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474A -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474A
KR20020075474A KR1020010015393A KR20010015393A KR20020075474A KR 20020075474 A KR20020075474 A KR 20020075474A KR 1020010015393 A KR1020010015393 A KR 1020010015393A KR 20010015393 A KR20010015393 A KR 20010015393A KR 20020075474 A KR20020075474 A KR 20020075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tor
inlet
blower motor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002B1 (ko
Inventor
최안식
Original Assignee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5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002B1/ko
Publication of KR2002007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 for cooling th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14Cooling of electronic units in air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냉난방 등을 위하여 구비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냉온기 등을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는 블로어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블로어용 휀에서 발생되는 공기로 공냉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 블로어 모터의 냉각작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블로어 모터의 냉각에 따라 블로어 모터의 작동을 보다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냉온기를 차량의 내부등으로 공급하거나 응축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콘덴서 및 증발기의 일방에 블로어용 휀(2)이 설치된 블로어 모터(1)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모터(1)의 하우징(3)내에 공기통로(4)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의 입구측(5)은 상기 블로어용 휀(2)의 일측에 형성하도록 하며, 출구측(6)은 하우징(3)의 일측에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3)의 양측에는 상기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보스(7)를 형성하고 이 보스(7)의 일단에 상기 입구측이 형성되도록 하며, 타측은 상기 보스(7)의 일면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보스(7)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의 입구측(501)은 모터(1)와 휀(2)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고, 출구측(601)은 모터와 휀사이의 일측방에 형성되도록 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모터(1)에 설치되는 휀(2)의 내부에 공기 흡입용 구멍(9)이 형성되는 리브(8)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통로로의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휀(2)의 모터(1)측 부분에 여러 개의 익편(10)을 형성하여 공기통로의 입구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통로의 입구측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한 마우스(11)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COOLING SYSTEM OF BLOWER MOTOR FOR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차량의 냉난방 등을 위하여 구비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냉온기 등을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는 블로어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블로어용 휀에서 발생되는 공기로 공냉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 블로어 모터의 냉각작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블로어 모터의 냉각에 따라 블로어 모터의 작동을 보다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이의 내부 냉난방을 위하여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냉난방을 위해 설치되는 차량의 열교환기는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와, 차량내에 설치된 덕트로 저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축기가 구동되면 응축기유닛내의 휀(fan)이 작동하면서 응축열을 방출하게 되며 팽창밸브를 통한 냉매는 증발기 유닛내로 흡인된 공기의 열을 흡수하면서 공기를 저온화시키고 이 저온화된 공기를 블로어를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종래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열교환기의 블로어 모터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모터내에서의 스파크 발생과 마찰에 의하여 고열이 발생되고 있었으며, 상기 모터의 고열에 의하여 모터가 과열되면서 고장이 유발되거나, 성능저하 및 화재가 발생하는 일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고, 이를 해소시키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블로어 모터(101)에 설치되는 휀(102)의 일측 덕트(103)에 통공부(104)를 형성하고 이 통공부(104)에는 상기 모터(101)의 하우징과 연결되는 냉각호스(105)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은 상기 블로어 모터(101)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덕트(103)와 모터(101)의 하우징 사이를 냉각호스(105)로 연결하고 있었기 때문에 상기 호스의 설치에 따른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상기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수고가 필요하게 되었고, 상기 냉각호스(105)가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쉽게 이완되기 때문에 상기 모터의 냉각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 상기 냉각호스(105)의 일단이 상기 휀의 일측에 설치된 덕트(103)에 연결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휀에서 발생된 공기가 유속의 빠름에 의하여 상기 냉각호스로 쉽게 유입되지 않으므로 모터의 냉각효율이 낮게 되는 폐단이 있었고, 또,상기 냉각호스(105)로 공기가 유입될 때 풍음이 발생하게 되어 소음만 커지게 되는 점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냉난방 등을 위하여 구비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냉온기 등을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는 블로어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블로어용 팬에서 발생되는 공기로 공냉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 블로어 모터의 냉각작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블로어 모터의 냉각에 따라 블로어 모터의 작동을 보다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블로어 모터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블로어 모터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공기통로 구성을 나타내는 일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로어용 휀을 개량한 상태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통로에 마우스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통로에 안내가이드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블로어 모터
2 : 블로어용 휀
3 : 하우징
4 : 공기통로
5,501 : 입구측
6,601 : 출구측
7 : 보스
8 : 리브
9 : 공기 흡입용 구멍
10 : 익편
11 : 마우스
12 : 안내 가이드
13 : 덮개
14 : 유입공
차량의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냉온기를 차량의 내부등으로 공급하거나 응축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콘덴서 및 증발기의 일방에 블로어용 휀(2)이 설치된 블로어 모터(1)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모터(1)의 하우징(3)내에 공기통로(4)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의 입구측(5)은 상기 블로어용 휀(2)의 일측에 형성하도록 하며, 출구측(6)은 하우징(3)의 일측에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3)의 양측에는 상기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보스(7)를 형성하고 이 보스(7)의 일단에 상기 입구측이 형성되도록 하며, 타측은 상기 보스(7)의 일면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도록 된 것이다.
