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509B1 -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및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및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509B1
KR101042509B1 KR1020090022572A KR20090022572A KR101042509B1 KR 101042509 B1 KR101042509 B1 KR 101042509B1 KR 1020090022572 A KR1020090022572 A KR 1020090022572A KR 20090022572 A KR20090022572 A KR 20090022572A KR 101042509 B1 KR101042509 B1 KR 101042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ptv
digital content
conten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267A (ko
Inventor
나영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22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50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1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2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identification purposes, e.g. storing user identification data, preferences, personal settings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및 IPTV 콘텐츠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은 디지털 콘텐츠 서버와 단말을 중계하는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셋톱 박스로 연결된 단말의 디지털 콘텐츠 이용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디지털 콘텐츠 이용 권한을 갖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셋톱 박스로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 박스로부터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단말에서 용이하게 디지털 콘텐츠 및 IPTV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셋톱 박스, 디지털 콘텐츠, IPTV 콘텐츠

Description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및 IPTV 콘텐츠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IGITAL CONTENT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PTV CONTENTS}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및 IPTV 콘텐츠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의 속도 향상 및 인터넷 기술 발달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종래의 위성 방송,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등의 방송 서비스에 따르면, 시청자는 방송사나 중계업자에 의해 편성된 방송 스케쥴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콘텐츠만을 이용할 수 있다. 반면에, IPTV 방송 서비스는 시청자가 언제든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IPTV 방송 서비스는 시청자에게 보다 편리한 방송 서비스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 시장 또한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IPTV 방송 서비스의 경우, 이용 장소가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IPTV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모니터,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영상기기와 셋톱 박스(set-top box)를 인터넷 회선에 연결해야 한다. 즉, IPTV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영상 기기와 셋톱박스가 항상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하기 때문에, 고정된 장소에서만 IPTV 방송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물론, DMB 서비스나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이동 단말에서 공간의 제약없이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들은 IPTV 방송 서비스에 비해 데이터 사용료가 높거나 화질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정 내에서 IPTV 방송 서비스에 가입을 하고, 이동 단말을 위해 별도의 서비스에 가입해야 하기 때문에 통신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 밖에도, IPTV 방송을 녹화한 후, 녹화된 콘텐츠를 이동 단말에서 이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녹화된 콘텐츠를 컴퓨터에서 재생 가능한 파일로 변환한 후, 이를 다시 이동 단말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로 트랜스 코딩(trans coding)하여,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번거로운 절차가 요구된다.
특히, IPTV 방송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IPTV 콘텐츠는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영상 기기에 적합한 데이터 형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콘텐츠의 데이터 형식, 해 상도 및 영상 크기 등이 이동 단말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IPTV 콘텐츠를 단말로 전송하더라도, 단말의 사양에 적합하도록 콘텐츠의 형식 및 영상 크기 등을 다시 변환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송수신함으로써, 단말에서 용이하게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로 IPTV 콘텐츠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에서 용이하게 IPTV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서버와 단말을 중계하는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셋톱 박스로 연결된 단말의 디지털 콘텐츠 이용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디지털 콘텐츠 이용 권한을 갖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셋톱 박스로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 박스로부터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PTV 콘텐츠 서버의 IPTV 콘텐츠 전송 방법에 있어서, IPTV 콘텐츠를 이용하고자하는 단말의 IPTV 콘텐츠 이용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IPTV 콘텐츠 이용 권한을 갖는 경우, 상기 단말을 위한 단말용 IPTV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콘텐츠 서버와 단말을 중계하는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단말로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셋톱 박스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셋톱 박스에 연결된 영상 기기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에서도 용이하게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의 사양 및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단말로 전송하므로, 별도의 데이터 변환 과정없이 단말에서 바로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단말은 자신의 사양에 적합한 IPTV 콘텐츠를 IPTV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데이터 변환 과정없이 용이하게 IPTV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및 순서도이다.
