 어려운 점, ② 봉제물(천)(3)의 윗면에 형성된 역 U자모양의 핀 턱부분에 누름부나(도시하지 않음) 좌우의 바늘(2a)(2b)이 접촉하여 그 간섭을 받기 쉬워 봉제물(천)(3)의 이송의 방해가 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점, ③ 역 U자모양의 핀 턱부분이 봉제물(천)(3)의 윗면에 세워져 올라가므로 중력의 영향에 의해 형상이 불안정하게 되기 쉬운 점 등을 생각할 수 있다.The reason for this is ① As the inverted U-shaped pin jaw protrud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wing material (cloth) 3 and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feed teeth, it is disposed away from the feed teeth. This difficult to transfer, ② the pressing portion (not shown) or the left and right needles (2a) (2b) to the inverted U-shaped pin jaw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wing (cloth) (3) contact the interference The force acts in the direction that it is easy to receive, and the movement of the sewing material (3) is hindered, and ③ the inverted U-shaped pin jaw ris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wing material (3), It is conceivable that the shape tends to be unstable due to the influence.

핀 턱형상을 교정하기 위해 작업자는 양손을 사용하여 이송방향으로 봉제물(천)(3)을 잡아당겨 신중하게 안내해야 한다는 작업부담을 받고 있어 제품의 균일성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좌우되었다. 곡선모양의 핀 턱 등은 더욱 작업자의 기량을 필요로 하였다.In order to correct the pin jaw shape, the operator is under the burden of carefully guiding the sewing (cloth) 3 in the conveying direction by using both hands, and the uniformity of the product depends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Curved pin tuck, etc. further required the skill of the operator.

제 5로 종래예 1에서는 실의 제거작업이 간편한 시침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재봉틀은 일반적으로 밑실의 장력이 윗실의 장력에 대해 매우 약해 밑실을 강하게 해도 밑실을 직선모양으로 꿰매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종래예1에서는 2개의 윗실이 직선상에 밑실이 지그재그모양으로 실시되어 어떠한 실도 뽑아내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Fifthly, in the conventional example 1,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easy removal of the thread was impossible. Sewing machines generally have very low tension in the upper threa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w the lower thread in a straight line even when the lower thread is strong. For this reason, in the conventional example 1, since the upper thread is implemented in a zigzag shape on the straight line, it is difficult to pull out any thread.

한편 기존 락스티치 재봉틀을 사용하는 종래예 2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락스티치 재봉틀에서의 봉제는 봉제물(천)(3)을 핀 턱 위치에서 그 때마다 접어 접는 부분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안내하면서 봉합시키므로 작업성, 생산성이 나쁘고 숙련자의 기량에 의지하는 면이 크다는 문제가 있어 핀 턱을 여러렬(2개 이상) 봉제하는 경우 등 그것들을 균일하게 봉제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example 2 using the existing lac stitch sewing machine has the following problems. In other words, the sewing on the lactitch sewing machine is sewing the sewing (cloth) (3) at the pin chin position each time the worker folds the folds manually by hand, so the workability, productivity is poor, and the side relying on the skill of the skilled person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sew them evenly, such as when sewing multiple pins (two or more).

또한 종래예 2에서는 봉제물(천)(3)을 접어 구부리고, 절곡부 근방의 2겹의 봉제물(천)(3)을 윗실 한가닥, 밑실 한가닥으로 봉합하므로 핀 턱이 루프모양으로 되어 버려 U자모양의 핀 턱을 형성할 수 없음과 동시에 실의 제거작업이 간편한 시침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example 2, the sewing material (cloth) 3 is folded and bent, and the two-ply sewing material (cloth) 3 near the bent portion is sewn with one upper thread and one lower thread, so the pin jaw becomes a loop shape.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impossible to form a pin-shaped jaw, and at the same time, the easy removal of the thread was impossible.

본 발명은 이상의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그재그 재봉틀을 이용하여 핀 턱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절묘한 뾰족한 끝 맞춤을 강요하지 않고 실텐션의 안정성, 봉제물(천)의 이송의 안정성, 봉제시의 솔기의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키며, 작업자의 기량에 의지하지 않고 균일하고 깔끔한 핀 턱을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안정적으로 봉제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forming a pin jaw using a zigzag sewing machine, the stability of the seal tension, the stability of the transfer of the sewing material (cloth), without forcing an exquisite pointed fi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seams at the time of sewing, and to easily and efficiently sew the pin jaws evenly and neatly without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주요부품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ain component structure i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누름부(8)의 평면도(a), 정면도(b) 및 B-B단면도(c)이다.2: is a top view (a), front view (b), and B-B cross section figure (c) of the press part 8 i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3은 도 1에서의 A-A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4는 도 1에서의 C-C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에 대응하는 단면도.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3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재봉틀 솔기의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wing machine seam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재봉틀 솔기를 봉제하기 위한 재봉틀의 북 부의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orth part of the sewing machine for sewing the sewing machine seam i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재봉틀 솔기를 봉제하기 위한 재봉틀의 북 부의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of the north part of the sewing machine for sewing the sewing machine seam i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핀 턱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The perspective view for demonstrating the formation method of the pin tuck i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봉제후의 핀 턱의 사시도(a), 솔기의 평면도(b) 및 다른 솔기의 평면도(c)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a) of the pin tuck after sewing i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top view (b) of a seam, and the top view (c) of another seam.

도 11은 종래 일예의 핀 턱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in jaw forming method of a conventional examp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 바늘봉2: 바늘1: needle bar 2: needle

3,13: 봉제물(천)4,11: 바늘판3,13: sewing material (cloth) 4,11: needle plate

5: 북6: 침류5: north 6: sinking

7: 돌기8: 누름부7: projection 8: press

9: 바늘낙하부10: 가이드 플레이트9: needle drop 10: guide plate

12a: 구멍12b: 홈12a: hole 12b: groove

14a,14b,14c: 이송톱니15a: U홈14a, 14b, 14c: Feed tooth 15a: U groove

15b: 구멍16: 구멍15b: hole 16: hole

17: 톱니부18: 절개부17: tooth part 18: incision

19: 중심선20a,20b: 바늘낙하위치19: center line 20a, 20b: needle dropping position

21: 회피홈22a,22b: 바늘관통부21: evacuation groove 22a, 22b: needle through portion

31: 바늘32: 바늘봉31: needle 32: needle bar

33: 우측의 북34: 좌측의 북33: north of right 34: north of left

33a,34b: 뾰족한 끝Y1: 바늘실33a, 34b: pointed tip Y1: needle thread

Y2: 우 보빈실(오른쪽 북의 북 실)Y2: right bobbin room

Y3: 좌 보빈실(왼쪽 북의 북 실)Y3: left bobbin room (north thread of north drum)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ion of claim 1 is

한개의 바늘(31)의 상하이동 위치를 좌우로 흔드는 바늘진동기구와,A needle vibration mechanism which shakes the shanghai-dong position of one needle 31 from side to side,

상기 바늘(31)의 진동폭에 대응하여 좌우로 배치되고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수평북(33)(34)과,A pair of horizontal drums 33 and 34 disposed left and right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width of the needle 31 and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바늘(31)의 좌우의 상하이동 위치사이에 있어서 상기 봉제물의 이송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재(延在)하여 윗면에 개구하는 홈(12b)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수평북(33)(34)의 중간부 위쪽에 배치된 바늘판(11a)과,A groove 12b is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needle 31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needle 31 in a long length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wing material and open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pair of horizontal drums 33 ( A needle plate 11a disposed above the middle of the upper portion 34;

상기 바늘판(11a)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봉제물(13)을 상기 바늘진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내는 이송톱니(14)와,A feed tooth 14 disposed below the needle plate 11a to send the sewing material 13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needle vibration direction;

피봉제물을 아래쪽에 U자모양으로 굴곡하도록 상기 바늘판(11a) 윗면측에서 상기 홈(12b)에 여유있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가이드 플레이트(10)가 배치되고, 상기 바늘판(11a)의 윗면에 올려 놓여진 봉제물(13)을 압착하는 압축부(8)를 구비한다.A guide plate 10 is arranged to allow the sewing object to be bent in a U-shape at the bottom of the needle plate 11a so that the guide plate 10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2b in a relaxed manner, and the top surface of the needle plate 11a is disposed. It is provided with the compression part 8 which crimps the sewing material 13 put on it.

