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919A - 신뢰성 조사를 사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뢰성 조사를 사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919A
KR20020063919A KR1020027008054A KR20027008054A KR20020063919A KR 20020063919 A KR20020063919 A KR 20020063919A KR 1020027008054 A KR1020027008054 A KR 1020027008054A KR 20027008054 A KR20027008054 A KR 20027008054A KR 20020063919 A KR20020063919 A KR 20020063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erver unit
product
sign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813B1 (ko
Inventor
페터 에릭손
크리스터 파라에우스
리누스 비베
크리스토퍼 스칸체
Original Assignee
아노토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노토 아베 filed Critical 아노토 아베
Publication of KR2002006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2Card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06F3/0321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by optically sensing the absolute position with respect to a regularly patterned surface forming a passive digitiser, e.g. pen optically detecting position indicative tags printed on a paper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2Payment circuit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yment protocol involves at least one cheq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electronic rece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3Cards including a counter
    • G06Q20/3433Cards including a counter the counter having monetary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5Use of electronic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3Solvenc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30Writer recognition; Reading and verifying signa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handwritten signatu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2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5/00Receipt-giv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서명을 위한 기록 영역(6c)을 갖는 지불 제품에 관한 것이다. 기록 영역에는 서명의 디지털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위치 코딩 패턴(5)이 있다.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더 큰 제2 포지션 코딩 패턴의 서브셋이다. 지불 제품은 포지션 코딩 패턴에 의해 레코딩되며 서버 유닛으로 전송되는 전자 지불 정보에 기초한 지불 시스템에서 사용되는데, 지불 시스템은 지불 정보가 유효한 지를 조사하기 위해 포지션 코딩 패턴을 이용한다.

Description

신뢰성 조사를 사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ITH AUTHENTICITY CHECK}
수표 지불과 관련한 안전성이 문제이다. 무권리자가 타인의 수표를 입수하고, 타인의 서명을 위조하여 수표 주인의 금전을 획득하거나 수표 주인에게 대금이 청구될 물품을 구입할 위험이 언제나 있다.
무권리자가 서명을 위조하여 타인의 수표를 사용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많은 해결책이 제시되었다.
EP 0 276 109호는 사용자가 자신이 서명해야할 기록 영역에 상부 모서리부터 하부 모서리까지 강도가 변화하는 음영이 제공된 수표를 개시한다. 사용자는 펜촉에 강도를 레코딩한 센서를 가진 펜으로 수표에 서명한다. 따라서, 펜은 기록 영역 상의 펜의 위치에 의존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강도를 가진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택일적으로, 기록 영역에는 상이한 강도의 음영을 갖는 많은 수의 정사각형이 제공된다. 또한, 이 경우, 펜은 기록 영역 상의 펜의 위치에 의존하여 시간에 따라 강도 면에서 변화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펜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당해 수표에 서명하는 자가 실제의 권리자임을 조사하기 위해 서명자의 서명을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서명과 비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EP 0 132 241호는 서명을 검증하기 위한 유사한 방법을 개시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판독용 펜을 사용하여 엷은 선 또는 영역에 의해 분리된 평형의 검은 선으로 구성된 바코드 상에서 검증될 자신의 서명을 기록한다. 사용자가 서명한 경우, 판독용 펜은 광을 발산하고 반사된 광을 기록하여 펄스 열을 생성한다. 펄스 열은 이전에 생성되었던 하나 이상의 펄스 열과 컴퓨터에서 비교되며 본인임을 검증하기 위해 컴퓨터에 저장된다.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바코드는 예를 들어 바코드에 코딩된 사용자의 생일 등과 같은 특정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신용 카드 지불과 같은 다른 지불과 관련해서도 문제점이 있다. 타인의 신용 카드를 습득한 무권리자는 슬립 상의 등록 회원의 서명은 위조하여 등록 회원에게 대금 청구될 물품을 구입할 수 있다.
신용 카드 지불이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이뤄질 때, 지불이 통상적으로 단지 카드 번호에 기초하여 행해지므로 안전성 문제가 증가된다. 지불을 하는 사람의 서명이 요구되지 않는다.
수표에 의한 지불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원격으로 그리고 컴퓨터에 의해 컴퓨터 네트워크로 정보를 전송하는 사람의 신원을 검증하는 일반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수기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기된 정보의 디지털 레코딩을 가능하게 하는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록 영역을 포함하는 지불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버 유닛, 정보 처리용 시스템, 완전한 포지션 코딩 패턴의 사용 및 포켓용 전자 사용자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는 사용자 유닛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은 정보 처리를 위한 영역 기초 규정에 대한 저장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4는 실시예에 따라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공되는 제품의 도면이다.
도5는 마크가 어떻게 포지션 코딩 패턴의 실시예에서 설계되고 위치될 수 있는 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6은 포지션을 코딩하기 위해 사용된 4*4 심볼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지불 제품에 지불자의 서명을 요구하는 지불 제품과 관련하여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1항에 따른 지불 제품, 청구항12항에 따른 서버 유니트, 청구항19항에 따른 정보 처리용 시스템, 청구항30항에 따른 사용법 및 청구항 32항에 따른 사용자 유닛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기록 영역을 포함하는데, 이는 사용자로부터 수기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수기된 정보의 디지털 레코딩을 가능하게 하는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공된다. 제품은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2 포지션 코딩 패턴의 서브셋이며, 이는 가상 표면에 복수의 포인트의 좌표들을 코딩하는 완전한 포지션 코딩 패턴이고,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수기된 정보의 디지털 레코딩 및 권리자 조사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더 큰 완전한 포지션 코딩 패턴의 서브셋인 포지션 코딩 패턴을 사용하는 장점은 안전성이 특정 제품에 더 큰 포지션 코딩 패턴의 특정한 서브셋이 제공되는 지식에 기초하여 조사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품 상의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이중 기능을 갖는다. 이는 수기된 정보가 레코딩되도록 제품 상의 기록 영역에 대해 국부적으로 포지션의 디지털 기록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더 큰 제2 포지션 코딩 패턴에서 광역적으로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포지션은 권리자의 조사에 사용될 수 있다.
신뢰성 조사가 수기된 정보가 기록된 경우 행해질 필요가 없지만, 이후에는 물리적인 원형 또는 디지털적으로 저장된 정보에 대한 조사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제2 포지션 코딩 패턴은 완전한 형태로 저장될 필요는 없다. 코딩은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2 포지션 코딩 패턴의 서브셋이라는 사실로 인해, 추가의 고유한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이 생성될 수 있으며 제품이 사용되는 시스템의 소정 위치는 제2 포지션 코딩 패턴 내에서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포지션 코딩 패턴은 가상 표면 상의 복수의 포인트에 대한 좌표를 코딩하는 완전한 포지션 코딩 패턴이다. 이러한 타입의 코딩의 장점은 제2 포지션 코딩 패턴이 어디에도 저장될 필요가 없고 좌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제2 포지션 코딩 패턴에서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다. 모든 부분에서 고유한 이미지가 제2 포지션 코딩 패턴 대신에 사용된 경우, 제2 포지션 코딩 패턴에서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해 제2 포지션 코딩 패턴의사이한 부분에 대해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을 매칭시킬 필요가 있다. 대신 코딩된 좌표는 직접 포지션을 제공한다.
게다가, 완전한 포지션 코딩 패턴은 수기된 정보가 제품 상에 기록된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추후에 디지털 버젼이 실질적으로 특정 물리적 제품으로부터 기원했음을 조사할 수 있다는 데에 가치가 있다.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의 해상도는 상당히 적절하여 수기된 정보의 디지털 복원이 가능하다. 따라서, 어떻게 수기된 정보가 물리적 제품 상에 나타날 수 있는지의 이미지를 디지털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물리적 지불 제품의 출현에 대한 지식으로, 수기된 정보를 가진 물리적 지불 제품의 정확한 디지털 사본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완전한 포지션 코딩 패턴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US 5,852,43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각 포지션은 고유한 심볼로 코딩된다. 이는 적어도 만일 더 큰 수의 포지션이 코딩될 경우, 각 심볼이 오히려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판독의 어려움과 에러의 증가로 인해 심볼이 상당히 작게 만들어 질 수 없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각 포지션에서 포지션 코딩 패턴을 판독할 장치는 완전한 심볼을 레코딩하기 위해 4개의 심볼에 대응하는 영역을 판독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대신에 복수의 심볼로 구성되며, 각 포인트의 좌표는 복수의 심볼에 의해 코딩되며 각 심볼은 하나 이상의 포인트의 코딩에 기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높은 해상도가 얻어진다. 이러한 타입의 포지션 코드의 예는 출원인의국제 특허 출원 WO 00/73983 및 PCT/SE00/01895에서 알 수 있다. 이러한 출원은 여기서 참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제품의 권리자에 고유하다.따라서, 각 사용자는 더 큰 포지션 코딩 패턴에 자기 자신의 고유한 서브셋을 할당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서브셋은 예를 들어, 수표 또는 신뢰성 조사를 실행하는데 사용되고 사용자에게 속하는 다른 제품에 배치되며, 여기서 사용자는 포지션 코딩 패턴의 개인적 서브셋에 수기된 정보를 기록한 경우, 예를 들어 본인으로 가정한다.
두 번째 예로서, 사용자에게는 포지션 코딩 패턴의 개인적 서브셋을 가진 개인 신용 카드 영수증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신용 카드를 사용하여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상점에서 지불을 원하고 신원의 디지털 검증을 가능하게 하기를 원할 경우, 신용 카드 영수증을 사용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자신의 신원을 디지털적으로 검출하기를 원할 경우 디지털 펜으로 자신의 서명을 기록하는 신원 카드 상에 배치된다. 디지털 펜은 서명을 미리 저장된 서명과 비교하고 포지션 코딩 패턴이 올바르다는 것을 조사함으로써 권리자의 서명을 조사하는 서버 유닛으로 서명을 전송한다. 이어 서버 유닛은 사용자의 신뢰성의 확인을 수취인에게 전송한다. 택일적으로, 신뢰성 조사는 펜으로 행해질 수 있다.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이 고유하게 사용자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기록한 것이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에 의해 코딩된 좌표에 의해 디지털적으로 레코딩됨으로서 자신의 신원을 디지털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제품의 각 항목에 고유할 수 있다. 이는 개별 제품상에 수기된 정도가 정확하게 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이는 제품이 수표, 또는 종전에 사용되었거나 권리자 조사에 증가된 안전성을 필요로 하는 다른 가치있는 도구일 경우, 매우 유용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제품의 타입에 고유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수기된 정보가 우편 지로 용지와는 구별되는 수표와 같은 제품의 특정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수기된 정보는 사용자의 서명을 포함한다. 많은 제품, 특히 지불 제품은 지불 제품이 한정하는 거래의 확인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서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경우, 서명은 레코딩되고, 조사되며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에 의해 디지털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전에 종이 제품으로 실행될 수 있었던 거래를 디지털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지불을 위해 수표를 디지털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표로 지불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를 데이팅(date)하는 것은 서명된 종이 수표를 양도하기 위해 강요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품에 따라, 서명이 기록된 고유한 포지션 코딩 패턴을 판독함으로서 제품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자 거래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이는 사용자가 자신이 만든 지불의 종이 사본을 보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수될 수표 상의 서명을 위해, 이전에 저장된 서명과 유사할 필요는 없으나 포지션 코딩 패턴의 "올바른" 서브셋에 기록되어야 한다.
일 예에서, 제품은 제품과 관련한 추가의 수기된 정보를 레코딩하기 위한 복수의 추가의 기록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의 기록 영역에는 추가의 수기된정보를 디지털 방식으로 레코딩할 수 있는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공된다.
