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293B1 -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 Google Patents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293B1
KR100348293B1 KR1020000009408A KR20000009408A KR100348293B1 KR 100348293 B1 KR100348293 B1 KR 100348293B1 KR 1020000009408 A KR1020000009408 A KR 1020000009408A KR 20000009408 A KR20000009408 A KR 20000009408A KR 100348293 B1 KR100348293 B1 KR 100348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4394A (ko
Inventor
권성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293B1/ko
Publication of KR20010084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이동통신용 단말기의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형의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는,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받는 이어폰이 일체로 형성된 목걸이 이어폰으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는, 이 어댑터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양측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응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된 한 쌍의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와 단말기의 돌기부와의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각 후크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재를 연동시키도록 된 작동부재 및; 상기 목걸이 이어폰의 양단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와 결합시 상기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결합하게 되는 플러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Necklace type earphone assembly for wireless portable phone of folder type}
본 발명은 무선이동통신용 단말기의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형의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으로 명명되는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임의의 장소에서 이동하면서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된 통신수단으로서, 최근에는 그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을 갖춘 단말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 중, 폴더형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분과 키패드부분이 서로 접혀져 휴대가 용이하고 콤팩트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들의 기능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 중 하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의 컨넥터(13)에 마이크 및 제어부(3)를 구비한 이어폰(4)을 연결하여 통신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를 소지하지 않고 양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것도 있으며, 아울러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를 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말기를 목에 걸어 사용하는 경우, 끈으로 된 목걸이에 연결된 단말기가 회전하여 단말기와 목걸이 및 이어폰이 꼬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목에 걸 수 있는 단말기의 형태도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폴더형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쪽 방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목에 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연 다음 키패드를 조작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단말기에 연결되는 이어폰이 긴 선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어폰을 사용치 않을 때에는 이어폰을 감아서 보관하고, 이어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감긴 상태의 이어폰을 풀어주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이어폰을 감아 들이는 동작도 불편하거니와 감겨진 이어폰이 꼬여 있을 때는 이어폰을 연결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어폰과 목걸이를 일체화한 이어폰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이 이어폰 어셈블리에 폴더형 단말기 등의 무선이동통신 단말기가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된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어폰이 장착된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가 장착된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에서 어댑터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에서 후크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가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부분 및 이어폰의 주요부분 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의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가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부위에서의 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부호의 설명
1 - 단말기 11 - 배터리
11a - 돌기부 12 - 리셉터클
200 - 어댑터 210 - 하부덮개
212 - 플러그 장착부 213 - 힌지돌기
220 - 상부덮개 230 - 후크레버
231 - 착탈돌기 232 - 작동면
235 - 인장스프링 240 - 작동버튼
241 - 작동캠 250 - 플러그
310 - 목걸이끈 320 - 이어폰
321 - 스피커 322 - 마이크
350 - 부싱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어폰이 일체로 형성된 목걸이 이어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어폰 조립체는, 폴더형 무선이동통신 단말기(1)의 리셉터클(12; 도 1참조)이 형성된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어댑터(200)와,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그의 양단이 한 쌍의 부싱(350)을 매개로 상기 어댑터(200)에 연결되는 목걸이끈(31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200) 내에는 단말기(1)의 리셉터클(12)에 접속되어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플러그(250)가 장착되고, 이 플러그(250)는 상기 부싱(350)을 통해 어댑터(200) 내로 삽입되는 목걸이끈(310)의 양쪽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목걸이끈(310)에는 이어폰(320)이 일체로 형성되는 바, 상기 플러그(250)를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가 상기 목걸이끈(310)을 거쳐 이어폰(320)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어폰(320)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단말기(1)로부터 전달된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스피커(321)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상기 단말기(1)로 전달하는 마이크(322) 및, 상기 마이크(32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1)의 작동의 