따라서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한개의 바늘을 좌우로 흔드는 바늘진동기구와, 상기 바늘의 진동폭에 대응하여 좌우로 배치되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수평북을 구비하므로 한 가닥의 윗실을 좌우의 북의 뾰족한 끝으로 번갈아 끌어올리면 되어 하나의 북으로 2개의 윗실을 끌어올리지 않아 뾰족한 끝 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2개의 실이 하나의 북으로 끌어올려지는 것에 의한 실텐션의 흐트러짐은 해소된다. 또 바늘 좌우의 바늘낙하 위치사이에 위치하고 봉제물의 이송방향으로 연재하며, 바늘판의 윗면에 개구하는 홈이 바늘판에 배치되어 바늘판 윗면측으로부터 이 홈에 여유있게 끼워지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누름부의 밑면에 구비하므로 이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봉제물의 일부가 단면 U자의 핀 턱형상으로 교정되어 상기 홈 안으로 안내되고 U자모양의 핀 턱부분이 봉제물의 밑면으로 쳐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기량에 의하지 않고 봉제물은 균일하게 보내져 핀 턱형상이 안정되고, 핀 턱형상에 봉제주름·비틀림 등은 발생하지 않아 균일하고 깔끔한 핀 턱을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안정되게 봉제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작업자가 손으로 봉제물을 누르지 않아도 핀 턱형상이 안정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it includes a needle vibration mechanism for shaking one needle from side to side, and a pair of horizontal drums arranged side to side to correspond to the vibration width of the needle and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By alternately pulling up to the tip of the drum,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pointed tip alignment by not lifting two upper threads into one drum, and the disturbance of the thread tension caused by the two threads being pulled into one drum is eliminated. . In addition, it is located between the needle drop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needle and extends in the sewing direction, and a groove that is ope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eedle plate is disposed on the needle plate, and the guide plate is inserted into this groove from the upper side of the needle plate, and the bottom of the pressing portion Since the guide plate is part of the sewing material is corrected to the pin jaw shape of the cross-section U, the guide plate is guided into the groove, and the U-shaped pin jaw portion is formed to slap the bottom of the sewing material. Accordingly, the sewing material is sent evenly without any skill of the operator, so the pin jaw shape is stabilized, and no sewing wrinkles or twists occur in the pin jaw shape, so that the pin jaw can be easily, efficiently and stably sewn. . For example, the pin jaw is stabilized without the operator pressing the sewing material by hand.

또 핀 턱의 솔기(윗실과 밑실과의 결절점)가 봉제물의 상측에 형성되므로 봉제작업자가 핀 턱 솔기의 완성상태를 확인하면서 핀 턱 봉제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봉합의 문제를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am of the pin tuck (nodal point between the upper thread and the lower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wing material, the sewing worker can check the completion of the pin tuck seam while checking the completion state of the pin tuck seam so that the problem of suture can be found quickly. .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예를들면 도 5(a)와 같이,The invention of claim 2 is as shown in Fig. 5 (a) in the invention of claim 1,

상기 홈(12b)의 형성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상기 바늘판(11b)의 뒷면이 융기하고, 이 융기의 내부까지 상기 홈(12b)이 형성되며,The back surface of the needle plate 11b 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range of the groove 12b is raised, and the groove 12b is formed to the inside of the bump,

상기 이송톱니(14b)에 상기 융기와 대향하는 범위에 구멍(15b)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ole 15b is formed in the transfer tooth 14b in a range facing the raised portion.

따라서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바늘판에 형성된 상기 홈의 형성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상기 바늘판의 뒷면이 융기하고, 이 융기의 내부까지 상기 홈이 형성되므로 바늘판의 판두께 보다도 홈이 깊게 형성되어 바늘판의 판두께보다 치수가 큰 우뚝 솟은 높이의 핀 턱도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the back side of the needle plate 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rang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needle plate is raised, and the groove is formed to the inside of the bump, so that the groove is deeper than the plate thickness of the needle plat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in tuck with a raised height larger than the plate thickness of the needle plate.

또한 종래의 이송톱니를 그 대로 이용할 경우에는 이송톱니가 바늘판 뒷면의융기부분에 접촉하여 그 이송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게 될 수 있으므로 이송톱니의 상기 융기부분과 대향하는 범위로 구멍을 형성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상기 융기부분과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어 이송동작을 정상적으로 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feed dog is used as it is, the feed dog may contact the raised portion of the back of the needle plate so that the transfer operation may not be performed normally, so that the hole is formed in a range opposite to the raised portion of the feed tooth. . As a result, contact with the raised portion can be avoided, so that the transfer operation can be performed normally.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은,The invention of claim 3 is

한개 바늘(31)의 상하이동위치를 좌우로 흔드는 바늘진동기구와,A needle vibrating mechanism which shakes the shank east position of one needle 31 from side to side,

상기 바늘(31)의 진동폭에 대응하여 좌우로 배치되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수평북(33)(34)과,A pair of horizontal books 33 and 34 disposed left and right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width of the needle 31 and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바늘의 좌우의 상하이동 위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봉제물의 이송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재하는 구멍(12a)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수평북(33)(34)의 위쪽에 배치된 바늘판(11)과,A hole 12a extending in a long length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wing material is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handong positions of the needle, and the needle plate 11 disposed above the pair of horizontal books 33 and 34. )and,

상기 바늘판(11)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부(8)의 밑면과 협동하여 봉제물(13)을 상기 바늘진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내는 이송톱니(14)와,A feed tooth 14 disposed below the needle plate 11 and cooperating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8 to send the sewing material 13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needle vibration direction;

피봉제물을 아래쪽에 U자모양으로 굴곡하도록 상기 바늘판 윗면측으로부터 상기 구멍(12a)에 여유있게 끼울 수 있도록 한 가이드 플레이트(10)가 배치되고, 상기 바늘판의 윗면에 올려놓여진 봉제물(13)을 압착하는 압착부(8)를 구비한다.A guide plate 10 is arranged to allow the object to be bent in a U-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12a from the upper side of the needle plate at a lower side, and the sewing material 13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eedle plate. ) Is provided with a crimping portion 8 for crimping.

