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239A - 호신봉 - Google Patents

호신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239A
KR20020066239A KR1020010006431A KR20010006431A KR20020066239A KR 20020066239 A KR20020066239 A KR 20020066239A KR 1020010006431 A KR1020010006431 A KR 1020010006431A KR 20010006431 A KR20010006431 A KR 20010006431A KR 20020066239 A KR20020066239 A KR 20020066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member
pipe
r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봉
Original Assignee
강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봉 filed Critical 강재봉
Priority to KR1020010006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6239A/ko
Publication of KR20020066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23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F41B15/0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F41B15/0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 F41B15/02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of telescopic type
    • F41B15/025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of telescopic type the telescoping sections being locked by coacting conical end surfaces, i.e. by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F41B15/0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 F41B15/02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of telescopic type
    • F41B15/027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of telescopic type the telescoping sections being locked by an additional mechanical lock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버튼조작에 의하여 신축관들이 전진되어 늘어남과 동시에 보호구들이 절첩되는 호신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 호신봉(100)은 중공관체(113)와, 이 중공관체(113)외주에 설치되는 커버체(114)와, 상기 중공관체(113) 선단측에 설치되는 보호구(152)를 형성한 보호플랜지(150)로 이루어지는 파지부(110); 상기 파지부(110)내에 관착되어지는 신축관(120)(130); 상기 신축관(120)(130)이 탄력을 갖고 절첩되도록 파지부(110)와 신축관(120)(130)에 걸쳐 탄설되는 탄성부재(140);및 상기 파지부(11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관(120)(130)의 탄력전진을 개폐하기 위한 스위칭수단(160)을 포함하는 호신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 호신봉은 스위칭수단의 간단한 조작으로 신축관들이 탄성을 갖고 자동인출되며, 손등 보호수단이 자동절첩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호신봉{Baton}
본 발명은 파지부(把持部)내부로 부터 소정의 탄력을 받아 신축(伸縮)됨으로써 길이가 연장(延長)되는 금속관(金屬管, 이하 신축관이라 함)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접을 경우 파지부내로 집어넣어져 길이가 축소되는 절첩가능한 호신봉에 관한것이다.
그동안 알려진 절첩가능한 호신봉으로는 실용신안공개번호 제92-15414호의 다단 삽탈식 호신용 지휘봉과, 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96-011922호의 절첩가능한 호신봉등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경우는 첨부 도면 도 1a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손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이하 보호구라함)이 없는 파지부와, 이 파지부의 전방으로 2개의 직경을 달리하는 신축관이 차례로 접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사용시 일일이 신축관을 손으로 빼내어 사용하고 접을 때도 신축관들을 눌러 접는 방식의 호신봉이다.
후자의 경우는 첨부 도면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으며 전자의 것 보다 개선되었다. 즉, 파지부에 소정의 보호수단을 형성하게 되었고, 2개의 신축관들 역시 파지부내로 관착되는 관착구조이나, 각각의 신축관 내부에 탄성레버를 각각 장치하여 펴진 상태에서 탄성레버가 록크하고, 접을 때에는 탄성레버를 손가락으로 밀어넣은 뒤 신축관을 접도록 하는 잠금구조가 제공되었다. 이것은 호신봉의 사용시 불필요하게 접어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절첩가능한 호신봉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야기되는 문제점은 사용시마다 절첩된 신축관을 손으로 뽑아내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사용하지 않을 때(후자의 경우)에는 휴대를 위하여 신축관들은 파지부내에 내장되지만 파지부 앞부분에 위치한 보호구가 외부로 돌출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휴대중에 인체측면부와 접촉하거나 타부분과 접촉하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 절첩가능한 호신봉이 갖는 단점을 개선하여 절첩휴대시에 보호구들의 돌출로 인한 불편함을 덜고,사용시 일일이 신축관을 손으로 빼내지 않고 간단한 스위칭작동으로 펼쳐짐이 가능한 자동 절첩방식의 호신봉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도 1a,도 1b는 종래 절첩식 호신봉의 개략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 호신봉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 호신봉의 펼친 상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호신봉의 분해사시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 호신봉의 작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호신봉 스위칭수단의 분리도,
