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147A -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 및 그에 관한 장치 또는 방법또는 기록매체 또는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 및 그에 관한 장치 또는 방법또는 기록매체 또는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147A
KR20020070147A KR1020020010534A KR20020010534A KR20020070147A KR 20020070147 A KR20020070147 A KR 20020070147A KR 1020020010534 A KR1020020010534 A KR 1020020010534A KR 20020010534 A KR20020010534 A KR 20020010534A KR 20020070147 A KR20020070147 A KR 20020070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eiving terminal
content
unit
cont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 나카가와
히로키 시노하라
료타 츠키다테
미츠히로 가게야마
신지 나베시마
다이스케 이이노
노리히코 고바야시
유코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TW91212592U priority Critical patent/TW527930U/zh
Publication of KR20020070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1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0Arrangements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type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방송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배분송신하는 데이터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축적형 단말의 기억영역의 데이터 오버플로우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을 관리하는 축적관리부(107)와, 컨텐츠 데이터와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용량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인 축적관리정보를 유지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03)와 데이터의 배분송신을 스케쥴링하는 스케쥴 관리부(102)를 구비하고, 데이터 베이스(108)에 있어서 유지하고 있는 축적 관리정보나 데이터 컨텐츠의 변경이력 등을 사용하여 축적관리부(107)가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나 사이즈 감소, 추가나 사이즈 증가의 행하고, 스케쥴 관리부(102)가 수신단말로의 배분송신을 스케쥴링함으로써 수신단말의 기억관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 및 그에 관한 장치 또는 방법 또는 기록매체 또는 프로그램{DATA BROADCAST SCHEDULE SYSTEM AND APPARATUS, METHOD, RECORDING MEDIUM OR PROGRAM THEREABOUT}
본 발명은 방송, 통신 등에 의하여 데이터를 송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송출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송에 의하여 송출하는 데이터의 송출계획을 작성하는 경우는 그 데이터 송출대역내에 송출하는 데이터의 합계가 수납되는가 여부, 데이터량에 대한 시간축과 송출대역폭만을 고려하여 송출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그러나, 방송으로 데이터를 배분송신하고, 또한 수신단말에 있어서 수신, 기억영역으로 축적하는 경우,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축적용량도 고려하여야 한다. 더욱더, 데이터의 증감이 있었던 경우, 송출측에서 데이터의 송출순서를 제어하지 않으면 기억영역내에 수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들면 60MB의 축적용량을 갖는 수신말단에 데이터 A가 30MB, 데이터 B가 30MB로 축적되어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 A를 50MB, 데이터 B를 10MB로 변경하려고 한다. 송출장치내의 계산에서는 신데이터 A(50MB) + 신데이터 B(10MB)=60MB로 되어 수신단말의 축적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계산으로되지만, 실제로는 수신단말은 신데이터 B보다도 먼저 신데이터 A를 축적한 시점에서 신데이터 A(50MB) + 구데이터 B (30MB)=80MB로 되고, 축적용량을 오버하고 만다.
또, 복수 사업자가 공동으로 축적방송서비스를 행하는 경우, 복수의 사업자의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단말에 축적시킨 다음에,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을 차지하는 축적용량 최대사이즈를 계약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때 계약조건의 변경에 의한 축적용량 최대사이즈의 증감과 실제의 데이터의 증감의 순서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예를들면 수신단말이 사업자 A의 축적용량 최대사이즈의 증가를 나타내는 계약정보를 수신하기전에 먼저, 새로운 계약정보에 따른 증가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해 버린 경우, 수신단말에 있어서, 사업자 A의 계약사이즈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해 버리는 것을 피할 필요가 있다라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등에 사용되는 데이터 송출장치에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출부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통신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데이터의 배분송신을 스케쥴링하는 스케쥴 관리부와, 수신단말의 통신이력 등을 관리하는 단말관리부를 설치하고,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상태를 관리하는 축적관리부를 설치하고, 축적관리정보나 컨텐츠 데이터를 유지하기위한 데이터 베이스부를 설치한다. 수신단말에는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통신회선을 통하여 데이터 취득하기 위한 통신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축적관리정보 및 컨텐츠 데이터를 유지하는 기억영역, 타이머 처리를 행하는 타이머 처리부, 수신하는 데이터를 어느 기억영역에 놓을 것인가의 할당을 행하는 데이터 할당부를 설치한다.
상기의 각부에 의하면, 데이터 송출장치의 데이터 베이스부에 있어서 유지하고 있는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에 대한 축적관리정보, 컨텐츠 데이터의 최대사이즈나 부가정보, 수신단말과의 통신이력등을 사용하여 축적관리부가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을 관리하고, 스케쥴 관리부가 수신단말로의 데이터의 배분송신을 스케쥴링하는 것으로,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감소, 추가·증가의 순서제어를 행하고,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용량관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돌발적인 사고 등으로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으로부터 데이터가 오버플로우되었을 때에는 상술한 축적관리정보, 통신이력 등에서 어느 데이터를 삭제하면 좋을까 최적화를 행하여 삭제명령을 내림으로써,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을 정상인 상태로 리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단말에서 데이터의 축적을 확실히 행하게 할 수 있음에 더하여, 기억영역의 오버플로우를 일으키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으로부터 축적대상의 데이터가 오버플로우될 때에 조급히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유효컨텐츠 데이터 등의 선택형 컨텐츠 데이터나 수신조건부 컨텐츠 데이터등, 수신단말에 따라 축적대상 컨텐츠의 양에 편차가 있는경우나, 긴급히 컨텐츠 데이터를 증가, 삭제시키는 경우등에도 기억영역의 오버플로우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데이터 방송을 행함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측에서 수신단말의 상황을 적확히 파악 혹은 추정해서, 올바르게 수신, 축적을 할 수 있도록 데이터 방송 스케쥴의 작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데이터 방송을 행함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측에서 수신단말의 상황을 적확히 파악 혹은 추정할 수 있도록 자기의 기억영역내에 컨텐츠 데이터의 축적 상황을 송신측에 통지할 수 있도록 한 수신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데이터 방송을 행함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측이 송출한 컨텐츠 데이터를 확실히 수신할 수 있도록, 자기의 기억영역내의 컨텐츠 데이터가 기억영역의 최대사이즈를 초과하지 않는가 여부를 확인해서,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만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도록 한 수신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데이터 방송을 행함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측에서 수신단말의 상황을 적확히 파악 혹은 추정하고, 올바르게 수신, 축적할 수 있도록 데이터 방송 스케쥴의 작성프로그램 작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데이터 방송을 행함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측에서 수신단말의 상황을 적확히 파악 혹은 추정하고 바르게 수신, 축적을 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스케쥴의 작성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층 더 명백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의 대하여 축적방송서비스를 운영하는 서비스 사업자에 대하여 통신판매등의 복수사업자가 축적 방송계약을 맺음으로써 각각의 데이터 방송을 행하는 형태에 있어서,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이 계약조건에 의하여 각 사업자에 할당되고, 각 사업자 마다의 계약에서는 수신단말의 기억영역내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최대사이즈 등이 정해져 있고, 축적방송서비스 사업자는 계약을 한 각각의 사업자의 계약대로 기억영역의 축적을 행하는 것을 보증하는 것으로서, 도면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복수사업자가 아니라, 단일 사업자라도 상관없고, 통신회선 경유의 서비스등 일지라도 상관없다.
이하, 컨텐츠 데이터 및 컨텐츠란, 데이터 방송을 형성하는 데이터 중, 예를들면 1프로그램과 같은, 방송의 시청자에게 검지할 수 있는 방송내용의 최소단위이다. 데이터란 컨텐츠 데이터와 그외의 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총칭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데이터 방송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 는 상기 실시형태 1에 관한 수신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장치내에서 유지하는 단말관리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장치내에서 유지하는 계약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장치내에서 유지하는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장치내에서 유지하는 컨텐츠 정보의 일람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수신단말에서 유지하는 축적관리정보(계약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수신단말에서 유지하는 컨텐츠 정보의 일람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장치와 수신단말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축적관리정보의 수수처리동작의 일예를 도시하는 플로우도,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장치와 수신단말과의 사이에 있어서 축적관리정보의 수수처리동작의 별도의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도,
도 11은 상기 실시형태 4에 있어서, 서브영역의 삭제·감소에 따른 삭제·감소 컨텐츠의 취득성공율 정보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상기 실시형태 4에 있어서, 수신단말의 기억영역 오버플로우의 이력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선택형 컨텐츠의 영역에 대한 정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있어서, 수신단말내에서 유지하는 속성정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장치내에서의 컨텐츠 유지상태와 스케쥴 관리부가 컨텐츠 데이터의 배분송신을 스케쥴링한 결과의 송출데이터와의 대응의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장치내에서 유지하는 서브영역 변경관리 정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 수신단말내에서 유지하는 컨텐츠 정보의 일람의 별도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 계약사이즈 감소시의 스케쥴링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장치로부터 송출하는 조건부 데이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있어서, 수신조건이 변경으로 되는 경우의 조건부 데이터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장치로부터 송출하는 긴급 데이터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있어서, 그룹화되어있는 서브영역 관리정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있어서, 그룹화되어있는 서브영역 관리정보와 그룹정보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 삭제되어야할 컨텐츠 데이터를 관리하는 삭제 데이터 리스트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 삭제 데이터 리스트의 버전을 붙인 단말관리 정보예를 도시하는도면,
도 26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의 등록과 송출의 플로우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 계약 사이즈의 감소시의 플로우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서브영역의 최대 사이즈의 감소시의 예 1의 플로우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서브 영역의 최대사이즈의 증가시의 예 1의플로우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의 감소와 증가의 예 2의 플로우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있어서, 수신조건 또는 속성정보가 변경으로 되는 경우의 수신조건을 붙인 송출데이터 작성의 플로우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있어서, 수신조건 또는 속성정보가 변경으로 되는 경우의 수신 조건을 붙인 컨텐츠 일람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있어서, 수신조건 또는 속성정보가 변경으로 되는 경우의 서브영역 관리정보와 그룹정보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은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할당등의 관리정보를 데이터 송출장치로부터 수신 단말로 통신해서 보내고, 컨텐츠 데이터 자체는 방송으로 송수신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데이터 방송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장치(10)와 수신단말(11)은 방송 및 통신회선에 의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관리정보인 축적관리정보는 통신회선을 통하여 데이터 송출장치(10)로부터 수신단말(11)로 송신된다. 그외의 각 컨텐츠 데이터는 방송에 의하여 데이터 송출장치(10)로부터 수신단말(11)로 송신되는 것이다.
데이터 송출장치(10)는, 송출하는 데이터를 등록하는 데이터 입력부(101)와, 어느 데이터를 언제 송출할 것인가하는 송출스케쥴을 작성하는 스케쥴 관리부(102)와, 송출데이터의 정보나 수신단말의 관리정보를 기억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03)와, 각 수신단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관리부(104)와, 스케쥴 관리부(102)의 스케쥴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방송하는 송출부(105)와, 스케쥴 관리부(102)의 스케쥴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통신하는 통신부(106)와,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을 관리하는 축적관리부(107)로 구성된다. 데이터 베이스부(103)는 단말관리정보유지부(1031)와 축적관리정보유지부(1032)와 컨텐츠 유지부(1033)로 구성된다. 이후 단말관리정보유지부(1031)와 축적관리정보유지부(1032)와 컨텐츠 유지부(1033)를 합하여 데이터 베이스부(103)로서 설명을 행한다. 상기 데이터 송출장치(1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단말(11)에서 수신, 축적을 행한다.
데이터 입력부(101), 스케쥴 관리부(102), 데이터 베이스부(103), 단말관리부(104), 송출부(105), 통신부(106), 축적관리부(107)는 동일한 기기로 조성되지만, 각각의 기기로 구성되어 네트워크로 통합되더라도 상관없는 것으로 한다. 또, 데이터 입력부(101), 송출부(105), 통신부(106)는 복수 존재하더라도 상관없다. 축적관리부(107)가 스케쥴 관리부(102)내에 존재해도 상관없다.
도 2는 이 실시형태 1에 관한 수신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수신단말은 데이터 방송시스템으로부터 방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201)와 통신회선을 통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202)와,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부(203)와, 축적을 행하기 위한 기억영역(204)과, 수신한 데이터 나 처리결과를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부(205)와, 수신단말을 조작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06)와, 타이머 처리를 행하는 타이머 처리부(207)와 수신한 데이터를 기억영역에 할당하는 할당부(208)로 구성된다. 기억영역(204)는 축적관리정보유지부(2041)와 컨텐츠 유지부(2042)로 구성된다.