따라서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한개의 바늘을 좌우로 흔드는 바늘진동기구와, 상기 바늘의 진동폭에 대응하여 좌우로 배치되고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수평북을 구비하므로 하나의 윗실을 좌우의 북의 뾰족한 끝으로 번갈아 끌어올리면 되어 하나의 북으로 2개의 윗실을 끌어올리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뾰족한 끝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2개의 실이 하나의 북으로 끌어올려지는 것에 의한 실텐션의 흐트러짐은 해소된다. 또 바늘의 좌우의 바늘낙하 위치사이에 위치하고, 봉제물의 이송방향으로 연재하는 구멍이 바늘판에 배치되며 이 구멍에 바늘판 윗면측으로부터 여유있게 끼워지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누름부의 밑면에 구비했기 때문에 이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봉제물의 일부가 단면 U자의 핀 턱형상으로 교정되어 상기 구멍안으로 안내되고, U자형의 핀 턱부분이 봉제물의 밑면에 늘어져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기량에 의하지 않고 봉제물은 균일하게 이송되어 핀 턱형상이 안정되고, 핀 턱형상으로 봉제주름·비틀림 등은 발생하지 않아 균일하고 깔끔한 핀 턱을 용이하고, 효율적이며 안정적으로 봉제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작업자가 손으로 봉제물을 누르지 않아도 핀 턱형상이 안정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3, it comprises a needle vibration mechanism for shaking one needle from side to side, and a pair of horizontal drums arranged side to side in correspondence with the vibration width of the needle, and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Since it is not possible to pull up two upper threads by one drum by alternately pulling up to the pointed end of the drum, the pointed tip can be easily done, and the disturbance of the thread tension caused by the two threads being pulled by one drum Resolved. In addition, this guide is loc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needle dropping positions of the needle, and a hole extending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wing material is disposed on the needle plate, and the guide plat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ressing part to allow the hole to be freely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needle plate. A portion of the sewing material is corrected into a pin tuck of a cross-section U by the plate and guided into the hole, and a U-shaped pin tuck is formed by hanging on the underside of the sewing material. Accordingly, the sewing material is uniformly transported without any skill of the operator, so the pin jaw shape is stabilized, and no sewing wrinkles or twists occur in the pin jaw shape, so that the pin jaw can be easily and efficiently and reliably sewn. Can be. For example, the pin jaw is stabilized without the operator pressing the sewing material by hand.

또 바늘판에 구멍을 배치했기 때문에 봉제하고자 하는 핀 턱의 우뚝 솟은 높이가 바늘판의 두께에 대해 비교적 높은 것이라도 봉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le is arranged in the needle plate, the raised height of the pin tuck to be sewn can be sewn even if the height is relatively high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needle plate.

그와 함께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바늘판 밑면보다도 아래쪽으로 늘어진 핀 턱부의 하단에 바늘판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이송톱니에 의해 이송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력을 핀 턱부분에 직접 작용시킬 수 있어 봉제물 전체를 더욱 균일하게 이송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feed force can be imparted by the feed teeth provided below the needle plate at the lower end of the pin tuck portion penetrating the hole to be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needle plate. The whole sewing material can be conveyed more uniformly.

또한 핀 턱의 솔기(윗실과 밑실과의 결절점)가 봉제물의 상측에 형성되므로 봉제작업자가 핀 턱 솔기의 완성상태를 확인하면서 핀 턱 봉제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봉합의 문제를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am of the pin tuck (nodal point between the upper thread and the lower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wing material, the sewing worker can proceed to the pin tuck sewing work while checking the completion state of the pin tuck seam so that the problem of suture can be found quickly. .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예를들면 도 3(a)과같이,The invention of claim 4 is the invention of claim 3,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a),

상기 구멍(12a)에 대향하는 상기 봉제물(13)의 이송방향 S으로 긴 홈(15a)이 상기 이송톱니(15d)에 배치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roove 15a elongat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S of the sewing object 13 opposite to the hole 12a is disposed in the conveying tooth 15d.

따라서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바늘판에는 봉제물의 핀 턱부분이 안내되는 구멍이 구비되고, 이 구멍에 대향하는 봉제물의 이송방향으로 긴 홈이 이송톱니에 배치되므로 바늘판에 배치된 구멍과, 이송톱니에 배치된 홈으로 구성되는 핀 턱 형성홈 전체의 깊이가 바늘판의 판두께 보다도 깊어져 바늘판의 판두께에 대해 우뚝 솟은 높이의 높은 핀 턱을 봉제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the needle plate is provided with a hole in which the pin jaw of the sewing material is guided, and a hole disposed in the needle plate because a groove long in the conveying direction opposite to the hole is disposed in the feed tooth, The depth of the whole pin tuck forming groove which consists of the groove | channel arrange | positioned at a feed tooth becomes deeper than the plate | board thickness of a needle plate, and it can sew the high pin tuck of the height which towered with respect to the plate | board thickness of a needle plate.

또 바늘판의 구멍을 관통하여 바늘판 밑면보다도 아래쪽으로 늘어진 핀 턱부의 하단에 이송톱니에 배치된 홈의 내면이 접촉하여 핀 턱부분에 이송력을 직접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봉제물 전체를 더욱 균일하게 이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disposed in the feed toot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pin jaw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hole of the needle plate to be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needle plate, so that the feed force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pin jaw portion. Thereby, the whole sewing material can be conveyed more uniformly.

홈의 내면형상은 핀 턱형상을 따른 단면 U자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 턱부와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함이다.The inner surface shape of the groove is preferably a U-shaped cross section along the pin tuck shape. This i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pin jaw.

홈의 내면에 톱니를 배치하여 마찰력을 높이고, 또한 이송력의 전달효율을 높이는 것도 유효하다.It is also effective to arrange the teeth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and increase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transfer force.

청구항 5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예를들면 도 3(b)과 같이,The invention of claim 5 is as shown in Fig. 3 (b) in the invention of claim 4,

상기 홈(15a)의 형성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상기 이송톱니(14a)의 뒷면이 융기하고, 이 융기의 내부까지 상기 홈(15a)이 형성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ck surface of the transfer tooth 14a 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range of the groove 15a is raised, and the groove 15a is formed up to the inside of the bump.

따라서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이송톱니에 형성된 상기 홈의 형성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상기 이송톱니의 뒷면이 융기하고, 이 융기의 내부까지 상기 홈이 형성되므로 이송톱니의 두께보다 치수가 큰 우뚝 솟은 높이의 핀 턱도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5, the back surface of the transfer tooth 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rang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feed tooth is raised, and the groove is formed up to the inside of the bump so that the dimension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eed tooth A raised pin tuck can also be formed.

청구항 6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지그재그 재봉틀을 이용하여 예를들면 도 10(c)와 같이,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6, for example, using the zigzag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s shown in Fig. 10 (c),

북 실(Y2)(Y3)에 대해 상대적으로 바늘실(Y1)의 장력을 높이고, 바늘실(Y1)을 직선모양으로 북 실(Y2)(Y3)을 지그재그모양으로 바느질한다.The tension of the needle thread Y1 is increased relative to the drum thread Y2 and Y3, and the drum thread Y2 and Y3 are sewn in a zigzag pattern with the needle thread Y1 straight.

따라서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바늘실이 직선모양으로, 북실이 지그재그모양으로 된 솔기가 구성되므로 바늘실이 빠지기 쉽게 되어 솔기가 쉽게 풀리는 시침질을 할 수 있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지그재그 재봉틀을 이용함으로써 봉제작업자는 솔기의 형성상태를 확인하면서 적절한 바늘실의 장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6, the needle thread is straight, and the north thread is composed of a zigzag-shaped seam, so that the needle thread can be easily pulled out and the seam can be easily released. By using the zigzag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ewing worker can easily set the appropriate tension of the needle thread while checking the formation state of the seam.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 중 화살표 S는 이송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주요 부품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Next,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following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rrow S in the figure indicates the conveying direction.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component structu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그재그 재봉틀은 본 발명의 특징적 구조를 갖는 부품으로서 누름부(8), 바늘판(11a)과, 이송톱니(14a)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 the zigzag sewing machin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ressing part 8, a needle plate 11a, and a feed tooth 14a as a part having a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누름부(8)는 중앙에 바늘낙하부(9)를 갖는다. 또 누름부(8)의 밑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0)가 수직으로 배치된다.The pressing portion 8 has a needle dropping portion 9 at the center. In addition, the guide plate 10 is vertical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8.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누름부(8)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누름부(8)의 평면도(2a), 정면도(b), 및 B-B단면도(c)를 도시한다.The structure of the press part 8 is demonstrated here with reference to FIG. 2 shows a plan view 2a, a front view b, and a B-B cross-sectional view c of the pressing portion 8.

