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081A - 전원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117081A KR20050117081A KR1020040042269A KR20040042269A KR20050117081A KR 20050117081 A KR20050117081 A KR 20050117081A KR 1020040042269 A KR1020040042269 A KR 1020040042269A KR 20040042269 A KR20040042269 A KR 20040042269A KR 20050117081 A KR20050117081 A KR 200501170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main body
- push
- power connector
- jaw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5—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의 밖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본체의 안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와; 상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부재와; 상기 푸시부재에 의해서 상기 회동부재를 반복적으로 정 회전 또는 역 회전시키는 회동부재 회동부와;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플러그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전원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원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를 자동으로 전원 연결장치의 본체 밖으로 인출하거나 본체 안으로 삽입할 수 있는 전원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전환시켜주는 어댑터(Adaptor)나 무선전화기의 충전기와 같은 전원 연결장치는 소형카세트나 카폰 및 무선전화기 등을 전원에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원 연결장치의 끝부분에는 통상 콘센트로 알려진 전원부에 끼워 연결할 수 있는 플러그가 구비되며, 전원 연결장치는 플러그의 접힘 가능 여부에 따라 고정식과 폴딩식 (절첩식)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고정식 플러그를 갖는 전원 연결장치에서는 플러그가 한 방향으로 향하여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폴딩식 플러그를 갖는 전원 연결장치에서는 플러그가 회전되면서 본체 밖으로 펼쳐지거나(인출되거나) 혹은 본체 안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은 종래 고정식 플러그를 갖는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식 플러그를 갖는 전원 연결장치(10)는 두개의 케이스(11a)(11b)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전면에 한 방향으로 향하여 고정되어 있는 플러그(12)와,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12)로부터 인가되는 높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회로기판(미 도시)과,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체(11)의 외부로 인출되는 출력단자(14)로 구성된다.
도2는 종래 폴딩식 플러그를 갖는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폴딩식 플러그를 갖는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식 플러그를 갖는 전원 연결장치(20)는 두개의 케이스(21a)(21b)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전면에 힌지부(22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러그(22)와, 상기 본체(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22)로부터 공급되는 높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회로기판(23)과, 상기 회로기판(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체(21)의 외부로 인출되는 출력단자(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의 케이스(21b)에는 플러그(22)가 접힐 때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플러그 수용홈(25)이 형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C는 콘센트를 보인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도 1에 보인 종래 고정식 플러그를 갖는 전원 연결장치(10)에서는 플러그를 접거나 펼칠 수 없기 때문에 전원 연결장치 자체의 부피가 커져서 전원 연결장치를 휴대하거나 보관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전술한 도2 및 도3에 보인 종래 폴딩식 플러그를 갖는 전원 연결장치(20)에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플러그를 본체 안에 삽입하거나 본체 밖으로 인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또,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플러그의 힌지부가 헐거워질 경우 플러그가 임의로(random) 회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을 때 큰 불편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푸시 버튼을 원 터치 방식으로 한 번씩 누를 때 마다, 플러그가 자동으로 전원 연결장치의 본체 외부로 인출되거나 본체 내부로 삽입될 수 있어,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전원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원 연결장치는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의 밖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본체의 안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와; 상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부재와; 상기 푸시부재에 의해서 상기 회동부재를 반복적으로 정 회전 또는 역 회전시키는 회동부재 회동수단과;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플러그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전원 연결부재와; 상기 본체 밖으로 인출된 상기 플러그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플러그 위치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회동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정턱과; 상기 고정턱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기 푸시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후크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 회동수단은 상기 회동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 상기 회동부재의 외주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과;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푸시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걸림턱 또는 제2걸림턱을 가압하여 상기 회동부재를 정 회전 또는 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푸시부재의 중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아암;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하부 케이스의 플러그 쪽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상부 케이스쪽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6은 도5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플러그와 판 스프링이 접속된 상태 및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은 도5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플러그와 판 스프링이 비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플러그가 본체 밖으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플러그가 본체 안으로 삽입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 연결장치(100)는 내부에 공간부(S)를 형성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120)와; 상기 회동부재(120)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부재(1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110)의 밖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본체(110)의 안으로 삽입되는 플러그(13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부재(140)와; 상기 푸시부재(140)에 의해서 상기 회동부재(120)를 반복적으로 정 회전 또는 역 회전시키는 회동부재 회동수단(160)을 포함한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는 제1케이스(111)와, 상기 제1케이스(111)와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S)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1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12)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케이스(112)의 끝단에는 결합턱(11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112a)에 걸리도록 상기 제1케이스(111)의 끝단에는 결합돌기(111a)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다수의 회로부품(미 도시)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15)이 설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15)의 상면에 형성된 금속 재의 전원 연결부(116)에는 제1 판 스프링(117)이 연결되고 플러그(130)의 끝단에는 제2판 스프링(117a)이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판스프링(117)과 제 2판 스프링(117a)은 항상 접촉해 있고, 상기 제2 판 스프링(117a)은 상기 플러그(130)가 본체(110) 밖으로 인출된 경우에만 상기 플러그(130)의 끝단(판 스프링이 인접된 곳)과 접촉된다.
