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653A -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 Google Patents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653A
KR20020072653A KR1020010012599A KR20010012599A KR20020072653A KR 20020072653 A KR20020072653 A KR 20020072653A KR 1020010012599 A KR1020010012599 A KR 1020010012599A KR 20010012599 A KR20010012599 A KR 20010012599A KR 20020072653 A KR20020072653 A KR 20020072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uring agent
diisocyanate
resin
acrylate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1550B1 (ko
Inventor
박광민
Original Assignee
박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민 filed Critical 박광민
Priority to KR10-2001-001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55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내한성이 높아 저온에서 자연탈거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경시변화가 없으면서 불량률이 낮고, 가격이 저렴한 새로운 점착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투명성 폴리 에틸렌 필름에 고기능성 아크릴계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점착제를 도포한 후, 적정한 온도와 습도조건에서 건조 및 에이징(Aging)을 하여 완성하되,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물은 5~10중량%의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0중량%의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0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10~2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40~50중량%의 에틸아세테이트, 30~40중량%의 용제, 3~8중량%의 아크릴아마이드, 5~10중량%의 아크릴 산, 5~10중량%의 수지, 0~5중량%의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A Protection Tape for Optical Industry}
본 발명은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노트북 컴퓨터의 편광판 등과 같은 광학소재의 제품에 사용하여 먼지, 이물 등이 흡착되는 것을 막고 스크래치 및 손상을 예방하는 마스킹(Masking)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하는 광학소재의 제품은 편광자와, 이 편광자의 상, 하 보호층으로 이루어진 편광판으로서 광학적 이방성을 주요 기능으로 하고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주요부재이며, 그 기능과 역할이 매우 크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이상형(理想型)은 종이와 같이 배경색이 유백색으로 밝은 상태의 실현이다. 즉, Tn이나 STN의 액정동작 모드로 보다 밝은 상태에 이르도록 하는 각고의 노력이 바로 그 것이며, 그 중에서도 편광판의 고투과율을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의 밝기가 정해진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편광판의 편광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투과율을 이루기 위한 근접수단으로는 편광자 자신의 2색성 및 염색기재(PVA)의 배향성 등 편광판 그 자체의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과 편광판에 부가하여 만들어진 반사, 반투과판이나 안티그래이(Anti Grayer)처리, 무반사(AR)처리 등의 주변재료개선에 의한 방법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발전해 오고 있다.
제품 공정중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발생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오염물질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처음에는 일반적인 필름을 간지로 덧대어 표면을 보호하였었다.
그러나 접착특성이 없는 관계로 인하여 대체적인 보호기능만이 있고,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이물질이 흡착되어 제품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방법으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의 접착소재를 사용한 점착테이프가 개발되었고, 비교적 상기 문제점을 해소시켰으나 적재장소의 환경에 따라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를 이용한 보호테이프도 품질의 불균형을 나타내게 되었다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의 특성이 보호테이프의 주소재인 폴리 에틸렌(Poly Ethylene)보다 내한성이 현저히 떨어져 보관 조건 및 사용조건하에서 온도가 저하될 경우 보호테이프가 자연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그 기능이 무의미 해졌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위해 근래에는 폴리 에틸렌/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압출 필름을 생산하여 경시변화 및 기능을 보강하였다.
그러나 서로 다른 소재의 레진을 압출(Extrusion Lamination)방식으로 생산하니 원가가 높아지고, 그 자체의 불량률도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광학소재인 편광판용 점착보호테이프가 지니고 있어야 할 고투명성, 내구성이 보강된 소재로서 위와 같은 시행착오적 부적합 사항을 해소할 제품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내한성이 높아 저온에서 자연탈거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경시변화가 없으면서 불량률이 낮고, 가격이 저렴한 새로운 점착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투명성 폴리 에틸렌 필름에 고기능성 아크릴계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점착제를 도포한 후, 적정한 온도와 습도조건에서 건조 및 에이징(Aging)을 하여 완성하되,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물은 5~10중량%의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0중량%의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0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10~2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40~50중량%의 에틸아세테이트, 30~40중량%의 용제, 3~8중량%의 아크릴아마이드, 5~10중량%의 아크릴 산, 5~10중량%의 수지, 0~5중량%의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테이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과정을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PE필름2 : 언와인딩 재치대
3 : 점착제
5 : 가이드롤러6 : 건조장치
7 : 와인딩 재치대8 : 에이징룸
41 : 코팅드럼42 : 보조드럼
43 : 용기61 : 챔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투명성 PE필름에 고기능성 아크릴계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점착제를 도포한 후, 적정한 온도와 습도조건에서 건조 및 에이징(Aging)을 하여 완성하되,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물은 5~10중량%의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0중량%의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0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10~2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40~50중량%의 에틸아세테이트, 30~40중량%의 용제, 3~8중량%의 아크릴아마이드, 5~10중량%의 아크릴 산, 5~10중량%의 수지, 0~5중량%의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계 경화제, 혹은 인산염계 경화제, 혹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경화제는 폴리아민(PA: Poly-amine), 또는 폴리아미도 레진(PAR: Polyamido Resin), 폴리설파이드 레진(Polysulfide Resin) 중 어느 하나로 하되, 0.5~5중량%의 혼합비율을 가지도록 한다.