도 2와같이 누름부(8)의 선단은 뒤집어 올라가고, 그 중앙에 절개부(18)가 형성된다. 누름부(8)의 중앙에는 바늘낙하부(9)가 천설된다. 부호 20a, 20b는 바늘낙하위치를 도시한다. 누름부의 밑면에는 회피홈(21)이 배치된다. 회피홈(21)은 바늘낙하부(9)의 이송방향의 앞쪽에 위치한다. 이 회피홈(21)은 천평이 바늘실을 끌어올릴 때 저항을 적게 하여 스무스하게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2, the tip of the pressing part 8 is upside down, and a cutout 18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n the center of the pressing portion 8, a needle dropping portion 9 is laid. Reference numerals 20a and 20b show needle dropping positions. An evacuation groove 21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pressing portion. The avoidance groove 21 is located in front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needle dropping part 9. This avoidance groove 21 is for reducing the resistance when the flat surface pulls up the needle thread so that it can be smoothly pulled up.

가이드 플레이트(10)는 절개부(18)와 바늘낙하부(9)와의 사이부분의 누름부(8)의 밑면에 기단을 놓고, 누름부(8)의 밑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한 이송방향의 중심선(19)을 따라 이송방향 S 앞쪽에 연설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0)는 바늘낙하위치(20a)(20b) 중간에 위치하고, 바늘낙하위치(20a)(20b)로부터 이송방향 S앞쪽까지 연설된다. 가이드 플레이트(10)는 소정의 높이 H를 갖고, 이 높이 H는 핀 턱의 우뚝 솟은 높이에 맞춰 선택된다.The guide plate 10 has a proximal end on the underside of the pressing portion 8 between the cutout portion 18 and the needle dropping portion 9, and is perpendicular to the underside of the pressing portion 8 and in the center line in the conveying direction. It is spoken in front of the transport direction S along (19).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2 (a), the guide plate 10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eedle dropping positions 20a and 20b, and is propagated from the needle dropping positions 20a and 20b to the forward direction S. The guide plate 10 has a predetermined height H, which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raised height of the pin jaw.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바늘판(11a)의 중앙에는 봉제물(13)의 이송방향으로 긴 구멍(12a)이 형성된다. 구멍(12a)은 좌우의 바늘낙하위치(20a)(20b)사이에 위치하고, 봉제물(13)의 이송방향 S로 길게 연재한다. 또 바늘판(11a)에는 바늘관통부(22a)(22b)가 좌우의 바늘낙하위치(20a)(20b)에 대응하여 천설된다. 봉제시, 요동하여 좌우 각각의 소정위치에서 승강동작하는바늘은 바늘관통부(22a)(22b)를 관통한다. 도 1에는 바늘관통부(22a)(22b)와 구멍(12a)이 연속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늘관통부(22a)(22b)를 각각 구멍(12a)에 연속하지 않는 독립된 바늘구멍으로 할 수도 있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gain. In the center of the needle plate 11a, a long hole 12a is form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wing material 13. The hole 12a is position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needle dropping positions 20a and 20b and extends long in the conveying direction S of the sewing material 13. Further, the needle penetrating portions 22a and 22b are laid on the needle plate 11a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ft and right needle dropping positions 20a and 20b. During sewing, the needle that swings and moves up and down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penetrates through the needle penetrating portions 22a and 22b. Although Fig. 1 shows that the needle through portions 22a and 22b and the hole 12a are continuous, but not limited to this, the independent needle hole does not continuously connect the needle through portions 22a and 22b to the hole 12a, respectively. You can also do

구멍(12a)에 대향하는 이송톱니(14a)의 중앙에는 U홈(15a)이 형성된다. 이송톱니(14a)에 형성된 톱니부(17)는 바늘판(11a)에 형성된 구멍(16)에 삽입된다.The U groove 15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eed tooth 14a which opposes the hole 12a. The tooth part 17 formed in the feed tooth 14a is inserted into the hole 16 formed in the needle plate 11a.

다음에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서의 A-A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의 C-C단면도이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1.

도 3(a)(b)과 같이 바늘판(11a)에 배치된 구멍(16)에 이송톱니(14a) 또는 (14d)의 톱니부(17)가 삽입된다. 바늘판(11a)의 윗면에는 봉제물(천)(13)이 올려놓여진다.As shown in Fig. 3 (a) and (b), the teeth 17 of the feed teeth 14a or 14d are inserted into the holes 16 arranged in the needle plate 11a. The sewing material (cloth) 13 is pu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eedle plate 11a.

도 3(a)(b)과 같이 U홈(15a)은 단면 U자모양의 홈이다. U홈(15a)의 내측면은 구멍(12a)의 내측면에 연속하도록 형성된다. 도 3(b)에서는 이송톱니(14a)의 뒷면측은 융기하고, 이 융기부의 내부까지 U홈(15a)이 형성된다. 구멍(12a)과 U홈(15a)에서 봉제물(천)(13)의 핀 턱부분을 도입하는 핀 턱 형성홈 전체가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a) and (b), the U groove 15a is a U-shaped groove in cross secti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 groove 15a is formed to be continuous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le 12a. In FIG. 3 (b), the back side of the feed tooth 14a is raised, and the U groove 15a is formed up to the inside of the raised portion. The whole pin tuck forming groove which introduces the pin tuck part of the sewing material (cloth) 13 in the hole 12a and the U groove 15a is comprised.

도 3과 같이 누름부(8)의 밑면은 봉제물(천)(13)의 윗면을 압착한다. 중앙에 있어서는 가이드 플레이트(10)가 봉제물(천)(13)을 압착하고, 봉제물(천)(13)을 U자의 핀 턱형상으로 교정하여 구멍(12a)과 U홈(15a)에서 만들어지는 홈 안으로 도입하고 있다(안내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8 compresses the top surface of the sewing material (cloth) 13. In the center, the guide plate 10 presses the sewing material (cloth) 13, and corrects the sewing material (cloth) 13 to a U-shaped pin jaw shape to make it in the hole 12a and the U groove 15a. Ji is introducing into the home.

도 4와 같이 바늘판(11a)위를 흐르고 있는 봉제물(천)(13)은 누름부(8)의 밑면에 부설된 가이드 플레이트(10)에 의해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구멍(12a)과 U홈(15a)에서 만들어지는 홈 안으로 인도된다.The sewing material (cloth) 13 flowing on the needle plate 11a as shown in FIG. 4 is bent downward by the guide plate 1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pressing part 8, and the hole 12a and the U groove ( Guided in groove made in 15a).

도 4중 화살표 a1~a4와 같이 이송톱니(14a)는 이송(a1), 강하(a2), 복귀(a3) 및 상승(a4)의 각 동작을 반복하는 특유의 이송운동을 한다. 이에 따라 종래와 마찬가지로 봉제물(천)(13)에 톱니부(17)가 작용하고, 봉제물(천)(13)에 이송력이 전달된다. 그에 덧붙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U홈(15a)의 내면도 봉제물(천)(13)에 작용하여 핀 턱부에 직접 이송력이 전달된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봉제물(천)(13)이 이송방향 S로 이송된다.As shown by arrows a1 to a4 in FIG. 4, the feed tooth 14a performs a peculiar feed movement that repeats each operation of feed a1, drop a2, return a3, and rise a4. Thereby, the tooth part 17 acts on the sewing material (cloth) 13 similarly to the prior art, and a conveyanc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wing material (cloth) 13.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of the U groove 15a also acts on the sewing material (cloth) 13, and the feed force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pin jaw portion. In this manner, the sewing material (cloth) 13 is transferr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S. FIG.

