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826Y1 - 유에스비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 Google Patents

유에스비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826Y1
KR200362826Y1 KR20-2004-0017812U KR20040017812U KR200362826Y1 KR 200362826 Y1 KR200362826 Y1 KR 200362826Y1 KR 20040017812 U KR20040017812 U KR 20040017812U KR 200362826 Y1 KR200362826 Y1 KR 200362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usb port
portable terminal
mobile phon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욱 filed Critical 정성욱
Priority to KR20-2004-0017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8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USB 포트를 내장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지 개인용 컴퓨터와 간단히 접속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휴대폰, PDA 등의 휴대형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휴대형 단말기, 몸체와 연결단자로 구성되는 USB 포트, 상기 휴대형 단말기와 상기 USB 포트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USB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내부에 상기 케이블을 인입시켜 상기 인입된 케이블을 보관하기 위한 케이블 인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인입부에 마련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에 인입력을 가하는 탄성인입수단이 마련되어, 통상적으로 상기 케이블 인입부에 여유분의 케이블이 보관되며, 상기 USB 포트의 사용시에 상기 여유분의 케이블이 인출되어 상기 USB 포트가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USB 포트의 사용 완료시에 상기 탄성인입수단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인입부로 인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에스비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USB PORT}
본 고안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USB 포트를 내장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지 개인용 컴퓨터와 간단히 접속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휴대폰, PDA 등의 휴대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USB는 정보장치의 접속 인터페이스 규격으로서, 서로 다른 정보장치 등을 연결할 때 호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실용화된 것이다.
상기 USB를 사용하면 휴대폰 등의 휴대형 단말기를 개인용 PC 등과 연결할 때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없이 모든 주변기기를 동일한 접속기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포트 수를 줄일 수 있고, 설치 및 연결이 간단하다.
그러나 종래의 USB 포트를 이용하여 휴대폰과 정보장치와 연결하는 구조는 도 7과 같이 별도의 USB 포트의 연결케이블(4)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휴대폰 사용자가 USB 포트의 연결 케이블을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고, USB 포트의 연결 케이블을 분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종래의 기술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30197호 "USB 포트를 갖는 휴대폰"(도 8 참조)은 USB 포트를 휴대폰에 구비하되 상기 USB 포트의 연결 케이블은 휴대폰 줄을 겸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연결 케이블의 단부에 구성된 USB 포트는 이물질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USB 포트 보호캡을 이용하여 감싸지도록 구성하고, 그 장식 캡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USB 포트를 휴대폰과 연결하는 케이블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는 결과 휴대폰 등의 장식적 미감을 훼손하게 되며, 또한 USB 포트의 몸체 및 그 연결 케이블이 항상 외부에 노출되는 결과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마모 등의 외부적 환경으로 인하여 연결케이블 등의 단선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USB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USB 포트를 사용시에는 상기 USB 포트를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이격시켜 사용하고, 상기 USB 포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에 마련되는 탄성인입수단에 의하여 케이블을 케이블 인입부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USB 포트의 연결케이블 및 USB 포트의 몸체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휴대형 단말기의 장식적 미감을 훼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휴대를 용이하게 하고 외부적 환경에 의하여 케이블 등의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례에 의한 휴대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보호덮개을 제거한 상태의 휴대폰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USB 포트를 인출한 상태의 휴대폰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작동원리를 보이는 횡단면 개념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례에 의한 작동상태를 보이는 횡단면 개념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컴퓨터와 휴대폰을 USB 포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USB 포트가 설치된 휴대폰.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폰 110 : 수용부
120 : 케이블 인입부 130 : 탄성인입수단
200 : 케이블
300 : USB 포트 310 : 몸체
320 : 연결단자
400 : 보호덮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형 단말기, 몸체와 연결단자로 구성되는 USB 포트, 상기 휴대형 단말기와 상기 USB 포트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USB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내부에 상기 케이블을 인입시켜 상기 인입된 케이블을 보관하기 위한 케이블 인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인입부에 마련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에 인입력을 가하는 탄성인입수단이 마련되어, 통상적으로 상기 케이블 인입부에 여유분의 케이블이 보관되며, 상기 USB 포트의 사용시에 상기 여유분의 케이블이 인출되어 상기 USB 포트가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USB 포트의 사용 완료시에 상기 탄성인입수단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인입부로 인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외면에 상기 USB 포트의 몸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인입부로 인입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USB 포트의 몸체가 상기 수용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는 휴대형 단말기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수용부 자체가 손상되거나 휴대형 단말기의 휴대를불편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인입수단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스프링으로서는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인입수단으로서는 소형 줄자에서 주로 사용되는 릴형태로 권회되었다가 인출시에 내부의 원형 탄성체가 함께 회전된 후 원형 탄성체의 복원력으로 인입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수단 등이 고려될 수도 있지만,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의 경우 일직선상에서의 움직임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는 휴대폰 또는 PDA인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인입부에 상기 인출된 케이블을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고정장치가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실시례들에 따라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과 작용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례에 의한 휴대폰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보호덮개을 제거한 상태의 휴대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USB 포트를 인출한 상태의 휴대폰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작동원리를 보이는 횡단면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4의 종단면 개념도이다.
