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354A - 하전 입자 빔 장치용 컬럼 - Google Patents

하전 입자 빔 장치용 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354A
KR20020070354A KR1020027009482A KR20027009482A KR20020070354A KR 20020070354 A KR20020070354 A KR 20020070354A KR 1020027009482 A KR1020027009482 A KR 1020027009482A KR 20027009482 A KR20027009482 A KR 20027009482A KR 20020070354 A KR20020070354 A KR 20020070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ring
deflector
electrodes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3382B1 (ko
Inventor
파벨 아다멕
Original Assignee
아이씨티 인티그레이티드 써킷 테스팅 게젤샤프트 퓌어 할프라이터프뤼프테크닉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씨티 인티그레이티드 써킷 테스팅 게젤샤프트 퓌어 할프라이터프뤼프테크닉 엠베하 filed Critical 아이씨티 인티그레이티드 써킷 테스팅 게젤샤프트 퓌어 할프라이터프뤼프테크닉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7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3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04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discharge,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ion-optical arrangement
    • H01J37/153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for the correction of image defects, e.g. stigm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04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discharge,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ion-optical arrangement
    • H01J37/147Arrangements for directing or deflecting the discharge along a desired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04Means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 H01J2237/047Changing particle velocity
    • H01J2237/0473Changing particle velocity accelerating
    • H01J2237/04735Changing particle velocity accelerating with electrostatic means
    • H01J2237/04737Changing particle velocity accelerating with electrostatic means radio-frequency quadrupole [RFQ]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04Means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 H01J2237/049Focusing means
    • H01J2237/0492Lens systems
    • H01J2237/04924Lens systems electrosta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하전 입자 빔 장치용 컬럼에 관한 것이다. 컬럼은 표본 위에서 빔을 스캐닝하고, 대물렌즈에 대해 빔을 정렬하며, 대물렌즈에 의한 수차를 보상하기 위한 편향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편향기에 사용되고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전극 장치 및/또는 코일 장치의 전체 수는 8이하이다.

Description

하전 입자 빔 장치용 컬럼{COLUMN FOR A CHARGED PARTICLE BEAM DEVICE}
스캐닝 장치, 투과 장치 또는 마이크로프로브 장치와 같은 하전 입자 빔 장치는 이질(heterogeneous)의 유기 또는 무기 재료 및 상기 재료들의 표면들을 관찰하고, 특성을 파악하고, 변형(modification)할 수 있는 강력한 기기(instruments)이다. 이러한 기기에서 검사(변형)될 영역은 하전 입자 빔으로 비추어지며, 이는 표본의 표면에 걸쳐 래스터(raster)에서 정지하거나 또는 움직이게 된다. 특정 응용례에 따라서, 하전 입자 빔은 다소 집속(focus)되며 입자의 운동 에너지는 상당히 변화된다.
하전 입자가 표본 표면에 충돌할 때 생성된 신호의 형태는, 예컨대 2차 전자(secondary electron), 후방산란된 전자(backscattered electron), 오제 전자(Auger electron), 특유의 x-선, 그리고 다양한 에너지의 광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신호들은 샘플내의 특정 방사(emission) 영역(field)에서 얻어질 수 있으며, 구성, 표면 형상, 결정 구조 등 샘플의 여러가지 특성을 검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후에는, 하전 입자 빔 장치를 축소화하는 시도가 행해졌다. 그리고, 이러한 장치들은 큰 영역을 동시에 검사하거나 또는 변형하기 위하여 몇개가 함께 그룹화될 수 있으며, 또는 프로세스 라인의 특정 공간(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입자 빔 장치의 구면수차 및 색수차는 전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한 장치의 기하학적 크기에 비례하여 스케일링되기 때문에, 축소된 장치는 소정의 스폿(spot) 크기에 대하여 더 높은 공간 해상도와 높은 빔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 대부분의 하전 입자 장치는 약 15 내지 40cm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0.5 내지 1.2m 사이의 높이이다. 이것과 구별되는 것으로, 개발자들은 약 4cm의 평균 직경을 가지며 10cm 이하의 작은 빔 장치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현대의 하전 입자 빔 장치는 정교한 진공 시스템, 정렬 메커니즘 및 전자 제어 유니트를 구비하는 기술 복합적 장치이므로, (비록 어느 곳에서나 시도는 가능하지만) 그 기하학적 크기는 단순히 비례적으로 축소될 수 없다.
