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9437A -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437A
KR20020069437A KR1020010009740A KR20010009740A KR20020069437A KR 20020069437 A KR20020069437 A KR 20020069437A KR 1020010009740 A KR1020010009740 A KR 1020010009740A KR 20010009740 A KR20010009740 A KR 20010009740A KR 20020069437 A KR20020069437 A KR 20020069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hydroxyphenylglycine
preparation
compound
an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9644B1 (ko
Inventor
이관순
이재헌
장영길
김홍선
박철현
박가승
김철경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644B1/ko
Priority to PCT/KR2002/000301 priority patent/WO2002068428A1/en
Priority to US10/083,777 priority patent/US20020120136A1/en
Publication of KR20020069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01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11/02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11/03Monoam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구용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의 제조시 중간체로 사용될 수 있는 하기 화학식 1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4-hydroxyphenylglycine anhydrides)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4-히드록시페닐글리신과 피발로일 할로겐화물을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화학식 1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경구용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의 제조에 중간체로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은 아미노 보호기를 의미한다.

Description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 및 이의 제조방법{4-HYDROXYPHENYLGLYCINE ANHYDRID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경구용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의 제조시 중간체로 사용될 수 있는 신규 화합물인 하기 화학식 1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4-hydroxyphenylglycine anhydrides)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아미노 보호기를 의미한다.
경구용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인 세파트리진, 세파드록실 또는 세프프로질은 일반적으로 하기 화학식 2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을 반응성 무수물로 전환시킨 다음 β-락탐핵의 아미노기와 아실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반응성 무수물로는 산 염화물, 또는 머캅토벤조티아졸릴 에스테르, 포스포네이트 에스테르, 티오포스포네이트 에스테르 등과 같은 반응성 에스테르, 벤조트리아졸릴 아미드 같은 반응성 아미드, 이미다졸라이드, 트리아졸라이드 등과 같은 반응성 화합물 또는 혼합산 무수물 등이 있다. 그러나, 화학식 2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화합물의 경우에는 이의 4-위치 히드록시기가 카복실산기와 마찬가지로 친핵 반응성이어서 반응성 무수물로 제조하기가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활성 에스테르나 반응성 아미드의 경우 반응이 원하지 않는 부반응 쪽으로 진행되어 원하는 반응성 무수물을 순수한 상태로 분리 또는 수득할 수 없고, 이미다졸라이드 또는 트리아졸라이드의 경우에는 카복실산 외에 히드록시기에도 이미다졸라이드 또는 트리아졸라이드가 부가된 화합물이 수득되는 경향이 있어, 특히 이를 아실화 반응에 사용하면 R-, S- 라세미화(racemization)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산 염화물 반응성 무수물의 공지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미국 특허 제 3,925,418 호에는 4-히드록시페닐글리신을 포스겐과 반응시켜 N-카복시무수물을 제조하고 이에 염화수소 가스를 주입하여 최종적으로 산 염화물의 염산염 형태를 수득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 방법에서는 매우 위험한 유독가스인 포스겐 및 염화수소 가스를 사용하므로 대량 반응시 안전성 측면에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며, 특히 독극물인 포스겐의 사용을 위해 별도의 장치나 설비가 요구된다는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의 사용 자체도 극히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공지의 반응성 유도체들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한 결과, 4-히드록시페닐글리신을 피발로일 할로겐화물과 반응시킴으로써, 경구용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화합물인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구용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의 제조시 중간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아미노 보호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3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4의 피발로일 할로겐화물을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1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R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식에서, X는 Cl, Br 또는 I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 제조에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화학식 3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화합물은 4-히드록시페닐글리신의 아미노기를 통상적인 보호그룹으로 보호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통상적인 보호그룹이란 세팔로스포린계 화합물에서 관례적으로 사용되는 종류의 보호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술적으로 잘 알려진 포밀, 아세틸, 클로로아세틸, 벤질, 벤질리덴, 살리실리덴, 디페닐메틸, 트리페닐메틸, 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t-부톡시카보닐 또는 카보벤질옥시 등이 포함되며, 이 중 특히 산 처리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는 t-부톡시카보닐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학식 4의 피발로일 할로겐화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거나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다(문헌[Beil,2, 320]참조)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은, 화학식 3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화합물과 화학식 4의 피발로일 할로겐화물 및 일정량의 염기를 적합한 용매에 혼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화학식 3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화합물 1.0 당량에 대한 화학식 4의 피발로일 할로겐화물의 양은 1.0 내지 2.0당량,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당량이며, 적합한 용매로는 메틸렌 클로리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아세토니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1,4-디옥산 및 테트라히드로퓨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이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상기 화학식 3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화합물을 기준으로 3 내지 15 배(부피/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배(부피/중량)이다.