수신부(201), 통신부(202), 데이터 처리부(203), 데이터 표시부(205), 데이터 입력부(206)는 복수 존재하더라도 상관없다. 수신부(201)가 그 단말에 존재하지 않고, 다른 수신부를 구비한 장치로부터 통신부(202)를 경유해서 수신한 데이터를 그 말단이 수신하여도 상관없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표시부(205), 데이터 입력부(206), 타이머 처리부(207)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다른 장치에 구비되고, 통신부(202)를 경유해서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더라도 상관없다. 기억영역(204)은 하나 이상의 기기로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우선, 데이터 송출장치내에서 유지하는 주된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장치의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단말관리정보유지부(1031)에서 유지하고 있는 수신단말의 관리정보의 내용예이다. 모든 수신단말에 유니크하게 붙여진 단말 ID와, 단말의 종별과, 각각의 수신단말이 최근 축적관리정보를 취득한 일시와 그때 취득한 축적정보의 버전 번호(도 4의 버전번호)를 관리하고 있다. 단말의 종별은 없어도 좋다. 축적관리정보의 취득일시, 취득버전은 어느것인가 하나여도 된다.
도 4와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출장치의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축적관리정보유지부(1032)에서 유지하고 있는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축적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축적관리정보인, 계약정보 및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내용예이다. 계약정보는 데이터송출장치에서 관리함과 동시에 수신단말에게도 송출하고, 수신단말에서의 체크 등에도 이용하는 것이다. 서브영역 관리정보는 데이터 송출장치에서만 관리한다.
도 4의 계약정보는 축적관리정보중 사업자마다의 계약정보이고, 수신단말의 기억용량중, 그 사업자의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 최대사이즈를 나타낸다. 계약내용을 변경함에 따라 복수의 버전을 갖는다. 버전마다 확정일과 배분송신 개시일을 붙인다. 확정일은 데이터 입력부(101)를 통하여 오퍼레이터가 입력하는 것이고, 그 버전의 계약 사이즈를 확정하는 일시이다. 배분송신개시일은 지정된 확정일에는 그 버전의 계약정보가 모든 수신단말에 배분송신되어 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축적관리부(107)가 확정일로부터 산출하여 결정하여 입력하는 일시이다. 즉, 배분송신개시일로부터 확정일까지의 일시는 수신단말에 계약정보를 널리 보급하도록 하기 위한 이행기간이 된다. 더욱더 계약정보에는 계약하고 있는 사업자마다 유니크하게 붙여지는 계약자 ID, 계약하고 있는 사이즈, 데이터 송출장치에서의 보존상대인 서브영역을 나타내는 서브영역 ID를 유지한다. 전계약자의 계약사이즈 합계는 수신단말의 기억용량중 컨텐츠 데이터에 사용가능한 사이즈(최대 축적사이즈 도 5의 54)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이 체크는 계약 정보의 입력이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행해졌을 때 축적관리부(107)에서 행한다.
이 계약정보는 수신단말으로서는 컨텐츠 데이터를 분류하고,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 체크를 행하는 단위이고, 계약자 ID는 그 분류를 유니크하게 식별하는 분류번호가 된다.
도 5는 축적관리정보중 서브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서브영역 관리정보이다. 서브영역이란, 수신단말의 최대축적 사이즈를 분할하여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브영역마다 최대사이즈를 갖는다.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을 복수의 서브영역으로 나누어 관리하기 때문에 계약되어 있는 하나의 사업자에게는 계약내용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브영역이 할당되어있고, 할당되어 있는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내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작성할 수가 있다. 서브영역 관리정보에서는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를 관리한다. 데이터 송출장치에서는 서브영역단위로 수신단말에 보존시키도록 컨텐츠 데이터를 송출한다. 데이터 송출장치에서는 서브영역 관리정보는 수신단말에 배분송신하지 않는다. 이후, 서브영역 하나에 대하여 하나의 컨텐츠로 하였을 때를 예로 하지만 서브영역 하나에 대하여 복수 컨텐츠로하여도 상관 없다. 즉 이 예에서는 수신단말에서는 하나의 컨텐츠를 보존단위로서 기억영역에 축적한다.
컨텐츠 작성자는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에 수납되도록 컨텐츠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서브영역 관리정보는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를 변경함에 따라 복수의 버전을 갖는다. 버전마다 그 버전이 유효하게 일시를 나타내는 변경일을 유지한다. 서브영역 관리정보는 서브영역마다 유니크하게 붙여지는 서브영역 ID,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 데이터 송출장치내에서의 디렉토리 패스 등을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유지한다. 디렉토리패스를 서브영역 단위로 유니크하게 붙이면 서브영역 ID는 없어도 된다. 모든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 합계는 수신단말의 최대축적 사이즈이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은 서브영역 최대사이즈내에서 컨텐츠 작성을 행하면 컨텐츠 데이터의 변경을 자유롭게 행하더라도 수신단말의 최대축적사이즈로부터 축적대상 컨텐츠 데이터가 오버플로우하는 경우가 없다. 도 5의 54의 최대축적사이즈는 수신단말이 컨텐츠 데이터 보존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최대사이즈이다.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의 합계는 54의 값(여기서는 500MB)이내로 된다.
도 6은 데이터 송출장치의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컨텐츠 유지부(1033)에서 유지하고 있는 각 컨텐츠의 관리정보의 내용예이다. 컨텐츠를 유니크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번호인 컨텐츠 ID, 컨텐츠의 작성자인 계약자 ID, 컨텐츠가 보존되고 있는 서브영역의 ID, 컨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컨텐츠 종별, 컨텐츠를 변경할 예정 일시인 변경예정일, 컨텐츠를 송출하기 시작하는 일시인 송출개시일, 컨텐츠 데이터가 변경되었을때에 증가해가는 버전, 컨텐츠 데이터 사이즈, 데이터명, 컨텐츠 데이터 본체 또는 컨텐츠 데이터의 포인터를 유지한다. 컨텐츠의 종류를 구별할 필요가 없다면 컨텐츠 종별은 없어도 된다. 데이터 사이즈는 서브영역 ID가 가리키는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다. 변경예정일은 오퍼레이터가 입력하는 값이고, 송출개시일은 축적관리부(107)가 변경 예정일, 축적관리정보(도 4, 도 5 참조)를 가미하여 결정하는 것이다.
수신단말내에서 유지하는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수신단말(11)의 축적관리정보유지부(2041)에서 유지하는 축적관리 정보예이다. 데이터 송출장치가 관리하고 있는 축적관리정보중, 현재 사용하여야 할 버전 하나만을 유지하는 예이다. 계약자 ID, 계약 사이즈, 수신단말내에서의 위치정보를 유지한다. 수신단말에서의 위치정보이외는 데이터 송출장치로부터 수취하는 정보이다. 수신단말에서의 위치정보는 신규의 계약자 ID에 대한 정보를 수취하였을 때에 수신단말의 데이터 할당부(208)가 결정하는 것이다.
도 8은 수신단말(11)의 컨텐츠 유지부(2042)에서 유지하는 컨텐츠의 리스트예이다. 데이터 송출장치가 관리하고 있는 컨텐츠중 컨텐츠 ID 하나에 대해서 현재 사용하여야 할 버전 하나만을 유지하는 예이다. 컨텐츠 ID, 컨텐츠 종별, 데이터 사이즈, 데이터명, 계약자 ID, 컨텐츠 데이터 본체 또는 컨텐츠 데이터의 포인터를 유지한다. 컨텐츠의 종별이 없는 경우, 컨텐츠 종별은 없더라도 상관없다. 데이터 송출장치로부터 수신단말의 축적관리정보의 송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데이터 송출장치와 수신단말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축적관리정보의 주고 받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도이다. 수신단말은 정해진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통신회선을 통하여 데이터 송출장치로부터 축적관리정보의 취득을 행한다. 수신단말은 타이머 처리부(207)에 설정되어 있는 정시가 되면 통신부(202)로부터 통신회선을 통하여데이터 송출장치로 축적관리정보의 취득요구를 낸다(901). 취득요구에는 수신단말마다 붙여져 있는 단말 ID가 포함된다. 데이터 송출장치는 통신부(106)에서 수신하면, 단말관리부(104)를 통하여 축적관리부(107)로 통지한다. 축적관리부(107)는 축적관리정보유지부(1032)의 계약정보(도 4)중, 현재시각이 배분송신개시일 이후인 버전중 가장 새로운 배분송신개시일을 갖는 버전의 계약정보를 검색한다(902).
다음에 단말관리부(104), 통신부(106)을 통하여 축적관리정보로서 계약정보의 계약자 ID와 계약사이즈의 일람을 수신단말에 배분송신한다(903). 계약정보를 수취한 수신단말에서는 데이터 할당부(208)에 있어서 축적관리정보유지부(2041)의 축적관리정보(도 2)를 새로운 계약정보로 갱신한다(904). 여기서, 데이터 할당부(208)에서는 계약사이즈가 변경으로 된 계약자 ID에 대하여 그 계약자 ID내의 컨텐츠의 데이터 사이즈 합계가 계약사이즈이내인가 여부를 체크함과 동시에 신규의 계약 ID가 있으면 수신단말내에서의 위치정보를 결정한다. 데이터 할당부(208)가 축적관리정보의 갱신 성공하면 수신단말은 통신부(202)를 통하여 데이터 송출장치로 갱신성공했다는 뜻을 통지한다(905). 데이터 송출장치는 통신부(106)에서 성공통지를 수취하면 단말관리부(104)가 단말관리정보(도 3)내의 해당하는 단말 ID을 검색하고, 축적관리정보 취득일시와 축적관리정보취득버전을 갱신한다(906). 정기적으로 이들 동작이 반복된다.
이는 일예이다. 두번째의 예로서 데이터 송출장치로부터 수신단말로 축적관리정보를 배분송신하는 경우에 그 축적관리정보가 유효하게 되는 일시를 지정하고, 유효일로 되어있으면 수신단말에서 새로운 축적관리정보로 전환하는 처리를 행하는것도 고려된다. 도 10은 두번째 예의 축적관리정보의 주고받음의 플로우예이다. 수신단말이 정시에 축적관리정보를 요구하여(1001), 데이터 송출장치가 축적관리정보중의 계약정보를 검색하는 (1002) 데까지는 상술한 도 9의 예와 동일하다. 축적관리정보를 데이터 송출장치가 수신단말에 배분송신하는 경우에, 도 4의 계약정보의 확정일도 건너준다(1003). 수신단말의 데이터 할당부(208)에서는 수취한 축적관리정보를 임시 영역에 보존하고, 신규계약 ID가 있으면 수신단말내에서의 위치정보를 결정한다(1004).
그리고 타이머처리부(207)에 의하여 확정일에 새로운 축적관리정보로 갱신하도록 타이머 설정한다(1005). 수신단말은 통신부(202)을 통하여 데이터 송출장치로 성공통지를 행하고(1006), 데이터 송출장치가 통신부(106)에서 성공통지를 수취하면 단말관리부(104)가 단말관리정보(도 3)내의 해당하는 단말 ID를 검색하고 축적관리정보 취득일시와 축적관리정보 취득버전을 갱신한다(1007). 수순(1005)에서 타이머 설정한 일시가 되면, 타이머 처리부(207)가 데이터 할당부(208)로 설정내용을 통지함으로써 데이터 할당부(208)는 계약사이즈가 변경으로 된 계약자 ID에 대하여 그 계약자 ID내의 컨텐츠의 데이터 사이즈 합계가 계약사이즈이내인가 여부를 체크함과 동시에 수순(1004)에서 임시영역에 보존해 두었던 축적관리정보를 내부의 축적관리정보유지부(2041)에 덮어쓰기 한다(1008).
더욱이 그외의 예로서 계약정보(도 4)의 버전을 모든 계약정보 단위로 붙이는 것이 아니고, 계약자 ID마다 버젼을 붙임으로서 계약정보를 전부 송신하는 것이 아니고 변경으로 된 계약정보만을 송신하는 것도 고려된다.
데이터 송출장치로부터 통상의 컨텐츠 데이터의 입력, 송출에 대하여 도 26의 플로우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송출장치에서는 송출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컨텐츠 유지부(1033)에 보존한다(2601). 컨텐츠 데이터의 입력은 컨텐츠 데이터 본체와 함께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컨텐츠 ID, 계약자 ID, 서브 영역 ID, 변경예정일을 지정한다. 컨텐츠 데이터가 입력된 것을 데이터 베이스부(103)가 축적관리부(107)에 통지한다(2602). 축적관리부(107)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컨텐츠 데이터의 버전번호, 데이터 사이즈, 데이터명, 데이터 본체 또는 데이터로의 포인터를 컨텐츠의 일람에 설정한다(2603).
