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4361A - 조명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조명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4361A
KR20020064361A KR1020027008199A KR20027008199A KR20020064361A KR 20020064361 A KR20020064361 A KR 20020064361A KR 1020027008199 A KR1020027008199 A KR 1020027008199A KR 20027008199 A KR20027008199 A KR 20027008199A KR 20020064361 A KR20020064361 A KR 20020064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upling
light source
light emitting
edg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람머스리안
Original Assignee
루미리즈 라이팅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미리즈 라이팅 비.브이. filed Critical 루미리즈 라이팅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64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3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시스템은 전벽(a front wall)(2) 및 그 반대편의 후벽(a rear wall)(3)과, 복수의 제 1 및 제 2 광원(6; 7)과 관련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광 전송 에지 표면(4, 5)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6, 7)으로부터의 광은 패널(1)에서 확산된다. 상기 후벽(3)의 표면 영역(8, 9)의 일부는 패널(1)로부터 광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18, 18', ...; 19, 19', ...)을 구비한다. 제 1 추출 수단(18, 18', ...)이 바람직하게는, 제 1 광원(6)으로부터 광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광을 추출한다. 동작시, 표면 영역(8, 9)의 상기 부분들이 관련 컬러 필터(35)를 갖는 (LCD) 디스플레이 패널(34) 상에 광을 투사한다. 제 2 에지 영역(5) 근방에서는, 제 1 추출 수단(18, 18', ...)의 밀도가 제 2 추출 수단(19, 19', ...)의 밀도보다 높고, 그 역 또한 성립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 수단(18, 18', ..., 19, 19', ...)은 쐐기형이며, 제 2 광원(7)쪽을 향하는 제 1 추출 수단(18, 18', ...)의 측면은 제 2 에지 표면(5)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 역 또한 성립한다. 바람직하게는, 광원(6, 7)은 복수의 청색, 녹색, (호박색) 및 적색 LED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루멘(lumen)의 광속을 갖는다.

Description

조명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ILLUMIN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이러한 조명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에지 발광 시스템(edge lighting systems)으로 지칭된다. 이들은, 특히,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 및 모니터과 같은 (화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백라이팅(backlighting)에 적용된다. 이러한 조명 시스템은, 특히 (휴대용) 컴퓨터 또는 (코드리스(cordless)) 전화기에 채용되는 액정 표시장치(LCD 패널)와 같은 비방출 디스플레이(non-emissive displays)의 백라이트(backlight)로서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규칙적인 화소(픽셀) 패턴을 갖는 기판을 포함한다. (화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적절한 영역 내에 화상 또는 데이터그래픽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어 회로를 채용한다. LCD 디바이스에서,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은 스위치 또는 변조기에 의해 변조되므로, 다양한 타입의 액정 효과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기 이동(electrophoretic) 또는 전자 기계적(electromechanical) 효과에 기반할 수도 있다.
서두에서 언급한 조명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광원으로 관형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a tubular low-pressure mercury-vapor discharge lamp),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콤팩트형 형광 램프가 사용되며, 동작시 광원에 의해 방사된 광이 광 도파관으로 작용하는 발광 패널에 결합된다. 상기 광 도파관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얇은 평판을 형성하는데, 이 평판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유리로이루어지며, 광은 (완전) 내부 반사의 영향으로 광 도파관을 통해 전송된다.
이러한 조명 시스템은 또한 전자 발광 소자, 특히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복수의 광전 소자(전기 광학 소자라고도 함)의 형태의 다른 광원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들 광원은, 일반적으로 발광 패널의 광 전송 에지(a light-transmitting edge) 표면 가까이에 또는 인접하게 제공되며, 따라서 동작시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광 전송 에지 표면상에 입사하여 상기 패널로 산란된다.
US-A 5 664 862에는 LCD 패널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광원으로는 백열 램프가 사용된다. 형광 램프 및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다른 광원도 언급되어 있다. 동작시, 광원은 광을 제 1 광 전송 에지 표면을 통해 발광 패널에 결합시킨다. 이 발광 패널은 광 도파관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발광 패널의 후벽은 패싯(facet)이라고 하는 커플링아웃 부재(coupling-out member)를 구비한다. 이들 패싯은, 제 1 광 전송 에지 표면을 통해 패널로 들어가는 광이 대부분 패널의 길이 방향, 즉, 반대쪽의 제 2 광 전송 에지 표면의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광 전송 에지 표면에서 반사된 광은 패싯에 이르며, 그 결과 광의 일부는 발광 패널로부터 분리(coupling out)되도록 편향되고, 다른 일부는 발광 패널을 통해 계속 진행한다. 패싯은, 조명되는 LCD 패널 상에서 균일한 광 분포가 얻어지도록 후벽에 제공된다.
