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160A -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160A
KR20190028160A KR1020170115270A KR20170115270A KR20190028160A KR 20190028160 A KR20190028160 A KR 20190028160A KR 1020170115270 A KR1020170115270 A KR 1020170115270A KR 20170115270 A KR20170115270 A KR 20170115270A KR 20190028160 A KR20190028160 A KR 20190028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mobile device
format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이어라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이어라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이어라운드
Priority to KR102017011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8160A/ko
Publication of KR20190028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국외 거주자들 소유의 방송 수상기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방송 수상기는 국내 지상파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수신된 국내 지상파 방송신호의 포맷을 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 및 타 포맷으로 변환된 방송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국외 거주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방송 재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broadcasting service by retransmitting ground radio wave}
본 발명은 방송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내의 실시간 지상파 방송을 해외에서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방송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를 선택하여 가입하고, 특정 셋톱박스를 임대 또는 구입하여 댁내에 설치 및 TV와 연결하여 실시간 지상파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IP 네트워크의 일반화 및 활성화, 모바일 디바이스의 개인화가 보편화되어 OTT(over-the-top)라는 개념의 서비스가 각광을 받으면서 실시간 방송보다는 가입자의 개인 일정에 맞추어 원하는 시간에 방송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VoD(video-on-demand) 개념의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해외 거주자들도 국내 방송을 보다 쉽게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해외 거주자들이 국내 실시간 방송을 즐기기는 어려운데, 조사에 따르면, 공식적으로 4대(KBS, EBS, MBC, SBS) 지상파 한국 방송을 해외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해주는 서비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해외 거주자가 국내 실시간 방송을 공식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방법은 사실상 없는 상태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774452호 (2007년 11월 8일 공고)
본 발명은 해외 거주자들로 하여금 국내 지상파 방송을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국외 거주자들 소유의 방송 수상기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방송 수상기는 국내 지상파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와, 수신된 국내 지상파 방송신호의 포맷을 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 및 타 포맷으로 변환된 방송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국외 거주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방송 재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타 포맷은 MPEG-DASH(Moving Picture Expert Group -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또는 HLS(HTTP Live Streaming) 포맷일 수 있다.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방송 수상기들과 네트워크 연결된 서비스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는 국외 거주자들의 소유 방송 수상기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매핑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일대일 대응되는 방송 수상기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방송 수상기는 네트워크를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송 요청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디바이스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방송 재전송부는 디바이스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완료되면 방송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각각의 방송 수상기는 타 포맷으로 변환된 방송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방송 녹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재전송부는 포맷 변환된 방송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되, 국외 거주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재생 지점과 관련한 조작 명령 발생시에는 해당 재생 지점의 방송 데이터를 스토리지에서 검색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방송 수상기별 국내 관리 대행료를 해당 국외 거주자에게 과금하는 과금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해외 거주자의 경우에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국내 지상파 방송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상기 및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원형 버퍼 예시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개념도이다. 방송국의 송출기(100)는 지상파를 송출한다. 송출기(10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표준에 따른 지상파를 송출할 수도 있으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표준에 따른 지상파를 송출할 수도 있다. 아니면 이 두 표준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방송 수상기(200)들은 지상파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포맷 변환한 후에 그 변환된 방송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IP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 거주자들의 모바일 디바이스(300)들로 재전송(전달)한다. 방송 수상기(200)들과 모바일 디바이스(300)들은 일대일 대응되는바, 각각의 방송 수상기(200)는 특정 해외 거주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00)로 방송 데이터를 전달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300)들은 방송 수상기(20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화면 표시 및 오디오 출력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방송 수상기(200)들과 모바일 디바이스(300)들 및 서비스 서버(400)를 포함한다. 그러나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반드시 이들 모두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며,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방송 수상기(200)들만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방송 수상기(200)들과 서비스 서버(400)를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방송 수상기(200)들과 모바일 디바이스(300)들 또는 방송 수상기(200)들과 모바일 앱(310)들을 포함한다.
방송 수상기(200)들은 국외(해외) 거주자들 소유의 디바이스이다. 다만, 방송 수상기(200)들은 국내 사업자에 의해 대행 보관이 이루어진다. 즉, 국외 거주자는 자신이 구매한 방송 수상기가 국내에 위치하여 해당 역할을 수행하도록 국내 사업자에게 관리를 위임한다. 이에 국내 사업자는 방송 수상 센터라 명명할 수 있는 임의의 장소에 방송 수상기(200)들을 한데 모아 관리할 수 있다. 각각의 방송 수상기(200)는 지상파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상파 방송신호의 포맷을 변환한 후에 IP 네트워크를 통해 지정된 모바일 디바이스(300)로 전달한다.