도 1a는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100)은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 셋톱 박스(120) 및 단말(130) 간의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와 단말(130)을 중계하는 셋톱 박스(120)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하,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 셋톱 박스(120) 및 단말(130) 각각의 기능을 살펴보도록 한다.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는 디지털 콘텐츠의 관리 및 배포를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위성 방송,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IP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는 셋톱 박스(120)와 통신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하는데, 셋톱 박스(120)에 연결된 영상 기기뿐만 아니라, 단말(130)에 대해서도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IPTV 콘텐츠 서버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한해 IP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텔레비전 수상기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에 대해서도 IP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는 셋톱 박스(120)로부터 영상 기기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이용이 요청되는 경우에는 영상 기기에 최적화된 형태의 영상 기기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하고, 셋톱 박스(120)로부터 단말(130)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가 요청되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의 사양 및 사용 환경에 적합한 형태의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한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는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 권한을 갖는 단말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이용 권한을 갖는 단말에 대해서만 해당 단말에 적합한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IPTV 콘텐츠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IPTV 방송 서비스의 가입자가 소유한 단말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별 정보는 IPTV 방송 서비스의 가입자 ID, 가입자가 소유한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 단말 ID, 기종 등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셋톱 박스(120)로부터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 전송이 요청되면, 셋톱 박스(120)에 연결된 단말(130)의 식별 정보를 통해 이용 권한 유무를 확인한 후, IPTV 방송 서비스 가입자가 소유한 단말에 대해서만 그 사양에 적합한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셋톱 박스(120)는 차세대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기기로서,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로부터 디지털 콘텐츠 예를 들어,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선, 케이블 또는 IPTV와 같은 방송 서비스 가입시, 각 서비스에 따른 셋톱 박스(120)를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셋톱 박스(120)는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와 단말(130)을 중계하여,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를 영상기기 또는 단 말(13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IPTV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셋톱 박스(120)의 경우, 영상기기 모드 또는 단말 모드로 동작이 가능하다. 영상기기 모드의 경우에는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로부터 영상기기용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한 후, 영상기기로 전달한다. 또한, 단말 모드의 경우에는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로부터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한 후, 단말(130)로 전달한다.
또한, 셋톱 박스(120)는 단말 모드 동작시, 해당 단말(130)의 식별 정보를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용 권한 정보와 해당 단말(130)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단말(130)의 이용 권한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단말의 사양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단말(130)은 디지털 콘텐츠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통신 기기를 말하며, 이동통신 단말, PDP, PMP 등과 같은 이동 단말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130)은 셋톱 박스(120)로부터 단말(130)의 사양 및 사용 환경에 적합한 형태의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므로, 데이터 변환 등의 번거로운 절차없이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PTV 방송 서비스 가입자는 텔레비전 수상기 뿐만 아니라, 자신이 소유한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IPTV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b는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 셋톱 박스(120) 및 단말(130) 간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먼저, 셋톱 박스(120)에 단말(130)이 연결된다(S100). 여기서, 셋톱 박스(120)와 단말(130)은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셋톱 박스(120)는 단말(130)로부터 단말(13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셋톱 박스(120)는 영상기기 모드 또는 단말 모드로 작동이 가능한데, 동작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셋톱 박스(120)가 단말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어서, 셋톱 박스(120)는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에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요청한다(S110). 여기서, 디지털 콘텐츠는 예를 들어, IPTV 방송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IPTV 콘텐츠일 수 있다.
이때, 셋톱 박스(120)는 단말(130)의 식별 정보 등을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로 전송한다.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는 셋톱 박스(120)로부터 수신된 단말(130)의 식별 정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이용 권한, 단말 사양 및 사용 환경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는 셋톱 박스(120)에 연결된 단말(130) 즉,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고자하는 단말(130)의 이용 권한을 확인한다(S120).
이때,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 이용 권한을 갖는 단말의 식별 정보와,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고자하는 단말(130)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매칭되는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130)이 이용 권한을 갖지 않는 것이므로,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의 송신이 불가능함을 셋톱 박스(120)에 알린다.
해당 단말(130)이 이용 권한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는 셋톱 박스(120)로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한다(S130). 이때,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는 해당 단말(130)의 식별 정보를 통해 단말 사양 및 사용 환경을 확인하고, 그에 적합한 형태의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지원하는 동영상 코덱, 해상도, 영상 크기 등을 확인하여 그에 적합한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한다.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로부터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가 수신되면, 셋톱 박스(120)는 수신된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단말(130)로 전송한다(S140). 이때,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여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셋톱 박스(120)로부터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가 전송되면, 단말(130)은 해당 콘텐츠를 저장 및 재생한다(S150). 이때, 단말(130)의 사양 및 사용 환경에 적합한 디지털 콘텐츠를 셋톱 박스(120)로부터 직접 전달받으므로, 단말(130)은 별도의 데이터 변환없이 바로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셋톱 박스(120)로 연결된 단말(130)의 디지털 콘텐츠 이용 권한을 확인하여, 단말(130)이 디지털 콘텐츠 이용 권한을 갖는 경우에 한해,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로부터 셋톱 박스(120)로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한다. 이어서, 셋톱 박스(120)로부터 단말(130)로 단말용 디지털 콘 텐츠를 전송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 서버(110)와 단말(130)을 중계하는 셋톱 박스(120)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130)에서도 셋톱 박스(120)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즉, IPTV 등의 방송 서비스 가입자의 경우, 셋톱 박스(120)에 연결된 영상 기기뿐만 아니라, 단말(130)을 통해서도 용이하게 IPTV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방송 서비스 가입자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서비스 가입시 가정 내의 영상 기기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에서도 방송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 결합 상품을 통해, 방송 사업자, 이동통신 사업자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이용 권한을 갖는 단말에 한해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130)의 사양 및 사용 환경을 확인하여, 그에 적합한 형태의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하므로, 사용자는 데이터 변환의 번거로운 절차없이 다운로드된 디지털 콘텐츠를 바로 이용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콘텐츠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및 순서도이다.