입자 빔 컬럼에서 입자 빔을 생성하기 위하여, 전자기 렌즈(electromagnetic lenses) 및 전자기 멀티폴(electromagnetic multipoles)이 사용된다. 렌즈는 빔을 집속시키는데 사용되는 축대칭 전자기장이다. 전자기 멀티폴은, 전자기 렌즈를 통과하는 빔 경로를 수정하기 위한 그리고 표본에 빔을 위치시키기 위한 정적 편향 영역(편향기), 표본에 대하여 빔을 스캐닝하는데 사용되는 동적 편향 영역, 및 축대칭에 대한 렌즈의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수차(aberration)를 보상하는데 사용되는 4중극자 영역(quadrupole field)(스티그메이터: stigmators)을 생성한다. 각각의 입자 빔 기기는 보통 정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멀티폴, 에스티그머티즘 수정(astigmatism correction)을 위한 하나의 멀티폴, 표본에 대한 빔 시프트(shift)을 위한 하나의 멀티폴, 및 표본에 대한 빔 스캐닝을 위한 하나의 멀티폴을 포함한다. 각 멀티폴은 보통 8개의 전극 또는 코일로 구성된다. 그 결과, 입자 빔 컬럼에 공급되어야 할, 예컨대 30 내지 40개 정도의 아주 큰 양의 독립 전압 및 전류를 필요로 한다.
어떤 하나의 표준 상용 컬럼에 있어서, 장치를 동작시키는데 요구되는 제어 신호의 수는 제한 요소(limiting factor)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축소된 컬럼들 및 컬럼 어레이에서 각 컬럼에 공급되어야 할 전압 및 전류가 큰 것은 큰 문제이다. 특히, 컬럼 어레이에서 모든 컬럼들을 제어하는데 요구되는 전기 접속부의 복잡성은 컬럼 어레이의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더 나아가, 많은 수의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하고 구동하는데 요구되는 회로의 복잡성은 또한 컬럼 어레이의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하전 입자의 빔을 이용하여 표본(specimen)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전 입자 빔 장치를 위한 축소된 컬럼(원주; column)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전 입자 빔 장치를 위한 편광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편향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편향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향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향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6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편향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전 입자 빔 장치 특히 축소된 하전 입자 빔 장치를 위한 향상된 컬럼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하전 입자 빔 장치를 위한 향상된 편향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독립항 제1항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전 입자 빔 장치용 컬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독립항 제17항 및 제19항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하전 입자 빔 장치용 편향기가 제공된다.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 특징, 태양(실시예) 및 세부사항들은 종속항,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참조 도면을 통해서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청구항들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을 정의하는 1차적 비제한적 접근으로서 이해된다.
본 발명은 하전 입자 빔 장치를 위한 향상된 컬럼을 제공한다. 상기 컬럼은 표본에 대하여 빔을 스캐닝하고, 대물렌즈에 대하여 빔을 정렬하고, 그리고 대물렌즈에서 야기된 수차를 보상하기 위한 편향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편향기를 위하여 사용되며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전극 장치 및/또는 코일 장치의 수는 8개 또는 그 이하이다. 이는, 본 발명자에게 공지된 최적의 컬럼과 비교할 때, 빔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컬럼에 공급되어야 하는 신호의 수를 50%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신호들을 컬럼에 공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와이어링(wiring)의 복잡성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더 나아가, 구동 회로의 복잡성도 또한 감소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하전 입자 빔 장치를 위한 편향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향기는 4개의 전극 장치를 가지는데, 각 전극 장치는 3개의 단일 전극으로 구성되고, 각 전극은 링 세그먼트(ring segment)의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하나의 전극 장치의 전극 쌍 사이에 또 다른 전극 장치의 전극이 위치하는 방식으로 4개의 전극 장치가 링을 따라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향기는 4개의 코일을 가지는데, 2개의 코일은 제1 링을 따라서 위치하고, 2개의 코일은 제2 링을 따라서 위치한다. 