전술한 타입의 조명 시스템은, 발광 패널 내의, 특히 광원에 인접한 광 분포가 충분히 균일하지 못하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조명 시스템은 발광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패널은
전벽(a front wall) 및 그 반대편의 후벽(a rear wall)과 상기 전벽과 후벽 사이에 위치해 있는 제 1 및 제 2 광 전송 에지 표면(light-transmitting edge surface)과,
상기 제 1 에지 표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광원과, 상기 제 2 에지 표면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광원을 포함하며,
동작시,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상기 제 1 광 전송 에지 표면에 입사하고,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상기 제 2 광 전송 에지 표면에 입사하며, 상기 광은 상기 발광 패널에서 확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명 시스템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조명 시스템의 상세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에의 상세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조명 시스템의 광 분포의 균일성을 개선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는, 서두에서 언급한 타입의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발광 패널의 전벽 또는 후벽의 제 1 부표면(a first sub-surface)은 상기 패널로부터 광을 분리하기 위한 제 1 커플링아웃 부재를 구비하며(상기 광은 주로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며),
발광 패널의 전벽 또는 후벽의 제 2 부표면은 상기 패널로부터 광을 분리하기 위한 제 2 커플링아웃 부재를 구비하며(상기 광은 주로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며),
제 2 에지 표면 가까이의 제 1 커플링아웃 부재의 밀도는 제 2 커플링아웃 부재의 밀도보다 더 높으며,
제 1 에지 표면 가까이의 상기 제 2 커플링아웃 부재의 밀도는 상기 제 1 커플링아웃 부재의 밀도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커플링아웃 부재를 제 1 광원으로부터 광을 주로 분리하는 제 1 커플링아웃 부재와, 제 2 광원으로부터 광을 주로 분리하는 제 2 커플링아웃 부재로 분할하고, 이들 커플링아웃 부재를 제 1 부표면과 제 2 부표면으로 각각 클러스터링함으로써(이들 부표면들은 관련 제 1 또는 제 2 광원의 광이 발광 패널에 결합되는 에지 표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위치함), 이들 광원의 광이 발광 패널로부터 광을 분리하는 커플링아웃 부재와 접촉하기 전에 발광 패널의 일부를 사용하여 각각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혼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에지 표면에 인접한 제 1 커플링아웃 부재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제 1 커플링아웃 부재는 제 1 광원으로부터 (직접) 발생한 광을 분리하는데 용이함), 먼저 제 1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잠시 동안 발광 패널을 통해 진행하고, 그 결과 광이 상기 광을 분리하는 커플링아웃 부재에 닿을 위험이 비교적 작게 된다. 즉, 제 1 에지 표면 근방의 제 2 커플링아웃 부재의 밀도가 제 1 커플링아웃 부재의 밀도보다 높게 선택되면, 제 1 광원으로부터 (직접) 발생하는 광의 상당 부분이, 제 1 에지 표면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발광 패널로부터 분리된다. 제 2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 1 에지 표면에 인접한 제 2 커플링아웃 부재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제 2 커플링아웃 부재는 제 2 광원으로부터 (직접) 발생한 광을 분리하는데 용이함), 먼저 제 2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잠시 동안 발광 패널을 통해 진행하고, 그 결과 광이 상기 광을 분리하는 커플링아웃 부재에 닿을 위험이 비교적 작게 된다.
광의 혼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광 패널의 일부를 이용하면,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발광 패널에 결합되기 전에 혼합되는 별도의 광 혼합 챔버가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되어, 조명 시스템의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발광 패널의 일부가 "내부" 광 혼합 챔버 유형(a type of "internal" light-mixing chamber)으로 이용된다.
광원이, 예를 들어, 상이한 컬러의 발광 다이오드들의 집합과 같이, 예를 들어 청색, 녹색, (호박색(amber)), 적색 광원들의 집합을 포함하면, 발광 패널에서 광을 혼합하는 것이 아주 유용하다. 이러한 집합은 발광 패널의 광 전송 에지 표면에 대해 위치하도록 어레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충분한 혼합 후, 임의의 (조정가능한) 컬러 온도의 백색 광이 형성되도록, 상이한 색의 다양한 광원의 상호 강도(mutual intensity) 및 컬러, 파장이 형성된다.
발광 패널의 에지에서 발생하며 불충분한 광의 혼합의 결과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보여지는 컬러 효과(color effects)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광원으로부터 광을 분리하는 커플링아웃 부재와, 제 2 광원으로부터 광을 분리하는 커플링아웃 부재 사이에 일종의 (광학적) 분할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에서, 각각의 부표면은 협력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균일하게 조명한다. 부표면의 선택과 상기 부표면 상의 커플링아웃 부재의 분산은, 동작시, 각각의 부표면에 의해 방사된 광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균일하게 조명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조명 시스템에 의해 방사된 광의 분산의 균일성이 개선된다. 그 결과, (화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보다 균일한 조명이 얻어진다.
기존의 조명 시스템에서는, 커플링아웃 부재가, 광 전송 에지 표면을 통해 패널로 들어가서 커플링아웃 부재에 이른 광이 실질적으로 패널의 길이 방향, 즉,반대쪽 에지 표면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대쪽 에지 표면으로부터 반사시, 커플링아웃 부재에 이르는 광 전송 에지 표면으로부터의 광은, 후속하여, 커플링아웃 부재의 형상이 전파 방향과 상이하기 때문에 패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만약 광 전송 에지 표면 반대쪽의 에지 표면으로부터의 상기 반사 후까지 광이 분리될 수 없다면, 발광 패널의 효율이 악영향을 받는다.
커플링아웃 부재의 형상은 발광 패널로부터 광이 유출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커플링아웃 부재가 쐐기형이고, 제 2 광원과 직면하는 제 1 커플링아웃 부재의 측면이 적어도 제 2 에지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 1 광원과 직면하는 제 2 커플링아웃 부재의 측면이 적어도 제 1 에지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광원과 직면하는 제 1 커플링아웃 부재의 측면이 제 2 광원이 광을 방사하는 (주된)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므로, 제 2 광원에 의해 (직접) 방사된 광이 제 1 커플링아웃 부재에 이를 때, 광은 발광 패널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제 1 광원과 직면하는 제 2 커플링아웃 부재의 측면이 제 1 광원이 광을 방사하는 (주된)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므로, 제 1 광원에 의해 (직접) 방사된 광이 제 2 커플링아웃 부재에 이를 때, 광은 발광 패널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반사된 광은 패널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움직인다. 광의 (주된) 전파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되지 않는 커플링아웃 부재의 측면에 광이 닿지 않으면, 광은 발광 패널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관련 광원이 결합되는 에지 표면에 인접한광원들 중 하나로부터 직접 발생하는 광이 분리될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관련 광원에 인접한 광의 혼합이 향상된다.