따라서,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추가의 기록 영역에서 반복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더 큰 제2 포지션 코딩 영역의 더 많은 부분을 구성할 수 있어서,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모든 기록 영역을 커버링 할 수 있으며 상이한 기록 영역에서의 포지션은 구별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추가의 기록 영역에는 더 큰 제2 포지션 코딩 패턴의 제2 서브셋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서브셋은 제1 포지션 코딩 패턴과 연속으로 대응하지 않는다.
추가의 정보는 통상적으로 수표 등과 같은 형식에 기록된 정보일 수 있다. 포지션 코딩 패턴에 의해, 정보가 제품 상의 어디에 기록되었는 지를 정확하게 식별하여 다른 특정한 순서로 기록될 필요 없이 다른 정보로부터 각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제품은 예를 들어, 서명될 승인을 가지며 승인에 대한 실행이 서명될 기록 영역에서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공되는 한 장의 종이 같은 신뢰성 조사의 형태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소정의 제품일 수 있다.
신뢰성 조사가 적절한 제품의 다른 타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지불 거래의 경우 종종 서명을 하는 다양한 타입의 지불 제품이다. 지불 제품은 예를 들어 신용 카드 영수증, 은행 또는 우편 지로 용지, 수표 또는 상품권일 수도 있다.
만일 서명될 지불 제품에 사용자에게 고유한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공되면, 안전성은 사기꾼이 서명 및 특정 좌표 영역에서 포인트에 대한 좌표를 코딩하는 포지션 코딩 패턴을 위조해야 할만큼 상당히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안전한 조건하에서 전자 지불을 가능하게 한다.
제2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 유닛에 관련하며, 서버 유닛은 복수의 사용자 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배치되고, 서버 유닛은, 서버 유닛이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를 가지며, 여기서 복수의 영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이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가상 표면 상의 좌표 영역을 나타내며, 서버 유닛은 가상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에 대해 적어도 두개의 좌표의 형태로 정보를 수신하도록 배치되고, 서버 유닛은 사용자 유닛 중 하나로부터의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좌표가 어느 영역에 속하는 지를 결정하고 영역 가입에 기초하여 수신된 정보에 대해 신뢰성 조사를 수행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가상 표면이 사용되며, 이는 신뢰성 조사를 가능케 하기 위해 상이한 영역(좌표 영역)으로 분할된다. 수기된 정보는 좌표가 어느 영역에 속하는 지를 결정하는 서버 유닛을 통해 전송된다. 상이한 영역은 예를 들어, 상이한 제품, 상이한 회사 및/또는 제품의 상이한 사용자와 관련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안전성 레벨을 정보 처리를 위한 시스템으로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스템은 여러 사용자에게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시스템을 사용하는 개인은 패스워드, PIN 번호, 스마트 카드 또는 다른 안전 시스템의 사용없이 안전한 방식으로 자신을 식별할 수 있다. 정보가 전자적으로 레코딩됨에 따라, 사용자는 리마인더 및/또는 디지털적으로 레코딩되고 서버 유닛에 전송되는 정보의 증거로서 물리적 제품을 보유할 수 있다.
시스템을 사용하는 회사는 영역을 임대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영역에 대한 게인 액세스를 할 수 있다. 이어 회사는 디지털 형태로 수신된 수기된 정보가 올바른 영역으로부터 좌표로 표시되는 것을 조사할 수 있거나, 서버 유닛을 조사할 수 있다.
사용자 유닛이 레코딩하는 좌표들은 결정될 영역 가입을 위해 처리를 필요로 하는 소정 형태로 서버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한정된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한 명의 권리자는 적어도 소정의 영역과 관련하며, 서버 유닛은 신뢰성 조사를 할 경우 영역 가입에 의해 사용자의 권한을 조사하기 위해 배치된다.
따라서, 회사는 특정 영역에 속하는 좌표를 갖는 자신의 제품을 마킹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도록 허가 받기 전에, 사용자는 회사에 등록되어야 한다. 그 후, 사용자는 소산을 사용할 수 있고 회사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영역의 권리자로서 등록되었음을 조사함으로써 안전성 조사를 실행할 수 있다.
높은 안전성을 제공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영역에 대한 권리자는 오직 한 명이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소정의 영역과 관련한 적어도 한 명의 고유한 사용자 신원이 있으며, 사용자 신원은 영역 내에서 포인트에 대한 좌표를 레코딩할 권한을부여받은 사용자 유닛을 식별하고, 상기 정보는 고유한 사용자 신원을 포함하며 서버 유닛은 신뢰성 조사를 수행할 경우, 사용자의 권한을 조사하기 위해 고유한 사용자 신원을 사용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이 경우 안전성은 증가될 수 있다. 올바른 것으로 간주될 서버 유닛에 의해 디지털 형식으로 수신된 수기된 정보를 위해, 수기된 정보는 포지션 코딩 패턴의 올바른 서브셋에 대해 기록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올바른 사용자 유닛을 사용하여 기록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기꾼이 특정인으로 되는 것에 성공하기 위해, 사기꾼은 올바른 포지션 코딩 패턴 상에 정보를 기록하여야 하고 특정인의 사용자 유닛을 획득해야 한다.
사용자 신원은 사용자 유닛의 시리얼 번호일 수도 있고 특히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자 유닛에 저장된 소정 형태의 코드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영역에 대해 권한을 받은 자의 서명은 적어도 소정의 영역과 관련되며, 상기 정보는 사용자 서명의 디지털식 표현을 포함하며, 서버 유닛은 신뢰성 조사를 실행할 경우, 관련된 영역과 관계된 서명을 가진 수신된 정보에서의 서명과 비교하기 위해 배치된다.
서명은 사용자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좌표의 형태로 표현된다. 따라서, 좌표는 서명을 나타내고 영역 가입을 나타내는 이중 기능을 갖는다. 좌표 영역이 서명이 제품 상에 기록될 기록 영역 상에 포지션 코딩 패턴에 대응하는 서버 유닛에 저장되므로, 어떤 좌표가 수신된 정보에서의 서명을 나타내는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좌표가 올바른 영역에 속한다는 것, 정보가 올바른 사용자 유닛을 사용하여기록되었다는 것 및 서명이 올바르다는 것에 대한 조사를 조합함으로써, 매우 높은 안전성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명 조사는 택일적으로 사용자 유닛에서 서명 검증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지적되었다. 사용자 유닛이 서명을 승인한 후에야, 수기된 정보의 나머지가 서버 유닛으로 향하며, 여기서 추가의 신뢰성 조사는 수신된 좌표가 어떤 영역에 속하는지, 그리고 사용자 유닛의 고유한 사용자 신원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서버 유닛은 수신된 정보를 최종으로 처리하는 유닛일 수 있다. 그러나, 서버 유닛은 바람직하게 중간 유닛으로 이는 사용자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수취인에게 전달한다.
수취인은 수신된 정보에서 특정될 수 있지만, 유리한 실시예에서 수취인은 영역 가입에 의해 결정된다. 수취인은 도메인을 사용할 권리를 임대했거나 예를 들어, 회사와 같이 도메인을 사용할 권리를 가진 일단이거나, 또는 주소가 도메인과 관련된 다른 수취인일 수도 있다.
게다가, 수취인은 최종 수취인 또는 지불 정보를 최정 수취인에게 전달하는 중간 수취인일 수도 있다. 수취인은 또한 예를 들어 서버 유닛이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유닛 같은 사용자 유닛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서버 유닛은 수납자에게 전송되는 정보에서 영역 가입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납자는 예를 들어 더 큰 영역 또는 더 많은 수의 더 작은 영역에 대한 권리를 가질 수 있다. 수납자는 스스로 사용자에게 이러한 영역의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는 고유의 포지션 코딩 패턴을 가진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수취인은 어떤 영역 또는 부분에 정보가 속하는 지를 알아야 한다.
서버 유닛은 수취인에게 전송되는 정보에서 신뢰성 조사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라, 이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과 관련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서버 유닛 및 복수의 사용자 유닛을 포함하며, 각 유닛은 서보 유닛으로 정보를 레코딩하거나 전송하도록 배치되며, 이 시스템은, 정보가 복수의 영역에 대한 서버 유닛에 저장되고, 각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가상 표면 상에 좌표 영역을 나타내며, 각 사용자 유닛은 가상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에 대해 적어도 두 개의 좌표의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도록 배열되고, 서버 유닛은 사용자 유닛 중 하나로부터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좌표가 어느 영역에 속하는 지를 결정하고, 영역 가입에 기초하여 수신된 정보에 대해 신뢰성 조사를 수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도록 권한을 부여받는 것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제품에 대한 완전한 포지션 코딩 패턴의 사용과 관련되며, 완전한 포지션 코딩 패턴은 권리자에게 고유하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은 포켓용 전자 사용자 유닛에 관련되며, 이는 전술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유익한 실시예에서, 소유자의 계좌 번호는 사용자 유닛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매번 번호의 모든 수를 레코딩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서버 유닛으로 전송된다.
적어도 하나의 저장된 계좌 번호를 가진 포켓용 전자 사용자 유닛은 전술된 것 외의 다른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의 장점 및 사용은 전술한 논의에서 명백하다.
제품 및 서버 유닛에 대한 전술한 특징은 시스템, 사용방법 및 사용자 유닛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고 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 지를 나타낸 예이다. 이 예에서, 본 발명은 지불 정보로 설명된다. 시스템은 원칙적으로 복수의 지불 제품, 복수의 사용자 유닛,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 제품 및 서버 유닛을 포함한다. 그러나, 명확화를 위해, 단지 하나의 지불 제품(1), 하나의 사용자 유닛(2), 하나의 네트워크 접속 유닛(3) 및 하나의 서버 유닛(4)이 도1에 도시된다.
지불 제품
지불 제품(1)은 사용자 유닛에 위해 판독될 수 있도록 좌표가 제공될 수 있는 소정의 지불 제품이 될 수 있다. 좌표는 한정되거나 코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지불 제품(1)은 이 예에서 전체 표면에 포지션 코딩 패턴(5)이 제공되는 수표로 구성된다. 패턴은 수표 상에 다수의 도트로서 간략화되고 확대되게 도시된다. 간략화를 위해, 수표 상의 단지 일부의 패턴이 도시된다. 수표 상의 포지션 코딩 패턴(5)은 더 큰 포지션 코딩 패턴의 서브셋을 구성한다.
수표는 3개의 기록 영역(6a, 6b, 6c)을 가지며, 이들은 수기된 정보를 위한 것이다. 제1 기록 영역은 금액을, 제2 기록 영역은 지불의 수취인을, 그리고 제3 기록 영역은 사용자의 서명을 위한 것이다. 물론, 수표의 디지털 처리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추가 정보를 위한 추가의 기록 영역이 있을 수 있다. 일례는 지불이 어느 은행 계좌로 행해질 지를 특정하는 기록 영역이 될 수 있다.
포지션 코딩 패턴
포지션 코딩 패턴(5)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특정한 최소 크기의 패턴의 일부가 레코딩되면, 포지션 코딩 패턴에서, 결국 지불 제품에서 이러한 포지션은 명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는 일반적인 특징을 갖는다.
포지션 코딩 패턴(5)은 전술한 US 5,825,434호에 도시된 타입일 수 있으며,여기서 각 포지션은 특정 심볼로 코딩된다.
그러나, 포지션 코딩 패턴이 고 해상도로 정보를 레코딩하기 위해 사용되고, 게다가 정보의 다양한 처리를 가능케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따라서, 패턴은 고해상도로 전체 좌표에 의해 주어진 상당히 많은 수의 포지션을 코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게다가, 포지션 코딩 패턴은 제품의 표면의 시각적 인상을 억압하거나 방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생생하게 코딩된다. 높은 신뢰성을 가진 포지션 코딩 패턴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포지션 코딩 패턴은 2000년 5월 26일에 공개된 국제 특허 출원 WO 00/73983에 도시된, 또는 2000년 10월 2일에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PCT/SE00/01895에 도시된 타입의 진보적인 타입이며, 모두 본 발명의 출원인에 양도되었다. 이러한 패턴에서, 각 포지션은 복수의 마크 또는 심볼로 코딩되며, 각 심볼은 몇몇 포지션의 코딩에 기여한다. 포지션 코딩 패턴은 적은 수의 심볼 타입으로 구성된다.