상기 제2 링은 제1 링과 동심원을 이루며, 제1 링보다는 더 큰 직경을 가진다. 그리고, 이들은 링의 중심에서 볼 때 제1 링에 위치한 모든 코일이 제2 링에 위치한 2개의코일과 중첩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향상된 편향기는 각각 전기적, 자기적 편향 영역에 있어 고도의 균일성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전 입자 빔 장치는 하전 입자 소스(3)에 부착된 최상부 커버 플레이트(2)를 포함한다. 전자빔 장치에서, 텅스텐-헤어핀 건(Tungsten-Hairpin gun), 란타늄-헥사보라이드 건(Lanthanum-Hexaboride gun), 필드 에미션 건(Field emission gun) 등과 같은 전자 소스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자 소스에 제한되지 않으며, 모든 종류의 하전 입자 소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추출기(extractor; 4a) 및 억제기(suppressor; 4b)는 입자 소스(3) 아래에 배치된다. 전위를 가속하도록 설정된 추출기(4a)는 소스로부터의 충전 입자를 가속시킨다. 이와 반대로, 가속기(4a)와 소스(3) 사이에 배치된 억제기(4b)는 소스로부터 방출되는 입자의 수를 제한하기 위하여 전위를 감속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빔 전류가 높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하전 입자(5) 빔이 형성되어 소스(3)에서 방출된 후, 하전 입자 빔이 표본에 도착하기 전에 이를 제어 및 수정하기 위하여 편향기(30 및 40)가 사용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의 특정 배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빔(5)을 형상화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콘덴서 렌즈(condenser lens)(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빔(5)은 정전 대물렌즈(electrostatic objective lens; 10)에 도달하며, 이는 빔(5)을 표본(8)에 집속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정전기 대물렌즈(10)는 각각 플랫 링 형태를 갖는 세 개의 전극(10A, 10B, 및 10C)을 갖는다.
빔(10)의 입자가 표본(8)을 가격할 때, 이들은 표본 원자 핵과 전자의 일련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수행한다. 상호작용은 다른 에너지의 전자, X 선, 열, 및 빛과 같은 다양한 2차 생산물을 생산한다. 이러한 많은 2차 생성물들은 샘플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로부터 부가 데이터를 수정하는데 사용된다. 표본의 검사 또는 이미지 형성에 매우 중요한 2차 생성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3 내지 50 eV)를 가지며 여러 각도로 표본(8)으로부터 탈출한 2차 전자들이다. 2차 및 후방 산란 전자들은 검출기(16)에 도달하여 측정된다. 표본상의 전자 빔을 스캐닝하고 검출기(16)의 출력을 표시/기록함으로써 표본(8) 표면의 이미지가 형성된다.
도 2a, 2b는 도 1에서 도시된 컬럼에 사용된 검출기(30 및 40)을 개략적으로도시한다. 검출기(30 및 40)는 정전기 영역에 의해 하전 입자 빔에 영향을 미치는 정전기 편향기이다. 각각의 편향기는 4개의 전극(31,33,35,37 및 41,43,45,47)을 포함하며, 이들은 하전 입자 빔 주위의 중심에 있는 링을 따라 위치한다. 하전 입자 빔에 수직인 단면으로, 모든 전극(31,33,35,37 및 41,43,45,47)는, 도 2a, 2b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링 세그먼트의 형상을 나타낸다. 하전 입자 빔의 진행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모든 전극의 전위가 모든 다른 전극상에 존재하는 전위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모든 전극은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다.
선택된 전극에 사전결정된 전위를 제공하기 위하여, 모든 전극은 접속부(32,34,36,38 및 42,44,46,48)를 포함한다. 접속부(32,34,36,38 및 42,44,46,48)는 선택된 전극에 해당 전압을 인가하는데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컬럼의 동작동안 편향기(30 및 40)는 표본상의 하전 입자 빔을 스캐닝하고 대물렌즈 축과 관련하여 빔을 정렬시키며 대물렌즈에 의해 유발된 수차를 보상하기 위해 상호동작한다. 대물렌즈(스티그메이션(stigmation))에 의해 유발된 수차(특히 에스티그메이션(astigmation))을 보상하기 위하여, 예컨대, 전압(+V1)은 편향기(30)의 전극(31 및 35)에 인가되며 전압(-V1)은 편향기(30)의 전극(33 및 37)에 인가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4-극 영역은 대물렌즈에 의해 유발된 어스티크메이션을 보상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전압(+V2)은 편향기(40)의 전극(41 및 45)에 인가되며 전압(-V2)은 편향기(40)의 전극(43 및 47)에 인가된다. 두 개의 편향기(30 및 40)가 (이러한 예에서 45°각도로) 상호 관련하여 회전하는 사실로 인해, 어스티그메이션은 도면의 플레인(plane)에 수직인 모두 선택된 플레인으로 보상될 수 있다. 상호 독립적으로 V1과 V2를 변화시킴으로써 모든 플레인 방향이 선택될 수 있다.