즉, 상기 상기 제1 판스프링(117)과 제 2판 스프링(117a)은 모두 제1케이스(111)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부(113)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15)과 상기 플러그(13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케이스(112)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130)가 상기 본체(110)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130)를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부(1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수용부(118)는 상기 제2케이스(112) 그 바깥쪽에 플러그(130)가 삽입되는 슬롯(118b)(도4 참조)이 플러그 수용부(118)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케이스(112) 안쪽이 폐쇄되어 있다.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 수용부(118)와 인접하는 위치에는 지지부(119)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 수용부(118)와 지지부(119)는 제조 공정 시 상기 제2케이스(1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19)에는 롤 형태의 회동부재(120)의 축(121)이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120)는 축(121)을 중심으로 정 회전(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역회전(도면상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재(120)의 양쪽에 플러그(130)가 고정핀(P)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130)는 상기 회동부재(120) 회동 시 그 회동부재(120)와 함께 회동되어 상기 제2케이스(112)의 플러그 수용부(118) 안에 삽입되거나 또는 플러그 수용부(118) 밖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시부재(140)의 끝단에는 본체(110)의 내면과 접촉되는 접촉판(141a)과 상기 본체(110) 외부로 돌출되는 푸시버튼(141)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판(141a)은 상기 푸시부재(140) 자체가 홀(H)을 통해 제2케이스(112) 밖으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푸시버튼(141)은 푸시부재(140) 전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푸시부재(140)의 중간에는 장착구멍(146)이 형성되는 데, 상기 장착구멍(146)의 일측에는 스프링 걸이부(14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멍(146)의 타측에는 상기 푸시부재(140)와는 별도의 부재로 제조된 스톱퍼(143)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걸이부(142)에는 스프링(144)이 끼워진다.
상기 푸시부재(140)는 푸시 방향(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스톱퍼(143)는 제2케이스(112)의 바닥면의 턱(112a)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중간에 스프링 걸이부(142)가 삽입되는 구멍(14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푸시버튼(141)을 눌러 푸시부재(140)를 푸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스프링 걸이부(142)가 구멍(143a)에 삽입되면서 상기 스프링(144)이 압축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144)의 압축(또는 신장)에 의해서 상기 푸시부재(140)는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에 항상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 플러그 수용부(118)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안내 슬롯(118a)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 슬롯(118a)에 끼워지도록 상기 푸시부재(140)에는 끼움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푸시부재(140)의 끼움부(145)가 상기 안내 슬롯(118a)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푸시부재(140)는 푸시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플러그(130)를 인출한 상태(펼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회동부재(120)의 외주면 중 양쪽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턱(151a)과 제2고정턱(15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턱(151a)과 제2고정턱(151b)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기 푸시부재(140)의 끝단에는 후크(152)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후크(152)는 푸시부재(14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푸시부재(140)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푸시부재(140)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도11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130)를 제2케이스(112)의 플러그 수용부(118) 안으로 삽입한 상태에서는, 후크(152)가 제2고정턱(151b)을 저지하여 회동부재(120)의 회동을 방지하고 있다.
