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575A -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575A
KR20020070575A KR1020010010709A KR20010010709A KR20020070575A KR 20020070575 A KR20020070575 A KR 20020070575A KR 1020010010709 A KR1020010010709 A KR 1020010010709A KR 20010010709 A KR20010010709 A KR 20010010709A KR 20020070575 A KR20020070575 A KR 20020070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width
leased line
reserved
prese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5468B1 (ko
Inventor
임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to KR10-2001-001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468B1/ko
Publication of KR20020070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2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using reservation actions during 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9Admission control
    • H04L2012/5631Resource management and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 방법은 운영자 명령 조건에서 예약 모드의 전용선 설정(PVC)이 있을 경우 VPI/VCI 처리부는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의 VPI/VCI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기설정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에서 이미 할당되어 있고 신규 요청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이 VPI/VCI가 할당된 기설정된 전용선의 비활성 시간에 포함되면 신규 전용선에서 기설정된 전용선의 VPI/VCI를 공유해서 사용한다. 그리고, 대역폭 처리부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기설정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 대역폭(BW)을 체크하여 신규 요청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이 해당 대역폭을 할당가능한 기설정된 전용선의 찾아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 대역폭을 기설정된 전용선의 대역폭에서 할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설정된 예약모드의 전용선이 비활성되는 시간동안 해당 전용선의 VPI/VCI 및 대역폭과 동일한 자원을 요구하는 전용선의 설정시 자원을 공유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METHOD FOR ASSIGNING COOPERATIVELY A RESERVED EXCLUSIVE CONNECTION OF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비동기전달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기의 전용선 접속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기적인 예약 모드(Reserved Mode)로전용선(PVC: Permanent Virtual Connection)을 설정할 경우에, 새롭게 요청된 예약 시간에 따라 다른 전용선과 자원(VPI/VCI, 대역폭)을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에서 전용선(PVC)은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운용자가 터미널(HMI: Human-Machine Interface)을 통해 교환망에서 고정적으로 발신측 및 착신측의 가입자 보드 사이의 점 대 점(Point-to-Point) 및 점 대 다중점(Point-to-Multipoint) 접속을 설정함으로써 두 가입자(발신/착신)간 정보를 설정된 대역폭 내에서 양방향 및 단방향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용선 서비스는 가상 경로 식별자(Virtual Path Identifier: 이하 VPI라 칭함)와 가상 채널 식별자(Virtual Channel Identifier: 이하 VCI라 칭함)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connection)을 설정하는 방식으로는 '고정 모드 접속'과 '예약 모드 접속'으로 구분된다. 고정 모드 접속이라 함은 전용선 서비스 등록 이후부터 서비스 등록 취소시까지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예약 모드 접속은 전용선 서비스 등록시 사용가능한 활성(active) 시간과 그렇지 않은 비활성(idle) 시간을 지정하여 지정된 활성 시간동안에 서비스 가능하다.
그런데, 비동기전달모드(ATM) 교환기에 있어서, 활성(active) 시간과 비활성(idle) 시간이 주기적으로 예약된 전용선의 설정(PVC) 방식은 운용자 명령(Man Machine Command: 이하 MMC라 칭함)에 따라 미리 자원(VPI/VCI, 대역폭)을 할당하고 전용선을 일정한 주기로 활성 상태로 만들어 발신측 및 착신측 가입자 보드를 접속시킨다. 이러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은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된 운영자 명령에서 활성 영역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동안에만 전용선이 활성화되고 나머지 시간에는 전용선이 비활성화된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의 전용선 예약 설정은 운용자 명령이 수신되어 전용선을 예약 모드로 설정하는 시점부터 자원(VPI/VCI, 대역폭)을 할당하므로 모든 예약 모드의 전용선은 각각 할당된 자원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예약 모드로 전용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는 모든 전용선이 예약 모드로 설정되는 시간동안 각각의 자원(VPI/VCI, 대역폭)을 할당하여 사용하고 특히 전용선의 비활성 시간에도 자원을 계속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전용선 측면에서보면 자원 용량이 매우 많아지게 된다. 