대물렌즈와 관련하여 하전 입자의 빔을 정렬시키기 위하여 또는 대물렌즈와 관련하여 하전 입자의 빔을 변환하기 위하여, 예컨대, 전압(+Ux)과 전압(-Ux)은 편향기(30)의 전극(35 및 31)에 각각 인가된다. 더욱이, 전압(-kxUx)는 전극(43 및 45)에 인가되고 전압(+kxUx)은 편향기(40)의 전극(41 및 47)에 각각 인가된다. 따라서, kx는 두 개의 편향기(30 및 40) 사이에서 회전각과 x-방향의 하전 입자 빔의 원하는 경로에 따른 상수이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하전 입자 빔은 빔이 초기 부정합을 나타내는 상황에 해당하는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편향기를 통해 유도될 수 있다. 분명하게, 전압(+Uy)을 전극(33)에 인가하고, -Uy을 전극(37)에 인가하며, -kyUy를 전극(41 및 43)에 인가하고 및 +kyUy를 전극 (45 및 47)에 인가함으로써 동일한 결과가 y-방향에 대하여 얻어질 수 있다.
표본상의 하전 입자 빔을 스캐닝하기 위하여, 빔을 정렬시키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전압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오로지 전압(Vx및 Vy)의 값과 상수(cx및 cy)의 값만이 다르다. 편향기의 동작동안 모든 이러한 전압(V1,V2,Ux,Uy,Vx및 Vy)은 동시에 사용되어, 일반적으로 모든 전극은 모든 다른 전극들의 전위와 다른 전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캐닝, 정렬 및 스티그메이션을 제어하는 신호는 전자 회로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오로지 각각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최종 증폭기(도시 안됨)이전에 이미 혼합된다. 따라서, 두 개의 편향기는 오로지 8 개의 접속부(32,34,36,38 및 42,44,46,48)를 경유하여 제어된다.
편향기에 필요한 접속부의 수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편향기(30 및 40)의 두 개의 전극, 즉 편향기(30)의 전극(35 및 37)과 편향기(40)의 전극(45 및 47)은 고정 전위, 즉 접지 전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35,37,41 및 43)의 전위를 제어하는 신호는 제공될 필요가 없으며 해당 배선도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전극의 수는 4개로 감소된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편향기(30 및 40)은 정 전기 영역에 의해 하전 입자 빔에 영향을 미치는 정전기 편향기이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것처럼 선택적인 자기 편향기(50 및 60)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편향기(50 및 60)는 각각 4 개의 코일, 즉 코일(51,53,55,57 및 61,63,65,67)을 포함하며, 이들은 하전 입자 빔 주위의 중심에 있는 링을 따라 위치한다. 하전 입자 빔에 수직인 단면으로 모든 코일(51,53,55,57 및 61,63,65,67)은, 도 3a, 3b에서 도시될 수 있는 것처럼, 링 세그먼트의 형상을 나타낸다. 하전 입자 빔의 진행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모든 코일을 통과하는 전류가 다른 코일을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모든 코일이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다.
