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423A - 디지털 사진자판기와 이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사진자판기와 이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63423A KR20020063423A KR1020010004081A KR20010004081A KR20020063423A KR 20020063423 A KR20020063423 A KR 20020063423A KR 1020010004081 A KR1020010004081 A KR 1020010004081A KR 20010004081 A KR20010004081 A KR 20010004081A KR 20020063423 A KR20020063423 A KR 200200634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information
- vending machine
- user
- digital
- progra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150012579 ADS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0775 Adenylosuccinate ly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40193 Adenylosuccinate ly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09 image seg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0 poly(D-lysin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3 s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 G03B17/53—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livering a finished picture after a signal causing exposure has been given, e.g. by pushing a button, by inserting a coi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G07F17/26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for the use of a photocopier or printing devic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2—Vending machines being part of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of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저장매체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정보를 편집하여 다수의 프린터로 동시에 출력하고, 이를 온라인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디지털 사진자판기에 대한 것으로서, 이는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이미지정보 입력수단으로 플로피 디스크, 스마트 미디어, 콤팩트 플러쉬, 메모리 스틱 시디롬 등 다양한 저장매체를 이용하고, 이용자가 다수의 이미지정보를 동시에 출력하고자 하거나, 하나의 이미지정보를 복수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다수의 프린터를 동시에 제어하여 그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통해 입력 및 편집된 이미지정보를 인터넷과 연결된 외부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이용자가 웹상에서 자신의 이미지정보를 가지고 다양한 온라인 앨범을 제작하거나, 외부 서버에 구비된 메일서버를 통해 타인의 이메일주소로 자신의 이미지정보를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진자판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저장매체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정보를 편집하여 다수의 프린터로 동시에 출력하고, 이를 온라인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디지털 사진자판기에 대한 것이다.
디지탈기술과 컴퓨터장치의 발달 및 기존의 사진촬영방식에 식상한 이용자들의 요구로 인하여 이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디지털 카메라와 다양한 배경화면 합성기능과 화상분할 기능을 제공하는 포토스티커 자판기가 급속도로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포토스티커 자판기는 자판기에 디지탈 카메라, 모니터, 프린터장치 및 이를 구동하기 컴퓨터장치를 구비하고 이용자가 촬영한 사진에 대하여 배경화면와 화상분할비를 선택하게 되면 그 설정에 따른 스티커사진이 인쇄출력되는 장치이다.
즉, 이용자가 포토스티커 자판기 전면에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촬영을 하게 되면, 이는 이미지정보로 변환되어 자판기내 구비된 컴퓨터장치로 전송된다. 이후, 이용자자 합성될 배경화면과 화상분할비 등을 선택하게 되면, 이는 컴퓨터장치내 구비된 소정 동작프로그램의 루틴에 따라 편집되어 모니터를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이용자가 모니터에 표시된 이미지정보를 확인한 후, 이를 인쇄하고자 키패널을 조작하게 되면, 편집된 이미지정보는 프린터장치를 통해 인쇄출력된다.