큰 도트가 "1"을 나타내고 작은 도트가 "0"을 나타내는 예가 WO 00/73983에 도시된다.
현재 가장 바람직한 패턴은 PCT/SE00/01895에 도시되는데, 래스터 포인트와 관련하여 도트 또는 마크의 4개의 상이한 변위가 4개의 상이한 값을 코딩한다. 이러한 패턴은 0.3mm의 공칭 이격 거리를 갖는 극히 작은 도트로 구성된다. 6 ×6의 상기 도트를 포함한 패턴의 일부는 전체 좌표 한 쌍을 한정한다. 따라서, 전체 좌표의 각 쌍은 포지션 코딩 패턴의 1.8mm ×1.8mm의 큰 서브셋으로 한정된다. 패턴을 판독하는 데 사용되는 사용자 유닛에서 센서 상의 6 ×6 도트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가상 표면 상의 전체 포지션은 0.03mm의 해상도로 인터폴레이팅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PCT/SE00/01895에 따른 포지션 코딩 패턴의 보다 완벽한 설명은 덧붙인 부록에 설명된다.
이러한 포지션 코딩 패턴은 상당히 많은 수의 전체 포지션을 코딩할 수 있다. 각 포지션이 6 ×6 도트로 코딩됨에 따라, 각 도트는 4개의 값중 하나를 가질 수 있으며, 436개의 포지션이 코딩될 수 있으며, 이는 도트 사이의 전술한 공칭 거리를 갖는 4백60만 ㎢의 표면과 대응한다.
포지션 코딩 패턴은 대략 600 dpi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는 소정의 베이스에 인쇄될 수 있다. 베이스는 의도된 용도에 따라 소정의 크기 및 형태일 수 있다. 패턴은 표준 오프셋 인쇄 기술에 의해 인쇄될 수 있다. 통상적인 블랙 카본 기재 인쇄 잉크 또는 적외선 광을 흡수하는 다른 종류의 인쇄 잉크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는 카본 기재가 아니며 적외선 광을 흡수하지 않는 블랙 잉크를 포함하는 다른 잉크는 판독을 방해하지 않고 포지션 코딩 패턴 상의 다른 인쇄와 이중 인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본 기재 블랙 인쇄 잉크로 인쇄된 전술한 패턴이 제공되는 표면은 표면의 엷은 회색의 음영(1-3% 강도) 같이 눈으로 지각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사용자에 친숙하고 심미적이다.
물론, 전술한 것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심볼이 포지션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심볼 사이의 더 넓은 또는 더 좁은 거리가 패턴에 사용될 수 있다. 예는 단지 패턴의 바람직한 구현을 보여준다.
사용자 유닛
도2는 디지털 펜으로 구성된 사용자 유닛(2)의 예를 도시한다. 이는 펜과 거의 동일한 형상인 케이싱을 포함한다. 케이싱의 짧은 면에는 개구부(12)가 있다. 짧은 면은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공되는 베이스로부터 접촉하거나 짧은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싱은 필수적으로 광학부, 전자 회로부 및 전원 장치를 포함한다.
광학부는 디지털 카메라를 형성하며, 2차원 이미지를 레코딩하기 위해, 이미지화될 표면을 조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광 발산 다이오드(13) 및 예를 들어, CCD 또는 CMOS 센서인 광 민감 영역 센서(14)를 포함한다. 사용자 유닛은 또한 렌즈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포지션 코딩 패턴에서 적외선 광은 심볼에 의해 흡수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센서(14)에 식별되도록 한다. 센서는 유용하게 초당 적어도 100개의 이미지를 레코딩한다.
펜의 전원 공급은 케이싱에서 별도의 구획에 장착된 배터리(15)로부터 얻어진다. 그러나, 택일적으로 펜은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 회로부는 센서(14),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로부터의 이미지를 레코딩하고, 이미지 내에서 심볼을 식별하며, 포지션 코딩 패턴의 이미지화된 서브셋에 기초하여 가상 표면 상의 위치에 대해 실시간으로 전체 좌표를 결정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가진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레코딩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신호 처리기(16)를 포함한다. 택일적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기(16)는 ASIC(응용 주문형 집적회로응용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현장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현된다.
따라서, 위치 결정은 신호 처리기(16)에 의해 수행되는데, 신호 처리기(16)는 이미지에서 심볼을 위치 설정 및 디코딩 가능케 하고 얻어진 코드로부터 포지션을 결정가능케 하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해야 한다. 당업자는 전술한 특허 출원 PCT/SE00/01895로부터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신호 처리기(16)는 또한 좌표의 저장된 쌍을 분석하고, 이를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공되는 표면에서 사용자 유닛(2)이 어떻게 이동되었는 지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다각형 열로 변환시키도록 프로그램된다. 최종적으로, 신호 처리기(16)는 다각형 열을 포함하는 메시지 및 사용자 유닛에 저장된 고유한 사용자 신원을 자동으로 또는 명령에 따라 발생시키며, 중심 유닛(4)으로 이러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신호 처리기(16)는 모든 정보를 중심 유닛(4)으로 전달할 필요는 없다. 신호 처리기(16)는 레코딩된 좌표를 분석하고 특정 좌표 영역 내의 좌표에 의해 표현되는 정보를 전달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신호 처리기(16)는 또한 서버 유닛(4)으로 전송된 정보를 엔코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 펜(2)은 펜 포인트(17)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공되는 표면 상에 통상의 안료 기재 기록을 수행할 수 있다. 펜 포인트(17)는 사용자가 사용할 것인 지의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연장될 수 있고 축소될 수도 있다. 펜 포인트를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버튼(미도시)은 통상의 볼펜과 같은 방식으로 펜에 대한 온/오프 버튼으로 기능하여 펜 포인트가 연장될 경우 활성화 될 수 있다. 펜은 또한 활성화되고 제어될 수 있는 버튼(18)을 포함한다.
펜(2)은 서버 유닛(4)에 대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지불 정보를 전송하도록 배치된다. 도1에 따른 실시예에서, 정보는 무선으로 네트워크 접속 유닛(3)에 전송되며, 차례로 정보를 서버 유닛(4)으로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접속 유닛은 이동 전화(3)이다. 택일적으로 이는 컴퓨터, 또는 예를 들어 인터넷, 로컬 회사 네트워크 또는 전화 네트워크와 같이 네트워크로 인터페이스를 갖는 다른 적절한 유닛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유닛(3)은 택일적으로 펜(2)의 집적부를 구성한다.
모든 등록된 데이터는 중심 유닛(4)으로의 전송을 대기하는 버퍼 메모리(2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펜(2)은 독립 조작 모드로 작용할 수 있다; 즉 펜(2)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접속 유닛(3)과 연결된 경우 같은 상태일 경우 정보를 전송하여 버퍼 메모리(20)로부터 레코딩된 정보를 검색한다.
통상적으로 서로 상당히 근접하게 위치된 펜(2)과 네트워크 접속 유닛(3) 사이의 통신은 예를 들어 Bluetooth®기술 또는 단거리 정보 전송을 위한 다른 기술에 따른 적외선 또는 전파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펜(2)은 외부 유닛과 무선 통신을 위한 바람직하게 Bluetooth®송수신기인 송수신기(19)를 구비한다.
택일적으로, 전송은 케이블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유닛(2)은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 유닛(3)으로 연결된다. 택일적으로, 네트워크 접속 유닛(3)은 케이블을 통해 전화 네트워크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 같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는 결합 유닛(미도시)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유닛은 펜 스탠드로 유용하게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 유닛(2)이 결합 유닛에 배치된 경우, 사용자 유닛(2)은 자동으로 또는 명령에 따라 서버 유닛(4)과 통신하게 된다. 결합 유닛은 사용자 유닛(2)에서 배터리(15)(도2)를 충전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택일적 실시예에 따라, 결합 유닛은 외계와 무선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상기한 예는 단지 사용자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를 보여준다. 택일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유닛은 이미지 발생기로서 작동한다; 즉 센서(14)에 의해 레코딩된 이미지가 컴퓨터(미도시)로 전송되며, 컴퓨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표를 결정하기 위해 이미지를 처리하며, 적절한 통합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중심 유닛(4)과 통신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패턴은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하며, 따라서 센서(14)는 광학용이다. 그러나, 패턴은 광학 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는 당연히 관련된 파라미터를 판독할 수 있는 타입이어야 한다. 이러한 파라미터의 예는 화학적, 음향학적 또는 전기자기적 마크이다. 용량상 또는 유도성 마크가 또한 사용될 수가 있다. 그러나, 패턴이 광학적으로 판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이한 제품, 특히 종이 상에 마크를 적용하는것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기 때문이다.
서버 유닛
도1의 서버 유닛(4)은 컴퓨터의 네트워크에서의 컴퓨터이다. 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다양한 메모리, 주변 장치 및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와의 연결된 통상적인 서버 유닛으로 구성되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가진다. 서버 유닛은 또한 이러한 기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서버 유닛의 메모리(4')에 저장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서버 유닛(4)은 택일적으로 네트워크-연결된 컴퓨터 또는 로컬 컴퓨터 같은 다른 타입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 유닛(2)은 이러한 컴퓨터와 무선으로, 혹은 케이블에 의해 통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몇몇 사용자 유닛(2)은 시스템의 중심부인 서버 유닛(4)으로 정보를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몇몇 이러한 시스템은 훨씬 더 큰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서버 유닛(4)은 글로벌 네트워크에 통합될 필요는 없지만, 로컬 네트워크에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회사 내에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서버 유닛(4)의 메모리(4')는 포지션 코딩 패턴이 코딩할 수 있는 포지션의 전체 표면에 대한 정보를 가진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한다. 전체 표면은 좌표 시스템에서 표면으로 언급되는 가상 표면을 형성하여, 이러한 표면은 특정한 해상도를 가지고 2차원으로 시스템적으로 배치된 많은 수의 포지션을 포함한다. 이는 전체 표면이 포지션 코딩이 코딩할 용량을 가진 모든 포인트 또는 포지션으로 구성되었다고 설명함으로써 표현될 수 있다. 각 포지션은 한 쌍의 좌표를 형성하는 두 개의 관련된 좌표로 한정될 수 있다. 만일 하나 이상의 가상 표면이 있을 경우, 두 개 이상의 좌표가 포지션을 한정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
가상 표면은 구역으로 불리는 다수의 영역으로 나눠진다. 구역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체 표면은 구역에 의해 채워질 필요는 없다. 서버 유닛의 메모리에는 포지션과 상이한 구역의 범위와 관련하여 저장된 정보가 있다. 직사각형의 구역은 예를 들어 도메인의 구석에서 포인트를 나타내는 한 쌍의 좌표로 묘사된다.
가능한 가장 작은 구역은 가상 표면 상의 단일 포지션으로 구성된다. 구역은 소정의 형태일 수 있다. 구역은 서로 분리될 필요가 없지만, 서로 중첩될 수 있으며 수학적 관계 또는 관련에 의해 한정된다.
규정
컴퓨터 구조에서, 서버 유닛의 메모리에는 정보 또는 규정이 구역에 대해 구역과 관련될 수 있는 정보가 어떻게 처리될 지를 한정한다.