도 6a,도 6b는 본 발명 호신봉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호신봉의 보호플랜지부분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 호신봉의 보호구가 펼쳐진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 호신봉의 보호구가 접어진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8c는 본 발명 호신봉의 보호구가 펼쳐진 상태의 정단면도, 및
도 9a, 도 9b는 본 발명 호신봉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호신봉110:파지부
112:안내돌기113:중공관체
114:커버115:캡
120:제 1신축관121:안내돌기
122:장홈124:잠금공
126:테이퍼부128:볼
130:제 2신축관132:장홈
134: 잠금공136:팁
138:볼140:탄성부재
142:제 1탄성부재144:제 2탄성부재
150:보호플랜지151:스프링
152:보호구153:접촉휠
154:축점155:개구부
160:스위칭수단161:케이스
162:록킹부재163:버튼
164:잠금핀165:축점
166:판스프링
상기한 본 발명 호신봉은 중공관체와, 이 중공관체외주에 설치되는 커버체와, 상기 중공관체 선단측에 설치되는 보호구를 형성한 보호플랜지로 이루어지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내에 관착되어지고, 선단에는 팁을 형성한 신축관; 상기 신축관이 탄력을 갖고 절첩되도록 파지부와 신축관에 걸쳐 탄설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파지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관의 탄력전진을 개폐하기 위한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호신봉으로 달성된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파지부의 소정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착을 개폐하기 위한 누름버튼과, 이 누름버튼에 탄력을 주기 위한 판스프링과, 상기 탄성부재의 압착과 함께 접어진 신축관의 전진을 정지하기 위한 잠금핀과, 상기 누름버튼의 작동을 잠그기 위한 록킹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호신봉의 상기 신축관은 적어도 1개 이상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2개로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보호구는 소정위치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점을 형성하고, 이 축점에는 토션 스프링을 탄설하여 탄력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호플랜지는 그 하단에 신축관 주면과의 접촉시 슬라이드 되도록 접촉휠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호구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호신봉의 상기 탄성부재는 파지부에 탄설되는 제 1탄성부재와, 신축관에 설치되는 제 2탄성부재로 분리되어 각각의 신축관내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장홈을 형성하고 파지부와 신축관의 선단내주면에는 안내돌조를 형성하고, 연질의 합성수지 커버부재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2a는 본 발명 호신봉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 호신봉의 펼친 상태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호신봉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도 4b는 본 발명 호신봉의 접어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호신봉(100)은 크게 파지부(110)와 이 파지부(110)내에 관착되어지는 제 1, 제 2신축관(120)(130)과, 이 신축관(120)(130)들의 내부에 걸쳐 탄설되는 탄성부재(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부(110)는 안내돌기(112)를 선단부에 형성한 소정크기의 중공관체(113)와, 그 위에 관착되는 커버체(114)와, 후단부를 커버하는 캡(115)과, 상기 중공관체(113)에 설치되는 소정구조의 보호플랜지(150) 및 커버체(114)에 설치되는 스위칭수단(1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신축관(120)은 원통형의 신축관으로 외주를 따라 길이방향의 장홈(122)을 형성하고 소정위치에 잠금공(124)을 형성하며 그 선단부는 제 2신축관(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퍼부(126)를 이루고 그 내측에 안내돌기(121)을 형성하며 후단측에는 접촉성을 좋게 하기 위한 볼(128)을 매입하여서 된다.
상기 제 2신축관(130)은 선단측에 팁(136)을 형성하고 장홈(132)과 잠금공(134)을 형성한 상태에서 후단측에는 상기 제 1신축관(120)내부로 관착되는 경우 접촉성을 위하여 소정갯수의 볼(138)이 매입되어 있다.
탄성부재(140)는 상기 중공의 파지부(110)내에 관착되어지는 제 1신축관(120)에 탄력을 갖고 절첩되도록 파지부(110)와 제 1신축관(120)에 걸쳐 탄설된다.
본 발명 호신봉의 제 1, 제 2신축관(120)(130)들의 장홈(122)(132)은 파지부(110)선단의 안내돌기(112)와 제 1신축관(120)선단의 안내돌기(121)에 의하여 독립적인 회전이 차단된다.