축적관리부(107)는 또, 축적관리정보유지부(1032)에 있는 축적관리정보(도 4 및 도 5)를 보고, 입력된 컨텐츠의 사이즈가 변경예정일 이후,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최대사이즈(도 5)내에 수납되는 것을 체크한다(2604). 변경예정일 이후에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최대사이즈내에 수납되지 않는 경우, 경고를 발하여 송출개시일로서 서브영역에 수납되는 일시를 설정하든가, 또는 에러를 발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등록처리를 중지한다(2608).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최대사이즈내에 수납되는 경우, 축적관리부(107)는 변경예정일과 같은 값을 송출 개시일로 설정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정식등록을 행하고, 스케쥴 관리부(102)에 통지한다(2605). 스케쥴 관리부(102)는 컨텐츠 데이터를 언제 송출할 것인가 결정하여 스케쥴을 행한다(2606). 송출부(105)는, 스케쥴 관리부(102)가 행한 스케쥴에 따라, 수신단말(11)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출한다(2607).
수신단말(11)은 수신부(201)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는 데이터 할당부(208)에 의하여 수취한 컨텐츠 ID가 컨텐츠 일람에 있는가 여부에 따라서 컨텐츠 ID가 있으면 이미 있는 일람에 덮어쓰기하고, 없으면 일람에 추가함으로써, 컨텐츠 기억영역(204)의 컨텐츠 유지부(2042)에 도 8과 같이 보존한다. 이때 데이터 할당부(208)는 컨텐츠의 정보로 표시된 계약자(ID)로부터 도 7의 축적관리정보의 계약사이즈를 취득하고, 그 계약사이즈내에 그 계약자 ID를 갖는 모든 컨텐츠의 합계 데이터 사이즈가 수납하는가 여부를 체크한다.
여기서, 데이터 송출장치내에서의 컨텐츠 유지상태와, 스케쥴 관리부(102)가 컨텐츠 데이터의 배분송신을 스케쥴링한 결과의 송출데이터와의 대응을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1500은 데이터 송출장치내에서의 컨텐츠 유지상태의 이미지도를 나타낸다. 데이터 송출장치내에서는 수신단말의 최대축적 사이즈에 수납되도록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로 송출하는 컨텐츠를 관리하고 있다. 스케쥴 관리부(102)는 도면중의 서브영역 1 (1501)중, 실제의 컨텐츠 데이터 사이즈만큼을 송출대상으로 한다.
도면중 1510은 스케쥴 결과의 송출데이터이다. 수신단말의 수신단위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로 이루어진다. 송출데이터의 최초에 하나의 수신단위의 개시지시와, 수신단위의 종료위치로의 포인터가 들어있다(1511). 모든 컨텐츠를 포함하는 스케쥴 단위(1515)가 있고, 그 스케쥴 단위의 송출을 반복 송출하도록 스케쥴관리부(102)가 스케쥴링을 행한다.
수신단말은 하나의 수신단위의 도중에서 취득하는 등, 수신단위의 일부분만을 수신하는 일은 없다. 다만, 수신단말의 전원 ON의 타이밍 등에 의하여, 하나의 스케쥴 단위의 몇번째에 배치되어 있는 수신단위로 부터 취득을 시작할 것인가, 또는 어느 수신단위를 놓쳤는가, 데이터 송출장치에서는 알수가 없다. 수신단말의 수신단위는 복수 컨텐츠로 이루어지지만 내부의 컨텐츠 유지부(2042)에서 갱신하는 단위인 보존단위는 컨텐츠 단위(1513)이다. 어떤 컨텐츠의 변경을 행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항상 최초로 배치된 수신단위(같은 수신단위 ID)내에 스케쥴관리부(102)가 배치된다.
도면중의 1516은 스케쥴 관리부가 행한 스케쥴 결과를 나타내는 스케쥴 정보이다. 수신단위마다 수신단위 ID와, 버전과, 방송시간 등의 정보가 들어 있다. 스케쥴 관리부(102)는 그 수신단위내의 컨텐츠 데이터중 어느 것인가가 전회 송출시부터 변경되었을 때에 그 수신단위의 스케쥴 정보의 버전의 번호를 1 더한다. 데이터 송출장치가 이 스케쥴 정보를 미리 송출하여 둠으로써 수신단말의 데이터 처리부(203)에서 어느 수신단위의 어느 버전이 몇시부터 방송되는가 판단하며, 데이터 할당부(208)에 의하여「자신이 유지하고 있는 버전과 다른 경우에만 몇시부터 수신축적을 한다」라는 축적계획을 행하고, 타이머 처리부(207)에서 타이머 설정하여 축적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하여 복수의 사업자의 계약 사이즈에 맞추어서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시킬수가 있다. 또 수신단말의 최대 축적사이즈를 복수로 분할하여 서브영역의 집합으로서 관리함으로써,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내에서의 컨텐츠의 변경은 자유로이 할 수가 있다.
(제2 실시예)
실시형태 2는 실시형태 1과 같은 모양으로, 도 1과 같이 구성된다. 실시형태 2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업자의 계약이 변경으로 됨으로써 축적관리정보중의 계약정보의 변경을 행할때에 계약 사이즈의 증감의 관리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어떤 사업자의 계약변경에 의하여 그 사업자의 축적관리정보의 계약사이즈가 감소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계약사이즈의 감소와 함께 송출 컨텐츠 데이터의 감소를 행할 필요가 있지만, 수신단말내에 있어서 감소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축적하기전에 감소한 계약사이즈의 축적관리정보를 수취하면, 수신단말에서 계약사이즈내에 컨텐츠 데이터의 합계사이즈가 수납되어 있는가 여부를 체크하는 경우에 그 사업자의 계약사이즈내에 컨텐츠 데이터가 완전히 들어갈수 없게되고, 수신단말에서 에러가 생긴다. 또는 수신단말에서 체크를 행하지 않으면 수신단말의 최대축적사이즈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어서, 다른 사업자의 컨텐츠 축적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말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계약사이즈 감소시의 예를 설명한다. 도 18은 계약사이즈 감소시의 스케쥴링예이다. 도 27은 플로우예 도면이다. 도 4의 확정일 9월 1일의 버전 2 (42)의 계약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의 예를 사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4의 42의 버전 2중, 앞버전 1의 계약정보보다도 계약사이즈가 100MB로부터 50MB로 감소하고 있는 계약자 ID=4를 예로한다. 확정일=9월 1일, 계약자 ID=4,계약사이즈=50MB의 계약 정보가 변경지시로서 데이터 송출장치(10)의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입력된다(2701). 데이터 입력부(101)가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축적관리정보유지부(1032)에 보존하면 축적관리부(107)로 통지된다. 축적관리부(107)는 버전번호에 2를 설정한다(2701). 축적관리부(107)는 확정일인 9월 1일로부터 N(예를들어 31일)를 빼서, 버전 2의 계약정보의 배분송신개시일을 8월 1일로 결정한다(2702).
N은 상술한 바와같이, 확정일까지 모든 수신단말로 새로운 버젼을 배분송신하기 위한 이행 기간이다. N은 미리 운용값으로서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입력한다. 또는 실시형태 1에서 도 9에 의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도 3의 단말관리정보내에서 축적관리정보 취득버전을 관리함으로써 축적관리부(107)가 정기적으로 도 3의 축적관리정보 취득버전과 도 4의 배분송신개시일을 체크하고, 배분송신개시일로부터 계산하여 전체의 90% (데이터 입력부 101에서 설정한 값)의 수신단말이 하나의 버전을 취득한 날수를 산출함으로써, 축적관리부(107)가 동적으로 N값을 설정하여도 된다.
이 시점에서 서브영역 관리정보는 도 5의 51의 버전 1 밖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같이 이 8월 1일로부터 계약사이즈의 감소에 앞서서, 8월 1일 보다 전에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최대사이즈 및 컨텐츠의 데이터 사이즈가 감소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계약사이즈의 감소의 어느정도전에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최대사이즈를 감소하여야 할 것인가는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운용값 L일(여기서는 2일)로서 입력한다. L은 컨텐츠 데이터를 배분송신하기 시작한 후부터 모든수신단말이 수신·축적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축적관리부(107)는 410의 계약자 ID=4를 사용하여 서브영역을 검색한다(2703). 축적관리부(107)는 버전(1)의 서브영역 ID=4의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가 계약사이즈를 상회하기 때문에(도 5의 504), 경고를 발하여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신버젼, 컨텐츠의 신버젼을 작성할 것을 재촉한다. 혹은 경고와 동시에 자동적으로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신버젼을 작성하고, 신버전의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계약사이즈와 같은 최대사이즈를 설정하고(2704), 도 5의 513과 같이 변경일을 계약정보의 배분송신개시일의 L일 전에 설정한다(2705). 변경일로된 시점에서 컨텐츠 데이터가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최대사이즈내에 수납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 사이즈 0인 공 데이터를 강제적으로 작성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상, 도 18과 같이 계약사이즈의 감소가 확정하는 확정일의 N일전에 그 계약사이즈 감소에 대하여 기술한 축적관리정보의 배분송신개시를 시작함과 동시에 그 확정일의 N + L일전에 계약사이즈가 감소하는 계약자 ID를 갖는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의 감소를 실행하도록 배분송신계획을 행한다.
계약사이즈가 감소(=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의 감소)한 만큼을 다른 계약자의 계약사이즈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도 4의 확정일(9월 1일) 이후이다. 이는 다음의 계약사이즈의 증가시에도 설명한다.
사업자의 계약변경에 의하여 축적관리정보의 계약사이즈를 증가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계약사이즈의 증가와 동시에 송출데이터의 증가를 행하지만 수신단말이 컨텐츠 데이터의 증가보다도 계약사이즈의 증가를 나타내는 축적관리정보를 먼저취득·축적하지 않으면 컨텐츠 데이터의 축적시에 수신단말의 데이터 할당부(208)가 행하는 체크에서「계약사이즈이내로 컨텐츠 데이터가 수납되지 않는다」라는 이상 상태가 되어버린다. 도 4에 있어서의 버전2 (42)중, 앞버전 1의 계약정보보다도 계약사이즈가 50MB로부터 100MB로 증가하고 있는 계약자 ID=1(407)를 예로서 설명한다.
데이터 송출장치(10)의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계약정보의 변경지시로서, 계약자 ID=1, 계약사이즈=100MB, 서브영역 ID=2, 확정일=9월 1일이 입력된다. 데이터 입력부(101)가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축적관리정보유지부(1032)에 보존하면 축적관리부(107)로 통지한다. 축적관리부(107)에 있어서 계약사이즈의 증가분(=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 증가분)이 수신단말에서의 최대축적사이즈(도 5의 54)중, 다른 계약자 및 서브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는 사이즈이내인 것을 체크한다. 예로 설명하면, 이 시점에서 도 4의 계약정보가 버전 2 (42)에 있어서 계약자 ID=4의 계약사이즈가 확정일 8월 1일에 결정하는 것으로 되어있고, 도 5의 서브영역 관리정보가 버전 2 (52)의 상태라하면 입력된 확정일 9월 1일 이후의 여유 영역 사이즈는 최대축적사이즈(500MB)로부터 계약자 ID=2, 3, 4, 5, 6의 버전 2의 계약사이즈 (20, 100, 50, 200, 30MB)와 계약자 ID=1 의 버전 1의 계약사이즈(50MB)를 뺀값, 50MB이다. 금회 입력된 계약자 ID=1의 계약사이즈의 증가분은 꼭 50MA(100MB - 50MB)이므로, 축적관리부(107)에서의 증가분 사이즈의 체크는 그대로 통한다. 계약사이즈의 증가시에는 증가전의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 및 컨텐츠 데이터는 반드시 계약사이즈내에 수납되므로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가 새로운 계약정보의 계약사이즈내에 수납되는가 여부의 체크는 축적관리부(107)에서 행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계약정보의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이행기간인 N일 이내에 상술한 도 9의 수순에 의하여 모든 수신 단말이 새로운 축적관리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면 계약정보의 계약사이즈의 감소시, 증가시에 있어서 수신단말의 데이터 할당부(208)에서 행하는, 사업자의 컨텐츠 데이터가 계약사이즈이내에 수납되는가 여부의 체크에 있어서 에러가 일어나는 일은 없다.