도3은 표로 구성된 이러한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표의 제1열(30)에서 가상 표면의 구역이 사각형으로 가정되는 구역의 구석에 대해 좌표(x1, y1; x2, y2; x3, y3; x4, y4)로 한정된다. 제2열(31)에서 구역의 소유자가 한정되며, 여기서는 은행 A이다. 제3열(32)에서, 서버 유닛으로부터의 정보의 수취인인 한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은행은 수취인이므로 은행의 e-메일 주소가 제3열에 제공된다. 제4열(33)에서, 구역의 권리자가 한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권리자는 제1열에 특정된 구역으로부터 포지션 코딩 패턴을 가진 수표를 소유한 Anders Andersson이다.제5열(34)에서, 권리자의 서명은 서버 유닛이 수신된 서명과 이전에 저장된 서명을 비교할 수 있도록 저장된다. 제6열(35)에서, 사용자 신원은 권리가 부여된 사용자의 사용자 유닛에 시리얼 번호의 형태로 저장된다.
물론,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간단한 구조이다. 안전성 조사를 위한 현저히 복잡한 구조 및 규정이 가능하다.
시스템의 기능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이 기능은 이하와 같다. 사용자는 사용자 유닛(2)의 펜 포인트(17)를 사용하여 수표(1) 상에 금액, 지불 수취인 및 자신의 서명을 기록한다. 지불 정보는 수표 상에 펜 포인트로 기록됨과 동시에 기록 동안 사용자 유닛이 연속적으로 영역 센서(14)의 개관의 필드 내에 있는 포지션 코딩 패턴 부분을 레코딩함으로써 전자적으로 레코딩된다. 신호 처리기(16)는 포지션 코딩 패턴을 전체 좌표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신호 처리기는 사용자가 기록 동안 수표에 대해 어떻게 사용자 유닛을 옮기는지를 설명하는 좌표 쌍들의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신호 처리기는 지불 정보를 좌표 쌍들의 다각형 열로 변환시킴으로써 지불 정보를 압축한다. 이어 신호 처리기는 다각형 열 및 사용자 유닛에 저장된 고유한 사용자 신원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메시지는 네트워크 접속 유닛(3)으로 전송되며, 네트워크 접속 유닛(3)은 차례로 이 메시지를 서버 유닛(4)으로 전송한다.
서버 유닛(4)이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다각형 열에서의 하나 이상의 좌표 쌍들이 어느 구역에 속하는 지를 결정한다. 이어 신뢰성 조사를 실행하기 위해 구역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한다.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시스템은 몇몇 서버 유닛(4)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은 가상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경우 각 사용자 유닛은 레코딩된 정보가 어느 서버 유닛으로 전달될 지에 대한 정보를 알거나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유닛(2)의 메모리는 서버 유닛과 가상 표면 상의 구역 사이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유닛(2)은 정보를 레코딩한 후, 레코딩된 정보의 한 쌍의 좌표에 의해 한정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션에 대한 구역 가입을 결정하도록 배치되고 구역 가입에 기초하여 정보를 미리 예정된 서버 유닛으로 전달한다. 사용자 유닛(2)의 메모리는 예를 들어 사용자 유닛이 가상 표면 상의 소정의 포지션 또는 좌표 영역이 레코딩되었거나 레코딩될 정보와 관련하여 초기화되고 및/또는 실행될 특정 연산 및 명령을 나타내는 것을 인식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유리하게 얻을 수 있다. 사용자 유닛(2)에서 인식될 수 있는 바람직한 명령은 "전송", "어드레스" 및 다른 유사한 기본 명령이다.
적용예 1
지불 제품이 도1의 수표라고 가정한다. 사용자는 Alfa 라는 회사에 수표로 SEK 1000을 지불하고자 한다. 사용자는 기록 영역(6a)에 금액 SEK 1000 및 기록 영역(6b)에 회사 이름 Alfa를 기입한다. 이어 사용자는 기록 영역(6c)에 자신의 서명을 한다.
수표에 기입 및 서명하기 위해, 사용자는 지불 정보를 레코딩하고 서버 유닛(4)에 전달된 메시지에 사용자의 고유한 신원과 함께 이를 포함하는 자신의 개인 사용자 유닛(2)을 사용한다. 서버 유닛은 지불 정보에서의 좌표가 어느 구역에 속하는 지를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3을 참조하여, 권리자의 이름, 권리자의 사용자 유닛의 고유한 사용자 신원, 이미 레코딩된 권리자의 서명 및 지불 정보가 처리된 형태로 전달될 수취인의 이름이 이 구역과 관련된다.
서버 유닛은 서명이 동일한 지를 조사하기 위해 열(34)에 미리 저장된 서명과 지불 정보에서의 서명을 비교하여 시작된다. 이어 사용자 신원의 동일성을 조사하기 위해, 서버 유닛은 열(35)의 구역과 관련한 사용자 신원과 지불 정보에서의 사용자 신원을 비교한다. 게다가, 서버 유닛은 메시지에서의 다른 지불 정보를 해석하여 문자 코딩된 포맷으로 변환시킨다. 문자 코딩된 지불 정보, 사용자 이름 및 비교의 결과는 수표를 발행한 은행인 수취인에게 전달된다. 사용자가 권리자인 경우, 은행은 지불한다.
택일적으로, 서버 유닛은 은행의 신뢰성 조사를 실행할 은행 자신의 서버 유닛일 수도 있다.
전술한 예에서, 수표 상의 포지션 코딩 패턴은 사용자에게 고유하다. 이는 각각의 수표에 대해서도 고유하여, 수표 번호는 포지션 코딩 패턴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이어 서버 유닛은 수표가 아직 사용되지 안았으며 가장 최근에 사용된 수표 이후의 번호를 가지고 있음을 조사할 수 있다. 안정성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연속적인 수표에 대한 포지션 코딩 패턴은 구역 내에서 랜덤하게 분산될 수 있거나 연속적이지 않은 구역에 속할 수도 있다.
적용예 2
사용자는 신용 카드 회사에 의한 개인적 구역을 이러한 구역으로부터의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공되는 산용 카드 영수증 패드와 함께 할당 받는다. 포지션 코딩 패턴은 모든 영수증에 대해 동일할 수 있거나, 안전성의 레벨이 더 높은 경우 상이한 영수증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입을 원하는 물품을 인터넷 상에서 찾았다고 가정하자. 이어 사용자는 자신의 신용 카드 영수증들 중 하나와 자신의 개인적 사용자 유닛을 사용하여 지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불될 금액, 지불 영수증, 참고 사항 및 신용 카드 영수증 상에 증명될 지불을 위해 요구되는 추가의 정보를 기록하고 최종적으로 서명한다.
사용자 유닛은 서버 유닛에 대한 메시지에 전자적으로 레코딩된 지불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 유닛에 저장된 사용자의 신용 카드 번호를 가진 정보를 제공한다.
정보는 수표의 경우와 같이 대응하는 조사를 실행하고 지불 정보 및 신뢰성 조사의 결과를 가진 메시지를 신용 카드 회사로 또는 신용 카드 회사 자신의 서버 유닛으로 직접 전달한다. 택일적으로, 지불 정보가 전달될 제1 서버 유닛은 정보를 해석하고 이를 문자 코딩된 포맷으로 변환시켜서 관련된 구역에 대한 정보 수취인으로 특정된 신용 카드 회사로 정보를 전달한다.
만일 사용자가 상점에서 신용 카드 지불을 원한다면, 사용자는 전술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자신의 개인 신용 카드 영수증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지만, 대신 사용자는 영수증 상에 기록할 때, 상점의 사용자 유닛을 사용하고 영수증 상에 기록할 자신의 신용카드 번호를 가진 지불 정보를 또한 제공할 것이다. 이어서버 유닛은 서명이 사용자 개인의 도메인에 대해 미리 저장된 서명과 동일한 지, 신용 카드 번호가 도메인에 대해 미리 저장된 신용 카드 번호와 동일한 지, 아니면 사용자 유닛의 고유 사용자 신원이 사용자 개인의 구역에 대해 특정된 것과 동일하지 않은 지를 검색한다. 이어 서버 유닛은 특정 표에서의 사용자 신원을 조사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서버 유닛은 사용자 신원이 권한 정보가 되돌아올 컴퓨터 사용자 유닛에 속한다는 것을 알아낸다. 따라서, 상점은 지불이 유효하다는 역 정보를 즉시 수신하며 이어 서버 유닛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지불 정보를 전송한다.
적용예 3
동의가 디지털적으로 서명된다고 가정하자. 서명을 처리하고 도1의 서버 유닛(4)일 수 있는 유닛은 동의를 디지털 형식의 파일로 동의를 승인할 사람에게 속하는 컴퓨터로 전송한다. 동의를 가진 파일은 동의 및 동의를 서명할 사람에게 특정하게 할당된 포지션 코딩 패턴을 포함한다. 사람이 동의 파일을 수신할 경우, 그는 동의를 프린터로 출력하여 자신의 개인 사용자 유닛을 사용하는 포지션 코딩 패턴 상의 목적된 위치에 서명한다. 이는 서명을 서버 유닛(4)으로 전달하며, 서버 유닛(4)은 서명이 표현하는 좌표에 의해 서명이 동의의 상대방에 전달된 동의에 대해 기록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서명의 신뢰성은 고유한 사용자 신원 및 관련된 서명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에서 변화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사용자 유닛은 서명의 신뢰성을 조사하여 유효할 경우만 전송한다.
전술한 바에서, 지불 제품에 시작에서부터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공된다고가정한다. 그러나,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공된 지불 제품은 프린터, 복사기 등과 같이 이후에 적용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지불 제품은 프린터의 입력 상자에 위치된다. 프린터는 개인 신원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특정 개인에 대해 보유된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을 출력하도록 프로그램된다. 개인 신원 코드는 프린터가 올바른 패턴을 출력함을 의미하고, 이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권한을 부여 받은 개인에게 할당된다. 복사기의 경우, 제품은 입력 상자에 배치되며 사용자 개인의 패턴을 가진 원형은 복사될 서류로서 배치된다. 플라스틱 시트 상에 개인 패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지불 서류 위에 배치되고 정보는 플라스틱 시트 상에 기입된다. 이어, 플라스틱 시트는 요구되는 지불의 복사를 구성하도록 저장된다. 만일 지불 제품이 우편 지로 또는 은행 지로 용지인 경우, 플라스틱 필름은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서류에 영구히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서류(지불 제품)를 완전히 기입할 자연적인 방식은 우선 필요한 모든 정보에 기입하거나 모든 정보가 올바르다는 것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어 서류에 서명되고, 그 후 서류는 변경될 수 없다.
이러한 방법은 현재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우선 펜이 기록하는 모든 것은 메모리에 저장되며 시간 기록되고 서명된다. 이어 펜은 더이상의 기록이 실행되지 않음을 검증하기 위해 예를 들어2-3초 동안 잠시 대기한다. 이후, 레코딩된 펜의 움직임은 록킹될 파일로 컴파일링되고 그후 변경될 수 없다. 결국, 파일은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로의 연결에 의해 은행으로 전송된다. 추가의 기록이 서명을 할 기록 영역에서 실행되지 않을 경우 전송은 초기화된다.
사용된 것이 사용자의 펜인 경우, 전송이 발생할 것을 나타내는 다른 방법은 이하와 같다. 추가의 기록이 서명할 기록 영역에서 2-3초 동안 실행되지 않을 경우, 서명 영역의 서명에 대해 연산하는 펜에서의 소프트웨어가 활성화되고 펜 소유자의 서명과 같은 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서명이 동일할 경우, 서류는 컴파일링되고, 록킹되며 예를 들어 은행으로 전송된다.