그러나, 상기한 동작에 따른 종래 포토스티커 자판기는 이용자가 사진을 인쇄하고자 할 경우 매번 자판기를 통해 사진촬영을 해야 하며, 한 번 촬영했던 사진을 다시 인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경우 이용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최근 보급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용자가 촬영된 사진에 대한 고화질 인쇄나 편집이 필요한 경우 별도로 고가의 편집, 출력장치를 구입하거나 전문출력센터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정보 입력수단으로 다양한 저장매체를 지원함으로써 이용자의 촬영된 사진을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저장매체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정보를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집한 후, 이미지정보 출력시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저장매체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정보를 편집한 후, 인터넷으로 전송하여 온라인 앨범을 제작할 수 있도록 된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으로 된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3은 도 1의 구성으로 된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7은 도 5의 디지털 사진자판기로부터 포토뱅크센터로 이미지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8은 도 5의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통해 입력 및 편집된 이미지정보를 이메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미디어입력부, 30 : 터치스크린,
40, 120 : 데이터저장부, 50, 80, 130 : 프로그램저장부,
70 : 메인보드, 60, 110 : 인쇄부,
90 : 프린터제어부, 140 : 네트워크접속부,
100, 200 : 디지털 사진자판기, 400 : 이용자컴퓨터,
500 : 포토뱅크센터, 520 : 서버부,
523 : 메일서버, 530 : 데이터베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진자판기는 교류전원으로부터 장치의 동작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디지털 이미지정보를 입력받도록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미디어입력부와, 이미지정보의 선택, 편집 및 인쇄설정을 지정하기 위한 키입력수단과, 선택 또는 편집된 이미지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상기 미디어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고 편집된 이미지정보와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안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이미지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부와,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기본 운영체제 프로그램과 입력된 이미지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용 프로그램 및 이미지정보의 입력, 편집 및 인쇄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저장부와, 상기 프로그램저장부의 동작프로그램을 근거로 상기 미디어입력부에 저장매체가 삽입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각 저장매체에 저장된이미지정보를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선택, 입력된 정보에 따라 이미지정보의 선택, 편집 및 인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된 메인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인쇄부는 이미지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프린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저장부는 다수의 이미지정보가 다수의 프린터장치를 통해 인쇄될 수 있도록 그 포트할당을 제어하는 프린터제어 프로그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인쇄부 사이에는 상기 프린터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포트할당된 프린터장치를 구동시키는 다수의 프로그램형 논리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형 논리소자는 상기 인쇄부에 구비된 프린터장치의 갯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병렬포트를 통해 접속된 프린터장치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은 웹브라우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컴퓨터와 이미지정보 입력, 편집수단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사진자판기 및 서비스제공자측 서버인 포토뱅크센터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접속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는 다수의 저장매체를 통하여 디지털 이미지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 구동수단 및 네트워크접속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포토뱅크센터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접속부와, 이용자의 회원가입과 로그인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로부터 전송된 이용자별 이미지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이용자 개인영역에 구분저장한 후 상기 이용자컴퓨터와통신접속되어 이용자가 웹상에서 자신의 이미지정보를 가지고 온라인 앨범을 제작하도록 소정 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포토뱅크센터는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로부터 전송된 이메일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용자가 지정한 이메일주소로 전송하기 위한 이메일 서버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메일 메시지는 이용자가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통해 입력, 편집한 이미지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는 상기 포토뱅크센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정보를 검색 및 다운받기 위한 소정 이미지수신 프로그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수신 프로그램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이용자별 개인영역에 저장된 이미지정보를 독출하고, 이용자가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이미지정보 입력수단으로 다양한 저장매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이미지정보를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다수의 프린터를 동시에 제어하여 그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통해 입력, 편집된 이미지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한 후, 웹상에서 온라인 앨범을 제작하거나, 타인의 이메일주소로 자신의 이미지정보를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에 저장된 이용자의 이미지정보를 디지털 사진자판기로 수신하여 인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블록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은 220V/110V의 교류전원으로부터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동작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서, 예컨대 컴퓨터장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구성된다. 참조번호 20은 이용자의 이미지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미디어입력부로서, 예컨대 플로피 디스크(21),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22), 콤팩트 플러쉬(Compact Flash)(23), 메모리 스틱(Memory Stick)(24) 등의 저장매체를 지원하도록 해당되는 드라이브(drive)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미디어(22), 콤팩트 플러쉬(23) 및 메모리 스틱(24)은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 디지털 미디어에 사용되는 메모리카드의 일종으로서 기존 플로피 디스크에 비해 대용량의 저장능력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미디어입력부(20)는 본 실시예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한 저장매체 외에 시디롬(CD-ROM)이나, 광디스크 등 디지털 이미지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각종 저장매체별 드라이브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용자는 상기 미디어입력부(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에 해당되는 저장매체를 동시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지털 사진자판기내 구비된 컴퓨터장치는 저장매체별 드라이브와 각각 연결되어 해당 저장매체가 삽입되어 있는지 체크하고, 그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정보를 순차적으로 독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미디어입력부(20)의 일측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외부 데이터 입출력 케이블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Connector)(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디지털카메라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정보를 디지털 사진자판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서 참조번호 30은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선택과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각종 편집사항을 지정함과 아울러 선택 또는 편집된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다. 이용자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이미지의 선택, 편집 및 출력과 관련된 각종 안내사항을 제공받고, 그 안내사항에 따라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 편집 및 출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이용자의 데이터 입력 및 이미지정보 표시수단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였으나, 이를 일반적인 포토스티커 자판기와 같이 각종 조작키를 구비한 키패널과 이미지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조번호 40은 상기 미디어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정보와 그 편집된 이미지정보 및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각종 안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이고, 50은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기본 운영체제 프로그램과 입력된 이미지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용 프로그램 및 이미지정보의 입력, 선택, 편집 및 인쇄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저장부이고, 60은 이미지정보를 인쇄하도록 프린터장치가 구비된 인쇄부이다.
