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045A -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045A
KR20020072045A KR1020010012006A KR20010012006A KR20020072045A KR 20020072045 A KR20020072045 A KR 20020072045A KR 1020010012006 A KR1020010012006 A KR 1020010012006A KR 20010012006 A KR20010012006 A KR 20010012006A KR 20020072045 A KR20020072045 A KR 20020072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ntsc
data
process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4452B1 (ko
Inventor
김상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4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4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04N21/42638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involving a hybrid front-end, e.g. analog and digital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디지털 티브이 셋탑 박스에서 VSB 지상파 방송(ATSC), QAM 케이블 방송(OpenCable) 및 NTSC 방송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지상파 ATSC 또는 NTSC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101)와, 케이블 QAM 또는 NTSC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110)와, 상기 지상파 NTSC 및 케이블 NTSC 방송 처리를 위한 SAW 필터(103), NTSC 복조기(104), NTSC 복호기(106)와, 상기 지상파 ATSC 방송 처리를 위한 SAW 필터(107), VSB 복조기(108), VSB 복호기(109)와, 상기 케이블 QAM 방송 처리를 위한 SAW 필터(112), QAM 복조기(113), QAM 복호기(114)와, 이 QAM 복호기(114)에서의 암호화 신호를 해독하기 위한 POD 콘트롤러(115)와, 외부 기기로부터의 TP 데이터 처리를 위한 1394 물리 레이어(119), 1394 링크 레이어(120)와, 상기 VSB 복호기(109)와 POD 콘트롤러(115)에서의 TP 데이터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117)와, 이 멀티플렉서(117)에서의 TP 데이터와 상기 1394 링크 레이어(120)에서의 TP 데이터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121)와, 이 멀티플렉서(121)에서의 TP 데이터와 상기 NTSC 복호기(106)에서의 데이터(CCIR656)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122)와, 이 멀티플렉서(122)에서의 데이터를 MPEG 처리하는 MPEG 복호기(123)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FOR MULTIPLEX BROADCASTING}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상파 ATSC 방송, 지상파 NTSC 방송, 케이블 QAM 방송(OpenCable) 및 케이블 NTSC 방송 등과 같이 서로 다른 규격의 방송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규격의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서로 다른 셋탑 박스를 구비하여야 한다.
예로, 케이블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셋탑 박스를 구비하여야 하고, 지상파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VSB를 디코딩하는 셋탑 박스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서로 다른 규격의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 각각의 셋탑 박스를 구비하여야 함으로 설치가 복잡해 짐은 물론 경제적으로도 사용자에게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나의 디지털 티브이 셋탑 박스에서 VSB 지상파 방송(ATSC), POD를 포함한 QAM 케이블 방송(OpenCable) 및 NTSC 방송을 동시에 모두 수신할 수 있도록 창안한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1,110 : 튜너102,111 : 릴레이
103,107,112 : SAW 필터104,108,113 : 복조기
105,106,109,114,123 : 복호기115 : POD 콘트롤러
116 : PCMCIA 카드117,121,122 : 멀티플렉서
124 : 오디오 믹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NTSC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 및 VSB 디지털 지상파 방송(ATSC)의 수신 기능과, QAM 디지털 케이블 방송(OpenCable) 및 NTSC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의 수신 기능을 위해 튜너(101)(110)를 구비하고,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1394 인터페이스 기능을 위해 1394 물리 레이어(119), 1394 링크 레이어(120)를 구비하며, 케이블 방송의 복사 방지를 위한 POD 기능을 위해 POD 콘트롤러(115)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규격의 수신 방송 처리를 위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신호 처리 블록으로 전송하기 위한 릴레이(102)(111)를 구비하고, 원하는 규격의 방송 시청을 위하여 멀티플렉서(117)(121)(122)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장치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파 ATSC 또는 NTSC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101)와, 케이블 QAM 또는 NTSC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110)와, 상기 지상파 NTSC 및 케이블 NTSC 방송을 처리하기 위한 SAW 필터(103), NTSC 복조기(104), NTSC 복호기(106)와, 상기 지상파 ATSC 방송을 처리하기 위한 SAW 필터(107), VSB 복조기(108), VSB 복호기(109)와, 상기 케이블 QAM 방송을 처리하기 위한 SAW 필터(112), QAM 복조기(113), QAM 복호기(114)와, 이 QAM 복호기(114)에서의 암호화 신호를 해독하기 위한 PCMCIA 카드(116), POD 콘트롤러(115)와, 외부 기기로부터의 TP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1394 물리 레이어(119), 1394 링크 레이어(120)와, 상기 VSB 복호기(109)와 POD 콘트롤러(115)에서의 TP 데이터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117)와, 이 멀티플렉서(117)에서의 TP 데이터와 상기 1394 링크 레이어(120)에서의 TP 데이터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121)와, 이 멀티플렉서(121)에서의 TP 데이터와 상기 NTSC 복호기(106)에서의 CCIR656 데이터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멀티플렉서(122)와, 이 멀티플렉서(122)에서의 데이터를 MPEG 처리하는 MPEG 복호기(123)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105'는 NTSC 복조기(104)에서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stereo 복호기이고, '124'는 MPEG 복호기(123)에서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stereo 복호기(105)에서의 오디오 신호를 합성하기 위한 오디오 믹서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VSB RF 입력은 안테나를 통해 들어오는 디지털 지상파의 고주파 신호(RF)를 말하며 VSB 지상파 튜너(101)는 상기 VSB RF를 입력으로 중간 주파수 신호(IF)를 릴레이(102)로 출력한다.
