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138B1 - 블루투스 헤드셋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138B1
KR101326138B1 KR1020120062021A KR20120062021A KR101326138B1 KR 101326138 B1 KR101326138 B1 KR 101326138B1 KR 1020120062021 A KR1020120062021 A KR 1020120062021A KR 20120062021 A KR20120062021 A KR 20120062021A KR 101326138 B1 KR101326138 B1 KR 101326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able
main body
gea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인
Original Assignee
박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인 filed Critical 박정인
Priority to KR102012006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기술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상단부 일측 외면에 이어폰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출몰되게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관;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되, 외주면에는 감김홈이 형성되고 어느 일측면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기어가 형성되는 휠; 상기 회전축을 감싸게 되며 일단은 상기 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휠이 감길 수 있는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휠의 감김홈에 연결되며 상기 연장관 속으로 배치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결합되는 마이크; 상기 휠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형성되되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스토퍼를 갖는 조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루투스 헤드셋{BLUETOOTH HEAD-SET}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기술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헤드셋에 관한 기술이다.
핸드폰과 같은 통신기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블루투스 헤드셋이 보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헤드셋이라 하면 이어폰과 같이 귀에 꽂아 사용할 수 있는 것 또는 보다 안정적인 착용을 위해 머리 위 혹은 머리 후방을 감싸는 탄력적인 연결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통칭한다.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 무선전송 방식을 의미하며, 사무실, 가정 등에서 사용자의 주변내에서 무선으로 서로 다른 통신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는 노트북·PDA·휴대용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기기 간에 자유로운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블루투스 헤드셋은 와이어나 케이블에 의한 연결없이도 무선으로 핸드폰 등과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함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소형화되는 블루투스 헤드셋은 이어폰과 마이크가 가깝게 위치되기 때문에 통화음질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제안된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1-0011373호(2011.02.08 공개)의 "블루투스 헤드셋"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블루투스 헤드셋의 한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블루투스 헤드셋은 이어폰부(10), 장방향으로 제공되고 일면 상단에 이어폰부(10)와 결합하며 장방향으로 길이조절부 삽입홈(21)이 형성된 몸체(20), 길이조절부 삽입홈(2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몸체(20)에 결합하는 판형 길이조절부(30) 및 길이조절부(30)의 너비부에 이어폰부(10)과 같은 방향으로 부착되는 마이크(40)를 포함한다.
종래기술은 몸체(20)에 대해 판형 길이조절부(30)가 슬라이딩되면서 출몰되는 구조이므로, 통화를 위해서는 길이조절부(30)를 당겨서 길게 형성시킨 다음 통화버튼을 눌러야만 했다. 그리고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종료 버튼을 누르고 길이조절부를 밀어넣어야만 했다.
따라서 종래의 블루투스 헤드셋은 사용자가 여러번에 걸쳐 조작을 해야했으므로 불편함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길이조절부의 길이는 몸체의 길이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길이 조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1-0011373호(2011.02.0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이 보다 간편하도록 통화의 시작과 종료가 하나의 센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도록 하며, 헤드셋의 이어폰과 마이크간 거리가 보다 넓은 범위에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은, 상단부 일측 외면에 이어폰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출몰되게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관;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되, 외주면에는 감김홈이 형성되고 어느 일측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휠; 상기 휠이 감길 수 있는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연장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마이크; 상기 휠의 감김홈에 연결되며 상기 연장관 속으로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휠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형성되되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스토퍼를 갖는 조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은 상기 케이블이 펼쳐졌을 때에 통화상태가 되고 상기 케이블이 감기게 되면 통화가 종료되되, 상기 본체 하단 부근에 상기 케이블의 상태를 인식하는 통화센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휠에 형성되는 상기 기어는 상기 스토퍼와 맞물린 상태에서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는 래칫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조정레버는 스프링과 연결되며, 상기 조정레버를 밀거나 당김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상기 기어와 떨어짐으로써 상기 휠이 상기 케이블을 자동적으로 감기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은 두 가닥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한 가닥은 상기 마이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한 가닥은 상기 휠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루투스 헤드셋은 간단한 조작으로 통화시작과 통화종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고, 이어폰과 마이크간 거리 조정 가능범위가 넓다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은 마이크가 연결되는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블루투스 헤드셋의 한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의 구성도.
