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760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760A
KR20020067760A KR1020010008078A KR20010008078A KR20020067760A KR 20020067760 A KR20020067760 A KR 20020067760A KR 1020010008078 A KR1020010008078 A KR 1020010008078A KR 20010008078 A KR20010008078 A KR 20010008078A KR 20020067760 A KR20020067760 A KR 20020067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ealth ca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환
김철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7760A/ko
Publication of KR20020067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76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가 게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에 따른 운동량을 측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페이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측정된 운동량을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건강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수단;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운동량을 칼로리 소모량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각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과 건강상태 정도에 상응하는 건강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은 (a)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 및 신체 정보를 메인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b)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가 측정되는 단계; (c)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메인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d) 메인 서버가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칼로리 소모량으로 계산하고, 계산된 칼로리 소모량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SERVICE FOR PROTECTING VI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여 운동량 데이터로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건강상태 정보 및 신체정보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정보 및 통신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맞고 있는데, 그와 같은 변화 중 이동통신은 현대 사회에서 필수품으로 생각되어질 만큼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 통신의 저변 확대와 함께 그단말기에는 더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이동 통신을 이용한 정보 통신 관련 기술의 개발 및 응용이 활발하게 진척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통화는 물론이고, 메시지(message) 송수신, 데이터(data) 저장 기능, 날씨, 증권 등 각종 문자 서비스(service) 수신 등을 비롯하여 인터넷(internet)을 이용할 수도 있게 되었다.
한편, 현대인들은 많은 스트레스, 운동부족 및 다양해진 질병 등으로 인해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건강 관리법 및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운동량을 파악하기를 원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움직임 감지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운동량 데이터를 메인 서버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서의 메인 서버가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와 포맷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되는 가속도 센서부의 내부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정보처리 서버가 운동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기초로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건강관리 서비스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화면에서 "1. 내가 소비한 칼로리"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은 사용자가 도 6의 메인 화면에서 2. 식단제공을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식단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사용자가 도 6의 메인 화면에서 3.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110 ; 무선 네트워크
120 ; 메인 서버120a ; 웹 서버
120b ; 인증서버120c ; 정보처리 서버
130 ;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30a ;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130b ; 건강관리 데이터베이스130c; 칼로리소모량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에 따른 운동량을 측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페이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측정된 운동량을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건강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수단;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운동량을 칼로리 소모량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각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과 건강상태 정도에 상응하는 건강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a)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 및 신체 정보를 메인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b)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가 측정되는 단계; (c)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d)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칼로리 소모량으로 계산하고, 계산된 칼로리 소모량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하게 인식될 것이다. 그러면,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무선 네트워크(110), 메인 서버 (120) 및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건강 정보 및 신체 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메인 서버(120)에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단말기이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개인정보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IMT-2000단말기, 이동 단말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00a), 움직임 감지부(100b), 메모리부(100c) 및 데이터 송수신부(100d)를 포함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부(100b)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에 따른 운동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경우, 운동량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착용위치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기때문에,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착용하기 전에, 착용위치를 입력한다. 이와 같은 움직임 감지부(10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기계 구조부(100ba), 변화 소자부(100bb), 신호처리부(100bc)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미세기계 구조부(100ba)가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면, 변화 소자부(100bb)에서 사용자의 운동량(속도 변화량)을 파악하여 신호처리부(100bc)에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신호처리부(100bc)에서는 물리적인 운동량을 전기적인 운동량 데이터(가속도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메모리부(100c)는 기억장치로서, 상기 움직임 감지부(100b)로부터 전송되는 운동량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운동량 데이터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동안 누적되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저장된 가속도 신호가 송수신부 데이터(100d)로 전송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메모리부(100c)는 초기화되며, 다시 일정 시간 동안의 사용자 운동량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00d)는 상기 메모리부(100c)로부터 주기적으로 제공되는 운동량 데이터를 메인 서버(120)에 송신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를 상기 메인 서버(12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110)는 기지국(110a), 기지국 제어기(110b) 및 이동교환기(110c)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트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아 메인 서버(120)에 전송한다.
상기 메인 서버(120)는 무선 네트워크(110) 및 통신망(1)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메시지 및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며,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메인 서버(12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11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메인 서버(120)는 특정 기능만을 수행하는 다수의 서버로 분산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정보 및 메시지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메인 서버(120)는 웹 서버(120a), 인증서버(120b) 및 정보처리 서버(120c)로 분산되어 관리된다.