여기서, NTSC 방송 또는 ATSC 방송은 다른 채널을 사용할 뿐 주파수 대역은 동일함으로 하나의 튜너에서 모두 튜닝이 가능하다. 따라서, 튜너(101)에서 나오는 중간주파수 신호(IF)는 채널에 따라 VSB IF가 되기도 하고 NTSC IF가 되기도 한다.
이때, 씨피유(CPU)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는 현재 채널을 점검하여 NTSC IF인지 또는 VSB IF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해 콘트롤 신호(CTRL1)를 릴레이(102)로 보내게 된다.
상기 릴레이(102)는 콘트롤 신호(CTRL1)에 의해 튜너(101)에서 나오는 중간주파수 신호(IF)가 NTSC IF이면 NTSC 디코딩을 위해 SAW 필터(103)로 전송하고 VSB IF이면 VSB 디코딩을 위해 SAW 필터(107)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튜너(101)에서 나오는 신호가 NTSC IF인 경우 콘트롤 신호(CTRL1)에 의해 릴레이(102)를 통해 NTSC용 SAW 필터(103)로 전송되어 필터링되고 그 필터링된 중간주파수 신호(IF)는 NTSC 복조기(104)로 전송되어 NTSC용 비디오 기저대역 신호(CVBS ; Composite Video)와 오디오 기저대역 신호로 만들어진다.
이 후, NTSC 복조기(104)에서 만들어진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CVBS)는 NTSC 복호기(106)에서 디지털 비디오 신호(CCIR656)로 변환되어 멀티플렉서(122)로 출력된다.
그리고, NTSC 복조기(104)에서 만들어진 오디오 기저대역 신호는 스테레오 디코더(105)에서 아날로그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며, 이 오디오 신호는 다른 오디오 신호와의 합성을 위해 오디오 믹서(124)로 출력되어진다.
또한, 튜너(101)에서 나오는 신호가 VSB IF인 경우 콘트롤 신호(CTRL1)에 의해 릴레이(102)를 통해 VSB용 SAW 필터(107)로 입력되어 필터링되고 그 필터링된 중간주파수 신호(IF)는 VSB 복조기(108)로 입력되어 VSB용 기저대역 신호로 만들어진다.
이 후, VSB 복호기(109)는 VSB 복조기(108)에서 만들어진 VSB용 기저대역 신호를 VSB 디코딩하여 VSB TP 데이터를 멀티플렉서(117)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케이블 RF 입력은 케이블을 통해서 들어오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OpenCable)을 말하며 케이블 튜너(110)는 상기 케이블 IF를 입력으로 중간주파수 신호(IF)를 릴레이(111)로 출력한다.
여기서, NTSC 방송 또는 OpenCable 방송은 다른 채널을 사용할 뿐 주파수 대역은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의 튜너에서도 모두 튜닝이 가능하다. 따라서, 튜너(110)에서 나오는 중간주파수 신호(IF)는 채널에 따라 QAM IF가 되기도 하고 NTSC IF가 되기도 한다.
이때, 씨피유(CPU)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는 현재 채널을 점검하여 NTSC IF인지 또는 QAM IF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의해 콘트롤 신호(CTRL2)를 릴레이(111)로 보내게 된다.