도 3은 통화시의 블루투스 헤드셋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휠의 평면도.
도 5는 케이블의 단면도.
도 6은 휠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의 구성도이며, 도 3은 통화시의 블루투스 헤드셋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휠의 평면도이며, 도 5는 케이블의 단면도이고, 도 6은 휠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스 헤드셋은 본체(100), 연장관(200), 휠(300), 탄성체(400), 케이블(500), 마이크(600), 조정레버(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0)는 소정의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사각 형태이며, 본체(100)의 일측 외면에 이어폰(110)이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블루투스모듈(미도시)이 내장되어 있고, 블루투스모듈은 이어폰(110) 및 마이크(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체(100)의 하부면은 개구된 형태이며 연장관(200)이 삽입되어 출몰가능하게 연결된다. 연장관(200)은 내부가 빈 중공튜브와 같은 형태일 수 있고 연장관(200)은 비통화시에는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반면에 통화시에는 연장관(200)은 본체(100) 외부로 길게 노출된다.
연장관(200)은 본체(100)에 대해 출몰되되 본체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는 않아야 하며, 이를 위해 연장관(200) 후단에는 본체(10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걸림단(210)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연장관(200)과 본체(100)의 연결구조는 연장관(2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바, 언급된 걸림단(210)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그리고 연장관(200)의 단부에는 마이크(600)가 연결된다. 연장관9200)이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장 하부로 돌출되는 연장관(200)의 단부에 마이크(600)를 고정 연결시키도록 한다. 물론 후술되겠지만 마이크(600)는 케이블(500)과도 연결된다.
본체(100)의 상부 내측에 휠(300)이 마련되며 휠(300)은 회전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휠(300)의 어느 일측면에 기어(320)가 형성되며, 타측면 중앙에 회전축(310)이 돌출 형성되고 회전축(310)은 본체(1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휠(300)의 외주면에는 함몰된 감김홈(330)이 형성된다.
휠(3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기어(320)는 원을 이루면서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후술될 조정레버(700)와 결합시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는 래칫기어가 되도록 한다.
휠(300)의 회전축(310)을 감싸면서 탄성체(400)가 설치되며, 탄성체(400)의 일단은 휠(300)과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100)와 연결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휠(300)은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적으로 되감길 수 있도록 한다.
휠(300)의 감김홈(330)에는 케이블(500)이 연결되며, 케이블(500)은 연장관 (200)속으로 배치되고, 케이블(500)은 감김홈(330)에 최대한 감겼을 때 그 말단부가 본체(100) 하부로부터 다소 돌출될 정도가 되도록 한다.
케이블(500)은 본체(100) 내부에 마련될 블루투스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케이블(500)의 단부에 마이크(600)가 결합된다. 마이크(600)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은 케이블(500)을 통해서 블루투스모듈로 전달된다.
바람직하게 케이블(500)은 두 가닥으로 이루어는 것으로 하며, 어느 한 가닥은 마이크(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한 가닥은 휠(300)에 고정 연결되어 케이블(50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케이블(510)은 블루투스모듈과 연결되며, 휠(300)에 고정되는 제2케이블(520)은 케이블(50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케이블(500)은 감김홈(330)에 감겼다가 풀리는 동작이 반복되며, 따라서 제1케이블(5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500)에 작용하는 장력이 제2케이블(520)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1케이블(510)은 다소 느슨한 상태로 전선이 배치되도록 하고, 케이블(500)을 당길 때 제2케이블(520)에 힘이 주로 작용될 수 있도록 한다.
휠(30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조정레버(700)가 마련되며, 조정레버(700)는 본체(100)의 외면으로부터 형성되되 기어(320)와 맞물리는 스토퍼(710)를 가지게 된다.