또한, 상기 반응에서 사용되는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 n-트리부틸아민, N,N-디메틸아닐린, 피리딘,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이 있으며, 이 중 트리에틸아민이 가장 바람직하다. 염기의 사용량은 상기 화학식 3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화합물 1.0 당량에 대하여 1.0 내지 1.5 당량,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2당량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반응온도는 -10 내지 10℃, 특히 0 내지 5℃가 바람직하며, 반응 완결에 소요되는 시간은 반응온도, 염기의 종류 및 염기의 사용량에 따라 변할 수 있으나, 대략 1 내지 2 시간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은 새로운 구조의 혼합산 무수물로서, 통상의 시약을 사용하여 간단한 반응조건으로도 순수하게 수득할 수 있으며, 특히 β-락탐 핵의 아미노기와 아실화 반응시 R-, S- 라세미화가 전혀 일어나지 않고 부반응 없이 선택적으로 반응이 진행되므로, 결과적으로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인 세파트리진, 세파드록실 또는 세프프로질을 고순도 및 고수율로 수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t-부톡시카보닐아미노-(4-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화학식 3의 화합물)의 제조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33.4g(0.20몰)을 메탄올 340㎖에 섞은 후 트리에틸아민 41㎖(0.294몰)를 가한 다음, 약 40℃까지 승온시켰다. 이 때 현탁액이 점차 투명해지는데, 이 상태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다음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400㎖ 및 물 100㎖를 가하였다. 5% HCl 용액으로 pH를 3.0 내외로 맞춘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한 후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에 벤젠 200㎖를 가하여 30분간 교반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고 벤젠으로 세척한 다음 진공 건조하여 백색의 목적 화합물 45.8g(수율:86%)을 수득하였다.
H-NMR(δ,DMSO-d6): 1.37(9H,s,-OC(CH3)3),4.94(1H,d,8.0Hz,-CH),6.69(2H,d,8.5Hz, 벤젠 환-H), 7.16(2H,d,8.5Hz, 벤젠 환-H), 9.42(1H,brs,NH), 12.57(1H,brs, COOH)
실시예 1 : 피발로일 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히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의 제조
제조예에서 제조된 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26.7g(0.10몰)을 30㎖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100㎖ 의 메틸렌 클로리드의 혼합용매에 가하고 0℃ 까지 냉각시켰다. 이 반응액에 트리에틸아민 14.6㎖(0.105몰)를 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한 후 피발로일 클로리드 12.9㎖(0.105몰)와 메틸렌 클로리드 70㎖ 를 혼합한 용액을 반응온도가 5℃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20분 동안 점적하였다. 이어서, 0℃ 에서 30 분간 교반하고 유기층을 물로 100㎖ 씩 3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증류한 다음, 진공 건조하여 백색 고체의 목적화합물 31.6g(수율:95%)을 수득하였다.
H-NMR(δ, DMSO-d6) : 1.08(9H,s,피발로일 C(CH3)3),1.38(9H,s,-OC(CH3)3),5.20(1H, d,7.5Hz,-CH),6.74(2H,d,8.5Hz,벤젠 환-H),7.24(2H,d,8.5Hz, 벤젠 환-H),7.86(1H, d,7.4Hz,-NH),9.56(1H,s, -OH)
IR(Cm-1,KBr) : 3451,2980,1804,1701,1513,1173,1055,1021,953.566
실시예 2: p-메톡시벤질 7β-[D-2-(t-부톡시카보닐아미노)-2-(p-히드록시페닐) 아세트아미도]-3-[프로펜-1-일]-3-세펨-4-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세팔로스포린 항생제의 제조예)
p-메톡시벤질 7-아미노-3-[프로펜-1-일]-3-세펨-4-카복실레이트 염산염 2.0g(5.04밀리몰)을 에틸 아세테이트 40㎖와 물 40㎖에 용해시키고 포화중조 용액을 가해 pH를 3.3에 맞추었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무수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다시 감압 증류하였다. 오일 상태의 잔사에 아세토니트릴 40㎖를 가하고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피발로일 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히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1.77g(5.04밀리몰)을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증류하여 아세토니트릴을 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40㎖와 물 40㎖를 가한 다음, 유기층을 분리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여과하고 여액을 다시 감압증류하였다. 잔사에 메탄올 10㎖를 가해 결정화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미백색의 목적화합물 2.82g(수율:89%)을 수득하였다.
H-NMR(δ,DMSO-d6): 1.37(9H,s,-OC(CH3)3), 1.47(3Hx10/11,d,6.8Hz,Z-CH3), 1.74 (3Hx1/11,d,5.7Hz,E-CH3), 3.74(3H,s,-OCH3), 5.02~5.19(4H,m,-CO2CH2CH-,6-H), 5.53~5.60(1H,m,비닐H), 5.08~5.72(1H,m,7-H),6.01(1H,d,11.3Hz,비닐H), 6.65(2H,d,8.5Hz,벤젠 환-H), 6.91(2H,d,8.6Hz,벤젠 환-H), 7.19(2H ,d,8.5Hz,벤젠 환-H), 7.34(2H,d,8.6Hz,벤젠 환-H), 9.03(1H,d,8.4Hz-NH), 9.34(1H,s,-OH)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은, 새로운 구조의 혼합산 무수물로서 통상의 시약을 사용하여 간단한 반응조건으로도 순수하게 수득할 수 있으며, 특히 β-락탐 핵의 아미노기와 아실화 반응시킬 때 R-, S- 라세미화가 전혀 일어나지 않고 부반응 없이 선택적으로 반응이 진행되므로, 결과적으로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인 세파트리진, 세파드록실 또는 세프프로질을 고순도 및 고수율로 수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아미노 보호기를 의미한다.