광 커플링아웃 부재가 부표면들 상에 분포되는 방법과 함께, 부표면들의 형상 및 이들의 서로에 대한 위치는 광이 발광 패널로부터 나오는 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각의 부표면들이 발광 패널의 전벽 또는 후벽의 약 절반을 커버하는 하나의 면을 포함하고,
광이 부표면에 의해 분리되는 정도가 적어도 거의 일정하도록 커플링아웃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조명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커플링아웃 부재는 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반의 조명을 담당하며, 제 2 커플링아웃 부재는 주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나머지 반의 조명을 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부표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조명의 균일성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겹침을 보이기도 한다. 상기 부표면 상의 커플링아웃 부재의 분포는, 부표면에 의해 방사된 광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대응 부분을 아주 균일하게 조명하도록 균일하다. 균일하게 조명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광원의 광 전송 에지 표면으로부터 (최대)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하는 전벽 또는 후벽의 일부 상에 부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진다.
발광 패널의 제 1 부표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반(예를 들면, 하반부)을 주로 조명하는 동안, 발광 패널의 제 2 부표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나머지 반(예를 들면, 상반부)을 주로 조명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 반부의 조명 레벨이 상이할 수도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공간 순차적인 동작에 적합하다고 하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표면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융기부가 제공되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 반부 사이에서의 광의 혼합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표면들 상에 커플링아웃 부재들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것 외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표면들 상에 커플링아웃 부재들을 균일하지 않게 하는 것이 이로울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한 조명 시스템의 적절한 실시예는 부표면들이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플링아웃 부재의 비균질 분포를 적절히 선택하여, 다양한 부표면에 의해 방사된 광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아주 균일하게 조명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부표면들이 발광 패널의 전벽 또는 후벽의 상당 부분 상에서 연장되고, 분리된 광의 양이 광 전송 에지 표면에 대한 거리의 함수로 변화하도록 커플링아웃 부재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아웃 부재들이 발광 패널의 전벽 또는 후벽을 통하여 제공되며, 분리된 광의 양은 광 전송 에지 표면으로 가까이 갈수록 비교적 적고, 반대쪽의 에지 표면에 가까이 갈수록 비교적 크다.
특히 바람직한 분포에 따르면, 커플링아웃 부재는, 분리된 광의 양이 광 전송 에지 표면에 대한 거리의 함수로서 선형으로 변하도록 배열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플링아웃 부재는, 광의 분리가 사인 또는 코사인의 제곱에 따라 변하도록 배열된다.
커플링아웃 부재는 발광 패널의 후벽 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광원은 적어도 5 lm의 광속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한다. 이러한 높은 출력을 갖는 LED를 LED 파워 패키지라고도 한다. 이들 고-능률(high-efficiency)을 이용하면, 고출력 LED는, 소기의 비교적 높은 발광 출력에 필요한 LED의 수가 비교적 적을 수 있다고 하는 특별한 이점이 있다. 이것은 제조되는 조명 시스템의 효율 및 소형화에 양호한 효과를 갖는다. LED 사용의 다른 이점은 수명이 비교적 매우 길고 에너지 비용이 비교적 낮고, LED를 갖는 조명 시스템의 유지 비용이 비교적 낮다는 것이다.
LED를 적용하면, 동적인 조명 가능성이 얻어진다고 하는 다른 이점을 갖는다. 이 목적을 위한 조명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발광 패널이 동작시 광원에 의해 방사되는 광의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이한 타입의 LED가 결합되거나 상이한 컬러의 LED가 이용되면, 컬러들이 적절힌 혼합되어 원하는 컬러 온도의 백색 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와 관계없이 컬러 변화가 얻어질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발광 패널의 에지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명 시스템은 광원의 광속을 변화시키는 제어 전극을 포함한다. 적절한 제어 전극에 의해 소기의 조명 효과가 얻어질 수 있으며, 분리된 광의 균일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LED의 적절한 결합에 의해, 백색광이 얻어질 수 있는데, 상기 백색광의 희망하는 컬러 온도는 제어 전극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조명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광원은 상이한 광 방사 파장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이들 다이오드는 사전 결정된 파장 범위에서 광을 방사한다. LED는 청색, 녹색 및 적색 LED의 공지된 조합 또는 청색, 녹색, 적색 및 호박색 LED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이하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은 단지 개략적인 것으로 실제 축척된 것은 아니다. 특히, 명확성을 위하여, 일부 치수는 과장되어 있다. 도면에서, 유사 참조 부호는 유사 부분을 나타낸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조명 시스템은 광 전송 재료의 발광 패널(1)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패널(1)은 합성 수지, 아크릴, 폴리 탄산 에스테르(polycarbonate), 퍼스펙스(Perspex)와 같은 PMMA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다. 완전한 내부 반사 환경 하에서, 동작시 광은 패널(1)을 통해 운반된다. 패널(1)은 전벽(2)과 그 반대쪽의 후벽(3)을 포함한다. 전벽(2)과 후벽(3) 사이에는, 광을 전송하는 에지 표면(4, 5)이 있다. 도 1a에 도시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6)이 에지 표면(4)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7)이 에지 표면(5)과 관련되어 있다. 동작시, 광원(6, 7)으로부터의 광은 광 전송 에지 표면(4, 5)에 입사하여 패널(1)에서 분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패널의 전벽 또는 후벽은 상기 전벽 또는 후벽 상에 비대칭으로 분포되어 있는 적어도 두 유형의 커플링아웃 부재(coupling-out member)를 포함한다. 도 1a에 도시된 예에서, 발광 패널(1)의 후벽(3)의 제 1 부표면(a first sub-surface)(8)은 패널(1)로부터 광을 분리시키기 위한 제 1 커플링아웃 부재(18, 18',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커플링아웃 부재(18, 18', ...)에 의해 분리된 광은 주로 제 1 광원(6)으로부터 비롯된다. 도 1a는 또한 패널로부터 광을 분리하기 위한 제 2 커플링아웃 부재(19, 19', ...)를 구비한 발광 패널(1)의 후벽(3)의 제 2 부표면(9)를 도시하고 있다. 제 2 커플링아웃 부재(19, 19', ...)에 의해 분리된 광은 주로 제 1 광원(7)으로부터 비롯된다. 도 1a에서, 부표면(8, 9)은 작은 오버랩을 나타낸다.