도 10의 수순의 경우는 상술한 바와같이 타이머를 걸어서 수신단말에서 확정일에 축적관리정보를 갱신하는 것이므로, 계약사이즈 감소시에 확정일의 (N + L)일전에 감소만큼의 바이트만큼의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를 감소시키는 스케쥴링은 필요하지 않다.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의 감소만큼의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배분송신 개시일은 확정일의 L일 전으로하고,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 증가만큼의 서브영역관리정보의 배분송신 개시일은 확정일과 같이 이행기간을 L일 두면 된다.
다음에, 배분송신개시일로부터 N일 이내 사이에 새로운 축적관리정보를 취득하지 못했던 수신단말이 있었던 경우의 설명을 행한다. N일 이내에 취득하지 못했던 경우, 그 상태로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면 수신단말에서 유지하고 있는 오래된 축적관리정보의 계약사이즈를 초과한 사이즈의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N일 이내에 새로운 축적관리정보를 취득하지 못했던 수신단말이 있는 것을 검출하여 기억영역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는 방법을 도 9의 주고 받음에 있어서, 도 3의 단말 ID=4이 9월 3일에 도 4, 5의 상태의 축적관리정보의 취득요구를 냈을 때를 예로 설명한다.
단말 ID=4의 수신단말은 축적관리정보요구(901)를 낸다. 데이터 송출장치의 축적관리부(107)에서는 축적관리정보의 검색(902)전에 단말관리정보(도 3)로부터 단말 ID=4이 이전 축적관리정보를 취득한 일시를 체크한다. 축적관리부(107)는 이미 현재일시가 계약정보의 버전 2(도 4의 42)의 확정일이 지나있는 것을 알면, 버전 2 (도 4의 42)중 계약사이즈가 감소하고 있는 계약자 ID=4인 컨텐츠를 일람에서 검색한 결과인 컨텐츠 ID=4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 삭제 명령을 붙인 축적관리정보를 단말 ID=4인 수신단말에 배분송신한다(903). 수신단말은, 삭제대상으로서 컨텐츠 ID=4를 지시한 삭제명령을 수취하면, 데이터 할당부(208)에서 도 6의 컨텐츠의 일람에서 컨텐츠 데이터(605, 606)를 검색하고, 그 컨텐츠 데이터와 컨텐츠의 일람의 삭제에 성공하면, 통상대로 축적관리정보의 보존·갱신(904) 이후의 수순을 행한다.
이 예에서는 기억영역의 오버플로우를 일으키기 전에 사전에 계약사이즈가 감소되어 있는 계약자 ID의 컨텐츠 데이터를 삭제하였지만, 사전에 행하는 것이 아니고, 기억영역 오버플로우가 일어난 후에 수신단말의 데이터 할당부(208)에서 오버플로우를 검지하고, 통신회선 경유로 데이터 송출장치로 오버플로우된 것을 통지함으로써 데이터 송출장치의 축적관리부(107)가 상기와 동일한 수순으로 계약사이즈가 감소하고 있는 계약자 ID의 컨텐츠 삭제명령을 내도 상관없다. 또, 기한내에 축적관리정보를 취득할 수 없었던 것을 수신단말 자신이 관리하여 체크하여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계약사이즈의 변경시, 변경된 계약사이즈를 갖는 계약정보의 배분송신개시일을 결정하고, 그에 동반하는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의 변경 및 컨텐츠 데이터의 변경일시를 데이터 송출장치에서 관리함으로써 수신단말에 있어서의 계약사이즈와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와의 부정합을 일어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데이터 송출장치에서 상정한 기간이내에 수신단말이 축적관리정보를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기억영역 오버플로우를 일으키기 사전, 또는 오버플로우를 일으킨후에 오버플로우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에서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실시형태 3은 실시형태 1과 유사하며, 도 1과 같이 구성된다,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컨텐츠의 최대 사이즈)를 변경할때의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을 오버플로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축적관리에 대하여 도 4,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의 계약자 ID=5의 계약상태와 같이 하나의 계약자 ID에 복수 서브영역을 갖고 있다고 하자. 계약사이즈는 변경하지 않지만, 컨텐츠 데이터 작성상의 상황 등으로 한쪽의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를 증가시키고, 다른편의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를 그 만큼 감소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그 상태대로 동시에 최대사이즈의 감소와 증가를 행하고, 그에따른 컨텐츠 데이터를 데이터 송출장치가 송출한 결과, 수신단말이 사이즈가 작아진 컨텐츠 데이터보다 먼저 사이즈가 커진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축적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계약사이즈내에 컨텐츠 데이터 사이즈가 수납되는가 여부의 체크를 수신단말에서 행하였을 경우에, 계약사이즈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의 총량이 오버플로우되어 있다고 하여 에러로 되어버린다. 또는 계약사이즈내에 컨텐츠 데이터 사이즈가 수납되는가 여부의 체크를 수신단말에서 행하지 않는 경우는 컨텐츠 데이터의 축적에 이용가능한 최대사이즈로부터 컨텐츠 데이터가 오버플로우되어 버려서 다른 사업자의 컨텐츠 데이터 축적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의 일예로서, 도 15에 있어서의 1 수신단위내의 컨텐츠 배치방법을 설명한다.
상술에서 도 15에 의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수신단말의 수신단위는 스케쥴 관리부(102)가 스케쥴한 복수의 컨텐츠 단위이다. 따라서 증가·추가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수신단위의 선두에 삭제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컨텐츠 ID를 포함하는 삭제지시데이터, 또 사이즈가 감소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넣어서 송출함으로써 반드시 삭제 지시데이터 또는 감소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축적하여 그 감소만큼 기억용량을 확보한 다음, 증가 컨텐츠 데이터 또는 추가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축적할 수 있다. 이를 도 15에서 설명하면, 컨텐츠(1518)로서 삭제 지시데이터 또는 감소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넣고, 컨텐츠(1519)에 증가 컨텐츠 데이터 또는 추가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넣도록 데이터 송출장치의 스케쥴 관리부(102)에서 송출데이터를 스케쥴링한다. 이 처리의 흐름은 도 4의 계약자 ID=5의 서브영역인 서브영역 ID=5 의 최대사이즈를 100MB로부터 50MB로 감소시켜 서브영역 ID=6의 최대사이즈를 100MB로 부터 150MB로 증가시킬때를 예로 도 28, 29의 플로우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서브영역의 변경지시의 정보는 데이터 송출장치의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입력한다. 여기서 입력되는 정보는 계약자 ID, 서브영역 관리정보를 변경하고 싶은날, 변경하는 서브영역 ID, 최대사이즈이다. 최대사이즈가 0일때는 서브영역을 삭제하는 지시로 판단한다.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서브영역 ID=5의 최대사이즈를 7월 30일부터 50MB로 감소하도록 입력되면(2801),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축적관리정보유지부(1032)로 유지되고, 축적관리부(107)로 통지된다. 축적관리부(107)에서는 서브영역 ID=5의 컨텐츠 ID=6의 컨텐츠 데이터 사이즈가 감소후의 서브영역 사이즈 50MB에 수납되는가 여부를 체크하고(2802), 도 5의 514의 서브영역 관리정보로 등록함(2803)과 동시에 도 16의 서브영역의 변경이력의 관리정보에도 이력으로서 서브영역 ID=5, 변경종별=감소, 변경일=7월 30일을 등록한다(2804). 컨텐츠 데이터 사이즈가 감소후의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에 수납되지 않는 경우,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변경처리를 중지한다(2805).
이와같이 7월 30일에 있는 서브영역이 감소하는 것으로 결정하였을 때, 7월 30일부터 그 감소만큼의 사이즈를 다른 서브영역의 사이즈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의 증가시의 처리에서 설명한다.
다음에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서브 영역 ID=6의 증가에 대한 지시로서, 서브영역 ID=6, 변경일 8월 1일, 최대사이즈 150MB가 입력되면(2901),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축적관리정보유지부(1032)에 유지되고 축적관리부(107)에 통지된다. 축적관리부(107)는 서브영역 ID=6을 갖는 계약자 ID=5의 서브영역의 합계 사이즈가 8월 1일 이후, 계약사이즈이내인가 여부를 체크한다(2902). 도 5의 서브영역관리정보로 등록(2903)함과 동시에 도 16의 서브영역 변경관리정보에도 이력을 등록한다(2904).
여기서, 현재시각부터 몇일 이전까지의 삭제지시데이터 또 사이즈가 감소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단위의 선두에 넣는가를 나타내는 배치조건으로서의 삭제정보기간 L일(3일)이 사전에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운용값으로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같은 서브영역의 관리상태에서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계약자 ID=5, 서브영역 ID=6의 컨텐츠 ID=7의 컨텐츠 데이터가 신규 입력되었을때 데이터 베이스 관리부(103)의 컨텐츠 유지부(1033)에 유지하여 축적관리부(107)에 통지되고 축적관리부(107)에 있어서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이내인 것을 체크하여 등록한다(도 6의 609). 축적관리부(107)는 컨텐츠 ID=7가 신규 추가된 것을 스케쥴 관리부(102)에 통지한다. 스케쥴 관리부(102)에서는 도 16의 서브영역 변경관리정보로부터, 상술한 삭제정보기간 L일(3일) 이내에 삭제되어 있는 서브영역 ID=4,5를 검색하고, 더욱더 도 4로부터 서브영역 ID=5이, 컨텐츠 ID=7와 계약자 ID가 같은 5인 것을 검출하여 서브영역 ID=5의 컨텐츠 데이터인 컨텐츠 ID=6의 최신 버전(도 6의 608)을 컨텐츠 ID=7의 소속하는 수신단위의 선두에 넣어서 송출데이터를 작성한다.
수신단말에서는 컨텐츠 ID=6,7의 순서로 하나의 수신단위를 수신한다. 컨텐츠 ID=6의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영역의 컨텐츠 유지부(2042)에 덮어쓰기하여 도 8의 컨텐츠의 리스트를 수정하고, 컨텐츠 ID=7의 컨텐츠 데이터의 신규추가와 도 8의 컨텐츠의 일람의 추가를 행한다.
이상에 의하여 같은 계약자 ID로 또한 L일 이내에 삭제 또는 감소한 가능성이 있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증가·추가하는 컨텐츠보다도 먼저 확실히 수신 단말에 송출하는 것을 가능하게하고, 수신단말의 기억영역내에 감소사이즈만큼의 여유를 만든 다음 증가·추가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시킴으로써, 수신단말에서 기억영역이 오버플로우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 방법외에 정기적으로(1일에 한번등) 반드시 수신단말이 데이터 송출장치로 통신경유로 삭제지시데이터 또는 감소 컨텐츠 데이터를 취해도 상관없다. 또, 반드시 수신단말이 매일 취득하여야 할 수신단위로서 삭제·감소데이터를 데이터 송출장치가 방송하여도 된다.
(제4 실시예)
실시형태 4는 실시형태 1과 유사하여, 도 1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를 변경할 때,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계약사이즈 또는 최대축적사이즈로부터 컨텐츠 데이터가 오버플로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실시형태 3 과는 다른 또 하나의 예로서, 각각의 수신단위로 삭제지시데이터 또는 감소 컨텐츠 데이터와, 추가 컨텐츠 데이터 또는 증가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의 수순을 도 30의 플로우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3과 동일하게, 서브영역 관리정보가 도 5의 51의 상태에서 계약자 ID=5의 서브영역인 서브영역 ID=5의 최대사이즈를 감소하고, 그 감소한 사이즈만큼 서브영역 ID=6의 최대사이즈를 증가시키는 경우를 예로한다.
8월 1일부터 계약자 ID=5의 서브영역 ID=5를 100MB로부터 50MB, 서브영역 ID=6을 100MB로부터 150MB로 증가시키도록 데이터 입력부(101)에 입력한다(3001). 데이터 입력부에서는 데이터 베이스부(103)에 등록하면, 데이터 베이스부(103)가축적관리부(107)에 통지한다. 축적관리부(107)에서는 서브영역 ID=5의 컨텐츠 ID=6의 컨텐츠 데이터 사이즈가 감소후의 서브영역 사이즈 50MB에 수납되는가의 여부를 체크하면(3002), 감소하는 서브영역 ID=5를 포함하는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버전 2 (도 5의 52)를 작성하고, 변경일을 지정된 8월 1일의 M일(예에서는 M=2)전인 7월 30일로 설정하고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를 50MB로 설정한다(3003). M일은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미리 입력하는 운용값으로 한다. 이어서 축적관리부(107)에서는 최대사이즈가 증가하는 서브영역 ID=6을 포함하는 버전 3(도 5의 53)을 작성하고, 변경일을 지정된 8월 1일로 설정하고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를 150MB로 설정한다(3004).