또, 도12를 참조하면, 플러그(130)가 본체(110)의 제2케이스(112)의 플러그 수용부(118) 밖으로 인출된 상태, 다시 말해 플러그(130)를 제2케이스(112)의 플러그 수용부(118) 밖으로 꺼낸 상태에서는 후크(152)가 제1고정턱(151a)을 저지하여 회동부재(120)의 회동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푸시버튼(141)을 누르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152)는 제1고정턱(151a)과 제2고정턱(151b)로부터 분리된다. 즉, 상기 플러그(130)를 제2케이스(112)의 플러그 수용부(118) 안으로 삽입하거나 또는 플러그(130)를 제2케이스(112)의 플러그 수용부(118) 밖으로 꺼내기 위하여 푸시버튼(141)을 누르는 과정에서는, 푸시부재(140)가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때 푸시부재(140)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152)가 제1고정턱(151a) 또는 제2고정턱(151b)에서 분리됨으로써 회동부재(120), 그 회동부재(120)에 고정되어 있는 플러그(130)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플러그(130)를 제2케이스(112)의 플러그 수용부(118) 밖으로 꺼낸 상태 또는 플러그(130)를 제2케이스(112)의 플러그 수용부(118) 안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후크(152)가 제1고정턱(151a) 또는 제2고정턱(151b)에 걸려 있기 때문에 플러그(130)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플러그(13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푸시버튼(141)을 누를 경우에는 후크(152)가 제1고정턱(151a) 또는 제2고정턱(151b)으로부터 분리되어 플러그(130)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회동부재(120)를 정 회전시켜 상기 플러그(130)를 케이스(110) 밖으로 인출하거나 또는 역 회전시켜 플러그(130)를 케이스(130) 안으로 삽입하도록 하는 회동부재 회동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동부재 회동수단은 상기 회동부재(12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161)과; 상기 회동부재(120)의 외주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162)과; 상기 회동부재(120)와 상기 푸시부재(140) 사이에 위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걸림턱(161) 또는 제2걸림턱(162)을 가압하여 상기 회동부재(120)를 정 회전 또는 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푸시부재(140)의 중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아암(16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걸림턱(161)과 제2걸림턱(162) 사이에는 상기 푸시아암(163)의 끝단을 상기 제1걸림턱(161) 또는 제2걸림턱(162)으로 안내하는 안내 리브(164)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 리브(164)는 상기 회동부재(120)의 반경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아암(163)에는 상기 안내 리브(164)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16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아암(163)은 푸시부재(140)의 중간에 형성된 장착부(147)에 회전 가능하게 축(147a) 지지되어 있고, 텐션 스프링(T)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11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원 연결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11은 도10의 Ⅱ-Ⅱ선 단면도로, 후크가 제2고정턱에 걸린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후크가 제1고정턱에 걸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13은 도10의 Ⅲ-Ⅲ선 단면도로, 플러그가 본체 안으로 삽입된 초기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플러그가 본체 밖으로 인출되는 작동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플러그가 안내리브에 안내되는 작동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16은 플러그가 본체 안으로 삽입되는 작동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연결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플러그(130)를 본체(110) 밖으로 인출한 후, 상기 플러그(130)를 콘센트와 같은 전원(미도시)에 꽂아 사용하면 되고, 전원 연결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플러그(130)를 본체(110) 안으로 삽입하여 두면 된다. 플러그(130)를 본체(110) 안으로 삽입하여 두면 전원 연결장치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전원 연결장치(100)를 보다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러그(130)를 플러그 수용부(118)로 부터 인출하는 작동과, 플러그(130)를 플러그 수용부(118)에 삽입하는 작동을 나뉘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플러그(130)를 플러그 수용부(118) 밖으로 인출하는 작동을 설명한다.
도11 및 도13은 플러그가 플러그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 상태에서 도10에 도시된 푸시버튼(141)을 누르면 푸시부재(140) 전체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푸시부재(140)의 끝단에 형성된 후크(152)가 도11의 파선을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고정턱(151b)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120)가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푸시부재(140)의 상면에 위치된 푸시아암(163)도 상기 푸시부재(140)에 의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된다.
그 후 상기 푸시아암(163)의 끝단은 도13에 파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안내 리브(164)의 하단에 접촉되면서 하방으로 미끄러진 후,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120)의 제1걸림턱(161)을 푸시(가압)한다. 이때 상기 푸시아암(163)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동된다.