기본 운영체제 프로그램은 예컨대, 윈도 95, 98, 2000 등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의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이미지정보 편집용 프로그램은 주지된 화상분할 및 배경화면합성 기능을 지원함과 아울러 이미지정보의 밝기, 출력사이즈조절과 이미지정보를 적색, 녹색, 청색, 검정색 등의 톤(tone)으로 변화시키는 필터링(filtering)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프로그램은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일련의 안내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30)을 통해 제공함과 아울러 이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30)을 통해 선택, 입력한 사항을 근거로 이미지정보의 선택, 편집 및 인쇄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 참조번호 70은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그래픽카드(71), 램(72), 롬바이오스(73)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74)를 구비하여 구성된 메인보드이다. 상기 그래픽카드(71)는 이미지정보의 표시 및 편집과 관련된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램(72)은 마이크로 프로세서(74)의 연산처리시 생성되는 각종 임시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롬바이오스(73)는 장치의 부팅동작시 요구되는 초기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74)는 상기 프로그램저장부(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근거로 장치 전반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터치스크린(30)을 통해 선택, 입력된 정보에 따라 해당 이미지정보의 선택, 편집 및 인쇄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보드(70)는 일반적인 컴퓨터장치의 메인보드 구성을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용자가 동전/지폐를 투입하기 위한 화폐투입구와, 상기 화폐투입구에 투입된 동전/지폐의 진위여부를 판별한 후 정상적인 동전/지폐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메인보드(70)에 접속되는 화폐투입구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도 2는 도 1의 구성으로 된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서 디지털 사진자판기 본체(100)는 전면에 상술한 미디어입력부(20)와 터치스크린(30)이 배치되고, 자판기의 전면 일측에는 화폐투입구(A1)와 인쇄된 사진이 배출되는 배출구(A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30)을 조작하기 위한 전자펜(A2)이 케이블(A3)을 통해 내부 컴퓨터장치와 접속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구성으로 된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장치가 온(on)구동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74)는 롬바이오스(73)에 저장된 초기정보를 근거로 컴퓨터장치의 부팅동작을 실행하게 된다.(ST301 단계)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74)는 데이터저장부(40)로부터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이용과 관련된 각종 안내사항 및 샘플 이미지정보를 독출하여 그래픽카드(71)를 통해 터치스크린(30)에 표시한다.(ST302 단계)
한편, 미디어입력부(20)에 스마트 미디어(22), 콤팩트 플러쉬(23) 등 저장매체가 삽입되면(ST303 단계), 이는 내부 컴퓨터장치에 의해 감지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74)는 미디어입력부(20)에 구비된 각 저장매체별 드라이브를 순차로 체크한 후, 저장된 이미지정보를 각각 독출하게 된다.