또, 상기 보스(7)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의 입구측(501)은 모터(1)와 휀(2)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고, 출구측(601)은 모터와 휀사이의 일측방에 형성되도록 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모터(1)에 설치되는 휀(2)의 내부에 공기 흡입용 구멍(9)이 형성되는 리브(8)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통로로의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휀(2)의 모터(1)측 부분에 여러 개의 익편(10)을 형성하여 공기통로의 입구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통로의 입구측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한 마우스(11)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의 입구측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입구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벨 마우스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공기통로의 입구측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안내 가이드(12)를 세워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안내가이드(12)의 상면에 덮개(13)를 형성하여 이의 일측에 유입공(14)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냉온기를 차량의 내부등으로 공급하거나 응축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콘덴서 및 증발기의 일방에 블로어용 휀(2)이 설치된 블로어 모터(1)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모터(1)의 하우징(3)내에 공기통로(4)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의 입구측(5)은 상기 블로어용 휀(2)의 일측에 형성하도록 하며, 출구측(6)은 하우징(3)의 일측에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블로어 모터(1)가 구동되면, 이의 축에 연결된 블로어용 휀(2)이 회전하면서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덕트를 통해차량의 내부등으로 보내게 되며, 상기 공기를 흡입, 배출할 때 상기 블로어 휀(2)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통로(4)의 입구측(5)으로 유입된다.
상기 입구측(5)을 통하여 하우징(3)내로 유입된 공기는 블로어 모터(1)의 하우징(3)내부를 순환하면서 블로어 모터(1)를 냉각시키게 되고, 상기 냉각작용을 한 공기는 출구측(6)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하우징(3)의 양측에 상기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보스(7)를 형성하고 이 보스(7)의 일단에 상기 입구측이 형성되도록 하며, 타측은 상기 보스(7)의 일면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상기 공기가 하우징(3)을 순환하면서 냉각작용을 하게 되고, 상기 보스(7)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의 입구측(501)은 모터(1)와 휀(2)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고, 출구측(601)은 모터와 휀사이의 일측방에 형성되도록 하여 구성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작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터(1)에 설치되는 휀(2)의 내부에 공기 흡입용 구멍(9)이 형성되는 리브(8)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통로로의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휀(2)의 모터(1)측 부분에 여러 개의 익편(10)을 형성하여 공기통로의 입구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공기통로로 공기가 유입될 때 풍음등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상기 공기통로의 입구측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한 마우스(11)를 형성하여 공기의 유입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 상기 공기통로의 입구측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입구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벨 마우스를 형성하여 구성하게 되면, 상기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나선형으로 이루어진 벨 마우스의 나선부를 따라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고, 상기 공기통로의 입구측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안내 가이드를 세워 설치하게 되면, 간단한 구조로 공기의 유입을 안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안내 가이드의 상면에 덮개를 형성하여 구성하게 되면, 상기 안내 가이드에 형성되는 유입공을 통하여 공기를 유입하면서 상기 블로어용 휀과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블로어 모터(1)에 공기통로를 형성하고 이의 일방에 설치되는 블로어용 휀(2)으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직접 모터의 하우징(3)으로 유입하면서 순환하도록 하여 상기 모터를 냉각시키게 되므로 상기 모터의 냉각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휀의 구성을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이 원활하게 형성하므로써 블로어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의 입출구를 블로어 모터(1)와 블로어용 휀(2)의 사이에 형성하므로써 블로어용 휀(2)에서 발생된 공기를 직접 유입시킬 수 있게 되어 공기의 유입량을 많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가 공기통로로 유입될 때 풍음등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소음을 억제하고 모터의 냉각에 따라 모터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면서 모터의 손상이나 화재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점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9)