도 4중, 파선에 의해 C-C단면에서의 봉제물(천)(13)의 위치를 도시했다. 또 부호 31은 바늘이다. C-C단면에서의 봉제물(천)(13)의 임의의 한 점은 우선 가이드 플레이트(10)에 닿아 구멍(12a), 계속해서 U홈(15a)안으로 잠입하여 봉합이 행해진 후 구멍(12a)의 단으로부터 바늘판(11a)위로 부상한다. 이에 따라 핀 턱이 형성된다.In FIG. 4, the position of the sewing material (cloth) 13 in C-C cross section is shown with the broken line. Reference numeral 31 is a needle. Any one point of the sewing material (cloth) 13 in the CC cross section first touches the guide plate 10, infiltrate into the hole 12a, and then into the U groove 15a, and then suture is performed. It floats on the needle board 11a from a stage. As a result, a pin tuck is formed.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바늘판 및 이송톱니의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Here, another form of the needle plate and the feed toot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3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구성에서는 구멍(12a)을 갖는 바늘판(11a)과, U홈(15a)을 갖는 이송톱니(14a) 또는 (14d)에 의한 것으로 했지만 도 5(a)와 같은 바늘판(11b)과 이송톱니(14b)와의 조합을 이용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needle plate 11a having the hole 12a and the feed tooth 14a or 14d having the U-groove 15a, but the needle plate 11b as shown in FIG. You may use a combination with the feed tooth 14b.

도 5(a)와 같이 바늘판(11b)의 중앙에는 구멍이 아닌 단면 U자모양의U홈(12b)이 형성된다. 바늘판의 뒷면측의 중앙은 융기하고, 이 융기의 내부까지 U홈(12b)이 형성된다.In the center of the needle plate 11b, as shown in FIG. The center of the back side of the needle plate is raised, and the U-groove 12b is formed to the inside of the raised portion.

이송톱니(14b)의 중앙에는 U홈이 아닌 구멍(15b)이 배치되어 이송톱니(14b) 뒷면의 융기와 이송톱니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있다.The hole 15b which is not a U groove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feed tooth 14b, and the ridge of the back side of the feed tooth 14b and a feed tooth do not contact.

또 도 5(b)와 같이 바늘판(11a)과 이송톱니(14c)와의 조합을 이용해도 좋다.As shown in Fig. 5B, a combination of the needle plate 11a and the feed tooth 14c may be used.

바늘판(11a)은 상술과 같이 구멍(12a)을 갖는 것이다. 이송톱니(14c)는 구멍(12a)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 홈 등을 특별히 형성하지 않는 기존의 이송톱니이다. 핀 턱의 높이가 낮은 경우는 이와 같은 구성도 가능하다. 우뚝 솟은 높이의 높은 핀 턱에 대응할 수 없는 반면, 기존의 이송톱니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needle plate 11a has a hole 12a as described above. The feed tooth 14c is an existing feed tooth which does not specifically form a hole, a groove, etc. in the position which opposes the hole 12a. Such a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when the height of the pin tuck is low. While it cannot cope with the high pin tuck of the towering heigh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xisting feed dog can be used as it is.

다음에 상술한 누름부, 바늘판, 이송톱니를 구비하는 지그재그 재봉틀을 이용한 봉제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ewing method using the zigzag sew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above-mentioned press part, a needle plate, and a feed tooth is demonstrated.

본 실시형태에서의 지그재그 재봉틀은 상술한 누름부(8)와, 바늘판(11a)과, 이송톱니(14a)와 함께 도 7과 같이 한개의 바늘(31)과, 바늘(31)을 좌우로 흔드는 바늘봉(32)을 구비하는 바늘진동기구와, 바늘(31)의 진동폭에 대응하여 좌우로 배치되고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수평북(33)(34)을 구비한다. 바늘판(11a)은 수평북(33)(34)의 중간부 위쪽에 배치된다. 다음에 설명하는 제조방법은 일본국 특개평 9-299631에 개시된다.In the zigzag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e needle 31 and the needle 31 are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7 together with the pressing portion 8, the needle plate 11a, and the feed tooth 14a described above. And a pair of horizontal drums (33, 34)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to correspond to the vibration width of the needle (31) and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The needle plate 11a is disposed above the middle portion of the horizontal books 33 and 34.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next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299631.

우선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제로 하는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manufacturing method on the premi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7 and 8.

이 재봉틀의 솔기는 도 6과 같이 하나의 바늘실(윗실)(Y1)과 2개의 보빈실(밑실, 북실)(Y2)(Y3)의 3개의 실에 의해 구성된다.The seam of this sewing machine is composed of three threads of one needle thread (upper thread) Y1 and two bobbin thread (bottom thread, drum thread) Y2 and Y3 as shown in FIG.

바늘실(Y1)은 좌우로 흔들면서 각 보빈실(Y2)(Y3)과 번갈아 다른 실 레이싱(interlacing ; 실이 다른 실 또는 다른 루프와 교차하는 것)하고 있다. 즉 바늘실(Y1)의 루프가 바늘측으로부터 천 F을 빠져 나가고 그 뒷면에서 한쪽의 보빈실(Y2)과 다른 실 레이싱한다. 그 후 천(F) 두께의 중간부에 바늘실(Y1)과 보빈실(Y2)의 교차부분이 오도록 바늘실(Y1)이 끌어올려진다. 다음에 바늘실(Y1)이 다른쪽의 보빈실(Y3)에 대응하는 측으로 흔들려 천(F)을 빠져나오고, 그 뒷면에서 보빈실(Y3)과 다른 실 레이싱한다. 그 후 천 두께의 중간에 바늘실(Y1)과 보빈실(Y3)의 교차부분이 오도록 바늘실 Y1이 끌어올려진다.The needle thread Y1 is shaken from side to side and alternates with each bobbin thread Y2 (Y3) to interlacing another thread (the thread intersects another thread or another loop). That is, the loop of the needle thread Y1 exits the fabric F from the needl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bbin thread Y2 is laced on the back side thereof. Thereafter, the needle thread Y1 is pulled up so that an intersection portion of the needle thread Y1 and the bobbin thread Y2 comes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thickness of the cloth F. Next, the needle thread Y1 is shaken to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other bobbin thread Y3 to exit the fabric F, and the other end of the yarn thread is different from the bobbin thread Y3 on the back side. Thereafter, the needle thread Y1 is pulled up so that the intersection of the needle thread Y1 and the bobbin thread Y3 comes in the middle of the cloth thickness.

이상의 동작을 천이송 핏치를 정량적으로 셋트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행하면 표면이 지그재그 봉제모양이 되고, 뒷면이 2개바늘 락스티치모양이 된다. 도 6에 도시한 것은 바늘실(Y1)의 좌우의 진동폭이 일정하지만 규칙적으로 변화시켜도 좋다.When the above opera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transfer feed pitch is quantitatively set, the surface becomes a zigzag sewing, and the back side becomes a two-needle lactitch. 6, although the oscillation width | variety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needle thread Y1 is constant, you may change regularly.

사용재봉틀은 도 7에 도시하는 한개의 바늘(31)을 갖는 바늘봉(32)을 좌우로 흔드는 바늘진동기구를 구비하는 지그재그봉제가 가능한 암을 구비하고, 베드에서의 바늘(31)의 진동폭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른쪽 둘레에 회전하는 수평북(33)과 왼쪽 둘레에 회전하는 수평북(34)을 각각 하나씩 배치한 것이다.The sewing sew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zigzag sewing arm that includes a needle vibration mechanism for shaking the needle bar 32 having one needle 31 shown in FIG. 7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vibration width of the needle 31 in the bed. The horizontal book 33 rotating around the right side and the horizontal book 34 rotating around the left side are disposed one at a corresponding position.