휴대폰(100)의 외면 중 후면에 사각 박스 형태의 빈 공간부로서 수용부(110)가 형성된다.
USB 포트(300)는 USB 포트의 몸체(310)와 연결단자(320)로 구성되며, USB 포트의 몸체(310)는 케이블(200)에 의하여 휴대폰(100)과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USB 포트(300)는 도 1과 같이 연결단자(320)에 보호덮개(400)가 부착된 상태로 수용부(110)에 그 몸체(310)가 수용된 상태로 보관된다.
USB 포트(300)를 컴퓨터 등에 연결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2와 같이 보호덮개(400)를 제거한 후, 도 3과 같이 USB 포트(300)를 당기면 케이블(200)이 인출되어 USB 포트(300)가 휴대폰(100)으로부터 이격되어 사용된다.
보호덮개(400)는 USB 포트(3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USB 포트(300)의 연결단자(320)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USB 포트(300)의 사용이 완료되면 휴대폰(100) 내부의 후술하는 탄성인입수단에 의하여 케이블(200)이 케이블 인입부로 인입된다.
도 4 내지 도 5는 탄성인입수단 등의 일 구성과 작용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휴대폰(100)의 내부에 케이블(200)이 인입되어 보관되기 위한 케이블 인입부(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블(200)은 통상적으로는 케이블 인입부(200)에 일부 보관되며, USB 포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케이블 인입부(200)에 보관된 여분의 케이블(200)이 휴대폰(100)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USB 포트(300)가 휴대폰(10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케이블 인입부(120)에는 통상적으로 상기 케이블(200)이 상기 케이블 인입부(200)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인입수단(130)이 마련되어 있다.
탄성인입수단(130)은 스프링(131), 가이드 부재(132), 이동롤러(133) 등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131)은 통상적으로 가이드 부재(132)에 오른쪽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가이드 부재(132)는 스프링(131)에 연결되어 스프링(131)의 탄성력을 받으며, 케이블 인입부(120)에 형성되는 레일홈(12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2)의 상면에는 고정용 턱(135)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고정용 턱(135)은 고정용 스프링(136)에 의하여 상부방향의 탄성력을 받는다.
또한 가이드 부재(132)의 우측에는 이동롤러(13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롤러(133)는 가이드 부재(132)와 함께 좌우로 이동되며, 회전할 수 있다. 이동롤러(133)는 케이블(200)의 인출 또는 인입시 회전하여 케이블(200)과 이동롤러(133)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고정롤러(122)는 케이블 인입부(120)에 고정되는 것으로 케이블(200)의 인출 또는 인입시 회전하여 케이블(200)의 원활한 인입 또는 인출을 유도한다.
또한 휴대폰(100)의 외면에는 고정용 사각홀(1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용 사각홀(170)에 고정용 턱(135)이 위치할 경우, 고정용 스프링(136)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고정용 턱(135)은 상부로 회전이동하며 따라서 고정용 턱(135)이 상부로 회전이동할 경우 가이드부재(135)는 우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케이블(200)을 인출할 경우 이동롤러(133)가 회전하면서가이드부재(132)는 좌측으로 이동하며, 이와 함께 고정용 턱(135)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고정용 턱(135)이 고정용 사각홀(170)에 위치하면 가이드 부재(132)는 외부에서의 별도의 힘이 없는 한 자기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인출된 케이블(200)로 인하여 USB 포트(300)는 휴대폰(100)과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USB 포트(300)를 편리하게 컴퓨터 등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례의 고정용 턱(135), 고정용 사각홀(170) 등은 인출된 케이블(200)을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고정장치로서 사용되며,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위치고정장치로서는 다양한 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
USB 포트(300)의 사용이 종료한 경우, 휴대폰(100)외부에서 고정용 사각홀(170)로 돌출된 고정용 턱(135)을 누르게 되면, 스프링(131)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이드 부재(13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케이블(200)이 케이블 인입부(120)로 인입된다.