상기 릴레이(111)는 콘트롤 신호(CTRL2)에 의해 튜너(110)에서 나오는 신호가 NTSC IF이면 NTSC 디코딩을 위해 SAW 필터(103)로 전송하고 QAM IF이면 QAM 디코딩을 위해 SAW 필터(107)로 전송하게 된다.
만일, 튜너(110)에서 나오는 신호가 NTSC IF인 경우 상기 튜너(101)에서의 NTSC IF의 경우와 동일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튜너(110)에서 나오는 신호가 QAM IF인 경우 콘트롤 신호(CTRL2)에 의해 릴레이(111)를 통해 QAM용 SAW 필터112)로 입력되어 필터링되고 그 필터링된 IF는 QAM 복조기(113)로 입력되어 QAM 기저대역 신호로 만들어진다.
이 후, QAM 복호기(114)는 QAM 복조기(113)에서 만들어진 QAM용 기저대역 신호를 QAM 디코딩하여 케이블 TP 데이터로 만들게 된다.
그런데, OpenCable의 경우 ATSC 방송과 달리 TP 데이터가 Copy Protection을 위해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암호화되어 있는 케이블 TP 데이터를 해독하여야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QAM 복호기(114)에서 디코딩된 케이블 TP 데이터는 암호화를 풀기 위해 POD 콘트롤러(115)로 입력된다.
상기 POD 콘트롤러(115)는 POD용 PCMCIA Card(116)에서의 키값을 이용하여 QAM 복호기(114)에서의 케이블 TP 데이터의 암호화를 풀어 VSB 복호기(109)에서 나오는 것과 동일한 형태의 TP 데이터를 만들어 멀티플렉서(117)로 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에서 멀티플렉서(117)를 사용하는 이유는 하나의 MPEG 복호기(123)를 사용함으로 QAM 방식의 TP 데이터와 VSB 방식의 TP 데이터를 동시에 MPEG 디코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멀티플렉서(117)는 VSB 디코더(109)에서 나오는 TP 데이터와 POD 콘트롤러(115)에서 나오는 TP 데이터중 하나를 선택하여 멀티플렉서(121)로 출력하며, 씨피유(CPU)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는 현재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이 케이블 방송인지 또는 VSB 방송인지를 판단하고 이 판단에 의해 콘트롤 신호(CTRL3)를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17)를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1394 인터페이스 규격의 물리 레이어(119)와 링크 레이어(12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멀티플렉서(117)에서 TP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경우 그 TP 데이터를 1394 링크 레이어(120)로 입력하여 1394 물리 레이어(119), 1394코넥터(118)를 순차 통해 외부의 다른 기기로 전송하게 된다.
반대로, 외부 기기에서 입력되는 TP 데이터는 1394 물리 레이어(119)를 통해 1394 링크 레이어(120)에 입력된 후 멀티플렉서(121)로 출력되어진다.
이때, 멀티플렉서(121)는 VSB/QAM 방송을 시청할 것인지 또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된 방송을 시청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콘트롤 신호(CTRL4)에 의해 멀티플렉서(117)로부터의 TP 데이터와 1394 링크 레이어(120)로부터의 TP 데이터중 하나를 선택하여 멀티플렉서(122)로 입력시키게 된다.
상기 멀티플렉서(122)는 콘트롤 신호(CTRL5)에 의해 멀티플렉서(121)에서 선택된 TP 데이터와 NTSC 복호기(106)에서의 데이터(CCIR656)중 하나를 선택하여 MPEG 디코더(123)로 입력시키게 된다.
