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403A - 담배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담배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403A
KR20020067403A KR1020010039858A KR20010039858A KR20020067403A KR 20020067403 A KR20020067403 A KR 20020067403A KR 1020010039858 A KR1020010039858 A KR 1020010039858A KR 20010039858 A KR20010039858 A KR 20010039858A KR 20020067403 A KR20020067403 A KR 20020067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cigarette
tunnel
friction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상
Original Assignee
조승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1000794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44402A/ko
Application filed by 조승상 filed Critical 조승상
Publication of KR2002006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4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8Cigars; Cigarettes with lighting mean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성냥이나 라이타와 같은 별도의 점화장치가 없이 개피담배만 지참하고도 점화를 할 수 있고, 한 손만으로도 점화를 할 수 있는 담배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담배의 필터부의 반대쪽에 내장 혹은 부착되는 답배 점화장치로서, 마찰재 성분의 점화구를 점화끈으로 잡아당겨 점화구가 연소재 성분의 마찰부가 형성된 점화터널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점화구와 마찰부의 마찰에 의해 마찰부에서 발화되고 이 불이 궐련부로 전이되게 하는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담배 점화장치{Lighting-equipment for cigarette}
본 발명은 담배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성냥이나 라이타와 같은 별도의 점화장치가 없이 개피담배만 지참하고도 점화를 할 수 있고, 한 손만으로도 점화를 할 수 있는 담배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라이타와 같은 별도의 점화장치를 지참하지 않고도 담배를 점화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고안으로, 종래 ‘성냥이 부착된 담배(출원번호 : 20-1992-015540)’,‘성냥 담배(출원번호 : 20-1993-001054)’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들은 담배케이스에 점화장치를 부착하기 때문에 개피담배만 가지고는 담배에 점화를 할 수 없었으며, 한 손만으로 점화하는 것도 불가능했다.
한편, 종래 ‘점화장치가 부착된 담배(출원번호 : 20-1999-024051)’는 담배의 일단에 두 개의 마찰부가 대면되게끔 점화부 커버가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개피담배만 가지고 담배에 점화할 수 있다고 하지만, 점화부 커버를 잡아당길 때 두 개의 마찰부가 쉽게 마찰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담배에 점화를 하지 못한 채 점화부 커버가 끊어졌을 경우에는 별도의 점화장치가 없다면 그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점화장치가 없이 개피담배만 가지고도 담배에 점화를 할 수 있는 담배 점화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손만으로도 담배에 점화를 할 수 있어 운전중과 같이 두 손을 동시에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점화할 수 있는 담배 점화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화부재와 마찰부 간의 마찰이 쉽게 일어나 점화가 확실하게 일어나므로, 점화가 일어나지 않아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담배 점화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배 점화장치가 부착된 담배의 외관사시도.
도2는 도1의 담배 점화장치의 단면도.
도3은 도2의 담배 점화장치의 점화구에 인화캡슐이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담배 점화장치가 내장된 담배의 외관사시도.
도5는 도4의 담배 점화장치의 단면도.
도6은 도4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담배12 : 담배의 궐련부
14 : 담배의 필터부15 : 부착형 담배 점화장치
16 : 내장형 담배 점화장치20, 40 : 점화구
22, 42 : 점화끈24 : 점화부 본체
44 : 점화케이스26, 46 : 점화터널
28, 48 : 마찰부30, 50 : 연소확대판
32 : 인화캡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궐련부의 일단에 필터부가 형성된 담배;에 부착되는 점화장치에 있어서, 필터부의 반대쪽인 궐련부의 타단에 부착되며, 마찰재 성분의 점화부재와; 점화부재에 부착되어 점화터널의 끝 바깥으로 연장된 점화끈과; 점화부 본체와; 점화부 본체의 내부를 횡으로 관통하는 관 형상으로, 점화부재의 이동통로인 점화터널과; 점화터널의 내벽을 둘러싸고 형성되며 연소재가 발려져 있고 점화부재와 마찰하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담배 점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화부재에 점화끈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인화성 유류가 충전되는 인화캡슐을 추가로 포함하는 담배 점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궐련부의 일단에 필터부가 형성된 담배;에 내장되는 점화장치에 있어서, 필터부의 반대쪽인 궐련부의 타단에 삽입되며, 마찰재 성분의 점화부재와; 점화부재에 부착되어 점화터널의 끝 바깥으로 연장된 점화끈과; 관 형상으로 점화부재의 이동통로인 점화터널과; 점화터널을 둘러싸는 관 형상이고 일단이 원판형인 점화케이스와; 점화터널의 내벽을 둘러싸고 형성되며 연소재가 발려져 있고 점화부재와 마찰하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담배 점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화케이스의 원판형 부분과 궐련부의 접촉면에 형성되며, 연소재가 발려져 있어서 마찰부에서 발화된 불이 궐련부로 전이되게 하는 연소확대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담배 점화장치를 제공한다.
