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987A - 거푸집 고정대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987A
KR20020075987A KR1020010015816A KR20010015816A KR20020075987A KR 20020075987 A KR20020075987 A KR 20020075987A KR 1020010015816 A KR1020010015816 A KR 1020010015816A KR 20010015816 A KR20010015816 A KR 20010015816A KR 20020075987 A KR20020075987 A KR 20020075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upport member
mortar
fixed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2090B1 (ko
Inventor
박웅준
Original Assignee
박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웅준 filed Critical 박웅준
Priority to KR10-2001-001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0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5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수직벽체를 양생할 때 최하부에 위치한 거푸집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모르타르 타설시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거푸집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푸집 고정대는 미리 형성된 슬라브(6) 상면에 수직벽체(1)를 성형하기 위한 적당위치에 지지부재(8)를 사방에 고정시키고, 이와 같이 고정된 각각의 지지부재(8)의 수용홈(12)에 최하부 거푸집(7)을 삽입하고, 상기 최하부 거푸집(7) 상부에 일렬로 복수 개의 거푸집을 배치한 다음 이들 거푸집 외측에 통상과 같이 보강대(3)를 고정시키고 상기 보강대(3) 외측을 지지브래킷(4)으로 지지하여 거푸집 설치를 완료한 상태에서 거푸집 내부의 공간에 모르타르를 공급하게 충진시키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8)는 슬라브(6)에 못으로 고정되어 있기 모르타르의 자중에 의해 최하부의 거푸집(7)이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거푸집 고정대{Fastening device for concrete form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나 기둥을 양생할 때 거푸집을 고정시키는 거푸집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하부에 위치한 거푸집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모르타르 타설시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은 거푸집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건물 뼈대를 형성하고, 이렇게 뼈대가 형성된 구조물에 배관, 공조, 그리고 정화시설 등과 같은 필요한 구조물을 설치하고 마지막으로 내장재를 설치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건축물 시공은 이미 양생된 슬라브상에 수직벽체(기둥)를 양생시키고 이렇게 양생된 수직벽체에 슬라브를 또 형성하는 방법을 반복하여 고층 건축물을 시공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수직벽체들을 양생시키기 위해서 슬라브상의 소정위치에 복수 개의 거푸집을 일정 높이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벽체 성형용 거푸집을 고정하는 종래 거푸집 고정장치는 도 1과 같이 내부에 수직벽체(1)가 양생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사방에 배치된 거푸집(2)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대(3)가 고정되며, 상기 보강대(3) 외측에는 복수 개의 지지브래킷(4)가 연결되어 상기 공간으로 모르타르가 충진될 때 상기 보강대(3)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거푸집 고정장치는 거푸집(2) 내부의 공간으로 모르타르가 고압으로 공급되고, 상기와 같이 공급된 모르타르가 상기 공간에 다 충진되면 이 모르타르의 자중에 의해 하부에 배치될수록 거푸집(2)이 모르타르의 내압을 많이 받게 되어 보강대(3)의 하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보강대(3)가 하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면, 이와 동시에 거푸집(2)이 벌어지게 되므로 상기 벌어진 틈으로 모르타르가 흘러나와 거푸집(2)제거 후에 상기 흘러나온 콘크리트를 제거해야 하므로 공수가 증가되고, 이와 같이 양생된 수직벽체(1)의 하부가 볼록하게 되어 수직벽체(1)를 매끈하게 성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지지브래킷(4)를 보강대(3) 하부에 집중배치시키게 되는데, 이는 상기 지지브래킷(4)를 설치 및 제거하는 공수가 번거롭고 상기 지지브래킷(4)를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자재비용이 상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수직벽체를 양생할 때 최하부에 위치한 거푸집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모르타르 타설시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거푸집 고정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거푸집 고정대는 상부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최하부의 거푸집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갖으며 이 수용홈에 수용된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판상의 몸체가 상기 지지부재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홈 외측을 차단하여 수용홈에 수용된 거푸집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측프레임; 판상의 