결국, 멀티플렉서(122)는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것인지 또는 NTSC 아날로그 방송을 시청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후, 상기 MPEG 디코더(123)는 멀티플렉서(122)에서 선택된 데이터에 대해 여러 디코딩 과정을 거쳐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MPEG 디코더(123)에서 나오는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믹서(124)로 입력되어 NTSC용 스테레오 디코더(105)에서 만들어진 NTSC 방송용 스테레오 오디오와 함께 합성되어 시청하고 있는 방송에 따라 오디오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셋탑 박스에서 복합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규격의 방송 시청을 위해 각각의 셋탑 박스를구입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기능이 하나의 세트에 구비되어 있어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지상파 ATSC 또는 NTSC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1 튜너와, 케이블 QAM 또는 NTSC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제2 튜너와, 상기 지상파 NTSC 및 케이블 NTSC 방송 처리를 위한 제1 방송 처리 수단과, 상기 지상파 ATSC 방송 처리를 위한 제2 방송 처리 수단과, 상기 케이블 QAM 방송 처리를 위한 제3 방송 처리 수단과, 외부 기기의 TP 데이터 처리를 위한 외부 데이터 처리 수단과,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제3 방송 처리 수단과 외부 데이터 처리 수단의 출력 데이터중 하나를 선택하여 MPEG 복호 수단으로 입력시키기 위한 방송 선택 수단과, 임의 규격의 방송 선택을 위해 제어 신호를 상기 방송 선택 수단으로 출력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방송 선택 수단은 제2,제3 방송 처리 수단에서의 TP 데이터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 멀티플렉서와, 이 제1 멀티플렉서에서의 TP 데이터와 상기 1394 처리 수단에서의 TP 데이터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멀티플렉서와, 이 제2 멀티플렉서에서의 TP 데이터와 상기 제1 방송 처리 수단에서의 데이터(CCIR656)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3 멀티플렉서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3 방송 처리 수단은 QAM 복호된 신호의 암호화를 해독하기 위한 POD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데이터 처리 수단은 1394 인터페이스 규격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KR1020010012006A 2001-03-08 2001-03-08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KR100774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006A KR100774452B1 (ko) 2001-03-08 2001-03-08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006A KR100774452B1 (ko) 2001-03-08 2001-03-08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045A true KR20020072045A (ko) 2002-09-14
KR100774452B1 KR100774452B1 (ko) 2007-11-08

Family

ID=2769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006A KR100774452B1 (ko) 2001-03-08 2001-03-08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4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249B1 (ko) * 2001-10-17 2004-01-03 전자부품연구원 오픈 케이블용 피오디 모듈의 oob 물리층 처리장치
KR100798918B1 (ko) * 2005-12-07 2008-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된 셋탑 기능을 갖는 홈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8904A (ko) * 2009-01-30 2015-02-24 인터실 아메리카스 엘엘씨 혼합 포맷 매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160A (ko) 2017-09-08 2019-03-18 주식회사 플레이어라운드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0817B2 (ja) * 1994-10-18 1999-11-22 帝人株式会社 金属板貼合せ成形加工用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970057710A (ko) * 1995-12-15 1997-07-31 배순훈 디지탈 방송 수신 장치
KR100254498B1 (ko) * 1997-06-25 2000-05-01 전주범 다중 디지탈 방송 수신기
KR20020018231A (ko) * 2000-09-01 2002-03-08 이형도 멀티 디지탈 방송 수신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249B1 (ko) * 2001-10-17 2004-01-03 전자부품연구원 오픈 케이블용 피오디 모듈의 oob 물리층 처리장치
KR100798918B1 (ko) * 2005-12-07 2008-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된 셋탑 기능을 갖는 홈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8904A (ko) * 2009-01-30 2015-02-24 인터실 아메리카스 엘엘씨 혼합 포맷 매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452B1 (ko)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3674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unit
KR100396674B1 (ko) 디지털 티브이
KR10065718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그의 선택 방법, 및 데이터 전송 방법
EP1542470A1 (en) A digital cable receiver
KR100774452B1 (ko)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KR20070007985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전환 장치 및 방법
JPH0993558A (ja) 複数スクランブル方式放送システム及びデコーダ
US7027106B2 (en) Digital/analog broadcast receiver receiving digital/analog broadcast in range of read carrier frequency
KR20020018231A (ko) 멀티 디지탈 방송 수신기
KR100254498B1 (ko) 다중 디지탈 방송 수신기
KR20010092488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부가서비스 데이터 처리 장치
JP2004328366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受信チャネル変更方法
US20080024680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KR10088466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용 모듈 및 이를 장착한 디지털방송수신기
CN218888576U (zh) 电视机主板和电视机
KR10087844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0144987B1 (ko)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루프 장치
KR100403236B1 (ko)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기의 수신제한장치
KR100359815B1 (ko) 지상파/케이블 복합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JP2006135600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装置
KR100818299B1 (ko) 사용자가 채널 설정이 가능한 모자이크 이피지 제공장치 및방법
JP2008022085A (ja) 地上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EP2887680A1 (en) Digital video broadcasting system
KR20070063261A (ko) 방송수신기의 메뉴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00011048U (ko) 디지털 티브이의 외부 방송 신호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