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646A -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 및 이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 및 이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646A
KR20020071646A KR1020010011804A KR20010011804A KR20020071646A KR 20020071646 A KR20020071646 A KR 20020071646A KR 1020010011804 A KR1020010011804 A KR 1020010011804A KR 20010011804 A KR20010011804 A KR 20010011804A KR 20020071646 A KR20020071646 A KR 20020071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d
isolated
soil
activity
prot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7736B1 (ko
Inventor
옥민
서원석
김현정
전방실
조영수
임수진
김민석
박진철
Original Assignee
(주)윌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6967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7164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윌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윌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1001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736B1/ko
Publication of KR2002007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Bacillussp. WRD-2, 기탁번호 KCTC 0869BP) 및 이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토양을 시료로 채취하여 단백질분해효소의 분해환의 크기가 2cm 이상인 30개의 균주를 선별한 후 이 중 효소 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인 바실러스 속 WRD-2를 분리하였으며, 상기 본 발명 균주의 배양 시간별 균체 생육 및 효소 활성은 배양 6시간부터 급격히 증가해서 12∼15시간 가장 우수하고, 탄소원에 따른 균체 생육은 갈락토스를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우수하고 효소 활성은 말토스를 3%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우수하며, 질소원에 따른 균체 생육 및 효소 활성은 효모추출물을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우수한데 특히 효소 활성은 효모추출물을 4% 첨가시 상대적으로 가장 우수하여 본 발명의 바실러스 속 WRD-2 및 이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은 뛰어난 혈전용해능이 있다.

Description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 및 이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Novel Bacillus sp. WRD-2 isolated from soil and fibrinolytic agent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ellular protease produced by the WRD-2 isolated from soil as an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Bacillussp. WRD-2) 및 이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extracellular protease)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을 시료로 채취하여 1차적으로 30종의 균주를 선별하고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최적의 배지에서 배양한 후 효소 활성을 조사하여 분리한 바실러스 속 WRD-2 및 이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산업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각종 효소의 이용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단백질분해효소는 단백질화학, 식품, 의약, 환경 등의 각종 제조산업 분야에서 그 요구가 증가되는 추세이며, 현재 총 효소산업 시장의 60% 정도를 점유하고 있는데, 특히 세린(-알칼라인) 단백질분해효소는 피혁, 세제공업 등의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효소단백질로 알려져 있다(Ward. O. P., 1985, Proteolytic Enzymes, in Comprehensive Biotechnology 1st ed. by M. Y. Murray, Pergamon press, 789 -792).
바실러스 속은 이미 다양한 연구가 수행중인 미생물 중의 하나로서 알칼리조건, 중성조건 등에 따라 증식하는 종(species)이 각각 다르며 이들이 생산하는 단백질분해효소(Horikoshi, K., 1971, Production of alkaline enzymes by alkalophilic microorganism. part 1. alkaline protease produced byBacillusNo.221.Agr. Biol. Chem.35: 1407 - 1414; Manachini, P. L. 등, 1988, Themostable alkaline protease produced byBacillus thermorubera new species ofBacillus.Appl. Microbiol. Biotechnol.28: 409 - 413; Tsuru. D., H. 등, 1966, Studies on bacterial protease. Part 16. purification crystallization and some enzymic properites of alkaline protease ofBacillus subtilis var. amylosacchariticus.Agr. Biol. Chem.30: 1261 - 1268)는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특히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유래의 Subtilisin Calsberg(Guntelber, A. V., M. Ottesen., 1952, Preparation of crystals containing the plakalbumin forming enzyme fromBacillus subtilis.Nature(London) 170 : 802), Subtilisin BPN(Smith, E. L. 등, Markland. 1968. Subtilism Calsberg. V. The complete sequence: comparison with subtilisin BPN: evolutionary relationship.J. Biol. Chem. 243: 2184 - 2191), Subtilisin Novo(Ottesen, M., A. Spector., 1960, A comparison of two proteinases fromBacillus subtilis. C.R. Trav. Lab. Calsberg.32: 63 - 74)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혈전용해효소(Fibrinolytic enzyme)는 피브린(fibrin)을 용해시키는 일종의 단백질분해효소이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피브린의 생성과 분해는 생체내 트롬빈(thrombin) 및 플라스민(plasmin)에 의해 적절히 조절된다. 