도 2a는 IPTV 콘텐츠 전송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IPTV 콘텐츠 전송 시스템(200)은 IPTV 콘텐츠 서버(210) 및 복수의 단말(220,230) 간의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IPTV 콘텐츠 서버(210)는 일반적으로 IPTV 방송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데, IPTV 방송 서비스를 위한 IPTV 콘텐츠를 관리 및 배포하기 위한 서버로서, IPTV 방송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 대하여, IPTV 콘텐츠 즉, IPTV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IPTV 콘텐츠 서버(210)는 셋톱 박스에 연결된 영상 기기에서 이용하기 위한 영상 기기용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단말(220,230)에서 이용하기 위한 단말용 콘텐츠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220,230)에 대해 IPTV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IPTV 콘텐츠 서버(210)는 IPTV 콘텐츠의 이용 권한을 갖는 단말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이용 권한 정보를 통해 해당 단말(220,230)의 이용 권한 유무를 확인하고, 이용 권한을 갖는 단말에 대해서만 IPTV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IPTV 콘텐츠 전송시, 해당 단말(220,230)의 식별 정보를 통해 해당 단말의 사양 및 사용 환경을 확인하고, 그에 적합한 형태의 단말용 IPTV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220,230)은 IPTV 콘텐츠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통신 기기를 말하며, 이동통신 단말, PDP, PMP 등과 같은 이동 단말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220,230)은 직접 IPTV 콘텐츠 서버(210)에 접속하여 IPTV 콘텐츠 서버(210)로부터 자신의 단말 사양 및 사용 환경에 적합한 형태의 단말용 IPTV 콘텐츠를 직접 수신하여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정 단말이 IPTV 콘텐츠 서버(210)에 접속하여, 타 단말에 대한 IPTV 콘텐츠 전송을 요청하는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PC 등의 제1단말(220)을 이용하여 IPTV 콘텐츠 서버(210)에 접속한 후, 이동통신 단말 등의 제2단말(230)에 대한 IPTV 콘텐츠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제2단말의 이용 권한에 따라 IPTV 콘텐츠의 전송 여부가 결정되며, 제2단말의 사양 및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단말용 IPTV 콘텐츠를 수신하게 된다.
도 2b는 IPTV 콘텐츠 송수신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IPTV 콘텐츠 전송시, IPTV 콘텐츠 서버(210), 제1단말(220) 및 제2단말(230) 간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220,230)은 직접 IPTV 콘텐츠 서버(210)에 접속하여 자신의 사양 및 사용 환경에 적합한 형태의 IPTV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타 단말을 통해 IPTV 콘텐츠 서버(210)로부터 자신의 사양 및 사용 환경에 적합한 형태의 IPTV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IPTV 콘텐츠를 이용하고자하는 제1단말(220)이 IPTV 콘텐츠 서버(210)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 IPTV 콘텐츠 서버(210)는 제1단말(22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1단말(220)의 IPTV 콘텐츠 이용 권한을 확인한다. 이어서, 제1단말(220)이 이용 권한을 갖는 경우에는 제1단말(220)로 제1단말(220)을 위한 단말용 IPTV 콘텐츠를 전송한다. 이로써, 단말에서도 용이하게 IPTV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순서도에서는, 타단말을 통해 IPTV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 해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IPTV 콘텐츠를 수신하고자하는 제2단말(230)이 제1단말(220)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2단말(230)은 이동통신 단말이고, 제1단말(220)은 PC일 수 있으며, 제1단말(220)과 제2단말(230)은 데이터 케이블 등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단말(220)이 IPTV 콘텐츠 서버(210) 등으로부터 단말 접속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단말(220)과 제2단말(230)을 연결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어서, 제1단말(220)이 IPTV 콘텐츠 서버(210)에 접속한다(S210). 예를 들어, 제1단말(220)은 PC이고, 제2단말(230)은 이동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인터넷 사용이 용이하지 않거나 데이터 요금이 비싼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 PC를 통해 IPTV 콘텐츠 서버(210)에 접속함으로써, 용이하게 IPTV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어서, 제1단말(220)은 IPTV 콘텐츠 서버(210)로 제2단말(230)에 대한 IPTV 콘텐츠 전송을 요청한다(S230).