이때, 저장매체에 하부경로(Sub directory)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하부경로에 저장된 이미지정보 모두가 독출되어 컴퓨터장치로 전송되고, 독출된 이미지정보는 데이터저장부(40)의 소정 영역에 저장된다.(ST304 단계)
데이터저장부(40)에 저장된 다수의 이미지정보는 썸네일(Thumb Nail) 형태로 터치스크린(30)에 표시되며, 이용자는 터치스크린(30)을 통해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그 인쇄수량을 설정하게 된다.(ST305 단계)
한편, 이용자는 이미지정보 선택 후, 화상분할비와 배경화면선택 등 각종 편집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터치스크린(30)을 통해 선택, 지정한 편집옵션은 편집용 프로그램의 소정 동작루틴에 따라 처리됨과 아울러 편집된 이미지정보는 터치스크린(30)을 통해 실시간 표시된다.(ST306 단계)
이후, 이미지정보의 선택과 편집옵션 지정 및 인쇄수량 설정이 완료된 경우(ST307 단계), 마이크로 프로세서(74)는 설정된 인쇄수량에 따른 투입금액을 산출하여 터치스크린(30)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용자가 도 2에 도시된 화폐투입구(A1)에 해당 금액을 투입하게 되면(ST308 단계), 마이크로 프로세서(74)는 인쇄부(60)를 제어하여 선택 및 편집된 이미지정보를 설정된 인쇄수량 만큼 출력하게 된다.(ST309 단계)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서 참조번호 80은 도 1의 프로그램저장부(50)과 동일한 프로그램을 저장함과 아울러 다수의 이미지정보가 다수의 프린터장치를 통해 인쇄될 수 있도록각 프린터장치의 포트할당을 제어하는 소정 프린터제어 프로그램이 추가로 구비된 프로그램저장부이다.
도 4에서 참조번호 90은 메인보드(70)에 접속되어 상기 프린터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포트할당된 프린터장치를 구동시키는 프린터제어부(90)로서, 이는 도 4에서 도시된 것처럼 프린터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프로그램형 논리소자(PLD : Programmable Logic Device)(이하, 'PLD'라 칭한다.)(901~90n)로 구성된다.
또한, 참조번호 110은 상기 프린터제어부(90)에 접속되어 다수의 이미지정보를 순차/동시에 출력하도록 다수의 프린터(1101~110n)를 구비하는 인쇄부이다. 상기 프린터(1101~110n)의 갯수는 상기 PDL(901~90n)의 갯수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프린터제어부(90)내 다수의 PLD(901~90n)는 식별정보로서 각각 고유의 아이디 데이터(ID data)가 부여되고, 메인보드(70)의 내부 버스로부터 자신의 아이디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 이와 접속된 프린터(1101~110n)를 구동시키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다수의 PLD(901~90n)에 부여된 아이디 데이터는 데이터저장부(40) 또는 프로그램저장부(50)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용자가 다수의 이미지정보를 동시에 출력하고자 하거나, 또는 하나의 이미지정보를 복수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4)는 상기 프로그램저장부(80)의 프린터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이미지정보를 출력할 프린터(1101~110n)를 결정하게 되고, 해당 프린터(1101~110n)와 접속된 PLD(901~90n)의 아이디 데이터를 내부 버스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이때, 아이디 데이터를 전송받은 PLD(901~90n)는 내부 버스를 통해서 이미지정보를 전송받게 되고, 이는 병렬포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해당 프린터(1101~110n)로 전송되어 인쇄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상기 프린터제어부(90)내 PLD(90)와 프린터(1101~110n)는 일대일 대응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프로세서(74)는 각 프린터(1101~110n)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용자가 서로 다른 이미지정보를 여러장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각 이미지정보의 데이터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그 인쇄속도에 차이가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74)는 인쇄작업이 먼저 종료된 프린터(1101~110n)를 체크하여 다음 이미지정보를 인쇄하도록 아이디 데이터 및 해당 이미지정보를 내부 버스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가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정보가 여러장인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74)는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정보를 다수의 프린터(1101~110n)에 분배함으로써 그 프린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서 참조번호 200(2001~200n)은 인터넷 접속기능을 갖은 디지털 사진자판기이고, 400(4001~400n)은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웹브라우저와 모뎀등 네트워크 접속수단을 구비하는 이용자컴퓨터이다.