즉, 전용선의 예약 주기에 상관없이 전용선마다 자원을 별도로 할당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환기에서 예약 주기로 전용선을 설정함에 있어서, 기설정된 전용선이 비활성되는 동안에 해당 전용선의 자원을 새로운 예약 모드의 전용선에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예약 모드 전용선 설정 방법에 있어서, 운용자 처리부에서 예약 모드의 운용자 명령(MMC)을 수신받아 운영자 조건을 체크하는 단계와, 운영자 조건에서 신규 예약 모드의 전용선 설정이 있을 경우 가상 경로 및 가상 채널 식별자(VPI/VCI) 처리부는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에서 요구하는 가상 경로 식별자(VPI) 및 가상 채널 식별자(VCI)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기설정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에 이미 할당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신규 요청된 전용선의 식별자가 기설정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에 이미 할당이 되었다면, 가상경로 및 가상 채널 식별자(VPI/VCI) 처리부는 식별자가 할당된 기설정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의 주기를 체크하여 신규 요청된 예약 시간이 기설정된 전용선의 비활성 시간에 포함될 경우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에 기설정된 전용선의 가상 경로 식별자 및 가상 채널 식별자(VPI/VCI)를 공유해서 할당하는 단계와, 가상 경로 식별자 및 가상 채널 식별자(VPI/VCI)를 공유해서 할당한 후에, 대역폭 처리부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기설정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 대역폭(BW)을 체크하여 기설정된 전용선의 대역폭(BW)에서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 대역폭(BW)을 할당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기설정된 전용선의 대역폭(BW)에서 신규 요청된 예약모드의 전용선 대역폭(BW)이 할당가능하면, 대역폭 처리부는 상기 대역폭(BW)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을 체크하여 신규 요청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이 대역폭(BW)의 기설정된 전용선의 비활성시간에 포함될 경우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 대역폭(BW)을 기설정된 전용선의 대역폭(BW)에서 할당하는 단계와, 대역폭(BW)을 할당한 후에, 경로 설정부는 라우팅 정보를 추가하고 착신자 및 발신자의 가입자 보드를 전용선으로 자동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동기전달 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
10 : 가상 접속 제어부
20, 30 : 발신측 및 착신측 가입자 보드
40 : 접속 스위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동기전달 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간단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 비동기전달 모드 교환기(1)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점대점 등의 가상 접속 제어 소프트웨어부(SPVCF: Semi-permanent Point-to-point Virtual Connection control software block)(10), 발신측 및 착신측 가입자 보드(20,30), 접속 스위치(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상 접속 제어 소프트웨어부(10)는 MMC 처리부(11), VPI/VCI 처리부(12), 대역폭(BW) 처리부(13), DB 처리부(14), 데이터베이스(DB)(15), 경로 설정부/결과메시지 출력부(16)로 구성된다.
이때, MMC 처리부(11)는 운용자 터미널로부터 예약모드의 전용선 설정(PVC)을 포함하는 운영자 명령(MMC: Man Machine Command)을 수신받아 MMC 파라메타를 체크하여 MMC 조건이 올바르게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VPI(Virtual Path Identifier)/VCI(Virtual Channel Identifier) 처리부(12)는 운용자로부터 요구받은 VPI/VCI를 할당하는 것으로 입력값이 없을 경우 임의로 할당한다.
대역폭 처리부(13)는 운영자로부터 요구받은 대역폭을 할당하는데, 데이터베이스(15)의 대역폭 할당 테이블을 이용해서 할당한다.
데이터베이스(15)는 운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용선의 정보 데이터(VPI/VCI,대역폭, 예약 시간 등)를 저장한다.
DB 처리부(14)는 데이터베이스(15)를 관리하고 그 데이터를 처리한다.
경로 설정부/결과 메시지 출력부(16)는 VPI/VCI 처리부(12)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발신측 및 착신측 가입자 보드(20,30)의 접속 경로에 따른 라우팅(routing) 관련 정보를 추가하고/ 전용선 설정 결과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전달 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은 다음과 같다.
MMC 처리부(11)는 운용자 터미널로부터 예약 모드의 전용선 설정(PVC)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MMC를 수신받아(S10) 이 명령의 파라미터 조건을 체크(S12)하여 MMC 조건이 올바르게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MMC 처리부(11)에서 MMC를 체크한 후에, VPI(Virtual Path Identifier)/VCI(Virtual Channel Identifier) 처리부(12)는 MMC의 PVC에서 요구하는 VPI/VCI를 할당하는데, 이 VPI/VCI와 동일한 식별자를 이미 기설정된 전용선에서 사용하고 있다면 자원(VPI/VCI)의 공유화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이에, VPI/VCI 처리부(12)는 먼저 PVC에서 신규 요청한 전용선의 가상 경로 및 채널 식별자(VPI/VCI)가 데이터베이스(15)에 등록된 기설정된 예약모드의 전용선에 할당되었는지를 체크(S14)한다.
체크 결과, MMC 처리부(11)에서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의 VPI/VCI가 기설정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에 이미 할당이 되었다면, VPI/VCI 처리부(12)는 전용선의 VPI/VCI 자원의 공유화가 가능한지 판단하기 위하여 PVC에서 요청한 VPI/VCI 가 이미 할당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의 주기를 체크(S18)한다.