상기의 바늘진동기구를 구비하는 암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female body having the needle vibrating mechanism described above is well known and its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우선 암에 있어서 바늘(31)의 진동폭을 종래의 바늘진동기구를 갖는 것과 마찬가지로 설정한다. 그리고 오른쪽의 북(33)을, 종래의 2개 바늘 재봉틀에서 행했던 것과 같이 그 뾰족한 끝(33a)이 도 8과 같이 바늘낙하위치의 우측을 통과하도록 위치맞춤(북 맞춤)한다.First, in the arm, the vibration width of the needle 31 is set similarly to having the conventional needle vibration mechanism. Then, the drum 33 on the right side is positioned (north-aligned) such that the pointed end 33a passes through the right side of the needle drop position as shown in FIG. 8.

또한 바늘(31)을 도 7의 1점쇄선과 같이 좌측으로 이동하고, 왼쪽 북(34)과 북 맞춤을 행한다. 이 때 종래의 2개 바늘 재봉틀에서는 각 바늘의 에그리부가 서로 외측에 있어 바늘실 루프가 각각의 바늘의 외측에 형성되므로 뾰족한 끝(34a)은 바늘낙하위치의 좌측을 지나도록 위치맞추면 되었다. 그러나 한개의 바늘(31)로 좌우로 흔드는 이 재봉틀에 있어서는 바늘(31)의 에그리부(31a)가 어느쪽으로 흔들려도 우측에 있어 바늘실루프는 어떤 위치에서도 바늘의 우측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뾰족한 끝(34a)이 도 8과 같이 바늘낙하위치의 우측을 지나도록 위치맞춤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해도 단순히 그것(종래와 같은 북)뿐만 아니라 북(34)은 바늘(31)이 뾰족한 끝(34a)의 좌측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뾰족한 끝(34a)을 외측으로 뜨게하고 또한 바늘실 루프 들어올리는 동안 뾰족한 끝(34a)이 바늘(31)에 닿지 않도록 뾰족한 끝(34a)과 본체와의 간극을 비교적 긴 범위로 벌린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7에서의 A1,B1은 각각 뾰족한 끝(33a)(34a)의 통과위치이다.Further, the needle 31 is moved to the left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 and the drum is aligned with the left drum 34. At this time, in the conventional two-needle sewing machine, since the egg parts of each needle are located on the outside of each other, the needle thread loop is formed on the outside of each needle, so that the pointed ends 34a may be positioned to pass to the left of the needle dropping position. However, in this sewing machine which shakes from side to side with a single needle 31, the needle part 31a of the needle 31 is on the right side, so the needle seal can be on the right side of the needle at any position. It is necessary to align 34a so as to pass to the right of the needle drop position as shown in FIG. Even so, not only it (the conventional drum) but also the drum 34 should allow the needle 31 to descend to the left of the pointed tip 34a. That is, it is necessary to open the pointed end 34a to the outside and widen the gap between the pointed end 34a and the main body so that the pointed end 34a does not touch the needle 31 while lifting the needle thread loop. There is. In addition, A1 and B1 in FIG. 7 are the passing positions of the pointed ends 33a and 34a, respectively.

이와같은 구성의 재봉틀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바늘(31)이 우측으로 흔들리고, 천을 빠져나와 약간 상승했을 때 바늘(31)의 에그리부(31a)측에 바늘실 루프가 형성된다. 그 바늘실 루프를 우측의 북(33)의 뾰족한 끝(33a)이 들어올리고, 뾰족한 끝(33a)의 회전에 따라 바늘실이 북(33)의 주위를 빠져나와 북(33)안의 보빈으로부터 뻗는 보빈실(Y2)과 다른실 레이싱한다. 그 후 바늘(31) 및 천평의 상승에 의해 바늘실이 끌어올려지고, 바늘실과 보빈실과의 교차부분이 천 두께의 중간부로 이동한다. 다음에 바늘(31)은 좌측으로 흔들리고, 우측에서의 동일한 동작이 행해지지만 그 바늘낙하위치는 도 8과 같이 좌측의 북(34)의 뾰족한 끝(34a)의 좌측의 간극이며, 바늘실 루프는 그 뾰족한 끝(34a)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잠시후 바늘(31)은 상승하므로 뾰족한 끝(34a)은 바늘(31)과 닿지 않고 왼쪽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그 외의 동작은 좌측에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바늘실은 북(34)안의 보빈실(Y3)과 다른 실 레이싱하고, 교차부분이 천 두께의 중간부로 이동한다. 이 일련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반복됨으로써 도 6에 도시하는 솔기가 형성된다.In the sewing machin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needle 31 is shaken to the right, and a needle thread loop is formed on the egg part 31a side of the needle 31 when the needle 31 moves out of the fabric and slightly rises. The needle thread loop is lifted by the pointed end 33a of the drum 33 on the right side, and the needle thread exits around the drum 33 and extends from the bobbin in the drum 33 as the pointed tip 33a rotates. Racing the bobbin room (Y2) and another room. Thereafter, the needle thread is pulled up by the rise of the needle 31 and the cloth, and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needle thread and the bobbin thread moves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cloth thickness. Next, the needle 31 is shaken to the left, and the same operation on the right side is performed, but the needle dropping position is the gap on the left side of the pointed tip 34a of the drum 34 on the left side as shown in FIG. It is lifted by its pointed end 34a. And after a while the needle 31 is raised, so the pointed tip 34a may rotate around the left side without touching the needle 31. In other operations, the needle thread is different from the bobbin thread Y3 in the drum 34, as in the left side, and the intersection moves to the middle of the cloth thickness. The seam shown in FIG. 6 is formed by repeating this series of operations continuously.

다음에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핀 턱의 형성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forming the pin tuc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도 9(a)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0)에 의해 U자의 핀 턱형상으로 형성된 핀턱부분의 좌우양측을 바늘낙하위치로 하여 상술한 봉제동작을 실행한다. 즉 바늘진동폭(G)의 범위를 핀 턱부분이 주행하도록 조정한다. 진동폭(G)을 조정하여 상술한 봉제동작을 실행한다.As described in Fig. 9 (a), the above-described sewing operation is performed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in tuck portion formed in the U-shaped pin tuck shape by the guide plate 10 as the needle dropping position. That is, the range of the needle vibration width G is adjusted so that the pin jaw travels. The above-mentioned sew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vibration width G.

그러면 도 9(b)와 같이 바늘실(Y1)이 지그재그모양으로 꿰매어진 솔기가 형성된다. 봉제실행시 형성되는 솔기는 리얼타임으로 바늘낙하부(9)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9 (b), a seam in which the needle thread (Y1) is sewn in a zigzag pattern is formed. The seam formed at the time of sewing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needle dropping part 9 in real time.

봉합후의 핀 턱의 사시도를 도 10(a)에, 솔기의 평면도를 도 10(b)에 도시한다. 도 10(c)은 바늘실(Y1)의 장력을 강하게 하여 바늘실(Y1)을 직선모양으로 한경우의 솔기이다. 도 10(a)(b)와 같이 핀 턱(40)의 뒷면에 있어서 바늘실(Y1)이 지그재그모양으로 핀 턱(40)의 양측에 있어 보빈실(Y2)(Y3)이 각각 직선상으로 꿰매어진 솔기가 된다.The perspective view of the pin tuck after sealing is shown to FIG. 10 (a), and the top view of the seam is shown to FIG. 10 (b). Fig. 10 (c) shows the seam when the needle thread Y1 is straightened by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needle thread Y1.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needle thread Y1 is zigzag in both sides of the pin tuck 40 in a zigzag shape, so that the bobbin threads Y2 and Y3 are in a straight line, respectively. Becomes sewn seam.