이상에 의하여, 서브영역 ID=5의 서브영역내의 컨텐츠는 7월 30일이후, 50MB 이하의 것만 작성할 수 있다. 또 서브영역 ID=6의 서브영역내의 컨텐츠는 8월 1일 이전에는 100MB까지만 작성할 수 없기 때문에 감소 컨텐츠 데이터 송출로부터 증가 컨텐츠 데이터 송출까지 적어도 M일(2일) 사이의 타임래그를 설치할 수 있고, 데이터 송출장치가 상정하는 M일(2일)이내에 감소 컨텐츠 데이터를 수취한 수신단말은 계약사이즈보다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가 오버하는 오버플로우를 일으키지않고 증가컨텐츠 데이터를 수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M일의 설정방법으로서, 삭제데이터 또는 감소 컨텐츠 데이터의 주고받음을 통신경유로 행하는 것을 생각하였을 경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축적관리부(107)에서 서브영역의 삭제·감소하는 변경보다 그후의 서브영역하의 사이즈 감소시킨 컨텐츠 데이터의 배분송신을 몇퍼센트의 수신단말이 취득성공하였는가를 나타내는 수신단말의 취득 성장율을 관리함으로써 취득성공한 수신단말의 비율로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였을 때에 다른 서브영역의 추가 또는 최대사이즈의 증가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서브영역의 삭제 또는 최대사이즈 감소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감소를 행하였을 경우의 삭제지시 데이터 또는 감소 컨텐츠 데이터의 수신단말의 취득성공율을 관리하는 정보의 예이고, 서브영역 사이즈의 변경일, 변경종별, 서브영역 ID, 모든 수신 단말중의 취득성공율을 나타내는 수신단말의 취득성공율, 그 서브영역의 사이즈 감소분을 다른 증가분 이용가능하게 되는 날을 나타내는 추가·증가 가능일, 및 현재의 여유 사이즈의 총량을 나타내는 여유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추가·증가 가능일은 변경일 + M일이다. 서브영역의 삭제 또는 최대사이즈의 감소를 행한 경우에만, 그 서브영역하의 사이즈 감소한 컨텐츠 데이터를 통신경유로 배분송신하여 수신단말로부터 성공통지가 올때마다 축적관리부(107)가 모든 수신단말중, 몇%의 수신단말이 취득 성공하였는가를 취득율 정보로서 갱신한다.
도 11은 취득성공율 80% 이상으로 되면 서브영역의 추가·증가분으로서 삭제·감소분을 이용가능으로되는 예로한다. 1101 에서는 취득성공율이 80%를 초과하고 있으므로(원래의 빈 영역 + 1101의 서브영역이 감소한 만큼의 20MB)가 여유사이즈로서 관리된다. 서브영역의 추가·증가는 이 여유 사이즈분 이내에서 행해진다. 1102는 아직 취득성공율이 80% 이하이기 때문에 여유사이즈분에 카운트되지 않기때문에, 1101의 여유사이즈와 1102의 여유사이즈는 같은 값이다. 이 여유사이즈분은 도 1의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최대사이즈 변경시에 참조된다. 이 여유사이즈분을 한도로 해서 서브영역의 추가 또는 서브영역의 사이즈 증가를 행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서브영역의 변경순서를 관리하여 컨텐츠 데이터 송출을 행하더라도 M일 동안 수신단말이 전원 OFF하고 있었던 등이 원인으로 삭제지시데이터 또는 감소데이터 취득전에 추가 컨텐츠 데이터 또는 증가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수신단말이 계약사이즈내에 컨텐츠 데이터가 수납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컨텐츠 데이터 오버플로우을 일으켰을때의 복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버플로우를 일으킨 수신단말은 오버플로우를 일으킨 것을 데이터 송출장치로 통지한다. 통신부(106)에서 통지를 수취한 데이터 송출장치는 축적관리부(107)에서 도 5의 서브영역 관리정보로부터 최근 최대사이즈를 증가시킨 서브영역 ID=2,6 을 검색한다. 더욱더 도 6으로부터 서브영역 ID=2 및 6의 컨텐츠 ID=1과 7을 검색한다. 데이터 송출장치는 축적관리부(107)로부터 단말관리부(104), 통신부(106)를 통하여 오버플로우를 일으킨 수신단말로 컨텐츠 ID=1 및 7의 컨텐츠 ID를 포함하는 삭제 명령을 배분송신한다. 삭제명령을 수취한 수신단말에서는 컨텐츠 ID=1,7을 도 8의 컨텐츠 리스트에서 검색하여 데이터 본체와, 컨텐츠 리스트내의 정보를 삭제한다.
여기서, 서브영역이 증가한 컨텐츠의 삭제명령을 내는 대신에 증가, 감소에도 불구하고 최근 변경한 컨텐츠의 삭제명령이라도 상관없다. 데이터 송출장치에서 삭제 대상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고, 수신단말에서 컨텐츠의 변경이력을 취해 둠므로써, 수신단말에서 최근 변경한 컨텐츠의 삭제를 행하여도 상관없다.
또, 수신단말에서 오버플로우한 시점에서 수신·축적하려고 했던 컨텐츠 데이터를 삭제하여도 상관없다. 또, 오버플로우하였을 때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와 계약자 ID를 갖는 컨텐츠 데이터 모두를 삭제하여도 상관없다. 계약자 ID에 한하지 않고, 디렉토리명이나, 그외 컨텐츠의 부가 정보로부터 같은 정보를 갖는 컨텐츠 모두를 삭제하여도 상관없다.
더욱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데이터 송출장치에서 수신단말의 오버플로우 이력정보로서 오버플로우한 단말 ID와, 오버플로우한 원인, 앞의 예에서는 최근 최대사이즈를 증가시킨 서브영역 ID=2,6을 취하여 두고, 하나의 수신단말이 일정기간내에서 같은 원인으로 Y회 이상 오버플로우하면, 그 수신단말에 모두 삭제명령을 내는 것도 고려된다. Y는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입력하는 운용값으로 한다.
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단말내의 컨텐츠 데이터 일람중에 시청이력을 설치하여 수신단말의 데이터 표시(205)에 컨텐츠 표시할때마다 데이터 처리부(203)가 표시한 컨텐츠의 시청 이력 레코드에 그 일시를 입력한다. 수신단말에서 기억영역이 오버플로우될 때, 데이터 할당부(208)가, 장기간 시청되고 있지 않았던 것부터 우선적으로 소거하여도 상관없다. 도 17의 컨텐츠 일람중에서는 시청이력의 날짜가 가장 과거인 1702 부터 삭제한다.
이상에 의하여,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가 변경할때,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 단말의 기억영역의 계약사이즈를 오버플로우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오버플로우 되었을때에도 적절한 삭제대상의 컨텐츠를 데이터 송출장치 또는 수신단말에서 오버플로우된 상태로부터의 조급한 복귀가 가능하게 된다.
(제5 실시예)
실시형태 5는 실시형태 1과 동일, 도 1과 같이 구성된다. 실시형태 5에서는 축적을 행하는 수신단말에 대하여 통신 경유로 기억영역에서 삭제하여야 할 컨텐츠 데이터의 지시를 행하는 데이터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삭제하여야 할 컨텐츠 데이터의 리스트인 삭제 데이터 리스트를 효율적으로 배분송신, 관리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수신단말에 대하여 삭제하고 싶은 컨텐츠 데이터의 지시를 하기위한 삭제 데이터 리스트의 관리정보이다. 데이터 송출장치의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축적관리정보 유지부(1032)에서 유지된다. 삭제 데이터 리스트 관리정보에는 버전 번호가 붙여져있고, 버전마다 삭제하여야 할 컨텐츠 ID의 리스트가 붙어있다. 버전마다 붙어있는 단말취득율은 모든 말단중 몇퍼센트의 단말이 그 버전의 삭제 데이터 리스트를 취득성공하였는가의 정보이다. 도 25는 데이터 송출장치의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단말관리정보유지부(1031)에서 유지하고 있는 단말마다의 관리정보인 단말관리정보이다. 단말마다 붙여진 유니크한 단말 ID와, 그 단말이 취득성공한 삭제 데이터 리스트의 버전번호를 유지하고 있다.
수신단말은 데이터 송출장치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자신의 단말 ID와 함께 삭제 데이터 리스트 취득요구를 낸다. 데이터 송출장치에서는 통신부(106)를 통하여 단말관리부(104)에 있어서, 도 25의 단말관리 정보로부터 그 단말 ID를 검색한다.검색의 결과, 그 단말의 취득이 끝난 삭제리스트의 버전을 얻는다. 축적관리부(107)로 단말 ID와 취득이 끝난 삭제데이터 리스트의 버전을 전해주면 축적관리부(107)는 그 버전 보다도 큰 버전번호를 갖고, 또한 배분송신개시일이 지난 삭제 데이터 리스트를 도 24로 부터 취득하여 삭제하여야 할 컨텐츠 ID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단말관리부(104)를 경유하여 수신단말에 통신부(106)를 통하여 배분송신한다. 예를들면 단말 ID=1이 11월 4일에 삭제 데이터 리스트 요구로 왔을 때 취득이 끝난 버전은 2501과 같이「1」이기 때문에 버전 2와 3의 삭제리스트, 즉 컨텐츠 ID=12, 3, 18, 22의 삭제데이터 리스트를 단말 ID=1의 수신단말로 되돌린다.
삭제데이터 리스트를 수취한 수신단말은 컨텐츠 ID가 나타내는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영역에서 삭제하여, 삭제성공통지를 통신회선 경유로 데이터 송출장치로 통지한다. 삭제성공통지를 수취한 데이터 송출장치는 단말관리부(104)에서 도 25의 단말관리정보의 단말 ID=1의 취득이 끝난 삭제데이터 리스트의 버전(2501)의 값을 3으로 함과 동시에, 축적관리부(107)에서 도24의 버전 2,3의 단말취득율(242, 243)의 계산을 다시하여 수정한다. 축적관리부(107)는 도 24의 삭제 데이터 리스트의 버전의 취득율이 100% 또는 일정한 비율로 되면, 그 삭제 데이터 리스트의 버전을 삭제한다. 여기서 단말의 취득율을 100%가 아닌, 90% 등으로 삭제 데이터 리스트의 버전을 삭제하는 설정으로 한 경우, 버전을 삭제한 후에, 장기간 취득요구를 내지 않고 있었던 수신단말이 취득요구를 해오는 경우가 있다. 예를들면 버전 3 이후 밖에 데이터 송출장치에서 유지하고 있지 않을 때에, 버전 1 밖에 취득하고있지 않은 수신단말이 삭제데이터 리스트의 취득 요구를 해오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앞서의 수순에 있어서 축적관리부(107)가 도 24의 삭제리스트의 버전 검색시에「버전 2가 부족하다」라는 것을 검지하여 그 수신단말에는 컨텐츠 데이터의 모두 삭제 명령을 낸다.
더우기 축적관리부(107)에서 단말별로 작성하는 삭제 데이터 리스트는 수신단말로부터 삭제 데이터 리스트 취득요구가 왔을때에 작성하는 것이 아니고, 미리 만들어서 각 단말마다 유지해 두어도 된다. 또,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취득이 끝난 삭제 데이터 리스트의 버전은 데이터 송출장치장치가 아니고, 수신단말의 축적관리정보유지부(2041)에서 유지함으로써, 수신단말이 삭제 데이터 리스트 취득 요구를 낼때에 이미 취득하고 있는 버전 번호를 건네주는 것으로 그 버전 이후의 삭제 데이터 리스트를 데이터 송출장치가 전해주어도 상관없다.
(제6 실시예)
실시형태 6은 실시형태 1과 동일, 도 1과 같이 구성된다.
실시형태 6에서는 유효한 컨텐츠 등의 유저 선택식의 컨텐츠를 송신하는 데이터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단말에 의하여 축적대상의 컨텐츠 데이터량에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의 수신단말의 기억용량 관리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방송시스템으로서 유효한 컨텐츠 등의 유저선택식의 컨텐츠(선택형 컨텐츠라고 한다)를 송신하는 경우, 수신단말에 의하여 많은 컨텐츠를 수신·축적하는 것과 거의 축적하지 않는 것과 같이, 축적대상의 컨텐츠 데이터 량에 편차가 발생해서, 데이터 송출측에서 용량의 관리를 행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도 13에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데이터 송출장치의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축적관리정보유지부(1032)에 있어서 선택형 컨텐츠만큼의 영역을 확보하여 두고, 수신단말의 최대축적 사이즈로 부터 빼서 축적관리한다. 서브영역의 합계 사이즈는 수신단말의 최대기억용량으로부터 선택형 컨텐츠만큼의 영역사이즈를 뺀값이하가 되도록 축적관리부(107)에서 관리한다. 이 값은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입력된다. 또, 수신단말의 기억영역(204)의 축적관리정보유지부(2041)에도 도 13의 선택형 컨텐츠만큼 영역을 관리한다. 수신단말에서도 도 13의 패스는 데이터 송출장치의 축적관리정보유지부(1032)내와 같을 필요는 없다.