참조번호 400은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200) 및 상기 이용자컴퓨터(300)와 인터넷(1)을 통해 접속되어 이로부터 전송된 이용자별 이미지정보를 이용자 개인영역에 저장함과 아울러 저장된 이미지정보를 인터넷상에서 온라인 앨범으로 제작하기 위한 포토뱅크센터(Photo Bank Center)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도 4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서 참조번호 120은 도 4의 데이터저장부(40)와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포토뱅크센터(500)와 통신접속시 요구되는 IP 정보와 인증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이다. 상기 인증코드는 모든 디지털 사진자판기(200)에 부여된 보안정보로서 포코뱅크센터(500)는 디지털 사진자판기(200)와의 통신접속시 이를 요구하게 된다. 한편, 보안절차를 요하지 않고 상기 IP 정보만으로 통신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의 프로그램저장부(130)는 도 4의 프로그램저장부(80)와 동일한 프로그램을 저장함과 아울러 인터넷(1)을 통해 상기 포토뱅크센터(500)와 접속되도록 소정의 통신접속용 프로그램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참조번호 140은 인터넷(1)에 통신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부로서, 이는 인터넷(1)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시 요구되는 각종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게 된다.
도 6에서 상기 포토뱅크센터(500)는 네트워크접속부(510), 서버부(520) 및 데이터베이스(5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접속부(510)는 인터넷(1)과 통신접속을 위한 것으로서, 소규모 시스템의 경우 ADSL 모뎀, 케이블 모뎀 등을 이용하고, 중대규모 시스템의 경우 허브(hub), 라우터(router) 등의 네트웍 장비를 이용하게 된다.
도 6에서 상기 서버부(520)는 이용자의 회원가입과 로그인(log in) 처리를 수행하는 웹서버(521)와,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이용자별 이미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530)에 구분저장하기 위한 FTP서버(522)와,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200) 및 이용자컴퓨터(400)로부터 전송된 이메일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메일서버(52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200)로부터 전송된 이메일 메시지는 이용자가 타인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이메일서버(523)는 이용자가 입력한 타인의 이메일주소로 해당 이미지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도 6의 구성에서는 디지털 사진자판기(200)로부터 이용자별 이미지정보 전송시 FTP 서버(522)를 이용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를 메일서버(523)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FTP 서버(522)는 이미지정보의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웹서버(521)는 이용자가 자신의 이미지정보를 가지고 온라인 앨범을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소정 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응용프로그램은 예컨대, ASP(Active Server Page), CGI(Common Gate Interface) 등의 서버용 응용프로그램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예컨대, 이미지정보를 확대/축소/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모션(Motion)앨범, 이미지정보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해당 이미지정보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슬라이드(Slide)앨범, 이미지정보를 가상현실로 표현하여 보여주는 파노라마(panorama)앨범 등 다양한 앨범제작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530)는 이용자의 회원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이름 등의 회원가입정보가 저장되는 회원정보저장부(531)과,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200) 및 이용자컴퓨터(400)로부터 전송된 이용자별 이미지정보는 물론 포토뱅트센터(500)의 홈페이지에 구비된 아이콘, 샘플이미지등 각종 이미지정보 저장되는 이미지정보저장부(532)와,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200)에 대한 관리정보는 물론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각종 공지사항 등 안내정보가 저장되는 관리정보저장부(533)로 구성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도 5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온라인 앨범제작시 디지털 사진자판기(200)로부터 포토뱅크센터(500)로 이미지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이용자는 도 3의 단계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정보를 입력, 편집 및 출력하게 된다. 