커플링 아웃 부재(18, 18', ....: 19, 19', ...)는 예를 들어, 화면에 세겨진 점들, 쐐기 및/또는 돌기부와, 패싯(facet)이라고도 하는 결함을 포함한다. 커플링아웃 부재는, 예를 들어, 에칭, 스크라이빙(scribing) 또는 분사(sandblasting)에 의해 발광 패널(1)의 후벽에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플링아웃 부재는 발광 패널(1)의 전벽(2)에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플링아웃 부재는, 회절을 통해 광을 분리시키기 위한 미세구조가 되도록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커플링아웃 부재는 반사, 산란, 회절 및/또는 굴절에 의해 패널(1)로부터 광을 분리한다.
도 1a에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부표면(8, 9)은 발광 패널(1)의 후벽(3)의 대략 절반을 덮고, 커플링아웃 부재(18, 18', ..., 19, 19', ...)는, 부표면(8, 9)에 의해 분리된 광의 양이 적어도 거의 일정하도록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분리하는 커플링아웃 부재와 제 2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분리하는 커플링아웃 부재 사이에 일종의 (광학) 영역이 발생한다. 그 결과, 광원들(6, 7)중 하나로부터의 광이 발광 패널(1) 내에서 소정의 거리를 진행한 다음 분리될 수 있다. 만약 제 1 광원(6)으로부터 직접 발생한 광이 제 2 부표면(9) 내의 제 2 커플링아웃 부재(19, 19', ...)에 이르면, 그 광은 분리되지 않는다. 제 1 광원(6)으로부터의 광이 제 1 부표면(8) 내의 제 1 커플링아웃 부재(18, 18', ...)에 닿기만 하면, 광은 발광 패널(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 2 광원으로부터의 광에 대해서도 유사한 상황이 발생한다. 제 2 광원(7)으로부터 직접 발생한 광이 제 1 부표면(8) 내의 제 2 커플링아웃 부재(18, 18', ...)에 닿으면, 그 광은분리되지 않는다. 제 2 광원(7)으로부터의 광이 제 2 부표면(9) 내의 제 2 커플링아웃 부재(19, 19', ...)에 닿기만 하면, 광은 발광 패널(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광원(6, 7)으로부터의 광이 발광 패널(1)의 대략 첫번째 절반 내의 임의의 거리를 진행한 다음 패널(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발광 패널(1)의 이들 첫번 째 부분은 광원(6, 7)으로부터의 광의 혼합을 개선하는데 사용된다.
도 1a는 발광 패널(1)로부터의 광을 추가로 혼합하고 희망하는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을 (LCD)(화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광학 (편광) 확산기(diffuser)(28) 및 반사 확산기(29)를 아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a에서, 참조번호 34는 컬러 필터(35)를 갖는 LCD 패널을 나타내는데, 이들은 아주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서, LC 소자(34A, 34A')는 광을 전송하도록 접속된다. 그러나, LC 소자(34B, 34B')(X로 표시된 부분)는 광을 전송하지 않는다(도 1a의 수평 화살표를 참조하라). 이 예에서, 컬러 필터(35)는 R(red), G(green), B(blue)로 표시된 3원색을 포함한다. 컬러 필터(35) 내의 R, G, B 필터 소자는 LCD 패널(34)의 LC 소자에 대응한다. R, G, B 필터 소자는 필터 소자의 컬러에 대응하는 광만 전송한다.
발광 패널(1)과, 커플링아웃 부재(18, 18', ..., 19, 19', ...)의 조립체, 광원(6, 7), 확산기(28, 29), LCD 패널(34) 및 하우징(20)은 예를 들어, (비디오)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형성한다.