조정레버(700)는 휠(300)의 기어(320)와 맞물리는 형태가 되도록 본체(100)에 마련되며, 조정레버(700)를 조작함에 따라 스토퍼(710)가 기어(320)와 맞물린 상태에서 결합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조정레버(700)에 아무런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스토퍼(710)는 기어(320)와 맞물린 상태가 되고, 조정레버(700)를 누르거나 당기는 것과 같은 동작에 의해 스토퍼(710)는 기어(320)와의 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정레버(700)는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것으로 구속되도록 하여 스토퍼(710)가 기어(320)를 누르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조정레버(700)는 회동 동작되면서 스토퍼(710)가 기어(320)와 맞물리거나 물림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스 헤드셋은 케이블(500)이 펼쳐지면 자동적으로 통화상태로 전환되고 반대로 펼쳐진 케이블(500)을 감기게 하면 통화가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도록 한다.
케이블(500)의 감김과 풀림에 따라 자동적인 통화상태로의 전환 또는 통화종료 상태로의 전환은 소정의 통화센서(8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통화센서(800)는 블루투스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케이블(500)의 풀림 정도 및 되감김 정도에 따라 통화센서(800)가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통화가 이루어지거나 통화가 종료될 수 있도록 한다.
자동적인 통화시작 또는 통화종료를 위한 통화센서(800)의 구체적인 예로 본체 하단 부근에 케이블(500)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통화센서(800)를 마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케이블(500)을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케이블(500)을 감싸고 있던 연장관(200)도 본체(100)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케이블(500)을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래칫기어(320)의 특성상 휠(300)은 케이블(500)이 풀리는 방향으로 계속 회전되며, 연장관(200)이 최대한 빠져나오게 되면 연장관(200)이 통화센서(800)와 접촉을 이루면서 통화가 시작되도록 블루투스모듈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정레버(700)를 누르거나 당겨서 래칫기어(320)에 맞물려있던 스토퍼(710)가 래칫기어(320)와 분리되게 하면 탄성체(400)의 복원력에 의하여 휠(300)이 반대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되면서 케이블(500)을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연장관(200)도 본체(10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케이블(500)이 되감기게 되면 통화센서(800)와 접촉을 이루던 연장관(200)의 특정부위가 통화센서(800)와 떨어지게 되고, 이를 신호로 하여 블루투스모듈에서는 통화가 종료되도록 한다.
언급된 통화센서(800)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케이블(500)의 풀림과 되감김에 따라 통화가 시작되거나 종료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가능한 변형 실시로는 회전되는 휠(300)의 회전방향과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통화가 자동적으로 시작되거나 종료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블루투스 헤드셋은 소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케이블(500)을 적당히 당기는 동작에 의해 통화가 시작되고 케이블(500)이 되감기게 하면 자동적으로 통화가 종료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통화 종료시에는 조정레버(700)를 가볍게 누르거나 당김으로써 휠(300)이 탄성체(400)에 저장된 복귀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케이블(500)과 연장관(200)을 본체(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작용하는 바, 조작이 간편하고, 통화시에는 케이블(500)을 당기면 래칫기어(320)를 갖는 휠(300)이 회전되면서 케이블(500)이 풀릴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블(500)을 제1케이블(510)과 제2케이블(520)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블루투스모듈과 연결되는 제1케이블(510)에는 과도한 장력이 발생되어 손상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헤드셋은 휴대전화 등을 위한 무선 헤드셋으로 제공될 수 있다.