이후, 편집된 이미지정보를 포토뱅크센터(500)로 전송하여 자신의 온라인 앨범을 제작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터치스크린(30)을 통해 제공되는 소정 인터넷 앨범메뉴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이용자는 편집한 이미지정보를 인쇄하지 않고, 바로 포토뱅크센터(5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ST701 단계)
인터넷 앨범메뉴가 선택된 후, 디지털 사진자판기(200)는 포토뱅크센터(500)와 통신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예컨대, 서버테스트등 통신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처리를 수행함과 아울러 포토뱅크센터(500)로부터 보안요구가 있는 경우 데이터저장부(120)로부터 인증코드를 독출하여 전송하게 된다.(ST702 단계)
한편, 디지털 사진자판기(200)내 구비되는 동작프로그램이 버전업된 경우 상기 ST702 단계에서 서버테스트 실행 후, 포토뱅트센터(500)로부터 상위 버전의 동작프로그램을 전송받아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디지털 사진자판기(200)의 터치스크린(30)에는 이용자의 인증을 위한 회원정보입력란(표시되지 않음)이 표시되고, 이용자는 터치스크린(30)을 조작하여 자신의 회원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회원정보는 이용자의 포토뱅크센터(500) 회원가입시 등록된 회원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의미한다.(ST703 단계)
포토뱅크센터(500)는 디지털 사진자판기(200)로부터 전송된 회원정보를 조회한 후, 등록된 회원인지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ST704 단계) 이때, 등록된 회원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포토뱅크센터(500)는 소정 인증불가 메시지를 디지털 사진자판기(200)로 전송하고, 디지털 사진자판기(200)의 터치스크린(30)에는 회원미등록 상태를 알리는 에러메시지가 표시된다.(ST705 단계)
한편, 상기 ST704 단계에서 해당 이용자가 등록된 회원으로 판정된 경우 디지털 사진자판기(200)은 이용자가 선택한 이미지정보를 포토뱅크센터(500)로 전송하고(ST706 단계), 전송된 이미지정보는 포토뱅크센터(500)내 데이터베이스(530)에 마련된 이용자의 개인영역에 저장된다.(ST707 단계)
이후, 이용자는 이용자컴퓨터(100)를 통해 포토뱅크센터(500)에 접속한 후, 웹상에서 제공되는 소정 앨범제작툴을 이용하여 자신의 온라인 앨범을 제작하게 된다. 이때, 앨범제작툴을 통해 제공되는 메뉴는 상술한 모션앨범, 슬라이드앨범, 파노라마앨범 등으로 구성된다.(ST708 단계)
도 8은 디지털 사진자판기(200)를 통해 입력 및 편집된 이미지정보를 이메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이용자는 도 3의 단계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정보를 입력, 편집 및 출력하게 된다. 이후, 이미지정보를 타인의 이메일주소로 전송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터치스크린(30)을 통해 제공되는 소정 이메일 전송메뉴를 선택하게 된다.(ST801 단계)
이용자가 터치스크린(30)을 조작하여 이메일 전송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터치스크린(30)에는 이미지정보를 전송받을 타인의 이메일주소 및 이용자의 이메일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소정 이메일주소입력란(표시되지 않음)이 표시된다.(ST802 단계)
이후, 이용자는 터치스크린(30)을 조작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정보를 선택하고(ST803 단계), 디지털 사진자판기(200)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4)는 데이터저장부(120)로부터 선택된 이미지정보를 독출하여 이용자가 입력한 이메일주소 및해당 이미지정보를 포토뱅크센터(500)로 전송하게 된다.(ST804 단계)
그리고, 포토뱅크센터(500)의 메일서버(523)는 수신된 이미지정보를 타인의 이메일주소로 전송하고, 그 전송절차가 완료된 경우 이용자의 이메일주소로 소정 전송완료메시지를 보내게 된다.(ST805~ST807 단계)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이미지정보 입력수단으로 플로피 디스크, 스마트 미디어, 콤팩트 플러쉬, 메모리 스틱, 시디롬 등 다양한 저장매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용자가 다수의 이미지정보를 동시에 출력하고자 하거나, 하나의 이미지정보를 복수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다수의 프린터를 동시에 제어하여 그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통해 입력 및 편집된 이미지정보를 인터넷과 연결된 외부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이용자가 웹상에서 자신의 이미지정보를 가지고 다양한 온라인 앨범을 제작하거나, 외부 서버에 구비된 메일서버를 통해 타인의 이메일주소로 자신의 