이때, 제1단말(220)은 IPTV 콘텐츠를 이용하고자하는 단말 즉, 제2단말(230)의 식별 정보를 IPTV 콘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PTV 콘텐츠 서버(210)는 제1단말(220)로부터 수신된 제2단말의 식별 정보를 통해, 제2단말의 IPTV 콘텐츠 이용 권한, 단말 사양 및 사용 환경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IPTV 콘텐츠 서버(210)은 제2단말(230)의 IPTV 콘텐츠 이용권한을 확인한다(S240).
이때, IPTV 콘텐츠 서버(21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IPTV 콘텐츠 이용 권한을 갖는 단말의 식별 정보와, 제2단말(230)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매칭되는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제2단말(230)이 이용 권한을 갖지 않는 것이므로, IPTV 콘텐츠 서버(210)는 단말용 IPTV 콘텐츠의 송신이 불가능함을 제1단말(220)에 알린다.
제2단말(230)이 이용 권한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IPTV 콘텐츠 서버(210)는 단말용 IPTV 콘텐츠를 전송한다(S250). 이때, IPTV 콘텐츠 서버(210)는 제2단말(230)로 직접 IPTV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제1단말(220)로 IPTV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제1단말(22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제1단말(220)에서 수신된 IPTV 콘텐츠를 제2단말(230)로 전달한다.
또한, IPTV 콘텐츠 서버(210)는 제2단말(230)의 식별 정보를 통해 단말 사양 및 사용 환경을 확인하고, 그에 적합한 형태의 단말용 IPTV 콘텐츠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지원하는 동영상 코덱, 해상도, 영상 크기 등을 확인하여 그에 적합한 형태의 IPTV 콘텐츠를 전송한다.
IPTV 콘텐츠가 수신되면, 제2단말(230)은 해당 콘텐츠를 저장 및 재생한다(S260). 이때, 제2단말(230)의 사양 및 사용 환경에 적합한 IPTV 콘텐츠를 수신하므로, 제2단말(230)은 별도의 데이터 변환없이 바로 IPTV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IPTV 콘텐츠를 전송하고자하는 단말의 IPTV 콘텐츠 이용 권한을 확인한 후, 상기 단말이 IPTV 콘텐츠 이용 권한을 갖는 경우, 상기 단말을 위한 단말용 IPTV 콘텐츠를 전송함으로써, IPTV 콘텐츠 서버로부터 단말로 IPTV 콘텐츠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220,230)은 IPTV 콘텐츠 서버(210)로부터 IPTV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단말(220,230)에서도 편리하게 IPTV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즉, IPTV 등의 방송 서비스 가입자의 경우, 셋톱 박스에 연결된 영상 기기뿐만 아니라, 단말(220,230)을 통해서도 용이하게 IPTV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방송 서비스 가입자의 이익을 도모할 수 있으며, 사업자 또한 방송 서비스와 이동 통신 서비스가 결합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이용 권한을 갖는 단말에 한해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IPTV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220,230)의 사양 및 사용 환경을 확인하여, 그에 적합한 형태의 단말용 IPTV 콘텐츠를 단말(220,230)로 전송하므로, 사용자는 데이터 변환의 번거로운 절차없이 다운로드된 IPTV 콘텐츠를 바로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콘텐츠 전송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콘텐츠 전송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Claims (11)

  1. 디지털 콘텐츠 서버와 이동 단말을 중계하는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셋톱 박스로 연결된 이동 단말의 디지털 콘텐츠 이용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디지털 콘텐츠 이용 권한을 갖는 경우, 디지털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셋톱 박스로 상기 이동 단말의 사양에 적합한 형태의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 박스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사양은 동영상 코덱, 해상도 또는 영상 크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는,
    IPTV 콘텐츠인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서버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 권한을 갖는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권한 확인 단계는,
    상기 셋톱 박스로부터 상기 디지털 콘텐츠 서버로, 상기 셋톱 박스에 연결된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셋톱 박스에 연결된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셋톱 박스에 연결된 이동 단말의 이용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 서버는,
    상기 셋톱 박스의 요청에 따라, 영상 기기용 디지털 콘텐츠 또는 상기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하는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 전송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의 사양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용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7. IPTV 콘텐츠 서버의 IPTV 콘텐츠 전송 방법에 있어서,
    IPTV 콘텐츠를 이용하고자하는 이동 단말의 IPTV 콘텐츠 이용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이 IPTV 콘텐츠 이용 권한을 갖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의 사양에 적합한 형태의 단말용 IPTV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의 사양은 동영상 코덱, 해상도 또는 영상 크기를 포함하는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IPTV 콘텐츠 서버에, IPTV 콘텐츠를 수신하고자하는 제1이동 단말이 접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용 IPTV 콘텐츠 전송 단계는,