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어댑터(200)는 하부덮개(210)와, 이 하부덮개(210)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상기 하부덮개(210) 상에 결합되는 상부덮개(220)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어댑터(200)가 목걸이끈(310)과 연결되는 부분을 어댑터의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편을 어댑터의 후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덮개(210)의 내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플러그(250)가 안착되는 플러그 장착부(212)가 형성되고, 하부덮개(210)의 양측면부 각각에는 홈(214)이 형성되고, 이들 각각의 홈(214)에는 상기 단말기(1)의 양측면부와 결합하게 되는 한 쌍의 후크레버(230)가 대향되게 설치되는 바, 상기 각각의 후크레버(230)는 그 후단이 힌지핀(215)에 의해 상기 하부덮개(210)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핀(215)을 중심으로 내,외측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크레버(230)의 전방 끝단은 일단이 하부덮개 내측에 고정된 인장스프링(235)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인장스프링(235)에 의해 항상 내측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크레버(230)의 중심부에는 단말기(1)의 배터리(11) 양측면부에 형성된 돌기부(11a)에 걸려 지지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착탈돌기(231)가 형성되어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배터리(11)의 돌기부(11a)는 이미 잘 알려진 것처럼 충전을 위해 상기 배터리(11)를 충전기에 장착할 목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크레버(230)와 단말기(1)와의 결합을 위해 단말기(1) 양측면에 별도의 결합용 돌기부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존의 배터리(11)의 돌기부(11a)를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물론, 단말기(1)의 측면부에 별도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어댑터(200)를 착탈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덮개(210)의 전방부 양측에는 상기 후크레버(230)를 내외측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한 쌍의 작동버튼(240)이 장착되는 바, 이들 각 작동버튼(240)은 대략 ㄷ자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이 절곡된 양측면부에는 상기 하부덮개(210)의 전방 양측부에 형성된 힌지돌기(213)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구멍(2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버튼(240)들은 어댑터(200) 전방 양측부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힌지돌기(213)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동버튼(240)의 일측면 하측에는 상기 후크레버(230)의 전방부 내측에 형성된 작동면(232)과 접촉하게 되는 작동캠(2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작동버튼(240)이 내측으로 선회하게 되면 상기 작동캠(241)이 후크레버(230)의 작동면(232)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작동면(232)을 밀어냄으로써 후크레버(230)가 외측으로 선회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덮개(210)와 상부덮개(220)의 전방부에는 상기 목걸이끈(310)의 양단에 설치된 부싱(350)이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홈(216)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무선이동통신 단말기(1)를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에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를 목에 건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1)의 리셉터클(12; 도 1참조)이 형성된 부위를 상기 이어폰 조립체의 어댑터(200)에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으로써 상기 단말기(1)와 어댑터(2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어댑터(200)의 후방에서부터 단말기(1)를 밀어 넣으면, 상기 어댑터(200) 내에 설치된 플러그(250)는 상기 단말기(1)의 리셉터클(12)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어댑터(200)의 양측면에 설치된 각 후크레버(230)의 착탈돌기(231)가 단말기(1) 배터리(11)의 양측부에 형성된 돌기부(11a)의 바로 후방에 위치하면서 이 돌기부(11a)에 의해 걸려서 결합된다.
이 때, 상기와 같이 후크레버(230)의 착탈돌기(231)가 단말기 배터리(11)의 돌기부(11a)에 걸린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착탈돌기(231)와 돌기부(11a)와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야 하는데,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부위에서의 힘의 작용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에 외력(F1)을 가하여 어댑터(200)로부터 강제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외력(F1)에 의해서 상기 후크레버(230)의 착탈돌기(231)와 돌기부(11a)가 접촉하는 지점인 결합점(P)을 기점으로 하여 내측방향으로 힘(H1)이 작용하게 되고, 이 힘(H1)으로 인해 후크레버(230)는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힌지핀(215)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착부위에서의 힘의 작용에 의해 단말기(1)가 어댑터(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상기와 같이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에 단말기(1)가 결합될 때, 어댑터(200)의 플러그(250)와 단말기(1)의 리셉터클(12)이 결합됨으로써 단말기(1)와 이어폰 조립체간의 전기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따라서, 상기 단말기(1)의 리셉터클(12) 및 어댑터(200)의 플러그(250)를 통해 단말기(1)의 오디오 신호가 이어폰(320)으로 전달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단말기(1)로 전달되어, 사용자는 이어폰(320)의 마이크(322)와 스피커(321)를 통해 통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또한, 상기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와 단말기(1)의 전기적 결합에 의해 상기 마이크(322)에 설치된 제어부를 통해 단말기의 작동의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의 어댑터(200)에 결합된 단말기(1)를 분리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단말기(1)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상기 어댑터(200)의 작동버튼(240)들을 동시에 눌러 어댑터(200)와 단말기(1)간의 결합을 해제한 다음, 상기 단말기(1)를 어댑터(200)와 분리시키면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어댑터(200)의 전방 양측에 설치된 작동버튼(240)을 누르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버튼(240)이 상기 힌지돌기(213)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그의 작동캠(241)이 상기 후크레버(230)의 작동면(232)을 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레버(230)가 그 후단의 힌지핀(215)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선회하면서, 즉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후크레버(230)의 착탈돌기(231)와 단말기 배터리(11)의 돌기부(11a)와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단말기(1)를 어댑터(200)에서 후방으로 당기면, 단말기(1)의 리셉터클(12)과 어댑터(200) 내의 플러그(250)가 분리되면서 단말기(1)가 어댑터(200)로부터 간단히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1)가 어댑터(200)에서 분리된 후, 사용자가작동버튼(240)에 가하던 힘을 소멸시키면 상기 후크레버(230)는 인장스프링(235)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목걸이와 이어폰이 일체로 되어 이어폰을 목에 건 상태에서 폴더형의 무선이동통신 단말기를 원터치 방식의 간단한 동작으로 상기 목걸이형 이어폰에 쉽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기다란 이어폰 선을 정리하는 등의 불편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콤팩트한 디자인의 폴더형 단말기를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함으로써 단말기 자체가 하나의 악세서리로서의 기능을 겸할 수 있음과 더불어, 목에 건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때,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아래 방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목에 건 상태로 디스플레이부의 개방 및 키패드의 동작이 자유롭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Claims (9)