선택된 코일을 통과하여 흐르는 사전결정된 전류를 제공하기 위하여, 모든 코일은 선택된 코일에 해당 전류를 인가하는데 사용되는 두 개의 접속부(52,54,56,58 및 62,64,66,68)을 포함한다. 전압을 전류로 대체할 때 기본적으로 정전기 편향기(30 및 40)과 관련하여 언급되었던 모든 것들은 자기 편향기(50 및 60)에 대하여 그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표본상의 하전 입자 빔을 스캐닝하고, 대물렌즈와 관련하여 빔을 정렬시키며 및 대물렌즈에 의해 유발된 수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편향기(50 및 60)은 또한 오로지 8개의 독립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자기 편향기(50 및 60)는 하전 입자 빔에 인접한 높은 정도의 동질성을 보여주는 자기 영역을 나타낸다. 그러나, 자기 영역의 동질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자기 편향기(70)가 제공된다. 편향기(70)는 네 개의 코일(71,73,75 및 77)을 포함한다. 따라서, 두 개의 코일(71 및 75)은 제 1 링을 따라 위치하고 두 개의 코일(73 및 77)은 제 2 링을 따라 위치하며, 제 2 링은 제 1 링과 중심이 일치하며 제 1 링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네 개의 코일은 링의 중심에서 볼 때 제 1 링상에 위치한 모든 코일(71 및 75)이 제 2 링상에 위치한 두 개의 코일(73 및 77)과 중첩하는 방식으로 위치한다. 코일(71,73,75, 및 77)은 코일에 의해 커버링되는 각도가 대략 120°가 되도록 설계된다. 자기 편향기(70)는 하전 입자 빔에 인접한 매우 높은 정도의 동질성을 보여주는 자기 영역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편향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정전기 편향기(30 및 40)는 하전 입자 빔에 인접하여 높은 정도의 동질성을 보여주는 정정기 영역을 나타낸다. 그러나, 정전기 영역의동질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정전기 편향기(80)이 제공된다. 편향기(80)는 네 개의 전극 장치(81,83,85 및 87)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전극 장치(81, 83, 85, 및 87)은 세 개의 단일 전극(81a, 81b, 81c, 83a, 83b, 83c, 85a, 85b, 85c, 87a, 87b, 및 87c)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전극(81a, 81b, 81c, 83a, 83b, 83c, 85a, 85b, 85c, 87a,8 7b, 및 87c)은 링 세그먼트의 형상을 갖는다. 네 개의 전극 장치(81,83,85, 및 87)는 하나의 전극 장치로부터 각각의 전극 쌍 사이에서 다른 전극 장치로부터의 전극이 위치하는 방식으로 링을 따라 위치한다.
하나의 전자 장치의 전극은, 예컨대 전극 장치(81)의 전극(81a,81b 및 81c)은 항상 동일한 전위를 유지한다. 따라서, 오로지 하나의 접속부(82)만이 해당 전압을 전극(81a,81b 및 81c)에 인가하는데 필요하다. 도 5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 장치(예컨대 81)의 세 개의 전극중 하나(예컨대 81a)는 적어도 전극 장치의 다른 전극(81b 및 81c) 크기의 두 배이다. 정전기 편향기(70)는 하전 입자 빔에 인접한 매우 높은 정도의 동질성을 나타내는 정전기 영역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실시예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컬럼(100)은 하기 사항을 제외하고는 도 1의 것과 유사하다. 컬럼은 하전 입자 빔의 경로를 따라 위치한 네 개의 편향기(110,120,130 및 140)를 포함한다. 해당 편향기는 도 7a 내지 7d에 도시되어 있다.
편향기(110,120,130 및 140)는 정 전기 영역에 의해 하전 입자 빔에 영향을 미치는 정전기 편향기이다. 각각의 편향기는 오로지 두 개의전극(111,115,121,125,131,135,141 및 145)을 각각 포함하며, 이들은 하전 입자 빔 주위의 중심에 있는 링을 따라 위치한다. 하전 입자 빔에 수직인 단면에서 모든 동작 전극(111,115,121,125,131,135,141 및 145)은, 도 7a 내지 7d에서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120°의 각도로 커버링되는 링 세그먼트의 형상을 나타낸다. 활동 전극에 추가하여 각각의 편향기(110,120,130 및 140)는 고정 전위 즉 컬럼 전위를 유지하는 두 개의 비동작 전극(200)을 포함한다. 하전 입자 빔의 진행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모든 전극의 전위가 모든 다른 전극에 존재하는 전위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시 모든 전극은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다.