수신단말로의 도 13의 정보의 입력은 축적관리정보와 함께 데이터 송출장치로부터 배분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수신단말에서는 선택대상의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부(201)에서 수신하여 도 8의 컨텐츠 일람에 유지한다(808, 809). 이 시점에서는 선택대상의 컨텐츠는 데이터 본체를 축적하고 있지 않기때문에 데이터명과 데이터 본체 또는 데이터의 포인터의 항목은 존재하지 않는다. 데이터 표시부(205)에서 선택대상의 컨텐츠(컨텐츠 ID=101, 102)를 표시하고, 조작자가 입력부(206)로부터 컨텐츠(컨텐츠 ID=102)를 선택 입력한다. 선택된 컨텐츠 ID를 전해준 데이터 할당부(208)에서는 선택된 컨텐츠의 사이즈를 취득하고, 선택을 마친 선택형 컨텐츠의 합계 사이즈가 도 13의 사이즈이하인 것을 체크한다. 도 13의 사이즈 이하인 경우, 선택된 컨텐츠(컨텐츠 ID=102)를 데이터 할당부(208)가 축적하고, 도 8의 809의 컨텐츠 종별과, 데이터영역과, 데이터 본체 또는 데이터의 포인터의 항목을 변경한다. 또 여기서는 수신단말의 선택형 컨텐츠 데이터의 영역사이즈가 모두 같다고 하였지만 데이터 송출장치로 도 13의 선택형 컨텐츠만큼 영역을 수신단말별로 관리함으로써 수신단말마다 달라도 된다.
더욱이 이 예에서는 수신단말측에서 선택형 컨텐츠 데이터의 총량 체크를 행하고 있지만, 데이터 송출장치측에서 행하여도 된다. 이 경우 컨텐츠 데이터의 선택자체는 수신단말을 갖는 유저로부터 전화나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한 통신회선으로 컨텐츠 데이터의 선택을 행하고, 데이터 송출장치의 축적관리부(107)에서 수신단말별로 선택되어있는 컨텐츠 데이터의 전체사이즈를 관리하여 각각의 수신단말의 (선택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의 전체사이즈 + 금회유저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가 도 13의 선택형 컨텐츠 데이터용 최대사이즈이내인 것을 체크한 다음, 수신단말에 컨텐츠 데이터를 배분송신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실시형태 7은 실시형태 1과 동일, 도 1과 같이 구성된다. 실시형태 7에서는 복수의 컨텐츠중, 송출데이터에 부가된 수신조건에 의하여 어느것을 취할것인가를 결정하는 것과 같은 운용을 하였을 때의 본 발명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신조건이란 예를들면 전국에 점포를 가진 사업자가 지방의 기후에 맞춘 상품정보를 송부하는 경우의 지방조건(홋카이도 큐슈 등)이나, 수신단말의 기종에 의한 조건 등이다. 이 수신조건은 어떤 것이여도 된다.
도 14는 수신단말의 기억영역(204)의 축적관리정보유지부(2041)에 유지되어 있는 수신단말마다의 속성정보예이다. 기종과 같이 수신단말의 납입시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속성이나, 홋카이도, 큐슈 등의 지역을 나타내는 지역조건과 같이 초기 기동시에 수신단말의 입력부(206)로부터 유저에 입력을 구함으로써 설정하는 특성이나, 사용빈도와 같이 수신단말이 자동적으로 설정·수정하는 속성 등이 설정되어 있다. 수신단말의 속성은 데이터 송출장치가 송출하는 데이터에 붙여있는 수신조건에 대응하고 있다.
컨텐츠의 송출데이터에 붙여지는 수신조건은 데이터 송출장치의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컨텐츠를 입력할때 동시에 입력된다. 입력된 수신조건이 붙은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유지부(1033)에 유지되어 통상의 데이터 입력시와 마찬가지로 축적관리부(107)를 경유하여 스케쥴 관리부(102)에서 스케쥴링된다. 도 19는 데이터 송출장치가 송출하는 조건부 송출데이터 예이다. 하나의 컨텐츠 중에는 부가정보(1901)와 컨텐츠 데이터 본체(1902)가 있다. 부가정보(1901)중에는 본체사이즈 등의 정보외에 수신조건(1903)이 부가되어 있다. 이 도면중에는 도 14의 3 종류의 조건중,「수신단말의 기종이나 사용빈도에 관계없이, 지역이 칸토(40대=칸토)」라는 조건이 붙여있다. 마찬가지로,「지역이 칸사이」「지역이 큐슈」라는 조건이 붙은 컨텐츠가 송출된다. 데이터 송출장치가 송출부(105)를 통하여 수신단말에 도 19의 데이터를 송출하였을 때 도 14의 속성정보를 가진 수신단말에서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면 데이터 처리부(203)에서 자신의 속성과 컨텐츠에 부가된 수신조건을 비교하고,「지역이 칸토」라는 조건이 붙은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하여 데이터 할당부(208)에서 축적하고,「지역이 칸사이」「지역이 큐슈」라는 컨텐츠 축적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이 예와 같이 그룹화된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단말이나 수신조건에 의하여 축적대상이 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선택수가 0 또는 1로 되는 경우, 앞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하여 수신단말에서 기억영역의 오버플로우가 일어나지 않도록 데이터 송출장치측에서 관리하기 위해서는 그룹화된 컨텐츠 데이터 각각의 서브영역을 동일 최대사이즈로 하든가, 또는 그룹내에서 가장 큰 최대사이즈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도 22에 데이터 송출장치에서 유지하는 그룹화된 서브영역 관리정보예를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브영역 관리정보에는 그룹 ID가 붙어 있다. 이 그룹 ID는, 도 1의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서브영역 관리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되는 것이다. 데이터 입력부(101)가 입력된 서브영역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축적정보유지부(1032)에 보존하고, 축적관리부(107)에 통지하였을 때, 축적관리부(107)에서는 동일한 그룹 ID를 갖는 서브영역이 복수있을지라도 그룹 ID하나에 대하여 하나의 서브영역 최대사이즈만큼 만을 서브영역의 합계에 더하여 수신단말의 최대축적사이즈이내인가 여부를 체크한다. 도 22의 예에서는 모든 서브영역이 동일 그룹 ID이기 때문에 수신단말의 기억용량중, 컨텐츠 데이터의 기억용 최대사이즈인 최대축적사이즈(도 5의 54)가 30MB이상이면 충분하다.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입력된 서브영역의 정보에 이미 존재하는 그룹 ID가 붙어있는 경우는 동일 그룹 ID가 붙여진 서브영역이 같은 최대사이즈인가 여부를 축적관리부(107)에서 체크한다. 체크의 결과, 같은 최대사이즈가 아니면 축적관리부(107)가 에러를 내고 입력된 서브영역을 등록하지 않는다.
또, 수신조건이나 속성정보에 따라서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단말에서 축적대상이 되는 시스템도 고려할수 있고, 그 경우는 그룹화된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의 합계 사이즈를 데이터 송출장치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도 23은 서브영역 관리정보와 아울러 그룹 정보를 설치하는 예이다. 그룹 ID별로, 그룹내의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 합계값을 설정된다. 도 23에서는 그룹 ID가 1인 서브영역의 사이즈의 합계가 40MB인 것을 도시한다. 데이터 입력부(101)가 입력된 그룹 ID=1의 서브영역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축적정보유지부(1032)에 보존하여 축적관리부(107)에 통지하였을 때, 축적관리부(107)에서는 그룹 ID=1의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의 합계가 2304에 설정한 40MB이내인 것을 체크한다. 도 23에서는 2301, 2302, 2303의 최대사이즈의 합계가 40MB이므로, 체크의 결과 정상으로 등록된다.
다음에, 컨텐츠의 수신조건 또는 수신단말에서의 속성이 바뀔가능성이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들면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수신조건을「칸토」에서 현(縣) 단위의 조건으로 변경하거나,「사용빈도가 레벨 3이상」와 같은 수신단말의 속성정보가 변화하여 별도의 컨텐츠가 축적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등이다. 이와같은 경우의 과거의 수신조건·속성정보시에 수신단말이 취득·축적한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 방법을 설명한다.
도 32는 수신조건을 갖는 컨텐츠의 일람의 예이다. 컨텐츠 1,2,3은 같은 그룹의 컨텐츠로 각각 순서대로「사용빈도가 2이하」,「사용빈도가 3」,「사용빈도가 4이상」이라는 조건이 붙여있다고 가정하자. 도 33은 그룹 ID를 갖는 서브영역 관리정보와, 수신조건 또는 속성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의 그룹정보의 예이다. 도 32, 33에 도시하는 예는 예를들면 사용빈도 3 상태였던 수신단말이 그 속성에 따라 컨텐츠(2)를 축적하고 있다고 하면, 그 수신단말의 사용빈도가 4로 되었을때 컨텐츠(2)가 아닌 컨텐츠(3)가 수신 대상으로 된다. 이와같이 컨텐츠 데이터에 붙어있는 수신조건은 변하지 않더라도 수신단말측의 속성이 변함으로써 수신하는 컨텐츠 데이터가 변경되는 그룹 ID=1의 예이다. 도 33의 그룹정보의 3304는 그룹 ID=1의 수신 조건·속성이 변경으로 되는 기간( = 과거의 수신 조건·속성정보시에 수신단말이 취득·축적한 컨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간)이 2월 3일부터 컨텐츠가 존재하는 기간동안 계속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도 32 및 도 33의 예를 사용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하고서부터 송출데이터의 작성수순에 대하여 도 31의 플로우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33의 서브영역 관리정보와 그룹정보란,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입력되어 축적관리부(107)의 관리하에 데이터 베이스부(103)에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송출장치에서는 송출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데이터 입력부(101)로부터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컨텐츠 유지부(1033)에 보존한다(3101). 컨텐츠 데이터의 입력은 컨텐츠 데이터 본체와 함께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ID, 계약자 ID, 서브영역 ID, 변경예정일, 수신조건을 지정한다. 컨텐츠 데이터가 입력된 것을 데이터 베이스부(103)가 축적관리부(107)에 통지한다(3102). 축적관리부(107)는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데이터의 버전 번호, 데이터 사이즈, 데이터명, 데이터 본체 또는 데이터의 포인터를 컨텐츠의 일람에 설정한다(3103). 축적관리부(107)는 축적관리정보유지부(1032)에 있는 축적관리정보(도 32)를 보고, 입력된 컨텐츠 사이즈가 변경예정일 이후,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최대사이즈내에 수납되는 것을 체크한다(3104).
변경예정일 이후에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최대사이즈내에 수납되지 않는 경우, 경고를 발하여 송출개시일로서 서브영역에 수납되는 일시를 설정하든가, 또는 에러를 발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등록처리를 중지한다(3108). 서브영역 관리정보의 최대사이즈내에 수납되는 경우, 축적관리부(107)는 변경예정일과 같은 값을 송출개시일로 설정하고, 그룹 ID에 1을 설정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정식등록을 행하고, 스케쥴 관리부(102)에 통지한다(3105). 스케쥴 관리부는 컨텐츠 일람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함과 동시에 그룹 ID로부터 각각의 컨텐츠의 그룹정보를 얻는다(3106). 스케쥴 관리부(102)는 그룹정보에 의하여 컨텐츠가 소속하는 그룹이 조건변경기간내에 있는 것을 알면 각각의 컨텐츠의 직전에 그룹내의 다른 모든 컨텐츠의 삭제 지시데이터를 넣어 도 20과 같은 송출데이터를 작성한다(3107).