발광 패널(1)은, 동작시 광원(6, 7)에 의해 발광되는 광의 광학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도 1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센서는 광원(6, 7)의 광속(luminous flux)을 적절히 하기 위한 제어 전기기기(도 1a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결합된다. 상기 센서 및 제어 전기기기에 의해, 패널(1)로부터 분리된 광의 품질 및 양에 영향을 미치도록 피드백 매커니즘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조명 시스템의 세목, 즉, 광원(6, 7)과, 각각의 부표면(8, 9)으로 분할된 커플링아웃 부재(18, 18', ...; 19, 19', ...)을 구비한 발광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 도면은 실제 축척된 것은 아니다. 본 도는 제 1 광원(점선)으로부터의 광빔과, 제 2 광원(7)으로부터의 광빔(실선)을 아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광의 방향은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발광 패널(1)의 후벽(3)에 제공된 커플링아웃 부재(18, 18', ...; 19, 19', ...)는 2차 광원으로 작용한다. 특정 광학 시스템이 이들 2차 광원과 관련될 수도 있으며, 이 광학 시스템은 예를 들어, 전벽(2) 상에 제공된다(도 1a 및 1b에 도시되지 않음). 이 광학 시스템은, 예를 들어 넓은 광빔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1b에서, 제 1 및 제 2 커플링아웃 부재(18, 18', ...;19, 19', ...)는 쐐기형이며, 제 2 광원(7)에 인접한 제 1 커플링아웃 부재(18, 18', ...)의 측면은 제 2 에지 표면(5)과 거의 평행하며, 제 1 광원(6)에 인접한 제 2 커플링아웃 부재(19, 19', ...)의 측면은 제 1 에지 표면(4)과 거의 평행하다. 따라서, 커플링아웃 부재(18, 18', ...; 19, 19', ...)의 상기 측면은 후벽(3)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다. 커플링아웃 부재(18, 18', ..; 19, 19', ...)의 제공으로, 후벽(3)과 커플링아웃 부재(18, 18', ..., 19, 19', ...) 사이의 각은 90°로부터 약간 편향될 수도 있다. 이러한 편향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에서의 반사시, 반사된 광빔이 인접한 커플링아웃 부재에 닿지 않도록 방지할 수도 있다.
본 예에서, 광원(6, 7)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지만, 예를 들어, 방전 램프 또는, 일반적으로 전자 발광 소자와 같은 복수의 광전 소자(전자 광학 소자라고도 함) 등의 다른 광원일 수도 있다. LED의 휘도는 형광 튜브의 휘도보다 수 배 더 높다. 또한, 형광 튜브에 비해, LED는 보다 효율적으로 광이 발광 패널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광원으로서 LED를 사용하면, LED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패널과 접촉할 수도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LED는 발광 패널(1)의 광 전송 에지 표면(4, 5)의 방향으로 열을 거의 방출하지 않으며, 해로운 (UV) 방사를 발생하지도 않는다. LED를 사용하면, LED로부터의 광을 패널에 결합시키는 수단이 불필요하다고 하는 부가적인 이점이 있다. LED를 사용하면, 더욱 콤팩트한 조명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청, 녹, 적의 3 개의 상이한 색의 LED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높은 광 출력을 갖는 호박색(amber) LED가 이용된다. 사용된 LED 각각은 적어도 5 lm의 광속(a luminous flux)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높은 출력을 갖는 LED는 LED 파워 패키지라고도 한다. 파워 LED의 예로는 "바라쿠다"형 LED("Barracuda"-type LED)(휴렛패커드)가 있다. LED 당 광속은 적색 LED에 대하여 15 lm, 녹색 LED에 대하여 13 lm, 청색 LED에 대하여 5 lm, 호박색 LED에 대하여 20 lm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LED 당 광속이 적색 LED에 대하여35 lm, 녹색 LED에 대하여 20 lm, 청색 LED에 대하여 8 lm, 호박색 LED에 대하여 40 lm인, "프로메테우스"형 파워 LED("Prometheus"-tupe power LED)(휴렛패커드)가 이용된다.
LED는 (금속 코어) 인쇄 회로 보드 상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열 전도 접착제(a heat-conducting adhesive)에 의해 파워 LED가 (금속 코어) 인쇄 회로 보드(PCB) 상에 제공되면, LED에 의해 발생된 열은 PCB를 통해 열 전도에 의해 쉽게 방산될 수 있다. 조명 시스템의 다른 흥미로운 실시예에서는, (금속 코어) 인쇄 회로 보드가 적절한 열 전도 접속(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 금속)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우징과 접촉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제 2 에지 표면 가까이의 제 1 커플링 아웃 부재의 밀도가 제 2 커플링아웃 부재의 밀도보다 높고, 제 1 에지 표면 가까이의 제 2 커플링아웃 부재의 밀도가 제 1 커플링아웃 부재의 밀도보다 더 높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부표면은 서로를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바람직하게는, 부표면은 발광 패널의 전벽 또는 후벽의 실질적인 부분 상에서 연장되며, 커플링아웃 부재는, 분리된 광의 양이 광 전송 에지 표면에 대한 거리의 함수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제공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세목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a 및 1b와 관련하여, 도 2a의 대응 부분은 100 높은 참조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조명 시스템은 전벽(102) 및 후벽(103)을 갖는 발광 패널(101)을 포함한다. 참조번호 104, 105의 에지 표면은 광을 전송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106,107)과 관련된다.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부표면(108, 109)은 발광 패널(101)의 전체 후벽(103)을 포함한다. 부표면(108, 109)은, 분리된 광의 양이 광 전송 에지 표면(104, 105)에 대한 거리의 함수로서 선형적으로 변화하도록 커플링아웃 부재(도 2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제공됨을 나타내기 위해 삼각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1 광원(106)의 근방에서는, 부표면(108)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커플링아웃 부재로 인해, 분리된 광의 양이 적고, 광 전송 에지 표면(104) 반대쪽의 에지 표면(105) 근방에서는, 부표면(108)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커플링아웃 부재로 인해, 분리된 광의 양이 최대이다. 마찬가지로, 제 2 광원(107) 근방에서는, 부표면(109)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커플링아웃 부재로 인해, 분리된 광의 양이 적고, 광 전송 에지 표면(105) 반대쪽의 에지 표면(104) 근방에서는, 부표면(109)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커플링아웃 부재로 인해, 분리된 광의 양이 최대이다. 이런 방식으로, 제 1 광원(106) 근방에서는 제 1 광원(106)으로부터 직접 발생한 비교적 소량의 광이 분리되고, 역으로, 제 2 광원(107) 근방에서는 제 2 광원(107)으로부터 직접 발생한 비교적 소량의 광이 분리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세목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와 관련하여, 도 2b의 대응 부분은 100 높은 참조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조명 시스템은 전벽(202)과 후벽(203)을 갖는 발광 패널(201)을 포함한다. 참조번호 204, 205의 에지 표면은 광을 전송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206, 207)과 관련된다.