  1. 차량의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냉온기를 차량의 내부등으로 공급하거나 응축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콘덴서 및 증발기의 일방에 블로어용 휀(2)이 설치된 블로어 모터(1)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모터(1)의 하우징(3)내에 공기통로(4)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의 입구측(5)은 상기 블로어용 휀(2)의 일측에 형성하도록 하며, 출구측(6)은 하우징(3)의 일측에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의 양측에는 상기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보스(7)를 형성하고 이 보스(7)의 일단에 상기 입구측이 형성되도록 하며, 타측은 상기 보스(7)의 일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7)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의 입구측(501)은 모터(1)와 휀(2)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고, 출구측(601)은 모터와 휀사이의 일측방에 형성되도록 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에 설치되는 휀(2)의 내부에 공기 흡입용 구멍(9)이 형성되는 리브(8)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통로로의 공기 유입이 원활하게 될 수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휀(2)의 모터(1)측 부분에 여러 개의 익편(10)을 형성하여 공기통로의 입구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의 입구측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한 마우스(11)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의 입구측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입구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벨 마우스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의 입구측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한 안내 가이드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12)의 상면에 덮개(13)를 형성하여 이의 일측에 유입공(14)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KR10-2001-0015393A 2001-03-24 2001-03-24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KR100396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393A KR100396002B1 (ko) 2001-03-24 2001-03-24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393A KR100396002B1 (ko) 2001-03-24 2001-03-24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474A true KR20020075474A (ko) 2002-10-05
KR100396002B1 KR100396002B1 (ko) 2003-08-27

Family

ID=2769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393A KR100396002B1 (ko) 2001-03-24 2001-03-24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0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6002B1 (ko)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57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US6092377A (en) Air cooled two stage condenser for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system
WO2018149032A1 (zh) 散热组件和制冷装置
KR20090114044A (ko) 냉장고
CN107327977B (zh) 空调器电控模块的散热装置及空调器室外机
CN116771644A (zh) 散热装置和具有其的制氧机
KR100396002B1 (ko) 열교환기용 블로어 모터의 냉각장치
KR10076012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50058136A (ko) 열효율이 개선된 창문형 에어컨
JP3716896B2 (ja) 冷蔵庫
KR100579572B1 (ko) 공기조화기
KR10061351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455203B1 (ko) 일체형 에어컨
WO2023184654A1 (zh) 一种气环式鼓风机
JPWO2020208669A1 (ja) 空気調和機用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KR100370062B1 (ko) 냉장고기계실의 방열구조
KR102244409B1 (ko) 전동기의 냉각 구조장치
JP3211551B2 (ja) 冷凍冷蔵庫
KR200205434Y1 (ko) 공조 및 냉각시스템을 위한 공랭식 2단 콘덴서
KR20040085965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기 냉각구조
KR20030089006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응축기 냉각구조
KR100443930B1 (ko) 공기흐름 개선구조의 에어컨 실내기
KR910007570Y1 (ko) 창문형 냉방 공조기의 응축 효율 증대 장치
KR0119796Y1 (ko) 공기조화기용 모터의 방열장치
KR100306071B1 (ko) 두개의송풍기를구비한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