그러나 이들의 균형이 깨어져 혈전(blood clot)이 혈관 벽에 부착·누적되면 혈관을 좁게 만들거나, 더 나아가 혈류를 따라 뇌혈관과 같은 미세혈관에 침입하여 이를 폐쇄함으로써 각종 순환계 질환을 야기한다. 우리 신체는 혈관을 통하여 각 조직에 영양물질과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신진대사를 유지해 나가므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순환계의 원활한 흐름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도 식생활의 서구화와 지방의 과다 섭취 등의 원인으로 혈전성 성인병이 날로 늘어가는 추세에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순환계 질환(고혈압성질환, 뇌혈관성질환, 허혈성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전체의 24.6%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신생물(각종암, 백혈병 등)로 인한 사망자수가 21.7%, 각종사고사로 인한 사망자수가 14.5%로 보고되어 있다(인구분석과. 1997. 96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 통계청. 한국). 특히, 순환계 질환 중 뇌혈관 질환은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제1의 사망원인으로 보고되어 있는 바 이러한 순환계 질환은 노인성질환이라 할 수 있다. 점차 노령화되어가고 있는 사회구조와 노인성치매 환자의 60%가 혈전때문이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이러한 순환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줄어들지 않을 전망이다. 따라서, 이러한 순환계 질환에 대한 대책은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혈전용해제의 개발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최근에 전통 발효 식품으로부터 혈전용해효소를 생산하는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김 등은 청국장으로부터 유래한Bacillus sp. strain CK 11-4로부터 혈전용해효소를 분리하였는데(Kim, W. K. 등, 1996,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fromBacillus sp. Strain CK 11-4 Screened from Chungkook-jang,Appl. Environ. Microbiol.,62: 2482 - 2488), 이 효소는 열에 매우 안정적이며 혈전용해능이 강한 특징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김 등은 젓갈에서 분리한Bacillus sp. KA 38을 이용한 새로운 혈전용해효소의 생산과 특성에 대하여 보고한 바 있다(Kim, H. K. 등, 1997, Purification and Charaterization of a Novel Fibrinolytic Enzyme fromBacillus sp. KA38 Originated from Fermented Fish.J. Ferment. Bioeng., 84 : 307 - 312). 그러나, 토양에서 분리한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균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국내에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토양으로부터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고, 상기 효소의 활성을 더 높일 수 있는 배양조건을 결정하고, 이에 따른 혈전용해능을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 및 이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혈전용해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토양을 시료로 채취하여 단백질분해효소의 분해환의 크기가 2cm 이상인 30개의 균주를 선별한 후 이 중 효소 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여 미생물학적으로 동정하고, 배양시간, pH, 탄소원, 질소원에 따른 균체 생육 및 효소 활성, pH 및 온도에 따른 조효소액의 효소활성 및 혈전분해능을 측정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도 1은 WRD-2 유래 혈전분해효소의 활성을 나타내는 분해환의 사진도,
도 2는 WRD-2의 배양시간별 균체 생육(cell growth)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초기 pH 변화에 따른 WRD-2의 균체 생육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탄소원에 따른 WRD-2의 균체 생육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질소원에 따른 WRD-2의 균체 생육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WRD-2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의 pH에 따른 효소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WRD-2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의 온도에 따른 효소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WRD-2의 혈전용해능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에 따른 분해환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사용 균주의 분리 및 동정
효소 활성이 우수한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경남 김해시 일대의 논토양 및 밭토양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시료를 멸균수로 적당히 희석한 후 순차적으로 탈지우유아가 배지(skim milk agar medium: skim milk 5g/ℓ, bactotryptone 10g/ℓ, yeast extract 5g/ℓ, NaCl 5g/ℓ, bactoagar 15g/ℓ)에 도말 하고 30℃의 항온배양기에서 15시간 이상 배양하여 생성된 균주들 중 탈지우유가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어 형성된 분해환(clear zone 또는 halo)이 상대적으로 큰 균주를 1차적으로 선별한 후 그 중 분해환의 직경이 2cm 이상인 30개의 균주를 2차적으로 선별하였다. 2차 선별된 균주 중에서 효소 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WRD-2로 명명하였다. 도 1은 WRD-2 유래 혈전분해효소의 활성을 나타내는 분해환의 사진도이다.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탈지우유 배지에서 계대 배양하면서 사용하였다.