상기 웹 서버(120a)는 상기 사용자가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된 회원인가를 확인한다. 상기 접속된 사용자가 등록된 회원인 경우, 상기 웹 서버(120a)는 사용자로부터 I.D.를 입력받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메인 화면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인증 서버(110b)는 웹 서버(120a)로부터 I.D.를 입력받아, 상기 I.D.가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I.D.인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를 웹 서버(120a)에 알려준다. 반면에, 상기 접속된 사용자가 등록된 회원이 아닌 경우, 상기 웹 서버(120a)는 사용자로부터 개인 정보 및 사용자가 원하는 I.D.를 입력받아 인증 서버(120b)에 저장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인증 서버(120b)는 검색엔진을 구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I.D.가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있는 I.D.와 중복되는 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를 웹 서버(120a)에 알려준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I.D.가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I.D.와 중복되지 않는 신규한 I.D.인 경우, 인증 서버(110a)는 상기 I.D. 및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개인 정보를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상기 정보처리 서버(120c)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운동량 데이터를 웹 서버(110a)를 통해 전송받고, 상기 운동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속도와 사용자의 이동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속도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v = v0+atdt
여기에서, a는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 즉,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이다.
사용자의 이동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s = s0+vtdt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거리를 파악한 다음, 건강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인출하면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알 수 있다.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W = F ×s = (m×a)×s
이러한 경우, 상기 칼로리 소모량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부착 위치 예를 들어, 손에 들고 다니는 경우, 목에 걸고 다니는 경우, 허리에 차고 다니는 경우 등으로 나누어 가중치를 부여하여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한다.
또한, 상기 시간-가속도의 관계로 얻어진 데이터를 퓨리에 트랜스폼(furier transform)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주파수-가속도의 관계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만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장 박동수를 알고 싶은 경우, 메인 서버(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퓨리에 트랜스폼 방식을 이용하여 주파수-가속도의 관계로 변환한다(400). 이러한 경우, 다른 주파수 대역 정보는 모두 여과(filtering)시키면(410), 심장 박동수에 대한 정보만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420).
상기와 같이, 정보처리 서버(120c)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30)는 회원으로 등록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130a),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 및 신체정보가 저장되는 건강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30b) 및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가 저장되는 칼로리소모량 정보 데이터베이스(130c)로 분산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30)는 메인 서버(120)로부터 제공 또는 요청되는 정보 및 메시지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c는 도 1에서의 메인 서버가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와 포맷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130a)는 사용자의 성명, 회원 I.D., 패스워드, 전자메일주소 등과 같이 사용자의 개인의 정보가 저장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건강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30b)는 몸무게, 키, 시력 등과 같은 신체정보와 혈압, 심장박동수와 같은 건강정보가 저장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칼로리소모량 정보 데이터베이스(130c)는 24시간 동안마다 주기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의 칼로리소모량이 저장된다. 예를 들면, 2001년 2월 12일에는 1,950Kcal, 2001년 2월 13일에는 2,050Kcal 등과 같이 일정시간 동안 소모된 사용자의 칼로리량이 저장된다.
도 5는 도 1에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통신망(1)을 이용하여 메인 서버(120)에자신의 신체정보 및 건강정보를 제공한다(s500). 그러면, 웹 서버(120a)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건강정보를 제공받아, 건강관리 데이터베이스(130b)에 저장한다.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움직임 감지부(100b)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가속도)가 감지되고,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가 전기적인 신호인 운동량 데이터로 변환되어 기록된다(s510).
이러한 경우, 상기 메인 서버(120)는 무선 네트워크(11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받는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통신망(1)을 통해 제공받는다(s520).