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실시예에서,부표면(208, 209)은 발광 패널(201)의 전체 후벽(203)을 포함한다. 부표면(208, 209)은, 제 1 부표면(208)에서 분리된 광의 양이 사인의 제곱에 따라 변화하고, 제 2 부표면(209)에서 분리된 광의 양이 코사인의 제곱에 따라 변화하도록 커플링아웃 부재(도 2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삼면체 곡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사인과 코사인의 제곱의 합은 일정하기 때문에, 조명 시스템에 의해 조명될 디스프레이 디바이스에 대해 아주 균일한 광 분포가 얻어진다. 도 2a에 도시된 것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제 1 광원(206)의 근방에서 분리된 광의 양은 부표면(208)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커플링아웃 부재로 인해 적고, 광 전송 에지 표면(204) 반대쪽의 에지 표면(205) 근방에서는, 부표면(208)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커플링아웃 부재로 인해, 분리된 광의 양이 최대이다. 마찬가지로, 제 2 광원(207) 근방에서는, 부표면(209)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커플링아웃 부재로 인해, 분리된 광의 양이 적고, 광 전송 에지 표면(205) 반대쪽의 에지 표면(204) 근방에서는, 부표면(209)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커플링아웃 부재로 인해, 분리된 광의 양은 최대이다. 이런 방식으로, 제 1 광원(206)으로부터 직접 발생한 비교적 소량의 광은 제 1 광원(206) 근방에서 분리되고, 역으로, 제 2 광원(207)으로부터 직접 발생한 비교적 소량의 광은 제 2 광원(207) 근방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각각의 신규한 특징 및 이들 특징들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청구범위에서의 참조번호는 그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포함한다"라고 하는 용어는 청구항에 언급한 요소들 이외의 다른 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명 시스템은 발광 패널(1)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패널은
    전벽(a front wall)(2) 및 그 반대편의 후벽(a rear wall)(3)과 상기 전벽과 후벽 사이에 위치해 있는 제 1 및 제 2 광 전송 에지 표면(light-transmitting edge surface)(4, 5)과,
    상기 제 1 에지 표면(4)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광원(6)과, 상기 제 2 에지 표면(5)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광원(7)을 포함하며,
    동작시, 상기 제 1 광원(6)으로부터의 광은 상기 제 1 광 전송 에지 표면(4)에 입사하고, 상기 제 2 광원(7)으로부터의 광은 상기 제 2 광 전송 에지 표면(5)에 입사하며, 상기 광은 상기 발광 패널에서 확산되며,
    상기 발광 패널(1)의 전벽(2) 또는 후벽(3)의 제 1 부표면(a first sub-surface)(8)은 상기 패널(1)로부터 광을 분리하기 위한 제 1 커플링아웃 부재(18, 18', ...)를 구비하며, 상기 광은 주로 상기 제 1 광원(6)으로부터 발생하며,
    상기 발광 패널(1)의 상기 전벽(2) 또는 후벽(3)의 제 2 부표면(9)은 상기 패널(1)로부터 광을 분리하기 위한 제 2 커플링아웃 부재(19, 19', ...)를 구비하며, 상기 광은 주로 상기 제 2 광원(7)으로부터 발생하며,
    상기 제 2 에지 표면(5) 가까이의 상기 제 1 커플링아웃 부재(18, 18', ...)의 밀도는 상기 제 2 커플링아웃 부재(19, 19', ...)의 밀도보다 더 높으며,
    상기 제 1 에지 표면(4) 가까이의 상기 제 1 커플링아웃 부재(19, 19', ...)의 밀도는 상기 제 1 커플링아웃 부재(18, 18', ...)의 밀도보다 더 높은
    조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커플링 아웃 부재(18, 18', ...; 19, 19', ...)은 쐐기형이고,
    상기 제 2 광원(7)과 직면하는 상기 제 1 커플링아웃 부재(18, 18', ...)의 측면은 상기 제 2 에지 표면(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1 광원(6)과 직면하는 상기 제 1 커플링아웃 부재(19, 19', ...)의 측면은 상기 제 1 에지 표면(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조명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표면(8, 9)은 상기 발광 패널(1)의 전벽(2) 또는 후벽(3)의 대략 절반을 커버하는 하나의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아웃 부재(18, 18', ...; 19, 19', ...)는 광이 상기 부표면(8, 9)에 의해 분리되는 정도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정한 조명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면(108, 109; 208, 209)은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조명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면(108, 109; 208, 209)은 상기 발광 패널(101; 201)의 전벽(102; 202) 또는 후벽(103; 203)의 상당 부분 상에서 연장되고,
    분리된 광의 양이 광 전송 에지 표면(104, 105; 204, 205)에 대한 거리의 함수로서 변하도록 상기 커플링아웃 부재(118, 119; 218, 219)가 제공되는 조명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6, 6', 6", ...; 7, 7', 7", ...)은 적어도 5 lm의 광속(a luminous flux)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인쇄 회로 보드 상에 실장되는 조명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이한 광 방사 파장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시스템은 상기 광원(6, 6', 6", ...; 7, 7', 7", ...)의 광속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 전기기기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2 항에 청구된 조명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027008199A 2000-10-25 2001-10-10 조명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0200643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203718 2000-10-25
EP00203718.2 2000-10-25
PCT/EP2001/011719 WO2002035145A1 (en) 2000-10-25 2001-10-10 Illumin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361A true KR20020064361A (ko) 2002-08-07

Family

ID=817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199A KR20020064361A (ko) 2000-10-25 2001-10-10 조명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72734B2 (ko)
EP (1) EP1247044A1 (ko)
JP (1) JP2004512643A (ko)
KR (1) KR20020064361A (ko)
CN (1) CN1222710C (ko)
MX (1) MXPA02006204A (ko)
TW (1) TW557373B (ko)
WO (1) WO2002035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0854A (en) * 1993-02-26 1999-06-08 Donnelly Corporation Electrochromic polymeric solid films, manufacturing electrochromic devices using such solid films, and processes for making such solid films and devices
US5668663A (en) 1994-05-05 1997-09-16 Donnelly Corporation Electrochromic mirrors and devices
US6891563B2 (en) 1996-05-22 2005-05-10 Donnelly Corporation Vehicular vision system
US6326613B1 (en) 1998-01-07 2001-12-04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interior mirror assembly adapted for containing a rain sensor