도 20은 상술한 도 31의 수순에 의하여 작성한 송출데이터의 예이다. 컨텐츠 1, 2, 3은 같은 그룹의 데이터로 각각 순서대로「사용빈도가 2이하」,「사용빈도가 3」,「사용빈도가 4이상」이라는 조건이 붙어있다고 한다. 사용상태 3 상태였던 수신단말이 그 속성에 따라 컨텐츠 2을 축적하고 있다고 한다. 그 수신단말의 사용빈도가 4로 되었을 때 컨텐츠 2가 아닌 컨텐츠 3이 수신대상으로 된다. 도 20의 수신단위의 최초로부터 취득하기 시작하여 컨텐츠 3과 동일한 수신조건인「컨텐츠 1의 삭제데이터」(2001)와「컨텐츠 2의 삭제데이터」(2002)을 수신함으로써, 이전 취득한 컨텐츠 2를 삭제한다. 그후 컨텐츠 3 (2003)을 취득, 축적한다. 그 이후의 데이터는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축적하지 않는다. 이로서, 그룹내의 컨텐츠중어느것인가가 반드시 축적된 상태로 또한 조건이 변하더라도 오래된 조건시의 컨텐츠도 삭제가능하게 된다. 다만, 컨텐츠를 유니크하게 결정하는 식별(예에서는 컨텐츠 ID)가 변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예 이외에 조건없는「컨텐츠 1 삭제데이터」,「컨텐츠 2 삭제 데이터」,「컨 3 삭제 데이터」의 데이터와, 조건부의「컨텐츠 1」,「컨텐츠 2」,「컨텐츠 3」의 데이터를 하나의 수신단위로 송출하여도 상관없다.
또, 수신단말으로 유지하는 속성의 종류를 추가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축적관리정보를 통신경유로 수신단말이 취득에 올때에 데이터 송출장치가 새로운 속성정보를 건네주어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수신조건을 갖는 컨텐츠를 그룹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수신조건에 맞는 필요한 컨텐츠 데이터 만을 축적할 수가 있다.
(제8 실시예)
실시형태 8은 실시형태 1과 동일, 도 1과 같이 구성된다. 통상의 스케쥴링한 컨텐츠와는 별도로 긴급히 컨텐츠 데이터 삭제를 행함으로써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을 관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도 15에서 송출데이터 스케쥴링 방법의 설명을 행한 바와같이 수신단말에서는 데이터 송출장치로부터 미리 송출되어 있는 도 15의 1516의 스케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어느 수신단위의 어느 버전이 몇시부터 몇시까지 방송되는가를 판단하고,「자신이 유지하고 있는 버전과 다른 경우만 몇시부터 수신축적을 한다」는 축적계획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긴급히 최대사이즈 증가하고 싶은 컨텐츠 데이터가 가능했기 때문에 영역을 비우기 위하여 다른 컨텐츠 데이터를 삭제하고 싶은 것 등이 있더라도, 수신단말의 축적계획에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곧 수신단말로부터 삭제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긴급 컨텐츠 데이터 삭제나 바꿈을 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행할때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1은 긴급용 컨텐츠를 포함하는 송출데이터예이다. 스케쥴되는 수신단위중에 항상 긴급용 수신단위(2102)를 준비하여 통상 컨텐츠와 함께 송출한다. 긴급 컨텐츠가 없을때에는 컨텐츠 데이터 본체는 비어있다. 사전에 방송하고 있는 스케쥴 정보(2103)중 긴급용 수신단위의 스케쥴 정보에는 매회 버전을 바꾸어서 송출한다. 따라서, 긴급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을때에도 수신단말은 반드시 긴급용 수신단위(2102)를 축적 예약되어 있게 된다. 데이터 송신장치에서는 긴급히 송신할 필요가 있는 컨텐츠가 생겼을때 현재시각에서 가장 빠른시간에 방송 예정인 긴급용 수신단위(2102)로 그 컨텐츠 데이터를 넣어서 방송한다. 스케쥴 단위중에 긴급용 수신단위를 빈번히 집어넣으면, 그 만큼 재 빠르게 긴급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더욱이, 전원 OFF로 되어있는 수신단말로의 축적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경우, 항상 긴급용 수신단위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긴급발생할때마다, 스케쥴을 다시 해서 송출하여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하여, 스케쥴 계획외의 긴급한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 바꿈을 조급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실시형태 1로부터 8까지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통신과 방송의 쌍방을이용한 시스템의 일예이고, 이 예외에 데이터의 일부를 통신으로 송수신하는 시스템도 상관없고, 발명의 의도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일부를 방송만의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되어 왔지만, 당업자이면 이 발명을 용이하게 변경 및 개변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와같은 변경부분도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35)

  1.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을 관리하는 축적관리부와,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용량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이고, 적어도 컨텐츠 데이터를 분류하는 분류번호와 분류번호마다의 최대사이즈를 기술한 축적관리정보와 컨텐츠 데이터를 유지하는 데이터 베이스부와, 데이터의 배분송신을 스케쥴링하는 스케쥴 관리부와,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출부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케쥴 관리부가 결정한 스케쥴대로 수신단말에 분류번호와 컨텐츠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번호를 부여한 컨텐츠 데이터 및 축적관리정보를 배분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2. 상기 데이터 송출장치로부터 방송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통신회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취득하는 통신부와, 축적을 행하기 위한 기억영역과,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영역에 할당하는 데이터 할당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할당부는 상기 통신부에 있어서 취득한 축적관리정보에 의하여 기억영역내의 축적관리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데이터 할당부는 상기 수신부가 취득한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영역에 축적하는 경우, 축적하더라도 기억영역내의 분류번호마다의 컨텐츠 데이터의 합계사이즈가 기억영역내의 축적관리정보에 기술된 분류번호마다의 최대사이즈를 초과하지 않는가 여부를 확인하고, 초과하지 않는 경우만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관리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축적관리부가, 상기 축적관리정보를 변경하는 확정일과 상기 축적관리부에 설정되는 운용값에 의하여 상기 축적관리정보의 배분송신 개시일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단말이 데이터 송출장치에 대하여 상기 축적관리정보의 취득을 요구하였을 때 혹은 수신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오버플로우된 것을 통지하였을 때에, 상기 축적관리부에 있어서, 수신단말이 미리 결정된 스케쥴에 의한 상기 축적관리정보의 취득에 실패한 것을 검지하고, 상기 축적관리부는 축적관리정보 취득이력으로부터 이 수신단말에 있어서 삭제하여야 할 컨텐츠 데이터의 리스트인 삭제 명령을 작성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삭제명령을 이 수신단말에 배분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통신회선을 통하여 수신한 삭제명령에 기술된 삭제하여야 할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에 따라,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컨텐츠의 일람으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란과 상기 기억영역으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
  6. 제 2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스케쥴에 의한 상기 축적관리정보의 취득에실패한 것을 검지하여, 상기 통신부가 데이터 송출장치에 대하여 상기 축적관리정보의 취득을 요구하고, 최신의 축적관리정보를 취득하였을 때,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새로이 취득한 상기 최신의 축적관리정보와 기억영역이 유지하는 오래된 축적관리정보를 비교하여 삭제하여야 할 컨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컨텐츠의 일람으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란과 상기 기억영역으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
  7. 제 2 항에 있어서, 축적관리정보의 변경이력과 컨텐츠 데이터를 유지하는 상기 기억영역과, 컨텐츠의 일람을 관리하는 상기 데이터 할당부를 갖고,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든가 혹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축적관리정보를 갱신하든가하여, 분류 번호마다의 최대사이즈를 컨텐츠 데이터의 총량이 초과하는 것을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상기 축적관리정보의 변경이력을 근원으로, 원인이 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컨텐츠의 일람으로부터 해당하는 이 컨텐츠 데이터의 란과 상기 기억영역으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관리부가 상기 축적관리정보에 유효기간을 붙여서 배분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타이머 처리를 행하는 타이머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통신부가 유효기한이 붙은 축적관리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타이머 처리부가 상기 유효기간에 의하여 상기 기억영역이 유지하는 축적관리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
  10. 제 1 항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데이터 베이스부가 수신단말의 최대축적사이즈를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한 서브영역마다의 최대사이즈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서브영역을 지정하여 컨텐츠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축적관리부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가 유지하는 서브영역마다의 최대사이즈를 초과하고 있지 않는가 여부를 체크하고, 초과하고 있지않는 컨텐츠 데이터만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의 변경에 있어서, 최대사이즈가 증가하는 서브영역 혹은 추가되는 서브영역과, 감소하는 서브영역 혹은 삭제되는 서브영역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케쥴 관리부가 삭제지시데이터 또는 감소데이터를 먼저 배분송신하고, 추가데이터 또는 증가데이터를 후에 배분송신하도록 스케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최대사이즈가 증가하는 서브영역 혹은 추가되는 서브영역이 있는 경우에, 서브영역의 변경이력을 상기 축적관리부가 취함으로서, 서브영역의 변경이력을 사용하여 상기 스케쥴 관리부가 추가데이터 또는 증가데이터 이전에 배치조건에 맞는 기간내에 최대 사이즈가 감소한 서브영역하의 컨텐츠 데이터 또는 삭제된 컨텐츠 데이터를 배치하여 스케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의 변경에 있어서, 최대사이즈가 증가하는 서브영역 혹은 추가되는 서브영역과, 감소하는 서브영역 혹은 삭제되는 서브영역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축적관리부에 설정되는 운영값을 사용하여, 상기 스케쥴 관리부가 삭제지시데이터 또는 감소데이터를 먼저 배분송신하고, 추가데이터 또는 증가 데이터를 후에 배분송신하도록 스케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각 수신단말에 대한 삭제 지시 데이터 또는 감소데이터를 취득하였는가 여부의 이력을 관리하는 단말관리부를 더 구비하고, 서브영역의 최대사이즈의 변경에 있어서, 최대사이즈가 증가하는 서브영역 혹은 추가되는 서브영역과 감소하는 서브영역 혹은 삭제되는 서브영역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축적관리부는 상기 단말관리부가 관리하는 각 수신단말이 삭제지시 데이터 또는 감소데이터를 취득하였는가 여부의 이력으로부터 통계를 취하고, 취득 성공한 수신단말의 비율을 구하여 일정한 비율을 초과한 시점에서 추가데이터 또는 증가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스케쥴 관리부가 스케쥴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관리부가 각 서브영역의 변경 이력 또는 각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 변경이력을 유지함으로써, 수신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오버플로우된 것이 통지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축적관리부는 서브영역의 변경이력 또는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 변경이력을 근원으로 삭제되어야할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인 삭제 명령을 작성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삭제 명령을 당해 수신단말에 배분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축적한 각 서브영역의 변경이력 또는 각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 변경이력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함으로서 분류번호마다의 최대사이즈를 초과하는 것을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 변경이력을 근원으로 삭제하여야 할 컨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컨텐츠의 일람으로부터 해당하는 이 컨텐츠 데이터의 란과 상기 기억영역으로부터 이 컨텐츠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함으로서 기억영역의 최대축적사이즈를 초과하는 것을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삭제조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부로부터 삭제하고, 컨텐츠 일람으로부터 해당하는 란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조건이 분류번호 혹은 컨텐츠 데이터에 부가된 식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관리부에 있어서의 데이터가 오버플로우된 것을 수신단말로부터 통지했을 때의 이력을 각 수신단말마다 관리함으로써 그 이력정보가 일정 조건을 만족한 수신단말이 있는 것을 검지하고, 상기 통신부가 모든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 명령을 당해 수신단말에 배분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함으로써 분류번호마다의 최대사이즈를 초과하는 것을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기억영역이 오버플로우에 관한 이력정보를 유지함으로써, 그 이력정보가 일정조건을 만족하였을 때에는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컨텐츠 데이터 전부를 기억영역으로부터 삭제하고, 컨텐츠 일람으로부터 모든 란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마다 시청이력을 기억영역에 유지해 둠으로써,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함으로써 기억영역의 최대사이즈를 초과하는 것을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검지한 경우에 컨텐츠 데이터중 가장 장기간 시청되고 있지 않은 컨텐츠 데이터부터 우선하여 삭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관리부에 있어서, 통신회선 경유로 배분송신한 삭제명령의 수신단말의 취득정보를 각 수신단말마다 관리함으로써 수신단말 각각에 대하여 이 수신단말이 취득하고 있지 않는 삭제하여야 할 컨텐츠 데이터만의 리스트로 이루어지는 삭제명령을 상기 축적관리부가 작성하고, 상기 통신부가 배분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관리부에 있어서, 어떤 일정비율 이상의 수신단말에 취득된 삭제하여야 할 컨텐츠 데이터의 리스트를 데이터 베이스부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24. 제 2 항에 있어서, 축적하여야 할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영역에 있어서, 선택형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최대사이즈인 선택형 컨텐츠 데이터 최대사이즈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입력부에 있어서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수신부가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의 사이즈를 확인하고, 당해 컨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더라도 상기 기억영역이 유지하는 선택형 컨텐츠 데이터 최대사이즈를 초과하지 않을때에만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억영역에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
  2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출장치가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그룹내의 각각의 컨텐츠 데이터가 다른 수신조건을 설정하여 송출할때, 상기 기억영역이 수신단말 또는 시청자 고유의 속성인 속성정보를 유지하고, 데이터 처리부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동일 그룹의 컨텐츠 데이터중, 상기 기억영역이 유지하는 속성정보와 일치하는 수신조건이 설정된 컨텐츠 데이터만을 선택하고, 상기 데이터 할당부가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선택한 컨텐츠 데이터만을 상기 기억영역에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
  2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그룹내의 각각의 컨텐츠 데이터에 다른 수신조건을 설정한 데이터를 수취하는 데이터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동일 그룹내에서 컨텐츠 데이터에 설정하는 수신조건을 변경할 때, 혹은 수신단말에서 유지하는 상기 속성정보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을때, 상기 스케쥴 관리부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마다 당해 컨텐츠 데이터와 같은 그룹내의 다른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 지시 데이터를 부가하여 송출데이터를 작성하고, 상기 송출부가 송출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내의 컨텐츠 데이터에 붙어있는 수신조건이, 상기 수신단말에 있어서의 입력부가 동일 그룹내의 컨텐츠 데이터 중에서 오직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 만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조건일 때,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가 유지하는 축적관리정보에 있어서 동일 그룹내의 컨텐츠 데이터의 최대사이즈를 동일하게 설정함과 동시에 각각의 그룹의 최대사이즈의 합계 사이즈를 축적영역의 최대사이즈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 관리부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스케쥴링한 컨텐츠 데이터용이란, 별도로 예비 송출시간대를 준비하고, 통상의 스케쥴외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출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예비준비 송출시간대에 송출데이터를 작성해서, 상기 송출부에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출장치.