또 상기 인산염계 경화제는 트리베이직 소듐포스페이트(TSP:Tri-basic Sodiumphosphate)와 트리소듐 오르토포스페이트(Tri-sodium Orthophosphate)로 하면서 0.1~3중량%의 혼합비율을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디메칠 아미노-에칠 메타클레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4,6-트리이소프로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하면서 1~5중량%의 혼합비율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제1공정(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제조공정)
이는 100% 저밀도레진(LDPE Resin)을 에어블로우(Air-Blow) 압출성형기를 가지고 만들며, 두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토출량과 라인 스피드를 정확히 셋팅하고, 투명도를 높이기 위하여 온도조건을 정확히 셋팅해야 하며, 생산 후, 외부의 이물질이 흡착되지 않도록 생산즉시 밀봉포장 한다.
제2공정(점착제 준비공정)
이 점착제는 위의 구성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아크릴계 공중합물은 5~10중량%의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0중량%의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0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10~2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40~50중량%의 에틸아세테이트, 30~40중량%의 용제, 3~8중량%의 아크릴아마이드, 5~10중량%의 아크릴 산, 5~10중량%의 수지, 0~5중량%의 경화제를 혼합한다.
같이 배합하는 수지는 아미노기와 포름알데히드를 부가축합시켜 생성한 폴리머로서 주 모노머들이 충분히 상용성을 나타내어 원하는 응집력과 내열도, 내구성이 나올 수 있는 안정적인 상태로 결합(Cross-Linking)하도록 한다.
점착제의 경화목적으로 경화제를 배합하되, 에폭시계 경화제의 경우 0.5~5중량%의 혼합비율, 인산염계 경화제의 경우 0.1~3중량%의 혼합비율,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경우 1~5중량%의 혼합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계 경화제는 폴리아민(PA: Poly-amine), 또는 폴리아미도 레진(PAR: Polyamido Resin), 폴리설파이드 레진(Polysulfide Resin) 중 어느 하나로 하고, 또 상기 인산염계 경화제는 트리베이직 소듐포스페이트(TSP:Tri-basic Sodiumphosphate)와 트리소듐 오르토포스페이트(Tri-sodium Orthophosphate)로 하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디메칠 아미노-에칠 메타클레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4,6-트리이소프로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선택하여 배합한다.
상기 경화제에 더하여 사용하는 용제로는 톨루엔, 메틸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점착제의 점도 보정과 점착코팅시 작업성, 점착표면과 내부의 건조를 조정하기 위한 희석용제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점착제는 충분히 교반시킨 후, 사용하게 되는데 각각의모노머들을 잘 선택하였기 때문에 미반응 모노머가 없이 서로 잘 반응하여 미그레이션(Migration)이 없다.
제3공정(코팅준비공정)
제1공정에서 준비된 PE필름(1)은 언와인딩(Unwinding) 재치대(2)에 걸고, 제2공정에서 준비된 점착제(3)는 받침용기(43)에 담는다.
이때, 코팅드럼(41)의 일부가 상기한 받침용기(43) 속의 점착제(3)에 일부 잠기는 형태가 되고, 코팅드럼(41)의 위에는 보조드럼(42)가 밀착되는데 이들 코팅드럼과 보조드럼의 사이로 필름(1)이 통과되도록 한다.
제4공정(코팅공정)
언와인딩 재치대(2)로부터 풀려 나오는 PE필름(1)이 코팅드럼(41)과 보조드럼(42)의 사이를 통과하면 안내봉(44) 및 가이드롤러(5)들을 거쳐 다음의 공정으로 안내되는데, PE필름(1)의 표면에는 수 ㎛의 두께로 점착제가 도포된다.
이때 점착제의 두께는 코팅드럼(41)에 형성한 격자형으로 형성한 미세홈(수십 메쉬~ 수백 메쉬의 홈)에 의해 달라지며, PE필름이 지나가는 속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제5공정(건조공정)
점착제가 도포된 PE필름을 복수의 챔버(61)로 이루어진 건조장치(6)를 통과시켜 인위적으로 건조시킨다.
상기 챔버(61)는 각각의 셋팅된 온도가 모두 다르며, 이들 온도의 조정에 따라 경시변화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제6공정(와인딩공정)
일측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PE필름(1)은 와인딩 재치대(7)에 걸어 감아 주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상태의 점착테이프가 되는 것이다.