모바일 디바이스(300)들은 국외 거주자(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디바이스들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국외 거주자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와 방송 수상기(200)를 소유하는데,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직접 소지하는 반면에 방송 수상기(200)는 국내 사업자에 의해 관리되도록 한다.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모바일 앱(310)을 포함한다. 모바일 앱(310)은 방송 수상기(20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플레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앱(310)은 구동시 이전에 시청하던 채널의 방송을 방송 수상기(200)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앱(310)은 사용자의 시청 히스토리를 통해 사용자의 우선순위 시청 채널을 파악하고, 구동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채널의 방송을 방송 수상기(200)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앱(310)은 사용자의 시청 히스토리를 통해 시간대별 사용자의 우선순위 시청 채널을 파악하고, 구동시 현재시간에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채널을 방송을 방송 수상기(200)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추가로, 모바일 앱(310)은 사용자 관리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시청 규제(parental control) 기능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앱(310)은 방송국에서 방송 수상기(200)를 통해 전달되는 시스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연령 설정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추가로, 모바일 앱(310)은 방송편성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등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는데, EPG 등의 정보는 시스템 정보에 함께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EPG를 통해 예약 녹화 혹은 채널 탐색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로, 모바일 앱(310)은 빨리감기(fast-forward), 빨리되감기(fast-rewind), 점프(jump) 등의 트릭 플레이(trick play)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는 IP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또한, 서비스 서버(400)는 방송 수상기(200)들과는 별도의 전용망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같은 서비스 서버(400)는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WAS), 데이터베이스 서버, 네트워크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는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나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체제 하에서 운영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0)는 회원 가입 및 회원 가입된 사용자들의 계정을 관리하며, 방송 수상기(200)들과 모바일 디바이스(300)들을 일대일 대응시켜 관리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400)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사용자 정보에 액세스하여 수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앱(310)의 경우는 사용자 정보를 액세스할 수 있는 링크 정도만을 가지며, 실질적인 정보 확인과 변경은 웹 페이지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상기 및 서비스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상기(200)는 방송 수신부(210)와 포맷 변환부(220) 및 방송 재전송부(230)를 포함하며, 디바이스 인증부(240)와 방송 녹화부(250)와 스토리지(260) 및 과금 처리부(27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210)는 송출기(100)에서 송출된 국내 지상파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수신 방송 서비스 포맷에 대해 설명하면, 국내 지상파 방송(ATSC 및 DMB)에서 라이브 신호(live signal)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표준 규격과 제어를 위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에 따른 포맷을 의미한다.
현재 국내 지상파 방송 서비스 포맷은 ATSC 1.0을 따르고 있으며, 참고로 UHD의 경우 ATSC 3.0 기준 2017년 5월 31일 수도권을 시작으로 2017년 광역시, 2020년 ~ 2021년 전국 시군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그리고 입력 시스템 포맷(input system format)은 MPEG TS, 비디오 코덱은 MPEG-2/4(ATSC A/53, A/72), DMB의 경우 EUREKA-147, 오디오의 경우 AC-3, MPEG-1 audio layer ∥, MPEG-4 par 3 ER-BSAC를 기본으로 사용한다. 이에 맞춰, 방송 수상기(200)는 ATSC 및 DMB 방송 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방송 수상기(200)는 MPEG-DASH(Moving Picture Expert Group -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혹은 HLS(HTTP Live Streaming)를 위해 실시간 트랜스코딩(transcoding)을 지원하며,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에서 IP 네트워크 대역폭에 따라 방송 콘텐츠의 동적 퀄리티(dynamic quality)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참고로, 인코딩(encoding)이란 용어가 표현상 정확하지만, 트랜스코딩 용어가 통용되므로 두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포맷 변환부(220) 는 수신된 국내 지상파 방송신호의 포맷(수신 방송 서비스 포맷)을 타 포맷(송신 방송 서비스 포맷)으로 변환하는 메인 칩셋(main chipset)의 트랜스코더(transcoder)이다. IP 네트워크의 대역폭에 따른 방송 콘텐츠의 해상도(resolution) 변경과 서비스의 용이함을 위해, 방송 수상기(200)는 수신된 방송 신호의 포맷을 타 포맷으로 변환한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3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수상기(200)는 MPEG-DASH 또는 HLS 포맷으로 방송 신호를 변환한다. 안드로이드(Android)의 경우 HLS를 기본 동영상 포맷의 기준으로 하며, iOS의 경우 MPEG-DASH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방송 수상기(20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일 경우에는 수신된 방송 신호의 포맷을 HLS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가 iOS일 경우에는 수신된 방송 신호의 포맷을 MPEG-DASH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운영체제 등을 포함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제공되어 방송 수상기(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포맷 변환부(220) 는 기저장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통해 타 포맷을 결정한다.