분리된 균주 WRD-2는 그람염색(Gram Staining)에서 양성을 나타내었으며, 포자염색(Spore Staining)에서는 포자가 존재하였고 원형의 균체(colony)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WRD-2의 동정을 위하여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센터에 의뢰하여 API 50CHB kit로 동정한 결과 바실러스 속으로 동정되었다. 본 발명의 균주를Bacillussp. WRD-2로 명명하고, 상기 기관에 2000년 10월 2일에 기탁번호 KCTC 0869BP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의 미생물 균주의 생리학적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속 WRD-2의 생리학적 특성
Glycerol + Salicine +
Erythritol - Cellobiose +
D-Arabinose - Maltose +
L-Arabinose + Lactose +
Ribose + Melibiose +
D-Xylose + Saccharose +
L-Xylose - Trehalose -
Adonitol - Inuline -
β-Methyl-xyloside - Melezitose -
Galactose - D-Raffinose +
D-Glucose + Amidon +
D-Fructose + Glycogen +
D-Mannose + Xylitol -
L-Sorbose - β-Gentibiose +
Rhamnose - D-Turanose -
Dulcitol - D-Lyxose -
Inositol + D-Tagatose -
Manitol + D-Fucose -
Sorbitol + L-Fucose -
α-Methyl-D-mannoside - D-Arabitol -
α-Methyl-D-glucoside + L-Arabitol -
N-Acetyl glucosamine - Gluconate -
Amygdaline + 2-Keto gluconate -
Arbutine + 5-Keto gluconate -
Esculine +
실시예 2: 배양시간에 따른 균체 생육 및 효소 활성
이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균주인 WRD-2의 배양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배지로는 LB(Luria-Bertani) 배지(Bactotryptone 10g/ℓ, yeast extract 5g/ℓ, NaCl 5g/ℓ)를 사용하였고, 균체 생육은 LB 배지를 이용하여 3시간 간격으로 분광광도계(HP 8452A)를 사용하여 6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단백질의 정량분석은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단백질로 사용하여 로우리법(Lowry, O. H. 등,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phenol reagent.J. Biol. Chem. 193 : 265 - 275)에 따라 측정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른 균체 생육과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B 배지 100 ㎖에 동일배지에서 배양한 WRD-2 전배양액을 3% 접종하고 180 rpm으로 30℃에서 배양하면서 2시간 간격으로 배양액을 취하여 균체 생육과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효소 활성의 측정은 하기하라(Hagihara) 등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Hagihara, B., H. 등, 1958, Crystalline bacterial proteinase. 1. Preparation of crystalline proteinase ofBacillus subtilis.J. Biochem.45: 185 - 194). 즉, 50 mM 붕산나트륨-NaOH 버퍼(pH 10.4)에 1 mM CaCl2및 0.6% 탈지우유 카세인을 혼합하여 기질용액으로 사용하였고, 반응은 0.5㎖의 기질용액과 0.1㎖의 효소액을 혼합한 후 37℃에서 10분간 실시하였다. 그후, 얼음조(ice bath)를 사용하여 반응액의 반응을 정지시키고 상기 반응액에 5% 트리클로로아세트산 0.5㎖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10,000×g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2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효소 활성의 1unit(U)은 흡광도를 분당 0.002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효소의 양으로 정하였다.