첨부 도면 5는 본 발명 호신봉의 스위칭수단의 요부분리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 스위칭수단을 확대한 도 4a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 스위칭수단을 확대한 도 4b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는 스위칭수단(160)은 케이스(161)와, 이 케이스(161)의 저부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162)와, 이 록킹부재(162)의 해제로서 비로소 개폐되는 버튼(163)과,이 버튼(163)의 앞부분 아래에 형성된 잠금핀(164)과,상기 버튼(163)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축점(165)과, 버튼(163)의 누름에 탄력을 주기 위한 판스프링(166)으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 도 7은 본 발명 호신봉의 보호플랜지의 요부확대사시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 호신봉의 보호플랜지가 펼쳐진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 호신봉의 보호플랜지가 접어진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8c는 본 발명 호신봉의 보호플랜지가 펼쳐진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보호플랜지(150)는 상기 중공관체(113)의 선단에 관착고정되며, 방사상으로 6개의 개구부(155)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155)에는 6개의 보호구(152)가 방사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그 축점(154)에는 토션 스프링(151)을 탄설하며, 그 하단측에는 접촉휠(153)을 형성하여서 된다.
첨부 도면 도 9a, 도 9b는 본 발명 호신봉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나타내는 탄성부재(142)(144)는 상기한 탄성부재(140)와 구성을 달리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142)(144)들은 파지부(110)에 탄설되는 제 1탄성부재(142)와, 신축관(120)에 설치되는 제 2탄성부재(144)로 분리되어 각각 파지부(110)과 신축관(120)내에 위치한다.
상기 파지부(110)내의 제 1탄성부재(142)와 제 2탄성부재(144)들은 각각 그 외부를 둘러싸는 연질의 합성수지 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 호신봉의 작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4a,도 4b는 본 발명 호신봉의 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 스위칭수단을 확대한 도 4a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 스위칭수단을 확대한 도 4b의 요부 확대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 호신봉의 보호플랜지가 접어진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8c는 본 발명 호신봉의 보호플랜지가 펼쳐진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상기 도 4a,도 6a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 호신봉(100)의 초기작동은 스위칭수단(160)의 버튼(163)을 누름으로써 시작된다. 이것은 도 4a 상태에서 도 4b상태로 변화됨을 의미한다.즉, 도 4a 및 도 6a상태에서는 스위칭수단(160)의 잠금핀(164)가 신축관(120)(130)들의 잠금공(124)(134)를 관통하여 그 탄발전진을 정지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를 해제하기 위하여 버튼(163)을 누르면 잠금핀(164)이 이로 부터 이탈되어 각 신축관(120)(130)들이 탄력을 받아 전진하기 때문이다.
스위칭수단(160)에는 상기 버튼(163)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록킹부재(162)가 버튼(163)의 누름을 차단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제시킨 뒤 버튼(163)을 누르게 되며, 버튼(163)은 판스프링(166)에 의하여 탄력을 받고 있으므로 1회 누름작동후 원복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40)를 탄압하던 제 1, 제 2신축관(120)(130)은 버튼(163)의 잠금핀(164)이 잠금공(124)(134)들에서 해제되는 순간 탄력을 받아 펼쳐진다.
이때 첨부 도면 도 7, 도 8a,도 8b 및 도 8c에서 도시하는 보호플랜지(150)의 보호구(152)도 함께 펼쳐진다.
즉, 그동안 제 1신축관(120)이 파지부(110)내로 접어짐에 따라 접어져있던 보호구(152)는 제 1신축관(120)이 튀어나감으로써 토션 스프링(151)의 탄력을 받아 펼쳐지게 된다. 반대로 제 1신축관(120)을 파지부(110)내로 밀어넣을 때에는 제 1신축관(120)의 후단부가 보호구(154)하단의 접촉휠(153)을 밀어넣으면서 삽입되어 보호구(152)는 그 축점(154)을 축으로 회전하여 접어진다.
본 발명 호신봉의 원복작동은 제 1,제 2신축관(120)(130)을 손으로 눌러접음으로써 원복된다. 이때 파지부(110)에 위치한 보호구(152)도 함께 접어지며, 제 1, 제 2신축관(120)(130)들의 원복순간 스위칭수단(160)의 잠금핀(164)이 각 신축관의 잠금공(124)(134)에 다시 넣어짐으로써 잠그어진다.
