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354A -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 - Google Patents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354A
KR20020063354A KR1020010003943A KR20010003943A KR20020063354A KR 20020063354 A KR20020063354 A KR 20020063354A KR 1020010003943 A KR1020010003943 A KR 1020010003943A KR 20010003943 A KR20010003943 A KR 20010003943A KR 20020063354 A KR20020063354 A KR 20020063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emote control
reel
cas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광호
Original Assignee
연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광호 filed Critical 연광호
Priority to KR102001000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3354A/ko
Publication of KR20020063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3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양측으로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가 각각 형성된 내부의 고정축(13)을 중심으로 권취릴(14)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권취릴(14)과 고정축(13) 사이는 태엽스프링(15)으로 상호 연결되며, 권취릴(14)의 외주면에는 중간의 접힘부(16A)가 고정되고 양단부는 상기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를 통해 외부에 위치되는 전선(16)이 구비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와 권취릴(14) 사이에 리모콘기판(21)이 구비되고, 이에 대향되는 케이스(1)의 일측면 상에 다수 형성된 버튼장착공(22)에는 리모콘기판(21)에 접속된 조작버튼(23)이 구비되며, 전선(16)의 일측부에 함께 구비된 단절리이드선(24)을 리모콘기판(21)에 접속 연결시키는 접속부(25)가 구비된 리모콘부(2)가 구비됨으로써 원가절감은 물론 조립작업의 효율성 및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고정축에 대한 습동방식에 의해서 리모콘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권취릴의 일측부에 태엽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권취릴의 회전이 보다 자유롭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 내부의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전선 당김력만으로 그 전선의 스톱 및 해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Wire reel device two hole type with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전선 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의 양측으로 전선이 동일비율로 인입출되면서 리모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한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길이가 긴 전선의 일측단에 수신기가 구비되고, 이의 타측단에는 연결용 잭이 구비된다. 또한 근래에는 상기 수신기와 연결용 잭 사이에 리모콘을 구비하여 원격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핸드폰의 경우에는 수신기와 연결용 잭 사이에 송신기를 구비하여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대방과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이어폰의 사용시 길이가 긴 전선의 꼬임이나 걸림 등으로 인한 휴대 및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해소하기 위해서 그 전선을 릴에 권선하여 정리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전선 릴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리모콘과 전선 릴장치가 각각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이의 조립에 따른 작업의 비효율성 및 불편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또한 사용의 불편성 및 번거로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선을 케이스에 권선시켜 정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리모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가절감은 물론 조립작업의 효율성 및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리모콘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케이스 내부의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전선 당김력만으로도 그 전선의 스톱 및 해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입출구A 및 입출구B가 각각 형성된 내부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권취릴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권취릴과 고정축 사이는 태엽스프링으로 상호 연결되며, 권취릴의 외주면에는 중간의 접힘부가 고정되고 양단부는 상기 입출구A 및 입출구B를 통해 외부에 위치되는 전선이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권취릴 사이에 리모콘기판이 구비되고, 이에 대향되는 케이스의 일측면 상에 다수 형성된 버튼장착공에는 리모콘기판에 접속된 조작버튼이 구비되며, 전선의 일측부에 함께 구비된 단절리이드선을 리모콘기판에 접속 연결시키는 접속부가 구비된 리모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권취릴의 일측부에 환형의 장착돌부가 형성되고, 이의 중앙부에 고정축이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 관통되는 축공을 형성하여 상기 축공을 관통한 고정축과 장착돌부 사이에 태엽스프링을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권취릴의 외곽 일측 케이스 내측면 상에 판상의 몸체 양측으로 탄성돌편A,B가 내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가동스프링을 구비하되, 케이스의 면상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고정리브A,B로 구성된 스프링고정부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권취릴의 외측면 상에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동스프링의 탄성돌편A,B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함께 상기 가동스프링의 몸체 배면에 슬라이드홈을 형성하고, 이에 상응하는 케이스의 내측면 상에는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걸림으로 가동스프링의 좌.우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피동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축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가 형성된 고정축의 측면부 상에는 접속단자와 전선통과공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 및 전선통과공을 통해 연결리이드선으로 접속단자를 리모콘기판에 접속 연결시키며, 권취릴의 측면부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단절리이드선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습동단자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고정축의 접속단자에 습동되는 식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속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a,도 3b는 본 발명의 스토퍼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도 3a는 최초 인출시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b는 인출후 걸림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케이스