상기 푸시아암(163)의 가압에 의해서 상기 회동부재(120)는 축(121)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90°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120)가 회전될 때 상기 푸시아암(163)의 홈(163a)에 의해서 안내리브(164)가 상기 푸시아암(163)과 간섭(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회동부재(120)의 양쪽에는 플러그(130)가 고정핀(P:도10 참조)에 의해 고정되는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부재(120)가 회동되면 상기 플러그 수용부(118) 안에 있던 플러그(130)도 90°로 회동되면서 상기 플러그 수용부(118) 밖으로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푸시버튼(141)으로부터 자신의 손을 떼면, 도12에 실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스프링(144)의 탄성 복원력 때문에 상기 푸시부재(140)과 그 푸시부재(140)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푸시아암(163)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온다(복귀한다). 이때 접촉판(141a)에 의해서 푸시부재(140)가 자신의 정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푸시부재(140)의 후크(152)가 회동부재(120)의 제1고정턱(151a)에 걸리게 됨으로써 회동부재(120)의 회동이 방지되고 이로 인하여 회동부재(120)에 고정되어 있는 플러그(130)의 위치도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플러그(130)를 플러그 수용부(118) 안으로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12는 플러그가 플러그 수용부 밖으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푸시버튼(141)을 다시 누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동으로 푸시부재(140) 전체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푸시부재(140)의 끝단에 형성된 후크(152)가 상기 회동부재(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턱(151a)으로부터 분리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푸시부재(140)의 상면에 위치된 푸시아암(163)도 상기 푸시부재(140)에 의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푸시아암(163)의 끝단은 도15에 보인 바와 같이, 안내리브(164)의 상단에 접촉되면서 미끄러진 후, 도 16에 보인 바와 같이 제2걸림턱(162)을 푸시(가압)한다.
상기 푸시아암(163)의 가압에 의해서 상기 회동부재(120)는 축(121)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 시계방향으로 90°로 회전된다. 상기 회동부재(120)가 회전될 때 상기 푸시아암(163)의 홈(163a)에 의해서 안내리브(164)가 상기 푸시아암(163)과 간섭(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회동부재(120)의 양쪽에는 플러그(130)가 고정되는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부재(120)의 90°회동에 의해 상기 플러그(130)가 90°로 회동되면서 상기 플러 수용부(118) 안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푸시버튼(141)으로부터 자신의 손을 떼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동으로 스프링(144)의 탄성 복원력 때문에 상기 푸시부재(140)와 그 푸시부재(140) 상측에 위치되어 있는 푸시아암(163)은 도11 및 도13의 실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온다(복귀한다). 이와 동시에 푸시부재(140)의 후크(152)가 회동부재(120)의 고정턱(151b)에 걸리게 됨으로써 회동부재(120)의 회동이 방지되고 이로 인하여 회동부재(120)에 고정되어 있는 플러그(130)의 위치도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된 푸시버튼(141)을 원 터치 방식으로 한 번씩 누를 때 마다, 플러그(130)가 편리하게 본체(110)로부터 인출되거나 본체(110)에 삽입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에도 플러그의 인출 및 삽입 작동이 원활하며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도1은 종래 고정식 플러그를 갖는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2는 종래 폴딩식 플러그를 갖는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도2의 폴딩식 플러그를 갖는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하부 케이스의 플러그 쪽을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상부 케이스쪽을 보인 사시도.
도6은 도5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플러그와 판 스프링이 접속된 상태 및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도5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플러그와 판 스프링이 비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플러그가 본체 밖으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플러그가 본체 안으로 삽입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1은 도10의 Ⅱ-Ⅱ선 단면도로, 후크가 제2고정턱에 걸린 상태를 보인 도면.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후크가 제1고정턱에 걸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3은 도10의 Ⅲ-Ⅲ선 단면도로, 플러그가 본체 안으로 삽입된 초기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플러그가 본체 밖으로 인출되는 작동을 보인 종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플러그가 안내리브에 안내되는 작동을 보인 종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연결장치를 보인 것으로, 플러그가 본체 안으로 삽입되는 작동을 보인 종단면도.