본 실시례의 경우 고정용 턱(135)을 누르기 위한 방안으로서 스프링(181)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푸시버튼(180)을 휴대폰(100)의 외측에 마련하고 있다. 즉, 푸시버튼(180)을 누르면 그 선단부가 고정용 턱(135)을 누르게 되고, 고정용 턱(135)이 눌려지면 스프링(131)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이드 부재(132)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케이블(200)을 인입하게 되는 것이다.
케이블(200)이 인입되면, 이와 함께 USB 포트의 몸체(310)가 휴대폰(100) 측으로 당겨져 최종적으로 USB 포트의 몸체(310)가 수용부(110)에 수용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례에 의한 개념도이다.
제2실시례의 경우 제1실시례와 동일한 개념이며, 다만 케이블(200)을 보다 많이 인출하기 위하여 2개의 탄성인입수단을 이용하였다.
즉 제3실시례의 경우 제2실시례에서 인출가능한 케이블의 길이보다 2배 길이의 케이블이 인출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여 USB 포트를 휴대폰 등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본 고안은 휴대형 단말기의 장식적 미감을 훼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휴대형 단말기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고 외부적 환경에 의하여 USB 포트와 연결되는 케이블 등의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휴대형 단말기, 몸체와 연결단자로 구성되는 USB 포트, 상기 휴대형 단말기와 상기 USB 포트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USB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내부에 상기 케이블을 인입시켜 상기 인입된 케이블을 보관하기 위한 케이블 인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인입부에 마련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케이블에 인입력을 가하는 탄성인입수단이 마련되어,
    통상적으로 상기 케이블 인입부에 여유분의 케이블이 보관되며, 상기 USB 포트의 사용시에 상기 여유분의 케이블이 인출되어 상기 USB 포트가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USB 포트의 사용 완료시에 상기 탄성인입수단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인입부로 인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외면에 상기 USB 포트의 몸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인입부로 인입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USB 포트의 몸체가 상기 수용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인입수단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는 휴대폰 또는 PDA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인입부에 상기 인출된 케이블을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고정장치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KR20-2004-0017812U 2004-06-23 2004-06-23 유에스비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KR200362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812U KR200362826Y1 (ko) 2004-06-23 2004-06-23 유에스비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812U KR200362826Y1 (ko) 2004-06-23 2004-06-23 유에스비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826Y1 true KR200362826Y1 (ko) 2004-09-23

Family

ID=4943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812U KR200362826Y1 (ko) 2004-06-23 2004-06-23 유에스비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8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20B1 (ko) * 2006-12-12 2007-12-26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카오디오
US9438295B1 (en) 2013-10-07 2016-09-06 Dmac International Co., Ltd. Mobile phone case having detachable cab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20B1 (ko) * 2006-12-12 2007-12-26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카오디오
US9438295B1 (en) 2013-10-07 2016-09-06 Dmac International Co., Ltd. Mobile phone case having detachable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7048B2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dispensable and retractable charge and sync cable
US11451083B2 (en) Portable charger
KR20150040651A (ko) 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JP3100452U (ja) 無線入力装置を収納できる受信器
KR200465348Y1 (ko) 롤 이어폰 및 예비배터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6424551B1 (en) Power supply converter including a retractable conducting wire
KR200362826Y1 (ko) 유에스비 포트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CN210578694U (zh) 电子设备及移动外设
KR200467206Y1 (ko)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CN201204055Y (zh) 自带usb接口数据线的移动存储装置
KR200339492Y1 (ko) 슬라이드식 접속잭을 구비한 유에스비 커넥터
KR101417739B1 (ko)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 커버
KR100817893B1 (ko) 플래시 메모리
CN209249781U (zh) 一种usb连接器
KR20110062038A (ko) 일체형 포토블 전원장치
CN212586855U (zh) 一种笔套及书写设备
KR101065103B1 (ko) 터치펜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젠더
KR20050058817A (ko) 어댑터용 플러그 구조
KR20080032268A (ko) 외장형 기기의 연결 단자 인입/인출 장치
CN212893244U (zh) 多功能伸缩数据线盒
CN213243024U (zh) 一种新型收纳的数据线
KR100997894B1 (ko) 화장품이 구비된 휴대폰용 악세사리
KR200355897Y1 (ko) Usb 단자를 갖는 휴대폰 핸즈프리
KR20050117081A (ko) 전원 연결장치
KR100690714B1 (ko) 유에스비커넥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