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506Y1 -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506Y1
KR200237506Y1 KR2020000036804U KR20000036804U KR200237506Y1 KR 200237506 Y1 KR200237506 Y1 KR 200237506Y1 KR 2020000036804 U KR2020000036804 U KR 2020000036804U KR 20000036804 U KR20000036804 U KR 20000036804U KR 200237506 Y1 KR200237506 Y1 KR 200237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nds
cord
fre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조
양영우
안수호
최규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6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506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는 단말기와 함께 사용자의 주머니에 함께 보관되므로 코드가 꼬여 단선되기 쉽고, 통화를 위해 이어폰과 마이크를 꺼내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는 이어폰과 마이크 및 상기 이어폰과 마이크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에 연결시키는 플러그가 부착된 코드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에 있어서, 코드를 감거나 풀어내는 권선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 {An ear phone assembly of mobile phone}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드를 감거나 풀어내는 권선수단을 구비하여 보관과 사용의 편이성이 증대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유선 전화와 동일하게 수신음을 듣기 위한 리시버 와 송신음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가 형성되고, 통화를 위해서는 단말기가 항상 손에 파지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단말기를 항상 손에 파지한 상태에서는 통화 도중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핸즈 프리 어셈블리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핸즈 프리 어셈블리는 대개 사용자의 귀에 끼워지는 이어폰 및 사용자의 입에 근전되게 위치되는 마이크를 코드로 연결하고, 코드에 형성된 플러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용 잭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핸즈프리 어셈블리는 통화를 하기 위해서 항상 플러그과 잭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휴대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대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옷주머니 등에 보관되고, 핸즈 프리 어셈블리 역시 단말기와 함께 주머니에 함께 보관되므로 코드가 꼬여 단선되기 쉽고, 통화를 위해 이어폰과 마이크를 꺼내는 것이 불편하다.
이에 본 고안은 보관시 코드가 서로 꼬여 단선되는 것이 방지되고, 보관 및 사용의편이성이 증대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어폰과 마이크 및 상기 이어폰과 마이크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에 연결시키는 플러그가 부착된 코드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에 있어서, 코드를 감거나 풀어내는 권선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 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의 요부인 권선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의 또다른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6 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어폰 2 : 마이크
3,31 : 코드 4 : 플러그
10,20,30 : 권선수단 11 : 케이스
13 : 권선드럼 14 : 코일스프링
15 : 작동버튼 16 : 벨트클립
17 : 록킹홈 18 : 록킹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3 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의 요부인 권선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는 이어폰(1)과 마이크(2)및 상기 이어폰과 마이크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미도시)에 연결시키는 플러그(4)가 부착된 코드(3)를 구비하고, 코드(3)의 소정 위치에 코드를 필요에 따라 감거나 풀어내는 권선수단(10)이 더 구비된다.
미설명 부호 5 는 코드(3)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이다.
도 2,3 을 참조하면, 권선수단(10)은 코드(3)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코드가 인입 및 인출되는 케이스(11)와, 케이스 내부의 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코드(3)가 직접 권선(捲線)되는 드럼(13)과, 드럼을 탄지하여 회전된 드럼을 원복시키는 코일 스프링(14)과, 케이스(11)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14)을 잠금 또는 잠금해제 작동시키는 작동버튼(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작동버튼(15)은 래치(ratch)작동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눌려지기 전에는 코일 스프링(14)의 잠금 작동만 하도록 하고, 눌려지면 코일 스프링(14)의 잠금 해제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는 코드(3)를 잡아당켜 케이스(11)외부로 인출시키면 축(12)에 결합된 드럼(13)이 회전하면서 감겨진 코드가 풀어지고, 코일 스프링(13)은 압축되면서 작동버튼(15)에 의해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11)외부에 부착된 작동버튼(15)을 누르면, 코일 스프링(14)은 잠금해제 작동되고, 코일 스프링(1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된 드럼(13)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풀어진 코드(3)를 신속하게 감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는 권선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추가로 구비된다.
고정수단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외측에 벨트 클립(16)을 부가 장착하여 권선수단(10)을 사용자의 허리띠 등에 걸어 고정시키도록 하거나,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6)의 하부에 다수개의 록킹홈(17)을 형성하고 케이스(11)상부측에 록킹홈과 상호 대응되게 다수개의 록킹돌기(18)를 형성하여 권선수단이 단말기 본체(6)의 하부에 외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는 휴대가 간편하고, 권선수단(10)에 의해 풀어진 코드(3)를 신속하게 감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드의 보관시 코드가 서로 꼬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5 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는 권선수단을 단말기 본체의 외측에 부가 설치하지 않고, 단말기 본체의 내측에 부가 설치하여도 된다.
도 5 에 도시된 권선수단(20)은 도 2,3 에 도시된 권선수단(10)에서 케이스(1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인 드럼(13), 코일 스프링(14)을 단말기 본체(7a)내부에 내장설치하고, 작동버튼(15)을 단말기 본체(7a) 외측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는 권선수단(20)이 단말기 본체(7a)에 내장 설치되어 있어 별도 보관이 필요없게 되고, 사용이 간편하게 된다.
그리고, 도 6 을 참조하면, 또다른 권선수단(30)으로 전화기의 수화기에 부착되는 전화선과 동일한 탄성 코일형태로 코드(31)를 형성하여 단말기 본체(7b)내부에 내장시켜 코드(31)의 탄성 수축과 이완에 의해 코드(31)가 인출 및 인입되도록 하여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는 권선수단에 의해 코드를 정렬한 상태에서 보관을 하게 되어 코드가 꼬여 쉽게 단선되는 것이 방지되고,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다.