방송 재전송부(230)는 포맷 변환부(220) 에 의해 포맷 변환된 방송 데이터(방송 콘텐츠)를 해당 국외 거주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00)로 전달한다. 방송 재전송부(230)는 포맷 변환된 방송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300)로만 전달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재전송부(230)는 기저장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통해 대응되는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모바일 디바이스(300)로 방송 데이터를 전달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송 재전송부(230)는 어느 한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모바일 앱(310)으로부터 IP 네트워크를 통한 방송 요청이 수신되면, 방송 요청한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 후에 포맷 변환부(220) 에 의해 포맷 변환된 방송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를 위해, 방송 수상기(200)는 디바이스 인증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인증부(240)는 방송 요청한 모바일 디바이스(300)로부터 제공된 디바이스 고유 식별 정보와 기저장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인증한다.
방송 녹화부(250)는 소정 시간, 예를 들어 24시간 정도의 녹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방송 녹화부(250)는 포맷 변환부(220) 를 통해 타 포맷으로 변환된 방송 데이터를 스토리지(260)에 기록한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트릭 플레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인데, 이를 위해서는 일정 분량의 방송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방송 콘텐츠가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저장될 수도 있으나 로컬 스토리지의 저장 공간의 한계상 방송 수상기(200)에 스토리지(260)를 구성한다. 스토리지(260)는 NAND flash일 수도 있고, 외장형 HDD일 수도 있다. 외장형 HDD일 경우, USB로 방송 수상기(200)에 연결 가능하다. 그리고 비디오 녹화의 기능 구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버퍼(circular buffer) 개념으로 구현하여 정해진 스토리지 볼륨(storage volume)만 사용하여 방송 데이터의 시작과 끝이 만나도록 녹화할 수 있다. 방송 녹화는 tail을 시작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시계 방향으로 헤드(head)에서 추출하여 플레이백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재전송부(23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로부터 재생 지점과 관련한 조작 명령 발생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트릭 플레이 조작시에는 해당 재생 지점의 방송 데이터를 스토리지(260)에서 추출하여 모바일 디바이스(300)로 전달할 수 있다.
과금 처리부(270)는 방송 수상기별 국내 관리 대행료를 해당 국외 거주자에게 과금한다. 과금 처리부(270)는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월 단위나 연 단위 등으로 방송 수상기(200)의 실제 소유자인 국외 거주자에게 국내 대행 보관에 따른 비용을 과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과금 처리부(270)는 국내 및/또는 국외 부가가치서비스(value added service, VAS) 사업자에 의해 운용되는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과금 처리한다.
한편, 서비스 서버(400)는 정보 관리부(410)와 정보 제공부(420) 및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관리부(410)는 회원 가입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관리부(410)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사용자 계정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정보 관리부(410)는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와 로그인 아이디 및 로그인 패스워드를 매핑시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에는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자가 포함되는데, 고유 식별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칩셋 ID이거나 칩셋 ID를 포함하여 생성된 일종의 primary key일 수 있다. 이 같은 고유 식별자는 예시적인 것으로,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에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운영체제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IP 주소나 MAC 주소 등 통신과 관련된 주소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부(410)는 방송 수상기(200)들과 모바일 디바이스(300)들을 일대일 대응시켜 관리한다. 정보 관리부(410)는 방송 수상기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매핑시켜 관리할 수 있으며, 방송 수상기 정보에는 기기 식별자, 네트워크 주소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같은 방송 수상기 정보도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어 함께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제공부(420)는 방송 수상기(200)들로 대응되는 모바일 디바이스(300)들의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제공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송출기 200 : 방송 수상기
210 : 방송 수신부 220 : 포맷 변환부
230 : 방송 재전송부 240 : 디바이스 인증부
250 : 방송 녹화부 260 : 스토리지
270 : 과금 처리부 300 : 모바일 디바이스
310 : 모바일 앱 400 : 서비스 서버
410 : 정보 관리부 420 : 정보 제공부
430 :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국외 거주자들 소유의 방송 수상기들;을 포함하되,
    각각의 방송 수상기는 :
    국내 지상파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수신된 국내 지상파 방송신호의 포맷을 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 및
    타 포맷으로 변환된 방송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국외 거주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방송 재전송부;
    를 포함하는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타 포맷은 MPEG-DASH(Moving Picture Expert Group -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또는 HLS(HTTP Live Streaming) 포맷인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방송 수상기들과 네트워크 연결된 서비스 서버;를 더 포함하되,
    서비스 서버는 :
    국외 거주자들의 소유 방송 수상기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매핑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일대일 대응되는 방송 수상기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방송 수상기는 :
    네트워크를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송 요청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디바이스 인증부;를 더 포함하며,