본 발명의 균주인 WRD-2의 배양시간별 균체 생육과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균체 생육은 배양 6시간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배양 15시간째 가장 높았고 그 후부터는 다시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자들이 이전에 분리한 바실러스 속 WRD-1의 배양시간에 따른 균체 생육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과 유사하였다(OK M. 등, Characterization ofExtracellular protease of Bacillus sp. WRD-1 Isolated from Soil.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vol 28. No 6. 329-333(2000)). 상기 결과를 감안하여 이후 실험에서는 15시간 배양 후의 결과를 채택하였다.
실시예 3: 초기 pH 변화에 따른 균체 생육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배지의 초기 pH를 4∼10으로 조정한 후 WRD-2 전배양액을 각각 3%씩 접종하고 30℃에서 15시간 배양한 후 균체 생육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초기 pH를 5∼9로 조정한 경우 균체 생육은 전체적으로 양호하였지만 효소 활성은 pH 4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pH 6에서 최대이었으며, 초기 pH를 6∼8로 조정한 경우 균체 생육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이 최대이었다.
실시예 4: 탄소원에 따른 균체 생육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LB 배지에 글루코스, 말토스, 수크로스, 락토스, 갈락토스를 각각 3% 농도로 첨가하여 30℃에서 180rpm으로 진탕하면서 15시간 배양한 후 균체 생육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속 WRD-2의 탄소원에 따른 균체 생육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탄소원 균체생육(660nm에서의 흡광도) 단백질분해효소 활성(U/㎖)
글루코스 1.5048 37.92
수크로스 1.4377 33.55
말토스 1.9754 64.02
갈락토스 2.4788 45.32
락토스 2.2741 28.41
사용된 탄소원에 따른 균체 생육은 갈락토스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양호하였으며, 효소 활성은 말토스를 사용하였을 때 64.02U/㎖로 가장 높았다.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이 탄소원으로서 말토스를 사용하였을때 가장 높은 점을 감안하여 말토스의 농도를 0%, 1%, 2%, 3%, 4%로 하여 30℃에서 15시간 배양 후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말토스의 농도가 3%일때 다른 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질소원에 따른 균체 생육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LB 배지에서 질소원인 1% tryptone 대신에 동일한 농도의 펩톤, 효모추출물, 맥아추출물, NaNO3, (NH4)2SO4, NH4Cl, 카세인, 대두(soybean)로 대체하여 30℃에서 180rpm으로 진탕하면서 15시간 배양한 후 균체 생육과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속 WRD-2의 질소원에 따른 균체 생육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질소원 균체생육(660nm에서의 흡광도) 단백질분해 효소 활성(U/㎖)
대두 2.5293 82.16
맥아추출물 2.0473 45.43
펩톤 1.9754 45.25
효모추출물 2.6183 91.88
카세인 2.3713 80.20
(NH4)2SO4 0.7317 20.88
NH4Cl 1.0840 11.02
균체 생육과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은 복합질소원을 사용하였을때 대체로 양호하였다. 특히, 균체 생육은 효모추출물을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효소 활성도 효모추출물을 첨가한 배지에서 91.88U/㎖으로 가장 높았다. 암모니아 형태의 질소원이 사용된 경우 효소 활성이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는데, 이는 Himelbloom 등에 의해 보고된 바와 동일하였다(Himelbloom, B. H. and H. M. Hassen. 1986. Effect of cysteine on growth, protease production, and catalase activity ofPseudomonase fluorescens.Appl. Environ. Microbiol.51 :418 - 421).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이 질소원으로서 효모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점을 감안하여 효모추출물의 농도를 0%, 1%, 2%, 3%, 4%, 5%로 하여 30℃에서 15시간 배양 후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효모추출물의 농도가 4%일때 다른 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조효소액의 제조 및 pH와 온도에 따른 조효소액의 효소 활성
pH 및 온도에 따른 WRD-2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B 액체배지 200ml에 전배양액 3%를 접종하고 180rpm으로 30℃에서 15시간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으로부터 조효소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배양액을 10,000×g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조효소액으로 하였다. pH에 따른 조효소액의 효소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H를 4.0 내지 7.0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0.02M 시트르산-인산나트륨 이염기성 버퍼(citric acid-sodium phosphate dibasic buffer)를, pH 7.0 내지 8.0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0.02M 인산나트륨-일염기성 인산나트륨 이염기성 버퍼(sodium phosphate mono basic sodium phosphate dibasic buffer)를, pH 8.0 내지 9.0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0.02M Tris-HCl 버퍼를, pH 9.0 내지 11.0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0.02M 글리신-NaOH(glycine-NaOH) 버퍼를 사용하였다. 각각 pH 농도별로 0.6% 카세인(w/v) 기질용액에 0.5㎖를 혼합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온도 변화에 따른 조효소액의 효소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pH를 WRD-2 조효소액의 최적 효소활성을 갖는 pH 9.0으로 조정하고, 이 조효소액과 0.6% 카세인(w/v) 기질용액과 혼합한 후 20℃, 30℃, 40℃, 50℃, 60℃ 및 70℃에서 반응시켜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pH 6 내지 9의 비교적 넓은 pH 범위에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이 7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반응 최적 pH는 6이었다. 따라서, 조효소액의 단백질분해효소는중성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조효소액은 20∼60℃에서 80% 이상의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최적 반응온도는 40℃이었다.