제7공정(에이징공정)
상기와 같이 와인딩된 점착테이프는 에이징룸(8)에 넣어 임의의 온도로 일정시간 에이징시켜 경시변화가 적어지도록 하고, 이와같이 에이징 시킨 후에는 신속히 밀봉포장하여 경시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보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 공정은 청정관리도가 높은 실내 즉, Class1000 이하의 청정공간(Clean Room)에서 실시 해야 바람직 하고, 원, 부 자재의 입고시부터 완제품의 출하, 상차까지 준청정한 환경 즉, Class700 이하의 공간에서 제조되어야 하며, 특히 완제품 포장시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포장하여 기능이 열화되지 않도록 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DPE Film)에 고기능성 아크릴계 공중합물 점착제를 코팅하여 테이프를 만들되, 점착제에서 주제, 첨가제, 경화제, 용제 등을 배합하되, 각각의 모노머들을 잘 선택하였기 때문에 미반응 모노머가 없이 서로 잘 반응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내한성이 높아 저온에서 자연탈거되는 일이 없음은 물론, 경시변화가 없으면서 불량률이 낮고, 저렴한 가격의 새로운 점착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4)

  1. 고투명성 PE필름에 고기능성 아크릴계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점착제를 도포한 후, 적정한 온도와 습도조건에서 건조 및 에이징(Aging)을 하여 완성하되,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물은
    5~10중량%의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0중량%의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10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모노머,
    10~2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40~50중량%의 에틸아세테이트,
    30~40중량%의 용제,
    3~8중량%의 아크릴아마이드,
    5~10중량%의 아크릴 산,
    5~10중량%의 수지,
    0~5중량%의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2. 상기 경화제는 폴리아민(PA: Poly-amine), 또는 폴리아미도 레진(PAR: Polyamido Resin), 폴리설파이드 레진(Polysulfide Resi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에폭시계 경화제로 하면서 0.5~5중량%의 혼합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트리베이직 소듐포스페이트(TSP:Tri-basic Sodiumphosphate)와 트리소듐 오르토포스페이트(Tri-sodium Orthophosphate)로 이루어진 인산염계 경화제로 하면서 0.1~3중량%의 혼합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디메칠 아미노-에칠 메타클레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4,6-트리이소프로필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 하면서 1~5중량%의 혼합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KR10-2001-0012599A 2001-03-12 2001-03-12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KR10038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599A KR100381550B1 (ko) 2001-03-12 2001-03-12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599A KR100381550B1 (ko) 2001-03-12 2001-03-12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653A true KR20020072653A (ko) 2002-09-18
KR100381550B1 KR100381550B1 (ko) 2003-04-23

Family

ID=2769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599A KR100381550B1 (ko) 2001-03-12 2001-03-12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5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113B1 (ko) * 2004-08-30 2007-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이저 전사용 도너 기판의 제조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및 그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96223B1 (ko) * 2007-10-01 2009-05-07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내 오염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10941321B2 (en) 2015-09-30 2021-03-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and cured adhesive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695B1 (ko) * 1994-06-28 1999-01-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JPH09113728A (ja) * 1995-08-11 1997-05-02 Konica Corp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
JPH1054906A (ja) * 1996-08-09 1998-02-24 Sekisui Chem Co Ltd 位相差板及び楕円偏光板
GB9725568D0 (en) * 1997-12-04 1998-02-04 Scapa Group Plc Protection of vehicle windscree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113B1 (ko) * 2004-08-30 2007-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이저 전사용 도너 기판의 제조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및 그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96223B1 (ko) * 2007-10-01 2009-05-07 주식회사 세일하이텍 내 오염성이 우수한 다층 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10941321B2 (en) 2015-09-30 2021-03-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and cured adhesive compositions
US11608399B2 (en) 2015-09-30 2023-03-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and cured adhesive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1550B1 (ko) 200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0413B1 (en) Adhesive polarization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dhesive polarization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0546453B1 (ko) 압감성접착제조성물및이조성물로제조된압감성접착제를사용한압감성접착시이트
CN102725372B (zh) 压敏粘合剂组合物
KR101234931B1 (ko) 광학 기능성 필름 접합용 점착제, 광학 기능성 필름 및 그제조 방법
JP4689128B2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60731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편광판
KR101422662B1 (ko) 위상차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KR20060086853A (ko) 편광판용 점착제, 점착제 첨부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KR20050003397A (ko) 편광판 보호필름용 기재
WO2011001835A1 (ja) 光学シート部材の巻回体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連続製造方法
WO2011001834A1 (ja) 光学シート部材の巻回体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連続製造方法
CN103492506A (zh) 用于反射片的胶粘膜及使用这种胶粘膜的反射片
TW201728915A (zh) 偏光板用黏著膜、偏光板用黏著組成物、偏光板及光學顯示器
KR20210120984A (ko)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적층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TWI715683B (zh) 複合偏光板及包括該複合偏光板之顯示裝置
KR100381550B1 (ko) 광학소재의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CN111890762B (zh) 易粘接薄膜及其制造方法、偏光板以及图像显示装置
JP2023095953A (ja) 易接着フィルム
KR20110114304A (ko) 방현성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542620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382648A (zh) 粘合剂层、带粘合剂层的单侧保护偏振膜、图像显示装置及其连续制造方法
JP4755735B2 (ja) 偏光板保護フィルム用基材
JP6657142B2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8221323A1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3165365B (zh) 偏振膜、其制造方法及图像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