  2. 하기 화학식 3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4의 피발로일 할로겐화물을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화학식 3
    상기 식에서, R은 아미노 보호기를 의미하고,
    화학식 4
    상기 식에서, X는 Cl, Br 또는 I를 의미한다.
  3. 제 2 항에 있어서,
    화학식 3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화합물 1.0 당량에 대하여 화학식 4의 피발로일 할로겐화물을 1.0 내지 2.0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가 트리에틸아민, n-트리부틸아민, N,N-디메틸아닐린, 피리딘 또는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를 화학식 3의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화합물 1.0 당량에 대하여 1.0 내지 1.5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을 -10 내지 1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09740A 2001-02-26 2001-02-26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89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740A KR100389644B1 (ko) 2001-02-26 2001-02-26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02/000301 WO2002068428A1 (en) 2001-02-26 2002-02-25 Method of preparing cephalosporins using 4-hydroxyphenylglycine derivatives
US10/083,777 US20020120136A1 (en) 2001-02-26 2002-02-25 Method of preparing cephalosporins using 4-hydroxyphenylglycine derivati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740A KR100389644B1 (ko) 2001-02-26 2001-02-26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437A true KR20020069437A (ko) 2002-09-04
KR100389644B1 KR100389644B1 (ko) 2003-06-27

Family

ID=2769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740A KR100389644B1 (ko) 2001-02-26 2001-02-26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4797B2 (en) 2003-10-30 2009-06-09 Cj Cheiljedang Corporatio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cephem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8817A (en) * 1976-03-25 1979-04-10 Eli Lilly And Company Process and intermediates for preparing cephalosporin antibiotics
US4144232A (en) * 1976-12-23 1979-03-13 Eli Lilly And Company Substituted azetidin-2-one antibiotics
US4203896A (en) * 1976-12-23 1980-05-20 Eli Lilly And Company Acetoxy azetidin-2-one antibiotics via thiazolidine ring cleavage
NL162387C (nl) * 1977-09-06 1980-05-16 Gist Brocades Nv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6-(d-alpha-amino-p- -hydroxyfenylacetamido)penicillanzuur.
PH14681A (en) * 1977-11-30 1981-11-10 Pfizer Phenylglycinamid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ischaemic heart disease
JPS5745168A (en) * 1980-09-02 1982-03-13 Asahi Chem Ind Co Ltd Novel heterocyclic thiol ester of p-hydroxyphenylglycine and its preparation
JPH06220002A (ja) * 1993-01-25 1994-08-09 Mercian Corp ヒドロキシフェニルグリシ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酵素の活性測定法
KR20020069431A (ko) * 2001-02-26 2002-09-04 한미약품공업 주식회사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4797B2 (en) 2003-10-30 2009-06-09 Cj Cheiljedang Corporatio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cephem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9644B1 (ko) 200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4623A (en) Diastereomers of 1-(isopropoxycarbonyloxy)ethyl 3-cephem-4-carboxylate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KR100389644B1 (ko)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20120136A1 (en) Method of preparing cephalosporins using 4-hydroxyphenylglycine derivatives
JPH069647A (ja) 新規なセファロスポリン中間体
EP0369687B1 (en) Solvates of a beta-lactam antibiotic
US531709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ephem derivatives
KR100404685B1 (ko)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무수물을 이용한 세팔로스포린화합물의 제조방법
JP2005162670A (ja) セフェム剤の製造方法
KR20020069431A (ko)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890002107B1 (ko)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576336B1 (ko)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50001206B1 (ko) 세펨 유도체의 제조 방법
KR100531669B1 (ko) 세펨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531668B1 (ko)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7544797B2 (e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cephem derivatives
KR100576334B1 (ko)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JP2735297B2 (ja) 中間体の製造法
EP0188781B1 (en) 1-oxa-1-dethia-cephalosporin compounds and antibacterial agent comprising the same
KR20020069432A (ko) 4-히드록시페닐글리신 유도체를 이용한 세팔로스포린화합물의 제조방법
JPS6322585A (ja) 6−トリフルオロメチル−1h−ベンゾトリアゾ−1−イル−ジフェニルホスフェイト及びセファロスポリン誘導体の製造方法
US4091214A (en) De-esterification process for cephalosporins
KR950013571B1 (ko) (6r, 7r)-7-[(z)-2-(2-아미노티아졸-4-일)-2-(2-카르복시프로프-2-옥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1-피리디늄메틸)세프-3-엠-4-카르복실레이트 이염산염의 제조방법
KR890001284B1 (ko) 새로운 아실화방법에 의한 세팔로스포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20040006205A (ko) 아즈트레오남의 신규제조방법
JPH0948772A (ja) アミノチアゾリル酢酸誘導体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