점화케이스의 관형 부분과 원판형 부분이 접하는 곳에는 작은 구멍이 뚫려 있어서 이 곳을 통해 마찰부와 연소확대판의 연소재가 연결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배 점화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각 실시예들에서 도면부호는 다르지만 명칭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배 점화장치가 부착된 담배의 외관사시도를, 도2는 도1의 담배 점화장치의 단면도를, 도3은 도2의 담배 점화장치의 점화구에 인화캡슐이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담배(10)는 궐련부(12)의 일단에 필터부(14)가 형성되어 있고, 필터부(14)의 반대쪽, 즉 궐련부(12)의 타단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담배 점화장치(15, 이하, ‘점화장치’라 한다)가 부착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점화장치(15)는 점화구(20), 점화끈(22), 점화부 본체(24), 점화터널(26), 마찰부(28), 연소확대판(30)을 포함한다.
점화구(20)는 규조토, 규사, 유리가루 등의 마찰재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형의 덩어리로서 마찰부(28)와 직접 마찰하여 마찰부(28)에 점화를 일으키는 부분이다. 점화구(20)의 일단에는 점화끈(22)이 부착되어 점화터널(26)의 끝 바깥 부분까지 연장된다.
점화부 본체(24)는 점화터널(26), 마찰부(28)을 둘러싸는 원통으로서, 골판지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만든다.
점화터널(26)은 점화부 본체(24)의 내부를 가로로 관통하는 관으로서, 점화구(20)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점화터널(26)의 내벽에는 마찰부(28)가 있는데, 마찰부(28)는 적린, 염소산 칼륨, 이산화연, 이산화망간, 유황 등의 연소재가 발려져 있어서 점화구(20)와 마찰할 경우 발화된다. 성냥에 비유하자면, 점화구(20)는 성냥에서의 마찰종이의 역할을 하고, 마찰부(28)는 성냥머리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연소확대판(30)은 점화부 본체(24)와 궐련부(12)가 접하는 부분에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마찰부(28)의 소재와 같은 연소재가 발려져 있어서 마찰부(28)에서 발화된 불이 궐련부(12)로 용이하게 전이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1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점화끈(22)을 잡이당기면 점화구(20)가 점화터널(26)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 마찰재로 만들어진 점화구(20)와 점화터널(26)의 내벽에 형성된 연소재 성분의 마찰부(28)의 마찰로 인해 마찰부(28)에 불이 일어나고, 이 불은 연소확대판(30)에 옮겨 붙음으로써 궐련부(12)로 전이된다. 즉, 마찰부(28)에서 최초로 발화된 불이 연소확대판(30)으로 옮겨지고 여기서 확대되어 궐련부(12)로 전이되는 것이다.
한편, 습기로 인하여 점화구(20)와 마찰부(28) 사이의 마찰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점화장치(15)를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3과 같이, 점화구(20)를 사이에 두고 점화끈(22)의 잡아당기는 부분과 반대쪽에 인화캡슐(32)을 부착한다.
인화캡슐(32)은 휘발성과 인화성이 강한 라이타 기름 등의 유류를 공기와 함께 캡슐에 넣은 것이다. 이 때 점화구의 재질은 망간과 같은 라이타돌 성분으로 하며, 마찰재(28)에는 쇳가루를 섞는다.
점화끈(22)을 잡아당기면 인화캡슐(32)이 터짐과 동시에 점화구(20)가 점화터널(26)을 따라 이동하여 점화구(20)의 라이타돌 성분과 마찰부(28)의 쇳가루와의 마찰에 의해 불똥이 일고, 이 불똥이 인화캡슐(32)이 터질 때 나오는 인화성 가스를 발화시키고 이 불은 연소확대판(30)으로 확대됨으로써 궐련부(12)로 옮겨붙는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담배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내장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담배 점화장치가 내장된 담배의 외관사시도를, 도5는 도4의 담배 점화장치의 단면도를, 도6은 도4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4를 참조하면, 담배(10)는 궐련부(12)의 일단에 필터부(14)가 형성되어 있고, 필터부(14)의 반대쪽, 즉 궐련부(12)의 타단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담배 점화장치(16, 이하, ‘점화장치’라 한다)가 내장되어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점화장치(16)는 점화구(40), 점화끈(42), 점화터널(46), 점화케이스(44), 마찰부(48), 연소확대판(50)을 포함한다.