    방송 재전송부는 디바이스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완료되면 방송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지상파 재전송에 의해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방송 수상기는 :
    타 포맷으로 변환된 방송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기록하는 방송 녹화부;를 더 포함하며,
    방송 재전송부는 포맷 변환된 방송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되, 국외 거주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재생 지점과 관련한 조작 명령 발생시에는 해당 재생 지점의 방송 데이터를 스토리지에서 검색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는 :
    방송 수상기별 국내 관리 대행료를 해당 국외 거주자에게 과금하는 과금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70115270A 2017-09-08 2017-09-08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028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70A KR20190028160A (ko) 2017-09-08 2017-09-08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70A KR20190028160A (ko) 2017-09-08 2017-09-08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160A true KR20190028160A (ko) 2019-03-18

Family

ID=6594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270A KR20190028160A (ko) 2017-09-08 2017-09-08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816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799A (ko) 2019-05-15 2020-11-25 주식회사 오티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서 광고를 대체한 ott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132798A (ko) 2020-11-13 2020-11-25 주식회사 오티티미디어 Ott 기반 콘텐츠의 광고 제공 방법
KR20200133064A (ko) 2019-05-15 2020-11-26 주식회사 오티티미디어 Ott 기반 콘텐츠의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20065546A (ko)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오티티미디어 대체 광고 ott 방송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375281B1 (en) 2021-05-26 2022-06-28 Innopi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kipping of advertising content based on video recognition when watching advertising-based free OTT service through TV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452B1 (ko) 2001-03-08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452B1 (ko) 2001-03-08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 방식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799A (ko) 2019-05-15 2020-11-25 주식회사 오티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서 광고를 대체한 ott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133064A (ko) 2019-05-15 2020-11-26 주식회사 오티티미디어 Ott 기반 콘텐츠의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00132798A (ko) 2020-11-13 2020-11-25 주식회사 오티티미디어 Ott 기반 콘텐츠의 광고 제공 방법
KR20220065546A (ko) 2020-11-13 2022-05-20 주식회사 오티티미디어 대체 광고 ott 방송 콘텐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375281B1 (en) 2021-05-26 2022-06-28 Innopi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kipping of advertising content based on video recognition when watching advertising-based free OTT service through TV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8160A (ko)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US8266249B2 (en) Providing remote access to multimedia content
US84230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geographically restricted content, such as over-air broadcast programming, to a recipient over a network, namely the internet
US20120266201A1 (en) Cloud Based Location Shifting Service
US8532172B2 (en) Adaptive language descriptors
US8850474B2 (en) Virtual content store in interactive services architecture
US20090241154A1 (en)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receiver and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receiver
US8612456B2 (en) Scheduling recording of recommended multimedia programs
JP4999431B2 (ja)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US10237627B2 (en) System for providing audio recordings
KR101439318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iptv 원격시청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CN101668172B (zh) 一种业务内容的播放方法、系统和装置
KR101168698B1 (ko) Iptv의 개인 채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282672B (zh) 节目处理系统
US20110061070A1 (en) Participant terminal device, wired and wireless coupled server for supporting broadcasting particip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participational broadcasting service
KR101238781B1 (ko) 휴대인터넷상에서 멀티캐스트 방식을 이용한 ucc방송 및디지털방송 재전송 방법
KR101202161B1 (ko) Tv 방송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 및 전송장치
KR20120046911A (ko) 모바일 iptv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1193171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可否判定装置、情報配信可否判定方法、情報送受信装置、情報送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120507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특징 정보 설정 방법
KR20100033700A (ko) Iptv 중계 방법 및 장치
KR102564659B1 (ko) 셋탑박스를 위한 서버기반 동적 모드셋 시스템
KR101042509B1 (ko)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및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KR10156446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채널 설정 방법
JP4576516B1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プログラム、情報受信装置並びに情報配信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