몸체 양단부에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가 상기 지지부재 타측면에 고정되어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외측프레임;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내,외측 프레임을 지지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건물 바닥 사방에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홈에 거푸집을 삽입고정시켜 이들 거푸집 내부에 모르타르 타설하여 건물의 수직벽체나 수직기둥을 양생시킬 때 거푸집 단부의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모르타르를양생 후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거푸집과 함께 분리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 은 종래 거푸집 보강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대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 의 거푸집 고정대의 확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거푸집 고정대 8 : 지지부재
9 : 내측프레임 10 : 외측프레임
11 : 연결부재 12 : 수용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대(5)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고정대(5)는 이미 형성된 슬라브(6) 바닥에 고정되어 최하부의 거푸집(7)을 수용하여 상기 최하부의 거푸집(7)이 모르타르의 내압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거푸집 고정대(5)는 거푸집(7)을 지지하는 지지부재(8)와 상기 지지부재(8) 내측면에 고정되어 최하부의 거푸집(7)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내측프레임(9)과 상기 지지부재(8) 외측면에 고정되어 지지부재(8)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측프레임(10) 및 상기 지지부재(8)를 관통하여 상기 내측프레임(9)과 외측프레임(10)을 지지부재(8)에 고정시키는 연결부재(11)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8)는 일정 길이를 갖으며 상부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최하부의 거푸집(7)을 수용하는 수용홈(12)이 형성되어 이 수용홈(12)에 수용된 거푸집(7)이 모르타를 타설시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지지하게 되고, 몸체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재(11)가 관통하는 관통공(13)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8)는 여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그 일 실시예로서 사각봉형상으로 구성됨을 보이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8)의 재질은 견고하면서도 비중이 낮은 비철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견고하면서고 구입하기 쉽고 비용이 저렴함을 감안하면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내측프레임(9)은 상기 지지부재(8)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8)의 수용홈(12) 외측을 차단하여 수용홈(12)에 수용된 거푸집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판상의 몸체를 가지며 몸체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재(11)가 관통되는 구멍(14)이 상기 지지부재(8)의 관통공(13)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며, 이 몸체 하단부에는 공급된 모르타르에 매립되는 돌기(15)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5)는 모르타르가 양생될 때 모르타르에 고착되어 거푸집(7)이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길이는 거푸집(7)과 지지부재(8)를 양생된 모르타르에서 분리시킬 때 간단히 분리될 수 있도록 너무 길지 않게 돌출되는 것이 좋다.
상기 외측프레임(10)은 상기 지지부재(8) 타측면에 고정되어 지지부재(8)를 지지하여 지지부재(8)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외측프레임(10)은 판상의 몸체 양단부에 보강리브(16)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중앙에는 상기 연결부재(11)가 관통하는 구멍(17)이 복수 개 통공된다.
상기 내측프레임(9)과 외측프레임(10) 박판의 형태로 구성되면서도 지지부재(8)가 변형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금속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11)는 상기 지지부재(8)의 관통공(13)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프레임(9)과 외측프레임(10)은 지지부재(8)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보울트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거푸집 고정대(5)가 사용됨을 도 3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대가 건축물 수직벽체를 성형하기 위한 최하부의 거푸집 하단부를 고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미리 형성된 슬라브(6) 상면에 수직벽체(1)를 성형하기 위한 적당위치에 지지부재(8)를 못(18)으로 사방에 고정시키고, 이와 같이 고정된 각각의 지지부재(8)의 수용홈(12)에 최하부 거푸집(7)을 삽입하고, 상기 최하부 거푸집(7) 상부에 일렬로 복수 개의 거푸집(7a)을 배치한 다음 이들 거푸집 외측에 통상과 같이 보강대(3)를 고정시키고 상기 보강대(3) 외측을 지지브래킷(4)으로 지지하여 거푸집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 내부의 공간에 모르타르를 공급하게 충진시킨다.