록킹은 서류가 종래 기술에 따라 사용자의 엔코딩 키를 엔코딩하는 곳에서 디지털 서명 절차가 실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올바른 서명이 기록됨으로써 록킹 절차에 의해 활성화될 펜의 개인적 키는 메시지를 서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물리적 서명은 디지털 형태로 은행에 전송될 서류에 포함될 수 있다. 은행은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될 수 있는 대로 펜에 사용된 것보다 더 양호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서명을 다시 검증한다. 측정의 다른 조합, 예를 들어 서명이 파일의 록킹을 초기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전송은 예를 들어 스위치 온을 활성화하거나 개별 "전송" 박스를 마킹함으로써 다른 방식으로 초기화된다.
은행으로의 전송은 명령된 지불의 로깅을 달성하기 위해 개인용 컴퓨터로의 전송과 결합될 수 있다. 게다가, 은행은 지불 명령의 수치를 확인할 수 있고, 지불 명령이 방해되거나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전화로, 및/또는 본인인 사용자에게 또는 인터넷에 기초를 둔 서버 상의 사용자 개인의 사이트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펜의 사용자가 예를 들어 이동 전화 상의 표시에 의해 서류가 전송될 수취인의 확인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전화 키 패드를 사용하여 수취인에게 전송을 승인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취인은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부록
이하에 국제 특허 출원 PCT/SE00/01895에 따른 바람직한 포지션-코딩 패턴의 설명을 옮겨 놓았다.
도 4는, 종이 시트 표면(A2)의 적어도 일 부분 상에 포지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포지션-코딩 패턴(A3)이 제공되는, 종이 시트(sheet)(A1) 형태 제품의 일 부분을 도시한다.
포지션-코딩 패턴은, "패턴화된" 외관을 갖도록 규칙적으로 표면(2)에 배열된, 마크(4)를 포함한다. 종이 시트는 X-좌표축과 Y-좌표축을 갖는다. 포지션 결정은 제품 표면 전체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포지션 결정이 가능한 표면은 제품의 작은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패턴은 표면 상에 기록되거나 또는 그려진 정보의 전자 표시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자 표시는, 펜으로 표면 상에 기록하는 동안 포지션-코딩 패턴을 판독하여 종이 시트 상의 펜의 포지션을 연속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포지션-코딩 패턴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거나 표면 상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직접 검출될 수 없는 가상 래스터와, 각각 자체의 포지션에 따라서 하기 설명하는 것처럼 "1" 내지 "4"의 네 개의 값중 하나를 나타내는 다수의 마크(A4)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분명하게 하기 위해 도 4의 포지션-코딩 패턴을 크게 확대하여 나타낸다. 더욱이, 도 4는 종이 시트의 일 부분을 도시한다.
포지션-코딩 패턴은 미리 결정된 크기의 부분면에 대해 전체 기록면 상의 부분면 포지션이 이러한 부분면 상의 마크에 의해 분명하게 결정되도록 배열된다. 제 1 및 제 2 부분면(A5a,A5b)이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2 부분면은 제 1 부분면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제 1 부분면(A5a) 상의 포지션-코딩 패턴(여기서는 4*4 마크) 부분은 제 1 포지션을 코딩하고 제 2 부분면(A5b) 상의 포지션-코딩 패턴 부분은 제 2 포지션을 코딩한다. 따라서 포지션-코딩 패턴은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포지션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포지션-코딩 패턴은 본 명세서에서 "부동"으로 불린다. 각각의 부분면은 특정 포지션을 코딩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마크가 어떻게 설계되고 어떻게 공칭 포지션(A6)과 관련하여 위치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또한 래스터 포인트로 불릴 수 있는 공칭 포지션(A6)은 래스터 선(A8)의 교차부에 의해 나타난다. 마크(A7)는 원형 도트의 형상을 갖는다. 마크(A7)와 래스터 포인트(A6)는 함께 기호를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래스터 선 사이의 거리는 300㎛이고 래스터 선 사이의 각은 90°이다. 예컨대, 흔히 25.4mm/100의 포인트 사이의 거리, 즉 254㎛에 대응하는 100 dpi의 배수인 해상도를 종종 갖는 프린터와 스캐너에 적합한, 254㎛의 다른 래스터 간격도 가능하다.
따라서 마크 값은 마크가 공칭 포지션과 관련하여 어디에 위치하는가에 달려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4 개의 가능한 위치가 있는데, 각각의 래스터 선 은 공칭 포지션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공칭 포지션으로부터의 변위는 모든 값에 대하여 동일한 크기이다.
각각의 마크(A7)는 마크의 공칭 포지션(A6)과 관련하여 배치되는데, 공칭 포지션에서 위치하지 않는 마크는 없다. 게다가, 공칭 포지션당 하나의 마크만이 존재하고 이러한 마크는 마크의 공칭 포지션과 관련하여 배치된다. 이것은 마크가 패턴을 구성하도록 제공된다. 패턴의 일 부분이 아닌 표면 상의 다른 마크가 있을 수 있고 따라서 이것은 코딩을 구성하지 않는다. 이러한 마크는, 먼지 입자, 예컨대 표면상의 사진 또는 그림과 같은 것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포인트 또는 마크 및 의도적인 마크 등이 될 수 있다. 표면 상의 패턴 마크의 포지션은 명확하기 때문에, 패턴은 이러한 방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마크는 래스터 선(A8)을 따라 공칭 포지션(A6)과 관련하여 50㎛로 떨어져 배치된다. 변위는 바람직하게 래스터 간격의 1/6이며, 이것은 특정 마크가 어느 공칭 포지션에 속하는지를 결정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변위는 적어도 래스터 간격의 대략 1/8이 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변위 결정이 어려워진다. 즉, 해상도에 필요한 조건이 증가한다. 다른 한편으로, 변위는 마크가 어느 공칭 포지션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래스터 간격의 대략 1/4보다 작아야한다.
변위는 래스터 선을 따라 있을 필요는 없고, 분리된 4분면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마크가 래스터 선을 따라 배치된다면,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마크 사이의 거리가 래스터 선을 재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최소값을 갖는 장점을 얻는다.
각각의 마크는 변위와 대략 동일한 크기 또는 다소 작은 크기의 반경을 갖는 원형 도트로 구성된다. 반경은 변위의 25% 내지 120%가 될 수 있다. 만약 반경이 변위보다 훨씬 크다면, 래스터 선을 결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만약 반경이 너무 작으며, 마크를 레코딩하기 위해 증가된 해상도가 필요하다.
마크는 원형일 필요는 없고,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마크는 센서 칩 상의 몇몇 화소를 덮으며(cover),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화소의 무게 중심은 레코딩 또는 계산되어 다음 처리에 사용된다. 따라서 마크의 정밀한 형태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마크의 무게 중심이 필요한 배치를 갖도록 보장될 수 있다면, 상대적으로 간단한 인쇄 처리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서, 도 5a의 마크는 값 1을 나타내고, 도 5b는 2, 도 5c는 3 그리고 도 5d는 4를 나타낸다.
따라서, 각각의 마크는 "1 내지 4"의 네 개의 값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은 포지션-코딩 패턴이 x-좌표에 대한 제 1 포지션 코드와 y-좌표에 대한 제 2 포지션 코드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마크 값 x-코드 y-코드
1 1 1
2 0 1
3 1 0
4 0 0
따라서 각각의 마크 값은, 여기서는 비트인, x-코드에 대한 제 1 값과 y-코드에 대한 제 2 값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개의 완전하게 독립된 비트 패턴이 패턴에 의해 얻어진다. 반대로, 두 개 이상의 비트 패턴은 도 5에 따라서 다수의 마크에 의해 그래픽으로 코딩된 공통 패턴으로 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포지션은 다수의 마크에 의해 코딩된다. 이러한 예에서, 4*4 마크는 x-좌표와 y-좌표의 2차원으로 포지션을 코딩하는데 사용된다.
포지션 코드는, 비트 시리즈인, 1과 0의 수 시리즈(number series)에 의해 구성되며, 이것은 4 비트 길이의 비트 시퀀스가 일단 비트 시리즈에 나타나면 다시 나타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비트 시리즈는 순환적이며, 이것은 또한 이러한 특성이 시리즈의 단부가 시리즈의 시작부에 연결될 때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4 비트 시퀀스는 항상 비트 시리즈의 분명하게 결정된 포지션 수를 갖는다. 만약 비트 시리즈가 4 비트의 비트 시퀀스에 대하여 상기 설명한 특성을 갖는다면, 비트 시리즈는 16 비트 길이의 최대값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에서, 다음과 같이, 단지 7 비트 길이의 비트 시리즈가 사용된다:
"0 0 0 1 0 1 0"
이러한 비트 시리즈는 다음과 같은 시리즈내의 포지션 수를 코딩하는 4 비트의 7 개의 고유한 비트 시퀀스를 포함한다:
시리즈의 포지션 수 시퀀스
0 0001
1 0010
2 0101
3 1010
4 0100
5 1000
6 0000
x-좌표를 코딩하기 위해, 비트 시리즈는 코딩될 전체 표면에 세로열로 순차적으로 기록되며, 좌측 세로열(Ko)은 x-좌표의 0에 대응한다. 따라서, 하나의 세로열에서 비트 시리즈는 연속적으로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코딩은 인접한 세로열의 인접한 비트 시리즈 사이의 차(difference) 또는 포지션 변위에 기초한다. 차의 크기는 인접한 세로열이 시작하는 비트 시리즈의 포지션 수(비트 시퀀스)에 의해 결정된다.
더 자세하게, 만약, 한편으로 제 1 세로열(Kn)의 4 비트 시퀀스에 의해 코딩되어 값 0 내지 6을 가질 수 있는 포지션 수와, 다른 한 편으로 인접한 세로열(Kn+1)의 대응 "높이(height)"에서 인접한 4비트 시퀀스에 의해 코딩되는 포지션 수 사이의 차(Δn)를 모듈로7로 취한다면, 차는 차가 생성되는 두 개의 세로열을 따라 어느 "높이"에 있든지 무관하게 동일하다. 두 개의 인접한 세로열의 두 개의 비트 시퀀스에 대한 포지션 수 사이의 차를 사용하여, 모든 y-좌표에 대하여 독립되고 일정한 x-좌표를 코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표면 상의 각각의 포지션을 4*4 마크로 구성하는 부분면에 의해 코딩할 때, x-좌표 코딩을 위해, 이용가능한 4 개의 수직 비트 시퀀스와 각각 0 내지 6의 값을 갖는 3 개의 차가 존재한다.
패턴은 각각의 코드 윈도우(code window)가 4*4 마크로 구성된 특성을 갖는 코드 윈도우(F)로 분리된다. 따라서, 3 개의 차가 x-방향으로 생성될 수 있고 4 개의 포지션이 y-방향으로 얻어질 수 있도록, 이용가능한 4 개의 수평 비트 시퀀스와 4 개의 수직 비트 시퀀스가 존재한다. 이러한 3 개의 차와 4 개의 포지션은 x-방향과 y-방향으로 부분면의 포지션을 코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x-방향으로 인접한 윈도우는 공통된 세로열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코드 윈도우(F0,0)는 세로열(K0,K1,K2,K3)에서의 비트 시퀀스와 가로열(R0,R1,R2,R3)에서의 비트 시퀀스를 포함한다. 차가 x-방향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x-방향과 y-방향의 대각선으로 있는 다음 윈도우인, 윈도우(F1,1)는 세로열(K3,K4,K5,K6)과 가로열(R4,R5,R6,R7)에서의 비트 시퀀스를 포함한다. x-방향의 코딩만을 고려하면, 코드 윈도우는 y-방향으로 제한되지 않은 범위를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하게, y-방향의 코딩만을 고려하면, 코드 윈도우는 x-방향으로 제한되지 않은 범위를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각 x-방향 및 y-방향으로 제한되지 않는 범위를 갖는 제 1 및 제 2 코드 윈도우는 함께, 예컨대 F0,0과 같은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코드 윈도우를 형성한다.