US8294975B2 (en) * 1997-08-25 2012-10-23 Donnelly Corporation Automotive rearview mirror assembly
US6172613B1 (en) * 1998-02-18 2001-01-09 Donnelly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y incorporating vehicle information display
US6124886A (en) 1997-08-25 2000-09-26 Donnelly Corporation Modular rearview mirror assembly
US6445287B1 (en) 2000-02-28 2002-09-03 Donnelly Corporation Tire inflation assistance monitoring system
US8288711B2 (en) 1998-01-07 2012-10-16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rearview mirror system with forwardly-viewing camera and a control
US6477464B2 (en) 2000-03-09 2002-11-05 Donnelly Corporation Complete mirror-based global-positioning system (GPS) navigation solution
US6329925B1 (en) 1999-11-24 2001-12-11 Donnelly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added feature modular display
US6693517B2 (en) * 2000-04-21 2004-02-17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mirror assembly communicating wirelessly with vehicle accessories and occupants
WO2007053710A2 (en) 2005-11-01 2007-05-10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rearview mirror with display
WO2001064481A2 (en) 2000-03-02 2001-09-07 Donnelly Corporation Video mirror systems incorporating an accessory module
US7167796B2 (en) 2000-03-09 2007-01-23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navigation system for use with a telematics system
US7370983B2 (en) 2000-03-02 2008-05-13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mirror assembly with display
US7581859B2 (en) 2005-09-14 2009-09-01 Donnelly Corp. Display device for exterior rearview mirror
US7255451B2 (en) 2002-09-20 2007-08-14 Donnelly Corporation Electro-optic mirror cell
AU2002251807A1 (en) 2001-01-23 2002-08-19 Donnelly Corporation Improved vehicular lighting system for a mirror assembly
WO2003048635A1 (en) * 2001-12-07 2003-06-12 Lumileds Lighting U.S., Llc Compact light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US7572045B2 (en) * 2002-03-28 2009-08-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pact light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US6918674B2 (en) * 2002-05-03 2005-07-19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rearview mirror system
JP2003344850A (ja) * 2002-05-17 2003-12-0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面照明装置
US7329013B2 (en) 2002-06-06 2008-02-12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rearview mirror system with compass
EP1514246A4 (en) * 2002-06-06 2008-04-16 Donnelly Corp COMPASS INTERIOR COURTESY MIRROR SYSTEM
JP4185721B2 (ja) * 2002-07-17 2008-11-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3923867B2 (ja) * 2002-07-26 2007-06-06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面状光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141766B2 (ja) * 2002-08-23 2008-08-27 富士通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7244965B2 (en) 2002-09-04 2007-07-17 Cree Inc, Power surface mount light emitting die package
US7775685B2 (en) * 2003-05-27 2010-08-17 Cree, Inc. Power surface mount light emitting die package
WO2004103772A2 (en) 2003-05-19 2004-12-02 Donnelly Corporation Mirror assembly for vehicle
US7274501B2 (en) * 2002-09-20 2007-09-25 Donnelly Corporation Mirror reflective element assembly
US7310177B2 (en) * 2002-09-20 2007-12-18 Donnelly Corporation Electro-optic reflective element assembly
JP4317354B2 (ja) * 2002-10-25 2009-08-19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ATE372895T1 (de) * 2002-12-20 2007-09-15 Donnelly Corp Hilfseinrichtungssystem für fahrzeuge
JP4161713B2 (ja) * 2002-12-27 2008-10-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US7004602B2 (en) * 2003-02-25 2006-02-28 Ryan Waters LED light apparatus and methodology
US6969180B2 (en) * 2003-02-25 2005-11-29 Ryan Waters LED light apparatus and methodology
US7278766B2 (en) * 2003-04-04 2007-10-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ED based light guide for dual mode aircraft formation lighting
US6964507B2 (en) * 2003-04-25 2005-11-15 Everbrite, Llc Sign illumination system
US7484860B2 (en) * 2003-07-02 2009-02-03 S.C. Johnson & Son, Inc. Combination white light and colored LED light device with active ingredient emission
US7520635B2 (en) * 2003-07-02 2009-04-21 S.C. Johnson & Son, Inc. Structures for color changing light devices
US7446924B2 (en) * 2003-10-02 2008-11-04 Donnelly Corporation Mirror reflective element assembly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US7308341B2 (en) 2003-10-14 2007-12-11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7066623B2 (en) * 2003-12-19 2006-06-27 Soo Ghee Le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untainted white light using off-white light emitting diodes
US20050285145A1 (en) * 2004-06-23 2005-12-29 Nadarajah Narendran Web image transfer system using LED based lighting systems
US8324640B2 (en) * 2004-07-02 2012-12-04 GE Lighting Solutions, LLC LED-based edge lit illumination system
US7813026B2 (en) 2004-09-27 2010-10-1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reducing color shift in a display