바늘실(윗실)(Y1)의 장력을 강하게, 이에 대해 보빈실(밑실, 북실)(Y2)(Y3)의 장력을 약하게 설정한 경우, 도 10(c)과 같이 직선모양의 바늘실(Y1)에 우 보빈실(Y2), 좌 보빈실(Y3)이 번갈아 교차한 솔기가 된다. 본 발명의 경우, 솔기가 봉제물(천)(13)의 윗면에 형성되어 바늘낙하부(9)로부터 솔기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직선상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바늘실(Y1)에 부하할 위한 장력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같은 봉합방법은 바느질이 쉽게 풀려 시침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시침질로서 사용후 우선 바늘실(Y1)의 단부를 갖고 인장함으로써 바늘실(Y1)을 용이하게 잡아뺄 수 있고 그 후 우 보빈실(Y2) 및 좌 보빈실(Y3)도 용이하게 바느질을 풀 수 있다. 시침질이 실시된 상태에서 소정의 열처리를 행하여 핀 턱형상을 정착시키고 그 후 바느질을 푸는 것으로 핀 턱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tension of the needle thread (upper thread) Y1 is strongly set and the tension of the bobbin thread (bottom thread, drum thread) Y2, Y3 is set weakly, a straight needle thread Y1 as shown in Fig. 10 (c). ), The right bobbin room (Y2) and the left bobbin room (Y3) alternate between the seam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am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wing material (cloth) 13 so that the seam can be confirmed from the needle dropping part 9, the tension for loading the needle thread Y1 necessary for making the straight line It can be adjusted easily and quickly. Such a suture method can be easily loosened and used as a test needle. After use as a test needle, the needle thread (Y1) can be easily pulled out by tensioning with the end of the needle thread (Y1) first, and then the right bobbin thread (Y2) and the left bobbin thread (Y3) can be easily unscrewed. have. The pin tuck can be formed by fixing a pin tuck shape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heat treatment in the state of tacking, and then unscrewing.

바느질을 풀기 어려운 봉합방법은 도 10(a)(b)와 같이 바늘실(Y1)과 우 보빈실(Y2)과의 교차점(결절점) 및 바늘실(Y1)과 좌 보빈실(Y3)과의 교차점(결절점)을 봉제물(천)(13)의 두께 중심부에 위치시킨 솔기로 하는 방법이다. 이 솔기도 바늘실(Y1), 우 보빈실(Y2), 좌 보빈실(Y3)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The sewing method that is difficult to unsew is the intersection (nodal point) between the needle thread Y1 and the right bobbin thread Y2 and the needle thread Y1 and the left bobbin thread Y3 as shown in Fig. 10 (a) (b). The intersection point (nodal point) is a method of making a seam located in the center of thickness of the sewing material (cloth) 13. This seam can also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needle thread Y1, the right bobbin thread Y2, and the left bobbin thread Y3.

이상의 솔기는 누름부(8) 중앙에 천설된 창인 바늘낙하부(9)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솔기밸런스를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또 실장력 조정도 확인하면서 행한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10(c)과 같이 바느질을 풀기 쉬운 솔기로 해도 도 10(b)와 같이 바느질을 풀기 어려운 솔기로 하는 것도 자유이다.Since the above seam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needle dropping part 9, which is a window laid in the center of the pressing part 8, the operator can work while checking the seam balanc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unting force is adjusted while checking.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ven if it is a seam which is easy to loosen stitching like FIG. 10 (c), it is also free to set it as a seam which is difficult to loosen stitching like FIG.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각 청구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봉제물의 일부가 단면 U자의 핀 턱형상으로 교정되어 U자형의 핀 턱부분이 봉제물의 밑면에 늘어지도록 형성되고, 이로써 작업자의 기량에 의하지 않고 봉제물은 균일하게 보내져 핀 턱형상이 안정되며, 핀 턱형상에 봉제주름·비틀림 등은 발생하지 않아 균일하고 깨끗한 핀 턱을 용이하게, 효과적으로, 안정되게 봉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each claim, a part of the sewing material is corrected into a pin tuck of a U-shaped cross section by a guide plate, and the U-shaped pin tuck is formed to hang on the bottom of the sewing material. Regardless, the sewing material is uniformly sent and the pin tuck shape is stabilized, and there is no sewing wrinkles or twists on the pin tuck shape, and thus, the uniform and clean pin tuck can be easily and effectively and stably sewn.

또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모양의 핀 턱을 그 균일성을 무너뜨리지 않고 간단히 봉제할 수 있다.Moreover, not only straight lines but also curved pin jaws can be sewn simply without breaking the uniformity.

또한 핀 턱의 솔기(윗실과 밑실과의 결절점)가 봉제물의 상측에 형성되므로 봉제작업자가 핀 턱솔기의 마감상태를 확인하면서 핀 턱 봉제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봉합의 문제를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am of the pin tuck (nodal point between the upper thread and the lower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wing material, the sewing worker can proceed to the pin tuck sewing work while checking the finish state of the pin tuck seam so that the problem of suture can be found quickly. It works.

또 하나의 북으로 2개의 윗실을 들어올리지 않으므로 뾰족한 끝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2개의 실이 하나의 북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에 의한 실텐션의 흐트러짐은 해소된다는 효과가 있다.Since another upper thread is not lifted by another drum, a sharp tip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disturbance of the thread tension caused by the two yarns being lifted by one drum can be eliminated.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바늘판의 판두께보다도 홈이 얕게 형성되고, 판모양의 판두께 보다 치수가 큰 우뚝 솟은 높이의 핀 턱도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the groove is formed shallower than the plate thickness of the needle plat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a pin tuck having a raised height having a larger dimension than the plate-shaped plate thickness can be formed.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핀 턱 형성용으로 바늘판에 형성하는 것을 구멍으로 했기 때문에 봉제하고자 하는 핀 턱의 우뚝 솟은 높이가 바늘판의 두께에 대해 비교적 높은 것이라도 봉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핀 턱부의 하단에 이송톱니에 의해 이송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력을 핀 턱부분에 직접 작용시킬 수 있고, 봉제물 전체를 더욱 균일하게 이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since the hole formed in the needle plate is used for forming the pin tuck, the raised height of the pin tuck to be sewn can be sewn even if the height is relatively high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needle plate. Since the feed force can be imparted to the lower end of the pin jaw by the feed teeth, the feed force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pin jaw, and the entire sewing material can be more uniformly conveyed.

또한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바늘판에 배치된 구멍과, 이송톱니에 배치된 홈으로 구성되는 핀 턱형성홈 전체의 깊이가 바늘판의 판두께 보다 깊어져 바늘판의 판두께에 대해 우뚝 솟은 높이의 높은 핀 턱을 봉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the depth of the entire pin jaw forming groove consisting of a hole disposed in the needle plate and a groove disposed in the feed tooth is deeper than the plate thickness of the needle plate, so as to rise from the plate thickness of the needle plate. It is effective to sew high pin chin of height.

또 핀 턱부의 하단에 이송톱니에 배치된 홈의 내면이 접촉하여 핀 턱부분에 이송력을 직접 작용시킬 수 있고, 봉제물 전체를 더욱 균일하게 이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disposed in the feed teeth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pin jaw portion can directly apply the feed force to the pin jaw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ntire sewing material can be transferred more uniformly.

또한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이송톱니의 두께보다 홈이 깊게 형성되므로 우뚝 솟은 높이의 높은 핀 턱도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since the groove is formed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eed toot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orm a high pin jaw of the towering height.