각각의 윈도우는 x-방향으로 윈도우의 포지션을 갖는 윈도우 좌표(Fx)와 y-방향으로 윈도우의 포지션을 갖는 윈도우 좌표(Fy)를 갖는다. 따라서, 윈도우와 세로열 사이의 대응은 다음과 같다.
Ki= 3 Fx
Rj= 4 Fy
코딩은, 3 개의 차에 대해, 하나의 차(Δ0)가 x-방향으로 코드 윈도우의 포지션을 나타내는 수에 대하여 최하위 디지트(S0)를 나타내는, 1 또는 2의 값을 항상 가지며, 나머지 다른 2 개의 차(Δ12)는 코드 윈도우의 좌표에 대하여 두 개의 최상위 디지트(S1,S2)를 나타내는, 3 내지 6의 범위의 값을 갖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코드 패턴을 너무 대칭적으로 유발하기 때문에, x-좌표에 대하여 0이 될 수 있는 차는 없다. 다시 말하면, 세로열은 차가 다음과 같이 되도록 코딩된다:
(3 내지 6); (3 내지 6); (1 내지 2); (3 내지 6); (3 내지 6); (1 내지 2); (3 내지 6); (3 내지 6); (1 내지 2); (3 내지 6); (3 내지 6); ...
따라서 각각의 x-좌표는 3과 6 사이의 두 개의 차(Δ12)와 1 또는 2의 다음 차(Δ0)에 의해 코딩된다. 가장 작은 차(Δ0)에서 1을 차감하고 나머지 다른 차에서 3을 차감함으로써, 혼합 기수로 직접 x-방향으로 코드 윈도우의 포지션 수를 생성하는 3 개의 디지트(S2,S1,S0)가 얻어지며, 이것으로부터 x-좌표는, 하기의 예에서 도시된 것처럼, 직접 결정될 수 있다. 코드 윈도우의 포지션 수는 다음과 같다:
S2* (4*2) + S1* 2 + S0* 1
따라서, 상기 설명한 원리를 사용하면, 3 개의 차에 의해 나타나는 3 개의 디지트로 구성되는 코드 윈도우에 대한 포지션 수를 사용하여, 코드 윈도우를 0, 1, 2, ... , 31 로 코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차는 상기 수 시리즈에 기초하는 비트 패턴에 의해 코딩된다. 마지막으로 비트 패턴은 도 5의 마크에 의해 그래픽으로 코딩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부분면이 하나의 코드 윈도우와 일치하지 않고 x-방향으로 2 개의 인접한 코드 윈도우의 일부를 덮는 것처럼, 대부분의 경우에, 4*4 마크를 구성하는 부분면이 입력될 때, x-좌표를 코딩하는 완전한 포지션 수가 얻어지지 않고, 2 개의 포지션 수의 일부만이 얻어진다. 그러나, 각각의 수의 최하위 디지트(S0)에 대한 차가 항상 1 또는 2가 되므로, 완전한 포지션 수는, 어떤 디지트가 최하위 디지트인지를 알면, 용이하게 재구성될 수 있다.
y-좌표는 코드 윈도우에 의해 x-좌표에 사용되는 것과 대략 동일한 원리에 따라서 코딩된다. x-코딩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수 시리즈인, 순환적인 수 시리즈는 코딩되어 위치될 표면에 수평 가로열 내에 반복적으로 기록된다. x-좌표에 대하여, 가로열은, 다른 비트 시퀀스를 가지며, 수 시리즈의 다른 포지션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y-좌표에 대하여, 차가 사용되지 않고, 좌표는 각각의 가로열의 수 시리즈의 시작 포지션에 기초한 값에 의해 코딩된다. x-좌표가 4*4 마크를 갖는 부분면에 대하여 결정될 때, 수 시리즈의 시작 포지션은 사실상 4*4 마크에 대한 y-코드내에 포함되는 가로열에 대하여 결정될 수 있다.
y-코드에서, 최하위 디지트(S0)는 특정 범위의 값을 갖는 디지트로만 설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이러한 예에서, 4번째 가로열은, 코드 윈도우의 최하위 디지트(S0)와 관련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하여, 수 시리즈의 포지션 0 내지 1로 시작하고, 나머지 3 개의 가로열은 코드 윈도우의 나머지 다른 디지트(S1,S2,S3)를 지시하기 위하여 임의의 포지션 2 내지 6에서 시작한다. 따라서, y-방향으로 다음과 같은 값의 시리즈가 있다:
(2 내지 6); (2 내지 6); (2 내지 6); (0 내지 1); (2 내지 6); (2 내지 6); (2 내지 6); (0 내지 1); (2 내지 6); ...
따라서 각각의 코드 윈도우는 2와 6 사이의 3 개의 값과 0과 1 사이의 다음 값에 의해 코딩된다.
만약 0이 낮은 값에서 차감되고 2가 나머지 다른 값에서 차감된다면, 혼합 기수의 y-방향(S3,S2,S1,S0)의 포지션이 x-방향과 유사한 방식으로 얻어지고, 이것으로부터 코드 윈도우의 포지션 수가 다음과 같이 직접 결정될 수 있다:
S3* (5*5*2) + S2* (5*2) + S1* 2 + S0* 1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코드 윈도우에 대하여 x-방향의 4 * 4 * 2 = 32 포지션 수를 코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코드 윈도우는 3 개의 세로열로부터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3 * 32 = 96 세로열 또는 x-좌표를 얻는다. 더욱이, 코드 윈도우에 대하여 y-방향으로 5 * 5 * 5 * 2 = 250 포지션 수를 코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각각의 포지션 수는 4 개의 가로열로부터 수평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며, 이것은 4 * 250 = 1000 가로열 또는 y-좌표를 얻는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96000 개의 좌표 포지션을 코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x-코딩이 차에 기초함에 따라, 제 1 코드 윈도우의 제 1 수 시리즈가 시작되는 포지션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이러한 제 1 수 시리즈가 7 개의 다른 포지션에서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7 * 96000 = 672000 포지션을 코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세로열(K0)의 제 1 수 시리즈의 시작 포지션은 x- 및 y-좌표가 결정될 때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제 1 시리즈에 대한 7 개의 다른 시작 포지션은 제품의 다른 페이지 또는 기록면을 코딩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각각 4 개의 값을 갖는, 4*4 기호의 부분면은 44*4포지션, 즉 4,294,967,296 개의 포지션을 코딩할 수 있다. 따라서, 부분면의 포지션의 부동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6000(4294967296/672000) 개를 초과하는 잉여 성분(redundancy factor)이 존재한다.
잉여 성분은 부분적으로 차의 크기 상의 제한을 구성하고 부분적으로 포지션 코드에 사용되는 16 비트중 7 비트만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후자의 사실은 부분면의 회전 포지션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만약 비트 시리즈의 다음 비트가 4 비트 시퀀스에 추가된다면, 5 비트 시퀀스가 얻어진다. 5번째 비트는 사용될 부분면 외부의 인접한 비트를 즉시 판독하여 얻어진다. 이러한 추가된 비트는 종종 용이하게 이용가능하다.
센서에 의해 판독되는 부분면은, 코드 윈도우에 상대적으로 0, 90, 180 또는 270°로 회전하는, 4 개의 다른 회전 포지션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부분면이 회전하는 경우에서, 코드의 판독은, 0°에서 판독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코드 판독이 x-방향 또는 y-방향 또는 모든 방향으로 인버팅(invert)되고 리버싱(reverse)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것은 마크 값의 다소 다른 디코딩이 하기 표에 따라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마크 값 x-코드 y-코드
1 0 0
2 1 0
3 1 1
4 0 1
상기 언급된 5-비트 시퀀스는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하며, 7-비트 시리즈로 인버팅되고 리버싱되는 형태로 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이것은 비트 시리즈(0 0 0 1 0 1 0)가 오로지 2 개의 "1"을 포함하는 사실로 분명해진다. 따라서 모든 5-비트 시퀀스는 적어도 3 개의 0을 포함해야 하고, 인버팅 (및 리버싱) 후에 3 개의 1이 얻어지며, 이것은 발생할 수 없다. 따라서 만약 5-비트 시퀀스가 비트 시리즈 내에 포지션 수를 갖지 않게 된다면, 부분면이 회전되고 새로운 포지션이 시험되는 것으로 종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추가의 예를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는 포지션 코드의 설명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특정 예를 제공한다.
도 6은 포지션 결정을 위한 디바이스에 의해 판독되는 4*4 마크를 갖는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4*4 마크는 다음 값을 갖는다:
4 4 4 2
3 2 3 4
4 4 2 4
1 3 2 4
이러한 값은 다음과 같은 2진 x- 및 y-코드를 나타낸다:
x-코드: y-코드:
0 0 0 0 0 0 0 1
1 0 1 0 0 1 0 0
0 0 0 0 0 0 1 0
1 1 0 0 1 0 1 0
x-코드의 수직 비트 시퀀스는 비트 시리즈의 다음 포지션: 2 0 4 6 을 코딩한다. 세로열 사이의 차는 -2 4 2이고, 모듈로7로 5 4 2를 얻으며, 혼합 기수로 코딩되는 코드 윈도우의 포지션 수는: (5-3) * 8 + (4-3) * 2 + (2-1) = 16 + 2 + 1 = 19 이다. 제 1 코딩된 코드 윈도우는 포지션 수 0 을 갖는다. 따라서 1 내지 2의 범위에 있고 부분면의 4*4 마크에 나타나는 차는 이러한 20번째 차이다. 추가로 각각의 이러한 차에 대하여 전체 3 개의 세로열이 존재하고 시작 세로열이 존재함에 따라서, 4*4 x-코드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수직 시퀀스는 x-코드(3*20+1=61)의 61번째 세로열(세로열(60))에 속하고 가장 왼쪽에 있는 수직 시퀀스는 58번째 세로열(세로열(57))에 속한다.
y-코드의 수평 비트 시퀀스는 수 시리즈의 포지션 0 4 1 3 을 코딩한다. 이러한 수평 비트 시퀀스는 58번째 세로열에서 시작함에 따라, 가로열의 시작 포지션은 57을 차감한 모듈로7의 값이며, 시작 포지션 6 3 0 2 를 얻는다. 혼합 기수로 디지트를 변환하면, 6-2, 3-2, 0-0, 2-2 = 4 1 0 0 이 되며, 세 번째 디지트는 관련된 수의 최하위 디지트가 된다. 네 번째 디지트는 다음 수의 최상위 디지트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 관련된 수와 동일해야 한다. (예외는 관련된 수가 모든 포지션의 가능한 가장 높은 디지트로 구성될 때이다. 다음으로 다음 수의 시작부가 관련된 수의 시작부보다 1이 더 큰 것을 알게 된다.)
포지션 수는 혼합 기수에서 0*50 + 4*10 + 1*2 + 0*1 = 42 이다.
따라서 y-코드의 세 번째 수평 비트 시퀀스는 시작 포지션 0 또는 1을 갖는 43번째 코드 윈도우에 속하고, 각각의 코드 윈도우에 대하여 전체 4 개의 가로열이 존재함에 따라서, 세 번째 가로열은 수 43*4=172 이다.