점화케이스(44)는 점화터널(46)을 둘러싸는 관이며, 필터부(14)의 반대편인 담배(10)의 끝부분은 원판형으로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못 형상이다.
연소확대판(50)은 점화케이스(44)의 원판형 말단과 궐련부(12)가 접하는 면에 형성되고 연소재가 발려져 있으며, 점화케이스(44)의 관형 부분과 원판형 부분이 접하는 곳에는 구멍이 뚫려 있어서 이 곳을 통해 마찰부(48)와 연소확대판(50)의 연소재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확대판(50)의 기능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2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면, 점화끈(42)을 잡아당기면 점화구(40)가점화터널(46)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 점화구(40)와 마찰부(48)의 마찰로 인해 마찰부(48)에 불이 붙고, 이 불은 연소확대판(50)의 연소재 성분으로 인해 궐련부(12)로 전이된다.
한편, 습기로 인하여 점화구(40)와 마찰부(48) 사이에 마찰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점화구(40)에 인화캡슐(32)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인화캡슐(32)의 구성과 기능은 실시예 1의 경우와 같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담배 점화장치를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구형의 점화구를 사용하여 점화를 하였으나, 반드시 구형이 아니더라도 물방울 형상의 점화추나 예각으로 꺽인 막대형의 점화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점화터널의 마찰부가 시작되는 부분은 담배의 종단면과 같은 원형으로 하였으나, 점화구나 점화추 혹은 점화체의 형상에 따라 이들이 점화터널 속을 쉽게 이동되도록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가면서 점점 비후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점화장치가 없이 개피담배만 가지고도 담배에 점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손만으로도 담배에 점화를 할 수 있어 운전 중과 같이 두 손을 동시에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점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점화부재와 마찰부 간의 마찰이 쉽게 일어나 점화가 확실하게 일어나므로, 점화가 일어나지 않아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습기가 많은 날이나 지역에서도 개피담배만으로도 쉽게 담배에 점화를 할 수 있다.

Claims (6)

  1. 궐련부의 일단에 필터부가 형성된 담배;에 부착되는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반대쪽인 궐련부의 타단에 부착되며,
    마찰재 성분의 점화부재와;
    상기 점화부재에 부착되어 하기 점화터널의 끝을 지나 담배 바깥으로 연장된 점화끈과;
    점화부 본체와;
    상기 점화부 본체의 내부를 횡으로 관통하는 관 형상으로, 상기 점화부재의 이동통로인 점화터널과;
    상기 점화터널의 내벽을 둘러싸고 형성되며 연소재가 발려져 있고 상기 점화부재와 마찰하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담배 점화장치.
  2. 궐련부의 일단에 필터부가 형성된 담배;에 내장되는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반대쪽인 궐련부의 타단에 삽입되며,
    마찰재 성분의 점화부재와;
    상기 점화부재에 부착되어 하기 점화터널의 끝을 지나 담배 바깥으로 연장된 점화끈과;
    관 형상으로, 상기 점화부재의 이동통로인 점화터널과;
    상기 점화터널을 둘러싸는 관 형상이고, 일단이 원판형인 점화케이스와;
    상기 점화터널의 내벽을 둘러싸고 형성되며 연소재가 발려져 있고 상기 점화부재와 마찰하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담배 점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 본체와 상기 궐련부의 접촉면에 형성되며, 연소재가 발려져 있어서 상기 마찰부에서 발화된 불이 상기 궐련부로 보다 잘 전이되게 하는 연소확대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담배 점화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케이스의 원판형 말단과 궐련부가 접하는 면에 형성되며, 연소재가 발려져 있어서 상기 마찰부에서 발화된 불이 상기 궐련부로 보다 잘 전이되게 하는 연소확대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담배 점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확대판의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마찰부와 연소확대판의 연소재를 연결시키는 상기 점화케이스의 관형 부분과 원판형 부분이 접하는 곳에 뚫려있는 작은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는 담배 점화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재의 앞 또는 뒤에 상기 점화끈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인화성 유류가 충전되는 인화캡슐을 추가로 포함하는 담배 점화장치
KR1020010039858A 2001-02-16 2001-07-04 담배 점화장치 KR200200674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943 2001-02-16
KR1020010007943A KR20010044402A (ko) 2001-02-16 2001-02-16 담배에 부착하는 점화장치
KR1020010016112 2001-03-27
KR20010016112 2001-03-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403A true KR20020067403A (ko) 2002-08-22

Family

ID=2663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858A KR20020067403A (ko) 2001-02-16 2001-07-04 담배 점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067403A (ko)