이 때, 상기 공간에 모르타르가 고압상태로 공급되고, 또한 모르타르가 상기 공간에 완전히 충진되어도 상기 지지부재(8)는 슬라브(6)에 못으로 고정되어 있기 모르타르의 자중에 의해 최하부의 거푸집(7)이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지지부재(8)와 내측프레임(9) 그리고 외측프레임(10)은 연결부재(11)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므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최하부의 거푸집(7)이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프레임(9)의 돌기(15)가 모르타르에 매립되기 때문에 모르타르가 슬라브(6) 바닥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벽체(1)가 양생된 후에는 거푸집 제거시 상기내측프레임(9)을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나 기둥을 양생할 때 최하부에 위치한 거푸집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모르타르 타설시 최하부의 거푸집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수직벽체를 매끈하면서도 간편하게 양생시켜 공수를 절감시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2)

  1. 상부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최하부의 거푸집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갖으며 이 수용홈에 수용된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판상의 몸체가 상기 지지부재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홈 외측을 차단하여 수용홈에 수용된 거푸집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측프레임;
    판상의 몸체 양단부에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가 상기 지지부재 타측면에 고정되어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외측프레임;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내,외측 프레임을 지지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건물 바닥 사방에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홈에 거푸집을 삽입고정시켜 이들 거푸집 내부에 모르타르 타설하여 건물의 수직벽체나 수직기둥을 양생시킬 때 거푸집 단부의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모르타를 양생 후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거푸집과 함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은 하단부에 공급된 모르타르에 매립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대.
KR10-2001-0015816A 2001-03-26 2001-03-26 거푸집 고정대 KR100422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816A KR100422090B1 (ko) 2001-03-26 2001-03-26 거푸집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816A KR100422090B1 (ko) 2001-03-26 2001-03-26 거푸집 고정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440U Division KR200241654Y1 (ko) 2001-03-27 2001-03-27 거푸집 고정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987A true KR20020075987A (ko) 2002-10-09
KR100422090B1 KR100422090B1 (ko) 2004-03-10

Family

ID=2769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816A KR100422090B1 (ko) 2001-03-26 2001-03-26 거푸집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2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2722A (zh) * 2021-09-23 2021-12-17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回收的深基坑外墙一体式构造的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911Y1 (ko) * 1995-03-28 1998-11-02 박재수 거푸집용 수평기준대
KR980008357U (ko) * 1996-07-24 1998-04-30 박재수 건축용 수평조절기구
JPH10159336A (ja) * 1996-12-04 1998-06-16 Nippon Kokan Light Steel Kk 柱型枠のレベル調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2722A (zh) * 2021-09-23 2021-12-17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回收的深基坑外墙一体式构造的施工方法
CN113802722B (zh) * 2021-09-23 2022-09-06 武汉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回收的深基坑外墙一体式构造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2090B1 (ko)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7535B1 (en) Height-adjustable concrete mold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KR20120013739A (ko) 선가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KR200241654Y1 (ko) 거푸집 고정대
KR100422090B1 (ko) 거푸집 고정대
KR20040101625A (ko)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0360307Y1 (ko) 합판을 이용한 철근조립식 슬래브 데크
JP2007332631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
JP2004003168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固定金具
KR200412098Y1 (ko) 천장용 인서트
KR200415591Y1 (ko) 슬래브 공사용 유로폼
KR100397580B1 (ko) 건물용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JP3072294B1 (ja) 中空PCa部材製造用型枠装置
KR100763003B1 (ko) 슬라브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047117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용 거푸집
JP2005344501A (ja) 型枠支保工兼用内外装材の施工方法
KR0145358B1 (ko)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KR100579448B1 (ko) 건축 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의 측면 보강장치
KR100523145B1 (ko) 키커 타설용 거푸집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키커 타설용거푸집
KR100763000B1 (ko) 슬라브용 거푸집 보강빔
KR102242175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제조 금형
KR200421003Y1 (ko) 슬라브용 거푸집 지지장치
JP3721666B2 (ja) 取り付け手段を有する型枠部材とコンクリート壁形成方法
KR0152643B1 (ko) 콘크리트 시공용 코너 거푸집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JP6577756B2 (ja) 型枠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