실시예 7: 혈전용해능 확인
본 발명의 균주인 WRD-2의 혈전용해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배양액을 원심 분리하여 Tris 버퍼(pH 7.2, 20mM)로 7:3의 비로 희석하였다. 이 효소 희석액 50㎕와 100㎕를 미리 준비한 피브린 플레이트(fibrin plate)에 떨어뜨린 후 37℃의 항온기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분해환의 지름으로부터 분해면적을 측정하였다. 피브린 플레이트 위에 효소액을 떨어뜨릴 때 지름 8mm의 여지원판(paper disk)을 이용하여 그 위에 효소액을 떨어뜨렸다.
피브린 플레이트는 피브리노겐(fibrinogen)에 트롬빈(thrombin)을 투여하여 제조하였다. 즉, 피브리노겐 0.06g을 0.1M 붕산염 버퍼(pH7.5) 10ml에 넣어 37℃로 맞춘 항온기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여 완전히 녹였다. 녹은 피브리노겐을 페트리접시(petri dish)에 10ml씩 분주하고 피브리노겐 10㎖당 트롬빈(5,000unit, 미국 SIGMA사 제품) 40unit을 페트리접시 전면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 적당하게 흔들면서 투여하였다(Astrup, T., Mullertz, S., The fibrin plate method for estimating fibrinolytic activity. Arch Biochem. Biophys.,40, 346(1952)).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피브린 플레이트를 이용한 WRD-2의 혈전용해능은 2시간 간격으로 형성되는 분해환의 면적이 8시간까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이등(Lee Si Kyung 등, 1998, Medium Optimization for Fibrinolytic Enzyme Production byBacillus subtilisKCK-7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Chungkookjang.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26 :226 - 231)과 길 등(Kil Ji Oeun 등, 1998,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oytic enzyme : Optimal Codition for Production of the Enzyme fromBacillus sp. KP-6408 Isolated fromChungkook-jang.J. Korean Soc. Food Sci. Nutr.27: 51 - 56)에 의해 보고된 결과와 동일하였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토양에서 분리한 본 발명의 바실러스 속 WRD-2는 비교적 저온인 20∼40℃에서 90% 이상의 높은 효소 활성을 갖는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함으로써 혈전용해능이 매우 우수하므로, 상기 WRD-2 및 이 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은 의약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Bacillussp. WRD-2, KCTC 0869BP).