이러한 예에서, 4*4 마크를 갖는 부분면의 상부 왼쪽 구석의 포지션은 (58,170)이다. 4*4 그룹의 x-코드의 수직 비트 시퀀스가 가로열(170)에서 시작함에 따라서, 전체 패턴의 x-세로열은 수 시리즈((2 0 4 6) - 169) 모듈로7 = 1 6 3 5의 포지션에서 시작한다. 최종 시작 포지션(5)과 최초 시작 포지션 사이에서 수(0-19)는 혼합 기수 내에서 코딩되고, 혼합 기수의 수(0-19)의 표시를 추가함으로써 이러한 세로열 사이의 전체 차가 얻어진다. 이것을 수행하기 위해 초기 알고리즘은 이러한 20번째 수를 생성하고 직접 이들의 디지트를 더한다. 얻어진 합은 s로 불린다. 다음으로 페이지 또는 기록면은 (5-s)모듈로7 로 주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드 윈도우를 식별할 수 있기 위해 어떤 비트가 부분면의 최하위 비트가 되는지를 결정하는 선택적 방법은 다음과 같다. 최하위 비트(LSB)는 부분면의 차 또는 가로열 포지션 수에서 가장 낮은 디지트로서 한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좌표의 최대 이용가능한 수의 감소(과잉)가 작아진다. 예컨대, 상기예의 x-방향으로 제 1 코드 윈도우는 모두 LSB=1과 2와 6 사이의 다른 디지트를 가지므로, 25 개의 코드 윈도우를 얻으며, 다음으로 LSB=2와 3과 6 사이의 다른 디지트를 가질 수 있으므로, 16 개의 코드 윈도우를 얻으며, 다음으로 LSB=3과 4와 6 사이의 다른 디지트를 가질 수 있으므로, 9 개의 코드 윈도우를 얻으며, 다음으로 LSB=4와 5와 6 사이의 다른 디지트를 가질 수 있으므로, 4 개의 코드 윈도우를 얻으며, 다음으로 LSB=5와 6의 다른 디지트를 가질 수 있으므로, 1 개의 코드 윈도우를 얻으며, 상기 예의 32와 비교하여, 전체 55 개의 코드 윈도우가 얻어진다.
상기 예에서, 실시예는 각각의 코드 윈도우가 4*4 마크에 의해 코딩되고 7 비트를 갖는 수 시리즈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물론 이것은 단지 일 예일뿐이다. 포지션은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마크에 의해 코딩될 수 있다. 양 방향이 모두 동일한 수일 필요는 없다. 수 시리즈는 다른 길이가 될 수 있으며 2진수일 필요는 없지만, 다른 진수, 예컨대 6진 코드(hex code)에 기초할 수 있다. 다른 수 시리즈는 x-방향의 코딩과 y-방향의 코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마크는 다른 수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y-방향의 코딩은 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실제 예에서, 6*6 마크로 구성되고 최대값으로서 비트 시리즈가 26비트, 즉 64 비트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면이 사용된다. 그러나, 부분면의 회전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기 위해, 51 비트로 구성되는 비트 시리즈가 사용되고, 따라서 51 개의 포지션이 된다. 이러한 비트 시리즈의 예는:
0 0 0 0 0 1 1 0 0 0 1 1 1 1 1 0 1 0 1 0 1 1 0 1 1 00 1 1 0 1 0 0 0 1 0 1 0 0 1 1 1 0 1 1 1 1 0 0 1 0
6*6 마크로 구성되는 부분면은 이론적으로 46*6포지션을 코딩할 수 있으며, 이것은 상기 언급한 0.3 mm의 래스터 크기를 갖는 매우 큰 표면이다.
7-비트 시리즈에 대하여 상기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특성은, 부분면이 적어도 중심에서 부분면의 각각의 측부 상에 1 비트를 포함하도록 확대되어, 6*6 기호의 부분면 내에 3번째 및 4번째 가로열에 대하여, 부분면의 각 사이트 상의 기호인, 8 개의 기호가 판독되며, y-방향도 마찬가지로 판독되도록 사용된다. 51 비트를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비트 시리즈는 6 비트의 비트 시퀀스가 한 번만 발생하고 상기 언급된 6 비트의 비트 시퀀스를 포함하는 8 비트의 비트 시퀀스가 한 번만 발생하며 인버팅된 포지션 또는 리버싱되고 인버팅된 포지션 내에서 발생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분면의 회전 포지션은 가로열 3, 가로열 4, 세로열 3 및/또는 세로열 4의 8 비트를 판독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회전 포지션을 알 때, 부분면은 처리가 계속되기 전에 올바른 포지션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가능한 임의적인 패턴, 즉 과도한 대칭을 갖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는 패턴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6*6 마크를 갖는 부분면은 도 5a 내지 5d에 따른 모두 다른 포지션을 갖는 마크를 포함하는 패턴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임의성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반복적인 특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셔플(shuffle)"로 불리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코드 윈도우에서 각각의 비트 시퀀스는 사전설정된 시작 포지션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만약 변위를 안다면, 각각의 가로열에 대한 수평 방향으로 시작 포지션을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인접한 가로열에 대하여 분리된 변위 벡터가 할당된 각각의 최하위 비트(LSB)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변위 벡터는 얼마나 많은 각각의 가로열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가에 의해 설명된다. 가시적으로, 도 4의 y-축이 "스파이키(spiky)"한 것처럼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4*4 코드 윈도우에서, 변위 벡터는 LSB=0에 대하여 1, 2, 4, 0 이며 LSB=1에 대하여 2, 2, 3, 0 이다. 이것은, 각각 수 2와 0을 차감한 후, 처리를 계속하기 전에, 상기 변위가 비트 시퀀스의 포지션 수로부터 차감(모듈로5)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예에서, y-좌표에 대한 디지트 4 1 0 0 (S2, S1, S0, S4)는 혼합 기수로 얻어지며, 오른쪽으로부터 두 번째 디지트는 최하위 디지트, LSB가 된다. 변위 벡터 1, 2, 4, 0 은 디지트 4와 1에 사용됨에 따라서, 2는 4에서 차감되어 S2는 2가 되고 4는 1에서 차감되어(모듈로5) S1은 2가 된다. 디지트 S0=0은 변하지 않은채 남아있다(최하위 디지트에 대한 변위 벡터의 성분은 항상 0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트S4는, LSB=1을 가져야 하는, 다음 코드 윈도우에 속하며, 두 번째 변위 벡터에 사용된다. 따라서 2는 0으로부터 차감되어(모듈로5) S4=3이 된다.
유사한 방법이 x-좌표에 대하여 코드를 변화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예에서, 차 0이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비교적 임의적으로 이미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x-좌표를 변화시킬 필요는 없다.
상기 예에서, 마크는 도트이다. 당연히, 다른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가상 래스터 포인트에서 시작하고 포인트에서 특정 포지션으로 연장하는, 선 또는 타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트보다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원 또는 타원, 내부가 채워진 것 또는 아닌 것과 같은, 다른 기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마크는 포지션을 코딩하기 위해 정사각형 부분면 내에 사용된다. 부분면은, 예컨대 육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이 될 수 있다. 마크는 직교하는 래스터의 래스터 선을 따라 배열될 필요는 없고, 60°각도 등을 갖는 래스터의 래스터 선을 따른 것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극좌표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삼각형 또는 육각형 형태의 래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삼각형을 갖는 래스터는 각각의 마크가 6 개의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66*6부분면 포지션에 대응하는, 매우 큰 확률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벌집 형상을 갖는 육각형 래스터에 대하여, 각각의 마크는 래스터 선을 따라 3 개의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마크는 래스터 선을 따라 배치될 필요는 없고, 예컨대 정사각형 래스터 패턴의 분리된 4분면 내에 각각 위치되기 위해,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육각형 패스터 패턴에서, 마크는 4 개 이상의 다른 방향, 예컨대 래스터 선을 따라 그리고 래스터 선의 60°에 있는 선을 따라 6 개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검출될 포지션 코드를 위해, 가상 래스터가 결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다른 마크 사이의 거리를 검사함으로써, 정사각형 래스터 패턴으로, 수행될 수 있다. 두 개의 마크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는, 두 개의 래스터 포인트 사이의 동일한 래스터 선 상에 마크가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1과 3의 값 또는 수직 방향으로 2와 4의 값을 갖는 두 개의 인접한 마크로부터 기원해야 한다. 이러한 마크 쌍이 검출될 때, 관련된 래스터 포인트(공칭 포지션)는 래스터 포인트와 래스터 포인트로부터 마크의 변위 사이의 거리 정보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단 두 개의 래스터 포인트가 위치되면, 추가의 래스터 포인트가 다른 마크까지의 측정 거리와 래스터 포인트 사이의 거리 정보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마크가, 300㎛ 떨어진 거리의, 래스터 선을 따라 50㎛로 배치된다면, 두 개의 마크 사이의 가장 작은 거리, 예컨대 1과 3의 값을 갖는 마크 사이의 거리는 200㎛이다. 다음으로 가장 작은 거리는, 예컨대 1과 2의 값을 갖는 마크 사이의 255㎛이다. 따라서, 가장 작은 거리와 다음으로 작은 거리 사이에 상대적으로 구별되는 차이가 존재한다. 사선의 차 또한 크다. 그러나, 만약 변위가, 예컨대 75㎛(1/4)이상으로 50㎛ 보다 크다면, 사선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마크가 어느 공칭 포지션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만약 변위가, 예컨대 대략 35㎛(1/8)이하로 50㎛보다 작다면, 가장 작은 거리는, 다음으로 작은 거리인 267㎛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230㎛이다. 더욱이, 광학 판독의 필요 사항이 증가한다.
마크는 자체의 래스터 포인트를 덮지 않아야 하고 따라서 변위의 두 배, 즉200%보다 큰 직경을 갖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중요하지 않으며, 임의의 중첩이 예컨대, 240%로 허용될 수 있다. 가장 작은 크기는 우선 패턴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센서의 해상도와 인쇄 처리의 필요사항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센서의 입자와 잡음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마크는 실제로 변위의 대략 50%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서는 안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래스터는 직교 격자이다. 또한 예컨대 60°의 각도를 갖는 마름모꼴 격자, 삼각형 또는 육각형 격자 등과 같은 다른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육각형 가상 래스터를 따라 3 개의 방향의 변위와 같은, 4 개의 방향보다 많거나 또는 작은 변위가 사용될 수 있다. 래스터의 재구성을 촉진하기 위해, 직교 래스터에서는 오로지 두 개의 변위만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4 개 방향의 변위가 바람직하지면, 6 개 또는 8 개 방향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가능한 가장 긴 순환의 수 시리즈는 사용되지 않는다. 그 결과, 과잉 정도는 예컨대, 오차 수정, 누락 또는 감춰진 마크의 대체를 수행하는 여러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얻어진다.

Claims (35)

  1. 사용자로부터 수기된 정보를 수신하며 제1 위치 포지션 코딩 패턴(5)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록 영역을 포함하는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가상 표면 상의 복수의 포지션에 대한 좌표를 코딩하는 완전한 포지션 코딩 패턴인 제2 포지션 코딩 패턴의 특정 서브셋이며, 상기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상기 수기된 정보의 디지털 레코딩 및 신뢰성 조사를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상기 수기된 정보의 디지털 복원이 가능한 해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복수의 심볼(5a)로 구성되며, 각 포인트의 좌표는 복수의 심볼로 코딩되고, 각각의 심볼은 하나 이상의 포인트의 코딩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권리자에게 고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상기 제품의 각 항목에 고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션 코딩 패턴은 하나의 제품 타입에 고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기된 정보는 사용자 상기 사용자의 서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과 관련한 부가의 수기된 정보를 레코딩하는 복수의 추가 기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 기록 영역에는 상기 부가의 수기된 정보의 디지털 레코딩을 가능하게 하는 포지션 코딩 패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지불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수표(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1. 복수의 사용자 유닛(2)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 유닛(4)에 있어서,
    상기 서버 유닛(4)은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가상 표면 상의 좌표 영역을 나타내는 복수의 구역에 대한 저장된 정보를 가진 메모리로 액세스하며,
    상기 서버 유닛은 상기 가상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에 대해 적어도 두 개의 좌표의 형태로 상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배치되며, 및
    상기 사용자 유닛 중 하나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 유닛은 상기 좌표가 어느 구역에 속하는 지를 결정하고 상기 구역 가입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한 신뢰성 조사를 수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명의 권리자는 상기 적어도 소정의 상기 구역과 관련되며, 상기 서버 유닛(4)은 상기 구역 가입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권한을 조사하기 위한 신뢰성 조사를 수행할 경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유닛.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내의 포인트에 대해 좌표를 레코딩하도록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 유닛을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한 사용자 신원은 적어도 소정의 상기 구역과 관련되며, 상기 정보는 상기 고유한 사용자 신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권한을 조사하는 상기 고유한 사용자 신원을 사용하여 상기 신뢰성 조사를 수행할 경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유닛.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의 권리자의 서명은 적어도 소정의 상기 구역과 관련되며, 상기 정보는 사용자 서명의 디지털식 표현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 유닛(4)은 상기 수신된 정보에서의 서명과 관계된 상기 구역과 관련한 서명을 비교하기 위해 상기 신뢰성 조사를 수행할 경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유닛.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유닛은 정보를 수취인에게 전달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인은 상기 구역 가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유닛.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유닛(4)은 상기 수취인에게 전달되는 상기 정보에서의 상기 구역 가입과 관련한 상기 정보를 포함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유닛.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유닛은 전자 지불용 시스템에 통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정보는 지불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유닛.