  29. 전송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으로서,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의 수신단말은 수신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마다 상기 수신단말의 어느 기억영역에 두는가의 할당을 행하는 데이터 할당부를 갖고, 상기 수신단말에 대하여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장치는 각 데이터에 대하여 할당할 수가 있는 상기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증감을 예측 혹은 파악한 결과에 따라, 송출스케쥴을 짜는 스케쥴 관리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전송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 송출장치의 상기 스케쥴 관리부는 상기 송출하고 있는 임의의 데이터가 증가하고, 더욱더 상기 송신하고 있는 다른 데이터가 감소하는 것이 예측될때, 잠시 상기 다른 데이터를 감소하여 송신한 후에, 상기 임의의 데이터를 증가하여 송신하도록 송출스케쥴을 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
  31. 전송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으로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신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장치는 각 데이터에 대하여 할당할 수 있는 상기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증감을 예측 혹은 파악한 결과에 따라서 송출스케쥴을 짜는 스케쥴 관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전송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 송출장치의 상기 스케쥴 관리부는 상기 송출하고 있는 임의의 데이터가 증가하고, 더욱이 상기 송신하고 있는 다른 데이터가 감소할 것이 예측될때, 잠시 상기 다른 데이터를 감소하여 송신한 후에 상기 임의의 데이터를 증가하여 송신하도록 송출스케쥴을 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
  33. 전송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방법으로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신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장치는 각 데이터에 대하여 할당할 수 있는 상기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증감을 예측 혹은 파악한 결과에 따라 송출스케쥴을 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방법.
  34. 전송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신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장치는 각 데이터에 대하여 할당할 수 있는, 상기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증감을 예측 혹은 파악한 결과에 따라, 송출스케쥴을 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35. 전송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프로그램으로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신단말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장치는 각 데이터에 대하여 할당할 수 있는, 상기 수신단말의 기억영역의 증감을 예측 혹은 파악을 결과에 따라, 송출스케쥴을 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스케쥴 프로그램.
KR1020020010534A 2001-02-27 2002-02-27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 및 그에 관한 장치 또는 방법또는 기록매체 또는 프로그램 KR20020070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91212592U TW527930U (en) 2002-02-27 2002-08-14 Portable hip-bat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53088A JP2002259282A (ja) 2001-02-27 2001-02-27 データ放送スケジュール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関する、装置または方法または記録媒体またはプログラム
JPJP-P-2001-00053088 2001-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147A true KR20020070147A (ko) 2002-09-05

Family

ID=18913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534A KR20020070147A (ko) 2001-02-27 2002-02-27 데이터 방송스케쥴 시스템, 및 그에 관한 장치 또는 방법또는 기록매체 또는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20163925A1 (ko)
EP (1) EP1237097A3 (ko)
JP (1) JP2002259282A (ko)
KR (1) KR20020070147A (ko)
CN (1) CN100342729C (ko)
TW (1) TW5898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9282A (ja) * 2001-02-27 2002-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放送スケジュール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関する、装置または方法または記録媒体またはプログラム
US7853495B2 (en) * 2001-12-28 2010-12-14 Access Co., Ltd. Usage period management system for applications
GB0321674D0 (en) * 2003-09-16 2003-10-15 Cognima Ltd Catching content on phones
US8141118B2 (en) 2004-07-26 2012-03-20 Microsoft Corporation Data broadcasting receiver power management
US7653018B2 (en) * 2004-07-27 2010-01-26 Microsoft Corporation Differential update for data broadcasting
WO2006080228A1 (ja) * 2005-01-28 2006-08-03 Access Co., Ltd. 端末装置、光学的読取コード情報提供方法、光学的読取コード生成方法
US7565506B2 (en) * 2005-09-08 2009-07-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content based on receivers characteristics
US20070079342A1 (en) * 2005-09-30 2007-04-05 Guidework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local storage of on-demand content
US20070180115A1 (en) * 2006-02-02 2007-08-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f-configuring multi-type and multi-location result aggregation for large cross-platform information sets
JP2008083989A (ja) * 2006-09-27 2008-04-10 Sony Corp データ管理システム
US20090125740A1 (en) * 2007-11-09 2009-05-14 Ragan Steven M Dual programmable energy saving timer system
CN101470744B (zh) * 2007-12-27 2011-06-22 英业达股份有限公司 资料传输方法
JP2010049366A (ja) 2008-08-19 2010-03-04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遠隔指示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2339323B (zh) * 2011-11-11 2015-12-16 江苏鸿信系统集成有限公司 一种针对db2数据仓库进行数据抽取、调度及展现的方法
US9384208B2 (en) * 2013-01-22 2016-07-05 Go Daddy Operating Company, LLC Configuring a cached website file removal using a pulled data list
DE102015000403B3 (de) 2015-01-13 2016-04-07 Audi Ag Übertragen von Streckendaten an ein Kraftfahrzeug
US9961385B2 (en) 2015-07-27 2018-05-01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News production system with program schedule modification feature
US10114844B2 (en) * 2015-11-30 2018-10-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diness checker for content object mov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115A (ko) * 1995-02-09 1996-09-17 가네꼬 히사시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
KR100207406B1 (ko) * 1995-12-19 1999-07-15 전주범 셋탑 유닛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러 데이타 이용방법
KR20010006324A (ko) * 1997-04-14 2001-01-26 버스트. 컴, 인코퍼레이티드 Vcr과 같은 기능을 가진 비디오 온 디맨드
EP1237097A2 (en) * 2001-02-27 2002-09-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data broadcast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0334B2 (ja) * 1990-03-28 1998-12-02 ソニー株式会社 素材分配システム
US5768539A (en) * 1994-05-27 1998-06-16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Downloading applications software through a broadcast channel
JPH08340351A (ja) * 1995-06-13 1996-12-24 Fujitsu Ltd 衛星同報通信装置
US5751282A (en) * 1995-06-13 1998-05-1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ling video on demand using an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US5951639A (en) * 1996-02-14 1999-09-14 Powertv, Inc. Multicast downloading of software and data modules and their compatibility requirements
US5828653A (en) * 1996-04-26 1998-10-27 Cascade Communications Corp. Quality of service priority subclasses
US5923361A (en) * 1996-05-03 1999-07-13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 subscriber video-on-demand system
US5768528A (en) * 1996-05-24 1998-06-16 V-Cast, Inc. Client-server system for delivery of online information
US5974461A (en) * 1996-06-03 1999-10-26 Webtv Networks, Inc. Method for automatically regenerating information at a client system in the event of power or communication disruption between the client system and the server
US6108706A (en) * 1997-06-09 2000-08-22 Microsoft Corporation Transmission announcement system and method for announcing upcoming data transmissions over a broadcast network
JPH11194943A (ja) * 1997-12-26 1999-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6125370A (en) * 1998-04-01 2000-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partitioning data
US6490670B1 (en) * 1998-04-24 2002-1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allocating objects in object oriented systems
US6219355B1 (en) * 1998-11-30 2001-04-17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Video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US6614804B1 (en) * 1999-03-22 2003-09-02 Webtv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update of clients by a server via broadcast satellite
JP4298045B2 (ja) * 1999-03-24 2009-07-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放送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CN1592403A (zh) * 1999-03-30 2005-03-09 提维股份有限公司 数据存储管理及排程系统和方法
US6341375B1 (en) * 1999-07-14 2002-01-22 Lsi Logic Corporation Video on demand DVD system
AU6775600A (en) * 1999-08-16 2001-03-1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urging code objects being updated by download
US6629284B1 (en) * 1999-10-28 2003-09-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ed downloading of broadcast data
US6557030B1 (en) * 2000-05-31 2003-04-29 Prediwave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ideo-on-demand services for broadcasting systems
US7310678B2 (en) * 2000-07-28 2007-12-18 Kasenna, Inc.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variable bit rate multimedia streaming
US6959327B1 (en) * 2000-08-29 2005-10-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atching and scheduling network transmissions with feedback
JP2002191039A (ja) * 2000-10-11 2002-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端末装置の状態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344405A (ja) * 2001-03-16 2002-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放送スケジュールシステム、それに関する装置、方法、記録媒体またはプログラム
JP2002305482A (ja) * 2001-04-06 2002-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放送スケジュールシステム及び、それに関する、装置または方法または記録媒体またはプログラム
US7069588B2 (en) * 2001-08-29 2006-06-27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computer device against overload via network att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115A (ko) * 1995-02-09 1996-09-17 가네꼬 히사시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
KR100207406B1 (ko) * 1995-12-19 1999-07-15 전주범 셋탑 유닛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러 데이타 이용방법
KR20010006324A (ko) * 1997-04-14 2001-01-26 버스트. 컴, 인코퍼레이티드 Vcr과 같은 기능을 가진 비디오 온 디맨드
EP1237097A2 (en) * 2001-02-27 2002-09-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data broadca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59282A (ja) 2002-09-13
EP1237097A2 (en) 2002-09-04
EP1237097A3 (en) 2004-02-04
CN1383280A (zh) 2002-12-04
TW589884B (en) 2004-06-01
US20020163925A1 (en) 2002-11-07
US20070223506A1 (en) 2007-09-27
CN100342729C (zh)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3506A1 (en) Data broadcast schedule system, and apparatus, method recording medium or program thereabout
US8046406B2 (en) System for data logging
EP1579688B1 (en) Electronic document versioning method and updated document supply method using version number based on xml
EP16117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logging
EP3873066A1 (en) Method for managing resource state information, and resource downloading system
KR20020073452A (ko) 데이터 방송 스케줄 시스템, 그에 관한 장치, 방법,기록매체 또는 프로그램
KR20080016160A (ko) 디바이스 관리 서버를 통한 단말 내부 소프트웨어 관리방법
CN101889409A (zh) 基于广播网络的文件大小估计设备和方法
CN101170575A (zh) 服务器设备和屏幕共享方法
KR20130046398A (ko) 방송 콘텐츠 송신장치 및 방송 콘텐츠 수신장치
EP1684452A2 (en) Receiving terminal with storage management
US20050245256A1 (en) Data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data delivery time
US8423593B2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JP3504015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11089594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dding advertisements to information display systems
US90700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a holding period of output data
EP11436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viding and delivering
US20180293232A1 (en) Generating broadcast log with paired advertisement and primary programming item
EP2104345A1 (en) Template replacement method, system and device
JP201006139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取得装置、情報取得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0896802B1 (ko) Vod 시스템에서 우선순위에 기반한 컨텐츠 관리 시스템및 방법
JP4019721B2 (ja) データ配信装置
JP2004173295A (ja) データ放送スケジュールシステム、それに関する装置、方法、記録媒体またはプログラム
EP36546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memory-efficient electronic program guide
GB2608634A (en) Device data valid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