Claims (6)

  1. 이어폰과 마이크 및 상기 이어폰과 마이크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잭에 연결시키는 플러그가 부착된 코드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코드를 풀거나 감는 권선수단을 상기 코드에 더 구비하되, 상기 권선수단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에 외장 또는 내장 설치되도록 한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수단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측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코드가 권선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탄지하여 회전된 상기 드럼을 원복시키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을 작동시키는 작동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케이스 외측에 부가된 벨트 클립인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에 다수개의 록킹홈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상기 록킹홈과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록킹돌기인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권선수단은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어 상기 코드가 권선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탄지하여 회전된 상기 드럼을 원복시키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을 작동시키는 작동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권선수단은 상기 코드를 탄성 코일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 내부에 내장시킨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프리 어셈블리.
KR2020000036804U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 KR200237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804U KR200237506Y1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804U KR200237506Y1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506Y1 true KR200237506Y1 (ko) 2001-09-26

Family

ID=7309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804U KR200237506Y1 (ko) 2000-12-28 2000-12-28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5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6346B1 (en) Apparatus for winding cord
US20020193151A1 (en) Cell phone retractable earpiece
KR20000059278A (ko)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 디바이스
KR20023750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핸즈 프리 어셈블리
KR100490353B1 (ko) 이어폰 권취 장치
KR100329217B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
JPH03263957A (ja) 携帯電話機
JPH03258061A (ja) 携帯電話機
JPH07222241A (ja) 携帯用電話機
KR200181930Y1 (ko)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101479605B1 (ko) 이어독 이어폰
KR1010357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잭
KR20035618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악세사리 겸용 이어마이크폰수용캡
KR20000024290A (ko) 핸즈프리가 인출가능하게 내장된 핸드폰
KR200272060Y1 (ko) 이어마이크폰
KR200220051Y1 (ko) 휴대폰용 핸드프리를 구비한 목걸이
KR200233029Y1 (ko) 핸즈프리용 송화기를 갖는 수화기의 권취장치
KR20020024908A (ko) 마이크/이어폰 겸용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KR200342921Y1 (ko) 악세사리형 핸즈프리
JP2998618B2 (ja) 携帯無線電話機
KR200191872Y1 (ko) 송수화기 연결코드의 권취수단이 구비된 핸즈프리 전화기
KR200210159Y1 (ko)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KR200216285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의 송신기 인출장치
JP2002199073A (ja) 携帯電話用イヤホン装置
KR200225438Y1 (ko) 휴대 전화기용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