  1. 일측에 오디오 신호의 전달을 위한 리셉터클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부분을 수용하도록 결합하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리셉터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러그와, 상기 덮개부재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양측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된 한 쌍의 결합부재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를 연동시켜 상기 결합부재와 단말기 간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걸 수 있도록 된 걸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된 목걸이끈과; 상기 목걸이끈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와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이어폰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목걸이형 이어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의 양측면부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부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후크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레버는, 그의 후단부가 힌지핀에 의해 어댑터의 양측부에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후크레버의 선단부는 일단이 어댑터 내측에 고정된 탄성수단의 타단에 의해 고정되어 항상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되어 있으며, 후크레버의 후방부 내측에는 상기 단말기의 돌기부와 결합하도록 된 착탈돌기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후크레버의 바로 전방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부재의 내측 일단에는 이 작동부재의 선회운동시 상기 후크레버의 선단부를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후크레버의 선단부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된 작동캠이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6. 삭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형 이어폰의 이어폰 연결부에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된 스피커와, 사용자의 음성을 오디오 신호로 상기 단말기에 전달하는 마이크 및, 상기 단말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형 이어폰의 목걸리끈 양단은 한 쌍의 부싱을 매개로 상기 어댑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부덮개와, 이 상부덮개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덮개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덮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KR1020000009408A 2000-02-25 2000-02-25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KR100348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408A KR100348293B1 (ko) 2000-02-25 2000-02-25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408A KR100348293B1 (ko) 2000-02-25 2000-02-25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394A KR20010084394A (ko) 2001-09-06
KR100348293B1 true KR100348293B1 (ko) 2002-08-09

Family

ID=1965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408A KR100348293B1 (ko) 2000-02-25 2000-02-25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3594B1 (ja) * 2001-02-09 2001-08-27 横田 幸夫 携帯電話機のストラップ取付具、及び、ストラップ取付具付き携帯電話機
CN112770305A (zh) * 2020-12-21 2021-05-07 深圳市沃莱特电子有限公司 配对方法、电子组件和无线耳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575Y1 (ko) * 1999-12-30 2000-06-01 장세식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 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575Y1 (ko) * 1999-12-30 2000-06-01 장세식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394A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7220B2 (ja) 通信ユニット
US7123737B2 (en) Ear clasp headset
EP0963667B1 (en) Microphone attachmen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icrophone and audio circuit of a flip-type radio phone with a mechanical contact device
US20080159579A1 (en) Earphon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7058194B2 (en) Hinge unit for headset having current-carrying means
KR100348293B1 (ko)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US7640042B2 (en) Buckle phone
EP1672888A1 (en) Accessory with speaker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331881B1 (ko)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KR100454969B1 (ko) 외장 교체형 보조 하우징 및 이를 채용한 플립-형 겸용바-형 무선 단말기
KR100329217B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
KR200178343Y1 (ko) 이어 마이크 세트
KR200184573Y1 (ko) 이어폰이 부착된 핸드폰
KR200200131Y1 (ko) 휴대폰에서 통화를 위한 이어 마이크로폰 목걸이
JP2001326712A (ja) イヤホーン付きハンドストラップ
CN211128129U (zh) 一种有线头戴耳机
KR20020024908A (ko) 마이크/이어폰 겸용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JP3828325B2 (ja) イヤホン及びイヤホンマイク
KR200233030Y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목걸이형 이어폰
KR200215255Y1 (ko) 핸즈프리형 전화 송수화기
JPH1168904A (ja) マイク・イヤホン分離型携帯電話機
KR20000024290A (ko) 핸즈프리가 인출가능하게 내장된 핸드폰
KR100652031B1 (ko)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KR20020040502A (ko) 거치대 겸용 배터리팩이 구비된 휴대전화기
KR200210692Y1 (ko) 단말기용 목걸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