선택된 전극에 소정의 전위를 제공하기 위해, 모든 전극은 각각 접속부(112, 116, 122, 126, 131, 136, 141 및 146)를 포함한다. 접속부(112, 116, 122, 126, 131, 136, 141 및 146)는 선택된 전극에 대응하는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6에 도시된 컬럼의 작동 동안 편향기(110, 120, 130 및 140)는 대물렌즈와 관련하여 빔을 정렬하고 대물렌즈에 의해 발생한 수차를 보상하기 위해 표본 위에서 하전 입자의 빔을 스캐닝한다. 대물렌즈(스티그메이션)에 의해 발생한 수차를 보상하기 위해, 전압(+V1)은 편향기(110)의 전극(111 및 115)에 제공되는 반면, 전압(-V1)은 편향기(130)의 전극(131 및 135)에 제공된다. 더욱이, 전압(+V2)이 편향기(120)의 전극(121 및 125)에 제공되는 반면, 전압(-V2)은 편향기(140)의 전극(141 및 145)에 제공된다. 편향기(110, 120, 130 및 140)가 서로에 대해 회전(본 실시예에선 45°)하므로 수차는 도면의 면과 수직인 모든 선택된 면에서보상될 수 있다.
대물렌즈와 관련한 하전 입자의 빔을 정렬하거나 대물렌즈와 관련한 하전 입자의 빔을 시프팅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전압(-Ux및 +Ux)이 각각 편향기(110)의 전극(111 및 115)에 제공된다. 게다가, 전압(-k1xUx)이 전극(121 및 125)에 제공되며, 전압(+k2xUx)이 전극(141 및 145)에 각각 제공된다. 따라서, k1x및 k2x는 편향기(110, 120 및 140)와 x-방향의 하전 입자의 소정의 경로 사이의 회전각에 따른 상수이다. 명백하게, 전압(+Uy)을 전극(131)에, 전압(-Uy)를 전극(135)에, 전압(-k1yUy)을 전극(121 및 125)에, 그리고 전압(+k2yUy)를 전극(141 및 145)에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결과를 y-방향에 대해서 얻을 수 있다.
표본 위에서 하전 입자의 빔을 스캐닝하기 위해, 빔을 정렬하기 위해 사용된 동일한 전압 배치가 사용될 수 있다. 단지, 전압(예를 들어, Vx및 Vy)의 크기 및 상수(예를 들어, c1x, c2x, c1y및 c2y)의 값은 상이하다. 편향기의 작동 동안, 모든 이러한 전압(V1, V2, Ux, Uy, Vx및 Vy)이 동시에 사용되어 통상적으로 모든 전극은 다른 전극과는 상이한 전압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스캐닝을 제어하는 신호, 정렬 및 스티그메이션은 전자회로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최종 전압이 각 전극에 제공되도록 최종 증폭기(미도시)에 다다르기 전에 이미 혼합된다. 결과적으로, 4개의 편향기는 8개의 접속부를 통해 제어된다.
도7a 내지 도7d에 도시된 편향기(110, 120, 130 및 140)는 정전기장에 의해하전 입자의 빔에 영향을 미치는 정전 편향기이다.

Claims (20)

  1. 표본을 검사하거나 변경시키는데 사용되는 하전 입자 빔 장치용 컬럼으로서,
    a) 상기 하전 입자의 빔을 제공하는 입자 소스,
    b) 상기 빔을 상기 표본 위로 포커싱하는 대물렌즈,
    c) 상기 빔을 상기 표본 위로 스캐닝하고, 상기 대물렌즈에 대해 상기 빔을 정렬하고, 그리고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야기된 수차를 보상하기 위한 편향기를 포함하며, 상기 편향기에 사용되며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전극 장치 및 코일 장치의 총 수는 8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각각 4개의 전극 장치로 구성된 2개의 편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각각 4개의 코일 장치로 구성된 2개의 편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각각 2개의 전극 장치로 구성된 2개의 편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극 장치는 링 세그먼트의 형태를 가진 단일 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에 의해 커버링된 각은 약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2개의 코일 장치로 구성된 4개의 편향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편향기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나의 편향기는 인접한 상기 편향기에 대해 빔 축 둘레로 30°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5°만큼 회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8. 제4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편향기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각 편향기는 인접한 상기 편향기에 대해 빔 축 둘레로 30°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5°만큼 회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9. 제2항, 4항, 6항, 7항 및 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극 장치는 링 세그먼트 형태를 갖는 단일 전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10. 제2항, 4항, 6항, 7항 및 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극 장치는 각각이 링 세그먼트의 형태를 갖는 3개의 단일 전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11. 제10항에 있어서,
    4개의 전극 장치가, 하나의 전극 장치로부터의 전극이 다른 하나의 전극 장치로부터의 전극 쌍들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링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장치의 상기 3개의 전극 중 하나는 상기 전극 장치의 다른 전극의 크기의 적어도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13. 제3항, 제5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코일 장치는 링 세그먼트의 형상을 갖는 단일 코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14. 제13항에 있어서,