11,12:입출구A,B 13:고정축
14:권취릴
141:장착돌부 142:축공
15:태엽스프링 16:전선
2:리모콘부
21:리모콘기판 22:버튼장착공
23:조작버튼 24:단절리이드선
25:접속부
251:내부공간부 252:접속단자
253:전선통과공 254:연결리이드선
255:관통공 256:습동단자
3:스토퍼
31:가동스프링
311:몸체 312,313:탄성돌편A,B
314:슬라이드홈 315:피동핀
32:스프링고정부
321,322:고정리브A,B
33:걸림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측으로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를 갖는 케이스(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의 내부 일측면 중앙부에는 고정축(13)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13) 상에는 전선(16)이 권선되는 권취릴(14)이 회전이 자유롭게 구비되고, 이를 위해서 상기 권취릴(14)의 중앙부에 축공(142)이 형성된다. 또, 상기 권취릴(14)의 일측면에 환형의 장착돌부(141)가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장착돌부(141)와 축공(142)을 통해 삽입 관통된 케이스(1)의 고정축(13) 사이에는 태엽스프링(15)이 장착된다. 즉, 상기 태엽스프링(15)의 일측단부는 고정축(13)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장착돌부(141)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16)은 중간이 중첩되는 식으로 접혀져 접힘부(16A)가 형성되고, 이 접힘부(16A)가 권취릴(14)의 외주면 일점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접힘부(16A)를 중심으로 일측단은 케이스(1)의 입출구A(11)를 통해 케이스(1) 외부에 위치되며, 타측단은 권취릴(14)의 외주면을 따라 태엽스프링(15)의 권선방향으로 감겨지면서 케이스(1)의 입출구B(12)를 통해 상기 케이스(1)의 외부에 위치되게하여 전선(16)에 당김력이 작용되면, 이의 힘으로 케이스(1)의 양쪽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를 통해 전선(16)의 양단이 동일비율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함께 상기 권취릴(14)의 장착돌부(141) 타측부에는 원거리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모콘부(2)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권취릴(14)과 케이스(1) 사이에 리모콘기판(21)이 구비되고, 상기 리모콘기판(21)에 대향되는 케이스(1)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버튼장착공(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장착공(22)에는 리모콘기판(21)에 접속 연결되는 조작버튼(23)이 구비되고, 상기 조작버튼(23)은 버튼장착공(22)을 관통하여 케이스(1)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조작버튼(23)의 누름에 의해서 리모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의 입출구B(12)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 전선(16)에는 단절리이드선(24)이 함께 구비되어 권취릴(14)에 권선되며, 상기 단절리이드선(24)과 리모콘기판(21)은 접속부(25)에 의해서 전기회로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접속부(25)는 고정축(13)의 내부에 공간부(251)를 형성하고, 측면 상부측에는 상기 공간부(251)와 연통되는 전선통과공(253)이 형성되며, 이의 하부측 고정축(13)의 측면부를 따라 접속단자(25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252)에 상응하는 권취릴(14)의 측면부에는 관통공(255)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릴(14)에 위치한 단절리이드선(24)의 단부측에는 그 관통공(255)을 관통하여 접속단자(252)에 미끄럼접촉되는 습동단자(256)가 형성된다.
또, 고정축(13)에 형성된 접속단자(252)와 리모콘기판(21) 사이는 연결리이드선(254)에 의해서 전기 회로적으로 상호 접속 및 연결된다. 즉 연결리이드선(254)의 일측단부는 접속단자(252)에 접촉 및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고정축(13)의 고정축(13)을 거쳐 전선통과공(253)을 통해 리모콘기판(21)에 용접되는 것이다.
한편, 권취릴(14)에 감겨진 전선(16)의 양단부를 인출한 뒤, 그 인출된 전선(16)이 다시 태엽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서 케이스(1) 내부로 인입되려고 하는 힘을 걸림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저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토퍼(3)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3)는 권취릴(14)의 장착돌부(141) 외곽에 케이스(1) 상에 구비되고, 이의 구성은 양단부에 한 쌍의 탄성돌편A,B(미도시됨)을 가지면서 외력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되는 가동스프링(31)과, 상기 가동스프링(31)을 케이스(1)의 내측면 상에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고정리브A,B(321)(322)로 좌.우 이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스프링고정부(32)와, 상기 가동스프링(31)의 탄성돌편A,B에 걸림 고정되고 외력의 작용으로 권취릴(14)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돌편A,B(312)(313)를 가압하는 걸림턱(33)이 상기 권취릴(14)의 외측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00은 이어폰 적용시에 구비되는 연결용 잭이고, 110은 수신기이며, 120은 송신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속부 구조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스(1)는 양측으로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고정축(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13)에는 권취릴(14)이 회전이 자유롭게 구비되며, 상기 권취릴(14)에는 전선(16)이 권선되는 것으로, 상기 전선(16)은 중간이 중첩되는 식으로 접힘부(16A)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부(16A)는 권취릴(14)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접힘부(16A)를 중심으로 일측단은 케이스(1)의 입출구A(11)를 통해 케이스(1)의 외부에 위치되며, 타측단은 권취릴(14)의 외주면을 따라 태엽스프링(미도시됨)의 권선방향으로 감겨지며 케이스(1)의 입출구B(12)를 통해 케이스(1)의 외부에 위치된다.