단계 S18의 체크 결과, PVC에서 요청한 신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이 기설정된 전용선의 비활성 시간에 포함될 경우 VPI/VCI 처리부(12)는 신규 전용선의 VPI/VCI를 기설정된 전용선의 VPI/VCI와 공유해서 할당한다.(S19) 이와 같이, 기설정된 전용선이 비활성화되는 동안에는 할당된 VPI/VCI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 비활성 시간에 신규 요청된 전용선에 기설정된 전용선의 VPI/VCI를 공유해서 할당할 수 있다. 이때, VPI/VCI를 공유화하기 위해서는 기설정된 전용선이 비활성화되는 동안 신규 전용선의 예약 시간(활성/비활성 주기포함) 또는 신규 전용선의 활성 시간이 포함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단계 S14에서 신규 전용선의 VPI/VCI가 기설정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에 할당되지 않았다면, VPI/VCI 처리부(12)는 종래 기술과 같이 PVC에서 요청한 VPI/VCI를 할당한다.(S16) 그리고, 단계 S18에서 체크 결과, 신규 요청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이 기설정된 전용선의 비활성 시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는 VPI/VCI 처리부(12)는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 설정이 불가능함을 운용자에게 통보한다.(S24) 여기서, 신규 전용선의 설정시 기설정된 전용선의 VPI/VCI를 공유해서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기설정된 전용선이 활성 시간이 되어 이미 VPI/VCI를 사용하고 있기때문이다.
이와 같이 단계 S19에서 VPI/VCI를 할당한 후에, 대역폭 처리부(13)는 PVC에서 요청한 대역폭을 할당한다. 종래에는 데이터베이스(15)의 대역폭 할당 테이블을 이용해서 할당하였지만, 본 발명은 PVC에서 요청한 신규 전용선의 대역폭이 데이터베이스(15)의 기설정된 전용선의 대역폭에서 할당가능할 경우 이를 공유화해서 할당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대역폭을 할당한다.
이에 대역폭 처리부(13)는 PVC에서 요청한 신규 전용선의 대역폭(BW)을 계산하고, 데이터베이스(15)에 등록된 기설정 예약모드의 전용선 대역폭중에서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 전용선의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는지를 판단(S20)한다. 그 결과, 기설정된 예약모드의 전용선 대역폭중에서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 전용선의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을 경우에는 해당 대역폭의 기설정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을 체크(S22)하여 전용선간 대역폭 공유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신규 요청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전체 주기 또는 활성화시간)이 대역폭할당이 가능한 기설정된 전용선의 비활성 시간에 포함될 경우 대역폭 처리부(13)는 해당 기설정된 전용선의 대역폭에서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 대역폭을 할당한다.(S26) 이처럼 기설정된 전용선과 신규 전용선의 대역폭의 공유가 가능한 것은 기설정된 전용선이 비활성화되는 시간에서는 대역폭 자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전용선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단계 S20에서 기설정된 예약모드의 전용선 대역폭중에서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 전용선의 대역폭을 할당할 수 없다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베이스(15)의 대역폭 할당 테이블을 이용해서 대역폭을 할당한다.(S28)
그리고 단계 S22에서 신규 전용선에 대해 대역폭 할당이 가능한 기설정된 전용선의 비활성 시간내에 신규 전용선의 예약 시간(비활성/활성 주기, 활성화)이 포함되지 않으면, 대역폭 처리부(13)는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 설정이 불가능함을 운용자에게 통보한다.(S24) 신규 전용선의 설정이 불가능한 이유는, 기설정된 전용선의 활성 시간에는 대역폭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신규 전용선의 대역폭을 기설정된 전용선의 대역폭에서 공유해서 사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전용선의 대역폭을 할당한 후에, 경로 설정부/결과 메시지 출력부(16)는 VPI/VCI 처리부(12)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발신측 및 착신측 가입자 보드(20,30)의 접속 경로에 따른 라우팅(routing) 관련 정보를 추가(S30)하고 전용선 설정 결과를 출력(S32)한다.