상기 운동량 데이터를 전송받은 메인 서버(120)는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착용위치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된 운동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한다(s530). 이러한 경우, 계산된 칼로리 소모량이 칼로리소모량 정보 데이터베이스(130c)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서버(120)는 건강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30b) 및 칼로리소모량 정보 데이터베이스(130c)를 기초로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다양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s540).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건강관리 서비스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기초로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건강관리 서비스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화면에서 "1. 내가 소비한 칼로리"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1. 일별 칼로리 소모량, 2. 주별 칼로리 소모량, 3. 월별 칼로리 소모량, 4. 사용자 선택기간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상기 4. 사용자 선택기간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간을 키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자신이 하루에 소비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알고자 하는 경우, 1. 일별 칼로리 소모량을 선택한다. 그러면, 메인 서버(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일일(一日) 칼로리 소모량을 무선 네트워크(1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8은 사용자가 도 6의 메인 화면에서 2. 식단제공을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식단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1. 건강식, 2. 다이어트식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식단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 건강식을 선택하는 경우, 메인 서버(120)는 사용자에게 일주일간의 식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식단은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과 건강상태를 기초로하여 짜여진다.
도 9는 사용자가 도 6의 메인 화면에서 3.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우에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화면 상에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및 운동시간, 그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이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유산소 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달리기, 경보 등의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실내에서 하는 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훌라후프, 스트레칭 등을 제공한다.
한편, 5. 기타 메뉴에는 정보처리 서버(120c)가 종합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 (130)에 저장된 사용자의 운동량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과부족 여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110)를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부(100b)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가 메인 서버(120)에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에 따르면 사용자가 늘상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여 운동량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운동량 데이터에 따라사용자의 건강을 확인하는 한편,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상태를 항상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Claims (8)

  1.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에 따른 운동량을 측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주기적으로 페이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측정된 운동량을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건강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수단;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운동량을 칼로리 소모량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각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과 건강상태 정도에 상응하는 건강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움직임 감지부로부터 전송받은 운동량 데이터를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 시간동안 저장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데이터 송수신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서비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웹수단;
    상기 웹수단을 통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운동량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건강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를 기초로하여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5. (a)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 및 신체 정보를 메인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b)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가 측정되는 단계;
    (c)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상기 메인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d)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칼로리 소모량으로 계산하고, 계산된 칼로리 소모량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요청받은 기간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칼로리소모량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건강식, 다이어트식 등의 식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가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심장 박동수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악화된 경우, 의료기관에 통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KR1020010008078A 2001-02-19 2001-02-1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KR20020067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078A KR20020067760A (ko) 2001-02-19 2001-02-1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078A KR20020067760A (ko) 2001-02-19 2001-02-1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760A true KR20020067760A (ko) 2002-08-24

Family

ID=2769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078A KR20020067760A (ko) 2001-02-19 2001-02-19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77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548A (ko) * 2001-05-28 2002-12-05 최두희 휴대폰 장착용 비트 발생장치를 통한 칼로리 소모 측정장치와 웹 다이어트 서비스
WO2020071569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효일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휘트니스 케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548A (ko) * 2001-05-28 2002-12-05 최두희 휴대폰 장착용 비트 발생장치를 통한 칼로리 소모 측정장치와 웹 다이어트 서비스
WO2020071569A1 (ko)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효일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휘트니스 케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38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messaging
US10848932B2 (en) Enhanced electronic messaging using location related data
JP6020174B2 (ja) 移動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8852097B2 (en) Metabolic energy monitoring system
Lane et al. Bewell: A smartphone application to monitor, model and promote wellbeing
EP1494190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transmitting of bio-data and environment-data in an emergency case
JP2009009350A (ja) 健康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健康管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4486479B (zh) 用于管理语境相关信息的系统、移动站和方法
JPWO2004015606A1 (ja) 運動状況送信端末を用いた行動状況提供システム
Walker et al.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s
US20160022144A1 (en) System and method of integrating participant biometrics within an event timing system
US20090144021A1 (en) Long Range Mobile Communication Enabled Personal Weighing Device
CN109361822A (zh) 来电提醒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7012661A (ja) 活動情報測定装置、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サービス提供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KR2002006776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JP626527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074855A (zh) 终端装置、信息处理系统
JP2006262993A (ja) 健康データ収集提供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100716417B1 (ko) 건강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100092630A (ko)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감정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운용 방법
CN202632472U (zh) 一种服务终端及系统
WO20010735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personal data using a bar code scanner
JP2003325490A (ja) 加重力測定機能付き携帯機器及び健康状態管理システム、並びに健康状態管理方法
KR20060036497A (ko) 시계와 이동 단말기가 연동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Noimanee et al. Implementation of vital signs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