이와함께 케이스(1)의 고정축(13)의 외측면에 리모콘기판(미도시됨)에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된 접속단자(25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의 입출구B(12)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 전선(16)에 함께 구비된 단절리이드선(24)의 단부측에는 권취릴(14)의 일측부에 형성된 관통공(255)을 통해 상기 접속단자(252)에 미끄럼접촉되는 습동단자(256)가 접촉 및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전선(16)의 접힘부(16A)는 단절리이드선(24)의 단부측에 고정되고, 상기 단절리이드선(24)은 권취릴(14)에 고정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스토퍼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도 3a는 전선 인출전의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토퍼(3)는 권취릴(14)의 외곽 일측부에 가동스프링(31)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가동스프링(31)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금속판으로 된 몸체(311)의 양단을 둥글게 말아 일측 동일방향으로 다소 경사지게 탄성돌편A,B(312)(313)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스프링(31)은 케이스(1)의 면상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고정리브A,B(321)(322)로 구성된 스프링고정부(32)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권취릴(14)의 외측면 일측에는 회전되면서 가동스프링(31)의 탄성돌편A,B(312)(313)에 걸림 고정되거나 외력의 작용으로 상기 가동스프링(31)의 탄성돌편A,B(312)(313)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걸림턱(33)이 외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가동스프링(31)의 좌.우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동스프링(31)의 몸체(311) 후방측에 슬라이드홈(314)이 형성되고 그 슬라이드홈(314)에 상응하는 케이스(1)의 내측면 상에는 피동핀(315)이 형성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은 양측으로 입출구A,B(11)(1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고정축(13)이 형성된 케이스이며, 15는 태엽스프링이다. 도 3b의 구성은 도 3a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6)의 일측단에 형성된 연결용 잭(100)을 기기에 꽂아 접속시킨 후, 수신기(110) 및 송신기(120)가 형성된 전선(16)의 타측단을 당기게 되면, 이의 당김력이 권취릴(14)의 장착돌부(141)에 고정된 전선(16)의 중간 접힘부(16A)를 통해 권취릴(14) 측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릴(14)은 태엽스프링(15)의 권선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케이스(1)의 입출구B(12)를 통해 상기 케이스(1)의 입출구A(11)를 통해 인출되는 전선(16)의 타측단과 동일 비율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릴(14)에 고정된 단절리이드선(24)의 단부측 습동단자(256)가 케이스(1)의 고정축(13)에 형성된 접속단자(252)에 미끄럼접촉되고, 상기 접속단자(252)는연결리이드선(254)을 통해 리모콘기판(21)에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리모콘기판(21)의 조작버튼(23) 누름에 의한 신호로써 리모콘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권취릴(14)의 회전력은 다시 케이스(1)의 고정축(13)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은 권취릴(14)의 장착돌부(141) 내주면 일점에 고정된 태엽스프링(15)에 작용되고, 이의 작용으로 상기 태엽스프링(15)은 케이스(1)의 고정축(13)에 감겨지는 식으로 압축되면서 복원을 위한 탄성력이 축적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권취릴(14)로부터 전선(16)을 인출한 후에는 다시 압축된 태엽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전선(16)에 당김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스토퍼(3)에 의해서 그 작용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 3a 및 도 3b를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한 바와 같다.