이미지정보를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경우 디지털 사진자판기로부터 포토뱅크센터로 이용자의 이미지정보가 전송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용자가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통해 포토뱅크센터에 접속하여 자신의 이미지정보를 다운받은 후, 이를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디지털 사진자판기의 프로그램저장부는 이용자가 자신의 이미지정보를 검색하여 다운받기 위한 소정 이미지수신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수신 프로그램은 포토뱅크센터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이용자의 개인영역에 저장된 이미지정보를 독출하고, 이용자가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다운받은 이미지정보를 이용자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지정보 입력수단으로 다양한 저장매체를 지원함으로써 이용자는 이미지정보를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의 저장매체를 이미지정보 입력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사진자판기내 구비된 다수의 프린터를 동시에 제어하여 다수의 이미지정보를 인쇄할 경우 인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통해 입력 및 편집된 이미지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여 온라인 앨범 제작시 이용하거나, 타인의 이메일주소로 전송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에 저장된 이용자의 이미지정보를 디지털 사진자판기로 수신 및 인쇄하여 디지털 사진자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9)
- 교류전원으로부터 장치의 동작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디지털 이미지정보를 입력받도록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미디어입력부,이미지정보의 선택, 편집 및 인쇄설정을 지정하기 위한 키입력수단,선택 또는 편집된 이미지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상기 미디어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고 편집된 이미지정보와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안내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이미지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부,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기본 운영체제 프로그램과 입력된 이미지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용 프로그램 및 이미지정보의 입력, 편집 및 인쇄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저장부,상기 프로그램저장부의 동작프로그램을 근거로 상기 미디어입력부에 저장매체가 삽입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각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정보를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선택, 입력된 정보에 따라 이미지정보의 선택, 편집 및 인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된 메인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진자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저장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스마트 미디어, 콤팩트 플러쉬, 메모리 스틱, 시디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진자판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키입력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진자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인쇄부는 이미지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프린터장치를 구비하고,상기 프로그램저장부는 다수의 이미지정보가 다수의 프린터장치를 통해 인쇄될 수 있도록 그 포트할당을 제어하는 프린터제어 프로그램을 추가로 구비하며,상기 메인보드와 상기 인쇄부 사이에는 상기 프린터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포트할당된 프린터장치를 구동시키는 다수의 프로그램형 논리소자를 구비하고,상기 프로그램형 논리소자는 상기 인쇄부에 구비된 프린터장치의 갯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병렬포트를 통해 접속된 프린터장치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진자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프로그램형 논리소자는 식별정보로서 각각 고유의 아이디 데이터가 부여되고, 상기 메인보드의 내부 버스를 통해 자신의 아이디 데이터가 전송된 경우이와 접속된 프린터장치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진자판기.