한편, 미설명된 데이터베이스(15)는 운용자에 의해 설정된 전용선의 정보 데이터(VPI/VCI, 대역폭, 예약 시간 등)를 저장하는 것이고, DB 처리부(14)는 데이터베이스(15)를 관리하고 그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신자 및 발신자의 가입자 보드를 예약 모드의 전용선으로 접속하되, 기설정된 예약모드의 전용선이 비활성화되는 동안 해당 전용선의 자원(VPI/VCI, 대역폭)을 다른 예약 모드의 전용선 자원으로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든 예약 모드의 전용선마다 자원을 일괄적으로 할당하지 않고 전용선이 비활성화되는 기간동안에는 다른 전용선과 자원을 공유할 수 있어 자원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3)

  1.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예약 모드 전용선 설정 방법에 있어서,
    운용자 명령 처리부에서 예약 모드의 운용자 명령을 수신받아 운영자 조건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운영자 조건에서 신규 예약 모드의 전용선 설정이 있을 경우 가상경로 및 가상 채널 식별자 처리부는 상기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에서 요구하는 가상 경로 식별자 및 가상 채널 식별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기설정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에 이미 할당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신규 요청된 전용선의 식별자가 기설정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에 이미 할당이 되었다면, 상기 가상경로 및 가상 채널 식별자 처리부는 식별자가 할당된 기설정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의 주기를 체크하여 신규 요청된 예약 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전용선의 비활성 시간에 포함될 경우 상기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에 상기 기설정된 전용선의 가상 경로 식별자 및 가상 채널 식별자를 공유해서 할당하는 단계;
    상기 가상 경로 식별자 및 가상 채널 식별자를 공유해서 할당한 후에, 대역폭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기설정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 대역폭을 체크하여 상기 기설정된 전용선의 대역폭에서 상기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 대역폭을 할당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설정된 전용선의 대역폭에서 상기 신규 요청된 예약모드의 전용선 대역폭이 할당가능하면, 상기 대역폭 처리부는 상기 대역폭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신규 요청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이 상기 대역폭의 기설정된 전용선의 비활성시간에 포함될 경우 상기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 대역폭을 상기 기설정된 전용선의 대역폭에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역폭을 할당한 후에, 경로 설정부는 라우팅 정보를 추가하고 착신자 및 발신자의 가입자 보드를 전용선으로 자동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경로 및 가상 채널 식별자 처리부는 상기 신규 요청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전용선의 비활성 시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 설정이 불가능함을 운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상기 대역폭 처리부는 상기 신규 요청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이 상기 대역폭의 전용선의 비활성 시간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상기 신규 요청된 예약 모드의 전용선 대역폭을 새롭게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요청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전용선의 비활성 시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규 요청된 전용선의 예약 시간 전체가 상기 기설정된 전용선의 비활성 시간에 있거나, 상기 신규 요청된 전용선 예약 시간의 활성시간이 상기 기설정된 전용선의 비활성 시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
KR10-2001-0010709A 2001-03-02 2001-03-02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 KR100385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709A KR100385468B1 (ko) 2001-03-02 2001-03-02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709A KR100385468B1 (ko) 2001-03-02 2001-03-02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575A true KR20020070575A (ko) 2002-09-10
KR100385468B1 KR100385468B1 (ko) 2003-05-27

Family

ID=2769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709A KR100385468B1 (ko) 2001-03-02 2001-03-02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4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84148C (zh) * 2005-07-22 2008-04-23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中资源分配的方法及装置
CN100426798C (zh) * 2006-03-08 2008-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带宽管理装置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84148C (zh) * 2005-07-22 2008-04-23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中资源分配的方法及装置
CN100426798C (zh) * 2006-03-08 2008-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带宽管理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5468B1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9053B2 (ja) パケツト交換方式
KR100492958B1 (ko) 무선 고속 데이터 시스템에서 공중망과 사설망의 공통사용 방법 및 시스템
KR100385468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
KR100402981B1 (ko) 교환기에서의 아이피 주소 관리 장치 및 방법
JPH03101440A (ja) 帯域割当て方式
KR100270664B1 (ko) 사설망 노드 인터페이스 라우팅 기능을 분산시키는 방버버
KR100205053B1 (ko) 개방형통신망에서의 서비스 세션 설정방법
KR100350379B1 (ko)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트랜스포트 경로 연결 설정제어방법
KR100275506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레이블 스위칭경로 설정을 위한 제어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256676B1 (ko) 서버에 의한 반영구 가상 연결 제어 방법
KR100243670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단말의 다자간 통신을 위한 제어 방법
KR100233826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칭 시스템에서 호의 연결 수락 제어 방법
JP3142000B2 (ja) 移動通信回線制御方式
KR100275511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가입자 착신 자국 호 제어 방법
KR20000034155A (ko) 이동교환 시스템에서 사용자 트래픽 감시 기능을 이용한자원 재할당 방법
KR100275510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가입자 발신 자국 호 제어 방법
KR20020070619A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교환기의 예약된 전용선 할당 방법
KR20010054038A (ko)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의 호 설정 방법
JPH1013904A (ja) 移動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KR20010047934A (ko) 항상 온 및 동적 종합정보 통신망 서비스가 가능한 교환기
KR19990061246A (ko) 연결 우선 순위를 이용한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연결자원 할당 방법
KR20010003794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비동기전송모드아이피씨 네트워크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40805A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의 자원 관리 방법
KR20000034135A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시스템의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의 서비스등급처리 방법
KR20020043040A (ko) 에이티엠 교환기에서의 연결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