또한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바늘실이 직선모양으로, 북실이 지그재그모양으로 된 솔기가 구성되므로 바늘실을 잡아 빼기 쉽게 되어 바느질이 쉽게 풀리는 시침질을 할 수 있다. 또 봉제작업자는 솔기의 형성상태를 확인하면서 적절한 바늘실의 장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6, the needle thread is straight, and the north thread is composed of a zigzag-shaped seam, so that the needle thread can be easily pulled out and sewing can be easily released. In addition, the sewing worker has an effect that can easily set the tension of the appropriate needle thread while checking the formation of the seam.

Claims (7)

한개의 바늘의 상하이동 위치를 좌우로 흔드는 바늘진동기구와,A needle vibration mechanism that shakes the position of one needle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바늘의 진동폭에 대응하여 좌우로 배치되고,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수평북과,A pair of horizontal drums arranged left and right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width of the needle and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바늘의 좌우의 상하이동위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봉제물의 이송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재하여 윗면에 개구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수평북의 위쪽에 배치된 바늘판과,A needle plate which extends in a long length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wing material and opens on an upper surfa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ast and west positions of the needle, and which is disposed above the pair of horizontal books; 상기 바늘판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봉제물을 상기 바늘진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내는 이송톱니와,A feed tooth disposed below the needle plate and sending a sewing objec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needle vibration direction; 피봉제물을 아래쪽에 U자모양으로 굴곡하도록 상기 바늘판 윗면측으로부터 상기 홈에 여유있게 끼워지도록 한 가이드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바늘판의 윗면에 놓여진 봉제물을 압착하는 압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재그 재봉틀에 의한 핀택 형성장치.And a guide plate for allowing the object to be bent in a U-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rom the upper side of the needle plate, and having a crimp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ewing material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eedle plate. Pintack forming apparatus by a zigzag sewing machin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홈의 형성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상기 바늘판의 뒷면이 융기하고, 이 융기에 의한 내부까지 상기 홈이 형성되며,The back surface of the needle plate 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range of the groove is raised, the groove is formed to the inside by the raised, 상기 이송톱니에 상기 융기와 대향하는 범위에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재그 재봉틀에 의한 핀 턱 형성장치.Pin jaw forming apparatus by a zigzag sew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is formed in a range facing the raised teeth in the transfer tooth. 한개 바늘의 상하이동위치를 좌우로 흔드는 바늘진동기구와,A needle vibrating mechanism that shakes one needle's shanghai east and right positions, 상기 바늘진동폭에 대응하여 좌우로 배치되고,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수평북과,A pair of horizontal drums arranged left and right corresponding to the needle vibration width, and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바늘의 좌우의 상하이동 위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봉제물의 이송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재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수평북의 위쪽에 배치된 바늘판과,A needle plate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needle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ewing direction and formed above the pair of horizontal drums; 상기 바늘판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부의 밑면과 협동하여 봉제물을 상기 바늘진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내는 이송톱니와,A feed tooth disposed under the needle plate and cooperating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to send the sewing material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needle vibration direction; 피봉제물을 아래쪽으로 U자모양으로 굴곡하도록 상기 바늘판 윗면측으로부터 상기 구멍에 여유있게 끼울 수 있도록 한 가이드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바늘판의 윗면에 올려놓여진 봉제물을 압착하는 압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재그 재봉틀에 의한 핀 턱 형성장치.The guide plate is arranged so that the sewing object can be bent into the ho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needle plate so as to bend the U-shaped downward, and has a crimp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ewing material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eedle plate. Pin jaw forming device by a zigzag sew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이송톱니에는 상기 구멍에 대향하는 상기 봉제물의 이송방향으로 긴 홈이 배치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재그 재봉틀에 의한 핀 턱 형성장치.A pin jaw forming apparatus by a zigzag sew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arranged in the conveying tooth long groove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ewing object facing the hol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홈의 형성범위에 대응하는 범위의 상기 이송톱니의 뒷면이 융기하고, 이 융기의 내부까지 상기 홈이 형성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재그 재봉틀에 의한 핀 턱 형성장치.A pin tuck forming apparatus by a zigzag sew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transfer tooth having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range of the groove is raised, and the groove is formed up to the inside of the bump.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북 실에 대해 상대적으로 바늘실의 장력을 높이고, 바늘실을 직선모양으로, 북 실을 지그재그모양으로 솔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재그 재봉틀에 의한 핀 턱 형성장치.A pin tuck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zigzag sewing machine characterized by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needle thread relative to the drum thread, and forming the seam in a zigzag shape with the needle thread in a straight shap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북 실에 대해 상대적으로 바늘실의 장력을 높이고, 바늘실을 직선모양으로, 북 실을 지그재그모양으로 솔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재그 재봉틀에 의한 핀 턱 형성장치.A pin tuck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zigzag sewing machine characterized by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needle thread relative to the drum thread, and forming the seam in a zigzag shape with the needle thread in a straight shape.
KR1020020015995A 2001-03-26 2002-03-25 Forming device for forming pin tuck using zigzag sewing machine KR2002007613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88234 2001-03-26
JP2001088234A JP4819237B2 (en) 2001-03-26 2001-03-26 Staggered sewing machine and pin tack form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133A true KR20020076133A (en) 2002-10-09

Family

ID=1894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995A KR20020076133A (en) 2001-03-26 2002-03-25 Forming device for forming pin tuck using zigzag sewing machin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19237B2 (en)
KR (1) KR20020076133A (en)
CN (1) CN1378003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1984B2 (en) 2008-04-17 2015-12-15 From The Earth Naturally Ltd. Dispensing cap for beverage container
CN102330291B (en) * 2011-07-14 2012-12-05 苏州肯耐制衣有限公司 Cloth fee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CN102535024A (en) * 2011-12-23 2012-07-04 达利(中国)有限公司 Method for stitching triangle thread on thin type fabric
CN113622097B (en) * 2021-10-12 2021-12-07 南通三景制衣有限公司 Automatic folding sleeve fork machine for clothing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9651U (en) * 1974-10-11 1976-04-14
JPH09299631A (en) * 1996-05-11 1997-11-25 Juki Corp Seam for sew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19237B2 (en) 2011-11-24
CN1378003A (en) 2002-11-06
JP2002282565A (en) 200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6133A (en) Forming device for forming pin tuck using zigzag sewing machine
JPH0234194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rting sewing direction for multiple needle flat sewing machine and device
ITRM990579A1 (en) APPARATUS FOR THE FORMATION OF FREE CHAIN FOR SEWING MACHINES WITH COVERING STITCHES.
US2053959A (en) Ornamental trimming strip
JP2000513260A (en) Apparatus for sewing machines known as "overlocking machines" for obtaining flat seams when joining pieces of ultra-thin knitted fabrics, especially stockings, pantyhose, tights and the like.
JPH0448068B2 (en)
JP2005118400A (en) Sewing machine
JP4920954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US2208992A (en) Sewing machine and attachment therefor
US4532874A (en) Hem stitching presser foot for a zigzag sewing machine
JP2010035990A (en) Fabric pressing member for embroidery sewing machine
JP2006192189A (en) Sewing machine and forming method of seam
KR200453940Y1 (en) Decorative member sewing machine
JP46927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ly sewing double chain seams
JP2887183B2 (en) A method of sewing beads and the like connected in a bead shape and its presser foot
KR200453942Y1 (en) Decorative member sewing machine
JP4975311B2 (en) Needle thread fee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JPH0587278B2 (en)
JP2571036Y2 (en) Multi-needle interlock stitch machine
JP3571421B2 (en) Double chain stitch with decorative thread on single needle and sewing machine for forming the stitch
KR101517982B1 (en) Sewing machine
JPS6136228Y2 (en)
KR20120098562A (en) Front guide of linking machine
JPH0748226Y2 (en) Thread shifting device of button sewing machine
SU907103A1 (en) Method of making double-thread chain st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