WO (1) WO200206586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950B1 (ko) * 2002-10-02 2005-03-28 오일석 점화 보조물이 구비된 담배
KR20160085965A (ko) * 2015-01-08 2016-07-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화 캡슐을 포함하는 담배
WO2018215805A1 (en) 2017-05-25 2018-11-29 Topuria Giorgi Cigarette with filter or mouthpiece, or cigar, with device for ign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695A1 (en) * 2014-09-15 2016-03-24 Damiani Teresa R Lighting apparatus for tobacco-based products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780U (ko) * 1978-06-30 1980-01-16
KR810000464Y1 (ko) * 1980-02-01 1981-05-19 한정남 담배 착화 장치
KR820001925Y1 (ko) * 1981-05-20 1982-09-18 삼우트레이딩주식회사 담배의 착화장치
EP0066021A1 (en) * 1981-05-20 1982-12-08 Byung Eon Yoo Smoking rod with lighting device
US4491139A (en) * 1982-03-17 1985-01-01 Friedrich Weinert Self-igniting smoking device
US4597397A (en) * 1982-03-17 1986-07-01 Friedrich Weinert Cigar cartridge with a self igniting cigar
JPH03126495A (ja) * 1989-10-12 1991-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930007972Y1 (ko) * 1989-10-31 1993-11-27 금성기전 주식회사 잡음 흡수용 변압기
KR970026613U (ko) * 1995-12-28 1997-07-24 송수동 자동점화 담배
KR20010035431A (ko) * 2001-02-13 2001-05-07 조승상 담배에 부착하는 점화장치
KR20010035432A (ko) * 2001-02-13 2001-05-07 조승상 담배에 부착하는 점화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780U (ko) * 1978-06-30 1980-01-16
KR810000464Y1 (ko) * 1980-02-01 1981-05-19 한정남 담배 착화 장치
KR820001925Y1 (ko) * 1981-05-20 1982-09-18 삼우트레이딩주식회사 담배의 착화장치
EP0066021A1 (en) * 1981-05-20 1982-12-08 Byung Eon Yoo Smoking rod with lighting device
US4491139A (en) * 1982-03-17 1985-01-01 Friedrich Weinert Self-igniting smoking device
US4597397A (en) * 1982-03-17 1986-07-01 Friedrich Weinert Cigar cartridge with a self igniting cigar
JPH03126495A (ja) * 1989-10-12 1991-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KR930007972Y1 (ko) * 1989-10-31 1993-11-27 금성기전 주식회사 잡음 흡수용 변압기
KR970026613U (ko) * 1995-12-28 1997-07-24 송수동 자동점화 담배
KR20010035431A (ko) * 2001-02-13 2001-05-07 조승상 담배에 부착하는 점화장치
KR20010035432A (ko) * 2001-02-13 2001-05-07 조승상 담배에 부착하는 점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950B1 (ko) * 2002-10-02 2005-03-28 오일석 점화 보조물이 구비된 담배
KR20160085965A (ko) * 2015-01-08 2016-07-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화 캡슐을 포함하는 담배
WO2018215805A1 (en) 2017-05-25 2018-11-29 Topuria Giorgi Cigarette with filter or mouthpiece, or cigar, with device for i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65863A1 (en)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83303T3 (es) Cartucho quebrantador de roca y cápsula de ignición
ATE456309T1 (de) Filterzigarette mit adsorptionsmaterial
WO2002018866A3 (en) Improved training cartridge
KR20020067403A (ko) 담배 점화장치
US4491139A (en) Self-igniting smoking device
JP3576251B2 (ja) 噴き出し花火
KR20010044402A (ko) 담배에 부착하는 점화장치
KR200263735Y1 (ko) 담배 점화장치
JP2005224232A (ja) 火器具を使わないタバコ
WO1984001811A1 (en) Igniter for combustible material
JP3128768U (ja) 線香束
KR20010035431A (ko) 담배에 부착하는 점화장치
KR20040008037A (ko) 점화장치 부착 담배
RU2111447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амоликвидации ракеты с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м двигателем
KR20010035432A (ko) 담배에 부착하는 점화장치
KR200188461Y1 (ko) 생일축하용 축포(Firecracker for Birthday Celebration)
KR200247550Y1 (ko) 라이터 일체형 파이프
US2724388A (en) Self-lighting cigarettes
US4597397A (en) Cigar cartridge with a self igniting cigar
KR200178539Y1 (ko) 점화장치가 부착된 담배
JP2000140161A (ja) 発煙ボール
KR200349233Y1 (ko) 종이 성냥이 내부에 부착된 담배각
WO2007140053A2 (en) Liquid fuel combustion appliance
JPH0571899A (ja) 曳光信号弾
KR200173836Y1 (ko) 라이티커가부착되고성냥을내장한담배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