즉, 최초 인출시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계속적인 전선(16) 당김력이 작용하여 권취릴(14)에 형성된 걸림턱(33)이 가동스프링(31)의 탄성돌편A(312)를 걸림 해제방향(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턱(33)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게 됨으로써 계속적인 인출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인출을 완료한 후, 전선(16)에 대한 당김력을 해제하게 되면 태엽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서 권취릴(14)이 상기한 역방향, 즉 전선 인입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스프링(31)의 탄성돌편B(313)에 걸림으로써 일시적으로 회전을 멈추게 되고, 이로써 상기 전선(16)에 의한 당김력 없이이어폰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동스프링(31)의 좌.우 이동범위는 가동스프링(31)의 몸체(311) 배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14)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피동핀(315)의 걸림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선을 케이스에 권선시켜 정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리모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가절감은 물론 조립작업의 효율성 및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축에 대한 습동방식에 의해서 리모콘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권취릴의 일측부에 태엽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권취릴의 회전이 보다 자유롭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케이스 내부의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전선 당김력만으로 그 전선의 스톱 및 해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양측으로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가 각각 형성된 내부의 고정축(13)을 중심으로 권취릴(14)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권취릴(14)과 고정축(13) 사이는 태엽스프링(15)으로 상호 연결되며, 권취릴(14)의 외주면에는 중간의 접힘부(16A)가 고정되고 양단부는 상기 입출구A(11) 및 입출구B(12)를 통해 외부에 위치되는 전선(16)이 구비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와 권취릴(14) 사이에 리모콘기판(21)이 구비되고, 이에 대향되는 케이스(1)의 일측면 상에 다수 형성된 버튼장착공(22)에는 리모콘기판(21)에 접속된 조작버튼(23)이 구비되며, 전선(16)의 일측부에 함께 구비된 단절리이드선(24)을 리모콘기판(21)에 접속 연결시키는 접속부(25)가 구비된 리모콘부(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14)의 일측부에 환형의 장착돌부(141)가 형성되고, 이의 중앙부에 고정축(13)이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 관통되는 축공(142)을 형성하여 상기 축공(142)을 관통한 고정축(13)과 장착돌부(141) 사이에 태엽스프링(15)을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14)의 외곽 일측 케이스(1) 내측면 상에 판상의 몸체(311) 양측으로 탄성돌편A,B(312)(313)가 내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가동스프링(31)을 구비하되, 케이스(1)의 면상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고정리브A,B(321)(322)로 구성된 스프링고정부(32)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권취릴(14)의 외측면 상에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동스프링(31)의 탄성돌편A,B(312)(313)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33)이 형성된 스토퍼(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프링(31)의 몸체(311) 배면에 슬라이드홈(314)을 형성하고, 이에 상응하는 케이스(1)의 내측면 상에는 상기 슬라이드홈(314)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걸림으로 가동스프링(31)의 좌.우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피동핀(31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13) 내부에 공간부(251)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251)가 형성된 고정축(13)의 측면부 상에는 접속단자(252)와 전선통과공(253)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251) 및 전선통과공(253)을 통해 연결리이드선(254)으로 접속단자(252)를 리모콘기판(21)에 접속 연결시키며, 권취릴(14)의 측면부에 관통공(255)을 형성하여 단절리이드선(24)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습동단자(256)가 상기 관통공(255)을 통해 고정축(13)의 접속단자(252)에 습동되는 식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리모콘 겸용 양구형 릴장치.
KR1020010003943A 2001-01-27 2001-01-27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 KR20020063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943A KR20020063354A (ko) 2001-01-27 2001-01-27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943A KR20020063354A (ko) 2001-01-27 2001-01-27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354A true KR20020063354A (ko) 2002-08-03

Family

ID=2769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943A KR20020063354A (ko) 2001-01-27 2001-01-27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33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767B1 (ko) * 2010-10-22 2011-01-14 이은동 한지조명등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767B1 (ko) * 2010-10-22 2011-01-14 이은동 한지조명등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9203B2 (ja) 携帯電話機のフォルダー駆動装置及びそのフォルダー駆動方法
US9025787B2 (en) Earphone plug with mode switching function
WO2013052303A2 (en) Mobile device case with retractor reel assembly for user-provided headphones
KR20020063354A (ko) 리모콘 겸용 양구형 전선 릴장치
US6381338B1 (en) All directionally turnable radio microphone
KR101326138B1 (ko) 블루투스 헤드셋
KR19980071968A (ko) 이어폰 코드 자동감김 장치가 구비된 핸드폰용 이어폰
KR100337086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483608B1 (ko)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KR100465808B1 (ko) 목걸이형 릴타입 이어 마이크
KR100405214B1 (ko) 오토폴더형 휴대전화기
KR200184573Y1 (ko) 이어폰이 부착된 핸드폰
JPS6230358Y2 (ko)
KR20023750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
KR200270166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마이크세트
US11452421B1 (en) Telescopic tube housing a conductive assembly
KR100348293B1 (ko)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KR200216285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의 송신기 인출장치
KR200283104Y1 (ko) 레버 락을 구비한 감김장치
KR200240011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힌지 구조
KR20050117081A (ko) 전원 연결장치
CN2539687Y (zh) 一种可折式自行车把手
CN2516515Y (zh) 手机耳机线收缩结构
KR100352618B1 (ko) 휴대폰용 커버 개방방법 및 장치
KR200175162Y1 (ko) 이어폰 코드의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