    2개의 코일은 제1 링을 따라 배치되고, 2개의 코일은 상기 링의 중심에서 볼 때, 상기 제1 링에 배치된 모든 코일이 상기 제2 링에 배치된 2개의 코일과 중첩되는 방식으로, 제1 링과 동심이며 제1 링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링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의해 커버링된 각은 약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16. 제1항 내지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는 정전 대물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17. 4개의 전극 장치를 구비하고, 표본을 검사하거나 변경시키는데 사용되는데, 상기 각 전극 장치는 3개의 단일 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전극은 링 세그먼트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4개의 전극 장치는 하나의 전극 장치로부터의 전극이 다른 하나의 전극 장치로부터의 각각의 전극 쌍들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링을 따라 배치된 하전 입자 빔 장치용 편향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장치의 3개의 전극 중 하나는 상기 전극 장치의 다른 전극의 적어도 2배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전 입자 빔 장치용 편향기.
  19. 표본을 검사하거나 변경시키는데 사용되고, 2개의 코일이 제1 링을 따라 배치되고, 2개의 코일이 상기 링들의 중심에서 볼 때, 상기 제1 링에 배치된 모든 코일이 상기 제2 링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코일과 중첩되는 방식으로, 제1 링과 동심이며 제1 링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 링을 따라 배치된 4개의 코일을 구비하는 하전 입자 빔 장치용 편향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의해 커버링된 각은 약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전 입자 빔 장치용 편향기.
KR1020027009482A 2000-01-24 2001-01-24 하전 입자 빔 장치용 컬럼 KR100543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101373A EP1120810B1 (en) 2000-01-24 2000-01-24 Column for a charged particle beam device
EP00101373.9 2000-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354A true KR20020070354A (ko) 2002-09-05
KR100543382B1 KR100543382B1 (ko) 2006-01-20

Family

ID=816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482A KR100543382B1 (ko) 2000-01-24 2001-01-24 하전 입자 빔 장치용 컬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25476B2 (ko)
EP (1) EP1120810B1 (ko)
JP (1) JP3787091B2 (ko)
KR (1) KR100543382B1 (ko)
CN (1) CN1229849C (ko)
AU (1) AU2001250306A1 (ko)
DE (1) DE60045439D1 (ko)
WO (1) WO20010541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333B1 (ko) * 2004-06-21 2013-03-05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이스라엘 리미티드 하전 입자 빔을 포커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251432B1 (ko) * 2005-11-16 2013-04-05 전자빔기술센터 주식회사 전자 칼럼용 자기장 디플렉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8334B2 (ja) * 2002-09-11 2007-08-29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荷電粒子線装置及び荷電粒子線照射方法
US6949895B2 (en) * 2003-09-03 2005-09-27 Axcelis Technologies, Inc. Unipolar electrostatic quadrupole lens and switching methods for charged beam transport
US7315029B2 (en) * 2005-09-30 2008-01-01 Applied Materials, Inc. Electrostatic deflection system with low aberrations and vertical beam incidence
EP1801838B1 (en) * 2005-12-20 2012-05-09 ICT Integrated Circuit Testing Gesellschaft für Halbleiterprüftechnik mbH Charged particle beam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arged particle beam emitting device
EP1830385A1 (en) * 2006-03-01 2007-09-05 ICT Integrated Circuit Testing Gesellschaft für Halbleiterprüftechnik mbH Ion beam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same
KR100946270B1 (ko) * 2008-08-12 2010-03-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연조직 절단 치과용 공구
US20110180722A1 (en) * 2008-09-30 2011-07-28 Carl Zeiss Nts, Llc Aligning charged particle beams