*****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
100:전원 연결장치 110:본체
111:제1케이스 111a:결합턱
112a:결합돌기 112:제2케이스
113:지지부 S:공간부
115:인쇄회로기판 116:전원 연결부
117:제1판 스프링 117a:제2판 스프링
118:플러그 수용부 118a:안내슬롯
118b:슬롯 119:지지부
121:축 120:회동부재
130:플러그 140:푸시부재
141:푸시버튼 144:스프링
145:끼움부 147:장착부
147a:푸시아암의 축 151a:제1고정턱
151b:제2고정턱 152:후크
161:제1걸림턱 162:제2걸림턱
163:푸시아암 163a:홈
164:안내리브
Claims (18)
- 본체와;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의 밖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본체 안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와;상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부재와;상기 푸시부재에 의해서 상기 회동부재를 반복적으로 정 회전 또는 역 회전시키는 회동부재 회동수단과;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플러그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전원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밖으로 인출된 상기 플러그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플러그 위치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위치 고정수단은상기 회동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고정턱과;상기 고정턱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기 푸시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은 상기 회동부재의 외주면의 양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본체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는 플러그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수용부는 상기 본체의 바깥쪽에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안쪽이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푸시부재의 이동방향으로 안내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 슬롯에 끼워지도록 상기 푸시부재에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의 중간에는 상기 푸시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푸시부재의 끝단에는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푸시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원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 회동수단은상기 회동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상기 회동부재의 외주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과;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푸시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걸림턱 또는 제2걸림턱을 가압하여 상기 회동부재를 정 회전 또는 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푸시부재의 중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아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 사이에는 상기 푸시아암의 끝단을 상기 제1걸림턱 또는 제2걸림턱으로 안내하는 안내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리브는 상기 회동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아암에는 상기 안내 리브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케이스의 끝단에는 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턱에 걸리도록 상기 제2케이스의 끝단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접속부재는 인쇄회로기판의 전원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 판 스프링과, 상기 제1 판 스프링과 항상 접촉해 있고 상기 플러그의 끝단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 스프링과 제2 판 스프링은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2269A KR100575786B1 (ko) | 2004-06-09 | 2004-06-09 | 전원 연결장치 |
CNB2005100025917A CN100365879C (zh) | 2004-06-09 | 2005-01-21 | 电源连接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2269A KR100575786B1 (ko) | 2004-06-09 | 2004-06-09 | 전원 연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7081A true KR20050117081A (ko) | 2005-12-14 |
KR100575786B1 KR100575786B1 (ko) | 2006-05-03 |
Family
ID=3558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2269A KR100575786B1 (ko) | 2004-06-09 | 2004-06-09 | 전원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5786B1 (ko) |
CN (1) | CN100365879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22781B (zh) * | 2012-12-14 | 2015-07-01 | 南京理工大学 | 夹式弹性插头 |
TWI483102B (zh) | 2013-04-15 | 2015-05-01 | Hon Hai Prec Ind Co Ltd | 電子裝置及電源適配器 |
CN104103976B (zh) * | 2013-04-15 | 2016-05-25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电子装置及电源适配器 |
CN112736602B (zh) * | 2019-10-14 | 2022-07-05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插头结构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268155B (en) * | 1994-02-24 | 1996-01-11 | Asian Micro Sources Inc | Collapsible plug device for battery charger |
JP2001351720A (ja) * | 2000-06-06 | 2001-12-21 | Smk Corp | 回動式電源プラグ装置 |
JP2002042951A (ja) * | 2000-07-19 | 2002-02-08 | Masaru Hoshino | プラグ装置 |
CN2613905Y (zh) * | 2003-03-04 | 2004-04-28 | 钟玉麟 | 电源供应器的活动插头 |
-
2004
- 2004-06-09 KR KR1020040042269A patent/KR10057578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
- 2005-01-21 CN CNB2005100025917A patent/CN100365879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0365879C (zh) | 2008-01-30 |
CN1707873A (zh) | 2005-12-14 |
KR100575786B1 (ko) | 2006-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11701A (en) | Collapsible prong plug device for battery charger | |
US6126460A (en) | Safety dual plug structure | |
US8790124B2 (en) | Electrical plu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5628641A (en) | Collapsible plug device for battery charger | |
US6658130B2 (en) | Receptacle for earphone cord | |
US7123886B2 (en) | Handheld mobile phone with a detachable battery pack | |
CN114207953B (zh) | 电源适配器及电连接器 | |
US7241169B1 (en) | Adapter for power supply | |
KR100575786B1 (ko) | 전원 연결장치 | |
CN116391301B (zh) | 适配器和轨道插座 | |
US20070132732A1 (en) | Electronic apparatus | |
KR200188138Y1 (ko) | 덮개 열림장치를 가진 폴더형 휴대폰 | |
EP1852769A1 (en) | Electronic apparatus with a collapsible housing | |
JP4133900B2 (ja) | 携帯機器用充電台及び携帯機器充電用システム | |
KR20050058817A (ko) | 어댑터용 플러그 구조 | |
JP4659997B2 (ja) | 収納ケース | |
KR20070067276A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EP1162702A2 (en) | Pivotal power supply plug device | |
KR100690750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355865Y1 (ko) |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착탈장치 | |
KR200218503Y1 (ko) | 슬라이딩 수납식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362826Y1 (ko) | 유에스비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 |
KR200260858Y1 (ko) | 접이식 휴대폰 충전기 | |
KR200228938Y1 (ko) | 휴대폰의 안테나 및 덮개 개방장치 | |
KR20050056717A (ko) | 휴대용 단말기의 받침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