    상기 제1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이동 단말의 IPTV 콘텐츠 이용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제1이동 단말이 IPTV 콘텐츠 이용 권한을 갖는 경우, 상기 제1이동 단말로 상기 단말용 IPTV 콘텐츠를 전송하는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IPTV 콘텐츠 서버에, IPTV 콘텐츠를 수신하고자하는 제2단말이 연결된 제1단말이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말로부터 상기 제2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용 IPTV 콘텐츠 전송 단계는,
    상기 제2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단말의 IPTV 콘텐츠 이용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제2단말이 IPTV 콘텐츠 이용 권한을 갖는 경우, 상기 제1단말로 상기 제2단말을 위한 단말용 IPTV 콘텐츠를 전송하는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IPTV 콘텐츠의 이용 권한을 갖는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용 IPTV 콘텐츠 전송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의 사양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용 IPTV 콘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KR1020090022572A 2009-03-17 2009-03-17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및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KR101042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572A KR101042509B1 (ko) 2009-03-17 2009-03-17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및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572A KR101042509B1 (ko) 2009-03-17 2009-03-17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및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267A KR20100104267A (ko) 2010-09-29
KR101042509B1 true KR101042509B1 (ko) 2011-06-16

Family

ID=4300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572A KR101042509B1 (ko) 2009-03-17 2009-03-17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및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5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746B1 (ko) * 2003-10-17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제공 방법
KR100675130B1 (ko) * 2005-08-23 2007-01-30 블루마인미디어(주) 제3자의 요청에 의해 컨텐츠를 셋탑박스로 제공하는 방법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746B1 (ko) * 2003-10-17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제공 방법
KR100675130B1 (ko) * 2005-08-23 2007-01-30 블루마인미디어(주) 제3자의 요청에 의해 컨텐츠를 셋탑박스로 제공하는 방법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267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96205B (zh) 与选定用户共享音频/视觉内容
US84434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bandwidth
JP4971424B2 (ja) ヘッドエンド機器によるローミングユーザへのサブスクリプションサービスの配信
CN101371570B (zh) 提供画中画服务的方法和设备
US20080083004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daptive broadcast signal and method thereof
KR20190028160A (ko) 지상파 재전송에 의한 실시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
US8850474B2 (en) Virtual content store in interactive services architecture
KR101282413B1 (ko) Iptv 서비스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iptv 서비스 제공 방법
JP4999431B2 (ja)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CN104349218A (zh) 地面数字电视双向互动点播系统
CN101668172B (zh) 一种业务内容的播放方法、系统和装置
KR100450329B1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9318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iptv 원격시청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CA2847703C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bandwidth
KR20120039980A (ko) 통합 방송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061070A1 (en) Participant terminal device, wired and wireless coupled server for supporting broadcasting particip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participational broadcasting service
KR100856657B1 (ko) 인터넷 텔레비전의 셋톱박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2509B1 (ko) 디지털 콘텐츠 송수신 방법 및 iptv 콘텐츠 전송 방법
US8789096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media content events
CN105917659A (zh) 服务提供商网络中的节目记录的混合存储
KR101073667B1 (ko) 가정용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간 타겟팅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130097977A (ko) 수신된 방송을 다수의 이기종 단말로 전송하는 셋톱박스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56446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채널 설정 방법
CN101677395B (zh) 一种实现视频点播业务的方法、系统和设备
KR101653627B1 (ko) 시청 모드 전환 방법, 시스템 및 미디어 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