WO2011148486A1 (ja) * 2010-05-27 2011-12-01 三菱電機株式会社 粒子線照射システムおよび粒子線照射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9171694B2 (en) * 2013-11-26 2015-10-27 Kla-Tencor Corporation Asymmetric electrostatic quadrupole deflector for improved field uniformity
EP2879155B1 (en) * 2013-12-02 2018-04-25 ICT Integrated Circuit Testing Gesellschaft für Halbleiterprüftechnik mbH Multi-beam system for high throughput EBI
CN109637692B (zh) * 2019-01-23 2023-12-19 深圳铭杰医疗科技有限公司 适用于带电粒子束的轨迹矫正器
CN112086332A (zh) * 2020-09-27 2020-12-15 北京中科科仪股份有限公司 一种静电偏转装置及其偏转方法
CN116246923B (zh) * 2022-12-30 2023-11-14 广东省科学院半导体研究所 电子束聚焦偏转系统及电子束光柱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4234B1 (fr) * 1985-06-28 1988-12-09 Cameca Testeur de circuit integre a faisceau d'electrons
US4725736A (en) * 1986-08-11 1988-02-16 Electron Beam Memories Electrostatic electron gun with integrated electron beam deflection and/or stigmating system
JP2706192B2 (ja) * 1991-11-06 1998-01-2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ビーム露光装置
US5393985A (en) * 1992-11-26 1995-02-28 Shimadzu Corporation Apparatus for focusing an ion beam
JP3356270B2 (ja) * 1997-11-27 2002-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走査電子顕微鏡
US6614026B1 (en) * 1999-04-15 2003-09-02 Applied Materials, Inc. Charged particle beam column
US6452175B1 (en) * 1999-04-15 2002-09-17 Applied Materials, Inc. Column for charged particle beam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333B1 (ko) * 2004-06-21 2013-03-05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이스라엘 리미티드 하전 입자 빔을 포커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251432B1 (ko) * 2005-11-16 2013-04-05 전자빔기술센터 주식회사 전자 칼럼용 자기장 디플렉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45439D1 (de) 2011-02-10
WO2001054162A1 (en) 2001-07-26
KR100543382B1 (ko) 2006-01-20
EP1120810A1 (en) 2001-08-01
EP1120810B1 (en) 2010-12-29
US6825476B2 (en) 2004-11-30
JP2003520408A (ja) 2003-07-02
CN1404618A (zh) 2003-03-19
US20030075686A1 (en) 2003-04-24
AU2001250306A1 (en) 2001-07-31
CN1229849C (zh) 2005-11-30
JP3787091B2 (ja)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784E1 (en) Apparatus of plural charged-particle beams
KR102214294B1 (ko) 1차 하전 입자 빔렛들의 어레이를 이용한 시료의 검사를 위한 하전 입자 빔 디바이스
KR101921351B1 (ko) 집속 전자 빔 장치의 처리량을 향상시키는 다중 극 정전 편향기
KR100543382B1 (ko) 하전 입자 빔 장치용 컬럼
US20090014649A1 (en) Electron beam apparatus
JP2019537223A (ja) 試験片を検査する方法および荷電粒子マルチビーム装置
US9443692B2 (en) Focused ion beam low kV enhancement
WO2001084592A1 (en) Multi beam charged particle device
KR20090046699A (ko) 웨이퍼의 전압 콘트라스트를 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WO2016125844A1 (ja) 複合荷電粒子線装置
US6380546B1 (en) Focusing assembly and method for a charged particle beam column
US7041988B2 (en) Electron beam exposure apparatus and electron beam processing apparatus
US8071955B2 (en) Magnetic deflector for an electron column
US11501946B2 (en) Method of influencing a charged particle beam, multipole device, and charged particle beam apparatus
CN115223831A (zh) 带电粒子束设备、多子束组件和检查样本的方法
JP2006277996A (ja) 電子線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デバイス製造方法
JPH1062503A (ja) 欠陥検査装置
US20240096586A1 (en) Method and system of image-forming multi-electron beams
US20240006147A1 (en) Flood column and charged particle apparatus
US20240087837A1 (en) Magnetic multipole device, charged particle beam apparatus, and method of influencing a charged particle beam propagating along an optical ax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