본 발명 호신봉은 첨부 도면 도 9a및 도 9b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내부의 탄성부재가 파지부내의 제 1탄성부재(142)와, 제 1신축관(120)내의 제 2탄성부재(144)로 분리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 호신봉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신축관들의 인출작동은 스위칭수단의 버튼을 해제함으로써 펼쳐지고 손으로 눌러 접음으로써 원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부재들은 소정의 연질합성수지 커버가 형성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신봉은 상술한 바와같은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소정의 탄력을 갖고 압착되어 있다가 간단한 스위칭작동으로 펴지는 자동펴짐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 호신봉은 상기와 같은 신축관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호신기능을 수행한 뒤 접어 휴대함에 있어서 종래와 달리 보호구들도 접어지게 되므로 휴대가 편리한 효과도 있다.

Claims (9)

  1. 호신봉에 있어서,
    중공관체와, 이 중공관체외주에 설치되는 커버체와, 상기 중공관체 선단측에 설치되는 보호구를 형성한 보호플랜지로 이루어지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내에 관착되어지고, 선단에는 팁을 형성한 신축관;
    상기 신축관이 탄력을 갖고 절첩되도록 파지부와 신축관에 걸쳐 탄설되는 탄성부재;및
    상기 파지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신축관의 탄력전진을 개폐하기 위한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호신봉.
  2. 제 1항에 있어서,
    스위칭수단은,
    상기 파지부의 소정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착을 개폐하기 위한 누름버튼과, 이 누름버튼에 탄력을 주기 위한 판스프링과, 상기 탄성부재의 압착과 함께 접어진 신축관의 전진을 정지하기 위한 잠금핀과, 상기 누름버튼의 작동을 잠그기 위한 록킹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은 적어도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소정위치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점을 형성하고, 이 축점에는 토션 스프링을 탄설하여 탄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그 하단에 신축관 주면과의 접촉시 슬라이드 되도록 접촉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봉.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적어도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봉.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파지부에 탄설되는 제 1탄성부재와, 증가된 신축관에 설치되는 제 2탄성부재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봉.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은 길이방향으로 장홈을 형성하고 파지부와 신축관의 선단내측에는 안내돌조를 형성하여 신축관의 전후진시 자전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호신봉.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의 후단부에는 전후진시의 미끄럼을 원활하기 위한 소정의 볼을 일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봉.
KR1020010006431A 2001-02-09 2001-02-09 호신봉 KR20020066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431A KR20020066239A (ko) 2001-02-09 2001-02-09 호신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431A KR20020066239A (ko) 2001-02-09 2001-02-09 호신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239A true KR20020066239A (ko) 2002-08-14

Family

ID=2769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431A KR20020066239A (ko) 2001-02-09 2001-02-09 호신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62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867A (ko) * 2021-11-10 2023-05-17 (주)247코리아 더블버튼 작동식 전기충격 기능을 갖는 삼단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867A (ko) * 2021-11-10 2023-05-17 (주)247코리아 더블버튼 작동식 전기충격 기능을 갖는 삼단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2050E1 (en) Laparoscopic specimen removal apparatus
CA2132602C (en) Multiple-fold automatic umbrella
US4325377A (en) Surgical forceps for applying clips to fallopian tubes
US7856802B2 (en) Combined golf ball retriever and retractable sand rake
US2135232A (en) Retriever
IE980241A1 (en) Delivery catheter with split sheath
US4382706A (en) Mechanical pencil
KR200400373Y1 (ko) 다단 절첩식 호신용 봉
US8011379B2 (en) Portable and compact umbrella
US5690131A (en) Umbrella
KR101251105B1 (ko) 자동적으로 후퇴 가능한 중심 샤프트를 갖는 반자동 우산
EP1258263A1 (en) Safety device for a syringe
KR20020066239A (ko) 호신봉
US5036872A (en) Self-opening and self-closing umbrella
US5524879A (en) Adjustable racket handle
JP4383572B2 (ja) 安全留置針
JP3876418B2 (ja) 折りたたみステッキなどに使用するパイプの接続構造
JP3949581B2 (ja) 筆記具
US20020082588A1 (en) Laparoscopic applicator
JPH09246824A (ja) 伸縮式ロッドアンテナの引出し構造
KR200254313Y1 (ko) 자동우산
US10212997B1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automatic closing structure
KR20110025312A (ko) 안전형 자동우산
KR100479861B1 (ko) 다단식 지팡이의 로킹장치
JP4082466B2 (ja) マーキング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