  19. 서버 유닛(4)과, 각각이 상기 서버 유닛(4)으로 정보를 레코딩 및 전달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사용자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용 시스템으로서,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가상 표면에 대한 좌표 영역을 나타내는 복수의 구역과 관련한 서버 유닛(4)에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각각의 사용자 유닛은 상기 가상 표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에 대해 적어도 두 개의 좌표의 형태로 상기 정보를 레코딩하도록 배치되며, 및
    상기 사용자 유닛 중 하나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버 유닛은 상기 좌표가 어느 구역에 속하는 지를 결정하고 상기 구역 가입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한 신뢰성 조사를 수행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용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명의 권리자는 소정의 상기 구역과 관련되며, 상기 서버 유닛(4)은 상기 신뢰성 조사를 수행할 경우 상기 구역 가입에 의해 사용자의 권한을 조사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용 시스템.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유닛은 상기 서버 유닛에 대한 정보로 상기 사용자 유닛에 저장된 고유한 사용자 신원을 포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서버 유닛은 상기 신뢰성 조사를 수행할 경우 상기 사용자의 권한을 조사하는 상기 고유한 사용자 신원을 사용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용 시스템.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의 권리자의 서명은 적어도 소정의 상기 구역, 사용자의 서명의 디지털식 표현을 포함하는 상기 정보, 및 신뢰성 조사를 수행할 경우 상기 수신된 정보에서의 서명과 관계된 상기 구역과 관련된 상기 서명을 비교하도록 배치된 상기 서버 유닛(4)과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용 시스템.
  23. 서버 유닛은 수취인에게 상기 정보를 전송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용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인은 상기 구역 가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용 시스템.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유닛은 상기 수취인에게 전달될 정보에서 상기 구역 가입과 관련한 상기 정보를 포함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용 시스템.
  26.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명의 권리자는 상기 각각의 구역과 관련되며, 상기 서버 유닛(4)은 상기 구역 가입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권한을 조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서버 유닛은 상기 수취인에게 전달될 상기 정보에서상기 사용자의 권한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용 시스템.
  27.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유닛은 사용자에 대한 서명을 전자적으로 레코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레코딩은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서명을 기록하는 제품으로부터 판독된 좌표의 형태로 수행되며, 상기 서버 유닛으로 전달된 상기 정보는 적어도 소정의 판독 좌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용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유닛(4)은 상기 사용자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서명을 상기 권리자의 미리 저장된 서명을 가진 상기 사용자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서명과 비교하고 상기 수취인에게 전송될 상기 정보에서 상기 서명의 신뢰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용 시스템.
  29. 제19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전자 지불용 시스템이며, 상기 사용자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보는 지불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용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유닛(4)은 상기 사용자 신원이 상기 제품의 권리자에게 속하는 것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지불 정보를 검증하고, 상기 지불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 신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용 시스템.
  31.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권한의 조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권리자에게 고유한, 상기 제품 상의 완전한 포지션 코딩 패턴의 사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한 포지션 코딩 패턴은 전자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서명을 레코딩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법.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지불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사용법.
  34. 제19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포켓용 전자 사용자 유닛.
  35. 제34항에 있어서, 금액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유닛.
KR1020027008054A 1999-12-23 2000-12-22 사용자 인증 조사를 사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KR100923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904746-6 1999-12-23
SE9904746A SE9904746L (sv) 1999-12-23 1999-12-23 Betalning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919A true KR20020063919A (ko) 2002-08-05
KR100923813B1 KR100923813B1 (ko) 2009-10-27

Family

ID=2041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054A KR100923813B1 (ko) 1999-12-23 2000-12-22 사용자 인증 조사를 사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257947A1 (ko)
JP (1) JP2003518696A (ko)
KR (1) KR100923813B1 (ko)
CN (1) CN1413331A (ko)
AU (1) AU2569401A (ko)
BR (1) BR0017039A (ko)
CA (1) CA2393928A1 (ko)
MX (1) MXPA02006342A (ko)
RU (1) RU2002119571A (ko)
SE (1) SE9904746L (ko)
WO (1) WO20010486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3908B1 (en) 2000-02-16 2003-07-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n electronic reading device on non-paper devices
US6952497B1 (en) 2000-02-16 2005-10-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recording transactions and performing security function
US6839623B1 (en) 2000-02-16 2005-0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sitioning applications for an electronic reading device
US6885878B1 (en) 2000-02-16 2005-04-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n electronic reading device as a general application input and navigation interface
EP1256090B1 (en) * 2000-02-16 2005-08-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lectronic pen for e-commerce implementations
US6813396B1 (en) 2000-02-16 2004-11-02 Telefona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electronic reading devices
US6611259B1 (en) 2000-02-16 2003-08-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reading device user interface
US6738053B1 (en) 2000-02-16 2004-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edefined electronic pen applications in specially formatted paper
US6693623B1 (en) 2000-02-16 2004-0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asuring applications for an electronic reading device
US6878062B2 (en) 2001-04-06 2005-04-12 Anoto Ab Method for performing games
JP2004030235A (ja) * 2002-06-26 2004-01-29 Dainippon Printing Co Ltd 個人認証システム、カード利用明細書および個人認証機能付き電子ペン
US7343042B2 (en) * 2002-09-30 2008-03-11 Pitney Bow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paper form using a digital pen
US7167586B2 (en) * 2002-09-30 2007-01-23 Pitney Bowe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form completion
US7397468B2 (en) 2002-09-30 2008-07-08 Pitney Bow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document having metadata
US20050137948A1 (en) * 2003-12-22 2005-06-23 Kissner Matthew S. System and method for bill payment
JP2006260345A (ja) * 2005-03-18 2006-09-28 Hitachi Maxell Ltd ペン型入力装置、および分離型クレードル
FR2911209A1 (fr) * 2007-01-09 2008-07-11 Andres Brantuas Systeme de paiement securise.
CH704693B1 (fr) * 2010-07-16 2015-08-14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Procédé d'ajustement de fréquence d'oscillation, et/ou d'ajustement d'inertie, et/ou d'équilibrage d'un composant mobile de mouvement d'horlogerie, ou d'un ensemble balancier-spiral d'horlogerie.
US10620754B2 (en) 2010-11-22 2020-04-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sensitive device with electrodes having location pattern included therein
CN108664872A (zh) * 2017-04-02 2018-10-16 田雪松 基于点阵识别的信息验证系统
CN108664871A (zh) * 2017-04-02 2018-10-16 田雪松 基于点阵识别的信息认证系统
CN108664833A (zh) * 2017-04-02 2018-10-16 田雪松 一种基底以及基底上编码图案的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3896B (sv) * 1983-07-01 1991-02-04 Esselte Security Syst Ab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signaturverifiering
DE3880847T2 (de) * 1987-01-20 1993-11-18 British Tech Grou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formationsergreifung beim Zeichnen oder Schreiben.
US5852434A (en) * 1992-04-03 1998-12-22 Sekendur; Oral F. Absolute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US5428805A (en) * 1992-12-22 1995-06-27 Morgan; Michael W.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nd performing handwritten calculations
US5661506A (en) 1994-11-10 1997-08-26 Sia Technology Corporation Pen and paper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using an imaging pen
US5857029A (en) * 1995-06-05 1999-01-05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on-contact signature imaging
US6081261A (en) * 1995-11-01 2000-06-27 Ricoh Corporation Manual entry interactive paper and electronic document handling and processing system
US5910988A (en) * 1997-08-27 1999-06-08 Csp Holdings, Inc. Remote image capture with centralized processing and storage
US6151611A (en) * 1997-10-31 2000-11-21 Hewlett-Packard Company System for editing graphical data based upon relative time of entry
US7170499B1 (en) * 1999-05-25 2007-01-3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Handwritten text capture via interface surface
SE517445C2 (sv) * 1999-10-01 2002-06-04 Anoto Ab Positionsbestämning på en yta försedd med ett positionskodningsmönster
ATE529820T1 (de) * 1999-12-23 2011-11-15 Anoto Ab Informationsverwaltungssystem
KR100824110B1 (ko) * 2000-04-05 2008-04-21 아노토 아베 정보 조합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3331A (zh) 2003-04-23
SE9904746L (sv) 2001-06-24
CA2393928A1 (en) 2001-07-05
MXPA02006342A (es) 2002-12-13
AU2569401A (en) 2001-07-09
KR100923813B1 (ko) 2009-10-27
RU2002119571A (ru) 2004-03-10
BR0017039A (pt) 2002-10-22
WO2001048654A1 (en) 2001-07-05
EP1257947A1 (en) 2002-11-20
JP2003518696A (ja) 2003-06-10
SE9904746D0 (sv) 199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813B1 (ko) 사용자 인증 조사를 사용한 정보 처리 시스템
US6836555B2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ith authenticity check
JP6746158B2 (ja) 2次元コード
US5799092A (en) Self-verifying identification card
KR101084853B1 (ko) 워크 업 프린팅
AU2008283207B2 (en) Security system using encoded image with puzzled image
US7254839B2 (en) Secured access using a coordinate system
JP6403085B1 (ja) 複合コードパターン、生成装置、読み取り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0824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form version
JPH10503132A (ja) 修正不可能な自己確認物品
US20220366061A1 (en) Validation of Authenticity of Association of a Physical Entity with a Non-Fungible Token and Creation of the Non-Fungible Token having a Verifiable Association with the Physical Entity
CN108351956B (zh) 用于印刷取证编码的2d条形码的方法和系统
US6636614B1 (en) Method for preventing the falsification of documents comprising a photograph, preferably a facial-view photograph
JP2006313534A (ja) 修正不可能な自己確認物品を製造しかつその真偽性を確認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648792B2 (en) Embedded variable curved spiral patterns
US20050206158A1 (en) Certificate issuing method and certificate verifying method
KR100784577B1 (ko) 신용 카드 구매
JP2010186408A (ja) 電子ペンを用いた決済システム
US20020166895A1 (en) Charge card purchase
US20040123099A1 (en) Certificate, certificate issuing method and system and certificate verifying method and device
EP1269289B1 (en) Logging in
KR100409270B1 (ko) 물리적으로 표현된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인증 서비스 방법및 그 장치
KR101059586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코드 제공 방법, 단문 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코드 제공 장치, 단문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코드의 인식 장치 및 단문 메시지를 통해 전송 가능한 코드
JP2011519448A (ja) 短文メッセージサービスを利用したコード提供方法、短文メッセージサービスを利用したコード提供装置、短文メッセージを通じて受信されたコードの認識装置及び短文メッセージを通じて伝送可能なコ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