- 웹브라우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컴퓨터와 이미지정보 입력, 편집수단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사진자판기 및 서비스제공자측 서버인 포토뱅크센터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접속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는 다수의 저장매체를 통하여 디지털 이미지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 구동수단 및 네트워크접속수단을 구비하고,상기 포토뱅크센터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접속부와, 이용자의 회원가입과 로그인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로부터 전송된 이용자별 이미지정보를 데이터베이스의 이용자 개인영역에 구분저장한 후 상기 이용자컴퓨터와 통신접속되어 이용자가 웹상에서 자신의 이미지정보를 가지고 온라인 앨범을 제작하도록 소정 응용프로그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포토뱅크센터는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로부터 전송된 이메일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용자가 지정한 이메일주소로 전송하기 위한 메일서버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상기 이메일 메시지는 이용자가 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통해 입력, 편집한 이미지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에 구비된 저장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스마트 미디어, 콤팩트 플러쉬, 메모리 스틱, 시디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디지털 사진자판기는 상기 포토뱅크센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정보를 검색 및 다운받기 위한 소정 이미지수신 프로그램을 추가로 구비하고,상기 이미지수신 프로그램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이용자별 개인영역에 저장된 이미지정보를 독출하고, 이용자가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진자판기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04081A KR100375873B1 (ko) | 2001-01-29 | 2001-01-29 | 디지털 사진자판기와 이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04081A KR100375873B1 (ko) | 2001-01-29 | 2001-01-29 | 디지털 사진자판기와 이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63423A true KR20020063423A (ko) | 2002-08-03 |
KR100375873B1 KR100375873B1 (ko) | 2003-03-15 |
Family
ID=2769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04081A KR100375873B1 (ko) | 2001-01-29 | 2001-01-29 | 디지털 사진자판기와 이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75873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7331A (ko) * | 2002-12-17 | 2003-01-23 | 양진석 | 휴대폰 카메라 연동 포토 스티커 자판기 |
KR20040050130A (ko) * | 2002-12-09 | 2004-06-16 | 이상욱 | 디지털 사진 자동 인화기 |
KR20050005156A (ko) * | 2003-07-05 | 2005-01-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화상저장장치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를 인쇄하는인쇄시스템 및 이에 의한 화상데이터 인쇄방법 |
WO2006073299A1 (en) * | 2005-01-10 | 2006-07-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digital photos based on situ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albuming using the same |
KR100656219B1 (ko) * | 2004-09-22 | 2006-12-12 | 김오진 | 디지털 사진 거래 방법 |
-
2001
- 2001-01-29 KR KR10-2001-0004081A patent/KR10037587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0130A (ko) * | 2002-12-09 | 2004-06-16 | 이상욱 | 디지털 사진 자동 인화기 |
KR20030007331A (ko) * | 2002-12-17 | 2003-01-23 | 양진석 | 휴대폰 카메라 연동 포토 스티커 자판기 |
KR20050005156A (ko) * | 2003-07-05 | 2005-01-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화상저장장치에 저장된 화상데이터를 인쇄하는인쇄시스템 및 이에 의한 화상데이터 인쇄방법 |
KR100656219B1 (ko) * | 2004-09-22 | 2006-12-12 | 김오진 | 디지털 사진 거래 방법 |
WO2006073299A1 (en) * | 2005-01-10 | 2006-07-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digital photos based on situ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albuming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375873B1 (ko) | 2003-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98776C (zh) | Web浏览器的操作方法和操作装置 | |
JP4279538B2 (ja) | 機器設定方法、機器設定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CN1801710B (zh) | 图像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 |
US9576162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 |
CN103248782B (zh) | 信息处理装置及显示控制方法 | |
JP2008071154A (ja) | プログラム及び配置図作成装置 | |
JP2004215309A (ja) | デジタル計算装置および外部装置 | |
JP2003044473A (ja) | インターネット・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方法、プロジェクタ装置 | |
JP5458400B2 (ja) | 写真シール作成装置、および画像提供サーバ | |
US2002018437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remote images using a network-enabled printer | |
US20060221388A1 (en) |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server and system, program product of the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of the product | |
US792599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 |
US20100026706A1 (en) | Object processing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program | |
JP5051482B2 (ja) | 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 |
JP2002152446A (ja) | 複合機システムとその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 |
EP1599029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function settings thereto | |
KR100375873B1 (ko) | 디지털 사진자판기와 이를 이용한 온라인 앨범시스템 | |
JP2002171252A (ja) | ネットワークプリンタ | |
JP2006224329A (ja) |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 |
EP1895747A1 (en) | Network device, network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 |
US20070124537A1 (en) | Removable medium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2109033A (ja) | 通信機器、サービスセンター及びサービス方法、画像閲覧用ソフトウエア | |
JP2010146085A (ja) | データ配信システム、データ配信装置、データ配信方法およびデータ配信プログラム | |
JP2013115447A (ja) | 写真撮影遊戯装置、画像データ提供装置、画像データ提供システム、画像データ生成方法、及び画像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 |
JP2002283647A (ja)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