  2. 토양에서 분리한 바실러스 속 WRD-2(Bacillussp. WRD-2, KCTC 0869BP)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
KR1020010011804A 2001-03-07 2001-03-07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 및 이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 KR100737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804A KR100737736B1 (ko) 2001-03-07 2001-03-07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 및 이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804A KR100737736B1 (ko) 2001-03-07 2001-03-07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 및 이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646A true KR20020071646A (ko) 2002-09-13
KR100737736B1 KR100737736B1 (ko) 2007-07-10

Family

ID=2769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804A KR100737736B1 (ko) 2001-03-07 2001-03-07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 및 이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7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243A (ko) * 2002-05-21 2003-11-28 주식회사풀무원 혈전용해효소를 생산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디엠185(케이씨씨엠-10372) 미생물
KR100737735B1 (ko) * 2001-03-07 2007-07-10 (주)네오바이오텍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 및 이를이용한 항진균제 조성물
KR101101369B1 (ko) * 2010-03-11 2012-01-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솔잎 발효액에서 분리한 혈전분해 활성을 갖는 아세토박터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735B1 (ko) * 2001-03-07 2007-07-10 (주)네오바이오텍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 및 이를이용한 항진균제 조성물
KR20030090243A (ko) * 2002-05-21 2003-11-28 주식회사풀무원 혈전용해효소를 생산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디엠185(케이씨씨엠-10372) 미생물
KR101101369B1 (ko) * 2010-03-11 2012-01-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솔잎 발효액에서 분리한 혈전분해 활성을 갖는 아세토박터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736B1 (ko)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sjardins et al. Growth of bifidobacteria and their enzyme profiles
EP0495401B1 (en) Novel alkaline proteinas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rowe et al. Anaerobranca gottschalkii sp. nov., a novel thermoalkaliphilic bacterium that grows anaerobically at high pH and temperature.
Qadar et al. Optimization of protease production from newly isolated strain of Bacillus sp. PCSIR EA-3
Chandrasekaran et al. Exploring the in vitro thrombolytic activity of nattokinase from a new strain Pseudomonas aeruginosa CMSS
Okamura-Matsui et al. Characteristics of a cheese-like food produced by fermentation of the mushroom Schizophyllum commune
KR100737736B1 (ko) 토양에서 분리한 신규한 바실러스 속 wrd-2 및 이균주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질분해효소를 유효성분으로하는 혈전용해제 조성물
KR100588521B1 (ko) 혈전용해능과 면역세포 활성기능이 우수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hkj1339균주
KR101156161B1 (ko) 메밀 속성장으로부터 유래된 저영양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에이치제이18-4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Abdelghani et al. Isolation and mutagenesis of streptokinase producing bacteria
Smitha et al. Application of Box-Behnken design for the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novel fibrinolytic enzyme production by Bacillus altitudinis S-CSR 0020
Raj et al. Bio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fibrinolytic alkaline serine protease from newly isolated Bacillus flexus BF12 for biomedical applications
Mukhtar Biosynthesis of protease from Lactobacillus paracasei: kinetic analysis of fermentation parameters
KR20130033026A (ko) 프로테아제 생산능이 향상된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by04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프로테아제 생산방법
KR100465852B1 (ko) 고활성의 알카리성 단백질 분해효소를 대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속 i-52
Malik et al. Effect of some nutri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extracellular protease production by Pseudomonas sp. B-25
Shumi et al. Production of protease from Listeria monocytogenes
KR100466264B1 (ko) 산화제 및 계면활성제에 안정한 단백질 분해 효소 및 그를 생산하는 미생물
Chaudhuri et al. Proteolytic Activity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UEF01 Endophytic to Carnivorous Plant Utricularia exoleta R. Br.
CA1086670A (en) .beta.-GALACTOSIDASE
KR0127099B1 (ko) 신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p.) NS-70(KCTC 8555P)와 이를 이용한 신규한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의 제조방법
Gond et al. Agro Waste Mediated Production of Fibrinolytic Enzyme and Its Optimization and Application
Kurniatanty et al. Enzymatic Activity of Protease Producing Bacteria from Tofu Waste
KR101244977B1 (ko) 혈전용해능이 있는 단백분해효소를 고생산하는 바실루스 서브틸리스 아이디씨씨 9204
KR100462842B1 (ko) 내염성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할로모나스 마리스플라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12

Effective date: 2011041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000123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12

Effective date: 2011041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200004615;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512

Effective date: 2011121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200004615;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512

Effective date: 20111216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300000139;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110

Effective date: 2012061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300000139;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110

Effective date: 201206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