100 : 본체 110 : 이어폰
200 : 연장관 210 : 걸림단
300 : 휠 310 : 회전축
320 : 기어 330 : 감김홈
400 : 탄성체 500 : 케이블
510 : 제1케이블 520 : 제2케이블
600 : 마이크 700 : 조정레버
710 : 스토퍼 800 : 통화센서

Claims (5)

  1.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상단부 일측 외면에 이어폰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출몰되게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관;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되, 외주면에는 감김홈이 형성되고 어느 일측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휠;
    상기 휠이 감길 수 있는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연장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마이크;
    상기 휠의 감김홈에 연결되며 상기 연장관 속으로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휠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형성되되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스토퍼를 갖는 조정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정레버는 스프링과 연결되며, 상기 조정레버를 밀거나 당김에 따라 상기 스토퍼가 상기 기어와 떨어짐으로써 상기 휠이 상기 케이블을 자동적으로 감기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은 상기 케이블이 펼쳐졌을 때에 통화상태가 되고 상기 케이블이 감기게 되면 통화가 종료되되, 상기 본체 하단 부근에 상기 케이블의 상태를 인식하는 통화센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에 형성되는 상기 기어는 상기 스토퍼와 맞물린 상태에서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는 래칫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두 가닥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한 가닥은 상기 마이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한 가닥은 상기 휠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KR1020120062021A 2012-06-11 2012-06-11 블루투스 헤드셋 KR101326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021A KR101326138B1 (ko) 2012-06-11 2012-06-11 블루투스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021A KR101326138B1 (ko) 2012-06-11 2012-06-11 블루투스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138B1 true KR101326138B1 (ko) 2013-11-11

Family

ID=49856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021A KR101326138B1 (ko) 2012-06-11 2012-06-11 블루투스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1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921B1 (ko) 2017-10-18 2019-01-17 이승철 블루투스 이어셋
WO2019160213A1 (ko) *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642Y1 (ko) 2002-03-29 2002-07-13 이창훈 이동전화용 이어폰
KR20020066165A (ko) * 2001-08-30 2002-08-14 임성묵 핸드폰 겸용 헤드셋
KR20070064257A (ko) * 2005-12-15 2007-06-20 피호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신축가능한 마이크로폰을 갖는 무선 이어폰
KR20080005372A (ko) * 2005-06-03 2008-01-11 노키아 코포레이션 조정 가능한 붐을 가지는 헤드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165A (ko) * 2001-08-30 2002-08-14 임성묵 핸드폰 겸용 헤드셋
KR200281642Y1 (ko) 2002-03-29 2002-07-13 이창훈 이동전화용 이어폰
KR20080005372A (ko) * 2005-06-03 2008-01-11 노키아 코포레이션 조정 가능한 붐을 가지는 헤드셋
KR20070064257A (ko) * 2005-12-15 2007-06-20 피호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신축가능한 마이크로폰을 갖는 무선 이어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921B1 (ko) 2017-10-18 2019-01-17 이승철 블루투스 이어셋
WO2019160213A1 (ko) *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43096A1 (en) Wireless earphone structure
US8290547B2 (en) Protective case having retractable earbuds
US9025787B2 (en) Earphone plug with mode switching function
US20130058516A1 (en) Cartridge for managing ear bud cables having a constant torque spring
US20120300970A1 (en) Head Set
KR101187262B1 (ko) 핸드폰용 이어폰 권취장치
KR101326138B1 (ko) 블루투스 헤드셋
CN201328176Y (zh) 一种麦克风位置可调的耳机
KR200423708Y1 (ko) 휴대폰용 이어마이크폰 권취장치
US7640042B2 (en) Buckle phone
EP2553913B1 (en) A handsfree accessory
KR200385089Y1 (ko) 이어폰 줄 수납장치
TWM354293U (en) Bidirectional wire-winding earphone equipped with microphone module
KR100465808B1 (ko) 목걸이형 릴타입 이어 마이크
KR20000024290A (ko) 핸즈프리가 인출가능하게 내장된 핸드폰
KR200356253Y1 (ko)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폰용 악세사리
KR200175162Y1 (ko) 이어폰 코드의 권취장치
KR200181930Y1 (ko)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100500218B1 (ko) 휴대폰용 목걸이형 이어폰
KR200216285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의 송신기 인출장치
KR200184573Y1 (ko) 이어폰이 부착된 핸드폰
KR20035618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악세사리 겸용 이어마이크폰수용캡
KR200292156Y1 (ko) 감김방식의 이어마이크로폰을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기
KR100680295B1 (ko) 감김 방식에 의한 이어마이크로폰
KR200194798Y1 (ko) 이어폰 케이블 보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