KR101157233B1 (ko) * 2004-10-30 2012-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
TWI263098B (en) * 2005-02-16 2006-10-0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US7626749B2 (en) 2005-05-16 2009-12-01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mirror assembly with indicia at reflective element
US7980743B2 (en) * 2005-06-14 2011-07-19 Cree, Inc. LED backlighting for displays
US20070081321A1 (en) * 2005-10-10 2007-04-12 Seung-Ho Ah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725792B2 (ja) * 2006-04-11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7488087B2 (en) * 2006-05-19 2009-02-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ight guide and display including a light guide
TWI324278B (en) * 2006-12-06 2010-05-0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WO2008152563A1 (en) * 2007-06-14 2008-12-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ccurate light source - optics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S7841759B2 (en) * 2007-10-10 2010-11-30 Apple Inc. LED backlight for display systems
US7949213B2 (en) * 2007-12-07 2011-05-2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illumination of displays with front light guide and coupling elements
US8654061B2 (en) 2008-02-12 2014-02-1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grated front light solution
US8154418B2 (en) * 2008-03-31 2012-04-10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nterior rearview mirror system
US9487144B2 (en) * 2008-10-16 2016-11-08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nterior mirror assembly with display
CN102239581A (zh) 2008-12-05 2011-11-0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光导、图案化发光二极管设备、照明系统和生成光导或图案化发光二极管设备的方法
US8172417B2 (en) 2009-03-06 2012-05-0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haped frontlight reflector for use with display
US20120069599A1 (en) * 2009-05-28 2012-03-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ransparent luminous window
US8979349B2 (en) 2009-05-29 2015-03-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llumination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JP5658752B2 (ja) * 2009-07-09 2015-01-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フリーフォームのライトモジュ−ル
US20110169428A1 (en) * 2010-01-08 2011-07-1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Edge bar designs to mitigate edge shadow artifact
US8902484B2 (en) 2010-12-15 2014-12-0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Holographic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E102011104214A1 (de) * 2011-06-15 2012-12-20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Flächenleuchte mit veränderbarer Lichtfarbe
EP2554897A1 (de) * 2011-08-04 2013-02-06 Odelo GmbH Lichtleiter, Leuchtmittel und Kraftfahrzeugleuchte
FR3010831B1 (fr) * 2013-07-29 2019-06-28 Sunpartner Technologies Dispositif d'affichage retroeclaire avec cellules photovoltaiques integre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9675A (en) * 1990-11-08 1992-01-07 Deilaito Co., Ltd. Surface illuminating apparatus
EP0544332B1 (en) * 1991-11-28 1997-01-29 Enplas Corporatio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5575549A (en) * 1994-08-12 1996-11-19 Enplas Corporatio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U4409496A (en) * 1994-11-29 1996-06-19 Precision Lamp, Inc. Edge light for panel display
JP3379043B2 (ja) * 1998-06-29 2003-02-17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JP3421603B2 (ja) * 1999-01-21 2003-06-30 三洋電機株式会社 導光板、その導光板を用いた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0251514A (ja) * 1999-03-03 2000-09-14 Nec Corp 被照明体の反射形照明装置
JP2000267093A (ja) * 1999-03-19 2000-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情報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57373B (en) 2003-10-11
US20020135997A1 (en) 2002-09-26
EP1247044A1 (en) 2002-10-09
JP2004512643A (ja) 2004-04-22
CN1406325A (zh) 2003-03-26
WO2002035145A1 (en) 2002-05-02
MXPA02006204A (es) 2002-12-05
US6672734B2 (en) 2004-01-06
CN1222710C (zh)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734B2 (en) Illumin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KR100856814B1 (ko) 조명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6648486B2 (en) Illumin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EP1493050B1 (en) Compact light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US6854854B2 (en) Illumin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US7364343B2 (en) Compact light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KR100810806B1 (ko) 광 혼합 챔버, 조명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US6566689B2 (en) Illumin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US8246235B2 (en) Illumination system for luminaires and display device
US20020126478A1 (en) Illumin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EP1478954B1 (en) Compact light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JP2001215338A (ja) 導光板、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